KR20120136376A - 얇은 종이의 공급 케이스 - Google Patents

얇은 종이의 공급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6376A
KR20120136376A KR1020127025240A KR20127025240A KR20120136376A KR 20120136376 A KR20120136376 A KR 20120136376A KR 1020127025240 A KR1020127025240 A KR 1020127025240A KR 20127025240 A KR20127025240 A KR 20127025240A KR 20120136376 A KR20120136376 A KR 20120136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thin paper
pedestal member
outlet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5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3905B1 (ko
Inventor
이사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요네쇼 가부시키가이샤
이사오 고바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네쇼 가부시키가이샤, 이사오 고바야시 filed Critical 요네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6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A47K10/42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means for urging the whole stack upwards towards the dispensing opening, e.g. a spring, a counterw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aper (AREA)

Abstract

얇은 종이를 수납하는 상자체와, 얇은 종이를 꺼내기 위한 슬릿상의 인출구를 갖춘 뚜껑체와, 상자체 내에 설치되어, 얇은 종이를 올려놓게 하기 위한 받침대부재와, 받침대부재를 상자체의 저부에서 뚜껑체 방향으로 부세하는 수단을 갖춘 공급 케이스에 있어서, 뚜껑체의 내면에는, 인출구의 양쪽에 인출구와 평행한 열로써 배치된 복수의 뚜껑체 돌출부가 설치되고, 뚜껑체 돌출부는 각각 인출구에서 멀어짐에 따라 돌출높이가 증대하는 테이퍼상이며, 받침대의 상면에는, 인출구에 대향하는 위치의 양쪽에 인출구와 평행한 열로써 배치된 복수의 받침대부재 돌출부가 설치되고, 받침대부재 돌출부는 각각 인출구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멀어짐에 따라 돌출높이가 증대하는 테이퍼상이며, 뚜껑체에 설치된 복수의 뚜껑체 돌출부와, 받침대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받침대부재 돌출부가 서로 다르게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얇은 종이의 공급 케이스{TISSUE PAPER SUPPLY CASE}
본 발명은, 연속해서 차례대로 꺼낼 수 있게 수납한 얇은 종이의 공급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속해서 꺼낼 수 있게 하기 위해, 복수장의 반으로 접은 종이조각의 구부린 방향을 마주보게 하여, 종이조각의 단부끼리를 서로 번갈아 겹쳐서 적층 시킨 얇은 종이(이하, "얇은 종이"라고 한다)가 있다. 이러한 얇은 종이로써는, 예를 들어, 퍼머넌트를 할 때에 모발의 털끝을 말아 누르기 위해 사용하는 골드 페이퍼, 티슈 페이퍼 및 페이퍼 타월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얇은 종이는, 골드 페이퍼의 예를 들면, 가는 컬용의 가는 로트에 대응하는 폭이 좁은 얇은 종이, 큰 컬용의 두꺼운 로트에 대응하는 폭이 넓은 얇은 종이, 등과 같이, 사이즈가 다른 것이 존재한다.
이러한 얇은 종이를 연속해서 꺼낼 수 있는 공급 케이스로써, 특허문헌 1에는, 직사각형 상자체상의 상면부 중앙으로 개구하는 인출구로부터 얇은 종이를 연속해서 꺼낼 수 있도록 내부에서부터 상면 방향으로 부세상태에서 수납되어 있으며, 이 상면부 내측에는 인출구 쪽을 향해 산형유발면부가 설치되어 있는 얇은 종이의 공급 케이스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의 내측 상하에 걸쳐 틈을 대향하여 형성해, 대항틈의 사이에 칸막이 판을 꽂는 것으로, 얇은 종이의 각 사이즈에 대응하여 수납 인출 가능하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폭넓은 방향의 양 측면의 내측면에 우레탄폼 등의 압축가능한 탄성부재로부터 이루어지는 위치조절용 부재를 설치한 위생 얇은 종이용 디스펜서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실공평 6-4640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개 2006-27694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얇은 종이의 공급 케이스에서는, 케이스 본체의 내측에 얇은 종이의 각 사이즈에 맞는 칸막이 판을 꽂는 것으로 얇은 종이의 각 사이즈에 맞추어 수납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런 까닭으로, 얇은 종이를 수납할 때, 매번 수납할 얇은 종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틈에 칸막이 판을 꽂지 않으면 안 되고, 공급 케이스 본체와는 다른 칸막이 판이라는 부재가 필요하게 되는 동시에, 수납에 시간이 걸렸다. 더욱이, 틈의 위치마다 대응할 수 있는 얇은 종이의 폭이 정해져 버리기 때문에, 얇은 종이의 사이즈와 틈의 위치가 맞지 않아, 적당한 칸막이 판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었다.
또,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위생 얇은 종이용 디스펜서에서는, 압축가능한 탄성부재가 종이상자에 넣는 얇은 종이의 측면과 접촉하여 내부 스페이스를 메워 위치를 조절한다. 그러므로, 종이상자에 넣지 않는 얇은 종이, 예를 들어, 골드 페이퍼 등에서는, 디스펜서 내에 수납된 얇은 종이로 탄성부재로부터의 압력이 직접 실려, 얇은 종이가 구부러지거나, 변형하기 때문에, 인출구로부터 얇은 종이가 꺼내지지 않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에 비추어 고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공급 케이스 본체 이외의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얇은 종이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간단하게 케이스의 인출구 위치에 대해 중앙부분에 수납할 수 있으며, 또한, 수납된 얇은 종이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연속해서 꺼낼 수 있는 얇은 종이의 공급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얇은 종이의 공급 케이스는, 얇은 종이를 수납하는 상자체와, 얇은 종이를 꺼내기 위한 슬릿상의 인출구를 갖춘 뚜껑체와, 상자체 내에 설치되어, 얇은 종이를 올려놓게 하기 위한 받침대부재와, 받침대부재를 상자체의 저부에서부터 뚜껑체 방향으로 부세하는 수단을 갖춘 공급 케이스에 있어서, 뚜껑체의 내면에는, 인출구의 양쪽에 인출구와 평행한 열로써 배치된 복수의 뚜껑체 돌출부가 설치되고, 뚜껑체 돌출부는 각각 인출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돌출높이가 증대하는 테이퍼상이며, 받침대부재의 상면에는, 인출구에 대향하는 위치의 내측으로 인출구와 평행한 열로써 배치된 복수의 받침대부재 돌출부가 설치되고, 받침대부재 돌출부는 각각 인출구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둘촐높이가 증대하는 테이퍼상이며, 뚜껑체에 설치된 복수의 뚜껑체 돌출부와, 받침대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받침대 돌출부가 서로 다르게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얇은 종이는, 상자체 내에 설치된 받침대부재에 올려 놓여지고, 뚜껑체 방향으로 부세수단에 의해 부세되며, 뚜껑체에 마련된 인출구에서 꺼낼 수 있게 수납된다. 얇은 종이를 수납함에 있어서는, 얇은 종이를 그 구부린 선이 인출구와 평행하도록 받침대부재 위에 올려놓고 뚜껑체를 상자체에 덮으면, 받침대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인출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둘촐높이가 증대하는 테이퍼상의 받침대부재 돌출부와, 뚜껑체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는, 인출구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둘촐높이가 증대하는 테이퍼상의 뚜껑체 돌출부에 의해, 얇은 종이는 압압된다. 즉, 얇은 종이는, 그 내측의 구부린 선 사이의 중앙(폭 방향의 중심)이 인출구에 대향하도록 받침대부재 돌출부 및 뚜껑체부재 돌출부로 안내되어 그 위치에서 고정지지된다. 이에, 얇은 종이가 다른 폭을 갖는 경우라도, 얇은 종이의 폭 방향의 중심이 인출구에 대향하도록 고정지지되게 된다.
얇은 종이는 그 폭 방향의 중심이 인출구에 대향하도록 고정지지되는 것으로부터, 뚜껑체에 마련된 인출구에서부터는 얇은 종이의 단부가 돌출되고, 이 단부를 잡아당기는 것으로 얇은 종이를 연속해서 꺼낼 수 있다. 얇은 종이를 꺼내는 것에 따라, 뚜껑체의 내면에 설치된 테이퍼상의 뚜껑체 돌출부에 의해 생긴 인출구의 하부와 얇은 종이의 최상면과의 공간에서 얇은 종이가 만곡한다. 이 얇은 종이의 만곡에 의해, 포개어진 다음 단계의 얇은 종이가 꺼내지기 쉽고, 산형의 만곡상에 맞춰진 얇은 종이가 다음 인출에 대비된다.
상자체에 수납된 얇은 종이의 잔량이 적어지면, 뚜껑체에 설치된 복수의 뚜껑체 돌출부와 받침대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받침대부재 돌출부가 얇은 종이의 폭 방향의 외측에서 서로 교차하여 조합되고, 받침대부재의 얇은 종이와 접하는 부분의 면의 폭이, 수납되어 있는 얇은 종이의 폭과 같은 정도의 길이로 조절된다. 이에 의해, 받침대부재의 상면에서 얇은 종이가 이동하는 공간을 잃고, 얇은 종이의 폭 방향의 단부가, 뚜껑체에 설치된 복수의 뚜껑체 돌출부와 받침대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받침대부재 돌출부에 압압된 상태에서 고정 지지된다. 그런 까닭으로 얇은 종이의 잔량이 적어져도, 얇은 종이의 폭에 관계없이, 얇은 종이의 폭 방향의 중심이 인출구에 대향하도록 고정지지된 상태가 유지되고, 최후까지 연속해서 얇은 종이를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얇은 종이의 폭은, 얇은 종이의 구부린 방향의 길이, 즉 얇은 종이의 구부린 선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얇은 종이에는 얇은 종이다발만이 아니라, 얇은 종이가 필름 등의 포장 두루마리 시트에서 결속되는 동시에 포장 두루마리 시트에 있는 파단절삭깊이선을 마구 찢기 위한 손잡이 한편이 그 두루마리 시트 위에 설치되어 있는 얇은 종이의 포장체 등(일본 특개 2009-165763호 공보 참조)도 포함된다.
뚜껑체는 서로 독립한 2개의 부재로부터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2개의 부재가 대향하여 인출구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얇은 종이를 수납할 때에는, 얇은 종이다발을 받침대부재 위에 놓고 손가락으로 얇은 종이의 상면을 누르면서 뚜껑체를 구성하는 다른 한쪽의 부재를 상자체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얇은 종이를 받침대부재 위에서 임시고정할 수 있다. 임시고정한 얇은 종이의 최상단의 단부를 인출구에서부터 돌출하도록 잡고, 뚜껑체를 구성하는 다른 한쪽의 부재를 상자체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얇은 종이가 수납될 수 있다.
뚜껑체에 설치된 복수의 뚜껑체 돌출부 및/또는 받침대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받침대 돌출부는, 인출구의 중심축에 대해 대칭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뚜껑체에 설치된 복수의 뚜껑체 돌출부 및/또는 받침대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받침대부재 돌출부가 상자체 내부에 수납된 얇은 종이를 균일하게 누르기 때문에, 얇은 종이가 안정되고 고정된다.
뚜껑체에 설치된 복수의 뚜껑체 돌출부는 복수의 리브이며, 받침대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받침대부재 돌출부의 틈에 복수의 리브가 각각 개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뚜껑체에 설치된 복수의 뚜껑체 돌출부가 리브이기 때문에, 뚜껑체 돌출부와 얇은 종이와의 당접면이 작고, 얇은 종이와의 마찰력도 작은 것으로부터, 얇은 종이가 인출구에서 순조롭게 인출된다.
뚜껑체에 설치된 복수의 뚜껑체 돌출부 및/또는 받침대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받침대부재 돌출부는, 돌출높이가 직선적으로 연속되지 않게 증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 케이스에 수납되는 얇은 종이의 폭에 대응한 뚜껑체 돌출부 및/또는 받침대부재 돌출부의 돌출높이가 단계적으로 선택된다. 이로 인해, 소정 사이즈의 얇은 종이가 적당하게 고정될 수 있다.
뚜껑체에 설치된 복수의 뚜껑체 돌출부 및/또는 받침대에 설치된 복수의 받침대부재 돌출부는, 돌출높이가 곡선적으로 연속적으로 증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뚜껑체 돌출부 및/또는 받침대부재 돌출부의 둘촐높이를 연속적으로 증대하도록 부여하는 것에서, 다양한 폭 길이를 갖는 얇은 종이에 대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사이즈의 얇은 종이가 적당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갖는 얇은 종이의 공급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1) 하나의 공급 케이스에 사이즈가 다른 얇은 종이가 그 폭 방향의 중심이 인출구에 대향하도록 고정지지되어 수납되고, 안정되게 연속하여 꺼낼 수 있다.
(2) 수납된 얇은 종이의 잔량이 적어져도, 그 폭 방향의 중심이 인출구에 대향하도록 고정지지되고, 다 사용할 때까지 연속해서 꺼낼 수 있다.
(3) 공급 케이스 본체 이외의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얇은 종이의 수납 등의 취급도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얇은 종이의 공급 케이스를 밖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형태에 관한 얇은 종이의 공급 케이스의 뚜껑체를 구성하는 뚜껑부재의 하나를 연 곳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공급 케이스의 A-A선 단면도이며, (a)는 받침대부재가 부세수단에 의해 들어 올려져 뚜껑체쪽으로 가장 접근하는 곳을 도시하는 A-A선의 단면도; 및 (b)는 받침대부재가 상자체의 저부쪽으로 억제된 곳을 도시하는 A-A선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A-A선의 부분확대면도이며, (a)는 뚜껑체 및 받침대부재에 설치된 돌출부의 돌출높이가 직선적으로 연속되지 않게 증대하는 것을 도시하는 확대단면도, 및 (b)는 뚜껑체 및 받침대부재에 설치된 돌출부의 돌출높이가 곡선적으로 연속적으로 증대하는 것을 도시하는 확대단면도;
도 5는 폭이 좁은 얇은 종이를 사용할 경우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폭이 넓은 얇은 종이를 사용할 경우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은 얇은 종이의 잔량이 적을 경우의 사용상황을 도시하는 설명도; 및
도 8은 얇은 종이의 적층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 케이스(1)는, 얇은 종이(P)를 수납하는 상자체(2)와 얇은 종이(P)를 인출하기 위한 슬릿상의 인출구(4)를 갖춘 뚜껑체(3)와, 상자체(2) 내에 설치되어, 얇은 종이(P)를 올려놓게 하기 위한 받침대부재(5)와, 받침대부재(5)를 상자체(2)의 저부에서 뚜껑체(3) 방향으로 부세하는 수단(6)을 갖추고 있으며, 뚜껑체(3)의 내면에는, 인출구(4)의 내측에 인출구(4)와 평행한 열로써 배치된 복수의 뚜껑체 돌출부(30)가 설치되고, 뚜껑체 돌출부(30)는 각각 인출구(4)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돌출높이가 증대하는 테이퍼상이며, 받침대부재(5)의 상면에는, 인출구(4)에 대향하는 위치의 양쪽에 인출구(4)와 평행한 열로써 배치된 복수의 받침대부재 돌출부(50)가 설치되고, 받침대부재 돌출부(50)는 각각 인출구(4)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돌출높이가 증대하는 테이퍼상이며, 뚜껑체(3)에 설치된 복수의 뚜껑체 돌출부(30)와, 받침대부재(5)에 설치된 복수의 받침대부재 돌출부(50)가 서로 다르게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하,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 케이스(1)는, 주로, 상자체(2)와 뚜껑체(3)로부터 구성된다. 이 뚜껑체(3)는 서로 독립한 2개의 뚜껑부재(3a 및 3b)로부터 구성되어 있으며, 이하에 설명하는 인출구(4)의 중심을 지나며, 상자체(2)를 이분하는 중심면에 대해 면대칭의 형상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들 뚜껑부재(3a 및 3b)가 소정의 간격을 열고 상자체(2)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얇은 종이(P)를 인출하기 위한 슬릿상의 인출구(4)가 형성된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뚜껑부재(3a 및 3b)의 각각은, 인출구(4)를 구성하지 않는 쪽에 마련된 설치부(31)에서 상자체(2)의 설치부(21)와 선세공스프링 등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부(31)를 지점으로써,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뚜껑부재(3a 및 3b)를 각각 개폐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뚜껑부재(3a 및 3b)의 내면에는, 테이퍼상의 뚜껑체 돌출부(30)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뚜껑체 돌출부(30)는, 뚜껑체(3)를 상자체(20)에 설치하여 닫은 상태에서, 받침대부재(5) 쪽의 방향으로 돌출한다. 이들 복수의 뚜껑체 돌출부(30)는, 인출구(4)의 내측에 인출구(4)와 각각 평행한 열로써 2열로 배열되어 있다. 각 열의 뚜껑체 돌출부(30)의 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4개 설치되어 있다. 이들 뚜껑체 돌출부(30)는 인출구(4)의 중심을 지나며, 상자체(2)를 이분하는 중심면에 대해 면대칭이 되도록 형성되고, 인출구(4)에서 멀어짐에 따라 돌출높이가 증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열의 4개의 뚜껑체 돌출부(30)는, 뚜껑체(3)를 상자체(2)에 설치하여 닫은 상태에서, 인출구(4)의 중심축에 대해 평행인 선상에 있는 각 뚜껑체 돌출부(30)의 한점에서 받침대부재(5)의 상면까지의 각 수직거리가, 4개의 뚜껑체 돌출부(30)의 각각에 대해 같은 높이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 때문에, 4개의 뚜껑체 돌출부(30)는, 받침대부재(5)의 위에 배치된 얇은 종이(P)를 균일하게 압압할 수 있다.
또, 도 4(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퍼상의 뚜껑체 돌출부(30)는, 돌출높이가 직선적으로 연속하지 않게 증대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테이퍼를 그 돌출선단에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테이퍼의 단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뚜껑체 돌출부(30)가 3단의 테이퍼를 갖고 있다. 얇은 종이의 폭(WP)에 대응한 테이퍼가 단계적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얇은 종이(P)가 안정되고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뚜껑부재(3a)의 뚜껑체 돌출부(30)의 1단째의 테이퍼에서 뚜껑부재(3b)의 뚜껑체 돌출부(30)의 1단째의 테이퍼까지의 거리(W31)에 거의 동일한 폭을 갖는 얇은 종이(P)가, 뚜껑부재(3a 및 3b)의 1단째의 테이퍼 사이로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테이퍼의 단수에 대응하는 복수종류의 폭의 얇은 종이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뚜껑부재(3a 및 3b)의 테이퍼 사이의 거리는, 이하에 설명하는 받침대부재(5)의 테이퍼 사이의 거리와 반드시 동일하게 있을 필요는 없지만,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퍼상의 뚜겅체 돌출부(30)는, 돌출높이가 곡선적으로 연속하게 증대하는 단일 테이퍼를 그 돌출선단에 갖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도 5(a)의 경우보다 다종의 폭의 얇은 종이(P)에 대응하여, 얇은 종이(P)를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받침대부재(5)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받침대부재(5)는 상자체(2)의 내부에 갖춰져 있다. 사용 시에는, 받침대부재(5)의 상면에는 얇은 종이(P)가 올려 놓여진다. 이 받침대부재(5)의 아래쪽에는 받침대부재(5)를 상자체(2)의 저부에서 뚜껑체(3)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6)이 설치되어 있다.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부세수단(6)은, 예를 들어,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체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일스프링(6)이 상자체(2)의 저면과 받침대부재(5)의 하면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받침대부재(5)의 양단에는 가이드편(5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자체(2)의 양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22)에 가이드편(52)이 감합하여 받침대부재(5)가 상자체(2)에 설치된다. 받침대부재(5)는, 가이드편(52)이 가이드레일(22)에 안내되는 것에 의해 상자체(2)의 저부와 뚜껑체(3)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고, 그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6)에 의해 가이드레일(22)의 가장자리의 스토퍼(23)에 저지될 때까지 항상 위쪽으로 부세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받침대부재(5)의 상면에는, 테이퍼상의 받침대부재 돌출부(50)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받침대부재 돌출부(50)는, 뚜껑체(3)를 상자체(2)에 설치하여 닫은 상태에서, 뚜껑체(3) 쪽의 방향으로 돌출한다. 이들 복수의 받침대부재 돌출부(50)는, 인출구(4)에 대향하는 위치의 양쪽으로 인출구(4)와 각각 평행한 열로써 배열된다. 각 열의 받침대부재 돌출부(50)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 설치되어 있다. 이들 받침대부재 돌출부(50)는 인출구(4)의 중심을 지나며, 상자체(2)를 이분하는 중심면에 대해 면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인출구(4)에서 멀어짐에 따라 뚜껑체(3)쪽으로 돌출높이가 증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열의 5개의 받침대부재 돌출부(50)는, 인출구(4)의 중심축에 대해 평행인 선상에 있는 각 받침대부재 돌출부(50)의 돌출높이가 5개의 받침대부재 돌출부(50) 각각에 대해 같은 높이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 때문에, 5개의 받침대부재 돌출부(50)는, 받침대부재(5)의 위에 올려 높인 얇은 종이(P)를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퍼상의 받침대부재 돌출부(50)는, 돌출높이가 직선적으로 연속하지 않게 증대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테이퍼를 그 돌출선단에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테이퍼의 단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받침대부재 돌출부(50)가 3단의 테이퍼를 갖는다. 얇은 종이의 폭(WP)에 대응한 테이퍼가 단계적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얇은 종이(P)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구체적으로는, 받침대부재(5)의 1단째의 테이퍼 사이의 거리(W51)에 거의 동일한 폭을 갖는 얇은 종이(P)가, 받침대부재(5)의 1단째의 테이퍼 사이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와 같이, 테이퍼의 단수에 대응하는 복수종류의 폭의 얇은 종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더욱이, 받침대부재(5)의 테이퍼 사이의 거리는, 뚜껑부재(3a 및 3b)의 테이퍼 사이의 거리와 반드시 동일하게 있을 필요는 없지만,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받침대부재(5)의 받침대부재 돌출부(50) 및 틈(51)이 아닌 부분의 받침대부재(5)의 상면은 수평면이지만, 인출구(4)의 중심을 지나며, 상자체(2)를 이분하는 중심면에 대해 각도가 만들어져 있어도 좋다.
한편,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퍼상의 받침대부재 돌출부(50)는, 돌출높이가 곡선적으로 연속하게 증대하는 단일 페이퍼를 그 돌출선단에 갖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도 4(a)의 경우보다 다종의 폭의 얇은 종이(P)에 대응하여, 얇은 종이(P)를 지지할 수 있다.
또, 뚜껑체(3)에 설치되어 있는 테이퍼상의 뚜껑체 돌출부(30) 및 받침대부재(5)에 설치되어 있는 테이퍼상의 받침대부재 돌출부(50)의 돌출높이는, 도 4(a)와 같이 직선적으로 연속하지 않게 증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과, 도 4(b)와 같이 곡선적으로 연속하게 증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과의 조합에 의한 것이어도 좋다.
다음으로, 뚜껑체(3)에 설치된 뚜껑체 돌출부(30)와 받침대부재(5)에 설치된 받침대부재 돌출부(50)와의 배치관계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뚜껑체(3)에 설치된 뚜껑체 돌출부(30)와, 받침대(5)에 설치된 받침대부재 돌출부(50)와는 서로 다르게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뚜겅체(3)를 구성하는 뚜껑부재(3a 및 3b)의 내면에 설치된 뚜껑체부재 돌출부(30)가 4개의 리브이며, 받침대부재(5)의 상면에 설치된 크고 작은 5개의 받침대부재 돌출부(50)의 사이에 있는 4개의 틈(51)에 이들 4개의 리브가 각각 개재된다. 틈(51)은 뚜껑체(3)에 설치된 뚜껑체 돌출부(30)의 위치 및 돌출높이에 대응하며, 인출구(4)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고, 인출구(4)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멀어짐에 따라 틈(51)의 깊이가 증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공급 케이스(1)로의 얇은 종이(P)의 수납에 임하여, 얇은 종이(P)를 받침대부재(5) 위에 올려놓으면, 얇은 종이(P)는 받침대부재(5)의 상면에 설치된 테이퍼상의 받침대부재 돌출부(50)에 안내되고, 그 폭 방향의 중심이 인출구(4)에 대향하도록 중앙에 배치된다. 그리고, 뚜껑체(3)를 닫는 것에 의해, 얇은 종이(P)는 뚜껑체(3)의 내면에 설치된 테이퍼상의 뚜껑체 돌출부(30)로 안내되며, 그 폭 방향의 중심이 인출구(4)에 대향하도록 중앙으로 배치되어 고정된다. 또, 이 테이퍼상의 뚜껑체 돌출부(30)는 얇은 종이의 폭(WP)에 대응한 테이퍼의 단 부분 또는 돌출높이 부분에서 얇은 종이의 폭 방향의 가장자리부(P2)를 뚜껑체(3)에서 상자체(2)의 저부 방향으로 압압하여, 얇은 종이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다른 폭을 갖는 얇은 종이(P)라도 인출구(4)에 대해 중앙으로 배치되어 고정된다.
도 5를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의 폭이 좁은 얇은 종이를 사용할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폭이 좁은 얇은 종이(P´)를 받침대부재(5)의 상면에 올려놓으면, 이 얇은 종이(P´)는 받침대부재(5)의 상면에 설치된 테이퍼상의 받침대부재 돌출부(50)에 안내되고, 그 폭 방향의 중심이 인출구(4)에 대향하도록 중앙에 배치된다. 여기서, 얇은 종이의 상면을 손가락으로 가볍게 눌러 뚜껑체(3)를 닫으면, 얇은 종이(P´)는 더욱 뚜껑체(3)의 상면에 설치된 뚜껑체 돌출부(30)로 안내되고, 그 폭 방향의 중심이 인출구(4)에 대향하여 중앙에 배치된다. 그 때, 테이퍼상의 뚜껑체 돌출부(30)가 얇은 종이의 폭(WP´)에 대응한 테이퍼의 단 부분 또는 돌출높이 부분에서 얇은 종이의 폭 방향의 가장자리부(P2´)를 압압하기 때문에, 얇은 종이(P´)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폭이 좁은 얇은 종이(P´)의 폭 방향의 중심이 배치되어 얇은 종이의 인출가장자리부(P1´)가 인출구(4)에서 조금밖에 돌출하지 않는다든가, 하는 등의 상태가 되는 일 없이, 안정되게 얇은 종이의 인출가장자리부(P´)가 인출구(4)에서 돌출한다.
다음으로 도 6을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의 폭이 넓은 얇은 종이를 사용할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폭이 넓은 얇은 종이(P”)를 받침대부재(5)의 상면에 올려놓으면, 통상의 공급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얇은 종이(P”)는 받침대부재(5)의 상면 전체에 배치된다. 얇은 종이(P”)의 상면을 손가락으로 가볍게 눌러 뚜껑체(3)를 닫으면, 얇은 종이의 폭 방향의 가장자리부(P2”)와 테이퍼상의 뚜껑체 돌출부(30)가 접촉하여 뚜껑체(3)에서 상자체(2)의 저부 방향으로 압압하기 때문에, 얇은 종이(P”)가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의 얇은 종이의 잔량이 적어진 경우의 사용에 대해 설명한다. 상자체(2)에 수납된 얇은 종이(P)의 잔량이 적어지면, 얇은 종이의 폭 방향의 가장자리부(P2)의 외측에서, 뚜껑체(3)에 설치된 뚜껑체 돌출부(30)가 받침대부재(5)에 설치된 받침대부재 돌출부(50)의 사이의 틈(51)으로 각각 개재되고, 받침대부재의 얇은 종이와 접하는 부분의 면의 폭이, 수납되어 있는 얇은 종이의 폭(WP)과 같은 정도의 길이로 조절된다. 얇은 종이의 폭 방향의 가장자리부(P2)의 외측에서 뚜껑체 돌출부(30) 및 받침대부재 돌출부(50)가 서로 교차하여 조합되는 것에 의해, 받침대부재(5)의 상면에 얇은 종이(P)가 이동하는 공간을 잃고, 얇은 종이(P)는 받침대부재(5)의 상면에 설치된 테이퍼상의 받침대부재 돌출부(50)로 안내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그런 까닭으로 얇은 종이의 잔량이 적어져도, 얇은 종이의 폭(WP)에 관계없이, 그 얇은 종이(P)의 폭 방향의 중심이 인출구(4)에 대향하도록 중앙에 배치된 상태가 유지되어, 마지막까지 연속해서 얇은 종이(P)가 인출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각종, 설계변경한 상태를 기술적 범위에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얇은 종이의 공급 케이스는, 미용실이나 이발소를 위시하여, 학교, 병원, 복지시설 또는 일반가정 등에 이용되고, 파마를 할 때에 모발의 머리끝을 말아 누르기 위해 사용하는 골드 페이퍼, 티슈 페이퍼 및 페이퍼 타올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 공급 케이스 2 : 상자체
21 : 설치부 22 : 가이드레일
23 : 스토퍼 3 : 뚜껑체
3a, 3b : 뚜껑부재 30 : 뚜껑체 돌출부
W31, W32, W33 : 뚜껑부재(3a 및 3b)의 뚜껑체 돌출부의 테이퍼 사이의 거리
31 : 설치부 4 : 인출구
5 : 받침대부재 50 받침대부재 돌출부
W51, W52, W53 : 받침대부재 돌출부의 테이퍼 사이의 거리
51 : 받침대부재의 틈 52 : 가이드편
6 : 부세수단(코일스프링)
P, P´, P" : 얇은 종이
P1, P1´ : 얇은 종이의 인출가장자리부
P2, P2´, P2" : 얇은 종이의 폭 방향의 가장자리부
P3 : 얇은 종이의 구부린 선
WP, WP´ : 얇은 종이의 폭

Claims (6)

  1. 얇은 종이를 수납하는 상자체와, 그 얇은 종이를 인출하기 위한 슬릿상의 인출구를 갖춘 뚜껑체와, 상기 상자체 내에 설치되어, 그 얇은 종이를 올려놓게 하기 위한 받침대부재와, 상기 받침대부재를 상기 상자체의 저부에서 상기 뚜껑체 방향으로 부세하는 수단을 갖춘 공급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의 내면에는, 상기 인출구의 내측에 그 인출구와 평행한 열로써 배치된 복수의 뚜껑체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뚜껑체 돌출부는 각각 상기 인출구에서 멀어짐에 따라 돌출높이가 증대하는 테이퍼상이며,
    상기 받침대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인출구에 대향하는 위치의 양쪽에 그 인출구와 평행한 열로써 배치된 복수의 받침대부재 돌출부가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부재 돌출부는 각각 상기 인출구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멀어짐에 따라 돌출높이가 증대하는 테이퍼상이며,
    상기 뚜껑체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뚜껑체 돌출부와, 상기 받침대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받침대부재 돌출부가 서로 다르게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얇은 종이의 공급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는 서로 독립한 2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2개의 부재가 대향하여 상기 인출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얇은 종이의 공급 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뚜껑체 돌출부 및/또는 상기 받침대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받침대부재 돌출부는, 상기 인출구의 중심축에 대해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얇은 종이의 공급 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뚜껑체 돌출부는 복수의 리브이며, 상기 받침대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받침대부재 돌출부 사이의 틈에 그 복수의 리브가 각각 개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얇은 종이의 공급 케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뚜껑체 돌출부 및/또는 상기 받침대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받침대부재 돌출부는, 돌출높이가 직선적으로 연속하지 않게 증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얇은 종이의 공급 케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뚜껑체 돌출부 및/또는 상기 받침대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받침대부재 돌출부는, 돌출높이가 곡선적으로 연속하게 증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얇은 종이의 공급 케이스.
KR1020127025240A 2010-03-17 2011-03-07 얇은 종이의 공급 케이스 KR101343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61555 2010-03-17
JP2010061555A JP5510811B2 (ja) 2010-03-17 2010-03-17 薄葉紙の供給ケース
PCT/JP2011/055241 WO2011114927A1 (ja) 2010-03-17 2011-03-07 薄葉紙の供給ケー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376A true KR20120136376A (ko) 2012-12-18
KR101343905B1 KR101343905B1 (ko) 2013-12-20

Family

ID=44649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240A KR101343905B1 (ko) 2010-03-17 2011-03-07 얇은 종이의 공급 케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81943B2 (ko)
EP (1) EP2548818B1 (ko)
JP (1) JP5510811B2 (ko)
KR (1) KR101343905B1 (ko)
CN (1) CN102803096A (ko)
TW (1) TWI560121B (ko)
WO (1) WO20111149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3496B2 (ja) * 2012-03-30 2016-12-14 大王製紙株式会社 ウェットティシュー収納容器
JP6066576B2 (ja) * 2012-03-30 2017-01-25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及び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の製造方法
GB2525848B (en) * 2014-04-09 2020-12-09 Huawei Tech Co Ltd Base station deployment
CN110167408A (zh) 2017-01-09 2019-08-23 易希提卫生与保健公司 用于片材产品的分配器和操作方法
WO2018127303A1 (en) * 2017-01-09 2018-07-12 Sca Hygiene Products Ab Dispenser for dispensing sheet products
US11051664B2 (en) 2017-01-09 2021-07-06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Dispenser for sheet products and operating method
RU2732476C1 (ru) * 2017-04-18 2020-09-17 Эссити Хайджин Энд Хелт Актиеболаг Диспенсер для выдачи гигиенических бумажных изделий
US11116365B2 (en) 2019-12-18 2021-09-14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Horizontally oriented paper product dispenser and related methods
US10980377B1 (en) * 2019-12-18 2021-04-20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pparatus and methods for paper dispensing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859A (en) * 1911-11-28 1913-09-09 Lee Kingsley Holder for adhesive binders.
US1503241A (en) * 1923-05-25 1924-07-29 Indpendent Paper Mills Inc Dispenser for paper towels and like articles
US1632446A (en) * 1925-10-17 1927-06-14 Northern Corrugating Co Dispensing cabinet
US2027671A (en) * 1934-10-01 1936-01-14 Marathon Paper Mills Co Paper dispenser
US2082765A (en) * 1935-05-29 1937-06-01 Alwin Mfg Co Paper dispenser
US2253742A (en) * 1940-05-08 1941-08-26 Crown Zellerbach Corp Dispenser for interfolded paper
US2872067A (en) * 1956-05-14 1959-02-03 William J C Gessner Automatic ejection ash tray
US3343716A (en) 1966-03-22 1967-09-26 Peebles David Meade Dispensers for facial tissues and the like
US4166551A (en) * 1977-03-24 1979-09-04 Procter & Gamble Company Means for shaping an interleaved stack of sheets to improve the pop-up type dispensing thereof
US4706844A (en) * 1985-07-24 1987-11-17 San Jamar, Inc. Napkin dispenser
US4694973A (en) * 1985-12-02 1987-09-22 Warmwipes, Inc. Warming device for disposable towel dispenser
JPS6358901A (ja) 1986-08-29 1988-03-14 ぺんてる株式会社 抵抗体材料
JPH0646401Y2 (ja) * 1986-10-08 1994-11-30 美菜子 小林 薄葉紙の供給ケ−ス
US5080255A (en) * 1987-03-23 1992-01-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spenser for a stack of note paper
US4986440A (en) * 1987-03-23 1991-01-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spenser for a stack of note paper
US4838454A (en) * 1987-11-02 1989-06-13 Traex Corporation Napkin dispenser
US5143250A (en) * 1989-11-14 1992-09-01 The Bates Manufacturing Company Desk caddy for refillably dispensing self-sticking fanfolded notepaper featuring vertically moveable platform on tracking means
US5080254A (en) * 1990-02-09 1992-01-14 Rubbermaid Incorporated Adhesive note pad paper dispenser
JPH0646401A (ja) 1992-07-24 1994-02-18 Casio Comput Co Ltd 画像圧縮装置及び動画像圧縮装置
CA2102163A1 (en) * 1993-11-01 1995-05-02 Charles A. Annand Top opening facial tissue container
US6378726B1 (en) * 1996-11-22 2002-04-30 Kimberly Clark Worldwide, Inc. Interfolded napkin dispensing system
US6514585B1 (en) * 1998-11-13 2003-02-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ape strip pads and dispenser and method of dispensing individual tape strips
US6824007B2 (en) * 2001-07-25 2004-11-30 Fort James Corporation Curl limiting napkin dispenser
FR2830001B1 (fr) * 2001-09-25 2003-11-07 Georgia Pacific France Distribulaire modulaire
US6899251B2 (en) * 2001-09-28 2005-05-31 Fort James Corporation Gravity-feed dispenser and method of dispensing inter-folded napkins
US7093737B2 (en) 2003-04-16 2006-08-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tainer and cartridge for dispensing paper products
US7124911B2 (en) * 2003-04-16 2006-10-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tainer and cartridge for dispensing paper products
US7048143B2 (en) * 2003-04-16 2006-05-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tainer and cartridge for dispensing paper products
JP2006027694A (ja) 2004-07-20 2006-02-02 Crecia Corp 衛生薄葉紙のディスペンサー
US7568593B2 (en) * 2004-11-15 2009-08-04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High capacity napkin dispenser
PL2338398T3 (pl) * 2005-06-03 2016-11-30 Stołowy dozownik złożonych arkuszy
US20060273101A1 (en) * 2005-06-07 2006-12-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tainer and cartridge for dispensing paper products
JP5143575B2 (ja) * 2008-01-18 2013-02-13 功 小林 紙片束の包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14927A1 (ja) 2011-09-22
JP2011195153A (ja) 2011-10-06
KR101343905B1 (ko) 2013-12-20
JP5510811B2 (ja) 2014-06-04
TWI560121B (en) 2016-12-01
US20120318818A1 (en) 2012-12-20
EP2548818A4 (en) 2016-11-09
TW201200430A (en) 2012-01-01
EP2548818B1 (en) 2018-04-18
EP2548818A1 (en) 2013-01-23
CN102803096A (zh) 2012-11-28
US8881943B2 (en) 2014-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905B1 (ko) 얇은 종이의 공급 케이스
US7028860B2 (en) Inter-folded sheet dispenser with replaceable cartridge
US9901221B2 (en) Dispenser for interfolded napkins
US8616663B2 (en) Adjustable cabinet
US10398265B2 (en) Dispenser for a stack of web material
US6758369B2 (en) Container for a stack of interfolded tissue sheet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container
JP6483493B2 (ja) 衛生用紙ホルダー
US11197591B2 (en) Sheet product dispenser and method and kit to convert a sheet product dispenser
KR102112464B1 (ko) 티슈 케이스의 티슈 높이 조절 구조
AU2013407361B2 (en) Dispenser for a stack of napkins
US20180002129A1 (en) Packing tape dispenser
KR20230020137A (ko) 티슈 케이스
US11253113B2 (en) Dispenser for dispensing sheet products
JPS6193069A (ja) 衛生用薄紙類収納器
KR102638646B1 (ko) 리필형 냅킨 케이스
JP3141190U (ja) 底上げ式ティッシュボックス
JP2017010007A (ja) 画像形成装置
KR200485723Y1 (ko) 안정적으로 포스트잇의 인출이 가능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장착되는 팝업수단을 구비한 디스펜서
JP5411991B2 (ja) 糸収容体
KR20220001705U (ko) 인출구 스토퍼 기능이 있는 미용티슈 상자
JP2022167606A (ja) ティシューケース
JP2544002Y2 (ja) ふきとり材の収納容器
JPH037345Y2 (ko)
KR20180003562U (ko) 받침을 가진 쫄대 파일
KR19980057213U (ko) 서류 보관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