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5643A - 함침 내용물의 블리스터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함침 내용물의 블리스터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5643A
KR20120135643A KR1020110054469A KR20110054469A KR20120135643A KR 20120135643 A KR20120135643 A KR 20120135643A KR 1020110054469 A KR1020110054469 A KR 1020110054469A KR 20110054469 A KR20110054469 A KR 20110054469A KR 20120135643 A KR20120135643 A KR 20120135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ealing cap
blister packaging
container body
packag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6033B1 (ko
Inventor
안종원
김형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리스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리스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리스팩
Priority to KR1020110054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033B1/ko
Publication of KR20120135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5/00Closures, end caps, stoppers
    • B32B2435/02Closures, end caps, stopper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62Boxes, cartons, c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on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25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2575/36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r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 B65D2575/361Details
    • B65D2575/362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gaining access to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on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25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2575/36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r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 B65D2575/361Details
    • B65D2575/368Details with reclo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리스터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파우치 형태로 한 세트씩 포장되어 유통되는 화장품이나 의료용품, 의약품 등에 적용되는 함침 형태의 패치나 패드 형태의 일회용 포장물을 수용함에 있어, 용기체의 최 외측을 커버하는 리드커버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탈 가능하게 사용되는 별도의 실링 캡을 두어 용기의 미 개봉 시에는 내용물이 이중으로 보호될 수 있도록 하여 취급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고, 용기의 개봉 후에는 용기의 입구를 개폐하는 마개 기능을 하도록 하여 내용물이 실링, 보호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의 침투를 최소화함은 물론 실링 캡의 상면에 내용물 인출 시 사용되는 핀셋을 홀딩시키기 위한 핀셋 홀더를 구비시켜 내용물의 인출 시 직접적인 피부 접촉이 배제되도록 하여 내용물의 오염억제를 통한 위생도의 개선을 추구하도록 하며, 용기체와 실링 캡의 내면에는 연질 필름 층을 두어 상호 접촉면에서의 실링성이 보강되도록 함으로써 액상물이나 하이드로 젤 타입의 점착물에서의 수분이나 누액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함침 내용물의 블리스터 포장 용기{The blister package}
본 발명은 블리스터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파우치 형태로 한 세트씩 포장되어 유통되는 화장품이나 의료용품, 의약품 등에 적용되는 함침 형태의 패치나 패드 형태의 일회용 포장물을 수용함에 있어, 용기체의 최 외측을 커버하는 리드커버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탈 가능하게 사용되는 별도의 실링 캡을 두어 용기의 미 개봉 시에는 내용물이 이중으로 보호될 수 있도록 하여 취급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고, 용기의 개봉 후에는 용기의 입구를 개폐하는 마개 기능을 하도록 하여 내용물이 실링, 보호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의 침투를 최소화함은 물론 실링 캡의 상면에 패드 인출 시 사용되는 핀셋을 홀딩시키기 위한 핀셋 홀더를 구비시켜 패드의 인출 시 직접적인 피부 접촉이 배제되도록 하여 내용물의 오염억제를 통한 위생도의 개선을 추구하도록 하며, 용기체와 실링 캡의 내면에는 연질 필름 층을 두어 상호 접촉면에서의 실링성이 보강되도록 함으로써 액상물이나 하이드로 젤 타입의 점착물에서의 수분이나 누액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액상물이나 하이드로 젤 타입의 점착물(이하, 함침액이라 총칭함)내에 함침되는 형태로 화장품이나 의료용품, 의약품 등에 적용되는 보습용 아이 마스크나 셀룰로우즈 마스크 등의 각종 패치나 패드 형태의 일회용 포장물(이하, 패드라 총칭함)의 경우 대부분 봉지 형태의 파우치에 밀봉 포장되어 유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파우치의 포장수단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개선의 여지가 있어 왔던 것이다.
첫째, 상기의 파우치형 포장수단을 통해 패드를 함침형태로 수용하는 경우에는 패드를 완전 소진한 경우에도 함침액의 상당량이 파우치의 내면에 묻어있는 상태로 폐기되는 상태이어서 함침액의 손실로 인한 비경제성과 환경의 오염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둘째, 일단 개봉된 파우치는 구조상 재 밀봉이 어렵고 재 밀봉을 위한 별도의 구조가 구비되지 않은 관계로 패드의 포장 단위가 일회용으로 제한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서 덕용 포장이 불가능하여 사용 용도의 확장이 어려우며,
셋째, 파우치의 경우 외력에 대한 형태 유지를 위한 저항강도가 매우 취약하여 포장 형태의 변형으로 운반 취급 중 수용된 패드의 변형을 초래할 우려가 있고 실링 접착부의 훼손이 초래될 수 있어 함침액의 누출 우려로 취급에 주의를 요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넷째, 파우치 내의 패드를 직접 손으로 잡아 인출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인체가 직접 패드와 접촉되는 관계로 이물질의 오염이 쉬워 비위생적인 문제가 노출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드의 수용공간을 패드의 형태와 유사하게 구성하여 패드의 체적과 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의 용적 차이가 적도록 구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량의 함침 액으로도 동등한 함침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버려지는 함침액도 적어지게 됨으로써 경제성을 추구할 수 있는 함침 내용물의 블리스터 포장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재 밀봉을 위한 마개형 실링구조를 구비하여 다회용으로의 덕용 포장의 사용을 가능토록 함으로써 경제성과 취급의 편리성을 기할 수 있는 함침 내용물의 블리스터 포장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패드의 인출 시 직접적인 피부 접촉을 배제시킬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패드의 오염억제를 통한 위생도의 개선을 추구할 수 있는 함침 내용물의 블리스터 포장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기체 내부의 패드 수용공간부의 규격과 형태를 수용되는 패드와 유사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기체의 최 외측을 커버하는 리드커버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탈 가능하게 사용되는 별도의 실링 캡을 구비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링 캡의 상면에 패드 인출 시 사용되는 핀셋을 홀딩시키기 위한 핀셋 홀더를 구비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기체와 실링 캡의 내면에 연질 필름 층을 구성하여 상호 접촉면에서의 실링성이 보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패드의 수용공간을 패드의 형태와 유사하게 구성하여 패드의 체적과 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의 용적 차이가 적도록 구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량의 함침 액으로도 동등한 함침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버려지는 함침액도 적어지게 됨으로써 경제성을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또한 재 밀봉을 위한 마개형의 실링 캡을 통해 용기의 미 개봉 시에는 내용물이 이중으로 보호될 수 있으므로 취급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용기의 개봉 후에는 용기의 입구를 개폐하는 마개 기능을 하여 내용물이 실링, 보호될 수 있어 이물질의 침투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다회용으로의 덕용 포장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경제성과 취급의 편리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또한 핀셋을 홀딩시키기 위한 핀셋 홀더를 통해 패드의 인출 시 핀셋을 이용하게 됨으로써 직접적인 피부 접촉이 배제될 수 있어 내용물의 오염억제를 통한 위생도의 개선을 추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개봉 전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리드 커버의 접착 부위를 보이는 평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요부인 캡 파지 안내홈의 사용 상태를 보이는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용기체와 실링 캡의 내면에 구성되는 연질 필름 층을 보이는 요부 단면 예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상 연부에는 리드 커버(4)가 접착 고정되는 실링용 플랜지부(2)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패드 수용공간부(3)를 구비하는 공지구조의 용기체(1)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부(11)를 구비하는 상태로 상기 패드 수용공간부(3)의 입구에 삽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연부에 지지용 플랜지(12)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용 플랜지(12)의 연부에는 상기 리드커버(4)와 접착되도록 다수개의 접착부(13)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링 캡(10)과;
상기 실링 캡(10)의 수용부(11) 바닥에 돌출 구비되며 패드(P) 인출 시 사용되는 핀셋(PS)을 홀딩시킬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는 복수개의 원통체로 구성되는 핀셋 홀더(20)와;
상기 용기체(1)의 실링용 플랜지부(2)의 상면과 패드 수용공간부(3)의 내면 및 실링 캡(10)의 지지용 플랜지(12)과 접착부(13)의 상면 및 수용부(11)의 내면에 각각 피착되는 연질 필름 층(30)과;
상기 용기체(1)의 실링용 플랜지부(2)상에 요입 형성되며 상기 지지용 플랜지(12)의 일측 저부에 공간부를 형성시켜 실링 캡(10)의 분리 시 파지를 안내하기 위한 캡 파지 안내홈(40)을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용기체(1)와 실링 캡(10)은 경질시트로 구성되며 소재는 특정으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나,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P(폴리프로필렌), PS(폴리스치렌), PVC(폴리염화비닐), PC(폴리카보네이트), 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치렌공중합체)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연질 필름 층(30) 또한 특정으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나, PE(폴리에틸렌), HDPE(고밀도폴리에틸렌), CPP(무연신폴리프로필렌)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용기체(1)의 패드 수용공간부(3)내에는 적정량의 함침액과 패드(P)를 수용시키게 되며 패드(P)가 수용되면 실링 캡(10)을 도 2내지 도 5에서와 같이 패드 수용공간부(3)의 입구 연부에 삽착시켜 지지용 플랜지(12)와 접착부(13)가 실링용 플랜지부(2)와 일치하는 높이로 결합시키게 되며 또한 핀셋 홀더(20)에는 핀셋(PS)을 끼워 안정되게 지지시킨다.
이후에는 리드 커버(4)를 실링용 플랜지부(2)에 덮은 후 설정된 접착 범위의 라인을 따라 접착 공정을 수행하게 되며, 이때 실링 캡(10)의 접착부(13)가 도 3에서와 같이 접착범위 내에 위치하게 되어 실링용 플랜지부(2)와 함께 리드커버(4)와 접착되게 되는 것이어서 실링 캡(10)은 리드커버(4)를 통해 용기체(1)와 일체화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유통과정에서 외부로부터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안정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실링 캡(10)의 유동이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여 패드 수용공간부(3)의 내부에 들어있는 함침액이 실링 캡(10)의 외부로 누액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한편 실링 캡(10)의 접착부(13)의 접착면은 리드커버(4)를 용기체(1)로부터 제거하는 과정에서 용기체(1)의 실링용 플랜지부(2)의 접착면과 함께 분리되어 떨어지게 되므로 이후 독립적인 덮개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제품은 전 공정을 자동화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미 개봉된 본 발명의 함침 내용물의 블리스터 포장 용기는 도 2에서와 같이 실링 캡(10)의 연부가 용기체(1)의 패드 수용공간부(3)의 입구 연부에 긴밀하게 밀봉되는 상태로 끼워지며 패드 수용공간부(3)의 내부는 실링 캡(10)과 리드커버(4)를 통해 이중으로 실링되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미 개봉 상태에서 패드(P)를 사용하기 위하여 리드커버(4)를 제거하게 되면 실링 캡(10)의 접착부(13)가 구속 해제되어 실링 캡(10)은 선택적으로 용기체(1)에서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도 4에서와 같이 손가락을 캡 파지 안내홈(40)으로 집어넣어 돌출된 지지용 플랜지(12)의 단부를 위로 젖혀 올릴 수 있도록 하여 실링 캡(10)을 초기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실링 캡(10)이 분리되면 실링 캡(10)의 핀셋 홀더(20)에서 핀셋(PS)을 분리시킨 후 이를 잡고 패드 수용공간부(3)의 패드(P)를 집어 올려 사용하게 되며, 패드의 사용이 완료되면 실링 캡(10)을 용기체(1)의 패드 수용공간부(3)의 입구 연부에 긴밀하게 밀착시켜 초기와 같이 밀봉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핀셋(PS)은 핀셋 홀더(20)에 다시 끼워 홀딩시켜주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경질시트로 구성되는 용기체(1)와 실링 캡(10)에는 기능성의 연질 필름 층(30)이 피착되는 것이어서 제품을 보호하고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경질시트의 기본 기능에 추가하여 연질 필름층(30)을 통하여 발생되는 효과 즉 액상의 내용물 및 하이드로 젤 타입의 점착기재에서의 수분이나 누액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의 역할 및 특히 수분이 많이 함유되어있는 내용물의 경우에는 우수한 수분차단성을 부여하기 위한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용기체(1)와 실링 캡(10)에 피착된 연질 필름 층(30)은 동일한 특성의 접착성의 필름을 사용하게 되며, 이로 인해 리드커버(4)의 접착 시 용기체(1)의 실링용 플랜지부(2)와 더불어 실링 캡(10)의 접착부(13)가 함께 접착되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용기체(1)와 일체화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용기체(1)와 실링 캡(1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적당하기로는 0.25 ~ 1.2mm이고, 전체 시트에서 연질 필름층(30)의 두께는 0.03mm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0,04~ 0.2mm가 좋다.
연질 필름층(30)의 두께가 0.04mm이하이면, 원하는 밀폐성을 얻기 어렵고 개폐횟수가 많아지는 경우에는 역립 시 함침액이 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0.2mm를 넘게 되면 성형성이 나빠지고 용기체(1)와 실링 캡(10)의의 투명도를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연질 필름층(30)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그리고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및 고주파, 초음파나 열접착이 가능한 연질의 접착성 수지 중 택일하여 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용기체(1)와 실링 캡(10)을 구성하는 경질시트의 층 구성은 도 1에서와 같이 위에서 언급한 소재 즉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P(폴리프로필렌), PS(폴리스치렌), PVC(폴리염화비닐), PC(폴리카보네이트), 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치렌공중합체)등에서 2종 이상을 선택하여 2층 이상으로 구성하는 베이스 층(50)과, 이 이 베이스 층(50)에 추가적으로 산소차단성, 자외선 차단성 등의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별도의 기능성 층(60)을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기능성 층(60)의 소재는 EVOH(에틸렌 비닐 알코올공중합체), 나일론,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기능성 층의 두께는 0.010mm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0.015~0.08mm가 좋다.
상기 기능성 층(60)의 두께가 0.015mm이하에서는 요구되는 산소 차단성이나 자외선 차단성의 특성을 얻기가 어려우며, 0.08mm이상으로 지나치게 두꺼운 경우에는 투명도가 저하되거나, 성형성이 급격히 나빠져 재 캡핑 시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 아래의 표는 용기체 및 실링 캡을 구성하는 시트에 있어, 소재 및 적층 수의 차이에 따른 여러 가지 기능별 차이를 보이는 대비표이다.
층수

용기체 및 실링 캡을 구성하는 시트의 구조 산소투과도(cc/m2.day) 년간 감량
(%)
투명도
(%)
성형성 재캡핑성
1
PET(0.5mm) 170.0 7.5 90
2
PET(0.5mm)/LLDPE(0.1mm) 130.0 4.8 87
2
PET(0.5mm)/LLDPE(0.04mm) 145.0 6.1 89
2
PET(0.5mm)/HDPE(0.1mm) 120.0 1.8 85
2
PET(0.5mm)/CPP(0.1mm) 95.0 1.2 89
3 PET(0.5mm)/EVOH(0.03mm)/HDPE(0.1mm) 18.0 1.5 82
3 PET(0.5mm)/Ny(0.03mm)/HDPE(0.1mm) 35.0 1.6 85
3 PET(0.5mm)/EVOH(0.1mm)/HDPE(0.1mm) 15.3 1.1 78
3 PET(0.5mm)/Ny(0.1mm)/HDPE(0.1mm) 30.0 1.3 83
기호 설명 : ◎ 매우 우수, ○ 우수, Δ 보통, x 나쁨
약어 설명 : 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LLDPE: 선형 폴리에틸렌 수지
EVOH: 에틸렌 비닐알콜 공중합체
Ny: 무연신 나일론
결 론
1) 산소 투과도는 EVOH필름이 라미네이트되어 있는 3층의 시트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EVOH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서 보다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2) 년간 감량은 CPP0.1mm의 경우에 우수한 내용물 감량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는 HDPE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3) 투명도는 PET단독이 가장 우수한 투명도를 나타내었으며, 연질 필름층의 두께가 얇을수록 그리고 연질 필름 중에서는 CPP가 양호한 투명도를 나타내었으며, EVOH는 두꺼운 경우 투명도가 많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성형성의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차단성 층이 두꺼워 지는 경우 성형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5) 재캡핑성은 연질 필름층이 라미네이트 되어있는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PET단일 재질과 성형성이 나쁜 두꺼운 차단성 필름이 라미네이트 되어 있는 제품의 경우 좋지 않은 결과를 얻었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화장품 미용액은 아래 표와 같은 성분들이 함유된 처방을 시험액으로 사용하였다.
1) 년간 감량은 실온(25℃)에서 1개월간 측정된 감량 데이터를 1년으로 환산하였으며, 성형된 용기에 훼이스 마스크(폴리에스테르 75g 부직포)4매를 수납하고, 미용액을 60g 함침시킨 후, 덮개 필름으로 밀봉한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2) 투명도는 제조된 성형시트의 광 투과도(가시광선투과도)를 측정한 데이터이다.
3) 산소 투과도는 제조된 성형 시트에 대한 데이터이다.
4) 성형성은 금형을 사용해 성형한 후, 제품의 외관 및 치수를 측정해 판단하였다.
5) 재캡핑성은 10회 이상 엶과 캡핑을 반복한 후, 캡핑되어 있는 상태 및 역립시켰을 때, 누액의 여부를 확인해 판단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No INGREDIENT NAME %
1 탈이온수 TO 10055
2 글리세린 10.00
3 부틸렌글리콜 5.00
4 콜라겐 수용액 5.00
5 트레할로제 7.00
6 에탄올 2.00
7 아스코르빈산 1.00
8 복분자 추출물 1.00
9 소듐히아로로네이트 1.00
10 PEG-60 수소화 캐스터 오일 0.20
11 수소화 액스텐시 수용액 0.10
12 베타클루칸 수용액 0.01
13 블루베리 추출물 0.01
14 딸기 추출물 0.01
15 카파 트리펩티드-1 0.01
16 펜옥시 에탄올 0.01
17 메틸 파라벤 0.01
18 프로필 파라벤 0.01
19 0.01
1:용기체
2:실링용 플랜지부
3:패드 수용공간부
4:리드커버
10:실링 캡
11:수용부
12:지지용 플랜지
13:접착부
20:핀셋 홀더
30:연질 필름 층
40:캡 파지 안내홈
50:베이스 층
60:기능 성층

Claims (7)

  1. 상 연부에는 리드 커버(4)가 접착 고정되는 실링용 플랜지부(2)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패드 수용공간부(3)를 구비하는 공지구조의 용기체(1)에 있어서,
    상기 리드커버(4)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패드 수용공간부(3)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입구 연부에 삽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실링 캡(10)과;
    상기 실링 캡(10)에 돌출 구비되며 패드(P) 인출 시 사용되는 핀셋(PS)을 홀딩시킬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는 복수개의 원통체로 구성되는 핀셋 홀더(20)와;
    상기 용기체(1)의 실링용 플랜지부(2)의 상면과 패드 수용공간부(3)의 내면 및 실링 캡(10)의 지지용 플랜지(12)과 접착부(13)의 상면 및 수용부(11)의 내면에 각각 피착되는 연질 필름 층(30)과;
    상기 용기체(1)의 실링용 플랜지부(2)상에 요입 형성되며 상기 지지용 플랜지(12)의 일측 저부에 공간부를 형성시켜 실링 캡(10)의 분리 시 파지를 안내하기 위한 캡 파지 안내홈(40)을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 내용물의 블리스터 포장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캡(10)은,
    내부에 일정 깊이로 요입 구성되는 수용부(11)와,
    상기 패드 수용공간부(3)의 입구에 삽탈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연부에 구비되는 지지용 플랜지(12)와,
    상기 리드커버(4)와 접착되도록 지지용 플랜지(12)의 연부에 돌출 구성되는 다수개의 접착부(13)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 내용물의 블리스터 포장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체(1)내의 패드수용 공간부(3)는 수용되는 패드(P)의 연부 형태와 동일한 연부 형태를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 내용물의 블리스터 포장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필름층(30)의 두께는 0,04~ 0.2mm로 구성함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 내용물의 블리스터 포장 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필름층(30)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그리고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및 고주파, 초음파나 열접착이 가능한 연질의 접착성 수지 중 택일하여 구성함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 내용물의 블리스터 포장 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체(1)와 실링 캡(10)은,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P(폴리프로필렌), PS(폴리스치렌), PVC(폴리염화비닐), PC(폴리카보네이트), 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치렌공중합체)등에서 2종 이상을 선택하여 2층 이상으로 구성되는 베이스 층(50)과; EVOH(에틸렌 비닐 알코올공중합체), 나일론,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필름 등에서 1종을 선택하여 구성되는 기능성 층(6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 내용물의 블리스터 포장 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층(60)의 두께는 0.015~0.08mm로 구성함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 내용물의 블리스터 포장 용기.
KR1020110054469A 2011-06-07 2011-06-07 함침 내용물의 블리스터 포장 용기 KR101316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469A KR101316033B1 (ko) 2011-06-07 2011-06-07 함침 내용물의 블리스터 포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469A KR101316033B1 (ko) 2011-06-07 2011-06-07 함침 내용물의 블리스터 포장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643A true KR20120135643A (ko) 2012-12-17
KR101316033B1 KR101316033B1 (ko) 2013-10-10

Family

ID=47903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469A KR101316033B1 (ko) 2011-06-07 2011-06-07 함침 내용물의 블리스터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603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192B1 (ko) * 2018-01-22 2018-06-22 주식회사서연피앤씨 립 패치 포장용 화장품 용기
KR101870154B1 (ko) * 2017-11-27 2018-07-19 이효근 아이 앤드 스팟 패치 포장용 화장품 용기
KR20190091660A (ko) * 2018-01-29 2019-08-07 전우선 물티슈 케이스 커버
KR20200033226A (ko) * 2017-07-20 2020-03-27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블리스터 포장기, 블리스터팩의 제조방법 및 블리스터팩
KR102110719B1 (ko) * 2019-09-17 2020-05-13 송정헌 개봉이 간편하고 보관이 용이하며 적층된 복수의 화장용 패드를 핀셋에 의해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다회사용 화장품 용기
KR20200125812A (ko) * 2019-04-25 2020-11-05 전우선 휴대용 화장 패드 세트 및 그 제조방법
WO2020222468A1 (ko) * 2019-05-02 2020-11-05 주식회사 블리스팩 함침 내용물의 수납을 위한 블리스터 포장 용기
KR102246481B1 (ko) * 2020-10-08 2021-05-03 디아이씨 주식회사 약품 블리스터 포장용 플라스틱 시이트 및 그 제조방법
WO2022055027A1 (ko) * 2020-09-10 2022-03-17 제이씨텍(주) 용기 및 보조 내용물 수용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033U (ko) 2020-06-29 2022-01-05 비타네이쳐 주식회사 이중 씰링 구조의 공기 노출 차단용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439A (ko) * 2003-03-28 2003-05-09 이정민 복수개의 트레이를 공간이 형성되게 결합하는 방법 및 그구조
KR20060059024A (ko) * 2004-11-26 2006-06-01 서승신 즉석 조리용 패스트푸드 용기 및 이에 적합한 제조 방법
CA2624952C (en) * 2005-10-12 2014-12-23 C.R. Bard, Inc. Packaging system for brachytherapy devices
KR101841764B1 (ko) * 2009-09-21 2018-03-23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포장 용기, 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3226A (ko) * 2017-07-20 2020-03-27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블리스터 포장기, 블리스터팩의 제조방법 및 블리스터팩
KR101870154B1 (ko) * 2017-11-27 2018-07-19 이효근 아이 앤드 스팟 패치 포장용 화장품 용기
KR101870192B1 (ko) * 2018-01-22 2018-06-22 주식회사서연피앤씨 립 패치 포장용 화장품 용기
KR20190091660A (ko) * 2018-01-29 2019-08-07 전우선 물티슈 케이스 커버
KR20200125812A (ko) * 2019-04-25 2020-11-05 전우선 휴대용 화장 패드 세트 및 그 제조방법
WO2020222468A1 (ko) * 2019-05-02 2020-11-05 주식회사 블리스팩 함침 내용물의 수납을 위한 블리스터 포장 용기
KR20200127322A (ko) * 2019-05-02 2020-11-11 주식회사 블리스팩 함침 내용물의 수납을 위한 블리스터 포장 용기
KR102110719B1 (ko) * 2019-09-17 2020-05-13 송정헌 개봉이 간편하고 보관이 용이하며 적층된 복수의 화장용 패드를 핀셋에 의해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다회사용 화장품 용기
WO2022055027A1 (ko) * 2020-09-10 2022-03-17 제이씨텍(주) 용기 및 보조 내용물 수용 기구
KR102246481B1 (ko) * 2020-10-08 2021-05-03 디아이씨 주식회사 약품 블리스터 포장용 플라스틱 시이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6033B1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033B1 (ko) 함침 내용물의 블리스터 포장 용기
JP6092270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収納容器
ES2632556T3 (es) Envase para jeringa
EP2371741B1 (en) Packaging for disposable soft contact lenses
JP5947873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収納容器2
TW201216943A (en) Contact lens package, pliable retort package for a soft unused contact lens and method of packaging a contact lens
CA2852872C (en) Contact lens secondary packaging and methods
JP4230278B2 (ja) 包装体および流動物の付着方法
KR20170042586A (ko) 팩 시트 포장체
PT1799174E (pt) Conjunto de armazenamento para produtos de contraste
JP3179380U (ja) 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2枚収納容器
KR101932323B1 (ko) 다중 수용공간을 갖는 마스크팩 파우치
TW201437112A (zh) Ptp包裝體及ptp包裝體之製造方法
US20210107714A1 (en) Sterile packaging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U2016200855B2 (en) Packaging for disposable soft contact lenses
KR101505978B1 (ko) 물주머니의 제조 방법
KR101990654B1 (ko) 마이크로니들 패치 수납 용기
KR20220167814A (ko) 액체화장품용 재활용 용기
JP5945901B2 (ja) 薬液塗布用具
AU2009203013A1 (en) Packaging for disposable soft contact lenses
AU2002322175A1 (en) Packaging for disposable soft contact len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