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4281A - 크랭크샤프트용 고강도 비조질강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크랭크샤프트용 고강도 비조질강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4281A
KR20120134281A KR1020110053075A KR20110053075A KR20120134281A KR 20120134281 A KR20120134281 A KR 20120134281A KR 1020110053075 A KR1020110053075 A KR 1020110053075A KR 20110053075 A KR20110053075 A KR 20110053075A KR 20120134281 A KR20120134281 A KR 20120134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steel
strength
crankshaft
coa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3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4281A/ko
Publication of KR20120134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2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Fe를 주성분으로 하고, C : 0.34~0.40 wt%, Si : 0.20~0.35 wt%, P : 0.03 wt%이하(0은 불포함), Mn : 0.70~0.90 wt%, S : 0.025~0.035 wt%, Cu : 0.30 wt%이하(0은 불포함), Ni : 0.25 wt%이하(0은 불포함), Cr : 1.05~1.25 wt%, Mo : 0.15~0.25 wt%, Al : 0.025 wt%이하(0은 불포함), Nb : 0.02~0.05 wt%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크랭크샤프트용 고강도 비조질강 및 그 제조방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크랭크샤프트용 고강도 비조질강 및 그 제조방법 {MICROALLOY STEEL HAVING HIGH STRENGTH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크랭크샤프트의 가공시 발생할 수 있는 가공크랙을 저감하기 위해 유해인자를 최소화시킨 크랭크샤프트용 비조질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Cr-Mo-Nb를 주요성분으로 하며, 공냉수준의 냉각을 통해서도 베이나이트 조직이 생성되어 기존 Mn-V계 비조질강과 유사한 수준의 항복 및 인장강도를 구현한다. 또한 고주파 열처리의 안정성을 저해시키는 Mn과 Tool Life를 떨어뜨리는 V을 첨가하지 않고도 고강도의 크랭크샤프트용 비조질강 제조가 가능하다.
구조용 강재의 Q/T 열처리는 에너지 비용상승으로 인해 단품에서 차지하는 원가비중이 커지고 생산성도 저해시켜 Q/T열처리를 삭제해도 동등수준의 물성을 구현할 수 있는 Mn-V계 중탄소 비조질강(Micro alloy)이 개발되어 현 시점 국내외에서 크랭크샤프트 재질로 널리 쓰이고 있다.
비조질강은 본래 노말라이징 생략 강이다. 일반강에서 소재업체 또는 단조업체에서 행하던 노말라이징을 생략해도 V, Nb 등이 첨가되어 소재압연/단조후 단지 공냉만을 통해 마치 노말라이징 처리한 것 같은 페라이트 + 퍼얼라이트의 미세조직을 얻을 수 있는 소재를 말한다. 따라서 최종 압연/ 단조품을 별도의 열처리 없이 그대로 가공할 수 있다.
크랭크샤프트의 경우 큰 중량물로서 실제 Q/T 열처리 과정에서 질량효과를 고려한 충분한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임으로 Q/T조직인 소르바이트 이외에 베이나이트, 퍼얼라이트가 템퍼링된 조직도 같이 생성된다. 따라서 항복 및 인장강도가 실 단조품에서는 조질강의 핸드북(handbook) 수준의 물성을 구현하지는 못하는 것이 실정이다. Q/T 조건 및 단조품의 크기는 단조품 심부의 물성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점 때문에 항복 및 인장강도는 조질강 및 비조질강이 유사하거나, 조질강이 더 낮을 수 있다.
비조질강은 V(바나듐)첨가로 탄/질화물이 석출되어 조직 미세화 및 기지를 강화시켜 항복/인장강도 증가를 이루었다. 물론 기지 강화를 위해 Si, Mn 첨가도 같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V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강도는 향상되나 고경도의 V(C,N) 생성물로 가공성이 나빠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비조질강이 쓰이는 일반 샤시용 부품 대비 크랭크샤프트의 경우 다양한 가공 및 열처리가 행해진다. 최근 개발된 대부분의 크랭크샤프트용 고강도 비조질강에는 가공성 향상 목적으로 S함량이 합금강대비 3~4배 정도 더 투입하여 가공성을 보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S투입은 결국 MnS 개재물로 인한 단조 파팅라인부의 재질 이방성이 심화되어 핀, 저널부 고주파 열처리, 리어플랜지 다우얼 핀 가공, 리어플랜지 볼트홀 가공시 파팅라인부 크랙을 유발할 수 있어 가공시 주의를 요하고 있다.
또한, 핀 저널부 연마시 가공부하에 따른 열 발생이 템퍼링 취성을 일으키는 수준으로 높을 경우 MnS 개재물 집중부인 파팅라인부 크랙발생도 가능하다. 상기의 가공 문제들은 이전 Q/T 열처리를 실시하는 합금강에서는 문제수준이 아니었으나, 비조질강의 경우 크랭크샤프트 재질의 이방성 및 핀, 저널부 고주파열처리/가공 연마조건을 고려한 합금설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가공공정 최적화 및 조건유지에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도 1은 크랭크샤프트의 단조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단조공정이 진행 될수록 상하금형 이음새에 플래쉬(Flash, 여분의 살, F)가 빠져나오며 MnS 개재물의 집중 및 연신이 발생된다. 트림(Trim) 후 모재와 플래쉬(F)가 분리되어 파팅 라인 (Trim, 자국, L) 영역이 가공부에 남게된다. 이는 도 2에 잘 나타나 있다.
트리밍 후 단조품에는 플래쉬(F)를 제거한 흔적인 남는데, 이것을 파팅라인(L)이라 부르고, 개재물이 밀집한 영역이다. 따라서 평탄부 고주파열처리 및 연마시에는 해당부분에서 크랙이 자주 생성되는 영역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공냉수준의 냉각을 통해서도 베이나이트 조직이 생성되어 기존 Mn-V계 비조질강과 유사한 수준의 항복 및 인장강도를 구현하고, 고주파 열처리의 안정성을 저해시키는 Mn과 Tool Life를 떨어뜨리는 V을 첨가하지 않고도 고강도의 크랭크샤프트용 비조질강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크랭크샤프트용 고강도 비조질강은, Fe를 주성분으로 하고, C : 0.34~0.40 wt%, Si : 0.20~0.35 wt%, P : 0.03 wt%이하(0은 불포함), Mn : 0.70~0.90 wt%, S : 0.025~0.035 wt%, Cu : 0.30 wt%이하(0은 불포함), Ni : 0.25 wt%이하(0은 불포함), Cr : 1.05~1.25 wt%, Mo : 0.15~0.25 wt%, Al : 0.025 wt%이하(0은 불포함), Nb : 0.02~0.05 wt%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랭크샤프트용 비조질강의 조성은 베이나이트가 93~97 %, 미세 펄라이트가 3~7 %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비조질강은 항복비가 70 %이하이고 신율이 10 %이상일 수 있고, 상기 비조질강은 인장강도가 950 MPa 이상이고 항복강도가 630 MPa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랭크샤프트용 비조질강은 Ms 온도가 330 ℃이상이고 Di 값이 5.0~5.5일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크랭크샤프트용 고강도 비조질강의 제조방법은, Fe를 주성분으로 하고, C : 0.34~0.40 wt%, Si : 0.20~0.35 wt%, P : 0.03 wt%이하(0은 불포함), Mn : 0.70~0.90 wt%, S : 0.025~0.035 wt%, Cu : 0.30 wt%이하(0은 불포함), Ni : 0.25 wt%이하(0은 불포함), Cr : 1.05~1.25 wt%, Mo : 0.15~0.25 wt%, Al : 0.025 wt%이하(0은 불포함), Nb : 0.02~0.05 wt%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재를 1220~1270 ℃로 가열한 후 900~1000 ℃에서 열간압연하고 공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Fe를 주성분으로 하고, C : 0.34~0.40 wt%, Si : 0.20~0.35 wt%, P : 0.03 wt%이하(0은 불포함), Mn : 0.70~0.90 wt%, S : 0.025~0.035 wt%, Cu : 0.30 wt%이하(0은 불포함), Ni : 0.25 wt%이하(0은 불포함), Cr : 1.05~1.25 wt%, Mo : 0.15~0.25 wt%, Al : 0.025 wt%이하(0은 불포함), Nb : 0.02~0.05 wt%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재를 1220~1270 ℃로 가열한 후 1000~1200 ℃에서 단조성형하고 공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고강도 비조질강 및 제조방법에 따르면, Cr-Mo-Nb를 주요성분으로 하며, 공냉수준의 냉각을 통해서도 베이나이트 조직이 생성되어 기존 Mn-V계 비조질강과 유사한 수준의 항복 및 인장강도를 구현한다. 또한 고주파 열처리의 안정성을 저해시키는 Mn과 Tool Life를 떨어뜨리는 V을 첨가하지 않고도 고강도의 크랭크샤프트용 비조질강 제조가 가능하다.
도 1은 크랭크샤프트의 단조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크랭크샤프트에 형성된 파팅라인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비조질강의 미세조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조질강의 미세조직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비조질강의 압연공정 조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비조질강의 단조공정 조건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강도 비조질강 및 제조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랭크샤프트용 고강도 비조질강은, Fe를 주성분으로 하고, C : 0.34~0.40 wt%, Si : 0.20~0.35 wt%, P : 0.03 wt%이하(0은 불포함), Mn : 0.70~0.90 wt%, S : 0.025~0.035 wt%, Cu : 0.30 wt%이하(0은 불포함), Ni : 0.25 wt%이하(0은 불포함), Cr : 1.05~1.25 wt%, Mo : 0.15~0.25 wt%, Al : 0.025 wt%이하(0은 불포함), Nb : 0.02~0.05 wt%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C는 강도와 경도에 중요한 원소로서, 0.34 wt% 미만시 강도가 저하되고 조대 페라이트가 생성된다. 또한 0.40 wt% 초과시에는 열처리 크랙 위험이 높아지고, 비커스 경도 Hv 400 이상의 미세 퍼얼라이트 생성되어 가공툴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Si는 탈산제로 작용하는 것으로서, 0.2 wt% 미만시에는 강의 탈산효과가 미흡해지고, 0.35 wt% 초과시에는 기지를 강화시키나, 인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P는 불순물이나, 입계에 편석되어 취성 및 템퍼링 취성을 현저히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Mn은 경화능과 강도를 향상시키고 MnS 개재물을 형성한다. 0.7 wt% 미만시에는 베이나이트 조직 형성이 미흡해지고, 0.9 wt% 초과시에는 고주파 열처리시 템퍼링 취성을 조장하고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S는 강의 피삭성을 개선시키나, 인성을 저하시키기도 한다. 0.025 wt% 미만시에는 가공성이 저하되고, 0.035 wt% 초과시에는 단조 파팅라인부 재질의 이방성이 증가하고, 템퍼링 취성의 위험이 증가된다.
Cr은 경화능과 강도를 높인다. 그러나 1.05 wt% 미만시에는 베이나이트 조직 형성이 미흡하고, 1.25 wt% 초과시에는 Mn과 같이 템퍼링 취성을 조장하는 문제가 있다.
Mo는 경화능과 강도, 인성을 높인다. 0.15 wt% 미만시에는 베이나이트 조직 형성 미흡 및 템퍼링 취성 완화 효과 미흡하고, 0.25 wt% 초과시에는 소재 원가를 상승시킨다.
Nb는 고온 상태 소재의 결정립 조대화를 방지하고 조직을 미세화시켜 강재의 인성을 개선시킨다. 또한 소재심부에 조대한 침상 페라이트 억제하고 MnS 개재물 내에 Nb(C,N) 형성되어 단조시 연신을 억제시킨다. 0.02 wt% 미만시에는 조직 미세화 효과가 없고, 0.05 wt% 초과시에는 소재 원가를 상승시키고, 질소와 같은 다른 성분과 결합하여 Nb(C,N) 등의 고경도 질화물이 형성되어 가공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N은 열간단조후 냉각시 Nb(C,N) 등의 고경도 질화물을 형성시켜 조직을 미세화시키고 인성과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90 ppm미만으로 적용이 가증할 것이다. 다만, 과도한 첨가는 강재의 표면 결함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다.
Al은 강의 탈산제 역할을 하나 비금속개재물을 형성하고 피로강도를 저해시킨다.
O는 강의 산화성 원소와 결합하여 비금속개재물을 형성하고 피로강도를 저해시킨다. 따라서 20 ppm미만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Cu는 강도상승의 효과가 있으나 인성을 현저히 저하시키고, Ni는 경화능과 인성을 증대시킨다.
종래 크랭크샤프트용 재질은 합금강(Q/T)에서 Mn-V계 비조질강으로 적용이 확대되고 있으나, 강도만 유사할 뿐 크랭크샤프트 본래의 가공, 고주파 열처리에 있어서 기존 Q/T재 대비 취약한 점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Q/T재 대비 부족한 부분을 언급하고 그 보완방안을 제시한다.
S의 경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S 함량 증가에 따른 MnS 개재물 증가로 단조시 파팅라인의 이방성이 증가된다. 즉, MnS 개재물이 조대하고 길게 연신되는 것이다. 이는 도 3은 종래의 비조질강의 미세조직을 나타낸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비조질강은 리어플랜지 다우얼핀 및 볼트홀(파팅라인부) 가공 및 조립시 크랙생성 위험이 있고, 핀, 저널부 고주파 열처리 및 연마시 파팅라인은 주요 크랙 생성부위이다. 따라서 S의 함량을 0.035 wt% 이하로 제한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랭크샤프트용 비조질강의 미세조직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MnS 개재물의 연신이 종래 비조질강에 비해 많이 억제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한편, C의 함량이 0.40 wt% 이상이고, Ms 온도가 330℃이하인 강은 열처리시 크랙 발생의 위험이 있다.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Ms점이 낮을수록 생성이 높아지고, Ms점이 높아야 조직변태시 셀프템퍼 효과를 볼 수 있다.
Ms점이란, Quencing (850도 수준의 고온에서 급냉) 할 경우 오스테나이트에서 마르텐사이트로 조직변태가 시작되는 온도를 Ms점이라 하고, 각 성분조성을 계산하여 대략적인 온도를 추정하고 있다. 또한, Di 값이란, 강의 경화능을 간접적으로 나타냄. 이상적인 담금질을 하였을 때 중심이 50% 마르텐사이트로 되는 최대직경(in)을 그 강의 이상임계직경 (Di) 이라고 하고, 이는 강도와 상관성이 크다.
한편, 잔류오스테나이트란, 고주파열처리 또는 Quencing (850도 수준의 고온에서 급냉) 할 경우 오스테나이트에서 마르텐사이트로 조직변태가 일어나는데 미 변태된 오스테나이트가 상온에서 남아있으면 문제점이 생긴다. 이때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주로 입계에 박판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재는 C의 함량을 0.40 wt% 이하로 제한하고, Ms온도가 330℃ 이상을 만족하는 화학성분을 필요조건으로 설정한다. Di 값이 커질수록 C함량도 낮아져야 크랙위험이 낮아지는데, 현 크랭크샤프트용 재질은 열처리 균열에 안정적인 수준의 C 함량과 Di 값을 유지하고 있지는 않다. 본 발명재는 Di 값 5.0~5.5로 제한을 둔다. 이는 베이나이트 조직형성을 고려한 불가피한 선택으로 Di를 낮추어 페라이트 퍼얼라이트 혼합조직을 형성시키는 것보다 전체적인 열처리 크랙위험 수준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연마시 가공부하로 인한 열 생성시 템퍼링 취성 부근의 온도에 노출될 경우 입계가 취약해지고, 핀, 저널부의 평탄부 연마시 지연크랙 발생 가능성 커져 가공조건 안정화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템퍼링 취성을 완화해 줄 수 있는 Mo를 0.15~0.25 wt% 소량 첨가한다.
그리고, 페라이트 + 퍼얼라이트 혼합조직의 경우 고주파 가열시 오스테나이트화 온도가 충분하지 않으면 페라이트, 퍼얼라이트의 열전도 차이와 오스테나이트화 온도가 달라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얻기가 용이하지 않고 경도의 저하부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비조질강의 조성은 베이나이트가 93~97 %, 미세 펄라이트가 3~7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소성 및 연신구간이 미흡할 경우, 벤딩교정을 하는 크랭크샤프트의 경우 항복강도가 높을수록 교정 스트로크가 높아야 하나, Mn-V계 고강도 비조질강은 소성 및 연신구간이 적어 크랙위험 가능성이 커진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비조질강은 항복강도가 630 이상이고 항복비가 70%이하이며, 신율을 10% 이상으로 물성을 규제한다.
한편,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비조질강의 압연공정 조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비조질강의 단조공정 조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압연에 의한 제조방법은, Fe를 주성분으로 하고, C : 0.34~0.40 wt%, Si : 0.20~0.35 wt%, P : 0.03 wt%이하(0은 불포함), Mn : 0.70~0.90 wt%, S : 0.025~0.035 wt%, Cu : 0.30 wt%이하(0은 불포함), Ni : 0.25 wt%이하(0은 불포함), Cr : 1.05~1.25 wt%, Mo : 0.15~0.25 wt%, Al : 0.025 wt%이하(0은 불포함), Nb : 0.02~0.05 wt%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재를 1220~1270 ℃로 가열한 후 900~1000 ℃에서 열간압연하고 공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조의 경우에는 Fe를 주성분으로 하고, C : 0.34~0.40 wt%, Si : 0.20~0.35 wt%, P : 0.03 wt%이하(0은 불포함), Mn : 0.70~0.90 wt%, S : 0.025~0.035 wt%, Cu : 0.30 wt%이하(0은 불포함), Ni : 0.25 wt%이하(0은 불포함), Cr : 1.05~1.25 wt%, Mo : 0.15~0.25 wt%, Al : 0.025 wt%이하(0은 불포함), Nb : 0.02~0.05 wt%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재를 1220~1270 ℃로 가열한 후 1000~1200 ℃에서 단조성형하고 공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압연시에는 압연 후 750~400 ℃ 범위 구간에서 냉각속도가 1.0 ℃/s 이상 수준이었을 경우 경도상승으로 소재 절단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냉각시 750~400 ℃ 범위 구간에서 적절한 냉각속도 0.2~1.0 ℃/s 범위가 되도록 냉각존을 적절히 유지해야 한다.
하기의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를 상호 대조한 것이다.
Figure pat00001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비조질강 제조방법 및 조성에 의할 경우 950 MPa 이상의 인장강도와 630 MPa 이상의 항복강도를 만족하며, 항복비는 70%를 넘지 않고, 신율은 10% 이상으로 되어 강도와 가공성 모두를 적절히 만족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Claims (7)

  1. Fe를 주성분으로 하고, C : 0.34~0.40 wt%, Si : 0.20~0.35 wt%, P : 0.03 wt%이하(0은 불포함), Mn : 0.70~0.90 wt%, S : 0.025~0.035 wt%, Cu : 0.30 wt%이하(0은 불포함), Ni : 0.25 wt%이하(0은 불포함), Cr : 1.05~1.25 wt%, Mo : 0.15~0.25 wt%, Al : 0.025 wt%이하(0은 불포함), Nb : 0.02~0.05 wt%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크랭크샤프트용 고강도 비조질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조질강의 조성은 베이나이트가 93~97 %, 미세 펄라이트가 3~7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샤프트용 고강도 비조질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조질강은 항복비가 70 %이하이고 신율이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샤프트용 고강도 비조질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조질강은 인장강도가 950 MPa 이상이고 항복강도가 630 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샤프트용 고강도 비조질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조질강은 Ms 온도가 330 ℃이상이고 Di 값이 5.0~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샤프트용 고강도 비조질강.
  6. Fe를 주성분으로 하고, C : 0.34~0.40 wt%, Si : 0.20~0.35 wt%, P : 0.03 wt%이하(0은 불포함), Mn : 0.70~0.90 wt%, S : 0.025~0.035 wt%, Cu : 0.30 wt%이하(0은 불포함), Ni : 0.25 wt%이하(0은 불포함), Cr : 1.05~1.25 wt%, Mo : 0.15~0.25 wt%, Al : 0.025 wt%이하(0은 불포함), Nb : 0.02~0.05 wt%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재를 1220~1270 ℃로 가열한 후 900~1000 ℃에서 열간압연하고 공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샤프트용 고강도 비조질강의 제조방법.
  7. Fe를 주성분으로 하고, C : 0.34~0.40 wt%, Si : 0.20~0.35 wt%, P : 0.03 wt%이하(0은 불포함), Mn : 0.70~0.90 wt%, S : 0.025~0.035 wt%, Cu : 0.30 wt%이하(0은 불포함), Ni : 0.25 wt%이하(0은 불포함), Cr : 1.05~1.25 wt%, Mo : 0.15~0.25 wt%, Al : 0.025 wt%이하(0은 불포함), Nb : 0.02~0.05 wt%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재를 1220~1270 ℃로 가열한 후 1000~1200 ℃에서 단조성형하고 공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샤프트용 고강도 비조질강의 제조방법.
KR1020110053075A 2011-06-02 2011-06-02 크랭크샤프트용 고강도 비조질강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342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075A KR20120134281A (ko) 2011-06-02 2011-06-02 크랭크샤프트용 고강도 비조질강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075A KR20120134281A (ko) 2011-06-02 2011-06-02 크랭크샤프트용 고강도 비조질강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281A true KR20120134281A (ko) 2012-12-12

Family

ID=47902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075A KR20120134281A (ko) 2011-06-02 2011-06-02 크랭크샤프트용 고강도 비조질강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428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95876A (zh) * 2016-02-14 2016-06-22 江阴南工锻造有限公司 一种风电主轴用钢的冶炼工艺及风电主轴用钢
CN110157980A (zh) * 2019-05-09 2019-08-23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优异低温冲击性能的钻杆接头用钢
CN111850413A (zh) * 2020-08-06 2020-10-30 中南大学 一种易焊接耐疲劳的高强韧合金钢及其制备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95876A (zh) * 2016-02-14 2016-06-22 江阴南工锻造有限公司 一种风电主轴用钢的冶炼工艺及风电主轴用钢
CN110157980A (zh) * 2019-05-09 2019-08-23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优异低温冲击性能的钻杆接头用钢
CN111850413A (zh) * 2020-08-06 2020-10-30 中南大学 一种易焊接耐疲劳的高强韧合金钢及其制备方法
CN111850413B (zh) * 2020-08-06 2021-09-21 中南大学 一种易焊接耐疲劳的高强韧合金钢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5019B2 (ja) 鋼製軟窒化機械部品の製造方法
KR20150061516A (ko) 금형강 및 그 제조방법
CN105154774A (zh) 一种易切削中碳非调质裂解连杆用钢及其制造方法
CN106811698A (zh) 一种基于组织精细控制的高强钢板及其制造方法
CN107099767B (zh) 一种爆破用钻头热处理工艺
JP2016519715A (ja) 向上された窒化特性を有するベイナイト系マイクロアロイ鋼
JP5064240B2 (ja) 表層細粒鋼部品とその製造方法
KR20120134281A (ko) 크랭크샤프트용 고강도 비조질강 및 그 제조방법
JP2010132998A (ja) 高強度及び冷鍛性に優れた高耐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JPH11217649A (ja) 冷間加工性と高強度特性を兼備した高周波焼入れ用鋼材とその製造方法
JP6056647B2 (ja) 軸受鋼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で得られる軸受鋼
JP5206911B1 (ja) 熱間鍛造用非調質鋼および熱間鍛造非調質品、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US10538831B2 (en) Age-hardening steel for cold forging use
JP4757831B2 (ja) 高周波焼入れ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7071859A (ja) 非調質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84987B1 (ko) 고주파 열처리 후 초세립을 갖는 기계구조용 부품강 및 그 제조방법
JP5734050B2 (ja) 転動疲労特性、高周波焼入性に優れる中炭素鋼
JP2008144270A (ja) 疲労特性と靭性に優れた機械構造用非調質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機械構造用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551225B2 (ja) 高周波焼入れ歯車
JP4175933B2 (ja) 短時間の窒化処理で高い表面硬さと深い硬化深さの得られる窒化鋼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898018A (zh) 一种冷轧1300MPa级的马氏体钢及其生产方法
KR100206354B1 (ko) 냉간 및 열간 겸용 소형 단조형 금형공구강 및그의제조방법
CN111479938B (zh) 热处理固化型高碳钢板及其制造方法
JP4411096B2 (ja) 球状化後の冷間鍛造性に優れた肌焼用鋼線材・棒鋼
JPH09316540A (ja) 冷鍛性に優れた輪郭高周波焼入用機械構造用鋼の製造方法及び冷間鍛造部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