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3865A - 중앙 분리대 개량 공법 - Google Patents

중앙 분리대 개량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3865A
KR20120133865A KR1020110052759A KR20110052759A KR20120133865A KR 20120133865 A KR20120133865 A KR 20120133865A KR 1020110052759 A KR1020110052759 A KR 1020110052759A KR 20110052759 A KR20110052759 A KR 20110052759A KR 20120133865 A KR20120133865 A KR 20120133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installing
body portion
anchor bolt
support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원길
장무순
Original Assignee
남원길
장무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원길, 장무순 filed Critical 남원길
Priority to KR1020110052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3865A/ko
Publication of KR20120133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8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1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 E01F15/083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using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분리대 개량 공법에 관한 것으로, 기단부(210)와 상기 기단부(210)의 상부로 연장 형성된 몸체부(220)를 갖는 중앙분리대의 표면을 전처리하는 단계와, 기단부(210)의 측면에 이격시켜 바닥 앵커볼트(231)를 설치하고, 몸체부(220)의 하부 측면에 측면 앵커볼트(232)를 설치하는 단계와, 몸체부(220)의 상부에 제 1 간격에 따라 종방향 지지포스트(241)를 설치하고, 종방향 지지포스트(241)를 지지하는 횡방향 지지포스트(242)를 설치하는 단계와, 몸체부(220)의 상부 측면에 제 2 간격에 따라 콘크리트 스페샤(250)를 설치하는 단계와, 기단부(210) 및 몸체부(220)의 측면에 콘크리트 스페샤(250)에 맞물려 바닥 앵커볼트(231) 및 측면 앵커볼트(232)에 결합 지지되도록 와이어 메쉬(260)를 설치하는 단계와, 중앙분리대의 개량을 위한 몰딩 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보강부(270)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앙 분리대 개량 공법{MEDIAN STRIP REFORM METHOD}
본 발명은 고속도로 등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방호벽 구조의 중앙 분리대를 개량할 수 있는 중앙 분리대 개량 공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산업발전에 따라 전국토의 일일 생활권이 실현되었다. 하지만, 도로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중에 교통사고로 인한 인명피해 및 재산상의 손실 또한 증가하여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하고 있다.
그로 인해 도로에 안전시설 등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피해 예방에 많은 예산을 소요하고 있으며, 고속도로에서는 고속주행으로 인한 대형 사고를 최소화하고자 중앙분리대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중앙분리대는 차량의 주행 시 중앙선 침범에 의한 정면충돌을 방지하여 인명과 차량손상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다차선 도로에서는 반대차선과의 오인을 방지하여 원활한 주행 및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차량의 유턴방지 및 보행자의 횡단방지와 운전자의 사전유도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도로표지 및 교통 관련 시설재 등을 설치함은 물론 야간 주행 시 반대차선의 전조등 불빛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차광망 등을 설치하는 등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중앙분리대는 차량의 충돌 시 인명과 차량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충돌차량이 주행차선으로 원활하게 복귀할 수 있으며, 차량충돌에 의한 충분한 저항력을 가져야 하고, 충돌차량의 반사각도가 최소화되어야 하는 등의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중앙분리대가 사용되고 있는데, 종래의 중앙분리대는 도로면에 접촉되는 하부면과 하부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너비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기단부(110)와, 기단부(110)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로 연장될수록 점차 작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된 몸체부(120)과, 몸체부의 상단면에 삽입 고정된 고정포스트에 설치되는 방현망, 차광판 등과 같은 상부 시설물(130)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중앙분리대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차량의 충돌 등에 의해 표면에 손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중앙분리대 보강 시 상부 시설물의 설치가 필요하지 않도록 상부 시설물의 높이만큼 중앙분리대 높이를 높여 개량하는 기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스페샤(spacer)를 이용하여 이격 지지되는 와이어 메쉬를 기단부 및 몸체부에 보강함으로써, 중앙분리대를 쉽게 보강 개량할 수 있는 중앙분리대 개량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부의 상부면에 종방향 및 횡방향 지지포스트를 설치함으로써, 중앙분리대를 쉽게 보강 개량할 수 있는 중앙분리대 개량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단부(210)와 상기 기단부(210)의 상부로 연장 형성된 몸체부(220)를 갖는 중앙분리대의 표면을 전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기단부(210)의 측면에 이격시켜 바닥 앵커볼트(231)를 설치하고, 상기 몸체부(220)의 하부 측면에 측면 앵커볼트(232)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몸체부(220)의 상부에 제 1 간격에 따라 종방향 지지포스트(241)를 설치하고, 상기 종방향 지지포스트(241)를 지지하는 횡방향 지지포스트(242)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몸체부(220)의 상부 측면에 제 2 간격에 따라 콘크리트 스페샤(250)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기단부(210) 및 몸체부(220)의 측면에 상기 콘크리트 스페샤(250)에 맞물려 상기 바닥 앵커볼트(231) 및 측면 앵커볼트(232)에 결합 지지되도록 와이어 메쉬(260)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분리대의 개량을 위한 몰딩 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보강부(270)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앙분리대 개량 공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중앙분리대의 개량 시 콘크리트 타설 전에 도로면 바닥에 바닥 앵커볼트를 설치하고, 측면 하부에 측면 앵커볼트를 설치하며, 측면 상부에 콘크리트 스페샤를 설치함으로써, 와이어 메쉬를 견고하게 지지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바닥 앵커볼트, 측면 앵커볼트 및 콘크리트 스페샤는 콘크리트 타설 시 와어 메쉬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어 간격을 지지 고정시키며, 측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새로 타설된 콘크리트와 기존 중앙분리대의 콘크리트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중앙분리대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량된 중앙분리대를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강부를 성형하기 전의 중앙분리대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중앙분리대를 개량 공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량된 중앙분리대를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강부를 성형하기 전의 중앙분리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량된 중앙분리대는 기단부(210), 몸체부(220), 앵커부재(230), 지지포스트(240), 콘크리트 스페샤(250), 와이어 메쉬(260), 보강부(2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단부(210)는 도로면에 접촉되는 하부면과 하부면에 수직으로 연장된 측면을 가지며, 측면의 상부 너비보다 상부 너비가 상대적으로 작은 너비를 갖는 콘크리트 블록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20)는 기단부(110)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로 연장될수록 점차 작은 너비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중앙분리대는 이러한 기단부(210) 및 몸체부(220)로 구성될 수 있고, 대략 860mm 정도의 높이로 성형될 수 있다.
앵커부재(230)는 기단부(210)의 측면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도로면에 삽입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바닥 앵커볼트(231)와, 몸체부(220)의 하부 측면에 삽입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측면 앵커볼트(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앵커부재(230)에는 후술하는 와이어 메쉬(260)가 지지 결합되고, 후술하는 보강부(270)를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포스트(240)는 몸체부(220)의 상부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종방향 지지포스트(241)와, 종방향 지지포스트(241)의 가로 방향으로 결합되어 종방향 지지포스트(241)와 견고하게 지지하는 횡방향 지지포스트(2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포스트(240)는 후술하는 보강부(270)를 형성하는 콘크리트가 성형될 때 견고하게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콘크리트 스페샤(250)는 대략 50ㅧ50mm인 사각 콘크리트 블록의 일측면에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을 갖는 것으로, 몸체부(220)의 상부 측면에 부착 설치되며, 측면에 형성된 고정홈을 통해 후술하는 와이어 메쉬(260)의 와이어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스페샤(250)는 콘크리트 타설 시 와이어 메쉬(260)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어 메쉬(260)의 와이어 간격을 지지 고정시키며, 몸체부(220)의 측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보강부(270)와 종래 중앙분리대를 구성하는 기단부(210) 및 몸체부(220)와의 콘크리트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스페샤(250)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콘크리트 스페샤(250) 대신에 앵커볼트, 앵커철근 등을 이용하여 와이어 메쉬(260)를 고정 결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와이어 메쉬(260)는 종방향 와이어와 횡방향 와이어가 기 설정된 종방향 간격 및 횡방향 간격에 따라 결합된 것으로, 하단이 바닥 앵커볼트(231)에 결합 고정되고, 상단이 콘크리트 스페샤(25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메쉬(260)는 몸체부(220)의 상부 측면까지 설치될 수 있으며, 보강부(270)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시 쉽게 성형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와이어 메쉬(260)는 지지포스트(240)가 설치된 상단부까지 설치될 경우 콘크리트 타설 시 상단부의 와이어 메쉬(260)가 콘크리트 자중에 의해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생기기 때문에 지지포스트(240)가 설치된 상단부까지 설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부(270)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분리대 개량 공법을 이용하여 보강된 콘크리트 성형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몰딩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성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중앙분리대의 개량 시 콘크리트 타설 전에 도로면 바닥에 바닥 앵커볼트를 설치하고, 측면 하부에 측면 앵커볼트를 설치하며, 측면 상부에 콘크리트 스페샤를 설치함으로써, 와이어 메쉬를 견고하게 지지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바닥 앵커볼트, 측면 앵커볼트 및 콘크리트 스페샤는 콘크리트 타설 시 와이어 메쉬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어 간격을 지지 고정시키며, 측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새로 타설된 콘크리트와 기존 중앙분리대의 콘크리트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개량된 중앙분리대를 성형하는 공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중앙분리대를 개량 공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단부(210)와 기단부(210)의 상부로 연장 형성된 몸체부(220)를 갖는 중앙분리대의 표면을 전처리할 수 있다(단계402). 종래의 중앙분리대에는 상부에 설치된 방현망, 차광판 등의 상부 시설물을 제거하고, 새로 타설될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을 거칠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처리된 중앙분리대의 기단부(210)의 측면에 이격시켜 바닥 앵커볼트(231)를 설치하고, 몸체부(220)의 하부 측면에 측면 앵커볼트(232)를 설치할 수 있다(단계404). 이러한 앵커부재(230)는 대략 10-25mm 지름의 볼트를 대략 300-500mm 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200-300mm 정도 돌출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와이어 메쉬(250)의 종방향 와이어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몸체부(220)의 상부에 제 1 간격에 따라 종방향 지지포스트(241)를 설치하고, 종방향 지지포스트(241)를 지지하는 횡방향 지지포스트(242)를 설치할 수 있다(단계406). 이러한 종방향 지지포스트(241)는 대략 10-25mm 지름의 볼트를 대략 300-500mm 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200-500mm 정도 돌출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와이어 메쉬(250)의 종방향 와이어의 간격에 대응하는 제 1 간격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몸체부(220)의 상부 측면에 제 2 간격에 따라 콘크리트 스페샤(250)를 설치할 수 있다(단계408). 이러한 콘크리트 스페샤(250)는 대략 50ㅧ50mm인 사각 콘크리트 블록 형태를 가지며, 일측면에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스페샤(220)는 와이어 메쉬(250)의 종방향 와이어의 간격의 배수에 대응하는 제 2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와이어 메쉬(250)의 종방향 와이어 간격이 150mm인 경우 제 2 간격은 150mm, 300mm, 450mm 등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음에, 기단부(210) 및 몸체부(220)의 측면에 콘크리트 스페샤(250)에 맞물려 바닥 앵커볼트(231) 및 측면 앵커볼트(232)에 결합 지지되도록 와이어 메쉬(260)를 설치할 수 있다(단계410). 이러한 와이어 메쉬(260)는 대략 150mm 간격으로 종방향 와이어와 횡방향 와이어가 각각 그물 모양으로 엮여진 구조로서, 기단부(210) 및 몸체부(220)에서 30-50mm 정도 이격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중앙분리대의 개량을 위한 몰딩 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보강부(270)를 성형할 수 있다(단계412). 이러한 몰딩 장치는 다이크, L형 측구, 교량 방호벽, 중앙분리대 등의 연속 타설을 위해 사용된 콘크리트휘니셔의 수평 붐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몰딩 장치를 이용하여 쉽게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 앵커볼트, 측면 앵커볼트 및 콘크리트 스페샤는 콘크리트 타설 시 와이어 메쉬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어 간격을 지지 고정시키며, 측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새로 타설된 콘크리트와 기존 중앙분리대의 콘크리트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중앙분리대를 쉽게 개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210 : 기단부 220 : 몸체부
230 : 앵커부재 240 : 지지포스트
250 : 콘크리트 스페샤 260 : 와이어 메쉬
270 : 보강부

Claims (3)

  1. 기단부(210)와 상기 기단부(210)의 상부로 연장 형성된 몸체부(220)를 갖는 중앙분리대의 표면을 전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기단부(210)의 측면에 이격시켜 바닥 앵커볼트(231)를 설치하고, 상기 몸체부(220)의 하부 측면에 측면 앵커볼트(232)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몸체부(220)의 상부에 제 1 간격에 따라 종방향 지지포스트(241)를 설치하고, 상기 종방향 지지포스트(241)를 지지하는 횡방향 지지포스트(242)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몸체부(220)의 상부 측면에 제 2 간격에 따라 콘크리트 스페샤(250)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기단부(210) 및 몸체부(220)의 측면에 상기 콘크리트 스페샤(250)에 맞물려 상기 바닥 앵커볼트(231) 및 측면 앵커볼트(232)에 결합 지지되도록 와이어 메쉬(260)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분리대의 개량을 위한 몰딩 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보강부(270)를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중앙분리대 개량 공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지지포스트(241)는, 상기 와이어 메쉬(260)의 종방향 간격에 대응하여 설정된 상기 제 1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 개량 공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스페샤(250)는, 상기 와이어 메쉬(260)의 종방향 간격의 배수에 대응하여 설정된 상기 제 2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 개량 공법.
KR1020110052759A 2011-06-01 2011-06-01 중앙 분리대 개량 공법 KR201201338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759A KR20120133865A (ko) 2011-06-01 2011-06-01 중앙 분리대 개량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759A KR20120133865A (ko) 2011-06-01 2011-06-01 중앙 분리대 개량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865A true KR20120133865A (ko) 2012-12-11

Family

ID=47517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759A KR20120133865A (ko) 2011-06-01 2011-06-01 중앙 분리대 개량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38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75015A (zh) * 2013-12-22 2016-04-13 苏州汇诚智造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玻璃钢马路隔离绿化槽的制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75015A (zh) * 2013-12-22 2016-04-13 苏州汇诚智造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玻璃钢马路隔离绿化槽的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8735B2 (ja) 自動車道路の高架橋の路版側端部の老朽化した壁高欄の改良方法
KR101131745B1 (ko) 노면트램용 궤도구조
CN105270119A (zh) 可路面及轨道两用行走式行车机构
KR20120133865A (ko) 중앙 분리대 개량 공법
CN105256710B (zh) 高速公路应急借道疏导桥
KR100673306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CN203947436U (zh) 波形梁双层护栏
KR101395136B1 (ko) 도로변의 지반 보강용 가드 펜스 및 그 시공 방법
FI128216B (fi) Ajotien reunaan tai kaistoja erottamaan asetettava kaide sekä menetelmät kaide-elementtien kiinnittämiseksi toisiinsa ja irrottamiseksi toisistaan
CN205062590U (zh) 两用式交通运行系统
KR100597654B1 (ko) 차량용 교량에 설치된 인도 및 그 설치방법
KR101029144B1 (ko) 교량용 보도
KR20120133877A (ko) 교량 방호벽 개량 몰딩 장치 및 그 개량 공법
CN205062591U (zh) 新型路面构造
KR20120134170A (ko) 교량 방호벽 개량 몰딩 장치 및 그 개량 공법
EP2894257B1 (en) Protection system for avoiding obstacles in roadside trenches
CN203890873U (zh) 桥梁护栏
CN214245460U (zh) 一种道路人行道警示装置
KR20110139403A (ko) 개방형 중앙분리대
CN203795341U (zh) 加强型插拔式活动护栏
CN211200080U (zh) 一种高等级公路桥梁中分带开口段复合桥面板
KR20130065685A (ko) 콘크리트 과속방지장치
KR102563624B1 (ko) 험프식 과속방지겸용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 방법
CN214737644U (zh) 道路隔离护栏
KR100839000B1 (ko) 고가도로를 지나는 배전선의 설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