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3775A -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3775A
KR20120133775A KR1020110052604A KR20110052604A KR20120133775A KR 20120133775 A KR20120133775 A KR 20120133775A KR 1020110052604 A KR1020110052604 A KR 1020110052604A KR 20110052604 A KR20110052604 A KR 20110052604A KR 20120133775 A KR20120133775 A KR 20120133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user
remote
user terminal
remote le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근민
Original Assignee
조근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근민 filed Critical 조근민
Priority to KR1020110052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3775A/ko
Publication of KR20120133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7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격 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1) 미리 정해진 시간에 사용자 단말기에 원격 강의를 전송하되, 상기 원격 강의 시작 전, 강의 중, 및 강의 종료 후 중 적어도 한번 이상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평가 문제를 전송하는 단계; (2)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평가 문제에 대한 정답을 입력받는 단계; (3)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정답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점수 및 상기 원격 강의를 수강하는 사용자 간 석차를 산출하는 단계; 및 (4)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산출된 점수 및 석차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시간에 사용자 단말기에 원격 강의를 전송함으로써, 현장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원격 강의 시작 전, 강의 중, 강의 종료 후 평가 문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수업에 성실히 참여하고 있는지 여부를 직접 확인하고 사용자의 학업 성취도를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평가 문제에 대한 점수 및 석차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점수 또는 석차에 따라 사용자에게 각종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경쟁을 통한 성취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REMOTE LECTURE SERVICE PROVIDING METHOD WITH REAL-TIME EVALUATION}
본 발명은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이 광범위하게 사용되면서 온라인을 이용한 교육 방법으로 원격 강의(Internet education)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원격 강의란, 원래 유치원에서부터 12학년까지의 학생들을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교육하려는 미국의 정보교육 프로그램을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인터넷이 보편화되면서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교육을 통칭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원격 강의는, 녹화된 동영상 강의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학생이 녹화된 강의만을 보고 수동적으로 배우게 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실시간으로 (마치 화상채팅처럼) 강의를 듣고 즉시 질문하며 학생과 교사가 상호 소통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종래의 원격 강의 방법에서는, 강의 시간이나 정원이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오프라인상에서 실제 수업을 듣는 것과 같은 긴장감이나 현장감을 느낄 수 없고, 이에 따라 원격 강의를 수강하는 사용자의 집중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수업에 성실히 참여하고 있는지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가 없기 때문에 오프라인 수업에 비하여 성취도가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미리 정해진 시간에 사용자 단말기에 원격 강의를 전송함으로써, 현장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원격 강의 시작 전, 강의 중, 강의 종료 후 평가 문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수업에 성실히 참여하고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사용자의 학업 성취도를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평가 문제에 대한 점수 및 석차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점수 또는 석차에 따라 사용자에게 각종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경쟁을 통한 성취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원격 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1) 미리 정해진 시간에 사용자 단말기에 원격 강의를 전송하되, 상기 원격 강의 시작 전, 강의 중, 및 강의 종료 후 중 적어도 한번 이상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평가 문제를 전송하는 단계;
(2)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평가 문제에 대한 정답을 입력받는 단계;
(3)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정답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점수 및 상기 원격 강의를 수강하는 사용자 간 석차를 산출하는 단계; 및
(4)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산출된 점수 및 석차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에서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상기 정답을 입력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격 강의에 대한 온라인 강의 교재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에서는,
상기 원격 강의 시작 전 또는 강의 종료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평가 문제를 전송할 때, 상기 강의 교재의 열람을 제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에서 산출된 점수 또는 석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등급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사용자 등급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수강할 수 있는 원격 강의를 제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4)에서는,
상기 원격 강의를 수강하는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산출된 점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 상기 단계 (3)에서 산출된 점수 또는 석차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6) 상기 원격 강의 시작 전, 강의 중, 또는 강의 종료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질문을 입력받고 답변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6)은,
(6-1) 상기 원격 강의 시작 전, 강의 중, 및 강의 종료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질문을 입력받는 단계; 및
(6-2) 강사 단말기로부터 답변을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6-1) 및 (6-2)에서는, 게시판, 채팅 또는 보이스 채팅을 통해 질문 및 답변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시간에 사용자 단말기에 원격 강의를 전송함으로써, 현장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원격 강의 시작 전, 강의 중, 강의 종료 후 평가 문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수업에 성실히 참여하고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사용자의 학업 성취도를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평가 문제에 대한 점수 및 석차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점수 또는 석차에 따라 사용자에게 각종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경쟁을 통한 성취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원격 강의 시작 전 평가 문제가 전송된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원격 강의 중 평가 문제가 전송된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원격 강의 종료 후 평가 문제가 전송된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강의 종료 후 산출된 점수 및 석차가 전송된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700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 사용자 단말기(200) 및 강사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이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한 사용자 단말기(200)의 접속을 허용하고 원격 강의와 그에 따른 평가 문제를 전송하여 효율적인 학습 및 실시간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이용하여 원격 강의를 수강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이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스마트 TV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원격 강의를 수강하고 평가 문제를 풀 수 있으며, 산출된 사용자의 점수 및 석차 등을 전송받을 수 있다면, 구체적인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200)의 역할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강사 단말기(3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이용하여 원격 강의를 제공하는 강사의 단말기이다. 강사 단말기(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고 강의 교재를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질문 등에 대한 답변을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미리 정해진 시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원격 강의를 전송하되, 원격 강의 시작 전, 강의 중 및 강의 종료 후 중 적어도 한 번 이상 사용자 단말기(200)에 평가 문제를 전송하는 단계(S200),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평가 문제에 대한 정답을 입력받는 단계(S300),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받은 정답을 이용하여 점수 및 원격 강의를 수강하는 사용자 간 석차를 산출하는 단계(S400) 및 사용자 단말기(200)에 점수 및 석차를 전송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원격 강의에 대한 온라인 강의 교재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단계(S100), 산출된 점수 또는 석차에 따라 사용자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S600), 및 질문을 입력받고 답변을 전송하는 단계(S70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1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원격 강의에 대한 온라인 강의 교재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온라인 강의 교재는 원격 강의의 수강 신청 시, 또는 원격 강의의 수강을 위해 온라인 강의실 입장 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파일 형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원격 강의를 수강하는 중이 아니더라도, 자신의 강의 교재를 열람하고 학습할 수 있다. 또한, 강의 교재에 필기를 하는 것과 같이 글자를 쓰는 것도 가능하고, 글자가 쓰인 상태 그대로 저장할 수도 있다. 다만, 내려 받기(download)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저장할 수 없도록 하여 무단 배포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미리 정해진 시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원격 강의를 전송하되, 원격 강의 시작 전, 강의 중, 및 강의 종료 후 중 적어도 한번 이상 사용자 단말기(200)에 평가 문제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사용자가 원격 강의를 수강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나태해 지는 것을 막고 긴장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하여 원격 강의를 수강하기 때문에 사용자 간 실시간 평가를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되는 원격 강의는 미리 촬영 및 저장된 강의 동영상 또는 실시간 강의 영상일 수 있다. 실시간 강의 영상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와 강사 사이에 실시간 피드백이 가능하고, 오프라인에서 강의를 듣는 것과 같은 현장감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단계 S200에서는, 원격 강의 시작 전, 강의 중, 및 강의 종료 후 중 적어도 한번 이상 사용자 단말기(200)에 평가 문제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원격 강의를 시작하기 전에 평가 문제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원격 강의에 대비하도록 할 수 있고, 원격 강의 중간에 평가 문제를 전송하여 원격 강의에 집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원격 강의가 종료된 후에 평가 문제를 전송하여 수업 내용을 확인하고 학업 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원격 강의 시작 전 평가 문제가 전송된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200에서는, 사용자가 원격 강의에 대비하도록 강의 시작 전에 평가 문제(예습 문제)를 전송할 수 있다. 예습 문제는 적어도 한 문제 이상일 수 있으며, 원격 강의 시작 전 사용자 단말기(200)에 평가 문제를 전송할 때에는 강의 교재의 열람을 제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원격 강의 중 평가 문제가 전송된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200에서는, 사용자가 원격 강의에 집중하여 수업을 청취하고 있는지 판단하고,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긴장감을 주기 위해, 원격 강의 중간에 평가 문제(수업 중 돌발 퀴즈)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업 중 돌발 퀴즈는 예고 없이 전송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한 문제 이상씩 복수 회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원격 강의 종료 후 평가 문제가 전송된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200에서는, 수업 내용을 한 번 더 학습하도록 하고 해당 수업에 대한 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해, 원격 강의 종료 후에 평가 문제(복습 문제)를 전송할 수 있다. 복습 문제는 강의 내용 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한 문제 이상일 수 있으며, 복습 문제를 제공하는 중에는 강의 교재의 열람을 제한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평가 문제에 대한 정답을 입력받을 수 있다. 특히, 단계 S3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정답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시간은 한 회에 제공되는 전체 평가 문제에 대해 정해질 수 있으나, 평가 문제 하나 당 정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예습 문제를 5문제 제공하면서 5문제를 총 3분 동안 풀도록 할 수 있고, 한 문제당 30초씩 총 2분 30초 동안 풀도록 할 수도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였는데 정답을 입력받지 못한 평가 문제의 경우 틀린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단계 S4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받은 정답을 이용하여 점수 및 원격 강의를 수강하는 사용자 간 석차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원격 강의를 전송하기 때문에, 복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원격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200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받은 정답들을 이용하여, 각 사용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고, 해당 시간에 해당 원격 강의를 수강하는 사용자 간에 석차를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강의 시작 전, 강의 중, 강의 종료 후 모두 평가 문제를 전송한 경우, 각각 점수 및 석차를 산출할 수도 있다. 즉,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의 시작 전에 전송된 평가 문제에 대한 점수에 대해 예습 점수, 강의 중에 전송된 평가 문제에 대해 수업 점수, 강의 종료 후 전송된 평가 문제에 대해 복습 점수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석차의 경우에는 각 점수들의 평균인 도합 평균에 대해서 산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단계 S400에서 산출된 점수 또는 석차에 따라 사용자 등급을 설정하며, 설정된 사용자 등급에 따라 사용자가 수강할 수 있는 원격 강의를 제한할 수 있다. 즉, 원격 강의를 통해 온라인상에서 평가된 점수 또는 석차를 이용하여 수준별 맞춤 수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성취도가 높은 학생을 상위 그룹으로 분류하여 심화 원격 강의를 제공하고, 성취도가 낮은 학생을 하위 그룹으로 분류하여 쉽고 상세한 기초 단계의 원격 강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등급을 나누기 위한 별도의 평가 과정이 필요하지 않아 편리하다.
단계 S5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기(200)에 점수 및 석차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500에서는, 원격 강의를 수강하는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산출된 점수 및 석차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 성명, 학교, 학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사용자의 점수 및 석차를 함께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쟁을 유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강의 종료 후 산출된 점수 및 석차가 전송된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500에서는, 강의 종료 후 제공되는 평가 문제까지 종료되어 수업이 완전히 종료된 후에, 원격 강의를 수강하는 사용자들 중 상위 석차에 랭크된 사용자의 성명, 점수, 석차 등을 전송하고, 다른 사용자들도 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500에서는 실시간으로 산출되는 사용자의 점수 및 석차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즉,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제를 다 풀기 전이라도 해결한 문제 수에 따라 획득한 점수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평가가 진행 중임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더 높은 점수를 얻기 위해 노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단계 S6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단계 S300에서 산출된 점수 또는 석차에 따라 사용자에게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혜택에는, 무료 수강 쿠폰, 수강권 쿠폰, 수강료 할인권, 교재 할인 쿠폰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원격 강의 제공 웹사이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각종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합하여 평균 1등을 차지한 사용자에게는 무료 수강 쿠폰 1장을 제공하고, 종합하여 평균 2등을 차지한 사용자에게는 3000 포인트, 3등을 차지한 사용자에게는 1000 포인트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성적에 따라 각종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평가 문제를 성실하고 능동적으로 풀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7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원격 강의 시작 전, 강의 중, 또는 강의 종료 후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질문을 입력받고 답변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00은 사용자와 강사 사이의 피드백을 위한 과정으로서, 단계 S700의 세부적인 흐름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700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700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질문을 입력받는 단계(S710) 및 강사 단말기(300)로부터 답변을 입력받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단계(S72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단계 S710 및 단계 S720에서는, 게시판, 채팅 또는 보이스 채팅을 통해 질문 및 답변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능동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71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원격 강의 시작 전, 강의 중, 및 강의 종료 후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질문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S200에서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원격 강의가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저장된 강의 동영상인 경우 실시간 답변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게시판을 통한 질문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단계 S200에서 실시간으로 강사가 강의를 하는 실시간 강의 영상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채팅이나 보이스 채팅을 통해 실시간으로 질문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S72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강사 단말기(300)로부터 답변을 입력받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단계 S710에서 입력받은 사용자의 질문을 강사 단말기(300)에 전달하고, 답변을 입력받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10에서 사용자가 게시판에 질문을 한 경우, 강사는 게시판을 통해 답변을 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710에서 채팅이나 보이스 채팅을 통해 질문을 입력받은 경우에는, 채팅이나 보이스 채팅을 이용하여 답변을 입력받아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미리 지정된 시간 이후에도 강사 단말기(300)로부터 답변이 입력되지 않으면, 실시간 답변이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하고 사용자 단말기(200)에 답변 불가 메시지와 함께 게시판 질문, 추후 재시도 등의 방법으로 궁금증을 해결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서비스 제공 서버 200: 사용자 단말기
300: 강사 단말기
S100: 원격 강의에 대한 온라인 강의 교재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S200: 미리 정해진 시간에 사용자 단말기에 원격 강의를 전송하되, 원격 강의 시작 전, 강의 중 및 강의 종료 후 중 적어도 한 번 이상 사용자 단말기에 평가 문제를 전송하는 단계
S300: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평가 문제에 대한 정답을 입력받는 단계
S400: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정답을 이용하여 점수 및 석차를 산출하는 단계
S500: 사용자 단말기에 점수 및 석차를 전송하는 단계
S600: 산출된 점수 또는 석차에 따라 사용자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
S700: 질문을 입력받고 답변을 전송하는 단계

Claims (9)

  1. 원격 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1) 미리 정해진 시간에 사용자 단말기에 원격 강의를 전송하되, 상기 원격 강의 시작 전, 강의 중, 및 강의 종료 후 중 적어도 한번 이상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평가 문제를 전송하는 단계;
    (2)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평가 문제에 대한 정답을 입력받는 단계;
    (3)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정답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점수 및 상기 원격 강의를 수강하는 사용자 간 석차를 산출하는 단계; 및
    (4)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산출된 점수 및 석차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상기 정답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강의에 대한 온라인 강의 교재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는,
    상기 원격 강의 시작 전 또는 강의 종료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평가 문제를 전송할 때, 상기 강의 교재의 열람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 산출된 점수 또는 석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등급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사용자 등급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수강할 수 있는 원격 강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에서는,
    상기 원격 강의를 수강하는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산출된 점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5) 상기 단계 (3)에서 산출된 점수 또는 석차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6) 상기 원격 강의 시작 전, 강의 중, 또는 강의 종료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질문을 입력받고 답변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6)은,
    (6-1) 상기 원격 강의 시작 전, 강의 중, 및 강의 종료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질문을 입력받는 단계; 및
    (6-2) 강사 단말기로부터 답변을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6-1) 및 (6-2)에서는,
    게시판, 채팅 또는 보이스 채팅을 통해 질문 및 답변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10052604A 2011-06-01 2011-06-01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201337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604A KR20120133775A (ko) 2011-06-01 2011-06-01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604A KR20120133775A (ko) 2011-06-01 2011-06-01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775A true KR20120133775A (ko) 2012-12-11

Family

ID=47517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604A KR20120133775A (ko) 2011-06-01 2011-06-01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37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704A (ko) 2013-08-01 2015-02-11 김태경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17478A (ko) * 2019-08-08 2021-02-17 고나연 예습과 복습을 통한 학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3172056A1 (ko) * 2022-03-08 2023-09-14 전경희 인공지능 기반 질문생성 학습기술습관 훈련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704A (ko) 2013-08-01 2015-02-11 김태경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17478A (ko) * 2019-08-08 2021-02-17 고나연 예습과 복습을 통한 학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3172056A1 (ko) * 2022-03-08 2023-09-14 전경희 인공지능 기반 질문생성 학습기술습관 훈련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fakis et al. ELF-awareness in ELT: Bringing together theory and practice
Al Qasim et al. From Call to Mall: The Effectiveness of Podcast on EFL Higher Education Students' Listening Comprehension.
Jones et al. Student feedback via screen capture digital video: Stimulating student’s modified action
US20190318642A1 (en) Online programming education method and system
Selingo MOOC U: Who is getting the most out of online education and why
Williams New tools for onlin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Luo et al. Developing an effective Chinese-American telecollaborative learning program: An action research study
JP2016177306A (ja) Eラーニングシステム
Mashhadi et al. The impact of podcasts on English vocabulary development in a blended educational model
Rahmawati Students’ Perceptions Toward Quizizz as an Online Learning Media
Fernández Alarcón et al. Online discussion forums with embedded streamed videos on distance courses
Hsu et al. Investigating effects and learners' perceptions of a student-led, AR-based learning design for developing students' English speaking proficiency
KR20200045863A (ko) 하브루타 학습시스템 및 하브루타 학습플랫폼
KR20120133775A (ko) 실시간 평가 기능을 갖는 원격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
Gikas Understanding change: Implementing mobile computing devices in higher education
Ekiaka Nzai et al. Preparing Net Gen pre-service teachers for digital native classrooms
Gao Teachers’ perceptions of effective strategies for developing intercultural competence
Kajimoto Developing news literacy curricula in the age of social media in Hong Kong, Vietnam and Myanmar
Schenker et al. Digital Escape Rooms for World Languages.
Gomez-Sanz et al. BoloTweet: A Micro-Blogging System for Education
Duvall The impact of virtual literacy communities in an English language arts classroom: a case study using Goodreads
Laine et al. Ubiquitous math� ematics from South Africa to Finland: Does reverse transfer work
Nogaibayeva Language teachers use/non-use of ICT in teaching and learning in Kazakhstan in a single university
Guerra-Artal et al. Ubiquitous Learning and “Prometeo”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
McClelland Exploration of positiv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in the online context of VIPK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518

Effective date: 2013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