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2586A - 메탄올 카보닐화 공정 스트림으로부터 퍼망가네이트 환원 화합물의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메탄올 카보닐화 공정 스트림으로부터 퍼망가네이트 환원 화합물의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2586A
KR20120132586A KR1020127029806A KR20127029806A KR20120132586A KR 20120132586 A KR20120132586 A KR 20120132586A KR 1020127029806 A KR1020127029806 A KR 1020127029806A KR 20127029806 A KR20127029806 A KR 20127029806A KR 20120132586 A KR20120132586 A KR 20120132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head
stream
acetic acid
prc
iod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9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5773B1 (ko
Inventor
웨인 디 피카드
마크 오 스케이츠
호세 제이 아르투로 탈란콘
데이빗 에이 트루바
레이몬드 제이 지노빌
Original Assignee
셀라니즈 인터내셔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91112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13258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셀라니즈 인터내셔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셀라니즈 인터내셔날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132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4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1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reaction with carbon monoxide
    • C07C51/12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reaction with carbon monoxide on an oxygen-containing group in organic compounds, e.g.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4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51/4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liquid-liquid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세트산을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메탄올 카보닐화 방법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a) 응축된 경질분 오버헤드의 적어도 일부를 증류시켜 퍼망가네이트 환원 화합물(PRC) 풍부 제 2 오버헤드 스트림을 생성시키고, (b) 상기 제 2 오버헤드 스트림을 물에 의해 추출하고 이로부터 PRC를 함유하는 수성 스트림을 분리하고, (c) 상기 추출된 제 2 오버헤드의 적어도 일부를 제 2 증류기로 반송함을 포함하는, PRC를 응축된 경질분 오버헤드 스트림으로부터 제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메탄올 카보닐화 공정 스트림으로부터 퍼망가네이트 환원 화합물의 제거 방법{REMOVAL OF PERMANGANATE REDUCING COMPOUNDS FROM METHANOL CARBONYLATION PROCESS STREAM}
본 발명은 VIII 족 금속 카보닐화 촉매의 존재 하에서 메탄올의 카보닐화에 의해 형성된 퍼망가네이트 환원 화합물 및 알킬 요오다이드의 개선된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카보닐화 방법에 의해 아세트산이 형성되는 동안 중간 스트림으로부터 퍼망가네이트 환원 화합물 및 알킬 요오다이드의 전구체를 감소 및/또는 제거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아세트산의 합성 방법 중에서, 상업적으로 가장 유용한 것 중 하나는 1973년 10월 30일 자로 폴리크(Paulik)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769,329 호에 교시된 바와 같은 일산화 탄소에 의한 메탄올의 촉매화된 카보닐화이다. 상기 카보닐화 촉매는, 액체 반응 매질 중에 용해되거나 또는 달리 분산되거나 또는 불활성 고체상에 지지된 로듐을, 메틸 요오다이드로 예시되는 할로겐 함유 촉매 촉진제와 함께 포함한다. 상기 로듐을 임의의 다수의 형태로 상기 반응 시스템에 도입시킬 수 있으며 활성 촉매 복합체 내에서 상기 로듐 잔기의 정확한 성질은 불명확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할라이드 촉진제의 성질은 중요하지 않다. 특허권자들은 매우 많은 수의 적합한 촉진제들을 개시하며, 이들 중 대부분은 유기 요오다이드이다. 가장 전형적이고 유용하게는, 상기 반응을 촉매가 용해된 액체 반응 매질을 통해 일산화 탄소 기체를 연속적으로 발포시킴으로써 수행한다.
로듐 촉매의 존재 하에서 알콜보다 하나 더 많은 탄소 원자를 갖는 카복실산을 생성시키기 위한 알콜의 카보닐화에 대한 종래 기술의 개선이 1991년 3월 19일자로 통상적으로 양도된 미국 특허 제 5,001,259 호; 1991년 6월 25일자 제 5,026,908 호; 및 1992년 9월 1일자 제 5,144,068 호; 및 1992년 7월 1일자로 공개된 유럽 특허 제 EP 0 161 874 B2 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중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아세트산은 메틸 아세테이트, 메틸 할라이드, 특히 메틸 요오다이드, 및 촉매 유효 농도로 존재하는 로듐을 함유하는 반응 매질 중의 메탄올로부터 생성된다. 이들 특허는 촉매 안정성 및 카보닐화 반응기의 생산성이, 반응 매질 중에서 촉매 유효량의 로듐 및 적어도 제한된 농도의 물과 함께, 메틸 요오다이드 또는 다른 유기 요오다이드로서 존재하는 요오다이드 함량보다 높은 특정 농도의 요오다이드 이온을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반응 매질 중의 매우 낮은 물 농도, 즉 4 중량% 이하의 물 농도에서도(일반적인 산업적 실시가 대략 14 내지 15 중량%의 물을 유지시킴에도 불구하고) 놀랍게도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음을 개시한다. 상기 요오다이드 이온은 간단한 염으로서 존재하며, 리튬 요오다이드가 바람직하다. 상기 특허들은 메틸 아세테이트 및 요오다이드 염의 농도가 특히 낮은 반응기 물 농도에서 아세트산을 생성시키는 메탄올의 카보닐화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매개변수임을 교시한다.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의 메틸 아세테이트 및 요오다이드 염을 사용함으로써, 액체 반응 매질이 약 0.1 중량% 정도로 낮은 농도(이는 넓게 물의 "제한된 농도"로서 간단히 한정할 수 있을 정도로 낮음)의 물을 함유하는 경우에도 놀라운 정도의 촉매 안정성과 반응기 생산성을 획득한다. 더욱 또한, 사용되는 반응 매질은 로듐 촉매의 안정성, 즉 특히 상기 방법의 생성물 회수 단계 중에 촉매 침전에 대한 내성을 개선시킨다. 이러한 단계에서, 아세트산 생성물을 회수하기 위한 증류는 상기 촉매로부터, 반응 용기 중에 유지된 환경에서 로듐에 대해 안정화 효과를 갖는 리간드인 일산화 탄소를 제거하는 경향이 있다. 미국 특허 제 5,001,259, 5,026,908 및 5,144,068 호를 본 발명에 참고로 인용한다.
아세트산의 저 수분(low water) 카보닐화 제조 방법은 일산화 탄소, 수소 및 프로피온산과 같은 부산물을 감소시키지만, 일반적으로 미량으로 존재하는 다른 불순물들의 양이 또한 증가하며, 촉매를 개선시키거나 반응 조건을 변경시킴으로써 생산율을 증가시키고자 시도하는 경우 때때로 아세트산의 품질이 문제가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미량 불순물들은 특히 이들이 반응 공정을 통해 재순환되는 경우 아세트산의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아세트산의 퍼망가네이트 시간을 감소시키는 불순물은 카보닐 화합물 및 불포화된 카보닐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바와 같은 "카보닐"이란 용어는 알데하이드 또는 케톤 작용기(불포화될 수도 되지 않을 수도 있다)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카보닐화 방법에서 불순물에 대한 추가의 논의에 대해 문헌[Catalysis of Organic Reaction, 75, 369-380(1998)]을 참조하시오.
본 발명은 퍼망가네이트 환원 화합물(PRC), 예를 들어 아세트알데하이드,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부티르알데하이드, 크로톤알데하이드, 2-에틸 크로톤알데하이드, 및 2-에틸 부티르알데하이드 등, 및 그의 알돌 축합 생성물의 감소 및/또는 제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프로피온산의 감소를 유도한다.
상술한 카보닐화 불순물, 예를 들어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요오다이드 촉매 촉진제와 반응시켜 다-탄소 알킬 요오다이드, 예를 들어 에틸 요오다이드, 프로필 요오다이드, 부틸 요오다이드, 펜틸 요오다이드, 헥실 요오다이드 등을 형성시킬 수 있다. 아세트산 생성물 중의 상기 불순물은 소량조차도, 아세트산으로부터 가장 흔히 생성되는 생성물인 비닐 아세테이트의 생산에 사용되는 촉매의 작용을 억제시키는 경향이 있으므로, 상기 반응 생성물로부터 알킬 요오다이드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알킬 요오다이드, 특히 C2 -12 알킬 요오다이드 화합물의 제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많은 불순물들이 아세트알데하이드로부터 기원하기 때문에, 상기 방법에서 아세트알데하이드 및 알킬 요오다이드를 제거 또는 감소시키는 것이 1차적인 목적이다.
불순물을 제거하는 통상적인 기법은 상기 아세트산 생성물을 산화제, 오존, 물, 메탄올, 활성탄, 아민 등에 의해 처리함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를 아세트산의 증류와 병행하거나 병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가장 전형적인 정제 처리는 최종 생성물의 일련의 증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5,783,731 호에는 유기 스트림을 아민 화합물, 예를 들어 하이드록실아민(카보닐 화합물과 반응하여 옥심을 형성한다)으로 처리한 다음, 증류시켜 상기 옥심 반응 생성물로부터 정제된 유기 생성물을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유기 스트림으로부터 카보닐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최종 생성물의 추가적인 처리는 상기 공정에 비용을 가중시키며 상기 처리된 아세트산 생성물의 증류는 추가적인 불순물을 형성시킬 수 있다.
비교적 고 순도의 아세트산을 수득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상술한 저 수분 카보닐화 방법 및 정제 처리에 의해 형성된 아세트산 생성물은 흔히 소량의 잔류 불순물의 존재에 기인하여 퍼망가네이트 시간이 다소 불충분한 채로 남아있다. 충분한 퍼망가네이트 시간은 중요한 상업적인 검사(상기 산 생성물은 다수의 용도에 적합하도록 충족되어야 한다)이기 때문에, 퍼망가네이트 시간을 감소시키는 불순물의 존재는 부적합하다. 더욱이, 상기 불순물들 중 일부는 아세트산 생성물의 비등점에 가까운 비등점을 갖기 때문에 증류에 의해 상기 아세트산으로부터 상기 미소한 양의 불순물을 제거한다는 것은 경제적으로나 상업적으로 적합하지가 않다.
따라서 최종 생성물을 오염시키거나 불필요한 비용을 가중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카보닐화 방법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경제적으로 실용적인 방법을 밝혀내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발명에 참고로 인용되는 미국 특허 제 5,756,836 호에는 반응 용액의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를 1500 ppm 미만으로 조절함으로써 고 순도 아세트산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를 상기 임계값 미만으로 유지시킴으로써, 불순물의 형성을 억제하여 고 순도 아세트산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단지 조질 아세트산 생성물을 증류시키는 것만이 필요하도록 할 수 있음을 기술한다.
1995년 4월 12일자로 공개된 유럽 특허 제 0 487 284 B1 호에는 아세트산 생성물 중에 존재하는 카보닐 불순물이 일반적으로는 경질분(light ends) 컬럼으로부터의 오버헤드(overhead) 중에 농축되어 있음을 개시한다. 따라서, 상기 경질분 컬럼 오버헤드를 아민 화합물(예를 들어 하이드록실아민)에 의해 처리하며, 상기 화합물은 카보닐 화합물과 반응하여, 증류에 의해 나머지 오버헤드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옥심 유도체를 형성함으로써 개선된 퍼망가네이트 시간을 갖는 아세트산 생성물을 생성시킨다.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는 유럽 특허 출원 제 EP 0 687 662 A2 호 및 미국 특허 제 5,625,095 호에는 400 ppm 이하의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를 단일 또는 다단계 증류 공정을 사용하여 반응기 중에 유지시켜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제거하는 고 순도 아세트산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제거하는 공정에 제시되는 스트림은 주로 물, 아세트산 및 메틸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경질 상; 주로 메틸 요오다이드, 메틸 아세테이트 및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중질 상; 주로 메틸 요오다이드 및 메틸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오버헤드 스트림; 또는 상기 경질 상과 중질 상을 합하여 형성되는 재순환 스트림을 포함한다. 상기 참고문헌들은 상기 스트림들 중에서 최대 농도의 아세트알데하이드를 함유하는 것을 식별하지 못한다.
EP 0 687 662 A2 및 미국 특허 제 5,625,095 호에는 또한 반응기 중의 아세트알데하이드의 형성을 조절하기 위한 반응 조건의 관리가 개시되어 있다. 크로톤알데하이드, 2-에틸크로톤알데하이드 및 알킬 요오다이드와 같은 부산물의 형성이 아세트알데하이드의 형성을 조절함으로써 감소된다고 기술하고 있지만, 제안된 반응 조건들의 관리가 바람직하지 못한 부산물인 프로피온산의 형성을 증가시킴을 또한 지적하고 있다.
보다 최근에, 통상적으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 6,143,930 호 및 6,339,171 호에는 경질분 컬럼 오버헤드에 대해 다단계 정제를 수행함으로써 아세트산 생성물 중의 바람직하지 못한 불순물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음이 개시되었다. 이들 특허들은 상기 경질분 오버헤드를 2 회 증류시키고, 매 경우 아세트알데하이드 오버헤드를 취하고 메틸 요오다이드 풍부 잔류물은 반응기로 반송시키는 정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아세트알데하이드 풍부 증류물을 물에 의해 추출하여 상기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대부분을 제거하여 폐기함으로써, 라피네이트 중에 현저하게 더 낮은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를 생성시키고 이를 반응기로 재순환시킨다. 미국 특허 제 6,143,930 호 및 6,339,171 호를 본원에 참고로 인용한다.
상술한 방법들이 카보닐화 시스템으로부터 카보닐 불순물을 제거하고 대체로 최종 아세트산 생성물 중의 아세트알데하이드 수준 및 퍼망가네이트 시간 문제를 조절하는데 성공적이었지만, 여전히 추가의 개선이 가능하다. 따라서, 아세트알데하이드 제거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이 여전히 필요하다. 본 발명은 하나의 상기와 같은 또 다른 해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태양에서, 본 발명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아세트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a) 촉매 및 유기 요오다이드를 포함하는 적합한 반응 매질에서 메탄올 및 이산화 탄소를 반응시키는 단계;
(b) 상기 반응 생성물을 아세트산, 유기 요오다이드 및 하나 이상의 퍼망가네이트 환원 화합물(PRC)을 함유하는 휘발성 생성물 상과 촉매 및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덜 휘발성 상으로 분리시키는 단계;
(c) 상기 휘발성 생성물 상을 증류시켜 정제된 생성물, 및 유기 요오다이드, 물, 아세트산 및 미반응된 메탄올을 함유하는 제 1 오버헤드를 생성시키는 단계;
(d) 상기 제 1 오버헤드의 적어도 일부를 증류시켜 PRC 풍부 제 2 오버헤드를 생성시키는 단계;
(e) 상기 제 2 오버헤드를 물에 의해 추출하고 이로부터 폐기용의 농축된 PRC를 함유하는 수성 추출물을 분리하는 단계; 및
(f) 상기 추출된 제 2 오버헤드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1 오버헤드 일부와 함께 증류시키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된 제 2 오버헤드의 다른 부분은 반응기로 재순환한다.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물, 아세트산, 메틸 요오다이드, 메틸 아세테이트, 메탄올, 하나 이상의 C2 -12 알킬 요오다이드 및 하나 이상의 퍼망가네이트 환원 화합물(PRC)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분리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개선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a) 상기 혼합물을 증류시켜 PRC 풍부 오버헤드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PRC 풍부 오버헤드 스트림을 물에 의해 추출하고 이로부터 하나 이상의 PRC를 함유하는 수성 스트림을 분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출된 PRC 풍부 오버헤드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혼합물과 함께 증류시키는 단계.
또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메탄올의 아세트산 생성물로의 카보닐화에서 형성되는 C2 -12 알킬 요오다이드 화합물 및 퍼망가네이트 환원 화합물(PRC)을 감소 및/또는 제거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개선된 방법에서, 메탄올은 촉매 및 유기 요오다이드를 함유하는 반응 매질에서 카보닐화되고, 카보닐화 반응의 생성물은 (1) 아세트산 생성물, 유기 요오다이드, 물 및 하나 이상의 PRC를 함유하는 휘발성 상, 및 (2) 촉매를 함유하는 덜 휘발성 상으로 분리되며, 상기 휘발성 상은 증류되어 유기 요오다이드, 물, 아세트산 및 PRC를 함유하는 제 1 오버헤드 및 정제된 생성물을 생성한다. 상기 개선은 (a) 상기 제 1 오버헤드를 증류시켜 PRC 풍부 제 2 오버헤드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 2 오버헤드 스트림을 물에 의해 추출하고 이로부터 PRC를 함유하는 수성 스트림을 분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출된 제 2 오버헤드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1 오버헤드와 함께 증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제 2 오버헤드 또는 PRC 풍부 오버헤드는 수성 추출물 스트림에서 메틸 요오다이드의 용해도를 감소시키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다이메틸 에테르를 함유한다.
도 1은 카보닐화 반응에 의한 아세트산의 제조를 위한 카보닐화 공정의 중간 스트림으로부터 카보닐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미국 특허 제 6,339,171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방법을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을 예시한다.
본 발명을 다양한 변경 및 또 다른 형태로 수행할 수 있지만, 특정한 실시태양을 도면에 예로서 도시하였으며 본원에서 상세히 개시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정한 형태로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오히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경, 등가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태양들을 하기에 예시한다. 명확성을 위해서, 실제 실행의 모든 특징들을 본 명세서에 개시하지는 않는다. 임의의 상기와 같은 실제 실시태양의 개발에서, 개발자의 특정한 목적, 예를 들어 시스템 관련 및 사업 관련된 속박에 대한 융통성(실행에 따라 다를 것이다)을 성취하기 위해서 다수의 실행-특이적인 결정을 해야함을 물론 인식할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개발 노력은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일 수도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노력을 본 내용의 이점을 갖는 분야의 통상적인 숙련가들이 통상적으로 맡을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정제 방법은 VIII 족 금속 촉매, 예를 들어 로듐 및 요오다이드 촉진제의 존재 하에서 메탄올(또는 또다른 카보닐화될 수 있는 반응물, 예컨대 메틸 아세테이트, 메틸 포르메이트 또는 다이메틸 에테르)을 아세트산으로 카보닐화하는데 사용되는 임의의 방법에 유용하다. 특히 유용한 방법은 미국 특허 제 5,001,259 호에 예시된 바와 같은 메탄올의 아세트산으로의 저 수분 로듐 촉매화된 카보닐화이다. 일반적으로는 상기 촉매 시스템의 로듐 성분은 배위 화합물의 리간드들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할로겐 성분과 로듐의 배위 화합물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로듐과 할로겐의 배위결합 이외에, 일산화 탄소가 로듐과 배위결합하는 것으로 또한 여겨진다. 상기 촉매 시스템의 로듐 성분은 반응 대역 내로 로듐 금속, 로듐 염, 예를 들어 산화물, 아세테이트, 요오다이드 등, 또는 로듐의 다른 배위 화합물 등의 형태로 로듐을 도입시킴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촉매 시스템의 할로겐 촉진 성분은 유기 할라이드를 포함하는 할로겐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알킬, 아릴 및 치환된 알킬 또는 아릴 할라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할라이드 촉진제는 알킬 라디칼이 공급 알콜(카보닐화된다)의 알킬 라디칼에 상응하는 알킬 할라이드의 형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메탄올의 아세트산으로의 카보닐화에서, 상기 할라이드 촉진제는 메틸 할라이드,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 요오다이드를 함유할 것이다.
사용되는 액체 반응 매질은 상기 촉매 시스템과 상용성인 임의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순수한 알콜, 또는 알콜 공급원료 및/또는 목적하는 카복실산의 혼합물 및/또는 이들 두 화합물의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 수분 카보닐화 방법에 바람직한 용매 및 액체 반응 매질은 카복실산 생성물이다. 따라서, 메탄올의 아세트산으로의 카보닐화에서 바람직한 용매는 아세트산이다.
물이 상기 반응 매질 중에 함유되지만, 충분한 반응 속도를 성취하기 위해 지금까지 실용적인 것으로 생각되었던 농도보다 매우 낮은 농도로 함유된다. 본 발명에 열거된 유형의 로듐 촉매화된 카보닐화 반응에서, 이전에는 물의 첨가가 반응 속도에 이로운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교시되었다(미국 특허 제 3,769,329 호). 따라서 대부분의 상업적인 공정들은 약 14 중량% 이상의 물 농도로 실행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와 같은 높은 수준의 물 농도에 의해 획득된 반응 속도 이상의 반응 속도가 14 중량% 미만 및 약 0.1 중량% 정도로 낮은 물 농도로 성취될 수 있음은 매우 뜻밖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세트산의 제조에 가장 유용한 카보닐화 방법에 따라, 낮은 물 농도에서도 반응 매질에 메틸 아세테이트 및 추가적인 요오다이드 이온(메틸 요오다이드 또는 다른 유기 요오다이드와 같은 촉매 촉진제로서 존재하는 요오다이드 이외의 것)을 포함시킴으로써 목적하는 반응 속도가 획득된다. 상기 추가적인 요오다이드 촉진제는 요오다이드 염이며, 리튬 요오다이드가 바람직하다. 저 수분 농도 하에서, 메틸 아세테이트 및 리튬 요오다이드는 오직 상기 각 성분들이 비교적 높은 농도로 존재할 때 속도 촉진제로서 작용하며, 상기 촉진은 상기 성분들이 모두 동시에 존재할 때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미국 특허 제 5,001,259 호). 바람직한 카보닐화 반응 시스템의 반응 매질에 사용되는 리튬 요오다이드의 농도는 상기 종류의 반응 시스템에서 할라이드 염의 사용을 다루는 종래 기술의 적은 농도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여겨진다. 요오다이드 이온 함량의 절대 농도는 본 발명의 유용성을 제한하지 않는다.
메탄올의 아세트산 생성물로의 카보닐화 반응은, 액상인 메탄올 공급물을 로듐 촉매, 메틸 요오다이드 촉진제, 메틸 아세테이트, 및 추가의 용해성 요오다이드 염을 함유하는 액체 아세트산 용매 반응 매질을 통해 발포되는 기상 일산화 탄소와, 카보닐화 생성물을 형성시키기에 적합한 온도 및 압력 조건 하에서 접촉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촉매 시스템 중의 요오다이드 이온의 농도는 중요하고 상기 요오다이드와 회합된 양이온은 아니며, 주어진 요오다이드의 몰 농도에서 상기 양이온의 성질은 상기 요오다이드 농도의 영향만큼 중요하지는 않은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임의의 금속 요오다이드 염, 또는 임의의 유기 양이온 또는 4급 양이온, 예를 들어 4급 아민 또는 포스핀 또는 무기 양이온의 임의의 요오다이드 염을 사용할 수 있으나, 단 상기 염은 상기 요오다이드의 목적하는 수준을 제공할 정도로 충분히 상기 반응 매질에 용해성이어야 한다. 상기 요오다이드를 금속염으로서 가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는 문헌["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Cleveland, Ohio, 1975-76(56th edition)]에 개시한 바와 같은 주기율표 IA 족 및 IIA 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의 일원의 요오다이드 염이다. 특히, 알칼리 금속 요오다이드가 유용하며, 리튬 요오다이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가장 유용한 저 수분 카보닐화 방법에서, 상기 유기 요오다이드 촉진제 이외의 추가적인 요오다이드는 상기 촉매 용액 중에 약 2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메틸 아세테이트는 약 0.5 내지 약 3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리튬 요오다이드는 약 5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로듐 촉매는 약 200 내지 약 2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전형적인 카보닐화 반응 온도는 대략 150 내지 약 250 ℃일 것이며, 약 180 내지 약 220 ℃의 온도 범위가 바람직한 범위이다. 반응기 중의 일산화 탄소 분압은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는 약 2 내지 약 30 atm,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10 atm이다. 부산물의 분압 및 상기 함유된 액체의 증기압으로 인해, 전체 반응기 압력은 약 15 내지 약 40 atm의 범위일 것이다.
메탄올의 아세트산으로의 요오다이드 촉진된 로듐 촉매화된 카보닐화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반응 및 아세트산 회수 시스템을 도 1에 나타내며, 상기 시스템은 액상 카보닐화 반응기, 플래셔(flasher), 및 메틸 요오다이드 아세트산 경질분 컬럼(14)(이는 추가 정제로 진행하는 아세트산 부 스트림(17)을 갖는다)을 포함한다. 상기 반응기와 플래셔는 도 1에 도시되지 않는다. 이는 현재 카보닐화 공정 분야에 널리 공지된 표준 장비인 것으로 간주된다. 카보닐화 반응기는 전형적으로는 교반식 용기 또는 발포 컬럼 반응기이며, 내부의 반응 액체 또는 슬러리 함량은 일정한 수준으로 자동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반응기에 새로운 메탄올, 일산화 탄소, 반응 매질 중에 적어도 제한된 물 농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필요한 충분한 물, 플래셔 기부로부터 재생된 촉매 용액, 재생된 메틸 요오다이드 및 메틸 아세테이트 상, 및 상기 메틸 요오다이드 아세트산 경질분 또는 분할 컬럼(14)의 오버헤드 수용기 디캔터(decanter)로부터 재생된 수성 아세트산 상을 연속적으로 도입시킨다. 조질 아세트산을 회수하고 촉매 용액, 메틸 요오다이드 및 메틸 아세테이트를 반응기로 재순환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는 증류 시스템이 사용된다. 바람직한 방법에서, 일산화 탄소를 내용물의 교반에 사용되는 교반기 바로 아래의 카보닐화 반응기 내로 연속 도입시킨다. 기상 공급물을 상기 교반 수단에 의해 반응 액체를 통해 철저히 분산시킨다. 기상 퍼지 스트림을 상기 반응기로부터 배출시켜 기상 부산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주어진 전체 반응기 압력에서 고정된 일산화 탄소 분압을 유지시킨다. 상기 반응기의 온도를 조절하고 일산화 탄소 공급물을 목적하는 전체 반응기 압력을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속도로 도입시킨다.
액체 생성물을 카보닐화 반응기 중에서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속도로 상기 반응기로부터 빼내고 플래셔에 도입시킨다. 상기 플래셔에서 촉매 용액을 기부 스트림(보다 적은 양의 메틸 아세테이트, 메틸 요오다이드 및 물과 함께, 우세하게는 로듐 및 요오다이드 염을 함유하는 아세트산)으로서 회수하는 반면, 상기 플래셔의 증기 오버헤드 스트림은 메틸 요오다이드, 메틸 아세테이트 및 물과 함께 주로 아세트산 생성물을 함유한다. 상기 반응기를 나와 플래셔로 들어가는 용해된 기체는 메탄, 수소 및 이산화 탄소와 같은 기상 부산물과 함께 일산화 탄소의 일부로 이루어지며, 오버헤드 스트림의 일부로서 상기 플래셔를 나간다. 상기 오버헤드 스트림은 스트림(26)으로서 경질분 또는 분할 컬럼(14)을 향한다.
미국 특허 제 6,143,930 호 및 6,339,171 호는 컬럼(14)을 나오는 중질 상 스트림에서보다 경질 상 스트림 중에 보다 고 농도, 약 3 배의 PRC 및 특히 아세트알데하이드 함량이 존재함을 개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PRC 함유 스트림(28)은 오버헤드 수용기 디캔터(16)를 향하며, 여기에서 경질분 상인 스트림(30)은 증류 컬럼(18)을 향한다.
본 발명은 대체적으로 증기 상 아세트산 스트림으로부터 PRC, 주로 알데하이드 및 알킬 요오다이드를 증류하는 개선된 방법으로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증기 상 스트림을 증류 및 추출시켜 PRC를 제거한다. 제 1 증기 상 아세트산 스트림으로부터 알데하이드 및 알킬 요오다이드를 제거하고 아세트산 생성물 중에서 프로피온산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특히 바람직한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a) 제 1 응축기에서 제 1 증기 상 아세트산 스트림을 응축시키고 이를 2상으로 분리시켜 제 1 중질 액상 생성물과 제 1 경질 액상 생성물을 형성시키는 단계(상기 제 1 중질 액상은 상기 제 1 경질 액상 생성물보다 더 큰 비율의 촉매 성분을 함유한다);
b) 제 1 증류 컬럼에서 상기 경질 액상 생성물을 증류시켜 상기 제 1 증기 상 아세트산 스트림에 대해 알데하이드 및 알킬 요오다이드가 풍부한 제 2 증기 상 아세트산 생성물 스트림을 형성시키는 단계;
c) 제 2 응축기에서 상기 제 2 증기 상 스트림을 응축시켜 제 2 액상 생성물을 형성시키는 단계;
d) 제 2 증류 컬럼에서 상기 제 2 액상 생성물을 증류시켜 제 3 증기 상 스트림을 형성시키는 단계;
e) 상기 제 3 증기 상 스트림을 응축시키고 상기 응축된 스트림을 물에 의해 추출하여 이로부터 잔류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제거하는 단계; 및
f) 상기 추출된 제 3 증기 상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2 증류 컬럼으로 재순환시키는 단계.
미국 특허 제 6,339,171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실시태양을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 대해서, 제 1 증기 상 아세트산 스트림(28)은 메틸 요오다이드, 메틸 아세테이트, 아세트알데하이드 및 다른 카보닐 성분을 함유한다. 이어서 상기 스트림은 응축되고 분리되어(용기(16)에서) 보다 많은 비율의 촉매 성분(반응기(도 1에 도시 안됨)로 재순환된다)을 함유하는 중질 상 생성물과 아세트알데하이드, 물 및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경질 상(30)을 분리시킨다.
상기 경질분 오버헤드의 어느 한 상을 후속적으로 증류시켜 상기 스트림의 PRC 및 주로 아세트알데하이드 성분을 제거할 수 있지만, 상기 경질 상(30)으로부터 PRC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가 상기 상 중에서 다소 더 큰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여기에 도시되고 개시된 실시태양에서, 상기 증류를 2 단계로 수행하지만; 상기 증류를 또한 단일 컬럼에서 수행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상기 경질 상(30)은 컬럼(18)을 향하며, 상기 컬럼은 스트림(28)에 대해 알데하이드 및 알킬 요오다이드가 풍부한 제 2 증기 상(36)을 형성시키는 작용을 한다. 스트림(36)은 응축되고(용기 20) 2상으로 분리되어 제 2 중질 액상 생성물 및 제 2 경질 액상 생성물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 2 중질 액상은 제 2 경질 액상보다 더 높은 비율의 촉매 성분을 함유하며, 이어서 반응기로 재순환한다. 아세트알데하이드, 메틸 요오다이드, 메탄올 및 메틸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제 2 경질 액상(40)은 제 2 증류 컬럼(22)을 향하고, 여기에서 아세트알데하이드가 다른 성분들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의 공정은 아세트산 스트림 중에서 발견되는 알킬 요오다이드 불순물의 50% 이상을 감소 및/또는 제거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아세트알데하이드 및 그의 유도체는 50% 이상까지, 가장 종종 60%를 초과하여 감소 및/또는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상기 아세트산 생성물 중의 프로피온산의 농도를 중량 기준으로 약 40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250 ppm 미만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경질분 또는 분할 컬럼(14)의 상부로부터, 증기는 스트림(28)을 통해 제거되고, 응축되어, 용기(16)를 향한다. 상기 증기는 응축 가능한 메틸 요오다이드, 메틸 아세테이트, 아세트알데하이드 및 다른 카보닐 성분, 및 물을 응축시키고 2 개의 상으로 분리시키기에 충분한 온도로 냉각된다. 스트림(28)의 일부는 응축 가능하지 않은 기체, 예를 들어 이산화 탄소, 수소 등을 함유하며 도 1에서 스트림(29)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트림(28)의 중질 상이 또한 오버헤드 수용기 디캔터(16)를 떠난다. 통상적으로 상기 중질 상은 반응기로 재순환되지만, 일반적으로는 소량, 예를 들어 상기 중질 상의 25 부피%, 바람직하게는 약 20 부피% 미만의 슬립 스트림은 또한 카보닐 처리 공정을 향하고 나머지는 반응기 또는 반응 시스템으로 재순환된다. 상기 중질 상의 슬립 스트림을 추가의 증류 및 카보닐 불순물의 추출을 위해 개별적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경질 상(스트림 30)과 합할 수 있다.
상기 경질 상(스트림 30)은 증류 컬럼(18)을 향한다. 스트림(30)의 일부는 환류 스트림(34)으로서 다시 경질분 컬럼(14)을 향한다. 스트림(30)의 나머지는 스트림(32)으로서 컬럼(18)에 대략 상기 컬럼의 중간으로 들어간다. 컬럼(18)은 보다 가벼운 성분으로부터 물과 아세트산을 분리시킴으로써 스트림(32)의 알데하이드 성분을 오버헤드 스트림(36)으로 농축시키는 작용을 한다. 스트림(32)은 제 1 증류 컬럼(18)에서 증류되며, 상기 컬럼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40 개의 트레이를 함유하고 상기 중의 온도 범위는 컬럼 기부에서 약 283 ℉(139.4 ℃) 내지 상부에서 약 191 ℉(88.3 ℃)이다. 대략 70%의 물과 30%의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스트림(38)이 (18)의 기부에서 나온다. 스트림(38)은 진행하여, 일반적으로는 열 교환기에 의해 냉각되고, 스트림(46), (48)을 통해 경질분 컬럼 오버헤드 디캔터(16)로 재순환되어 결국에는 반응기 또는 반응 시스템으로 재순환된다. 스트림(46)으로서 나타낸 스트림(38)의 일부가 디캔터(16)를 통해 다시 재순환되는 것은 본 발명 방법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경질 상인 스트림(32)에 보다 많은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존재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스트림(36)은 스트림(38)이 상기 방식으로 디캔터(16)를 통해 재순환될 때 대략 7 배 더 많은 알데하이드 함량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PRC 및 특히 아세트알데하이드, 메틸 요오다이드, 메틸 아세테이트 및 메탄올, 및 알킬 요오다이드를 함유하는 스트림(36)이 컬럼(18)의 상부를 나간다. 이어서 스트림(36)은 냉각되어, 존재하는 임의의 응축성 기체가 응축된 후에 오버헤드 수용기(20)를 향한다.
아세트알데하이드, 메틸 요오다이드, 메틸 아세테이트 및 메탄올을 함유하는 스트림(40)이 오버헤드 수용기(20)를 나간다. 스트림(40)의 일부는 환류 스트림(42)으로서 컬럼(18)으로 반송된다. 스트림(40)의 나머지는 상기 컬럼의 기부에 가까운 제 2 증류 컬럼(22)으로 들어간다. 컬럼(22)은 스트림(40) 중의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대부분을 메틸 요오다이드, 메틸 아세테이트 및 메탄올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용을 한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컬럼(22)은 약 100 개의 트레이를 함유하며, 기부에서 약 224 ℉(106.6 ℃) 내지 상부에서 약 175 ℉(79.4 ℃) 범위의 온도에서 작동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컬럼(22)은 트레이 대신에 구조화된 패킹을 함유한다. 바람직한 패킹은 바람직하게는 2205와 같은 금속 합금 또는 다른 유사 패킹 물질로부터 제조된, 약 65 ft2/ft3의 계면 면적을 갖는 구조화된 패킹이지만, 단 상기 컬럼에서 정제되는 조성물과 상용성이어야 한다. 실험 과정 동안 양호한 분리에 필요한 균일한 컬럼 로딩이 트레이에 의해서 보다는 구조화된 패킹에 의해서 더 우수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편으로, 세라믹 패킹을 사용할 수도 있다. 컬럼(22)의 잔사인 스트림(44)은 상기 컬럼의 기부에서 나가 카보닐화 공정으로 재순환된다.
미국 특허 제 6,339,171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컬럼(22)의 가열 도중에 고 분자량의 아세트알데하이드 형태의 중합체가 형성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보다 고 분자량의 중합체(약 1000 초과의 분자량)는 상기 경질 상의 처리 중에 형성되며 점성이고 요변성인 것으로 여겨진다. 상기 시스템에 열이 적용됨에 따라, 상기는 경화되어 탑의 벽에 들러붙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제거하기가 성가시다. 중합 시, 상기는 유기 또는 수성 용매에 단지 약간 용해되며 오직 기계적 수단에 의해서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컬럼(22) 중에 상기 불순물, 즉 메트알데하이드 및 파르알데하이드 및 보다 고 분자량의 아세트알데하이드(AcH) 중합체의 형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억제제가 필요하다. 억제제는 일반적으로는 개별적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서로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억제제와 함께 사용되는 C1 -10 알칸올,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물; 아세트산 등으로 이루어진다. 컬럼(18) 잔사의 일부이고 스트림(38)의 슬립 스트림인 스트림(46)은 물과 아세트산을 함유하며, 따라서 억제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림(46)은 분할되어 스트림(48)과 (50)을 형성한다. 스트림(50)은 컬럼(22)에 부가되어 메트알데하이드 및 파르알데하이드 불순물 및 보다 고 분자량 중합체의 형성을 억제한다. 제 2 컬럼(22)의 잔사는 반응기로 재순환되기 때문에, 첨가되는 임의의 억제제들은 반응 화학에 상용성이어야 한다. 소량의 물, 메탄올, 아세트산 또는 이들의 조합은 반응 화학을 방해하지 않으며 실제적으로는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중합체의 형성을 제거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스트림(50)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질이 반응기 물 균형을 변화시키지 않으므로 억제제로서 사용된다. 물이 억제제로서 특별히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물을 컬럼(22)에 첨가함으로써 다른 중요한 이점들이 획득된다(하기 상술됨).
PRC를 함유하는 스트림(52)이 컬럼(22)의 상부를 나간다. 스트림(52)은 응축기를 향하며 이어서 오버헤드 수용기(24)를 향한다. 응축 후에, 임의의 비 응축성 물질은 수용기(24)로부터 배출되며; 응축된 물질은 스트림(54)으로서 수용기(24)를 나간다. 스트림(54)의 슬립 스트림인 스트림(56)은 컬럼(22)에 대한 환류물로서 사용된다. 메틸 요오다이드, 메탄올, 메틸 아세테이트, 메탄올 및 물을 함유하는 스트림(44)이 컬럼(22)의 기부를 나간다. 상기 스트림은 스트림(66)과 합해져서(하기에 개시할 것이다) 반응기를 향한다.
추출 기전에 있어서 컬럼(22)의 오버헤드 스트림이 저온, 일반적으로는 약 13 ℃의 온도로 남아있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스트림은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기법에 의해, 또는 산업상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임의의 기전에 의해 약 13 ℃로 수득되거나 상기 온도에서 유지될 수 있다.
수용기(24)를 나갈 때 스트림(58)은 바람직하게는 응축기/냉각기를 통해 발송되고(이제는 스트림(62)) 이어서 수성 PRC 스트림으로부터 소량의 메틸 요오다이드를 제거 및 재순환시키기 위해 추출기(27)로 보내진다. 추출기(27)에서, PRC 및 알킬 요오다이드는 물, 바람직하게는 내부 스트림으로부터의 물에 의해 추출되어 반응 시스템 내의 물 균형을 유지시킨다. 이러한 추출 결과, 메틸 요오다이드가 수성 PRC 및 알킬 요오다이드 상으로부터 분리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약 2의 물 대 공급물 비를 갖는 혼합기-침전기가 사용된다.
수성 추출물 스트림(64)은 추출기의 상부로부터 상기 추출기를 떠난다. 이러한 PRC 풍부 및 특히 아세트알데하이드 풍부 수성 상은 폐 처리를 향한다. 통상적으로 반응 시스템 및 결국에는 반응기로 재순환되는 메틸 요오다이드를 함유하는 라피네이트 스트림(66)이 또한 상기 추출기를 나간다.
본 출원인은 적어도 일부의 라피네이트 스트림(66)이 증류 컬럼(22)으로 반송되어 전체 시스템의 알데하이드 제거 효율이 향상됨을 발견하였다. 이는 적어도 일부의 스트림(66)을 스트림(32)(컬럼(18)으로의 공급물)과 추출기(27) 사이의 임의의 지점으로 반송시켜 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일부 스트림(66)은 스트림(68)으로서 분할되어 컬럼 공급물 스트림(40)과 혼합되거나 또다른 지점에서 컬럼(22)에 직접적으로 스트림(68)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컬럼에 공급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모든 스트림(66)은 컬럼(22)으로 반송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스트림을 컬럼(22)으로 반송하기보다 오히려 적어도 일부의 스트림(66)을 상기 반응 시스템으로 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출원인이 본 발명을 시험하기 시작할 때, 컬럼(22) 안의 압력이 시간에 따라 상당히 상승됨을 관찰하였다(이는 추출에서 제거되지 않는 시스템 내의 휘발성 성분의 축적을 가리킨다). 본 출원인은 메틸 아세테이트 및 메틸 요오다이드의 메탄올로의 가수분해 및 다이메틸 에테르(DME)의 후속 형성을 비롯한 컬럼(22) 내에 일어나는 수 많은 화학 반응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DME가 컬럼 압력의 증가를 유발하는 휘발성 성분임을 확인하였다. 추출기(27)로부터 모든 라피네이트 스트림(66)이 컬럼(22)으로 재순환하는 경우, 컬럼에서 형성되는 DME는 시스템으로부터 제거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일부 스트림(66)을 반응기 시스템으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재순환시킴으로써 해결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예를 들면, 스트림(66)은 용기(16)로 재순환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기재한 반응기로 반송되는 중질 상과 합쳐진다. DME가 상기 반응기에서 카보닐화되어 아세트산을 생성하기 때문에, DME-함유 스트림(66)의 일부를 상기 반응기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재순환하는 것은 아세트알데하이드 제거 시스템에서 DME가 축적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한다.
그러나, 동시에 본 출원인은 아세트알데하이드 제거 시스템에서 소량의 DME의 존재로 인한 예상치 못한 장점을 또한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DME는 물에서 메틸 요오다이드의 용해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추출기(27)로의 공급물에서 DME의 존재는 스트림(64)으로 추출되고 폐수 처리에서 손실되는 메틸 요오다이드의 양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은 스트림(64) 중의 메틸 요오다이드의 농도가 약 1.8 %(DME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로부터 약 0.5 %(DME가 존재하는 경우)로 떨어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틸 요오다이드는 반응 시스템의 특히 값비싼 성분이기 때문에, 폐기물로서 공정으로부터 제거되는 메틸 요오다이드의 양을 감소시켜 반응기로 공급되는 신선한 메틸 요오다이드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의 태양은 추출기(27)의 업스트림(예컨대, 스트림(62))으로 부가적인 DME를 주입하여 메틸 요오다이드의 수성 추출물 스트림(64)으로의 손실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르게는, 공급물 스트림(40) 또는 환류 스트림(56)에서 부가적인 물을 컬럼(22)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공정 내에 부가적인 DME를 생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태양을 참고로 개시하였지만, 명백한 변경 및 변화들이 관련 분야의 숙련가들에 의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을 일반적으로는 컬럼(14)의 경질분 상을 사용하여 상술하였지만, 고 농도의 PRC 및 알킬 요오다이드를 갖는 카보닐화 공정에서 임의의 스트림을 본 발명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든 상기와 같은 변화 및 변경을 하기 청구의 범위 또는 그의 등가물의 범위 내에 있는 충분한 정도로 수행함을 포함한다.

Claims (23)

  1. 아세트산을 포함하는 생성물을 생성시키기 위한, 메탄올, 메틸 아세테이트, 메틸 포르메이트, 다이메틸 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카보닐화될 수 있는 반응물의 카보닐화에서, 형성되는 C2 -12 알킬 요오다이드 화합물 및 퍼망가네이트 환원 화합물(PRC)을 감소 및/또는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카보닐화 생성물을 분리하여, 아세트산을 포함하는 휘발성 상, 및 덜 휘발성 상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휘발성 상을 증류시켜, 정제된 아세트산 생성물; 및 유기 요오다이드, 물, 아세트산 및 하나 이상의 PRC를 포함하는 제 1 오버헤드를 생성시키는 단계;
    (c) 상기 제 1 오버헤드의 적어도 일부를 증류 장치에서 증류시켜 PRC 풍부 제 2 오버헤드를 형성시키는 단계;
    (d) 상기 제 2 오버헤드를 물에 의해 추출하고 이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PRC를 포함하는 수성 스트림을 분리하는 단계;
    (e) 추출된 제 2 오버헤드의 적어도 제 1 부분을 상기 증류 장치로 재순환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추출된 제 2 오버헤드의 적어도 제 2 부분을 반응 매질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재순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오버헤드가, 상기 수성 스트림에서의 메틸 요오다이드의 용해도를 감소시키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다이메틸 에테르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 장치에서 다이메틸 에테르를 형성시킴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 장치와 관련된 스트림에 물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증류 장치에서 다이메틸 에테르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제 2 오버헤드의 재순환된 제 1 부분을 상기 제 1 오버헤드 부분과 함께 상기 증류 장치에 공급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제 2 오버헤드의 재순환된 제 1 부분을 상기 제 1 오버헤드 부분과는 별도로 상기 증류 장치에 공급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상, 상기 제 1 오버헤드, 상기 제 2 오버헤드, 상기 휘발성 상의 증류와 관련된 환류 스트림 및 상기 증류 장치의 환류 스트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스트림내로 다이메틸 에테르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PRC가 아세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충분한 양의 상기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상기 휘발성 상으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정제된 아세트산 생성물에서의 프로피온산의 농도를 중량 기준으로 약 400 ppm 미만으로 유지시키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충분한 양의 상기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상기 휘발성 상으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정제된 아세트산 생성물에서의 프로피온산의 농도를 중량 기준으로 약 250 ppm 미만으로 유지시키는, 방법.
  10. (a) 메탄올, 메틸 아세테이트, 메틸 포르메이트 및 다이메틸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반응물을, 적합한 반응 매질을 함유하는 반응기에서 카보닐화시키는 단계;
    (b) 상기 카보닐화 생성물을, 아세트산 및 하나 이상의 퍼망가네이트 환원 화합물(PRC)을 포함하는 휘발성 생성물 상, 및 덜 휘발성 상으로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휘발성 생성물 상을 증류시켜, 정제된 아세트산 생성물; 및 유기 요오다이드, 물, 아세트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PRC를 포함하는 제 1 오버헤드를 생성시키는 단계;
    (d) 상기 제 1 오버헤드의 적어도 일부를 증류시켜 PRC 풍부 제 2 오버헤드를 생성시키는 단계;
    (e) 상기 제 2 오버헤드를 물에 의해 추출하고, 이로부터 폐기용의 농축된 PRC를 함유하는 수성 추출물을 분리하고, 이때, 추출된 제 2 오버헤드의 적어도 제 1 부분을 단계 (d)로 재순환시켜 상기 제 1 오버헤드와 함께 증류시키는 단계; 및
    (f) 추출된 제 2 오버헤드의 적어도 제 2 부분을 상기 반응기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재순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오버헤드가, 수성 스트림에서의 메틸 요오다이드의 용해도를 감소시키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다이메틸 에테르를 포함하는, 아세트산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상, 상기 제 1 오버헤드, 상기 제 2 오버헤드, 상기 휘발성 상의 증류와 관련된 환류 스트림 및 상기 제 1 오버헤드 부분의 증류와 관련된 스트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스트림내로 다이메틸 에테르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버헤드 부분의 증류 동안 다이메틸 에테르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다이메틸 에테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반응기에서 일산화 탄소와 반응시키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버헤드로 또는 상기 추출된 제 2 오버헤드의 제 1 부분으로 물을 주입하여, 상기 제 1 오버헤드 부분의 증류 동안 다이메틸 에테르의 형성을 촉진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PRC가 아세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충분한 양의 상기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상기 휘발성 상으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정제된 아세트산 생성물에서의 프로피온산의 농도를 중량 기준으로 약 400 ppm 미만으로 유지시키는,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충분한 양의 상기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상기 휘발성 상으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정제된 아세트산 생성물에서의 프로피온산의 농도를 중량 기준으로 약 250 ppm 미만으로 유지시키는, 방법.
  17. 물, 아세트산, 메틸 요오다이드, 메틸 아세테이트, 메탄올, 하나 이상의 C2 -12 알킬 요오다이드 및 하나 이상의 퍼망가네이트 환원 화합물(PRC)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혼합물을 증류시켜, 메틸 요오다이드, 물 및 상기 하나 이상의 PRC를 포함하는 PRC 풍부 오버헤드 스트림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PRC 풍부 오버헤드 스트림을 물에 의해 추출하고, 이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PRC를 함유하는 수성 스트림을 분리하는 단계; 및
    (c) 추출된 PRC 풍부 오버헤드의 적어도 제 1 부분을 상기 혼합물과 함께 증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물, 아세트산, 메틸 요오다이드, 메틸 아세테이트, 메탄올, 하나 이상의 C2 -12 알킬 요오다이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PRC를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을, 상기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질 상과 메틸 요오다이드를 포함하는 중질 상으로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메탄올 카보닐화 반응기의 유출물에서 액체-증기 상 분리를 수행하여 증기 상 및 액상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증기 상을 증류시켜 제 1 오버헤드 및 액체 생성물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 오버헤드의 적어도 일부를 응축시켜 상기 액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추출된 PRC 풍부 오버헤드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카보닐화 반응기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재순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때 상기 PRC 풍부 오버헤드 스트림이, 상기 수성 스트림에서의 메틸 요오다이드의 용해도를 감소시키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다이메틸 에테르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상기 PRC 풍부 오버헤드 및 상기 증류와 관련된 스트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스트림내로 다이메틸 에테르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PRC가 아세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충분한 양의 상기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상기 휘발성 상으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정제된 아세트산 생성물에서의 프로피온산의 농도를 중량 기준으로 약 400 ppm 미만으로 유지시키는,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충분한 양의 상기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상기 휘발성 상으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정제된 아세트산 생성물에서의 프로피온산의 농도를 중량 기준으로 약 250 ppm 미만으로 유지시키는, 방법.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증류 동안 다이메틸 에테르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다이메틸 에테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반응기에서 일산화 탄소와 반응시키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상기 혼합물의 증류와 관련된 스트림, 또는 상기 추출된 PRC 풍부 오버헤드의 제 1 부분내로 물을 첨가하여, 상기 증류 동안 다이메틸 에테르의 형성을 촉진시키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127029806A 2004-03-02 2005-02-24 메탄올 카보닐화 공정 스트림으로부터 퍼망가네이트 환원 화합물의 제거 방법 KR101405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08,421 US7223883B2 (en) 2004-03-02 2004-03-02 Removal of permanganate reducing compounds from methanol carbonylation process stream
US10/708,421 2004-03-02
PCT/US2005/005786 WO2005087699A1 (en) 2004-03-02 2005-02-24 Removal of permanganate reducing compounds from methanol carbonylation process strea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7671A Division KR101299267B1 (ko) 2004-03-02 2005-02-24 메탄올 카보닐화 공정 스트림으로부터 퍼망가네이트 환원화합물의 제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586A true KR20120132586A (ko) 2012-12-05
KR101405773B1 KR101405773B1 (ko) 2014-06-10

Family

ID=349111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7671A KR101299267B1 (ko) 2004-03-02 2005-02-24 메탄올 카보닐화 공정 스트림으로부터 퍼망가네이트 환원화합물의 제거 방법
KR1020127029806A KR101405773B1 (ko) 2004-03-02 2005-02-24 메탄올 카보닐화 공정 스트림으로부터 퍼망가네이트 환원 화합물의 제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7671A KR101299267B1 (ko) 2004-03-02 2005-02-24 메탄올 카보닐화 공정 스트림으로부터 퍼망가네이트 환원화합물의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7223883B2 (ko)
EP (1) EP1737808B1 (ko)
JP (1) JP5078606B2 (ko)
KR (2) KR101299267B1 (ko)
CN (1) CN100522918C (ko)
AR (1) AR048246A1 (ko)
AT (1) ATE397578T1 (ko)
AU (1) AU2005222058B2 (ko)
BR (1) BRPI0508383B1 (ko)
CA (1) CA2556899C (ko)
DE (1) DE602005007338D1 (ko)
ES (1) ES2306120T3 (ko)
MY (1) MY139747A (ko)
NO (1) NO20064427L (ko)
NZ (1) NZ549221A (ko)
PL (1) PL209290B1 (ko)
RS (1) RS20060491A (ko)
RU (1) RU2379279C2 (ko)
TW (1) TWI350282B (ko)
UA (1) UA91825C2 (ko)
WO (1) WO2005087699A1 (ko)
ZA (1) ZA2006071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3886B2 (en) * 2004-03-02 2007-05-29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Removal of permanganate reducing compounds from methanol carbonylation process stream
US7208624B2 (en) * 2004-03-02 2007-04-24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acetic acid
US7855306B2 (en) * 2005-04-28 2010-12-21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cetic acid
US7345197B1 (en) * 2007-06-05 2008-03-18 Lyondell Chemical Technology, L.P. Preparation of acetic acid
US7790919B2 (en) * 2008-03-17 2010-09-07 Lyondell Chemical Technology, L.P. Removing hydrocarbon impurities from acetic acid production process
CA2757835A1 (en) * 2009-04-08 2010-10-14 Novomer, Inc. Process for beta-lactone production
CN102971284B (zh) * 2010-05-18 2016-01-27 国际人造丝公司 生产乙酸的方法
BR112013009012A2 (pt) * 2010-10-13 2016-07-12 Celanese Int Corp processo para a recuperação de promotores de halogêneo e romoção de compostos redutores de permanganato
US8859810B2 (en) * 2012-08-21 2014-10-14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 for recovering permanganate reducing compounds from an acetic acid production process
US8969613B2 (en) 2012-10-31 2015-03-03 Lyondellbasell Acetyls, Llc Removal of aldehydes in acetic acid production
MX2017004287A (es) 2014-10-02 2017-07-19 Celanese Int Corp Proceso para la produccion de acido acetico.
US9233907B1 (en) 2014-11-14 2016-01-12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Reducing hydrogen iodide content in carbonylation processes
US9260369B1 (en) 2014-11-14 2016-02-16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es for producing acetic acid product having low butyl acetate content
US9458078B2 (en) 2014-11-14 2016-10-04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es for producing acetic acid from a reaction medium having low ethyl iodide content
US9302975B1 (en) 2015-07-01 2016-04-05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 for flashing a reaction medium
CN107207391B (zh) 2015-01-30 2020-11-06 国际人造丝公司 生产乙酸的方法
US9487464B2 (en) 2015-01-30 2016-11-08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es for producing acetic acid
US9561994B2 (en) 2015-01-30 2017-02-07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es for producing acetic acid
EP3250542A1 (en) 2015-01-30 2017-12-06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es for producing acetic acid
US10413840B2 (en) 2015-02-04 2019-09-17 Celanese International Coporation Process to control HI concentration in residuum stream
US9512056B2 (en) 2015-02-04 2016-12-06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 to control HI concentration in residuum stream
US9505696B2 (en) 2015-02-04 2016-11-29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 to control HI concentration in residuum stream
US9382183B1 (en) 2015-07-01 2016-07-05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 for flashing a reaction medium
US9302974B1 (en) 2015-07-01 2016-04-05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acetic acid
CN108137462A (zh) * 2015-09-30 2018-06-08 株式会社大赛璐 乙酸的制造方法及制造装置
CN108137468B (zh) 2015-10-02 2021-04-13 国际人造丝公司 使用水的再循环生产乙酸的方法
US9908835B2 (en) 2015-11-13 2018-03-06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es for purifying acetic and hydrating anhydride
US9957216B2 (en) 2015-11-13 2018-05-01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es for producing acetic acid
MY184222A (en) * 2016-07-07 2021-03-27 Daicel Corp Process for producing acetic acid
US10428004B2 (en) 2017-01-18 2019-10-01 Daicel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acetic acid
BR112019014638A2 (pt) * 2017-01-18 2020-07-07 Daicel Corporation método para produzir ácido acético
CN107986953B (zh) * 2017-12-06 2021-07-23 江苏索普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甲醇低压羰基合成醋酸的生产装置及生产工艺
CN109232223A (zh) * 2018-11-02 2019-01-18 江苏索普(集团)有限公司 一种合成醋酸的工艺
US10807935B2 (en) 2018-11-02 2020-10-20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 for continuous acetic acid production
CN115715281A (zh) * 2020-06-03 2023-02-24 国际人造丝公司 从工艺流中去除缩醛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9329A (en) * 1970-03-12 1973-10-30 Monsanto Co Production of carboxylic acids and esters
US5001259A (en) * 1984-05-03 1991-03-19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Methanol carbonylation process
US5144068A (en) * 1984-05-03 1992-09-01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Methanol carbonylation process
CA1228867A (en) 1984-05-03 1987-11-03 G. Paull Torrence Methanol carbonylation process
US5026908A (en) * 1984-05-03 1991-06-25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Methanol carbonylation process
AU8790391A (en) * 1990-11-19 1992-05-21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Removal of carbonyl impurities from a carbonylation process stream
AU639630B2 (en) * 1991-01-28 1993-07-29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Removal of carbonyl impurities from carbonylation process stream
GB9211671D0 (en) * 1992-06-02 1992-07-15 Bp Chem Int Ltd Process
TW283702B (ko) * 1993-07-08 1996-08-21 Daicel Chem
JP3244385B2 (ja) * 1994-06-15 2002-01-07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高純度酢酸の製造方法
SG44317A1 (en) * 1994-06-15 1997-12-19 Daicel Chem Process for producing high purity acetic acid
EP0768295B1 (en) * 1995-04-27 2000-08-16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Process for producing acetic acid
JP3883221B2 (ja) 1995-08-03 2007-02-21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アセトアルデヒドの分離除去方法
US5783731A (en) * 1995-09-11 1998-07-21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Removal of carbonyl impurities from a carbonylation process stream
IN192600B (ko) * 1996-10-18 2004-05-08 Hoechst Celanese Corp
US6339171B1 (en) * 1996-10-18 2002-01-15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Removal or reduction of permanganate reducing compounds and alkyl iodides from a carbonylation process stre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379279C2 (ru) 2010-01-20
BRPI0508383A (pt) 2007-07-31
EP1737808B1 (en) 2008-06-04
JP5078606B2 (ja) 2012-11-21
PL209290B1 (pl) 2011-08-31
AU2005222058B2 (en) 2011-08-18
AU2005222058A1 (en) 2005-09-22
TWI350282B (en) 2011-10-11
EP1737808A1 (en) 2007-01-03
MY139747A (en) 2009-10-30
US7223883B2 (en) 2007-05-29
ZA200607199B (en) 2008-04-30
CN1926089A (zh) 2007-03-07
UA91825C2 (ru) 2010-09-10
CN100522918C (zh) 2009-08-05
CA2556899C (en) 2013-07-02
KR101405773B1 (ko) 2014-06-10
KR20060129427A (ko) 2006-12-15
RU2006134645A (ru) 2008-04-10
NZ549221A (en) 2009-04-30
DE602005007338D1 (de) 2008-07-17
US20050197509A1 (en) 2005-09-08
WO2005087699A1 (en) 2005-09-22
BRPI0508383B1 (pt) 2015-07-07
CA2556899A1 (en) 2005-09-22
ES2306120T3 (es) 2008-11-01
NO20064427L (no) 2006-09-29
RS20060491A (en) 2008-09-29
ATE397578T1 (de) 2008-06-15
PL380568A1 (pl) 2007-02-19
JP2007526305A (ja) 2007-09-13
TW200604160A (en) 2006-02-01
AR048246A1 (es) 2006-04-12
KR101299267B1 (ko) 201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5773B1 (ko) 메탄올 카보닐화 공정 스트림으로부터 퍼망가네이트 환원 화합물의 제거 방법
KR101233605B1 (ko) 메탄올 카보닐화 공정 스트림으로부터의 퍼망가네이트 환원 화합물의 제거 방법
EP1879845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cetic acid
KR101200634B1 (ko) 메탄올 카보닐화 공정으로부터 퍼망가네이트 환원 화합물의 제거 공정에 대한 조절 방법
AU2011205162A1 (en) Removal of permanganate reducing compounds from methanol carbonylation process stre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