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2103A -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 - Google Patents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2103A
KR20120132103A KR1020110050720A KR20110050720A KR20120132103A KR 20120132103 A KR20120132103 A KR 20120132103A KR 1020110050720 A KR1020110050720 A KR 1020110050720A KR 20110050720 A KR20110050720 A KR 20110050720A KR 20120132103 A KR20120132103 A KR 20120132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hinestone
sequin
rhinestones
pneumatic cylinder
sequ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선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썬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썬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썬스타
Priority to KR1020110050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2103A/ko
Publication of KR20120132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1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2Decorating textiles by transferring a chemical agent or a metallic or non-metallic material in particulate or other form, from a solid temporary carrier to the text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7/00Designs imitating three-dimension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7/00Decorative or ornamental textile articles
    • D04D7/04Three-dimensional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0Decorating textiles by treatment with, or fixation of, a particulate material, e.g. mica, glass b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을 접착시키기 위한 대상물을 상부에 수용하는 테이블과, 상기 세퀸을 상기 대상물에 접착시키기 위한 세퀸 작업부와, 상기 라인스톤을 상기 대상물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인스톤 작업부를 포함하며, 상기 라인스톤 작업부는 라인스톤을 흡착하여 상기 대상물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인스톤 세팅부와, 상기 라인스톤 세팅부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라인스톤을 공급하는 라인스톤 공급부로 이루어짐으로써, 한 대의 장치에 세퀸 작업부와 라인스톤 작업부가 구비되어 복합디자인 작업시 세팅시간 절약으로 생산성이 크게 증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SEQUIN AND/OR RHINESTONE DEVICE}
본 발명은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대의 장치에 세퀸 작업부와 라인스톤 작업부가 동시에 구비되어 있어 세퀸과 라인스톤이 혼재되는 복합디자인 작업시 작업시간을 절약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퀸(SEQUIN)과 라인스톤(Rhinestone)은 의류나 신발, 가방 등에 부착하여 장식하는 장식품이다.
세퀸은 실로 봉제하거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이는 모티브 방식으로 의류 등의 대상물에 고정시키는데, 모티브 방식은 노루발에 실과 바늘 대신 핀이 세퀸을 살짝 눌러주어 옷 등에 고정시키는 방식을 말한다.
또한, 라인스톤은 뒷면에 구비된 접착제에 열을 가해 상술한 의류나 신발, 가방 등에 용착(鎔着)시키는데, 이와 같은 라인스톤은 접착방식에 따라 핫픽스와 모티브로 나뉘며, 핫픽스는 라인스톤의 뒷면에 부착된 글루에 열을 가한 후 대상물에 직접 접착시키는 방식이고, 모티브는 접착제가 도포된 전사지를 이용하여 라인스톤을 접착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전사지에 반전된 형태로 라인스톤의 앞면을 접착시킨 후 라인스톤을 접착시키고자 하는 대상물 위에 라인스톤의 뒷면을 대고 글루에 열을 가해 라인스톤을 접착시키는 방식이다.
종래에는 상기 세퀸을 접착시키는 장치와 라인스톤을 접착시키는 장치가 각각 독립적으로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한 개의 옷에 세퀸과 라인스톤이 구비되어야 하는 복합 디자인의 경우 세퀸을 접착한 후에 라인스톤을 접착해야 하므로 세팅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도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한 대의 기계에 세퀸 작업부와 라인스톤 작업부가 함께 구비되어 있어 세퀸 작업과 라인스톤의 작업이 별도의 세팅없이 가능하고, 작업시간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작업의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을 접착시키기 위한 대상물을 지지틀을 이용하여 상부에 수용하는 테이블과, 작업자가 사전 입력한 소정의 디자인으로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을 접착시키 위해 상기 테이블 상에서 대상물이 지지되어 있는 지지틀을 X-Y 방향으로 이송시키기는 지지틀 이송부와, 상기 세퀸을 상기 대상물에 접착시키기 위한 세퀸 작업부과, 상기 라인스톤을 상기 대상물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인스톤 작업부를 포함하며, 상기 라인스톤 작업부는 라인스톤을 흡착하여 상기 대상물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인스톤 세팅부와, 상기 라인스톤 세팅부의 측부에 설치되어, 라인스톤을 공급하는 라인스톤 공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라인스톤 공급부는 상기 라인스톤 세팅부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라인스톤 공급부는 상기 라인스톤 세팅부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설치되고 다수개의 라인스톤이 수용되어 라인스톤의 흡착위치에 라인스톤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뭉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라인스톤 세팅부는 상기 라인스톤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라인스톤을 한 개씩 흡착한 후 상기 대상물 상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수단거과, 상기 장착수단이 상기 라인스톤을 흡착하도록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발생기와, 상기 진공발생기가 흡착력을 발생 또는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브리지에 설치되는 제1 공압 실린더와, 상기 제1 공압 실린더의 작용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제1 노즐축과, 상기 제1 노즐축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라인스톤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라인스톤을 한 개씩 흡착하는 제1 흡착노즐과, 상기 제1 공압실린더를 소정각도로 회동시키는 제1 회전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제1 공압 실린더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 공압실린더와, 상기 제2 공압 실린더의 작용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제2 노즐축과, 상기 제2 노즐축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흡착노즐에 흡착된 라인스톤을 전달받아 상기 대상물 상에 장착하는 제2 흡착노즐과, 상기 제2 공압실린더를 180°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모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대상물은 접착면을 구비한 전사지로서, 모티브 방식으로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을 전사지에 접착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한 대의 기계에 세퀸 작업부와 라인스톤 작업부가 함께 구비되어 있어 세퀸 작업과 라인스톤의 작업이 별도의 세팅없이 가능하고, 작업시간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작업의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라인스톤 작업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라인스톤 세팅부의 동작을 순서에 따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세퀸 또는 라인스톤을 접착시키고자 하는 대상물을 고정하는 지지틀(12)가 구비되는 테이블(10)과, 상기 테이블(10)의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포스트(22)와, 상기 지지포스트(22)들을 연결하며 상단에 설치되는 브리지(20)를 포함한다.
상기 테이블(10)은 사각형의 판으로서,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을 접착시키기 위한 대상물이 올려지는 곳이다. 상기 대상물은 상기 라인스톤이 접착될 수 있는 접착면을 구비한 전사지로서, 본 발명의 라인스톤 접착장치는 모티브 방식으로 라인스톤을 전사지에 접착하는 장치를 일실시예로서 설명한다.
상기 테이블(10)의 양 측단에는 지지포스트(22)가 수직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포스트(22)의 상단에는 수평 방향의 브리지(20)가 설치된다.
상기 브리지(20)는 사각 강관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앙에는 전방으로 상기 세퀸을 상기 대상물에 접착시키기 위한 세퀸 작업부(300)와, 상기 라인스톤을 상기 대상물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인스톤 작업부가 설치된다.
상기 세퀸 작업부(300)는 공급되는 세퀸을 대상물인 전사지에 접착시키는 것으로, 노루발에 실이 없이 바늘 대신 핀이 세퀸을 살짝 눌러주어 옷 등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세퀸 작업부(300)의 옆에 상기 라인스톤 작업부(200)가 설치되어, 대상물인 전사지를 지지 고정하는 지지틀(12)을 테이블(10) 상에서 작업자에 의해 입력된 자수 디자인 데이터에 따라 지지틀 이송부를 이용 X방향(좌우) 및 Y 방향(전,후)으로 왕복 이송시킴으로써, 세퀸 작업 및 라인스톤 작업을 쉽게 번갈아가며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틀(12)은 지지틀 이송부(미도시)를 이용하여 X방향(좌우) 및 Y방향(전후)으로 이송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틀 이송부는 X축 이동부재(미도시) 및 Y축 이동부재(미도시)와 X축 이송모터(미도시) 및 Y축 이송모터(미도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틀 이송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X축 이동부재는 자수 디자인 데이터중 X축 이동 데이터에 따라 X축 이송모터를 정/역방향으로 구동하게 되고, 이 X축 이송모터의 정/역방향 구동력이 X축 이동부재의 내측에 내설된 타이밍 벨트로 전달되어 상기 타이밍 벨트를 X 방향(좌, 우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며, 상기 타이밍 벨트를 구동시킴에 따라 상기 타이밍 벨트 상에 소정의 체결기구를 이용 체결되는 상기 지지틀(12)을 X 방향(좌, 우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한편, Y축 이동부재는 자수 디자인 데이터중 Y축 이동 데이터에 따라 Y축 이송모터를 정/역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이 Y축 이송모터의 정/역방향 구동력이 Y축 이동부재의 내측에 내설된 타이밍 벨트로 전달되어 상기 타이밍 벨트를 Y 방향(전, 후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며, 상기 타이밍 벨트를 구동시킴에 따라 상기 타이밍 벨트 상에 소정의 체결기구를 이용 체결된 상기 지지틀(12)을 Y 방향(전, 후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라인스톤 작업부는 상기 브리지(20)에 고정되는 라인스톤 세팅부(200)와, 상기 라인스톤 세팅부(200)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브리지(20)에 Y축 방향으로 고정되는 라인스톤 공급부(10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라인스톤 공급부(100)가 상기 라인스톤 세팅부(200)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라인스톤 작업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라인스톤 공급부(100)는 상기 라인스톤 세팅부(200)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설치되는 공급뭉치(11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뭉치(110)는 다수개의 라인스톤이 수용되어 라인스톤의 흡착위치에 라인스톤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브리지(20)에 Y축 방향으로 고정된다.
한편, 상기 라인스톤 세팅부(200)는 상기 라인스톤 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라인스톤을 흡착하여 상기 전사지에 접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라인스톤 세팅부(200)는 상기 라인스톤 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라인스톤을 한 개씩 흡착한 후 전사지 상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수단과, 상기 장착수단이 상기 라인스톤을 흡착하도록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발생기(도시안함)와, 상기 진공발생기가 흡착력을 발생 또는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도시안함)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수단으로서, 상기 브리지(20)에 설치되는 제1 공압 실린더(210)와, 상기 제1 공압 실린더(210)의 작용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제1 노즐축(220)과, 상기 제1 노즐축(220)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라인스톤 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라인스톤을 한 개씩 흡착하는 제1 흡착노즐(230)과, 상기 제1 공압실린더(210)를 소정각도로 회동시키는 제1 회전모터(2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공압실린더(210)는 상기 제1 회전모터(240)의 모터축에 고정된 회동축(212)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모터(240)의 작동에 따라 상기 회동축(212)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면 상기 제1 공압실린더(210)도 회동축(212)과 함께 회동한다.
상기 제1 흡착노즐(230)에는 상기 진공발생기와 연결된 진공호스(232)가 연통되게 설치되며, 상기 진공발생기에서 진공압이 발생되면 상기 제1 흡착노즐(230)에 흡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진공발생기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면서 흡착력을 발생 또는 해제하여 상기 제1 흡착노즐(230)을 통해 라인스톤을 흡착하거나 흡착이 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흡착노즐(230)에 흡착된 라인스톤을 전달받아 전사지 상에 장착하기 위한 제2 흡착노즐(25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제2 흡착노즐(250) 역시 상기 진공발생기와 연결되어 상기 진공발생기에서 진공압이 발생되면 상기 제2 흡착노즐(250)에 흡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2 흡착노즐(250)을 구동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제1 공압 실린더(2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 공압실린더(260)와, 상기 제2 공압 실린더(260)의 작용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제2 노즐축(270)과, 상기 제2 공압실린더(260)를 180°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모터(도시안함)가 구비된다.
상기 제2 노즐축(270)은 상기 제2 공압실린더(260)의 양단에 두 개의 노즐축(270a)(270b)이 설치되어 동시에 두 개의 노즐축(270a)(270b)이 동작하는 것으로, 각각의 노즐축(270a)(270b)에는 제2 흡착노즐(250a)(250b)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는 상기 세퀸 작업부(300)에서 세퀸을 모티브 방식으로 접착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며, 라인스톤의 접착이 필요한 복합 디자인의 경우에는 상기 전사지를 고정한 지지틀(12)가 이동되어 라인스톤 접착작업을 실시한다.
본 발명에서의 라인스톤 접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라인스톤 접착장치는 초기상태에서 상기 제1 회전모터(240)가 작동하게 되면 이에 결합된 회동축(212)과 제1 공압실린더(210)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한다. 상기 회동축(212)과 제1 공압실린더(210)가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 공압실린더(210)가 라인스톤 세팅부(200)의 좌측에 설치된 공급뭉치(110)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1 흡착노즐(230)이 공급뭉치(11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 흡착노즐(230)이 공급뭉치(11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면 제1 회전모터(240)의 작동이 멈추게 되고, 이어 상기 제1 공압실린더(210)가 작동하여 제1 노즐축(220)이 하강한다.(도 5c) 이때, 상기 진공발생기에 의해 진공압이 발생되어제1 흡착노즐(230)에 라인스톤이 흡착된다.
상기 제1 흡착노즐(230)에 라인스톤이 흡착되면 상기 제1 공압실린더(210)에 의해 제1 노즐축(220)이 상승한다.
이후, 상기 제1 회전모터(240)가 작동하여 회동축(212)과 제1 공압실린더(210)를 중앙으로 회동시킨다(도 5d).
이후, 상기 제1 공압실린더(210)과 제2 공압실린더(260)가 동시에 작동하여 제1 노즐축(220)과 제2 노즐축(270a)(270b)이 도 5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장되어 맞닿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흡착노즐(230)에 발생되었던 진공압은 해제되면서 제2 흡착노즐(250a)에 진공압이 발생하여 라인스톤이 제1 흡착노즐(230)에서 제2 흡착노즐(250a)로 이동된다.
이후, 상기 제1 회전모터(240)와 제2 회전모터가 작동하여 도 5f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공압실린더(210)는 우측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2 공압실린더(260)는 180°회전하여 라인스톤을 흡착한 제2 흡착노즐(250a)이 전사지를 향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제1 공압실린더(210)과 제2 공압실린더(260)가 동시에 작동하여 제1 노즐축(220)과 제2 노즐축(270a)(270b)이 연장된다.
이때, 상기 제1 흡착노즐(230)에 진공압이 발생되면서 우측의 공급뭉치(110)에 수용된 라인스톤을 흡착함과 동시에 제2 흡착노즐(250a)에는 진공압이 해제되어 라인스톤이 테이블에 위치한 전사지에 붙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라인스톤을 전사지에 접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세퀸을 접착하는 세퀸 작업부(300)와 라인스톤 작업부가 상기 브리지(20)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한 개의 옷에 세퀸과 라인스톤이 구비되는 복합 디자인의 경우, 세퀸을 접착한 후에 라인스톤을 바로 접착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현저히 줄이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0 : 라인스톤 공급부 110 : 공급뭉치
200 : 라인스톤 세팅부 210 : 제1 공압 실린더
212 : 회동축 220 : 제1 노즐축
230 : 제1 흡착노즐 232 : 진공호스
240 : 제1 회전모터 250 : 제2 흡착노즐
260 : 제2 공압실린더 270 : 제2 노즐축
300 : 세퀸 작업부

Claims (8)

  1.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을 접착시키기 위한 대상물을 지지틀을 이용하여 상부에 수용하는 테이블;
    작업자가 사전 입력한 소정의 디자인으로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을 접착시키 위해 상기 테이블 상에서 대상물이 지지되어 있는 지지틀을 X-Y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지지틀 이송부;
    상기 세퀸을 상기 대상물에 접착시키기 위한 세퀸 작업부; 및
    상기 라인스톤을 상기 대상물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인스톤 작업부;
    를 포함하며,
    상기 세퀸 작업부 및 상기 라인스톤 작업부는 함께 나란히 병렬로 배치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스톤 작업부는
    상기 라인스톤을 흡착하여 상기 대상물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인스톤 세팅부와,
    상기 라인스톤 세팅부의 측부에 설치되며, 라인스톤을 공급하는 라인스톤 공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스톤 공급부는 상기 라인스톤 세팅부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스톤 공급부는 상기 라인스톤 세팅부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설치되고 다수개의 라인스톤이 수용되어 라인스톤의 흡착위치에 라인스톤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뭉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스톤 세팅부는 상기 라인스톤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라인스톤을 한 개씩 흡착한 후 상기 대상물 상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수단;
    상기 장착수단이 상기 라인스톤을 흡착하도록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발생기;
    상기 진공발생기가 흡착력을 발생 또는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브리지에 설치되는 제1 공압 실린더;
    상기 제1 공압 실린더의 작용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제1 노즐축;
    상기 제1 노즐축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라인스톤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라인스톤을 한 개씩 흡착하는 제1 흡착노즐; 및
    상기 제1 공압실린더를 소정각도로 회동시키는 제1 회전모터;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제1 공압 실린더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 공압실린더;
    상기 제2 공압 실린더의 작용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제2 노즐축;
    상기 제2 노즐축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흡착노즐에 흡착된 라인스톤을 전달받아 상기 대상물 상에 장착하는 제2 흡착노즐; 및
    상기 제2 공압실린더를 180°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모터;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은 접착면을 구비한 전사지로서, 모티브 방식으로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을 전사지에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
KR1020110050720A 2011-05-27 2011-05-27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 KR201201321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720A KR20120132103A (ko) 2011-05-27 2011-05-27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720A KR20120132103A (ko) 2011-05-27 2011-05-27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103A true KR20120132103A (ko) 2012-12-05

Family

ID=47515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720A KR20120132103A (ko) 2011-05-27 2011-05-27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21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484B1 (ko) * 2014-04-10 2015-03-30 이창우 직물제품용 장식부재 결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484B1 (ko) * 2014-04-10 2015-03-30 이창우 직물제품용 장식부재 결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6315B2 (en) Mass production type possible automatic rhinestone adhesion apparatus
KR100921231B1 (ko) 전자부품 탑재장치 및 전자부품 탑재방법
JP5791775B1 (ja) 延反積層装置
KR100768287B1 (ko) 보호지 접착기
TWI694038B (zh) 工件裝袋裝置
US8671861B2 (en) Placement device for placing decorative elements on a textile or non-textile sheet material
CN107481958B (zh) 对位贴合设备和对位贴合方法
CN107780061A (zh) 一种全自动缝纫机
KR100867739B1 (ko) 장식구 부착기
KR101796930B1 (ko) 디스플레이패널용 피씨비 본딩장치
KR20060124527A (ko) 자동 초음파 접합기
KR20120132103A (ko) 세퀸 및/또는 라인스톤 접착장치
JP6318768B2 (ja) ガラス位置決め装置及びガラス取付装置
CN104097933B (zh) 在物料生产设备内把物料加以旋转的装置
KR20120132104A (ko) 라인스톤 접착장치
KR20170040728A (ko) 작업테이블 이송장치가 구비된 인조보석 자동 부착장치
CN211079565U (zh) 一种协作机器人自动取放花样缝纫装置
KR100689113B1 (ko) 다 종류 보석 동시 자동부착 방법
JP4901683B2 (ja) 部品供給装置
KR101070168B1 (ko) 자동 보석 부착 장치
KR100752949B1 (ko) 가이드 테이핑 로더
KR2007007013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자파 차폐 필름 부착기
KR101142456B1 (ko) 장식구 정렬용 디스크플레이트
US10766073B2 (en)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component mounting method
KR100777206B1 (ko) 칩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