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0629A - 수지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수지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0629A
KR20120130629A KR1020110048717A KR20110048717A KR20120130629A KR 20120130629 A KR20120130629 A KR 20120130629A KR 1020110048717 A KR1020110048717 A KR 1020110048717A KR 20110048717 A KR20110048717 A KR 20110048717A KR 20120130629 A KR20120130629 A KR 20120130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late
pressing plate
coating
low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오텍
Priority to KR1020110048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0629A/ko
Publication of KR20120130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6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수지도포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수지도포장치는, 다수의 리드프레임에 실장된 다수의 LED칩에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는 수지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LED칩에 대응되는 다수의 도포관을 구비한 수지배출판; 및 상기 다수의 도포관에 대응되는 다수의 피스톤부재를 구비한 누름판;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피스톤부재는 상기 누름판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다수의 도포관에 충진된 수지를 하방향으로 배출하여 상기 다수의 LED칩 전체에 상기 수지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도포공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수지도포장치{A RESIN DISPEN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수지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드프레임에 실장된 LED칩에 에폭시수지를 도포하는 수지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칩은 전기에너지를 광에너지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로서, 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패널에 형성된 다수의 리드프레임 각각에 LED칩들을 실장하고, 각각의 LED칩에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여 발광렌즈를 형성하는 도포공정이 포함된다.
이러한 종래의 도포공정에 적용된 도포장치는 한 개 또는 두 개로 이루어진 디스펜싱 헤드유닛이 상기 패널상을 위치이동하면서 다수의 리드프레임에 실장된 LED칩 상부에 에폭시 수지를 도포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도포장치는 한 개 또는 두 개로 이루어진 디스펜싱 헤드유닛이 각각의 LED칩상을 위치 이동하면서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기 때문에, 수지도포공정에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도포공정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한 도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리드프레임에 실장된 다수의 LED칩에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는 수지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LED칩에 대응되는 다수의 도포관을 구비한 수지배출판; 및 상기 다수의 도포관에 대응되는 다수의 피스톤부재를 구비한 누름판;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피스톤부재는 상기 누름판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다수의 도포관에 충진된 수지를 하방향으로 배출하여 상기 다수의 LED칩 전체에 상기 수지가 도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바닥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하부베이스;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수지배출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베이스; 상기 하부베이스와 상기 상부베이스의 사이를 상하이동가능하며, 상기 누름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이 하부로 이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상기 누름판이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다수의 피스톤부재가 상기 다수의 도포관에 충진된 수지를 밀어, 상기 다수의 LED칩에 수지를 도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배출판은 상기 다수의 도포관 각각에 설치되는 니들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도포관에 충진된 수지는 니들부재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볼스크류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복수의 회전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회전가이드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상기 상부베이스와 상기 하부베이스 사이를 상하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또한, 상기 상부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가이드부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또한,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복수개의 회전가이드부재와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베이스의 각각의 모서리 부근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풀리; 및 상기 복수개의 풀리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벨트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도포관은 상기 하부베이스에 30개의 열과 8개의 행으로 이루어져 총 240개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피스톤부재는 상기 다수의 도포관과 대응되도록 상기 누름판의 하부에 30개의 열과 8개의 행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배출판은 전방에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수지배출판은 사용자의 손에 의해 수동으로 상기 하부베이스를 슬라이딩하며, 상기 누름판은 전방에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누름판은 사용자의 손에 의해 수동으로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배출판과 상기 하부베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누름판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각각의 공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수지배출판과 상기 누름판은 상기 각각의 공압실린더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하부베이스 및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누름판에 설치된 다수의 피스톤부재가 수지배출판에 형성된 다수의 도포관을 한번 눌러주어 하나의 패널에 설치된 다수의 LED칩 전체에 수지를 도포할 수 있어, 도포공정에 드는 소요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지배출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수지배출판의 단면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누름판을 뒤집어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V-V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이동플레이트가 하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다수의 리드 프레임이 형성된 패널에 다수의 LED칩이 실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100)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지배출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하부베이스(110), 수지배출판(180), 상부베이스(130), 이동플레이트(150), 누름판(170), 회전가이드부재(161), 지지가이드부재(163), 동력전달유닛(164), 모터(190)를 포함한다.
하부베이스(11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판형상의 전방은 절개되어 제 1 수용부(111)가 형성되고, 제 1 수용부(111)의 양측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단차진 형상으로 하부베이스 단차부(113)가 형성된다. 하부베이스(110)의 전/후측 하면에는 각각 지지대(114a, 114b)가 결합되어, 하부베이스(110)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수지배출판(180)은 하부베이스(110)의 제 1 수용부(11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수용부(111)의 가로 방향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지배출판(180)의 양측에는 단차부(181)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손잡이(183)가 형성된다. 수지배출판(180)은 상하가 관통되는 다수의 도포관(185)이 형성된다. 다수의 도포관(185)은 복수개로 구성되며 수지배출판(180)에 30개의 열과 8개의 행으로 이루어져, 총 240개가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포관(185)은 수지배출판(180)의 상부에서 하부로 소정깊이까지 일정 직경 크기를 가지는 제 1 부분(185a)과, 제 1 부분(185a)의 하방으로 제 1 부분(185)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 2 부분(185b)으로 구성된다.
수지배출판(180)은 도포관(185)의 제 2 부분에(185b)에 니들부재(187)가 설치된다. 니들부재(187)는 중앙이 관통되어 노즐관(187a)이 형성된다. 도포관(185)의 제 1 부분(185a)에 충진된 수지는 니들부재(187)의 노즐관(187a)을 통해 수지배출판(180)의 하부로 배출된다.
상부베이스(130)는 사각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베이스(110)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부베이스(130)는 중앙부를 관통하는 중공부(133)가 형성된다.
이동플레이트(150)는 하부베이스(110)와 상부베이스(130)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플레이트(150)는 하부베이스(110)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판형상의 전방 일부가 절개되는 형상으로 제 2 수용부(151)가 형성된다. 제 2 수용부(151)의 양측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단차진 형상으로 이동플레이트 단차부(153)가 형성된다. 이동플레이트(150)는 이동플레이트 단차부(153)의 후방 양측에 각각 고정부재(155)가 설치된다.
누름판(170)은 이동플레이트(150)의 제 2 수용부(15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2 수용부(151)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누름판(170)을 뒤집어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에 도시된 다수의 피스톤부재(177) 중 두 개의 피스톤부재(177)가 설치된 것만을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누름판(170)의 양측에는 단차부(171)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손잡이(173)가 설치된다. 누름판(170)은 하방향으로 다수의 피스톤부재(177)가 구비된다. 피스톤부재(177)는 수지충진관(185)과 대응되도록 30개의 열과 8개의 행으로 이루어져, 총 240개가 형성된다.
피스톤부재(177)는 이동플레이트(150)의 상하이동에 따라 다수의 도포관(185)에 삽입되어, 다수의 도포관(185)에 충진된 수지를 하부로 밀어낸다.
피스톤부재(177)는 도 4와 같이, 피스톤본체(177a), 헤드부(177b) 및 고무패킹(177c)을 포함한다. 피스톤본체(177a)는 누름판(170)의 하부로 다수가 연장형성되며, 완만한 곡면을 가지는 헤드부(177b)가 끝단을 형성하며, 피스톤본체(177a)와 헤드부(177b)의 사이에 고무패킹(177c)이 설치된다. 피스톤본체(177a)와 헤드부(177b)의 직경은 도포관(185)의 제 1 부분(185a)과 대응하며, 도포관(185)에 충진된 수지를 하부로 밀 때, 고무패킹(177c)에 의해서 수지가 도포관(185)의 상측으로 누설되지 않고, 하측으로만 배출되게 한다.
회전가이드부재(161)는 동력전달유닛(164)에 의해 모터(190)의 회전을 전달받아 이동플레이트(150)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회전가이드부재(161)는 4개로 이루어지며,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베이스(110)와 상부베이스(130)의 연결하도록 하부베이스(110)와 상부베이스(130)의 모서리 부근에 설치된다. 이때, 회전가이드부재(161)의 상단은 상부베이스(130)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은 하부베이스(110)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가이드부재(161)의 상측은 후술될 동력전달유닛(164)의 풀리(165)와 각각 결합된다. 회전가이드부재(161)는 상부베이스(130)와 연결된 상단과 하부베이스(110)와 연결된 하단을 제외한 나머지 외주면에 나사산(162)이 형성된다. 회전가이드부재(161)는 이동플레이트(150)에 관통되어 통상의 볼스크류방식으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회전가이드부재(161)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플레이트(150)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지지가이드부재(163)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베이스(130)와 하부베이스(110) 사이를 연결한다. 지지가이드부재(163)는 4개로 구성되며, 상부베이스(130)와 하부베이스(110)에 대해 서로 직각으로 설치되며, 상부베이스(130)와 하부베이스(110)의 모서리 부근에 설치된다. 지지가이드부재(163)는 이동플레이트(150)를 관통하며, 이동플레이트(150)가 하부베이스(110)와 상부베이스(130) 사이에서 상하이동할 때, 이동플레이트(150)를 가이드한다.
동력전달유닛(164)은 모터(190)의 회전을 회전가이드부재(161)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풀리(165)와 벨트(167)를 포함한다.
풀리(165)는 4개로 구성되며, 상부베이스(130)의 상면에 각각의 회전가이드부재(161)의 상단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벨트(167)는 풀리(165)와 연결되며, 모터(190)의 회전축(미도시)과 연결된다. 동력전달유닛(164)은 벨트의 장력을 팽팽하게 하기 위해 아이들 롤러(168)를 더 구성할 수 있다.
모터(190)는 회전가이드부재(161)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부베이스(130)의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모터(19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벨트(167)가 A방향으로 회전하면, 벨트(167)의 회전에 의해 풀리(165)들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풀리(165)의 방향과 동일하게 회전가이드부재(16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가이드부재(161)가 회전하면, 회전가이드부재(161)와 나사연결된 이동플레이트(150)가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모터가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벨트(167)가 B방향으로 회전하면, 벨트(167)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회전가이드부재(161)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가이드부(161)의 회전에 의해 이동플레이트(150)가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이하,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지도포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V-V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이동플레이트가 하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다수의 리드 프레임이 형성된 패널에 다수의 LED칩이 실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과 같은 패널(10)을 수지배출판(180)의 하부에 배치시킨다. 이 경우, 패널(10)의 면적은 수지배출판(180)의 하면의 면적에 대응되며, 패널(10)에 형성된 다수의 리드프레임(20)에 실장된 다수의 LED칩은 수지배출판(180)의 도포관(185)과 대응되는 수와 위치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패널(10)은 수지배출판(180)의 노즐관(187a)의 끝단에 5mm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패널(10)을 수지배출판(180)의 하부에 위치시키는 방법은 통상적인 여러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디스펜싱 장치에 사용되는 이송장치(미도시)를 지지대(114a, 114b) 사이에 설치하여, 패널(10)을 수지배출판(180)의 하부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또한, 지지대(114a,114b) 사이에 일정 두께를 가지는 받침대를 설치하고, 그 위에 패널(10)을 수동으로 올려놓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손잡이(183)를 잡아 수지배출판(180)을 하부베이스(110)의 제 1 수용부(111)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빼내어, 수지배출판(180)에 형성된 다수의 도포관(185)에 에폭시 수지를 충진한 후, 수지배출판(180)을 제 1 수용부(111)의 후방으로 밀어 장착한다. 이때, 사용자는 수지배출판(180)의 단차부(181)가 하부베이스 단차부(113)에 걸리도록 제 1 수용부(111)의 전방측에 놓은 다음, 손잡이(183)를 잡고 제 1 수용부(111)의 후방으로 밀어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수지배출판(180)을 제 1 수용부(111)의 후방측에 안착시킨다.
그 다음, 사용자는 누름판(170)의 손잡이(173)를 잡고, 누름판(170)의 단차부(171)가 이동플레이트 단차부(151)에 걸리도록 제 2 수용부(151)의 전방부에 놓은 다음, 후방으로 밀어 슬라이딩시켜, 누름판(170)이 이동플레이트 단차부(151)와 고정부재(155)에 끼이도록 한다.
이후, 모터(19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벨트(167)가 A방향으로 이동하여, 풀리(16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회전에 의해 회전가이드부재(16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플레이트(150)가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플레이트(15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6과 같이, 누름판(170)의 다수의 피스톤 부재(177)들이 각각 대응되는 위치의 도포관(185)에 삽입되어 도포관(185) 내에 충진된 수지를 하방향으로 밀어낸다.
상기 수지는 각각의 니들부재(187)의 노즐관(187a)을 통해 수지배출판(180)의 도포관(185) 각각의 하부로 배출되고, 배출된 수지는 다수의 리드프레임(20)에 실장된 다수의 LED칩(30)에 떨어지면서 LED칩(30)을 도포하게 된다.
이처럼 누름판(170)에 설치된 다수의 피스톤부재(177)가 다수의 도포관(185)에 충진된 수지를 한번 눌러주는 동작만으로 하나의 패널(10)에 설치된 다수의 LED칩(30), 240개 전체에 도포가 완료된다. 이는 디스펜싱 헤드가 다수의 LED칩을 위치이동하면서 수지를 도포하는 기존의 방식에 비해, 도포공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수지배출판(180) 및 누름판(170)에 각각 손잡이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수지배출판(180)을 하부베이스(110)의 제 1 수용부(111)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누름판(170)을 이동플레이트의 제 2 수용부(151)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시켰으나, 수지배출판(180)이 제 1 수용부(111)상을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공압실린더와, 누름판(170)이 제 2 수용부(151)상을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공압실린더를 설치함으로써, 수지배출판(180) 및 누름판(170)을 자동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킬 수 있는 방법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40개의 LED칩에 에폭시 수지를 도포할 수 있도록 도포관(185) 및 피스톤부재(177)가 240개로 구성되었으나, 패널에 설치되는 LED칩의 수에 따라 수지배출판(180)에 형성되는 도포관(185)의 수 및 누름판(170)에 설치되는 피스톤부재(177)의 수를 조절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패널 20...리드프레임
30...LED칩 110...하부베이스
130...상부베이스 150...이동플레이트
161...회전가이드부재 163...지지가이드부재
164...동력전달유닛 165...풀리
167...밸트 170...누름판
177...피스톤부재 180...수지배출판
185...도포관 190...모터

Claims (9)

  1. 다수의 리드프레임에 실장된 다수의 LED칩에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는 수지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LED칩에 대응되는 다수의 도포관을 구비한 수지배출판; 및
    상기 다수의 도포관에 대응되는 다수의 피스톤부재를 구비한 누름판;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피스톤부재는 상기 누름판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다수의 도포관에 충진된 수지를 하방향으로 배출하여 상기 다수의 LED칩 전체에 상기 수지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도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바닥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하부베이스;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수지배출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베이스;
    상기 하부베이스와 상기 상부베이스의 사이를 상하이동가능하며, 상기 누름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
    상기 이동플레이트이 하부로 이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상기 누름판이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다수의 피스톤부재가 상기 다수의 도포관에 충진된 수지를 밀어, 상기 다수의 LED칩에 수지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도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배출판은 상기 다수의 도포관 각각에 설치되는 니들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도포관에 충진된 수지는 니들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도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볼스크류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복수의 회전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회전가이드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상기 상부베이스와 상기 하부베이스 사이를 상하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도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가이드부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도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복수개의 회전가이드부재와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베이스의 각각의 모서리 부근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풀리; 및
    상기 복수개의 풀리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벨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도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도포관은 상기 하부베이스에 30개의 열과 8개의 행으로 이루어져 총 240개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피스톤부재는 상기 다수의 도포관과 대응되도록 상기 누름판의 하부에 30개의 열과 8개의 행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도포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배출판은 전방에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수지배출판은 사용자의 손에 의해 수동으로 상기 하부베이스를 슬라이딩하며,
    상기 누름판은 전방에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누름판은 사용자의 손에 의해 수동으로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도포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배출판과 상기 하부베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누름판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각각의 공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수지배출판과 상기 누름판은 상기 각각의 공압실린더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하부베이스 및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도포장치.
KR1020110048717A 2011-05-23 2011-05-23 수지도포장치 KR201201306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717A KR20120130629A (ko) 2011-05-23 2011-05-23 수지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717A KR20120130629A (ko) 2011-05-23 2011-05-23 수지도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629A true KR20120130629A (ko) 2012-12-03

Family

ID=47514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717A KR20120130629A (ko) 2011-05-23 2011-05-23 수지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06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99333A (zh) * 2016-12-30 2017-06-06 天津思博科科技发展有限公司 应用人工智能技术装配led灯具的自动点胶机
CN115445844A (zh) * 2022-08-15 2022-12-09 江西德尔诚半导体有限公司 二极管加工用涂胶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99333A (zh) * 2016-12-30 2017-06-06 天津思博科科技发展有限公司 应用人工智能技术装配led灯具的自动点胶机
CN115445844A (zh) * 2022-08-15 2022-12-09 江西德尔诚半导体有限公司 二极管加工用涂胶装置
CN115445844B (zh) * 2022-08-15 2024-04-12 江西德尔诚半导体有限公司 二极管加工用涂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121583A1 (zh) 一种玻璃与金属片点胶固化的工艺流程以及生产线系统
CN109939893B (zh) 一种全自动高精度led点胶机
CN108160414B (zh) 一种卡片涂胶机构
CN106240256B (zh) 直线型轮胎装配线
CN111993753B (zh) 一种多层海绵粘接方法
CN104015050A (zh) 口红包装管自动组装机
CN105665392A (zh) 一种瓶子清洗消毒装置
CN209157579U (zh) 一种管件堵帽装配装置
KR20120130629A (ko) 수지도포장치
CN107329287A (zh) 用于装配显示屏边框的自动化设备与工艺
CN114178139B (zh) 一种led灯封装用点胶机构及其使用方法
CN103949521B (zh) 全自动金属片擦油拉伸生产设备
CN105864665B (zh) 一种软基板灯管粘贴机
CN204642346U (zh) 贴标机
CN211711267U (zh) 纸模贴标装置
CN211190825U (zh) 一种点胶机快速工装盘夹具
CN209886065U (zh) 一种发光二极管支架涂胶装置
CN115256590B (zh) 一种用于密度板制造的热压装置
CN110395063A (zh) 一种书籍自动装贴装置
CN103590212B (zh) 一种自动配液机
CN104843262A (zh) 贴标机
CN210550130U (zh) 实训用研磨装置的研磨棒自动安装装置
CN212524752U (zh) 一种光栅盘点胶组装机
CN108580194B (zh) 一种多工位点胶机
CN108574111B (zh) 圆柱电芯快速套膜机及其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