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0303A -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분리막 - Google Patents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분리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0303A
KR20120130303A KR1020110048211A KR20110048211A KR20120130303A KR 20120130303 A KR20120130303 A KR 20120130303A KR 1020110048211 A KR1020110048211 A KR 1020110048211A KR 20110048211 A KR20110048211 A KR 20110048211A KR 20120130303 A KR20120130303 A KR 20120130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dextrin
membrane
polymer
separator
polysulf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호성
Original Assignee
윤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호성 filed Critical 윤호성
Priority to KR1020110048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0303A/ko
Publication of KR20120130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30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08Polysacchar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26Polyalkenes
    • B01D71/262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0Polyalkenyl halides
    • B01D71/32Polyalkenyl halides containing fluorine atoms
    • B01D71/34Polyvinylidene flu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0Polyalkenyl halides
    • B01D71/32Polyalkenyl halides containing fluorine atoms
    • B01D71/36Polytetrafluoro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40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salts, amides, imides, nitriles, anhydrides, esters
    • B01D71/42Polymers of nitriles, e.g. polyacrylonitrile
    • B01D71/421Polyacrylonitr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4Polyureas;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66Polymers having sulfur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68Polysulfones; Polyethersulfo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Acrylic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6Fluorocarbon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29Natural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2Specific ratios of component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42Ion-exchange membr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분리막에 관한 발명으로서, 분리막에 싸이클로덱스트린을 기능성 성분으로 포함시켜 싸이클로덱스트린의 기능을 부여한 기능성 분리막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고분자 분리막을 사용하면 싸이클로덱스트린의 본래 기능인 이온제거, 입자의 선택적 흡착에 의한 제거, 유량 특성 향상 및 빠른 분리 특성을 지닌 고분자 분리막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하는 고분자 분리막은 유량이 우수하고 분리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어 낮은 압력에서 분리막을 운전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특히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고분자 분리막의 경우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함으로써 2차전지용의 분리막의 특성을 통시에 나타낼 수 있어 기능성 전지 소재로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Description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분리막{MEMBRANE HAVING CYCLODEXTRIN}
본 발명은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분리막에 관한 발명으로서, 분리막에 싸이클로덱스트린을 기능성 성분으로 포함시켜 싸이클로덱스트린의 제거 및 흡착 기능을 부여한 기능성 분리막에 관한 발명이다.
분리막은 일정한 기공을 가지고 있어 기공의 크기에 따라 물질을 분리할 수 있는 소재로서 통상적으로는 시트(sheet) 또는 중공사(hollow fiber)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분리막을 기공의 크기에 따라 분류하면 정밀여과(MF, micro filtration), 한외여과(UF, ultra filtration), 나노여과(NF, nano filtration) 그리고 역삼투(RO, reverse osmosis)로 분류된다.
통상적으로 분리막의 용도는 기공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데 위에서 언급한 정밀여과 막의 경우 입자상 물질 또는 미생물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며, 한외여과막은 바이러스의 제거 또는 단백질의 분리에 사용된다. 마지막의 역삼투 막의 경우는 기공의 크기가 매우 작아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며, 이러한 용도로서는 해수에서 염 성분을 제거하는 해수 담수화용의 역삼투 막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의 분리막에 기능성 성분을 첨가하여 일정한 기능을 가진 분리막도 소개되고 있는데,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이 정밀여과(MF) 분리막에 항균 성분을 첨가하여 미생물을 여과하면서도 장기간 사용시 미생물에 오염되지 않도록 한 분리막의 예가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자 하는 분리막은 상기 분리막에 싸이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하여 싸이클로덱스트린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특성을 분리막에서 구현한 분리막이다.
상기 싸이클로덱스트린은 다당류에 속하는 고분자의 하나로서, 크기에 따라α,β,γ 의 3가지 형태가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싸이클로덱스트린은 링의 내부에 여러 가지 물질을 통과시키거나, 끼워 흡착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외에도 향미성분, 휘발성분의 안정화, 분말제품의 흡습성 개선, Oil성분의 분말화를 용이하게 하는 성질, 열/빛에 의해 분해되기 쉬운 물질의 안정화, 산화되기 쉬운 물질의 안정화 및 성분의 방출속도 조절 등의 기능을 나타낸 다고 알려져 있으나 아직까지 분리막용 기능성 소재로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발명에서는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분리막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분리막은 분리막에 싸이클로덱스트린을 0.001 내지 70 중량% 포함시켜 싸이클로덱스트린이 가지고 있는 기능을 부가한 고분자 분리막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싸이클로덱스트린을 첨가 사용하여 고분자 분리막을 제조한다.
만약 싸이클로 덱스트린이 나타내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는 분리막 제조 후에 별도의 첨가 과정을 거쳐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첨가 방법 여하에 본 발명이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이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
고분자 분리막은 통상적으로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 sulfone), 폴리술폰(PSf, polysulfone),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리덴디플루오라이드(PVDF, polyvinylidene difluoride), 폴레우레탄(PU, polyurethane), 테프론(Teflon) 등의 고분자 소재를 용융압출 후 연신시켜 제조하거나, 고분자를 용매에 녹여 방사 또는 캐스팅하여 제조하는데, 본 발명의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분리막은 상기 소재와 재료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즉, 용융 고분자를 압출 후 연신시켜 제조하는 분리막의 경우에는 고분자를 용융 및 혼련하는 과정에서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시킨 후 이를 노즐을 통하여 압출시켜 제조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만약 고분자 분리막의 제조 공정이 용매에 고분자를 녹인 후 습식 방사하는 중공사 분리막 제조 공정이라면, 싸이클로덱스트린을 고분자가 용해된 용액, 즉 도프(dope)에 분산시켜 습식방사(dry-wet spinning)하는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고분자 용액을 캐스팅하여 평막을 제조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용액에 싸이클로덱스트린을 분산시켜 같이 캐스팅하는 방법으로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분리막, 즉 평막을 생산할 수 있다.
상기한 방법으로 제공되는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고분자 분리막은 고분자 분리막 최종 제품에 싸이클로덱스트린이 중량기준으로 0.001% 내지 70%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한 비율인 0.001% 이하의 함량에서는 싸이클로덱스트린의 특성을 고분자 분리막에서 구현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상기 상한 70%를 초과하는 비율에서는 싸이클로덱스트린의 비율이 너무 많아 고분자 매트릭스가 약해지고 기계적 강도의 부족으로 분리막 형성이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고분자 분리막을 사용하면 싸이클로덱스트린의 본래 기능인 이온제거, 입자의 선택적 흡착에 의한 제거, 유량 특성 향상 및 빠른 분리 특성을 지닌 고분자 분리막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하는 고분자 분리막은 유량이 우수하고 분리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어 낮은 압력에서 분리막을 운전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특히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고분자 분리막의 경우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함으로써 2차전지용의 분리막의 특성을 통시에 나타낼 수 있어 기능성 전지 소재로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또한 싸이클로덱스트린은 이온을 흡착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분리막에 사용되면 물속에 용해되어 있는 이온성 성분을 분리막이 제거할 수 있는 성능을 나타내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폴리술폰 20g, 폴리에틸렌글리콜 15g, DMAC(dimethyl acetamide)60g, PVP(polyvynylpyrrolidone)5g을 잘 섞어 교반 한 후에 싸이클로덱스트린 분말 5g을 잘 분산시켜 도프(dope)를 제조한다.
상기 도프(dope)를 이중관을 가지는 방사 구금으로 토출시켜 중공사 분리막을 중공사 막을 제조한다. 이때 내부 코어(core)액으로는 100% DMAC를 사용하고 물로 구성된 응고조에 상기 도프와 코어액을 방사하여 중공사 분리막을 제조한다.
제조된 분리막은 물로 세척한 후 건조시키면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MF 등급의 중공사 분리막이 완성 된다.
[실시예2]
폴리술폰 20g, 폴리에틸렌글리콜 15g, DMAC(dimethyl acetamide)60g, PVP(polyvynylpyrrolidone)5g을 잘 섞어 교반 한 후에 싸이클로덱스트린 분말 5g을 잘 분산시켜 도프(dope)를 제조한다.
상기 도프를 독터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유리 판위에 일정한 두께로 캐스팅 한 후에 이를 물속에 침지시켜 시트 형태의 분리막을 제조한다. 제조된 분리막은 유리 판위에서 제거된 후에 추가적인 세정 후 건조시켜 MF 등급의 평막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분리막은 수처리용 분리막, 및 2차전지 분리막, 이온교환분리막 등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

  1. 고분자 분리막에 싸이클로덱스트린이 중량기준으로 0.001% 내지 70%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로덱스트린이 포함된 분리막.
  2. 제 1항에 있어서 고분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술폰(polysulfon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 sulfone),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리덴디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difluorid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또는 테프론(Teflon)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로덱스트린이 포함된 분리막.
KR1020110048211A 2011-05-22 2011-05-22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분리막 KR201201303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211A KR20120130303A (ko) 2011-05-22 2011-05-22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분리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211A KR20120130303A (ko) 2011-05-22 2011-05-22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분리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303A true KR20120130303A (ko) 2012-11-30

Family

ID=4751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211A KR20120130303A (ko) 2011-05-22 2011-05-22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분리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03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8161B2 (en) Polyvinylidene fluoride hollow fiber microporous membrane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same
JP5431347B2 (ja) 多孔質膜、多孔質膜の製造方法、清澄化された液体の製造方法及び多孔質膜モジュール
EP3216515B1 (en) Hollow fiber filtration membrane
EP3023138A1 (en) Hydrophilised vinylidene fluoride-based porous hollow fibre membra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rahman et al. Modification of polyethersulfone hollow fiber membrane with different polymeric additives
CN109070010B (zh) 多孔膜、多孔膜组件、多孔膜的制造方法、澄清的液体的制造方法及啤酒的制造方法
KR101757859B1 (ko) 나노입자 함유 이중층 중공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758906B1 (ko) 이중층 한외여과 중공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2345697B1 (ko) 항균 중공사막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 중공사막 및 이를 적용한 정수기 필터
KR20120100079A (ko) 폴리아닐린을 포함하는 분리막
TWI787505B (zh) 用於過濾液體之固有抗微生物中空纖維膜、製備固有抗微生物中空纖維膜之方法以及用於液體過濾之裝置
KR20120130303A (ko)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분리막
WO2016182015A1 (ja) 多孔質中空糸膜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77011A (ko) Ectfe 수처리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9172077A1 (ja) 中空糸膜、及び中空糸膜の製造方法
KR102346451B1 (ko) 양으로 하전된 멤브레인의 제조 방법
KR20110064520A (ko) 친수성 pvdf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100076A (ko)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분리막
Hwang et al. Characteristics and separation efficiencies of PPSU/PEI/PEG blend membranes with different compositions for water treatment
KR20130040623A (ko) 친수화 폴리불화비닐리덴 복합 수지를 이용한 고투과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KR20130040622A (ko) 고투과도를 갖는 친수화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이용한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JP5705445B2 (ja) 精製されたコラーゲン加水分解物の製造方法
Ghadiri et al.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Nonsolvent Additive and Spinning Conditions on Morphology and Permeation of PAN Hollow Fiber Membranes
KR20240016601A (ko) 바이러스 제거용 폴리술폰계 고분자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MARUYAMA et al. Ryohichi NAGASHIMA", Satoshi YAHAGI", Haruko HIROSE" Yoshikage OHMUKA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