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7970A -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기능이 구비된 칫솔통, 이를 이용한 알람제어시스템 및 알람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기능이 구비된 칫솔통, 이를 이용한 알람제어시스템 및 알람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7970A
KR20120127970A KR1020110045802A KR20110045802A KR20120127970A KR 20120127970 A KR20120127970 A KR 20120127970A KR 1020110045802 A KR1020110045802 A KR 1020110045802A KR 20110045802 A KR20110045802 A KR 20110045802A KR 20120127970 A KR20120127970 A KR 20120127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signal
unit
control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주
Original Assignee
이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주 filed Critical 이현주
Priority to KR1020110045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7970A/ko
Publication of KR20120127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9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 G04G13/02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3/00Arrangements producing acoustic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 G04B23/02Alarm clock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3/00Arrangements producing acoustic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 G04B23/02Alarm clocks
    • G04B23/021Controls (winding up the alarm; adjusting and indicating the waking tim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3/00Arrangements producing acoustic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 G04B23/02Alarm clocks
    • G04B23/03Alarm signal stop arrangemen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 G04G13/02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 G04G13/021Detai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 G04G13/02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 G04G13/028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combined with a radio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2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장치 및 알람제어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아침에 잠을 깨고 일어나기 위해서 사용하는 알람장치를 알람정지를 위한 알람제어장치와 분리시켜 배치하는 것으로서 효율적인 알람효과를 가져오는 것에 착안한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장치 및 알람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무선통신을 통하여 알람발생신호(On Signal)를 수신하고 알람정지신호(Off Signal)를 송출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제1 통신부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알람발생신호 수신 또는 알람정지신호의 생성 및 송출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감지센서(Sensor)가 장착되어 빛, 무게, 압력, 자기(磁氣), 온도, 특정화학변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변화를 인식하여 생성한 감지신호를 상기 제1 제어부에 송신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제1 통신부에서 수신한 알람발생신호를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알람정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알람정지신호를 송출하여 알람장치의 알람신호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장치, 알람제어시스템 및 알람제어방법{Alarm Control Devi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Using Wire or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장치 및 알람제어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아침에 정해진 시간에 기상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알람장치에서 알람정지를 위한 알람버튼을 분리시켜 배치하는 것으로서 효과적인 알람기능을위하여 발명한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장치 및 알람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침잠을 깨우기 위한 알람시계는 많을수록 좋다. 알람시계를 서너개 준비해 두고도 모자라 스마트폰의 알람까지도 중복으로 설정해둔다. 이렇게 아침 기상에 대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알람을 무시하고 계속 자거나, 알람정지버튼을 눌러버림으로써 애써 설정해둔 알람을 정지시키는 안타까운 현상이 매일매일 반복된다. 따라서 확실하게 잠을 깨우는 알람장치의 개발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방안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최근 기술을 모색해보면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기술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특히 무선통신의 꽃이라 부를 수 있는 RF 통신을 상정해 볼 수 있다. RF는 Radio Frequancy의 약자로서 무선통신의 주파수 대역대를 이용한 것을 의미한다.
특히 알람장치가 장거리에서 제어되는 경우보다 근거리에서 제어되는 경우가 많은 점에서는 근거리통신기술을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최근 WIFI, Bluetooth, 3G, NFC 등 다양한 근거리통신기술이 출현되고 있는데 이것도 대부분 RF 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알람시계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알람장치로 이용하는 최근에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이른바 스마트폰이라고 불리는 모바일단말기도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다. 스마트폰은 이제 전 국민적인 소지품이 되고 있는데, 이는 휴대폰과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휴대폰 기능에 알람기능,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켜,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웹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이다.
스마트폰의 가장 큰 특징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하거나 직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작, 적용함으로써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와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따라서 알람장치로서 사용이 가능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알람기능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이 가능한 점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첨단기술이 일반인의 손에서 자유로이 응용될 수 있는 현대사회에 걸맞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탑재된 시스템을 모색해 볼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지적한 개선점에 입각하여 알람장치와 알람정지버튼을 분리하여 별도로 배치하도록 구성한 알람제어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알람장치와 상기 알람제어장치로 구성된 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시스템을 위하여 상기 알람장치 및 알람제어장치에 탑재된 프로그램이 서로 연동하여 알람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알람제어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알람제어장치를 칫솔통이나 칫솔걸이로 구현하여 아침에 일상적으로 수행하는 칫솔질을 수행하였을 때 비로소 알람이 정지되는 구체적인 메카니즘을 구현하고자 한다.
한편 상기 알람장치를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단말기를 이용하였을 경우, 상기 알람제어장치를 모바일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동되도록 하여
본 발명은 유?무선통신을 통하여 알람발생신호(On Signal)를 수신하고 알람정지신호(Off Signal)를 송출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제1 통신부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알람발생신호 수신 또는 알람정지신호의 생성 및 송출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감지센서(Sensor)가 장착되어 빛, 무게, 압력, 자기(磁氣), 온도, 특정화학변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변화를 인식하여 생성한 감지신호를 상기 제1 제어부에 송신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제1 통신부에서 수신한 알람발생신호를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알람정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알람정지신호를 송출하여 알람장치의 알람신호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이격거리에 배치되어 상호간에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알람장치 및 상기 제1항의 알람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알람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알람장치는 이용자의 설정에 따라 알람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알람정지신호(Off Signal)에 따라 알람신호를 정지시키는 알람부, 상기 알람신호가 생성에 따른 알람발생신호(On Signal) 또는 알람정지신호의 생성, 송출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및 제2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유?무선통신으로 알람발생신호를 송출하거나 알람정지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알람장치는,이용자의 설정에 의해 활성화된 알람신호가 상기 알람부에 생성되면 상기 제2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통신부에서 상기 제1 통신부로 상기 알람발생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알람발생신호를 수신한 알람제어장치는 상기 센서부에서 생성된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한해 상기 제1 제어부에서 생성된 알람정지신호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제2 통신부가 상기 알람정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알람부에서 생성되고 있는 알람신호가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시스템 및 알람제어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알람장치에 해당하는 알람시계 등에는 알람정지버튼이 알람장치와 함께 장착되어 있어 쉽게 알람기능이 정지되는 것이 개량되므로 알람기능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2.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알람장치에 해당하는 알람시계나 스마트폰의 알람기능을 그대로 이용하고 알람제어장치만 따로 구입함으로써 기존제품을 활용할 수도 있어 재활용의 효과가 있다.
3. 특히 아침기상시간을 위한 알람장치인 경우에는 칫솔걸이나 칫솔통 형태로 제작된 알람제어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용자가 아침에 일어나서 화장실의 칫솔걸이나 칫솔통에서 칫솔을 빼내어야 알람장치의 알람이 정지되는 형태이므로 아침 기상에 효용성이 크다.
4.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여 알람장치의 제어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수익창출의 효과가 있는 동시에 지속적으로 개선된 프로그램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장치에서 알람제어장치의 내부구조에 대한 대략적인 도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장치로서 칫솔통을 응용한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시스템에서 알람제어장치와 알람장치의 내부구조의 대략적인 도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장치 및 알람제어시스템의 동작원리 및 신호송수신에 관한 대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장치 및 알람제어시스템에서 칫솔걸이를 알람제어장치로 응용하여 알람장치와 연동시킨 모습에 대한 실시예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방법의 정보흐름을 표시한 순서도이다.
Ⅰ.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장치
본 발명은 유?무선통신을 통하여 알람발생신호(On Signal)를 수신하고 알람정지신호(Off Signal)를 송출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제1 통신부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알람발생신호 수신 또는 알람정지신호의 생성 및 송출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감지센서(Sensor)가 장착되어 빛, 무게, 압력, 자기(磁氣), 온도, 특정화학변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변화를 인식하여 생성한 감지신호를 상기 제1 제어부에 송신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제1 통신부에서 수신한 알람발생신호를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알람정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알람정지신호를 송출하여 알람장치의 알람신호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장치에서 알람제어장치의 내부구조에 대한 대략적인 도식도이다. 이를 참고하면 상기 알람제어장치(100)에는 기본적으로 제1통신부(110), 제1 제어부(120), 센서부(130)를 포함함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알람제어장치(100)에 관하여 해당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1.제1 통신부(110)
상기 제1 통신부(110)는 유?무선통신을 통하여 알람발생신호(On Signal)를 수신하고 알람정지신호(Off Signal)를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 통신부(110)는 상기 알람제어장치(100)와 알람장치(200)간에 신호송수신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모든 유선, 무선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2.제1 제어부(120)
상기 제1 제어부(120)는 상기 제1 통신부(110)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알람발생신호 수신 또는 상기 센서부(13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감지하면 알람정지신호의 생성 및 송출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 통신부(110)로부터 알람발생신호를 수신하여 저장시켜 두고 감지신호의 수신이 있을 때까지는 아무런 액션을 취하지 않고 있다가 상기 센서부(13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때에는 알람정지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제1 통신부(110)를 통하여 상기 알람장치(200)로 송출한다.
3.센서부(130)
상기 센서부(130)에는 감지센서(Sensor)가 장착되어 빛, 무게, 압력, 자기(磁氣), 온도, 특정화학변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변화를 인식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역할과 생성된 감지신호를 상기 제1 제어부에 송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센서부(130)에서 감지되는 감지신호는 상기 제1 제어부에 송신되는데, 상기 감지신호는 감지센서에 인식되는 변화상태로부터 생성되는데, 예를 들면 빛센서의 경우에는 빛발생 또는 빛소멸 중 어느 하나의 변화에 대해 감지신호가 발생되도록 상기 감지센서에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 무게, 압력센터나 자기, 온도센서 등 상기 감지센서는 모두 변화상태의 인식에서부터 감지신호를 생성시키고, 이를 상기 제1 제어부에 송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장치로서 칫솔통을 응용한 실시예이다. 일반적으로 알람기능이 가장 필요한 경우는 아침에 잠에서 깨서 출근이나 외출준비를 하여야 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아침에 일어나서 하는 일상 중 가장 보편적인 작업인 칫솔질에 착안하여 칫솔통에 알람제어장치를 구현한 것이다.
칫솔통의 바닥 부분에 감지센서를 부착하여 센서부(130)를 형성하고 칫솔통 내부나 외주면에 상기 제1 제어부(120) 및 상기 제1 통신부(110)를 장착하여 칫솔질을 하기 위하여 칫솔통에 담겨 있던 칫솔을 빼낼 때 바닥의 센서부(130)의 감지센서, 예를 들면 압력센서나 빛센서, 접착면을 감지하는 센서 등에 해당하는 감지센서에서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도 2]의 (a)는 칫솔통에 칫솔이 담겨져 있는 상태로 감지신호가 생성되지 않고 있는 반면 [도 2]의 (b)는 칫솔을 빼내어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생성된 상태이다.
Ⅱ.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시스템
본 발명은 일정 이격거리에 배치되어 상호간에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알람장치 및 상기 제1항의 알람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알람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알람장치는 이용자의 설정에 따라 알람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알람정지신호(Off Signal)에 따라 알람신호를 정지시키는 알람부, 상기 알람신호가 생성에 따른 알람발생신호(On Signal) 또는 알람정지신호의 생성, 송출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및 제2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유?무선통신으로 알람발생신호를 송출하거나 알람정지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알람장치는,이용자의 설정에 의해 활성화된 알람신호가 상기 알람부에 생성되면 상기 제2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통신부에서 상기 제1 통신부로 상기 알람발생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알람발생신호를 수신한 알람제어장치는 상기 센서부에서 생성된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한해 상기 제1 제어부에서 생성된 알람정지신호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제2 통신부가 상기 알람정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알람부에서 생성되고 있는 알람신호가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센서부는 걸이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특정 물체의 탈착에 따라 상기 감지센서가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통신부에서 알람정지신호가 송출된 경우에는, 상기 알람제어장치가 수신한 알람발생신호는 상기 제1 제어부에 의하여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시스템에서 알람제어장치와 알람장치의 내부구조의 대략적인 도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장치 및 알람제어시스템의 동작원리 및 신호송수신에 관한 대략적인 모식도이다. 이를 참고하면 상기 알람제어장치(100)에는 기본적으로 제1통신부(110), 제1 제어부(120), 센서부(130)를 포함하는 점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고, 상기 알람장치(200)는 알람부(210), 제2 제어부(220), 제2 통신부(230)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알람제어장치(100) 이외에 추가되는 알람장치(200)에 관하여 해당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1.알람부(210)
상기 알람부(210)은 알람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알람신호는 음향, 음성, 진동 등 다양한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알람신호는 이용자의 설정에 따라 생성된다. 예를 들면 이용자가 "아침 6시 알람"으로 벨소리를 연결시켜 두었다면, 해당 시간에 알람부(210)에서 알람 벨소리에 해당하는 알람신호가 생성된다.
반면 본 발명의 알람장치(200)에는 별도의 알람정지버튼은 없거나 알람정지버튼의 작동이 금지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알람제어장치(100)에서 송신하는 알람정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부(220)가 정지명령을 하면 상기 알람부의 알람신호가 정지되는 메카니즘을 가지게 된다.
2.제2 제어부(220)
상기 제2 제어부(220)는 상기 알람신호가 생성에 따른 알람발생신호(On Signal) 또는 알람정지신호의 생성, 송출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2 제어부(220)는 상기 알람부(210)에서 알람신호가 생성된 것을 감지하고 즉시 상기 제2 통신부(230)에 알람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도록 명령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20)는 상기 제2 통신부(230)에서 알람정지신호를 수신하거나 감지하면 즉시 상기 알람부(210)에 알람정지를 명령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제어부(220)는 상기 알람부(210)와 상기 제2 통신부(230)를 총괄하여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추가적으로 기존의 알람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알람장치에 알람정지버튼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므로 상기 제2 제어부(220)에서 이러한 알람정지버튼이나 알람정지기능을 일시무효화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도 한다.
3.제2 통신부(230)
상기 제2 통신부(230)는 상기 알람제어장치(100)와 알람장치(200)간에 신호송수신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모든 유선, 무선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유?무선통신으로 알람발생신호를 송출하거나 알람정지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
유선통신으로는 전력선을 이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한데, 상기 알람제어장치(100)와 상기 알람장치(200)를 각각 전원 콘센트에 연결시켜 두어 전력선을 이용하여 신호송수신을 실행할 수 있다. 대표적인 형태는 파워라인모뎀을 이용하는 것인데, 이 경우 각각의 장치(100, 20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과 동시에 신호송수신이 이루어지며, 무선통신에 비하여 빠르고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한 점이 장점이 될 수 있다.
반면 전원이 없는 곳에서 이용하기 어려운 전력선 통신의 단점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무선통신을 생각할 수 있다. 최근 급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무선통신은 대부분 RF 주파수 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알람제어장치(100) 및 알람장치(200)는 근거리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로 근거리통신에 유용한 WIFI, BlueTooth, 적외선통신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WIFI는 반경 100m 이상까지 통신이 가능하나 벽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단점이 있다. Bluetooth나 적외선통신은 10m정도의 거리까지 통신이 가능하므로 근거리통신에 유용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장치 및 알람제어시스템에서 칫솔걸이를 알람제어장치로 응용하여 알람장치와 연동시킨 모습에 대한 실시예이다. 이 경우 상기 알람장치로는 알람시계 또는 스마트폰의 알람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알람장치와 분리된 알람제어장치를 칫솔걸이화시켜 화장실에 배치하여 둔 경우의 실시예에 해당한다. 상기 알람제어장치에 해당하는 칫솔걸이에 칫솔이 걸려있을 때에는 알람장치에서 계속 알람이 울리고 있는 반면(a), 칫솔걸이에서 칫솔을 분리하였을 경우에는 알람장치의 알람이 정지되는 현상(b)을 확인할 수 있다.
Ⅲ.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방법
본 발명은 일정 이격거리에 배치되어 상호간에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1항의 알람제어장치 및 제2항의 알람장치에 프로그램이 각각 탑재되어 상호 연동되는 시스템에 의하여 (a) 이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알람부에서 알람신호가 활성화되는 단계; (b) 상기 제2 제어부에서 알람발생신호를 생성하고 제2 통신부에서 상기 알람발생신호를 상기 제1 통신부로 송출하는 단계; (c) 상기 제1 통신부가 수신한 알람발생신호를 상기 제1 제어부가 취득하여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센서부의 감지센서가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제어부로 송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제1 통신부에 알람정지신호를 생성하여 송출을 명령하는 단계; (e) 상기 제1 통신부가 상기 알람정지신호를 유?무선통신에 의하여 상기 제2 통신부로 송출하는 단계; (f) 상기 제2 통신부에서 수신한 알람정지신호를 상기 제2 제어부가 감지하여 상기 알람부로 알람신호의 정지를 명령하고, 상기 알람부가 알람신호를 정지시키는 단계;로 수행되는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방법의 정보흐름을 표시한 순서도이다. 이를 참고하여 이하에서는 각 단계별로 알람제어를 위한 정보흐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알람장치(200) 및 알람제어장치(100)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두고 상호 연동되는 정보흐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1.(a)단계
(a)단계는 이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알람부에서 알람신호가 활성화되는 단계이다. 이용자가 "아침 6시 알람"이라고 설정해 두었다면 해당시간에 알람부에서 소리나 진동으로 알람신호를 생성시킨다.
2.(b)단계
(b)단계는 상기 제2 제어부에서 알람발생신호를 생성하고 제2 통신부에서 상기 알람발생신호를 상기 제1 통신부로 송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알람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2 제어부에서는 알람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통신부로 송출한다. 이는 상기 알람발생신호를 상기 알람제어장치(200)가 일정기간 저장하여 두거나, 알람이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3.(c)단계
(c)단계는 상기 제1 통신부가 수신한 알람발생신호를 상기 제1 제어부가 취득하여 저장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는 유?무선통신을 통하여 알람발생신호를 송수신하며, 이에 이용되는 유,무선통신에 관하여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제1 제어부가 알람발생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저장하거나 알람신호가 활성화되었음을 인지하는 데이터를 생성시켜 둔다. 이는 추가적으로 감지신호가 인식될 때까지 유효한 데이터로 저장되는 것이 필요하다.
4.(d)단계
(d)단계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센서가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제어부로 송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제1 통신부에 알람정지신호를 생성하여 송출을 명령하는 단계이다. 상기 센서부의 감지센서는 현재 기술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감지센서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온도변화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빛변화를 감지하는 빛센서 등 상기 알람제어장치의 2차적 기능에 맞추어 감지센서를 선택하여 센서부를 구현한다.
상기 제1 제어부가 알람발생신호 또는 그와 관련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인식되면 알람정지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가 생성되었다는 것은 곧 이용자의 행위에 따라서 알람을 정지하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5.(e)단계
(e)단계는 상기 제1 통신부가 상기 알람정지신호를 유?무선통신에 의하여 상기 제2 통신부로 송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 통신부와 제2 통신부가 유?무선통신에 의하여 송수신되는 단계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통신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6.(f)단계
(f)단계는 상기 제2 통신부에서 수신한 알람정지신호를 상기 제2 제어부가 감지하여 상기 알람부로 알람신호의 정지를 명령하고, 상기 알람부가 알람신호를 정지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알람정지신호는 상기 제2 제어부가 인식하여 상기 알람부에 정지명령을 하는 경우에 상기 알람부가 알람신호를 정지하는 형태로 상기 알람부와 제2 제어부의 역할을 분리하고 있다. 다만 이는 물리적인 분리가 아니라 상대적인 관념상의 분류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0 : 알람제어장치 110 : 제1 통신부
120 : 제1 제어부 130 : 센서부
200 : 알람장치 210 : 알람부
220 : 제2 제어부 230 : 제2 통신부

Claims (5)

  1. 유?무선통신을 통하여 알람발생신호(On Signal)를 수신하고 알람정지신호(Off Signal)를 송출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제1 통신부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알람발생신호 수신 또는 알람정지신호의 생성 및 송출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감지센서(Sensor)가 장착되어 빛, 무게, 압력, 자기(磁氣), 온도, 특정화학변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변화를 인식하여 생성한 감지신호를 상기 제1 제어부에 송신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제1 통신부에서 수신한 알람발생신호를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알람정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알람정지신호를 송출하여 알람장치의 알람신호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장치.
  2. 일정 이격거리에 배치되어 상호간에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알람장치 및 상기 제1항의 알람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알람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알람장치는 이용자의 설정에 따라 알람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알람정지신호(Off Signal)에 따라 알람신호를 정지시키는 알람부, 상기 알람신호가 생성에 따른 알람발생신호(On Signal) 또는 알람정지신호의 생성, 송출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및 제2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유?무선통신으로 알람발생신호를 송출하거나 알람정지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알람장치는,이용자의 설정에 의해 활성화된 알람신호가 상기 알람부에 생성되면 상기 제2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통신부에서 상기 제1 통신부로 상기 알람발생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알람발생신호를 수신한 알람제어장치는 상기 센서부에서 생성된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한해 상기 제1 제어부에서 생성된 알람정지신호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제2 통신부가 상기 알람정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알람부에서 생성되고 있는 알람신호가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센서부는 걸이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특정 물체의 탈착에 따라 상기 감지센서가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시스템.
  4. 제2항에서,
    상기 제1 통신부에서 알람정지신호가 송출된 경우에는, 상기 알람제어장치가 수신한 알람발생신호는 상기 제1 제어부에 의하여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시스템.
  5. 일정 이격거리에 배치되어 상호간에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1항의 알람제어장치 및 제2항의 알람장치에 프로그램이 각각 탑재되어 상호 연동되는 시스템에 의하여 이하의 단계로 수행되는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방법.
    (a) 이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알람부에서 알람신호가 활성화되는 단계;
    (b) 상기 제2 제어부에서 알람발생신호를 생성하고 제2 통신부에서 상기 알람발생신호를 상기 제1 통신부로 송출하는 단계;
    (c) 상기 제1 통신부가 수신한 알람발생신호를 상기 제1 제어부가 취득하여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센서부의 감지센서가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제어부로 송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제1 통신부에 알람정지신호를 생성하여 송출을 명령하는 단계;
    (e) 상기 제1 통신부가 상기 알람정지신호를 유?무선통신에 의하여 상기 제2 통신부로 송출하는 단계;
    (f) 상기 제2 통신부에서 수신한 알람정지신호를 상기 제2 제어부가 감지하여 상기 알람부로 알람신호의 정지를 명령하고, 상기 알람부가 알람신호를 정지시키는 단계;
KR1020110045802A 2011-05-16 2011-05-16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기능이 구비된 칫솔통, 이를 이용한 알람제어시스템 및 알람제어방법 KR201201279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802A KR20120127970A (ko) 2011-05-16 2011-05-16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기능이 구비된 칫솔통, 이를 이용한 알람제어시스템 및 알람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802A KR20120127970A (ko) 2011-05-16 2011-05-16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기능이 구비된 칫솔통, 이를 이용한 알람제어시스템 및 알람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970A true KR20120127970A (ko) 2012-11-26

Family

ID=47512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802A KR20120127970A (ko) 2011-05-16 2011-05-16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기능이 구비된 칫솔통, 이를 이용한 알람제어시스템 및 알람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79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183B1 (ko) * 2016-02-23 2017-01-10 강민성 냉온장장치와 연동하여 알람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27317A (ko) * 2018-09-04 2020-03-12 전영래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183B1 (ko) * 2016-02-23 2017-01-10 강민성 냉온장장치와 연동하여 알람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27317A (ko) * 2018-09-04 2020-03-12 전영래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9831B2 (en) Providing remote interactions with host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EP3107485B1 (en) Oral care system
CN103763391B (zh) 基于环境识别的实现移动设备防丢功能的防丢方法
US9565255B2 (en) Electronic accessory for detecting and communicating a connection attribute corresponding to another electronic accessory
US20160028869A1 (en) Providing remote interactions with host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EP3013033A1 (en) Image capture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reof
US814513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5976813A (zh) 语音识别系统及其语音识别方法
JP5414008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5120057B (zh) 闹钟控制方法及装置
CN105261191B (zh) 工作控制方法及装置
KR20120066051A (ko)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간의 통신을 구축하기 위해 자기 센서와 활성화된 nfc 회로를 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5867431B2 (ja) 携帯端末およびデータ管理処理プログラム
CN106781242B (zh) 危险区域的预警方法和装置
US8325032B2 (en) Miniature life-saving device
CN105374176B (zh) 提示方法及装置
US20170034779A1 (en) Cal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CN106060296A (zh) 终端控制方法、装置及系统
KR101773395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카드 타입 소지품 분실 방지 경보카드 및 그 장치
KR20120127970A (ko)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기능이 구비된 칫솔통, 이를 이용한 알람제어시스템 및 알람제어방법
CN105376408A (zh) 一种终端睡眠模式的设定方法及系统
CN106792500A (zh) 信息输出方法及装置、可穿戴设备
WO2013191527A1 (en) A wireless alerting system for personal area asset supervision
KR20120020805A (ko) 개인화 통신단말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활용한 신용카드 위치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32804A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개인 안심 서비스 위한 장치 및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