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7604A - 투명 필름 및 그의 이용 - Google Patents

투명 필름 및 그의 이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7604A
KR20120127604A KR1020127021694A KR20127021694A KR20120127604A KR 20120127604 A KR20120127604 A KR 20120127604A KR 1020127021694 A KR1020127021694 A KR 1020127021694A KR 20127021694 A KR20127021694 A KR 20127021694A KR 20120127604 A KR20120127604 A KR 20120127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coat
transparent film
coat layer
resin
ray int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1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모또 하루따
겐지로 니미
히로노부 마찌나가
요시히로 기따무라
이꾸야 구즈하라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7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romatic monomer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6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having an anti-static effect, e.g. electrically conducting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4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 H01B1/127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comprising five-membered aromatic rings in the main chain, e.g. polypyrroles, polythioph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3Morphological aspects
    • C08G2261/135Cross-linked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2Side-chains containing oxygen
    • C08G2261/1424Side-chain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ether groups, including alkox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2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22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non-condensed
    • C08G2261/3223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non-condensed containing one or more sulfur atoms as the only heteroatom, e.g. thiop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50Physical properties
    • C08G2261/51Charge transpor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70Post-treatment
    • C08G2261/76Post-treatment crosslin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70Post-treatment
    • C08G2261/79Post-treatment doping
    • C08G2261/794Post-treatment doping with polymeric dop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09J2301/16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the carrier being a laminate constituted by plastic layer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09J2433/006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5/00Presence of polyphenylene
    • C09J2465/006Presence of polyphenylen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10T428/2651 mil or l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외관 품위가 우수한 투명 필름 및 상기 투명 필름을 구비한 점착 필름이 제공된다. 투명 필름(10)은, 투명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재층(12)과, 그의 제1면(12A) 상에 형성된 톱 코트층(14)을 갖는다. 톱 코트층(14)은, 평균 두께 Dave가 2nm 내지 50nm이며, 또한 두께 편차 ΔD가 상기 평균 두께 Dave의 40% 이하이다.

Description

투명 필름 및 그의 이용{TRANSPARENT FILM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피착체(보호 대상물)에 부착되어 그의 표면을 보호하는 표면 보호 필름의 지지체 등의 용도에 적합한 투명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0년 1월 2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0-011396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고,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 중에 참조로 도입되어 있다.
표면 보호 필름(표면 보호 시트라고도 함)은, 일반적으로 필름 형상의 지지체(기재) 상에 점착제가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보호 필름은, 상기 점착제를 통하여 피착체에 접합되고, 이에 의해 상기 피착체를 가공, 반송시 등의 흠집이나 오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에 있어서 액정 셀에 접합되는 편광판은, 일단 롤 형태로 제조된 후, 이 롤로부터 권출해서, 액정 셀의 형상에 따라 원하는 크기로 잘라서 사용된다. 여기서, 편광판이 중간 공정에서 반송 롤 등과 스쳐서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편광판의 편면 또는 양면(전형적으로는 편면)에 표면 보호 필름을 접합하는 대책이 취해지고 있다.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기술 문헌으로 특허문헌 1 및 2를 들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223923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255332호 공보
이러한 표면 보호 필름으로는, 상기 필름을 부착한 채 피착체(예를 들어 편광판)의 외관 검사를 행할 수 있는 점에서 투명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최근, 상기 외관 검사의 용이함이나 검사 정밀도 등의 관점에서, 표면 보호 필름의 외관 품위에 대한 요구 레벨이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피착체에 부착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 즉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지지체의 배면)에 찰과상이 생기기 어려운 성질이 요구되고 있다. 표면 보호 필름에 찰과상이 존재하면, 그 흠집이 피착체의 흠집인지, 혹은 표면 보호 필름의 흠집인지를, 표면 보호 필름을 부착한 상태에서는 판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보호 필름의 배면에 찰과상이 부여되기 어렵게 하기 위한 하나의 방책으로서, 상기 보호 필름의 배면에 경질의 표면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표면층(톱 코트층)은, 전형적으로는, 투명한 수지 필름의 표면에 코팅재를 도포하여 건조 및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나, 피착체에 부착한 보호 필름을 배면으로부터 관찰(예를 들어, 암실 내에서 관찰)할 경우, 상기 표면층을 형성하면, 표면 보호 필름의 외관이 전체적으로 희어지게 되어(즉 외관 품위가 저하되어), 피착체 표면의 시인성이 저하된다. 코팅재의 도포 불균일 등에 의해 표면층의 두께에 편차가 있으면, 장소에 따른 반사율의 차이가 발생하기(상대적으로 두꺼운 부분이 보다 희게 보이기) 때문에, 상기 시인성(외관 품위)은 더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면 보호 필름의 지지체 등의 용도에 적합한 투명 필름으로, 보다 높은 외관 품위를 실현할 수 있는 투명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관련되는 다른 목적은, 이러한 투명 필름의 편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의 제공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하나의 투명 필름은, 투명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제1면(배면) 상에 형성된 톱 코트층을 갖는다. 상기 톱 코트층은, 평균 두께 Dave가 2nm 내지 50nm이며, 또한 이하의 식으로 표시되는 두께 편차 ΔD가 40% 이하이다.
ΔD=(Dmax-Dmin)/Dave×100(%)
[식 중, Dave는 평균 두께(nm), Dmax는 최대 두께(nm), Dmin은 최소 두께(nm), ΔD는 두께 편차(%)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하나의 투명 필름은, 투명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제1면(배면) 상에 형성된 톱 코트층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톱 코트층은 이하의 조건 (A) 및 (B)를 만족시킨다.
(A) 평균 두께 Dave가 2nm 내지 50nm이다.
(B) 형광 X선 분석에 의한 X선 강도 편차 ΔI가 40% 이하이다.
여기서, X선 강도 편차 ΔI는 이하의 식으로 표시된다.
ΔI=(Imax-Imin)/I ave×100(%)
[식 중, Iave는 형광 X선 분석에 의한 X선 강도의 평균값(kcps), Imax는 최대 X선 강도(kcps), Imin은 최소 X선 강도(kcps), ΔI는 X선 강도 편차(%)이다.]
상술한 어느 하나의 구성을 갖는 투명 필름에 의하면, 상기 톱 코트층이 지극히 얇고 또한 두께의 편차가 적으므로, 상기 톱 코트층을 형성한 것에 의한 외관 품위의 저하(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희어지게 되거나, 부분적으로 흰 얼룩이 시인되거나 하는 현상)를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다. 이렇게 외관 품위가 우수한 투명 필름은, 상기 필름 너머로 제품(피착체)의 외관 검사를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표면 보호 필름의 지지체로서 적합하다. 상기 톱 코트층의 두께가 작은 것은, 기재층의 특성(광학 특성, 치수 안정성 등)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하는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층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된 수지 성분으로 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톱 코트층이 대전 방지 성분과 바인더 수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투명 필름에 의하면, 상기 톱 코트층을 이용하여 투명 필름에 대전 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톱 코트층과는 별도로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는 구성에 비해, 투명 필름(나아가서는 상기 투명 필름을 구비하는 표면 보호 필름)의 생산성이 좋다. 또한, 투명 필름을 구성하는 층의 수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투명 필름 너머로 제품의 외관 검사를 행할 때에 있어서의 제품 표면의 시인성 향상 등의 관점에서도 유리하다. 보다 실용에 적합한 대전 방지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톱 코트층측의 표면 저항률이 100×108Ω 이하인 투명 필름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전 방지 성분으로는, 도전성 중합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중합체로서 적어도 폴리티오펜을 포함하는 톱 코트층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성의 톱 코트층을 갖는 경우, 상기 형광 X선 분석에 있어서 X선 강도를 측정하는 대상으로는, 황 원자(S)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톱 코트층이 가교제(예를 들어 멜라민계 가교제)로 가교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어 톱 코트층의 내스크래치성, 내용제성 및 인자 밀착성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다른 일 양태에서는, 상기 톱 코트층이 활제를 포함한다. 여기서 활제란, 톱 코트층을 구성하는 재료에 배합됨으로써 그의 마찰 계수를 저하시키는 작용을 갖는 성분을 의미한다. 이렇게 활제를 포함하는 톱 코트층에 의하면,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투명 필름이 실현되기 쉬우므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톱 코트층이 실리콘계의 활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형광 X선 분석에 있어서 X선 강도를 측정하는 대상으로는, 규소 원자(Si)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어느 하나의 투명 필름을 지지체로서 구비하는 표면 보호 필름이 제공된다.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은, 전형적으로는, 상기 투명 필름과, 상기 투명 필름의 표면이며 상기 톱 코트층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구비한다. 이러한 표면 보호 필름은, 특히 광학 부품용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사항 이외의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에 필요한 사항은, 당해 분야에 있어서의 종래 기술에 기초하는 당업자의 설계 사항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과 당해 분야에 있어서의 기술 상식에 기초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기재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모식화되어 있고, 제품으로서 실제로 제공되는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의 크기나 축척을 정확하게 표현한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되는 투명 필름은, 점착 시트의 지지체 기타의 용도에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착 시트는, 일반적으로, 점착 테이프, 점착 라벨, 점착 필름 등으로 칭해지는 형태의 것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표면 보호 필름의 지지체로서 적합하고, 상기 필름 너머로 제품의 외관 검사를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는 점에서, 특히 광학 부품(예를 들어, 편광판, 파장판 등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성 요소로서 사용되는 광학 부품)의 가공시나 반송시에 상기 광학 부품의 표면을 보호하는 표면 보호 필름용의 지지체로서 적합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은, 전형적으로는, 상기 투명 필름의 편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점착제층은, 전형적으로는 연속적으로 형성되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점 형상, 스트라이프 형상 등의 규칙적 혹은 임의적인 패턴으로 형성된 점착제층이어도 좋다.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은, 롤 형상이어도 좋고, 낱장 형상이어도 좋다.
여기에 개시되는 투명 필름 및 상기 투명 필름을 지지체로서 갖는 표면 보호 필름의 전형적인 구성예를 도 1에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이 표면 보호 필름(1)은, 투명 필름(지지체)(10)과 점착제층(20)을 구비한다. 투명 필름(10)은, 투명한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12)과, 그의 제1면(12A) 상에 직접 형성된 톱 코트층(14)으로 이루어진다. 점착제층(20)은, 투명 필름(10) 중 톱 코트층(14)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표면 보호 필름(1)은, 이 점착제층(20)을 피착체(보호 대상, 예를 들어 편광판 등의 광학 부품의 표면)에 부착해서 사용된다. 사용전(즉, 피착체로의 부착 전)의 보호 필름(1)은, 전형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제층(20)의 표면(피착체로의 부착면)이, 적어도 점착제층(20)측이 박리면이 되는 박리 라이너(30)에 의해 보호된 형태일 수 있다. 혹은, 표면 보호 필름(1)이 롤 형상으로 권회됨으로써 투명 필름(10)의 배면(톱 코트층(14)의 표면)에 점착제층(20)이 접촉해서 그의 표면이 보호된 형태이어도 좋다.
여기에 개시되는 투명 필름의 기재층은, 각종 수지 재료를 투명한 필름 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일 수 있다. 기재층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수분 차폐성, 등방성 등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특성이 우수한 수지 필름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중합체;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중합체; 등을 주된 수지 성분(수지 성분 중의 주성분, 전형적으로는 50질량% 이상을 차지하는 성분)으로 하는 수지 재료로 구성된 수지 필름을, 상기 기재층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재료의 다른 예로서는,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환상 내지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중합체; 염화비닐계 중합체; 나일론6, 나일론6,6,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중합체; 등을 베이스 수지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베이스 수지의 다른 예로서, 이미드계 중합체, 술폰계 중합체, 폴리에테르술폰계 중합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중합체,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중합체, 비닐알코올계 중합체, 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 비닐부티랄계 중합체, 아릴레이트계 중합체, 폴리옥시메틸렌계 중합체, 에폭시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중합체 중 2종 이상의 블렌드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이어도 좋다. 상기 기재층은, 광학 특성(위상차 등)의 이방성이 적을수록 바람직하다. 특히, 광학 부품용 표면 보호 필름의 지지체로서 사용되는 투명 필름에서는, 기재층의 광학적 이방성을 적게 하는 것이 유익하다. 기재층은, 단층 구조이어도 좋고, 조성이 상이한 복수의 층이 적층된 구조이어도 좋다. 전형적으로는 단층 구조이다.
기재층의 두께는, 투명 필름의 용도나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과, 비용이나 외관 검사성 등의 균형을 고려해서, 통상은 10㎛ 내지 200㎛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15㎛ 내지 10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70㎛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재층의 굴절률은, 통상은 1.43 내지 1.6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1.45 내지 1.5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층은 70% 내지 99%의 광선 투과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투과율이 80% 내지 97%(예를 들어 85% 내지 95%)인 기재층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층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에는,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 성분, 가소제, 착색제(안료, 염료 등) 등의 각종 첨가제가 배합되어 있어도 좋다. 기재층의 제1면(톱 코트층이 형성되는 측의 표면)에는,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산 처리, 알칼리 처리, 하도제의 도포 등의, 공지 또는 관용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표면 처리는, 예를 들어 기재층과 톱 코트층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처리일 수 있다. 기재층의 표면에 히드록실기(-OH기) 등의 극성기가 도입되는 것과 같은 표면 처리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투명 필름은, 그의 기재층의 제2면(점착제층이 형성되는 측의 표면)에 상기와 마찬가지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표면 처리는, 투명 필름(지지체)과 점착제층의 밀착성(점착제층의 투묘성)을 높이기 위한 처리일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투명 필름은, 상기 기재층의 편면(제1면)에, 평균 두께 Dave가 2nm 내지 50nm(전형적으로는 2nm 내지 30nm, 바람직하게는 2nm 내지 20nm, 예를 들어 2nm 내지 10nm)인 톱 코트층을 갖는다. 톱 코트층의 Dave가 지나치게 크면, 투명 필름의 외관이 전체적으로 희어지게 되어, 투명 필름(나아가서는 상기 투명 필름을 구비하는 표면 보호 필름)의 외관 품위가 저하되기 쉬워진다. 한편, 톱 코트층의 Dave가 지나치게 작으면, 상기 톱 코트층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투명 필름을 구성하는 톱 코트층의 두께는, 상기 투명 필름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으로 관찰함으로써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의 시료에 대해서, 톱 코트층을 명료하게 할 목적으로 중금속 염색 처리를 행한 후, 수지 포매를 행하고, 초박 절편법에 의해 시료 단면의 TEM 관찰을 행하여 얻어지는 결과를,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톱 코트층의 두께로서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TEM으로서는, 히타치사제의 투과 전자 현미경, 형식 「H-7650」등을 사용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가속 전압: 100kV, 배율: 60,000배로 얻어진 단면 화상에 대해서, 2치화 처리를 행한 후, 톱 코트의 단면적을 시야 내의 샘플 길이로 나누어 톱 코트층의 두께(시야 내의 평균 두께)를 실측하였다. 또한, 중금속 염색을 행하지 않아도 톱 코트층을 충분히 명료하게 관찰할 수 있는 경우에는, 중금속 염색 처리를 생략할 수도 있다. 혹은, TEM에 의해 파악되는 두께와, 각종 두께 검출 장치(예를 들어, 표면 조도계, 간섭 두께계, 적외 분광 측정기, 각종 X선 회절 장치 등)에 의한 검출 결과와의 상관에 대해서 검량선을 작성하여 계산을 행함으로써, 톱 코트층의 두께를 구할 수도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는, 상기 톱 코트층은, 그의 두께 편차 ΔD가 상기 톱 코트층의 평균 두께 Dave의 40% 이하(전형적으로는 0% 이상 40% 이하)이다. 상기 두께 편차 ΔD는, 톱 코트층을 가로지르는 직선(전형적으로는, 톱 코트층을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직선)에 따라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된 5군데의 측정점(인접하는 측정점은 2cm 이상(예를 들어 5cm 정도 또는 그 이상)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함)에 대하여 상기 톱 코트층의 두께를 측정하고(각 측정점에 대하여 TEM 관찰을 행하여 상기 측정점에서의 톱 코트층의 두께를 직접 측정해도 좋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적당한 두께 검출 장치에 의한 검출 결과를 검량선에 의해 두께로 환산할 수도 있음), 이들의 최대값 Dmax와 최소값 Dmin의 차를 평균 두께 Dave로 나눈 값(즉, ΔD=(Dmax-Dmin)/Dave×100(%))으로서 정의된다. 여기서, 평균 두께 Dave는 상기 5군데의 측정점에서의 두께의 산술 평균값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두께 측정 방법에 따라서 Dave 및 ΔD를 구할 수 있다. ΔD가 30%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나아가 20% 이하)인 투명 필름에 의하면, 보다 양호한 외관 품위(예를 들어, 줄무늬나 얼룩이 시인되기 어려운 성질)가 실현될 수 있다. ΔD가 작은 것은, Dave가 작고 또한 표면 저항률이 낮은 투명 필름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도 유리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다른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는, 상기 톱 코트층은, 그의 형광 X선(XRF) 분석에 의한 X선 강도 편차 ΔI가, 상기 XRF 분석에 의한 X선 강도의 평균값(평균 X선 강도) Iave의 40% 이하이고, 전형적으로는 0% 이상 40% 이하이다. 상기 X선 강도 편차 ΔI는, 톱 코트층을 가로지르는 직선(전형적으로는, 톱 코트층을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직선)에 따라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된 5군데의 측정점(인접하는 측정점은 2cm 이상(예를 들어 5cm 정도 또는 그 이상)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함)에 대하여 XRF 분석을 행하여 X선 강도 I를 측정하고, 최대값 Imax와 최소값 Imin의 차를 평균 X선 강도 Iave로 나눈 값(즉, ΔI=(Imax-Imin)/Iave×100(%))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평균 X선 강도 Iave는, 상기 5군데의 측정점에서의 X선 강도 I의 산술 평균값이다. X선 강도의 단위로는, 통상, kcps(1초당 계수관창을 통해 입사하는 X선 광량자 수(카운트 수))를 이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X선 강도 편차 평가 방법에 따라서 Iave 및 ΔI를 구할 수 있다. ΔI가 30%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나아가 20% 이하)인 투명 필름에 의하면, 보다 양호한 외관 품위(예를 들어, 줄무늬나 얼룩이 시인되기 어려운 성질)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ΔD가 작을수록 ΔI도 작아진다. 따라서, ΔI가 작은 것은, Dave가 작고 또한 표면 저항률이 낮은 투명 필름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도 유리하다.
XRF 분석의 대상으로 하는 원소는, 톱 코트에 포함되는 원소 중 XRF 분석이 가능한 원소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황(톱 코트층에 포함되는 도전성 중합체(폴리티오펜 등)에서 유래하는 황 원자(S)일 수 있음), 규소 원자(톱 코트층에 포함되는 실리콘계 활제에서 유래하는 규소(Si)일 수 있음), 주석 원자(톱 코트층에 필러로서 포함되는 산화 주석 입자에서 유래하는 주석(Sn)일 수 있음) 등을, 상기 XRF 분석의 대상으로서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는, 황의 XRF 분석에 기초하는 X선 강도 편차 ΔI가 40% 이하이다. 다른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는, 규소 원자의 XRF 분석에 기초하는 X선 강도 편차 ΔI가 40% 이하이다.
XRF 분석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할 수 있다. 즉, XRF 장치로서는, 시판되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분광 결정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Ge 크리스탈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출력 설정 등은 사용하는 장치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통상은, 50kV, 70mA 정도의 출력으로 충분한 감도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형광 X선 분석 조건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정밀도를 높인다는 관점에서는, 소정의 XRF 조건에 있어서 직경 30 ㎜의 원에 상당하는 면적당의 X선 강도가 대략 0.01kcps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0.03kcps 이상, 전형적으로는 3.00kcps 이하, 예를 들어 0.05 내지 3.00kcps 정도)이 되는 원소를 분석 대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투명 필름은, 톱 코트층측의 표면에서의 표면 저항률이 100×108Ω 이하(전형적으로는 0.1×108Ω 내지 100×108Ω)이다. 이러한 표면 저항률을 나타내는 투명 필름은, 예를 들어 액정 셀이나 반도체 장치 등과 같이 정전기를 싫어하는 물품의 가공 또는 반송 과정 등에 있어서 사용되는 표면 보호 필름의 지지체로서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 표면 저항률이 50×108Ω 이하(전형적으로는 0.1×108Ω 내지 50×108Ω, 예를 들어 1×108Ω 내지 50×108Ω)인 투명 필름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저항률의 값은, 시판되는 절연 저항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23℃, 상대 습도 55%의 분위기 하에서 측정되는 표면 저항의 값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표면 저항률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진 표면 저항률의 값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톱 코트층의 마찰 계수는 0.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마찰 계수가 낮은 톱 코트층에 의하면, 상기 톱 코트층에 하중(스크래치 흠집을 발생시키는 것과 같은 하중)이 가해졌을 경우에, 그 하중을 톱 코트층의 표면을 따라 받아 넘겨서, 상기 하중에 의한 마찰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톱 코트층이 응집 파괴하거나 기재층으로부터 박리(계면 파괴)되어 스크래치 흠집이 발생하는 현상을 보다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마찰 계수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다른 특성(외관 품위, 인자성 등)과의 균형을 고려하여, 통상은 마찰 계수를 0.1 이상(전형적으로는 0.1 이상 0.4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0.15 이상(전형적으로는 0.15 이상 0.4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 계수로는, 예를 들어 23℃, 상대 습도 50%의 측정 환경 하에서, 투명 필름의 배면(즉, 톱 코트층의 표면)을 수직 하중 40mN으로 찰과하여 구해지는 값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마찰 계수가 실현되도록 마찰 계수를 저하시키는 (조정하는) 방법으로는, 톱 코트층에 각종 활제(레벨링제 등)를 함유시키는 방법, 가교제의 첨가나 성막 조건의 조정에 의해 톱 코트층의 가교 밀도를 높이는 방법 등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투명 필름은, 그의 배면(톱 코트층의 표면)이 유성 잉크에 의해(예를 들어, 유성 마킹 펜을 이용해) 용이하게 인자될 수 있는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투명 필름을 지지체에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은,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이용한 피착체(예를 들어 광학 부품)의 가공이나 반송 등의 과정에 있어서, 보호 대상이 된 피착체의 식별 번호 등을 표면 보호 필름에 기재하여 표시하는 데에 적합하다. 따라서, 외관 품위 외에 인자성에 있어서도 우수한 투명 필름, 및 상기 투명 필름을 구비한 표면 보호 필름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용제가 알코올계이며 안료를 포함하는 타입의 유성 잉크에 대하여 높은 인자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자된 잉크가 마찰이나 전착에 의해 떼어내기 어려운(즉, 인자 밀착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자성의 정도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인자성 평가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필름은, 또한, 인자를 수정 또는 소거 할 때에 상기 인자를 알코올(예를 들어 에틸알코올)로 닦아내어도 외관에 두드러진 변화(백화)가 발생하지 않는 정도의 내용제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내용제성의 정도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내용제성 평가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톱 코트층은, 성막에 기여하는 기본 성분(베이스 수지)으로서, 열경화형 수지, 자외선 경화형 수지, 전자선 경화형 수지, 2 액 혼합형 수지 등의 각종 타입의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고(예를 들어, 후술하는 내스크래치성 평가에 합격하고), 또한 광선 투과성이 우수한 톱 코트층을 형성 가능한 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전 방지 성분(전형적으로는 도전성 중합체)을 함유하는 조성의 톱 코트층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상기 대전 방지 성분의 바인더(바인더 수지)로서도 파악될 수 있다.
열경화형 수지의 구체예로는, 아크릴 수지, 아크릴-우레탄 수지, 아크릴-스티렌 수지, 아크릴-실리콘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실라잔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불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등을 베이스 수지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아크릴 수지, 아크릴-우레탄 수지, 아크릴-스티렌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구체예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아미드 수지,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각종 수지의 단량체, 올리고머, 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자외선 경화성이 자주 고경도의 층을 형성하기 쉬운 점에서, 자외선 중합성의 관능기를 1 분자 중에 2개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 예를 들어 3 내지 6개 정도) 갖는 다관능 단량체 및/또는 그의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단량체로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다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단량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층과의 밀착성의 관점에서는, 일반적으로 상기 베이스 수지로서 자외선 경화형 수지보다 열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일 양태에서는, 톱 코트층의 베이스 수지가, 아크릴계 중합체를 베이스 중합체(중합체 성분 중의 주성분, 즉 50질량% 이상을 차지하는 성분)로 하는 수지(아크릴 수지)이다. 여기서 「아크릴계 중합체」이란, 1 분자 중에 적어도 하나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이하, 이것을 「아크릴계 단량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를 주 구성 단량체 성분(단량체의 주성분, 즉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의 총량 중 50질량% 이상을 차지하는 성분)으로 하는 중합체를 가리킨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로일기」란, 아크릴로일기 및 메타크릴로일기를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의미이다. 마찬가지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의미이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아크릴 수지의 주성분이, 구성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이다. 통상은, MMA와 다른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단량체(전형적으로는, 주로 MMA 이외의 아크릴계 단량체)와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MMA의 공중합 비율은, 전형적으로는 50질량% 이상(예를 들어 50 내지 90질량%)이며,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상(예를 들어 60 내지 85질량%)이다. 공중합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단량체의 적합예로는, MMA 이외의 (시클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시클로)알킬」이란, 알킬 및 시클로알킬을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의미이다.
상기 (시클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예를 들어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BA),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등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12인 알킬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6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펜틸 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의, 시클로알킬기의 탄소수가 5 내지 7인 시클로알킬아크릴레이트; 시클로펜틸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CHMA) 등의, 시클로알킬기의 탄소수가 5 내지 7인 시클로알킬메타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톱 코트층의 베이스 수지로서의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예를 들어 적어도 MMA와 CHMA를 구성 단량체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중합체일 수 있다. CHMA의 공중합 비율은, 예를 들어 25질량% 이하(전형적으로는 0.1 내지 25질량%)로 할 수 있고, 통상은 15질량% 이하(전형적으로는 0.1 내지 15질량%)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또한, 적어도 MMA와 BA 및/또는 2EHA를 구성 단량체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중합체일 수 있다. BA 및 2EHA의 공중합 비율(양자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합계량)은, 예를 들어 40질량% 이하(전형적으로는 1 내지 40질량%, 예를 들어 10 내지 40질량%)로 할 수 있고, 통상은 30질량% 이하(전형적으로는 3 내지 30질량%, 예를 들어 15 내지 30질량%)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는,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의 구성 단량체 성분(즉 단량체 조성)이 실질적으로 MMA와 CHMA와 BA 및/또는 2EHA로 이루어진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이외의 단량체(기타 단량체)가 공중합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단량체로는,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등), 산 무수물기 함유 단량체(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 비닐에스테르류(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등), 방향족 비닐 화합물(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등),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 이미드기 함유 단량체(예를 들어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예를 들어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비닐에테르류(예를 들어 메틸비닐에테르) 등이 예시된다. 이러한 「기타 단량체」의 공중합 비율(2종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합계량)은, 통상은 5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질량% 이하일 수도 있고, 이러한 단량체가 실질적으로 공중합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는, 톱 코트층의 베이스 수지를 구성하는 아크릴계 중합체가, 산성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공중합 조성의 중합체이다.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멜라민계 가교제를 사용하는 양태에 있어서 특히 의미가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공중합 조성의 아크릴계 중합체를 베이스 수지로서 포함하고 또한 멜라민계 가교제로 가교된 톱 코트층은, 보다 고경도이고 또한 기재(기재층)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것이 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톱 코트층에는, 필요에 따라, 대전 방지 성분, 활제(레벨링제 등), 가교제, 산화 방지제, 착색제(안료, 염료 등), 유동성 조정제(틱소트로피제, 증점제 등), 조막 보조제, 촉매(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에 있어서의 자외선 중합 개시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바람직한 표면 저항률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톱 코트층에 대전 방지 성분을 함유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대전 방지 성분은, 투명 필름 또는 상기 필름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 필름의 대전을 방지하는 작용을 갖는 성분이다. 톱 코트층에 대전 방지 성분을 함유시키는 경우, 그 대전 방지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유기 또는 무기의 도전성 물질, 각종 대전 방지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기 도전성 물질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도전성 물질로는, 각종 도전성 중합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중합체의 예로는, 폴리티오펜,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에틸렌이민, 알릴아민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중합체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대전 방지 성분(무기 도전성 물질, 대전 방지제 등)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전성 중합체의 사용량은, 톱 코트층을 구성하는 베이스 수지(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은 아크릴계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10 내지 200질량부로 할 수 있고, 통상은 25 내지 150질량부(예를 들어 40 내지 120질량부)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도전성 중합체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여기에 개시되는 바람직한 표면 저항률의 값이 실현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도전성 중합체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톱 코트층의 두께 편차 ΔD가 높아지기 쉽고, 이에 의해 외관 품위가 저하 경향이 될 경우가 있다. 또한, 톱 코트층을 구성하는 다른 성분과의 조합에 따라서는, 도전성 중합체의 상용성이 부족하게 되어 외관 품위가 저하되거나, 내용제성이 저하 경향이 되거나 할 수도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는 도전성 중합체로서, 폴리티오펜 및 폴리아닐린이 예시된다. 폴리티오펜으로는,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하, 「Mw」로 표기함)이 40×10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104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아닐린으로는, Mw가 50×10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104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도전성 중합체의 Mw는, 통상은 0.1×10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4 이상이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폴리티오펜은 비치환 또는 치환 티오펜의 중합체를 의미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치환 티오펜 중합체의 하나의 바람직한 적합예로서,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을 들 수 있다.
도전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톱 코트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액상 조성물(톱 코트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건조 또는 경화시키는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하는 도전성 중합체로는, 상기 도전성 중합체가 물에 용해 또는 분산된 형태의 것(도전성 중합체 수용액)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중합체 수용액은, 예를 들어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도전성 중합체(분자 내에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를 공중합시키는 등의 방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음)를 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관능기로는, 술포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이미노기, 히드록실기, 머캅토기, 히드라지노기, 카르복실기, 4급 암모늄기, 황산 에스테르기(-O-SO3H), 인산에스테르기(예를 들어 -O-PO(OH)2) 등이 예시된다. 이러한 친수성 관능기는 염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폴리티오펜 수용액의 시판품의 예로는, 나가세켐텍사제의 상품명 「데나트론」시리즈가 예시된다. 또한, 폴리아닐린술폰산 수용액의 시판품으로는, 미쯔비시레이온사제의 상품명 「aqua-PASS」가 예시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는, 상기 코팅 조성물의 제조에 폴리티오펜 수용액을 사용한다. 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SS)를 포함하는 폴리티오펜 수용액(폴리티오펜에 PSS가 도펀트로서 첨가된 형태일 수 있음)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용액은, 폴리티오펜:PSS를 1:5 내지 1:10의 질량비로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용액에 있어서의 폴리티오펜과 PSS의 합계 함유량은, 예를 들어 1 내지 5질량% 정도일 수 있다. 이러한 폴리티오펜 수용액의 시판품의 예로는, H. C. Stark사의 상품명 「베이트론(Baytron)」이 예시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PSS를 포함하는 폴리티오펜 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티오펜과 PSS의 합계량을, 베이스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0질량부(통상은 25 내지 150질량부, 예를 들어 40 내지 120질량부)로 하면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톱 코트층은, 필요에 따라, 도전성 중합체와, 다른 1종 또는 2종 이상의 대전 방지 성분(도전성 중합체 이외의 유기 도전성 물질, 무기 도전성 물질, 대전 방지제 등)을 함께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무기 도전성 물질의 예로는, 산화주석, 산화안티몬, 산화인듐, 산화카드뮴,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인듐, 주석, 안티몬,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니켈, 크롬, 티타늄, 철, 코발트, 요오드화 구리, ITO(산화인듐/산화주석), ATO(산화안티몬/산화주석)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제의 예로는, 양이온형 대전 방지제, 음이온형 대전 방지제, 양성 이온형 대전 방지제, 비이온형 대전 방지제, 상기 양이온형, 음이온형, 양성 이온형의 이온 도전성기를 갖는 단량체를 중합 혹은 공중합하여 얻어진 이온 도전성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는, 상기 톱 코트층에 포함되는 대전 방지 성분이 실질적으로 도전성 중합체로 이루어진다.
도전성 중합체와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톱 코트층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는, 상기 도전성 중합체가 폴리티오펜(PSS가 도프된 폴리티오펜일 수 있음)이며, 상기 바인더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다. 이러한 도전성 중합체와 바인더 수지의 조합은, 톱 코트층의 두께가 작아도 표면 저항률이 낮은 투명 필름을 형성하는 데 적합하다. 상기 아크릴 수지로서, 산성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공중합 조성의 아크릴계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특히 양호한 결과가 실현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톱 코트층이 가교제를 포함하는 양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가교제로는, 일반적인 수지의 가교에 사용되는 멜라민계, 이소시아네이트계, 에폭시계 등의 가교제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가교제를 사용함으로써, 내스크래치성의 향상, 내용제성의 향상, 인자 밀착성의 향상, 마찰 계수의 저하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가 실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는, 상기 가교제로서 적어도 멜라민계 가교제를 사용한다. 가교제가 실질적으로 멜라민계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양태일 수도 있다. 베이스 수지로서 아크릴 수지(특히, 산성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공중합 조성의 아크릴계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는 구성에서는, 가교제로서 멜라민계 가교제를 선택하는 의의가 특히 크다.
여기에 개시되는 투명 필름에 있어서, 보다 양호한 내스크래치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톱 코트층에 활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활제로는, 일반적인 불소계 또는 실리콘계의 활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계 활제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다. 실리콘계 활제의 구체예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틸알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기나 아르알킬기를 갖는 불소 화합물 또는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는 활제(인자성이 양호한 수지 필름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인자성 활제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가교성 반응기를 갖는 불소 화합물 또는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는 활제(반응성 활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활제의 사용량은, 톱 코트층을 구성하는 베이스 수지(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은 아크릴계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5 내지 90질량부로 할 수 있고, 통상은 10 내지 70질량부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는, 베이스 수지 100질량부에 대한 활제의 사용량을 15질량부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20질량부 이상, 예를 들어 25질량부 이상, 전형적으로는 50질량부 이하)으로 한다. 활제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활제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인자성이 부족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거나, 톱 코트층의 외관 품위가 저하 경향이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활제는, 톱 코트층의 표면에 블리딩하여 상기 표면에 미끄럼성을 부여하고, 이에 의해 마찰 계수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활제의 적절한 사용에 의해, 마찰 계수의 저하를 통해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활제는, 톱 코트층의 표면 장력을 균일화하고, 두께 불균일의 저감이나 간섭 줄무늬의 경감(나아가서는 외관 품위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것은, 광학 부재용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특히 의미가 있다. 또한, 톱 코트층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이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경우, 이것에 불소계 또는 실리콘계의 활제를 첨가하면, 톱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하여 건조시킬 때에 상기 활제가 도막 표면(공기와의 계면)에 블리딩하고, 이에 의해 자외선 조사시에 산소에 의한 경화 저해가 억제되어 톱 코트층의 최표면에 있어서도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충분히 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톱 코트층은, 상기 수지 성분 및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첨가제가 적당한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된 액상 조성물을 상기 기재층의 표면에 부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상 조성물(톱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층에 도포하여 건조시키고, 필요에 따라 경화 처리(열처리, 자외선 처리 등)를 행하는 방법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NV)은, 예를 들어 5질량% 이하(전형적으로는 0.05 내지 5질량%)로 할 수 있고, 통상은 1질량% 이하(예를 들어 0.1 내지 1질량%)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NV가 지나치게 높으면,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이나, 장소에 따른 건조 시간의 편차가 발생하기 쉬운 것 등에 의해, 얇고 균일한(ΔD가 작은) 톱 코트층을 형성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는, 톱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NV가 0.5질량% 이하(예를 들어 0.3질량% 이하)이다. NV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NV를 0.05질량% 이상(예를 들어 0.1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톱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의 NV가 지나치게 낮으면, 기재층의 재질이나 표면 상태 등에 따라서는 도막에 크레이터링이 발생하기 쉬워져, 이에 의해 ΔD가 상승 경향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톱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을 구성하는 용매로는, 톱 코트층 형성 성분을 안정적으로 용해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매는, 유기 용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용제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 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디옥산 등의 환상 에테르류; n-헥산,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 탄화수소류;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시클로헥산올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 알코올류; 글리콜에테르류;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일 형태에서는, 톱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을 구성하는 용매가 글리콜에테르류를 주성분으로 하는 용매이다. 이러한 글리콜에테르류로서, 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 및 디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는,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글리콜에테르류는,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에 비해 환경 부하가 적고, 게다가 저급 알코올이나 물에 비해 고비점이므로, 도공된 톱 코트층 형성용 조성물(도포물)의 전체를 균일하게 건조시키는 데 적합하다. 즉,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과 같이 극도로 얇고 또한 두께의 편차가 적은 층을 형성하는 경우, 용매의 휘발성(건조성)이 지나치게 높으면, 예를 들어 조성물을 도공한 영역 내에, 부분적으로 빨리 건조하는 개소가 발생하는 한편, 건조가 지연된 개소에는 용제 고임이 생기고, 그 후에 건조되기 때문에, 빨리 건조된 개소와 지연되어 건조된 개소에서 톱 코트층 두께에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용매의 휘발성이 지나치게 높으면, 도공 직후의 액막 형상이 그대로 반영되기 쉽고(환언하면, 액막이 레벨링하기 전에 건조해 버리고), 이것에 의해 두께 편차 ΔD가 큰 층이 형성되기 쉬워진다. 글리콜에테르류와 같이 고비점이고 또한 친수성인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도공된 액막이 건조하기 전에 레벨링 작용을 적절하게 기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두께 편차 ΔD가 작은 톱 코트층이 형성될 수 있다. 도포물의 건조는 100℃ 이상(예를 들어 120℃ 이상, 전형적으로는 160℃ 이하)의 온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상기 레벨링 작용을 보다 양호하게 기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ΔD가 작은 톱 코트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점착제층으로는, 표면 보호 필름에 적합한 성질(피착체 표면에 대한 박리력, 비오염성 등)을 구비하는 점착제층을 형성 가능한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적절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층에 직접 부여하여 건조 또는 경화시킴으로써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직접법); 박리 라이너의 표면(박리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부여하여 건조 또는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표면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이 점착제층을 기재층에 접합하여 상기 점착제층을 기재층에 전사하는 방법(전사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투묘성이라는 관점에서, 통상은 상기 직접법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의 부여(전형적으로는 도포) 시에는,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리버스 코트법, 롤 브러시법, 스프레이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트법, 다이 코터에 의한 코트법 등의, 점착 시트의 분야에 있어서 종래 공지된 각종 방법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점착제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대략 3㎛ 내지 100㎛ 정도로 할 수 있고, 통상은 대략 5㎛ 내지 50㎛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을 얻는 방법으로는, 미리 톱 코트층이 형성된 기재층(즉 투명 필름)에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 및 기재층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에 톱 코트층을 형성하는 방법 모두 채용 가능하다. 통상은, 투명 필름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은, 필요에 따라, 점착면(점착제층 중 피착체에 부착되는 측의 면)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상기 점착면에 박리 라이너를 접합한 형태(박리 라이너가 부착된 표면 보호 필름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박리 라이너를 구성하는 기재로는, 종이, 합성 수지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점에서 합성 수지 필름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기재층과 마찬가지의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을 박리 라이너의 기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박리 라이너의 두께는, 예를 들어 대략 5㎛ 내지 200㎛로 할 수 있고, 통상은 대략 10㎛ 내지 100㎛ 정도가 바람직하다. 박리 라이너 중 점착제층에 접합되는 면에는, 종래 공지된 이형제(예를 들어, 실리콘계, 불소계, 장쇄 알킬계, 지방산 아미드계 등) 혹은 실리카분 등을 사용하여, 이형 또는 오염 방지 처리가 실시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몇가지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을 이러한 구체예로 나타내는 것에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 중의 「부」 및 「%」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 중의 각 특성은 각각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 또는 평가하였다.
1. 두께 측정
후술하는 예 1의 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기 조성물의 도포량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톱 코트의 두께를 상이하게 한 복수종의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들 샘플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으로 관찰함으로써 톱 코트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한편, 각 샘플의 배면에 대하여 형광 X선 분석 장치(리가꾸사제의 XRF 장치, 형식 「ZSX-100e」)를 사용하여 황 원자(톱 코트에 포함되는 도전성 중합체에서 유래함)의 피크 강도를 측정하였다. 이 형광 X선 분석은 이하의 조건에서 행하였다.
[형광 X선 분석]
장치: 리가꾸사제 XRF 장치, 형식 「ZSX-100e」
X선원: 종형 Rh관
분석 범위: 직경 30㎜의 원내
검출 X선: S-Kα
분광 결정: Ge 크리스탈
출력:50kv, 70mA
상기 TEM 관찰에 의해 얻어진 톱 코트의 두께(실측값) 및 상기 형광 X선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형광 X선 분석에 있어서의 피크 강도로부터 톱 코트의 두께를 파악하는 검량선을 제작하였다.
상기 검량선을 사용하여, 각 예에 따른 투명 필름 샘플의 톱 코트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톱 코트가 형성된 영역을 폭 방향(바 코터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직선에 따라, 상기 폭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 폭이 1/6, 2/6, 3/6, 4/6, 5/6 진행한 위치에 대해 형광 X선 분석을 행하고, 그 결과(황 원자의 X선 강도(kcps))와 톱 코트의 조성(도전성 중합체의 함유량) 및 상기 검량선으로부터, 상기 5군데의 측정 위치에서의 톱 코트의 두께를 구하였다. 평균 두께 Dave는 상기 5군데의 측정점에서의 톱 코트의 두께를 산술 평균함으로써 산출하였다. 두께 편차 ΔD는, 상기 평균 두께 Dave와, 상기 5군데의 측정점에서의 톱 코트의 두께 중 최대값 Dmax 및 최소값 Dmin을 다음 식: ΔD=(Dmax-Dmin)/Dave×100(%)에 대입함으로써 산출하였다.
또한, 이하의 방법에 의해 X선 강도 편차를 평가하였다.
[X선 강도 편차 평가]
상기의 각 위치에 대하여 형광 X선 분석을 행하여 얻어진 황 원자의 X선 강도(kcps)를 산술 평균함으로써 평균 X선 강도 Iave를 구하였다. 또한, 이 평균 X선 강도 Iave와, 각 위치에서의 X선 강도의 최대값 Imax 및 최소값 Imin을 다음 식: ΔI=(Imax-Imin)/Iave×100(%)에 대입하여 X선 강도 편차 ΔI를 산출하였다.
2. 외관 평가
외광을 차단한 실내(암실)에서, 각 예에 따른 투명 필름 샘플의 배면(톱 코트측의 표면)으로부터 100cm의 위치에 100W의 형광등(미쓰비시덴끼가부시끼가이샤제, 상품명 「루피카라인」)을 배치하고, 시점을 바꾸면서 샘플의 배면을 육안 관찰하였다(반사법). 또한, 상기 암실에서, 상기 샘플의 전방면(톱 코트와는 반대측의 표면)으로부터 10cm의 위치에 상기 형광등을 배치하고, 시점을 바꾸면서 샘플의 배면을 육안 관찰하였다(투과법). 또한, 외광이 들어오는 창을 갖는 실내(명실)에서, 맑은 날씨 중에, 직사 광선이 닿지 않는 창가에서 샘플 배면을 육안 관찰하였다. 이들 관찰 결과를 이하의 4단계로 표기하였다.
◎: 어느 관찰 조건에 있어서도, 샘플의 배면에 얼룩이나 줄무늬는 확인되지 않았다.
○: 암실에서의 반사법에 의한 관찰에 있어서, 배면에 미세한 얼룩 또는 줄무늬가 확인되었다.
△: 암실에서의 투과법에 의한 관찰에 있어서, 배면에 미세한 얼룩 또는 줄무늬가 확인되었다.
×: 명실에서의 관찰에 있어서, 배면에 얼룩 또는 줄무늬가 확인되었다.
3. 표면 저항률 측정
JIS K6911에 준거하여, 절연 저항계(미쯔비시가가꾸아날리텍사제, 상품명 「Hiresta-up MCP-HT450」)를 사용하고, 23℃, 상대 습도 55%의 분위기 하에서, 각 예에 따른 투명 필름 샘플의 배면의 표면 저항 Rs를 측정하였다. 인가 전압은 100V로 하고, 표면 저항 Rs의 판독은 측정 개시로부터 60초 후에 행하였다. 그 결과로부터, 다음의 식에 따라 표면 저항률을 산출하였다.
ρs=Rs×E/V×π(D+d)/(D-d)
여기서, 상기 식 중의 ρs는 표면 저항률(Ω), Rs는 표면 저항(Ω), E는 인가 전압(V), V는 측정 전압(V), D는 표면의 환상 전극의 내경(cm), d는 표면 전극의 내원의 외경(cm)을 각각 나타낸다.
4. 백화 방지성 평가
각 예에 따른 투명 필름 샘플의 배면(톱 코트측의 표면)을, 장갑을 낀 시험자가 1회 강하게 마찰하고, 그의 문질러진 부분(찰과부)이 주위에 비해 투명하게 빠지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필름의 백화가 현저할 경우에는, 투명한 찰과부와 (백화된) 주위의 콘트라스트가 강해지는 현상을 볼 수 있다. 관찰은 상기 외관 평가와 마찬가지로, 암실(반사법, 투과법) 및 명실에서 행하였다. 얻어진 관찰 결과를 이하의 4단계로 표기하였다.
◎: 어느 관찰 조건에 있어서도 외관 변화(백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 암실에서의 반사법에 의한 관찰에 있어서 미세한 백화가 확인되었다.
△: 암실에서의 투과법에 의한 관찰에 있어서 미세한 백화가 확인되었다.
×: 명실에서의 관찰에 있어서 백화가 확인되었다.
5. 내스크래치성 평가
각 예에 따른 투명 필름 샘플로부터 10㎠(10cm×10cm)의 샘플을 잘라냈다. 상기 명실에 있어서 시험자가 상기 샘플의 배면을 갈고리로 문지르고, 그에 의한 흠집이 생긴 쪽에 대해 내스크래치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갈고리로 문지른 후의 샘플 배면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톱 코트의 탈락 부스러기의 존재가 확인된 경우를 내스크래치성 ×(불합격), 이러한 탈락 부스러기의 존재가 확인 되지 않은 경우를 내스크래치성 ○(합격)으로 하였다.
6. 내용제성
상기 암실에 있어서, 에틸알코올을 배어들게 한 걸레(천)로 각 예에 따른 투명 필름 샘플의 배면을 15회 닦고, 그 배면의 외관을 육안 관찰하였다. 그 결과, 에틸알코올로 닦은 부분과 다른 부분과의 사이에 외관상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은 (에틸알코올로 닦은 것에 의한 외관 변화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를 내용제성 ○, 닦은 얼룩이 확인된 경우를 내용제성 ×로 평가하였다.
7. 인자성(인자 밀착성) 평가
각 예에 따른 투명 필름 샘플에 대해서, 23℃, 50% RH의 측정 환경 하에서 샤치하타사제 X스탬퍼를 사용하여 톱 코트의 표면 상에 인자를 실시한 후, 그 인자 상에서 니치반사제의 셀로판 점착 테이프(제품 번호 No. 405, 폭 19㎜)를 부착하고, 계속해서 박리 속도 30m/분, 박리 각도 180℃의 조건에서 박리하였다. 박리 후의 표면을 육안 관찰하고, 인자 면적의 50% 이상이 박리되었을 경우를 ×, 인자 면적의 50% 이상이 박리되지 않고 남았을 경우를 ○로 평가하였다.
<예 1>
(코팅 조성물의 제조)
바인더로서의 아크릴계 중합체(바인더 중합체 B1)를 톨루엔 중에 5% 포함하는 용액(바인더 용액 A1)을 준비하였다. 상기 바인더 용액 A1의 제작은 이하와 같이 행하였다. 즉, 반응기에 톨루엔 25g을 도입하고, 반응기 내의 온도를 105℃까지 올린 후,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30g, n-부틸아크릴레이트(BA) 10g,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CHMA) 5g,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g을 혼합한 용액을 상기 반응기에 2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적하하였다. 적하 완료 후, 반응기 내의 온도를 110 내지 115℃로 조정하고, 동온도로 3시간 유지하여 공중합 반응을 행하였다. 3시간 경과 후, 톨루엔 4g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g의 혼합액을 반응기에 적하하고, 동온도로 1시간 유지하였다. 그 후, 반응기 내의 온도를 90℃까지 냉각하고, 톨루엔을 투입하여 희석함으로써 NV 5%로 조정하였다.
용량 150㎖의 비이커에, 2g의 바인더 용액 A1(0.1g의 바인더 중합체 B1을 포함함)과, 40g의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를 넣고 교반 혼합하였다. 또한, 이 비이커에,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T)과 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SS)를 포함하는 NV 4.0%의 도전성 중합체 수용액 C1 1.2g과,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55g과,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계 레벨링제(BYK Chemie사제, 상품명 「BYK-300」, NV 52%) 0.05g과, 멜라민계 가교제를 첨가하여, 약 20분간 교반하여 충분히 혼합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100부의 바인더 중합체 B1(베이스 수지)에 대하여 도전성 중합체 50부 및 활제 30부를 포함하고(모두 고형분 기준), 또한 멜라민계 가교제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톱 코트층의 형성)
한쪽 면에 코로나 처리가 실시된 두께 38㎛, 폭 30cm, 길이 40cm의 투명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의 코로나 처리면에, 상기 코팅 조성물을 바 코터 #3을 사용하여 건조 전의 두께가 약 3.5㎛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이 도포물을 130℃로 2분간 가열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톱 코트층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PET 필름의 편면에 투명한 톱 코트층을 갖는 투명 필름 샘플을 제작하였다.
(표면 보호 필름의 제작)
PET 필름의 편면에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가 실시된 이형 시트를 준비하고, 상기 이형 시트의 박리면(박리 처리가 실시된 면) 상에 두께 25㎛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그 점착제층을 상기 PET 필름의 다른 쪽 면(톱 코트층이 형성되지 않은 면)에 접합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제작하였다. 또한, 본 예 및 이하의 예의 어떤 경우든, 표 2에 나타내는 각종 측정 및 평가는 상기 점착제층을 접합하기 전의 필름(투명 필름 샘플)에 대해 실시하였다.
<예 2>
예 1에 있어서, 도전성 중합체 수용액 C1의 사용량을 1.2g에서 2.5g으로 변경하고,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의 사용량을 55g에서 17g으로 변경하였다. 그 밖의 점에 대해서는 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예에 따른 투명 필름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 투명 필름 샘플을 사용하여 예 1과 마찬가지로 표면 보호 필름을 제작하였다.
<예 3>
예 1에 있어서,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의 사용량을 55g에서 5g으로 변경하였다. 그 밖의 점에 대해서는 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예에 따른 투명 필름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 투명 필름 샘플을 사용하여 예 1과 마찬가지로 표면 보호 필름을 제작하였다.
<예 4>
예 1에 있어서,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의 사용량을 40g에서 15g으로 변경하고, 도전성 중합체 수용액 C1의 사용량을 1.2g에서 0.7g으로 변경하고,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는 사용하지 않았다. 그 밖의 점에 대해서는 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예에 따른 투명 필름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 투명 필름 샘플을 사용하여 예 1과 마찬가지로 표면 보호 필름을 제작하였다.
<예 5>
멜라민계 가교제를 사용하지 않는 점 이외는 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본 예에 따른 투명 필름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 투명 필름 샘플을 사용하여 예 1과 마찬가지로 표면 보호 필름을 제작하였다.
<예 6>
활제(BYK-300)를 사용하지 않는 점 이외는 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본 예에 따른 투명 필름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 투명 필름 샘플을 사용하여 예 1과 마찬가지로 표면 보호 필름을 제작하였다.
<예 7>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의 사용량을 15g에서 10g으로 변경한 점 이외는 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본 예에 따른 투명 필름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 투명 필름 샘플을 사용하여 예 1과 마찬가지로 표면 보호 필름을 제작하였다.
<예 8>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의 사용량을 15g에서 5g으로 변경한 점 이외는 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본 예에 따른 투명 필름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 투명 필름 샘플을 사용하여 예 1과 마찬가지로 표면 보호 필름을 제작하였다.
<예 9>
(코팅 조성물의 제조)
반응기에 톨루엔 25g을 도입하고, 반응기 내의 온도를 105℃까지 올린 후,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32g, n-부틸아크릴레이트(BA) 5g, 메타크릴산(MAA) 0.7g,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CHMA) 5g,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g을 혼합한 용액을 상기 반응기에 2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적하하였다. 적하 완료 후, 반응기 내의 온도를 110 내지 115℃로 조정하고, 동온도로 3시간 유지하여 공중합 반응을 행하였다. 3시간 경과 후, 톨루엔 4g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g의 혼합액을 반응기에 적하하고, 동온도로 1시간 유지하였다. 그 후, 반응기 내의 온도를 90℃까지 냉각하고, 톨루엔 31g을 투입하여 희석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바인더로서의 아크릴계 중합체(바인더 중합체 B2; Tg 73.4℃)를 톨루엔 중에 약 42% 포함하는 용액(바인더 용액 A2)을 제작하였다.
용량 150㎖의 비이커에 바인더 용액 A2(2.3g의 바인더 중합체 B2를 포함)와 29.3g의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를 넣고 교반 혼합하였다. 또한, 이 비이커에, PEDT 및 PSS를 포함하는 NV 1.3%의 도전성 중합체 수용액 C2 14g,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9.5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32g, N-메틸피롤리돈 1.7g, 활제(BYK-300을 사용함) 0.5g을 첨가하고, 약 30분간 교반하여 충분히 혼합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100부의 바인더 중합체 B2(베이스 수지)에 대하여 도전성 중합체 8부 및 활제 12부(모두 고형분 기준)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조성물에는 가교제는 배합되어 있지 않다.
(톱 코트의 형성)
편면에 코로나 처리가 실시된 두께 38㎛, 폭 30cm, 길이 40cm의 투명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의 코로나 처리면에 상기 코팅 조성물을 바 코터 #7을 사용하여 건조 전의 두께가 약 16㎛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이 도포물을 80℃로 2분간 가열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톱 코트층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PET 필름의 편면에 투명한 톱 코트층을 갖는 투명 필름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 투명 필름 샘플을 사용하여 예 1과 마찬가지로 표면 보호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들 투명 필름 샘플에 대해서, 톱 코트층의 형성에 사용한 코팅 조성물의 개략 구성을 표 1에, 상술한 각종 측정 및 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에는, 톱 코트층의 개략 구성을 함께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이들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톱 코트층의 Dave가 2nm 내지 50nm이며 또한 ΔD가 40% 이하인 예 1 내지 6의 투명 필름 샘플은, 모두 상기 외관 평가의 결과가 양호하였다. ΔD가 30% 이하인 예 1 및 예 3 내지 6은, ΔD가 30%를 초과하는 예 2에 비해 더욱 우수한 외관 품위를 나타내는 것이었다. Dave가 2nm 내지 10nm이며 또한 ΔD가 20% 이하인 예 1에 의하면, 특히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예 1 내지 6의 투명 필름 샘플은, 박막이면서 모두 50×108Ω 이하라고 하는 낮은 표면 저항률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백화 방지성에 대해서는 예 1 내지 6의 모두 실용 가능한 레벨이었다. 활제를 사용한 예 1 내지 예 5 중, Dave가 30nm 이하인 예 1 내지 3은, 보다 양호한 백화 방지성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또한, 톱 코트층이 활제 및 멜라민계 가교제를 포함하는 예 1 내지 예 4는, 모두 양호한 내스크래치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활제를 포함하지 않는 예 6은, Dave가 40nm 이상이어도 백화 방지성이 양호하였다. 단, 백화 방지성과 내스크래치성을 고도로 양립시키기 위해서는, 활제를 포함하는 톱 코트층 쪽이 유리하다. 톱 코트에 멜라민계 가교제를 함유시키는 것은, 내용제성 및 인자 밀착성의 향상에도 효과적인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Dave가 50nm보다 큰 예 7 내지 예 9의 투명 필름 샘플은, 모두 예 1 내지 6에 비해 외관 품위가 떨어져 있었다. ΔD가 동일 정도인 예 2와 예 7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양호한 외관 품위를 얻기 위해서는, Dave≤50nm 외에 ΔD≤40%를 만족하는 것이 긴요하다. 또한, 예 7 내지 예 9의 투명 필름 샘플은, 예 1 내지 6에 비해 백화 방지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이것은, Dave가 50nm보다 커지면, 톱 코트층의 표면에 존재하는 활제량이 과잉이 되고 일부 활제가 유적화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백화 방지성 시험에 있어서, 상기 유적화된 활제가 문질러져 빠져나감으로써 백화 방지성이 저하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여기에 개시되는 투명 필름은, 각종 표면 보호 필름의 지지체(지지 기재) 등의 용도에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 디스플레이 등의 구성 요소로서 사용되는 광학 부재의 제조시, 반송시 등에서 상기 광학 부재를 보호하는 용도에 적합하다.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용 편광판(편광 필름), 파장판, 위상차판, 광학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광 확산 시트, 반사 시트 등의 광학 부재에 적용되는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15)

  1. 투명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제1면 상에 형성된 톱 코트층을 갖는 투명 필름이며,
    여기서, 상기 톱 코트층은, 평균 두께 Dave가 2nm 내지 50nm이며, 또한 이하의 식으로 표시되는 두께 편차 ΔD가 40% 이하인, 투명 필름.
    ΔD=(Dmax-Dmin)/Dave×100(%)
    [식 중, Dave는 평균 두께(nm), Dmax는 최대 두께(nm), Dmin은 최소 두께(nm), ΔD는 두께 편차(%)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톱 코트층은, 대전 방지 성분과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고, 표면 저항률이 100×108Ω 이하인, 투명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톱 코트층은 상기 대전 방지 성분으로서 적어도 도전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투명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톱 코트층은 상기 도전성 중합체로서 적어도 폴리티오펜을 포함하는, 투명 필름.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톱 코트층은 상기 바인더 수지로서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톱 코트층은 멜라민계 가교제로 가교되어 있는, 투명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톱 코트층은 활제를 포함하는, 투명 필름.
  8. 투명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제1면 상에 형성된 톱 코트층을 갖는 투명 필름이며,
    상기 톱 코트층은 이하의 조건 모두를 만족시키는, 투명 필름.
    (A) 평균 두께 Dave가 2nm 내지 50nm임; 및
    (B) 형광 X선 분석에 의한 X선 강도 편차 ΔI가 40% 이하이고, 여기서, X선 강도 편차 ΔI는 이하의 식으로 표시됨;
    ΔI=(Imax-Imin)/Iave×100(%)
    [식 중, Iave는 형광 X선 분석에 의한 X선 강도의 평균값(kcps), Imax는 최대 X선 강도(kcps), Imin은 최소 X선 강도(kcps), ΔI는 X선 강도 편차(%)이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톱 코트층은, 대전 방지 성분과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고, 표면 저항률이 100×108Ω 이하인, 투명 필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 성분으로서 적어도 폴리티오펜을 포함하고, 상기 X선 강도는 황 원자에 대하여 측정되는 X선 강도인, 투명 필름.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톱 코트층은 실리콘계의 활제를 포함하고, 상기 X선 강도는 규소 원자에 대하여 측정되는 X선 강도인, 투명 필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를 주된 수지 성분으로 하는 수지 재료인, 투명 필름.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투명 필름과,
    상기 투명 필름의, 상기 톱 코트층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형성된 점착제층
    을 구비하는, 점착 필름.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투명 필름과,
    상기 투명 필름의, 상기 톱 코트층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형성된 점착제층
    을 구비하는, 표면 보호 필름.
  1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투명 필름과,
    상기 투명 필름의, 상기 톱 코트층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형성된 점착제층
    을 구비하는, 광학용 표면 보호 필름.
KR1020127021694A 2010-01-21 2011-01-20 투명 필름 및 그의 이용 KR201201276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11396 2010-01-21
JP2010011396 2010-01-21
PCT/JP2011/051000 WO2011090126A1 (ja) 2010-01-21 2011-01-20 透明フィルムおよびその利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604A true KR20120127604A (ko) 2012-11-22

Family

ID=44306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1694A KR20120127604A (ko) 2010-01-21 2011-01-20 투명 필름 및 그의 이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258305A1 (ko)
JP (1) JP5721448B2 (ko)
KR (1) KR20120127604A (ko)
CN (1) CN102725141B (ko)
TW (1) TWI500729B (ko)
WO (1) WO201109012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4866A (ko) * 2013-07-30 2015-02-0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재
KR20150014865A (ko) * 2013-07-30 2015-02-0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45967B (zh) * 2012-03-26 2019-01-01 日東電工股份有限公司 Surface protection film
EP2725392A1 (en) * 2012-10-29 2014-04-30 Xxentria Technology Materials Co., Ltd. Weatherproof high-reflection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155761B2 (ja) * 2013-03-29 2017-07-0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複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50016878A (ko) * 2013-08-05 2015-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방법
EP2840123B1 (de) * 2013-08-23 2018-04-18 Ewald Dörken Ag Verwendung eines quellschweissmittels
US20150362822A1 (en) * 2014-06-11 2015-12-17 Carestream Health, Inc. Method of producing a revealable invisible pattern in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KR101756510B1 (ko) 2014-10-29 2017-07-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JP6870198B2 (ja) * 2015-01-28 2021-05-12 凸版印刷株式会社 熱転写受像シート
EP3325520B1 (en) 2015-07-23 2020-09-09 E Ink Corporation Polymer formulations for use with electro-optic media
US10744720B2 (en) 2017-09-07 2020-08-18 Sonoco Development, Inc. Container with product visualization aperture
WO2020110772A1 (ja) * 2018-11-28 2020-06-0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フォルダブルデバイス、および、ローラブル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2760A (ja) * 1994-08-10 1996-02-27 Yamaha Corp 印刷化粧積層材
JP2000177059A (ja) * 1998-12-17 2000-06-27 Showa Packs Kk 多層表面保護フィルム
KR20030014587A (ko) * 2001-08-10 2003-02-19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4149653A (ja) * 2002-10-30 2004-05-27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帯電防止性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4325890A (ja) * 2003-04-25 2004-11-18 Nitto Denko Corp 光学機能層、その評価方法、光学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784511B2 (ja) * 2004-09-29 2011-10-05 東レ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CN100577413C (zh) * 2004-09-29 2010-01-06 东丽株式会社 叠层薄膜
KR20080074993A (ko) * 2004-10-21 2008-08-1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대전 방지성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JP4346086B2 (ja) * 2004-10-21 2009-10-14 日東電工株式会社 帯電防止性粘着型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4367704B2 (ja) * 2004-10-21 2009-11-18 日東電工株式会社 帯電防止性粘着型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7324142A (ja) * 2007-08-15 2007-12-13 Nissan Chem Ind Ltd 導電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2009104876A (ja) * 2007-10-23 2009-05-14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抵抗膜式タッチパネ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4866A (ko) * 2013-07-30 2015-02-0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재
KR20150014865A (ko) * 2013-07-30 2015-02-0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58305A1 (en) 2012-10-11
CN102725141A (zh) 2012-10-10
JP2011168049A (ja) 2011-09-01
JP5721448B2 (ja) 2015-05-20
TWI500729B (zh) 2015-09-21
CN102725141B (zh) 2015-09-30
TW201137077A (en) 2011-11-01
WO2011090126A1 (ja) 201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7604A (ko) 투명 필름 및 그의 이용
KR101767277B1 (ko) 투명 필름 및 상기 필름을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
KR101883518B1 (ko) 점착 시트
TWI508857B (zh) Surface protective film
US20150037574A1 (en) Surface protective film and optical component
CN104342054B (zh) 表面保护薄膜及光学构件
JP5791945B2 (ja) 粘着シート
KR20190039863A (ko) 톱 코트층 구비 필름,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품
JP5721805B2 (ja) 透明フィルムおよび該フィルムを用いた表面保護フィルム
KR20200115501A (ko) 하드 코팅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