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7003A -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 - Google Patents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7003A
KR20120127003A KR1020110045192A KR20110045192A KR20120127003A KR 20120127003 A KR20120127003 A KR 20120127003A KR 1020110045192 A KR1020110045192 A KR 1020110045192A KR 20110045192 A KR20110045192 A KR 20110045192A KR 20120127003 A KR20120127003 A KR 20120127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workshop
overhead
gantry
gantry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강
이수호
배재류
추교식
손영석
박종기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5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7003A/ko
Publication of KR20120127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6Position indicators for suspended loads or for cran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4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 B66C15/045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66C5/02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 B66C5/04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with runways or tracks supported for movements relative to bridge or gan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10Arrangements or devices for extending runways or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12Devices for changing direction of travel or for transferring from one runway to another; Crossings; Combinations of tracks of different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 B66C2700/017Installations characterised by their destination or by the load-engaging element for as far as the trolley is essent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장 내에 설치된 오버헤드 크레인의 이동 방향에 교차되게 오버헤드 크레인의 직하부에 갠트리 크레인이 이동하는 구조를 적용하여 한정된 부지를 최대한 활용하여 기존의 작업장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규모와 생산량 및 종류를 단계별로 세분화하면서도 증강할 수 있고, 기존 시설의 전면적인 개보수의 필요없이 최소한의 비용으로 시설 및 설비의 확충이 가능하며, 작업 시간과 운송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하여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CRANE ARRANGING STRUCTURE OF WORKING PLACE FOR CASTING FOUNDRY}
본 발명은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정된 부지를 최대한 활용하여 기존의 작업장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규모와 생산량 및 종류를 단계별로 세분화하면서도 증강할 수 있도록 하는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이 설치된 작업장에는 다양한 종류의 설비와 함께 제조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나의 작업장에서 제조할 수 있는 제품, 예를 들어 선박용 프로펠러 등과 같은 주조품의 종류 또한 천차만별이다.
전술한 작업장에 인접하게는 통상 유사한 종류의 제품 생산을 위한 별도의 작업장이 마련되고, 별도의 작업장에서도 전술한 프로펠러 등을 포함한 주조품을 생산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작업장과 인접한 작업장에는 이러한 주조품을 제조할 수 있는 다양한 설비와 제조 장치 중에서 제조 공정상 유사한 것은 상호 공유를 하면 생산 효율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는 것이 많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작업장과 인접한 작업장은 각각의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각 작업장에 설치된 크레인의 이동 영역 외에 별도로 각 작업장을 상호 이동하는 별도의 작업 공간을 마련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특히, 상호 공유를 위한 설비 및 제조 장치를 전술한 작업장과 인접한 작업장이 공유하기 위해서는 각 작업장 사이에 트롤리(trolley) 또는 트랜스포터 등과 같은 별도의 설비가 필요하게 되므로 과다한 시설 투자가 불가피하다.
또한, 이러한 각 작업장의 개별적인 사정은 생산된 제품을 이송하기 위하여 각 작업장에 설치된 크레인을 수차례 왕복시켜 각 작업장으로부터 반출시켜야 하는 등 작업공수가 늘어나게 되는 것 또한 피할 수 없는 문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한정된 부지를 최대한 활용하여 기존의 작업장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규모와 생산량 및 종류를 단계별로 세분화하면서도 증강할 수 있도록 하는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존 시설의 전면적인 개보수의 필요없이 최소한의 비용으로 시설 및 설비의 확충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시간과 운송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하여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크기와 형태 및 중량을 지닌 제품이 생산되는 제1 작업장과, 제1 작업장 내에 설치되어 왕복하는 제1 오버헤드 크레인과, 제1 작업장과 평행하게 인접하여 건설되며 서로 다른 크기와 형태 및 중량을 지닌 제품이 생산되는 제2 작업장과, 제2 작업장 내에 설치되어 왕복하는 제2 오버헤드 크레인과,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이 이동하는 영역과 교차하는 공통 영역을 형성하고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여 이동하는 갠트리 크레인을 포함하며, 갠트리 크레인은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의 직하부에서 이동하는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다.
우선, 본 발명은 상호 평행하며 인접한 제1, 2 작업장에 각각 설치된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 각각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갠트리 크레인을 설치하고 설비 및 제조 장치를 공유함으로써 한정된 부지를 최대한 활용하여 기존의 작업장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규모와 생산량 및 종류의 단계적인 확충 및 증강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존 시설의 전면적인 개보수의 필요없이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의 이동 방향에 따라 제1, 2 작업장이 점유하는 공간에서 적어도 일측으로부터 제1, 제2 작업장을 관통시켜 갠트리 크레인을 추가하는 설계 변경만으로도 최소한의 비용으로 시설 및 설비의 확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과 갠트리 크레인 상호간이 교차하는 공통 영역을 포함하여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과 갠트리 크레인 각각의 이동 영역에 시설 및 제조 장치를 설치하여 제품 생산을 함으로써 작업 시간과 운송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를 나타낸 평면 개념도
도 2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3은 도 1의 B 시점에서 바라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를 나타낸 평면 개념도이며, 도 2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1의 B 시점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작업장 내에 설치된 오버헤드 크레인(200, 400)의 이동 방향에 직교되게 오버헤드 크레인(200, 400)의 직하부에 갠트리 크레인(500)이 이동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전술한 작업장은 오버헤드 크레인(200, 400) 각각의 이동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1 작업장(100)과 제2 작업장(300)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전술한 오버헤드 크레인은 제1 작업장(100)과 제2 작업장(300)에 각각 장착되는 제1 오버헤드 크레인(200)과 제2 오버헤드 크레인(400)을 포함한다.
제1 작업장(100)에서는 서로 다른 크기와 형태 및 중량을 지닌 제품이 생산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제1 오버헤드 크레인(200)은 제1 작업장(100) 내에 설치되어 왕복하면서 제1 작업장(100)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이송하는 것이다.
제2 작업장(300)은 제1 작업장(100)과 평행하게 인접하여 건설되며 서로 다른 크기와 형태 및 중량을 지닌 제품이 생산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제2 오버헤드 크레인(400)은 제2 작업장(300) 내에 설치되어 왕복하면서 제2 작업장(300)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이송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1, 2 작업장(100, 300)이 주조 공정 및 일체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주조용 작업장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작업장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갠트리 크레인(500)은 1, 2 오버헤드 크레인(200, 400)이 이동하는 영역과 교차하는 공통 영역(600)을 형성하고,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200, 400)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여 이동하면서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200, 400)에 비하여 중량이 큰 제품의 이송을 담당하는 것이다.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200, 400)과 갠트리 크레인(500)이 상호 이루는 각도는 90˚, 즉 상호 직교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적어도 30˚ 이상이면 작업 환경이나 상호 작동에 지장이 없을 것이다.
갠트리 크레인(500)은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200, 400)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200, 400)의 직하부에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갠트리 크레인(500)의 최대 인양하중은 주로 중소형인 주조품을 이송하기 위하여 마련된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200, 400)의 최대 인양하중을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갠트리 크레인(500)은 오버헤드 크레인(200)보다 최대 인양하중이 큰 제품의 이송을 전담하므로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200, 400)의 직하부에 설치되어 왕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2 작업장(100, 300)에서 생산되는 제품은 예를 들면 선박의 프로펠러와 같이 주조 공정에 따라 주형에 주입된 용탕이 응고되어 탈형된 중간 제품과 표면 가공등에 의하여 완성된 최종 제품 상호간의 중량 및 크기 차이가 발생하는 제품 등을 거론할 수 있다.
이때, 제1 작업장(100)과 제2 작업장(300)에는 각각 공유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유 설비(도 1의 810, 820, 830, 840, 850 참고)가 설치되고, 공유 설비는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200, 400)과 갠트리 크레인(500) 각각의 이동 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유 설비는 예를 들어 용해로 또는 주물사 설비(810), 중소형 및 대형의 주조품 생산용 기계장치(820), 주조용 피트(830, 840), 기타 부속품 가공 및 제조장치(850) 등을 열거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작업 환경이나 생산되는 제품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및 교체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200, 400) 중 하나의 최대 인양하중은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200, 400) 중 나머지 하나의 최대 인양하중을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오버헤드 크레인(200)의 최대 인양하중이 제2 오버헤드 크레인(400)의 최대 인양하중을 초과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는 제1 오버헤드 크레인(200)의 이동 영역에 설치된 용해로 또는 주물사 설비(810) 및 주조용 피트(830, 840) 등의 설비로부터 주조된 직후의 중간 제품으로부터 후속 공정에 의하여 가공이 이루어져 생산된 최종 제품의 중량이 줄어드는 것을 감안한 설계이다.
그리고, 제1, 2 작업장(100, 300)의 천장에는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200, 400)의 왕복을 위하여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200, 4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각각 천장 레일(710, 720)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제1, 2 작업장(100, 300)의 바닥에는 갠트리 크레인(5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바닥 레일(730)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갠트리 크레인(500)은 제2 작업장(300)의 바닥면에 평행하게 형성된 바닥 레일(730)을 따라 왕복 가능하도록 이동휠(510)을 구비하고, 바닥 레일(730) 중 일측 또는 양측은 각각 복수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 레일(730)은 일측은 일렬로 배열된(도 3 참고) 복수의 이동휠(510, 도 2의 좌측 확대부 참고)이 접촉 이동하거나, 타측은 복수열로 배열된 복수의 이동휠(510, 도 2의 우측 확대부 참고)이 복수의 바닥 레일(730)에 접촉 이동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바닥 레일(730)은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양측 공히 복수로 평행하게 배열하여 갠트리 크레인(500)이 왕복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바닥 레일(730)의 일측 또는 양측을 각각 복수로 평행하게 배열하고 복수열의 배열된 이동휠(510)이 접촉 이동함으로써 제2 작업장(300)의 시설 개보수에 따라 이송할 제품의 중량이 증가하게 되면, 이송되는 제품으로 인하여 제2 작업장(300)의 바닥면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추가적으로 제2 작업장(300)의 바닥면에 대한 지반보강작업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최소화하거나 생략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200, 400)과 갠트리 크레인(500)에는 이동에 따른 상호 충돌 방지를 위하여 센서(이하 미도시)와 동력차단 스위치(이하 미도시)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는 제1 오버헤드 크레인(200)과 갠트리 크레인(500) 또는 제2 오버헤드 크레인(400)과 갠트리 크레인(500) 상호간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이다.
동력차단 스위치는 제1 오버헤드 크레인(200)과 갠트리 크레인(500)이 상호 근접하거나 제2 오버헤드 크레인(400)과 갠트리 크레인(500)이 상호 근접하면, 센서로부터 입력된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제1 오버헤드 크레인(200)과 갠트리 크레인(500) 또는 제2 오버헤드 크레인(400)과 갠트리 크레인(500)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갠트리 크레인(500)의 이동 영역(G)은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200, 400)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제1, 2 작업장(100, 300)을 합친 영역(H)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으로부터 돌출하여 확장시킴으로써 대형 제품의 생산에 필요한 설비 및 기계장치의 배치를 위한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갠트리 크레인(500)은 제1, 2 작업장(100, 300)을 관통하는 이동 하우징(500')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른 종류의 제품을 위한 생산설비 증설 시 기존의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설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설비 활용도를 높여 투자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한정된 부지를 최대한 활용하여 기존의 작업장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규모와 생산량 및 종류의 확충이 가능하고, 기존 제품과 추가 생산 제품을 동시에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기존 시설의 전면적인 개보수의 필요없이 최소한의 비용으로 시설 및 설비의 확충이 가능하며, 작업 시간과 운송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하여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생산되는 제품의 종류에 상관없이 작업 공정의 공유가 가능한 인접한 작업장이 건설된 부지라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배치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는 등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작업장 200...제1 오버헤드 크레인
300...제2 작업장 400...제2 오버헤드 크레인
500...갠트리 크레인 600...공통 영역

Claims (13)

  1. 서로 다른 크기와 형태 및 중량을 지닌 제품이 생산되는 제1 작업장;
    상기 제1 작업장 내에 설치되어 왕복하는 제1 오버헤드 크레인;
    상기 제1 작업장과 평행하게 인접하여 건설되며 서로 다른 크기와 형태 및 중량을 지닌 제품이 생산되는 제2 작업장;
    상기 제2 작업장 내에 설치되어 왕복하는 제2 오버헤드 크레인;
    상기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이 이동하는 영역과 교차하는 공통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여 이동하는 갠트리 크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갠트리 크레인은 상기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의 직하부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작업장과 상기 제2 작업장에는 각각 공유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유 설비가 설치되고,
    상기 공유 설비는 상기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 및 상기 갠트리 크레인 각각의 이동 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갠트리 크레인의 최대 인양하중은 상기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의 최대 인양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 중 하나의 최대 인양하중은 상기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 중 나머지 하나의 최대 인양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2 작업장의 천장에는 상기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의 이동 방향을 따라 천장 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제1, 2 작업장의 바닥에는 상기 갠트리 크레인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바닥 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겐트리 크레인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바닥 레일 중 일측 또는 양측은 각각 복수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2 작업장은 주조용 작업장이며,
    상기 제1 작업장에는 서로 다른 크기와 형태 및 중량을 지닌 제품이 생산되게 용해로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작업장에는 서로 다른 크기와 형태 및 중량을 지닌 제품이 생산되게 중소형 및 대형의 주조품 생산용 기계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오버헤드 크레인의 최대 인양하중은 상기 제2 오버헤드 크레인의 최대 인양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과 상기 갠트리 크레인에는,
    상기 제1 오버헤드 크레인과 상기 갠트리 크레인 또는 상기 제2 오버헤드 크레인과 상기 갠트리 크레인 상호간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제1 오버헤드 크레인과 상기 갠트리 크레인이 상호 근접하거나 상기 제2 오버헤드 크레인과 상기 갠트리 크레인이 상호 근접하면,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된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제1 오버헤드 크레인과 상기 갠트리 크레인 또는 상기 제2 오버헤드 크레인과 상기 갠트리 크레인을 정지시키는 동력차단 스위치가 각각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갠트리 크레인의 이동 영역은,
    상기 제1, 2 오버헤드 크레인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2 작업장을 합친 영역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으로부터 돌출하여 확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작업장은 선박용 프로펠러를 주조하고 가공하는 작업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
  11. 작업장 내에 설치된 오버헤드 크레인의 이동 방향에 직교되게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의 직하부에 갠트리 크레인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갠트리 크레인의 최대 인양하중은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의 최대 인양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갠트리 크레인의 이동 방향은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
KR1020110045192A 2011-05-13 2011-05-13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 KR20120127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192A KR20120127003A (ko) 2011-05-13 2011-05-13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192A KR20120127003A (ko) 2011-05-13 2011-05-13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003A true KR20120127003A (ko) 2012-11-21

Family

ID=47512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192A KR20120127003A (ko) 2011-05-13 2011-05-13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70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76184A (zh) * 2014-12-02 2015-02-25 天津博迈科海洋工程有限公司 海洋大型结构物建造塔吊布置优化方法
CN113003429A (zh) * 2021-02-23 2021-06-22 机械工业第九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车生产线用可升降吊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76184A (zh) * 2014-12-02 2015-02-25 天津博迈科海洋工程有限公司 海洋大型结构物建造塔吊布置优化方法
CN113003429A (zh) * 2021-02-23 2021-06-22 机械工业第九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车生产线用可升降吊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8550B1 (ko) 파운드리용 샌드 몰드를 생산하기 위한 자동 어셈블리 셀 및 어셈블리 라인
RU2014145304A (ru) Способ и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отливки бетонных изделий
KR20120127003A (ko) 주조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
CN105312457A (zh) 钢筋笼合成系统
US10603816B2 (en) Arrangement for casting concrete products
CN102699297A (zh) 应用3d喷淋工艺解决特厚板坯角横裂纹的方法
JP2015077609A (ja) プレス装置、製造ライン、およびプレス装置の製造方法
CN202969730U (zh) 用于施工现场的柱子钢筋定位装置
CN203579134U (zh) 链条拆装工装
CN104907553A (zh) 铝合金车轮强力铸造生产线布局方法
KR20120127005A (ko)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
KR20120127004A (ko) 작업장의 크레인 배치 구조 및 이로부터 주조품을 제조하는 방법
CN104028735A (zh) 钢水浇铸垂直伸缩机构
CN202192485U (zh) 一种用于机加工工件的运输装置
EA030529B1 (ru) Промышленная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омышленного изделия, в частности авиационного компонента или системы
CN104728278A (zh) 一种双回转支座
CN102506270A (zh) 一种载荷地轨结构
CN202805406U (zh) 离心桩改进型生产线
CN102303766A (zh) 一种用于机加工工件的运输装置
CN102786012A (zh) 大吨位升降平台
CN105735686A (zh) 超大型联合厂房及其平面布置方法
CN217834090U (zh) 预制构件生产线
CN216782220U (zh) 手推式混凝土料斗移动浇筑组合装置
WO2020038827A3 (de) Paletti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palettiervorrichtung
CN201857229U (zh) 单卷筒电动葫芦及使用这种电动葫芦的起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