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6348A - 자동차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6348A
KR20120126348A KR1020110044067A KR20110044067A KR20120126348A KR 20120126348 A KR20120126348 A KR 20120126348A KR 1020110044067 A KR1020110044067 A KR 1020110044067A KR 20110044067 A KR20110044067 A KR 20110044067A KR 20120126348 A KR20120126348 A KR 20120126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lever
cam
bracket
recl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1692B1 (ko
Inventor
이동만
오용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10044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692B1/ko
Publication of KR20120126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백의 폴딩 작용과 리클라이닝 작용을 수행하기 위한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커버 브래킷과, 상기 제1커버 브래킷에 결합되는 제2커버 브래킷과, 상기 제1 및 제2커버 브래킷의 사이에 일측부가 힌지 고정되고, 타측부는 제1 및 제2커버 브래킷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폴딩 회동부재와, 상기 폴딩 회동부재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폴딩캠과, 상기 폴딩캠을 탄력 지지하는 캠용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딩유닛과; 일측에 상기 제1커버 브래킷에 고정되는 리클라이너 코어가 구비되고, 타측에 제1브래킷이 고정되는 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리클라이너 축에 고정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폴딩캠을 회동시키고 상기 리클라이너 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와, 상기 레버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레버용 스프링과, 상기 레버의 일측에서 상기 제2커버 브래킷과 상기 제1브래킷에 각각 지지되어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되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클라이닝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리클라이닝 유닛에 구비되어 리클라이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레버에 폴딩 유닛의 폴딩 캠을 푸쉬하기 위한 폴딩 작용부가 구비됨으로써, 리클라이닝 작동을 위한 레버로 폴딩 작용도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아니라, 종래와 같이 별도의 폴딩용 작동레버를 구성하지 않아도 됨으로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FOLDING RECLINING DEVICE OF VEHICLE SEA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클라이너, 리클라이너 레버, 폴딩 메카니즘을 하나의 모듈화된 형태로 구성하여, 사이드 에어백용 와이어링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폴딩 리클라이너 장치의 내측에 여유 공간을 확보함에 따라 사이드 에어백용 와이어링의 레이아웃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트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편안한 자세로 앉아 있도록 함으로써 장거리 여행시에도 피로를 느끼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실내의 바닥면에 앞뒤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쿠션과, 이 시트쿠션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시트에는 탑승자의 편안함을 위해 여러 가지 편의 기능을 갖춘다.
일례로,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를 앞,뒤로 밀고 당겨서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 기능과 더불어, 상황에 따라 시트를 상,하로 움직이는 승강기능은 물론, 시트백에 대한 기울기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너 기능 등이 있다.
또한, 시트에는 물건의 크기가 길고 큰 경우에 화물적재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리어시트나 조수석 시트의 시트백을 접어 테이블 형태로 만들기 위해 시트백을 접기 위한 폴딩 기능이 있다.
이러한 리클라이너 기능과 폴딩 기능을 갖는 시트를 구비한 차량이 증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리클라이너 기능과 폴딩 기능을 갖는 폴딩 리클라이너 장치는 쿠션에 결합된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작용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리클라이닝 유닛과, 시트백의 폴딩 작용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폴딩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딩유닛을 리클라이닝 유닛에 중첩시키는 힌지중심축을 이루는 폴딩유닛이 갖는 설치높이를 중첩 간격만큼 줄여줄 수 있는 위치에서 조립된 리클라이너축을 갖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중첩 간격 만큼 설치높이를 줄여주는 리클라이너축을 갖추어 시트에 내장됨으로써, 사이드 에어백쪽으로 침범되지 않는 라운드 리클라이너의 작동궤적을 갖게 된다.
이로 인해, 승객 보호 충돌안전성능 확보 법규를 만족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를 갖춘 사이드 에어백을 시트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폴딩 리클라이너 장치는 내측에 시트를 폴딩시키기 위한 레버가 마련되고, 외측으로 리클라이닝을 위한 레버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사이드 에어백용 와이어링의 설계 레이아웃에 공간적인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트백을 최후방으로 조정할 경우 사이드 에어백용 와이어링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미를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리클라이너 기능과 폴딩 기능을 갖는 폴딩 리클라이너 장치에서 리클라이닝 유닛에 구비되어 리클라이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리클라이너 레버로 폴딩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이드 에어백용 와이어링의 처리를 위한 공간 확보가 용이하고, 구조를 비교적 간단하게 구성하도록 한 자동차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커버 브래킷과, 상기 제1커버 브래킷에 결합되는 제2커버 브래킷과, 상기 제1 및 제2커버 브래킷의 사이에 일측부가 힌지 고정되고, 타측부는 제1 및 제2커버 브래킷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폴딩 회동부재와, 상기 폴딩 회동부재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폴딩캠과, 상기 폴딩캠을 탄력 지지하는 캠용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딩유닛과; 일측에 상기 제1커버 브래킷에 고정되는 리클라이너 코어가 구비되고, 타측에 제1브래킷이 고정되는 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리클라이너 축에 고정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폴딩캠을 회동시키고 상기 리클라이너 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와, 상기 레버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레버용 스프링과, 상기 레버의 일측에서 상기 제2커버 브래킷과 상기 제1브래킷에 각각 지지되어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되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클라이닝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폴딩캠은 상기 제1커버 브래킷과 제2커버 브래킷 사이에 캠샤프트에 의해 힌지 고정되되, 일단부는 상기 폴딩 회동부재를 지지하여 록킹하고, 타단부는 상기 레버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레버에는 상기 폴딩 유닛의 폴딩 작용을 위한 폴딩작용부가 구비되어, 상기 폴딩캠을 회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폴딩작용부는 상기 레버의 회동시 상기 폴딩캠의 일단부를 푸쉬하기 위하여, 상기 레버에 돌출 형성되는 푸쉬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레버에는 리클라이닝이나 폴딩 작용시 레버가 일정각도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제한하는 회동제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동제한부는 상기 레버의 하측에 구비되는 가이드홀과,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홀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마운팅 브래킷과 레버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부재와, 상기 가이드홀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에 고정되며 가이드홀의 주변에 밀착되는 고정와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클라이닝 유닛에 구비되어 리클라이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레버에 폴딩 유닛의 폴딩 캠을 푸쉬하기 위한 폴딩 작용부가 구비됨으로써, 리클라이닝 작동을 위한 레버로 폴딩 작용도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아니라, 종래와 같이 별도의 폴딩용 작동레버를 구성하지 않아도 됨으로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폴딩 작동과 리클라이닝 작동이 장치의 외측에 구비되는 하나의 레버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이드 에어백용 와이어링 처리를 위한 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폴딩 리클라이너 장치에서 폴딩 유닛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폴딩 리클라이너 장치에서 리클라이닝 유닛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의 폴딩 전과 후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폴딩 리클라이너 장치에서 폴딩 유닛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폴딩 리클라이너 장치에서 리클라이닝 유닛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의 폴딩 전과 후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10)는 리클라이닝 작동을 구현하기 위한 리클라이닝 유닛(200)과, 폴딩 작동을 구현하기 위한 폴딩 유닛(100)이 독립 단위로 이루어지고, 상호간의 조립 고정을 통해 1개의 모듈을 구성하며, 상기 리클라이닝 유닛(200)에 구비되어 리클라이닝 작동을 수행하는 레버(230)의 조작에 의해 폴딩 유닛(100)의 폴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폴딩 유닛(100)은 상기 리클라이닝 유닛(200)과 결합되어 시트의 시트백을 전방으로 폴딩하기 위한 것으로, 제1커버 브래킷(110)과, 제2커버 브래킷(120)과, 폴딩캠(130)과, 폴딩 회동부재(140)와, 힌지 샤프트(150)과, 백마운트 샤프트(160)과, 캠 샤프트(170)과, 캠 스프링(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커버 브래킷(110)과 제2커버 브래킷(120)은 그 사이에 일정 공간을 갖도록 상호 결합되며, 공간에 상기 폴딩캠(130)과 폴딩 회동부재(140)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1커버 브래킷(110)은 제2커버 브래킷(120)보다 크게 형성되되, 하측에 후술하게 되는 리클라이닝 유닛(200)의 리클라이너 코어(270)에 고정되는 고정부(111)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커버 브래킷(110)과 제2커버 브래킷(120)이 서로 고정될 때, 제1커버 브래킷(110)의 고정부(111)가 하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111)에 리클라이닝 유닛(200)의 마운팅 브래킷(210)에 고정된 리클라이너 코어(270)가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커버 브래킷(110)의 상부에는 폴딩 회동부재(140)가 힌지 샤프트(150)에 의해 고정되는 제1샤프트홀(1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커버 브래킷(110) 일측에는 상기 제1샤프트홀(112)로부터 하측 사선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는 곳에 캠 샤프트(170)가 고정되는 제2샤프트홀(113)이 형성된다.
상기 제1커버 브래킷(110)의 일측부는 제1커버 브래킷(110)과 제2커버 브래킷(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시트백의 폴딩시 백마운트 샤프트(160)가 밀착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2커버 브래킷(120)의 일측부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커버 브래킷(110)과 제2커버 브래킷(120)의 일측부의 가장자리 하측에는 시트의 착좌시 백마운트 샤프트(160)가 밀착되어 위치될 수 있는 원호 형상의 안착부(123)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커버 브래킷(110)과 제2커버 브래킷(12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는 시트백의 폴딩시 즉, 폴딩 유닛(100)의 폴딩 작동시 백마운트 샤프트(16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폴딩 회동부재(140)의 회동 궤적과 같은 원호 형태의 가이드부(114)(12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123)는 착좌시 즉, 시트백이 일정각도로 세워져 있을 경우에 시트백에 고정되는 백마운트 샤프트(160)가 밀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커버 브래킷(110)에는 상기 제2샤프트홀(113)의 하측으로 후술하게 되는 캠용 스프링(180)의 단부가 끼워져 유동되기 위한 스프링 유동홀(11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커버 브래킷(110)과 제2커버 브래킷(120)의 일측부 가장자리 상단에는 시트백의 폴딩시 시트백이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백마운트 샤프트(160)의 이동을 스톱시키기 위한 멈춤돌기(115)(125)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한편, 제2커버 브래킷(120)은 상기 제1커버 브래킷(110)에 결합되되, 그 사이에 폴딩캠(130)과 폴딩 회동부재(140)가 회동될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커버 브래킷(120)에는 힌지 샤프트(150)와 캠 샤프트(170)가 끼워져 고정되는 제3샤프트 홀(121)과 제4샤프트 홀(12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폴딩 회동부재(140)는 제1커버 브래킷(110)과 제2커버 브래킷(120) 사이에 구비되고, 힌지 샤프트(150)에 의해 고정되되, 힌지 샤프트(150)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폴딩 회동부재(140)는 크기가 다른 원형상의 판부재가 일체로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힌지 샤프트(150)가 끼워져 고정되는 제1고정홀(14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백마운트 샤프트(160)가 끼워져 고정되는 제2고정홀(142)이 형성된다.
상기 폴딩 회동부재(140)의 일측부에는 착좌시 시트백이 일정경사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폴딩캠(130)에 의해 지지되어 폴딩 유닛(100)이 록킹 상태가 되도록 폴딩 회동부재(14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14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폴딩 회동부재(140)는 일측부의 제1고정홀(141)과 제1샤프트홀(112) 및 제3샤프트홀(121)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홀(141)(112)(121)들로 힌지 샤프트(150)가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 샤프트(150)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폴딩 회동부재(140)의 타측부는 제2고정홀(142)에 백마운트 샤프트(160)가 고정되며, 폴딩 회동부재(140)가 상기 힌지 샤프트(150)를 중심으로 회동될 때, 백마운트 샤프트(160)가 상기 제1,2커버 브래킷(110)(120)의 일측부 즉, 안착부(123)와 멈춤돌기(115)(125) 사이를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백마운트 샤프트(160)가 시트백의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백마운트 샤프트(160)가 제1,2커버 브래킷(110)(120)의 일측부를 따라 왕복 이동할 때, 시트백이 폴딩되거나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상기 폴딩캠(130)은 제1커버 브래킷(110)과 제2커버 브래킷(120) 사이의 공간에 캠 샤프트(17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폴딩캠(130)의 일단부는 상기 폴딩 회동부재(140)의 지지돌기(143)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폴딩 유닛(100)의 록킹 상태를 유지시키고, 타단부는 후술하게 되는 리클라이닝 유닛(200)의 레버(230)에 의해 밀려서 캠 샤프트(170)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폴딩캠(130)의 중앙에는 캠 샤프트(170)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제2샤프트홀(113)과 제4샤프트홀(122)에 일치되는 제3고정홀(131)이 형성된다.
즉, 폴딩캠(130)은 제3고정홀(131)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일측으로는 폴딩 회동부재(140)의 지지돌기(143)에 접촉되고, 타측으로는 레버(230)의 푸쉬돌기(233)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폴딩캠(130)은 캠 샤프트(170)에 의해 상기 제1커버 브래킷(110) 및 제2커버 브래킷(120)에 고정되고, 상기 캠 샤프트(170)에 끼워지는 캠용 스프링(180)에 의해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캠용 스프링(180)은 토션 스프링 형태의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캠 샤프트(170)에 끼워지고, 양단부가 제1커버 브래킷(110)와 폴딩캠(130)에 각각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즉, 캠용 스프링(180)의 일단부는 도 2와 같이, 제1커버 브래킷(110)의 외측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1커버 브래킷(110)에 형성되는 스프링 유동홀(116)이 끼워지되, 폴딩캠(130)의 하단부에 지지되어 폴딩캠(130)이 회동될 때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 샤프트(150)와 캠 샤프트(170)는 상기 폴딩 회동부재(140)와 폴딩 캠(130)을 고정한 후에, 제1커버 브래킷(120)의 외측에서 별도의 와셔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상기 리클라이닝 유닛(200)은 시트 프레임에 고정되는 마운팅 브래킷(210)과, 상기 마운팅 브래킷(210)의 일면에 용접 고정되는 제1브래킷(220)과, 상기 마운팅 브래킷(210)의 일측에서 리클라이너 축(201)에 의해 고정되는 레버(230)와, 상기 레버(230)의 일측에서 상기 레버(230)와 제1브래킷(220)에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레버용 스프링(240)와, 상기 레버용 스프링(240)의 일측에서 제1브래킷(220)과 폴딩 유닛(100)의 제2커버 브래킷(120)에 지지되는 리턴 스프링(250)과, 상기 레버(230)가 작동될 때, 회동되는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회동 제한부(260)와, 상기 마운팅 브래킷(210)의 타면에 고정되며 리클라이닝 작동시 시트백의 경사 상태를 고정하도록 록킹과 언록킹 되도록 구성되는 리클라이너 코어(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운팅 브래킷(210)은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10)를 시트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에 마운팅 홀(211)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리클라이너축(201)이 고정되는 축홀(212)이 형성된다.
마운팅 브래킷(210)의 일측에는 제1브래킷(220)이 용접 고정되며, 상기 제1브래킷(220)에는 레버용 스프링(240)의 일단과 리턴 스프링(250)의 내측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돌기(221)가 형성되고, 이 지지돌기(221)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다른 돌기부(22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레버(230)는 중앙에 리클라이너 축(201)이 끼워지는 일정길이의 장홀(2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홀(231)에 끼워져 레버(23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리클라이너 축(201)에 고정와셔(202)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홀(231)의 상부 양측으로 원호 형상의 관통홀(232)이 각각 되며, 상기 한 쌍의 관통홀(232)로 상기 제1브래킷(220)의 지지돌기(221)와 돌기부(222)가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레버(230)에는 상기 폴딩 유닛(100)의 폴딩 작용을 위한 폴딩작용부가 구비되어, 상기 폴딩캠(130)을 회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폴딩 작용부는 레버(230)의 장홀(231)에서 일측 사선 방향으로 외주에 형성되되, 폴딩 작동을 위해 레버(230)를 조작할 때, 레버의 회동에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원호 형태로 회동되어 폴딩 유닛(100)의 폴딩캠(130)의 하단부를 가압하여 푸쉬하기 위한 푸쉬돌기(23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230)의 하측에는 리클라이닝 작동 및 폴딩 작동을 위한 작동부(23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230)에 형성되는 관통홀(232) 중 하나의 관통홀(232)의 하측에는 상기 레버용 스프링(240)의 타단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스프링 고정홀(23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버(230)의 장홀(231)의 하측에는 후술하게 되는 회동 제한부(260)의 가이드홀(26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262)에 마운팅 브래킷(21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회동제한부(260)의 가이드돌기(261)가 끼워져서 상기 레버(230)가 회동될 때, 가이드돌기(261)가 가이드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레버(230)의 일측에는 레버(230)의 작동후에 레버(23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레버용 스프링(240)이 구비된다.
상기 레버용 스프링(240)은 링 형태의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되되, 일단은 상기 레버(230)의 관통홀(232)로 돌출되는 제1브래킷(220)의 지지돌기(221)에 지지되며, 타단은 레버(230)의 스프링 고정홀(234)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레버용 스프링(240)은 일단이 제1브래킷(220)의 지지돌기(221)에 지지되고 타단이 스프링 고정홀(234)에 고정되어, 레버(2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때 탄성을 받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레버용 스프링(240)의 일측에는 리턴 스프링(250)이 구비되되, 상기 리턴 스프링(250)은 링 형상으로 감길 때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되고, 내측의 단부는 제1브래킷(220)의 지지돌기(221)에 지지되며, 외측 단부는 폴딩 유닛(100)의 제2커버 브래킷(120)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레버(230)에는 회동 제한부(260)가 구비되고, 이 회동 제한부(260)는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10)에서 리클라이닝 작용이나 폴딩 작용을 할 때 레버(230)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동제한부(260)는 레버(230)의 장홀(231)의 하측에 구비되고, 작동부(235)의 위쪽에 구비되는 가이드홀(262)과, 상기 마운팅 브래킷(210)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홀(262)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261)와, 상기 마운팅 브래킷(210)의 고정되는 제1브래킷(220)과 레버(230)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부재(263)와, 상기 가이드홀(262)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261)에 고정되며 가이드홀(262)의 주변에 밀착되는 고정와셔(2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클라이너 코어(270)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210)의 타측면 즉, 마운팅 브래킷(210)과 폴딩 유닛(100) 사이에 구비되되 제1커버 브래킷(110)의 고정부(111)에 용접 고정되어 리클라이닝 작용시 시트백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리클라이너 코어(270)는 상기 레버(230)를 고정하는 리클라이너 축(201)이 중앙에 고정되며, 탑승자가 레버(230)를 당김에 따라 레버(230)를 고정하는 리클라이너 축(201)이 회동될 때, 내측에서 언록킹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리클라이너 코어(270)는 레버(230)를 조작함에 따라 내부에서 언록킹과 록킹 작용이 일어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리클라이너 코어(270)가 언록킹 상태가 되면, 상기 마운팅 브래킷(210)에 고정되는 리클라이너 코어(270)는 상기 폴딩 유닛(200)과 함께 회동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리클라이너 코어(270)는 이미 공지된 기술로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에 대한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의 폴딩 전과 후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우선,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10)의 리클라이닝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탑승자가 편안한 자세로 착석하기 위하여, 시트백의 경사 정도를 조절하려면, 상기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10)의 리클라이닝 유닛(200)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레버(230)를 살짝 당긴다. 그러면, 레버(230)는 장홀(231)에 고정되는 리클라이너 축(201)이 중심이 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레버(230)를 일정각도 즉, 회전 제한부(260)의 가이드돌기(262)가 가이드홀(261)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완전히 이동되지 않고 중간 정도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당기게 된다.
그러면, 레버(230)의 장홀(231)에 고정되는 리클라이너 축(201)이 회동되면서 리클라이너 코어(270)를 언록킹 상태로 전환시킨다. 그러면, 리클라이너 코어(270)에 고정되는 폴딩 유닛(100)은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탑승자는 시트백을 등으로 밀거나 허리를 앞으로 숙여서 시트백의 경사를 조절한 후에 레버(230)의 작동을 중지하게 된다. 그러면, 레버(230)는 레버용 스프링(240)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 반향으로 회동되면서 원상태로 복귀된다.
이때, 상기 리클라이너 축(201)은 레버(230)의 회동에 의해 같이 회동되며서 리클라이너 코어(270)를 록킹 상태로 전환시켜 시트백을 일정각도로 회전된 고정상태로 만들게 된다.
한편, 시트백을 폴딩하기 위한 폴딩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트백을 폴딩하기 위해 탑승자가 레버(230)를 잡아당긴다. 여기서, 탑승자는 레버(230)를 잡아 당길 때, 레버(230)의 회동 제한부(260)의 가이드돌기(262)가 가이드홀(261)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이동될 수 있도록 잡아당기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레버(23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는데, 이때 상기 레버(230)의 푸쉬돌기(233)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폴딩 유닛(100)의 폴딩캠(130) 하단부를 가압하여 푸쉬하게 된다.
이때, 폴딩캠(130)은 제1 및 제2커버 브래킷(110)(120)에 고정하는 캠 샤프트(170)를 힌지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러면, 폴딩캠(130)의 일단부에 폴딩 회동부재(140)가 지지되어 록킹 상태에 있던 폴딩 유닛(100)의 록킹 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탑승자는 폴딩 유닛(100)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어 있을 때, 시트백을 시트의 전방으로 당겨서 폴딩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탑승자가 시트백을 폴딩시키기 위하여 잡아당기면, 폴딩 회동부재(140)는 일측부에 힌지 고정되는 힌지 샤프트(150)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폴딩 회동부재(140)의 타측부에 고정되며, 시트백을 고정하는 백마운트 샤프트(160)는 제1 및 제2커버 브라켓(110)(120)의 일측에 가이드부(114)(124)를 따라 멈출돌기(115)(125)까지 이동된다.
이렇게 폴딩 회동부재(140)가 회동되어 멈출돌기(115)(125)까지 이동되면 폴딩유닛(100)의 폴딩 작용이 종료되며, 시트백은 완전히 폴딩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폴딩된 시트백을 원상태로 놓기 위해 시트백을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폴딩 유닛(100)은 상기에서 기술된 폴딩되는 작동의 역순으로 작동되며, 시트백이 완전히 원상태로 세워지면 폴딩 캠(130)은 폴딩 회동부재(140)의 지지돌기(143)를 지지하여 폴딩 유닛(100)가 록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 100 : 폴딩 유닛
110 : 제1커버 브래킷 120 : 제2커버 브래킷
130 : 폴딩캠 140 : 폴딩 회동부재
150 ; 힌지샤프트 160 : 백마운트 샤프트
170 : 캠샤프트 180 : 캠 스프링
200 : 리클라이닝 유닛 210 : 마운팅 브래킷
220 : 제1브래킷 230 : 레버
240 : 레버용 스프링 250 : 리턴 스프링
260 : 회동 제한부 270 : 리클라이너 코어

Claims (6)

  1. 제1커버 브래킷과;
    상기 제1커버 브래킷에 결합되는 제2커버 브래킷과;
    상기 제1 및 제2커버 브래킷의 사이에 일측부가 힌지 고정되고, 타측부는 제1 및 제2커버 브래킷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폴딩 회동부재와;
    상기 폴딩 회동부재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폴딩캠과;
    상기 폴딩캠을 탄력 지지하는 캠용 스프링을 포함하는 폴딩유닛과;
    일측에 상기 제1커버 브래킷에 고정되는 리클라이너 코어가 구비되고, 타측에 제1브래킷이 고정되는 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리클라이너 축에 고정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폴딩캠을 회동시키고 상기 리클라이너 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와;
    상기 레버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레버용 스프링과;
    상기 레버의 일측에서 상기 제2커버 브래킷과 상기 제1브래킷에 각각 지지되어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되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클라이닝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캠은 상기 제1커버 브래킷과 제2커버 브래킷 사이에 캠샤프트에 의해 힌지 고정되되, 일단부는 상기 폴딩 회동부재를 지지하여 록킹하고, 타단부는 상기 레버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는 상기 폴딩 유닛의 폴딩 작용을 위한 폴딩작용부가 구비되어, 상기 폴딩캠을 회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작용부는 상기 레버의 회동시 상기 폴딩캠의 일단부를 푸쉬하기 위하여, 상기 레버에 돌출 형성되는 푸쉬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는 리클라이닝이나 폴딩 작용시 레버가 일정각도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제한하는 회동제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제한부는 상기 레버의 하측에 구비되는 가이드홀과,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홀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마운팅 브래킷과 레버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부재와,
    상기 가이드홀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에 고정되며 가이드홀의 주변에 밀착되는 고정와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
KR1020110044067A 2011-05-11 2011-05-11 자동차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 KR101241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067A KR101241692B1 (ko) 2011-05-11 2011-05-11 자동차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067A KR101241692B1 (ko) 2011-05-11 2011-05-11 자동차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348A true KR20120126348A (ko) 2012-11-21
KR101241692B1 KR101241692B1 (ko) 2013-03-11

Family

ID=47511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067A KR101241692B1 (ko) 2011-05-11 2011-05-11 자동차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6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31850A (zh) * 2021-06-01 2022-12-06 达世株式会社 座椅的翻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30804B1 (fr) * 2001-10-15 2004-01-16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 dossier rabattable vers l'avant
KR100523043B1 (ko) 2004-03-10 2005-10-20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백복귀 메모리장치
KR100627731B1 (ko) 2005-08-18 2006-09-25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장치
KR100601809B1 (ko) * 2005-12-21 2006-07-19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용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31850A (zh) * 2021-06-01 2022-12-06 达世株式会社 座椅的翻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1692B1 (ko) 201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2404B2 (en) Seat
US7438339B2 (en) Vehicle Seat
US8388054B2 (en) Stowable vehicle seat
KR101356136B1 (ko) 차량용 시트 백 래치
US8534750B2 (en) Stowable vehicle seat
US8465096B2 (en) Stowable vehicle seat
JPH07205699A (ja) 折畳み式シートバック及び組込み型チャイルドシート用インターロック
US20060022498A1 (en) Vehicle seat assembly with biased headrest
CN107444203B (zh) 座椅调节装置以及交通工具用座椅
KR101752240B1 (ko) 차량용 워크인 시트의 시트백 록킹 장치
EP1500550B1 (en) Seat device
KR100461102B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JP6039457B2 (ja) オットマン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WO2011077888A1 (ja) 車両用シート
KR101241692B1 (ko) 자동차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
KR102570786B1 (ko) 차량용 플랫시트
KR101723101B1 (ko) 세미 록킹 구조를 갖는 차량용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
JP2019064307A (ja) 乗物用シート
KR100559597B1 (ko) 자동차용 폴드 앤 다이브식 시트의 시트백 각도조절 구조
JP6498913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435211B1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스톱퍼장치
JP2013001175A (ja) 車両用シート
JP7447518B2 (ja) 乗物用シート
JP6708941B2 (ja) 車両用シート
JP6691308B2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