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5725A - 라인마크 설치기구 및 이를 이용한 라인마크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라인마크 설치기구 및 이를 이용한 라인마크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5725A
KR20120125725A KR1020110043338A KR20110043338A KR20120125725A KR 20120125725 A KR20120125725 A KR 20120125725A KR 1020110043338 A KR1020110043338 A KR 1020110043338A KR 20110043338 A KR20110043338 A KR 20110043338A KR 20120125725 A KR20120125725 A KR 20120125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mark
jig
drill
tool holder
hammer d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영
송중근
박창우
장용태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도시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도시가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도시가스
Priority to KR1020110043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5725A/ko
Publication of KR20120125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7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1/00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 B25F1/006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with percussion tool-heads or -blades, e.g. hammers, ax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6/00Drives for drilling with combined rotary and percussive action
    • E21B6/02Drives for drilling with combined rotary and percussive action the rotation being continuous
    • E21B6/04Separate drives for percussion and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포트 지그에 이중 드릴 날이 장착된 햄머드릴을 고정하여 지표면에 이중 홀을 형성한 다음, 햄머드릴에 타격형 지그를 교체한 후에 라인마크를 타격하여 설치하도록 구성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라인마크 설치 작업이 가능하면서도 라인마크 설치의 편의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라인마크 설치기구 및 이를 이용한 라인마크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라인마크 설치기구 및 이를 이용한 라인마크 설치방법{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line-mark}
본 발명은 지하 매설물의 위치, 방향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지표면 상에 설치되는 라인마크에 관한 것이다.
라인마크는 가스관, 전기고압선, 전화선, 수도관 등 지하에 매설된 시설물을 지표에서 매설된 위치와 방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시설물의 직상부의 지표에 설치되는 것이다.
도 1은 라인마크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라인마크(10)는 매설물의 종류 및 방향 등의 안내문구가 표시된 헤드부(11)와, 이 헤드부(11) 밑에서 못 구조로 길게 연결되어 지표상에 매립되는 핀부(12)로 구성된다. 그리고 헤드부(11)와 핀부(12) 사이에는 핀부(12)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 연결부(13)가 구성된다.
이러한 라인마크(10)의 설치 방법은, 지표면상에 홀을 형성하고, 이 홀에 라인마크(10)의 핀부(12)를 삽입한 다음, 헤드부(11)를 해머 등으로 항타하여 설치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라인마크 설치방법은, 별다른 지지 장치 없이 드릴 등의 장비만 이용하여 지표면 상에 홀을 형성하므로 홀 형성 작업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헤드부(11)를 해머로 항타할 때 정확한 항타가 어려워 설치하는 도중에 헤드부(11) 및 핀부(12)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또한 부정확한 항타 작업으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결국, 종래 라인마크 설치 방법은, 라인마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라인마크가 손상되어 라인마크 설치 작업의 신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공구 손상 및 안전사고 발생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서포트 지그에 이중 드릴 날이 장착된 공구(햄머드릴)를 고정하여 지표면에 이중 홀을 형성한 다음, 햄머드릴에 타격형 지그를 교체하여 라인마크를 설치함으로써, 안전하고 신속한 라인마크 설치 작업이 가능하면서도 라인마크 설치의 편의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라인마크 설치기구 및 이를 이용한 라인마크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인마크 설치지그는, 중앙부에 홀을 갖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어 타격용 또는 회전용 공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공구 고정대와; 상기 바닥판과 공구 고정대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신축 지지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구 고정대는, 좌우로 분할되어 상호 마주하는 가운데 부분에 공구가 장착되는 공구 장착부가 구비됨과 아울러 공구 장착부의 양쪽 위치에 좌우로 분할된 양쪽 부분을 상호 고정하는 록킹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구 고정대는, 그 일측에 보조 손잡이를 장착할 수 있는 손잡이 장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축 지지대는 외력을 제거하면 공구 고정대를 자동으로 상승시키는 공압 실린더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인마크 설치기구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바닥판, 공구 고정대, 신축 지지대로 이루어진 서포트 지그와; 상기 서포트 지그의 공구 고정대에 장착되어 회전력과 타격력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햄머드릴과; 상기 햄머드릴에 장착되어 라인마크가 설치되는 마크 설치홀을 형성하는 것으로, 소구경 드릴부와 이 소구경 드릴부의 상부에 대구경 드릴부를 갖는 이중 드릴 날과; 상기 햄머드릴에 장착되어 상기 마크 설치홀에 라인마크를 항타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하단부에 라인마크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헤드 삽입부가 구비된 타격형 지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인마크 설치방법은, 상기한 라인마크 설치기구를 이용한 라인마크 설치방법으로서, 상기 이중 드릴 날이 장착된 햄머드릴을 상기 서포트 지그의 공구 고정대에 장착하는 제1단계와; 제1단계 후에, 서포트 지그를 라인마크를 설치할 위치에 세우고 햄머드릴을 작동시켜 이중 드릴 날을 이용하여 마크 설치홀을 형성하는 제2단계와; 제2단계 후에, 상기 햄머드릴에서 이중 드릴 날을 빼고 타격형 지그를 장착하는 제3단계와; 제3단계 후에, 라인 마크의 헤드부가 타격형 지그의 헤드 삽입부에 들어가 있는 상태로, 상기 햄머드릴을 작동하여 라인마크를 상기 마크 설치홀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단계에서 서포트 지그의 공구 고정대에 손잡이를 장착한 후에, 이후 단계들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단계 또는 제4단계는, 작업자가 발로 서포트 지그의 바닥판을 밟은 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첨부된 '도면' 등의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과제 해결 수단들이 추가로 제시되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인마크 설치기구 및 이를 이용한 라인마크 설치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서포트 지그에 이중 드릴 날이 장착된 햄머드릴을 고정하여 지표면에 이중 홀을 형성한 다음, 햄머드릴에 타격형 지그를 교체한 후에 라인마크를 타격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안전하고 신속한 라인마크 설치 작업이 가능하면서도 라인마크 설치의 편의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서포트 지그에 햄머드릴을 고정한 상태에서 마크 설치홀을 형성하기 때문에 홀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공구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고, 또한 서포트 지그에 타격형 지그를 장착한 후에 라인마크를 항타하여 설치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라인마크 항타시 발생하는 햄머 이탈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어,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드릴/햄머 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손목, 어깨 등의 통증 유발 요인을 제거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라인마크 설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라인마크 설치에 필요한 단위작업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고, 도로 종류 및 조건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여 외부 환경 영향을 극복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일정한 품질로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 과정에서의 라인마크 손실률을 최소화하여, 라인마크 설치 작업성 및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포트 지그가 공압 실린더에 의해 자동 상승하도록 구성되고, 보조 손잡이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나비 볼트 등으로 신속하게 공구를 장착할 수 있고, 바닥판을 발판으로 이용 가능하도록 구성할 경우에 장비 이용의 편의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라인마크가 도시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마크 설치기구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지그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지그가 도시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드릴 날이 도시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형 지그가 도시된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마크 설치기구를 이용한 라인마크 설치방법을 보여주는 실시예의 도면들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인마크 설치기구는, 도 2를 참조하면, 라인마크(10; 도 1 참조)를 설치할 위치에 놓이는 서포트 지그(20), 이 서포트 지그(20) 장착되는 햄머드릴(40), 햄머드릴(40)에 장착되어 마크 설치홀(1; 도 5 참조)을 형성하는 이중 드릴 날(50), 이 이중 드릴 날(50) 대신에 햄머드릴(40)에 장착되어 라인마크(10)를 타격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타격형 지그(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라인마크 설치기구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서포트 지그(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포트 지그(20)는 중앙부에 홀(21)을 갖는 바닥판(22)과, 이 바닥판(22)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어 공구 즉, 햄머드릴(40)을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공구 고정대(25)와, 바닥판(22)과 공구 고정대(25)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신축 지지대(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바닥판(22)은 두께가 얇고 면적이 넓은 판재로 형성되는데, 합성수지판, 고무판, 금속판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바닥판(22)은 중앙부의 홀(21)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보스부(23)가 형성되고, 이 보스부(23)의 외곽 부분에 상기 신축 지지대(30)의 하단부가 연결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보스부(23)의 양쪽부에는 작업자가 발을 밟은 상태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발판부(24)가 확장되게 형성된다.
한편, 바닥판(22)은 상기 중앙부의 홀(21)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체결부재 등에 의해 상호 조립된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공구 고정대(25)는 햄머드릴(40) 등의 타격용 또는 회전용 공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경질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구 고정대(25)는, 좌우로 분할되어 상호 마주하는 가운데 부분에 공구가 장착되는 공구 장착부(26)가 구비되고, 이 공구 장착부(26)의 양쪽 위치에 좌우로 분할된 양쪽 부분을 상호 고정하는 록킹수단(27)이 구비된다.
공구 장착부(26)는 원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록킹수단(27)은 양쪽으로 분할된 부분을 상호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면 공지의 구성을 채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록킹수단(27)이 한쪽 고정대(25a)에 힌지(27a)로 연결된 볼트(27b)가 다른 쪽 고정대(25b)에 끼워진 상태에서 나비형 너트(27c)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공구 고정대(25)는 전체적으로 원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양쪽에 플랜지부(28)가 돌출되어 상기 신축 지지대(30)의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공구 고정대(25)의 일측에는 보조 손잡이(35)를 장착할 수 있는 손잡이 장착부(29)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손잡이 장착부(29)가 원통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손잡이 장착부(29)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조 손잡이(35)를 끼워서 장착한 다음, 보조 손잡이(35)를 통해 공구 고정대(25) 쪽을 어느 정도 고정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신축 지지대(30)는 바닥판(22)과 공구 고정대(25)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4개의 공압 실린더로 구성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때 공압 실린더는 내부에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외력을 제거하면 공구 고정대(25)를 자동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 지지대(30)는 공압 실린더 외에도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구성을 갖는 막대형 구조물이면 공지의 구성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성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서포트 지그(20)에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공구로는 햄머드릴(40)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햄머드릴(40)은 전동 모터의 힘을 이용하여 회전력 및 타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햄머드릴(40)의 선단부에는 일반적인 툴(Tool) 장착 방식과 같이 라인마크(10)를 설치하기 위한 이중 드릴 날(50; 도 5 참조)과 타격형 지그(60; 도 6 참조)를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 등을 참조하여, 이중 드릴 날(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중 드릴 날(50)은 햄머드릴(40)에 장착되어 지표면 상에 마크 설치홀(1)을 형성하는 구성 요소이다.
이중 드릴 날(50)은 긴 막대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햄머드릴(40)에 끼워져 장착되는 장착부(51)와, 마크 설치홀(1)을 형성하기 위한 스크루가 형성된 드릴부(53)로 이루어진다.
특히, 드릴부(53)는 직경이 다른 구멍을 한 번에 천공할 수 있도록 소구경 드릴부(54)와 대구경 드릴부(55)가 함께 구성된다. 이는 라인마크(10)가 도 1에서와 같이 핀부(12) 및 연결부(13)의 직경이 2중으로 형성되므로, 마크 설치홀(1)을 도 5에서와 같이 한 번의 작업으로 이중 구조로 형성하여, 보다 신속하게 라인마크를 설치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해, 이중 드릴 날(50)에서 전체적으로는 소구경 드릴부(54)를 구성하고, 이 소구경 드릴부(54)의 중간 부분에 초경 산소용접 방식으로 외경을 확장한 구조의 대구경 드릴부(55)를 구성함으로써, 소구경 드릴부(54)(비트날)의 끝단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간단한 구조로 대구경 드릴부(55)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외경이 상이한 이중 드릴 날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 도 6 등을 참조하여, 타격형 지그(60)에 대하여 설명한다.
타격형 지그(60)는 햄머드릴(40)에 장착되어 상기 마크 설치홀(1)에 라인마크(10)를 항타하여 설치하는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타격형 지그(60)는 앞서 설명한 이중 드릴 날(50)과 유사한 구조에서 라인마크(10)의 헤드부(11)가 삽입되는 헤드 삽입부(63)가 구비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타격형 지그(60)를 이중 드릴 날(50)의 장착부(51) 및 드릴부(53)와 동일하게 구성하되, 드릴부(53)에 헤드 삽입부(63)를 추가로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헤드 삽입부(63)는 드릴부에 장착되는 축부(64)와 이 축부의 끝단에서 플랜지형 구조로 확장된 플랜지부(65)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랜지부(65)는 그 밑면에 라인마크(10)의 헤드부(11)가 삽입되고, 헤드부(11)의 모양에 대응하는 음각 홈(66)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상기한 바와 같은 라인마크 설치기구들을 이용한 본 발명의 라인마크 설치방법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9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햄머드릴(40)에 이중 드릴 날(50)이 장착한 다음, 햄머드릴(40)을 서포트 지그(20)의 공구 고정대(25)에 장착한다.
공구 고정대(25)에 햄머드릴(40)을 장착할 때 록킹수단(27)을 풀고 공구 고정대(25)를 양쪽으로 벌린 다음 그 사이에 햄머드릴(40)을 삽입하고, 다시 록킹수단(27)을 체결하여 햄머드릴(40)을 장착한다.
서포트 지그(20)에 햄머드릴(40)이 장착되면, 서포트 지그(20)의 손잡이 장착부(29)에 보조 손잡이(35)도 장착한다.
다음, 서포트 지그(20)를 라인마크(10)를 설치할 위치에 세우고 햄머드릴(40)을 작동(드릴링 모드)시켜 이중 드릴 날(50)을 이용하여 마크 설치홀을 형성한다.
이때, 작업자가 한 손으로 보조 손잡이(35)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는 햄머드릴(40)을 잡고 아래 방향으로 누르면서 마크 설치홀 형성 작업을 진행한다. 또한, 작업자가 발로는 서포트 지그(20)의 바닥판(22)을 밟은 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마크 설치홀은 이중 드릴 날(50)의 소구경 드릴부(54)와 대구경 드릴부(55)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번의 작업으로 직경이 다른 이중 구조의 마크 설치홀(1)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다음, 마크 설치홀 천공 작업이 끝나면, 상기 햄머드릴(40)에서 이중 드릴 날(50)을 빼고 타격형 지그(60)를 장착한다. 이중 드릴 날(50) 대신에 타격형 지그(60)를 교체하는 과정은 일반적인 햄머드릴(40)의 툴 교체 작업과 동일하게 진행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서포트 지그(20)에 햄머드릴(40)이 장착된 상태에서 타격형 지그(60)로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이중 드릴 날(50)에 의해 천공된 마크 설치홀에 라인마크(10)의 핀부(12)를 일정 정도 삽입하고,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마크(10)의 헤드부(11)가 타격형 지그(60)의 헤드 삽입부(63)에 들어가 있는 상태로, 상기 햄머드릴(40)을 작동(항타/치즐링 모드)하여 라인마크(10)를 타격하여 마크 설치홀(1)에 삽입한다.
이때에도 작업자가 한 손으로 보조 손잡이(35)를 잡고, 발로는 서포트 지그(20)의 바닥판(22)을 밟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는 햄머드릴(40)을 잡고 아래 방향으로 누르면서 라인마크(10)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라인마크(10)를 설치함에 따라 라인마크(10) 설치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아울러, 타격형 지그(60)의 헤드 삽입부(63)가 라인마크(10)의 헤드부(11)를 감싼 상태에서 타격하여 설치하게 되므로, 라인마크(10)가 훼손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설치가 가능해진다.
한편, 도 9는 수평면이 아닌 경사면에 라인마크(10)를 설치할 때, 마크 설치홀을 형성할 때의 상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서포트 지그(20)의 바닥판(22)을 경사면(5)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중 드릴 날(50)이 장착된 햄머드릴(40)을 이용하여, 경사면(5)에 마크 설치홀(1)을 형성하고, 이후 타격형 지그(60)를 햄머드릴(40)에 장착한 다음, 마크 설치홀(1)에 라인마크를 항타하여 설치한다.
따라서, 도로의 경사면 등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마크 설치기구를 이용하여 큰 어려움 없이 마크 설치홀을 형성한 다음 라인마크를 항타하여 라인마크(1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중앙부에 홀을 갖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어 타격용 또는 회전용 공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공구 고정대와;
    상기 바닥판과 공구 고정대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신축 지지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마크 설치지그.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공구 고정대는, 좌우로 분할되어 상호 마주하는 가운데 부분에 공구가 장착되는 공구 장착부가 구비됨과 아울러 공구 장착부의 양쪽 위치에 좌우로 분할된 양쪽 부분을 상호 고정하는 록킹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마크 설치지그.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공구 고정대는, 그 일측에 보조 손잡이를 장착할 수 있는 손잡이 장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마크 설치지그.
  4. 청구항1 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지지대는 외력을 제거하면 공구 고정대를 자동으로 상승시키는 공압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마크 설치지그.
  5. 중앙부에 홀을 갖는 바닥판과, 이 바닥판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어 햄머드릴을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공구 고정대와, 바닥판과 공구 고정대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신축 지지대로 이루어진 서포트 지그와;
    상기 서포트 지그의 공구 고정대에 장착되어 회전력과 타격력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햄머드릴과;
    상기 햄머드릴에 장착되어 라인마크가 설치되는 마크 설치홀을 형성하는 것으로, 소구경 드릴부와 이 소구경 드릴부의 상부에 대구경 드릴부를 갖는 이중 드릴 날과;
    상기 햄머드릴에 장착되어 상기 마크 설치홀에 라인마크를 항타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하단부에 라인마크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헤드 삽입부가 구비된 타격형 지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마크 설치기구.
  6. 청구항 5에 기재된 라인마크 설치기구를 이용한 라인마크 설치방법으로서,
    상기 이중 드릴 날이 장착된 햄머드릴을 상기 서포트 지그의 공구 고정대에 장착하는 제1단계와;
    제1단계 후에, 서포트 지그를 라인마크를 설치할 위치에 세우고 햄머드릴을 작동시켜 이중 드릴 날을 이용하여 마크 설치홀을 형성하는 제2단계와;
    제2단계 후에, 상기 햄머드릴에서 이중 드릴 날을 빼고 타격형 지그를 장착하는 제3단계와;
    제3단계 후에, 라인 마크의 헤드부가 타격형 지그의 헤드 삽입부에 들어가 있는 상태로, 상기 햄머드릴을 작동하여 라인마크를 상기 마크 설치홀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마크 설치방법.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서포트 지그의 공구 고정대에 손잡이를 장착한 후에, 이후 단계들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마크 설치방법.
  8. 청구항1에 있어서,
    제2단계 또는 제4단계는, 작업자가 발로 서포트 지그의 바닥판을 밟은 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마크 설치방법.
KR1020110043338A 2011-05-09 2011-05-09 라인마크 설치기구 및 이를 이용한 라인마크 설치방법 KR201201257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338A KR20120125725A (ko) 2011-05-09 2011-05-09 라인마크 설치기구 및 이를 이용한 라인마크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338A KR20120125725A (ko) 2011-05-09 2011-05-09 라인마크 설치기구 및 이를 이용한 라인마크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725A true KR20120125725A (ko) 2012-11-19

Family

ID=47511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338A KR20120125725A (ko) 2011-05-09 2011-05-09 라인마크 설치기구 및 이를 이용한 라인마크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572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487Y1 (ko) * 2019-12-30 2021-04-0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전동렌치를 이용한 라인마크 항타장치
KR200495490Y1 (ko) * 2020-12-17 2022-06-03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라인 마크 설치용 타격 장치
KR20220001506U (ko) * 2020-12-17 2022-06-24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라인 마크의 타격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487Y1 (ko) * 2019-12-30 2021-04-0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전동렌치를 이용한 라인마크 항타장치
KR200495490Y1 (ko) * 2020-12-17 2022-06-03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라인 마크 설치용 타격 장치
KR20220001506U (ko) * 2020-12-17 2022-06-24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라인 마크의 타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5725A (ko) 라인마크 설치기구 및 이를 이용한 라인마크 설치방법
KR200456728Y1 (ko) 라인마크 설치용 지그
JP5584812B1 (ja) 傾斜修復器具
JP5869832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削孔方法、せん断補強方法、及び削孔装置
JP2007023613A (ja) マンホール内ステップ取付孔の削孔装置
JP2009133104A (ja) マンホールにおける蓋受枠固定用ボルトの切断方法及び切断装置
KR102397373B1 (ko) 천정 앵커볼트 시공과 전산볼트 설치용 치공구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전산볼트 시공방법
KR200436851Y1 (ko) 라인마크용 지그
KR200438694Y1 (ko) 해머드릴 지지장치
KR200454509Y1 (ko) 라인마크 설치공 형성용 공구
JP6163510B2 (ja) 接着系アンカ施工装置
CN209945760U (zh) 一种混泥土道路检测用取芯装置
CN211285553U (zh) 一种钎探设备
JP2005336928A (ja) 破損ボルトの除去方法及び破損ボルト除去用治具
KR20130004077U (ko) 함마 렌치용 고정지그
KR200496620Y1 (ko) 볼 베어링 내장 표지판 지지대 타격장치
KR20210001494U (ko) 매립형 라인마크 시공비트
CN113428320B (zh) 一种适应性好的高安全性胎架外围移动梯及使用方法
JP2016014263A (ja) ボルト除去工具およびボルト除去方法
CN218984742U (zh) 一种用于凿岩机装配的变幅机构
CN219101230U (zh) 一种高处围岩钻眼辅助装置
CN219691487U (zh) 一种建筑用电子打桩定位装置
CN220365512U (zh) 一种气动潜孔锤及其钻头斜面定位装置
CN217601168U (zh) 一种沥青混凝土路面建设用割缝装置
CN219588670U (zh) 一种混凝土凿除辅助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