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5471A -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5471A
KR20120125471A KR1020127018711A KR20127018711A KR20120125471A KR 20120125471 A KR20120125471 A KR 20120125471A KR 1020127018711 A KR1020127018711 A KR 1020127018711A KR 20127018711 A KR20127018711 A KR 20127018711A KR 20120125471 A KR20120125471 A KR 20120125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user equipment
program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8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2005B1 (ko
Inventor
테리 탐
제리 소
딕 옹
카 춘 옹
데이빗 충
제이슨 츠이
Original Assignee
유나이티드 비디오 프로퍼티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2/652,569 external-priority patent/US20110164175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2/652,571 external-priority patent/US20110167447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2/652,572 external-priority patent/US9201627B2/en
Application filed by 유나이티드 비디오 프로퍼티즈, 인크. filed Critical 유나이티드 비디오 프로퍼티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120125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selective forwa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6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language selection, e.g. for the menu or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0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장치는 대화식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하고 사용자 장비 및 대화식 미디어 안내 애플레케이션을 제어하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만일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자 장비로부터 소정의 신호범위 밖으로 이동하면, 사용자 장비에서 플레이되고 있던 콘텐츠가 무선 통신 장치로 자동으로 스트리밍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사용자 장비에서 하나의 언어의 자막과 함께 프로그램을 플레이하는 한편, 동일한 프로그램을 다른 언어의 자막과 함께 무선 통신 장치에서 동시에 플레이할 수 있다. 또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무선 통신 장치에서 방송 채널로 플레이되는 프로그램의 스크린샷의 브라우징을 허용하는 서핑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EDIA GUIDANCE APPLICATION FUNCTIONALITY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관련 출원의 참조
본 출원은 2010년 1월 5일자 출원한 미국 실용신안 출원 제12/652,569호, 12/652,571호 및 12/652,572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이 우선권 출원들의 내용은 여기에서의 인용에 의해 본원에 통합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대화식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특히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기능이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제공되거나 무선 통신 장치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 장치 사이에서 동위로 될 수 있는 대화식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화식 애플리케이션은 전형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 장비(예를 들면, 셋톱박스)에서 구현된다. 대화식 애플리케이션의 예로는 대화식 프로그램 가이드, 이메일, 홈쇼핑, 베팅(wagering) 및 다른 전자상거래 애플리케이션, 금융 애플리케이션, 웹브라우저, 게임, 및 기타 사용자 장비 기반 애플리케이션 등이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 장비에서 구동시키면, 전형적으로 다른 사용자가 그 사용자 장비로 미디어 콘텐츠를 볼 수 없게 된다. 또한,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고정식 사용자 장비 플랫폼에서 구동시키면 사용자가 고정식 플랫폼에서 떨어져 있을 때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특징들에 접근할 수 없게 된다.
전술한 내용에 비추어, 디스플레이가 있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한 대화식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제공된다.
무선 통신 장치는 터치스크린 리모트,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이동전화기(예를 들면, 스마트폰) 또는 기타의 무선 통신 장치와 같은 임의의 적당한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사용자가 원격에서 또는 미디어 콘텐츠를 보는 동안 대화식 애플리케이션 기능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명확히 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화식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장비 및 무선 통신 장치에서 구현되는 시스템과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사용자 장비는 텔레비전, 셋톱박스, DVD 플레이어/리코더, 블루레이 플레이어/리코더, DVR, 미디어 서버, 보안 카메라, GPS 내비게이션 장치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는 터치스크린 LCD 또는 OLED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적외선,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콘텐츠가 사용자 장비(예를 들면, 텔레비전)에서 상연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대화식 프로그램 가이드의 많은 특징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장치는 비 주문형 비디오 목록이 사용자 장비(예를 들면, 텔레비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채널에 대한 이용가능한 주문형 비디오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가 프로그램 목록 격자(grid)(도 9 참조)로부터 프로그램 목록을 선택한 때, 가이드의 노트(note) 선택은 노트의 전체 콘텐츠 또는 프로그램 설명을 보여주지 못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장치는 풍부한 그래픽, 비디오, 및/또는 광고를 포함할 수 있는 전체 노트 또는 설명을 수신하여 팽창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는 대화식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의 비디오 영역(도 9 참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그 동안에 사용자는 예컨대 텔레비전에서 프로그램 목록을 브라우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는 자막 또는 다른 언어 더빙에 대한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텔레비전에서 영어로 영화를 보고 있을 때, 중국어 더빙이 무선 통신 장치에서 동시에 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는 인터넷을 통해 미디어 콘텐츠 소스(도 12 참조)로부터 중국어 더빙을 스트리밍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그램은 하나의 언어, 예를 들면 영어의 자막과 함께 텔레비전에서 디스플레이되고, 한편 동일한 프로그램이 예컨대 중국어 자막과 함께 무선 통신 장치에서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는 동기화될 수 있고, 또는 각종 다른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GPS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타이프하는 대신에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집안에서 주소를 타이프하고 위치를 검색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장치는 입력된 정보를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을 통해 GPS 내비게이션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는 사용자가 사용자 장비, 예를 들면 텔레비전에서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동안 서핑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에서 구동하는 서핑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은 다른 채널에서 플레이되는 프로그램의 스크린샷을 획득할 수 있고, 그 스크린샷을 무선 통신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2 참조). 스크린샷은 미디어 콘텐츠 소스 또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도 12 참조)에 위치될 수 있는 서버로부터 서핑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다운로드될 수 있다. 서버는 각종 채널의 스크린샷을 주기적으로 포착하여 그 스크린샷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크린샷을 선택한 때, 그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무선 통신 장치의 프리뷰(preview)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스크린샷이 다운로드된 서버로부터 스트리밍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프리뷰 영역은 역시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선택된 프로그램을 예컨대 텔레비전에서 시청하기 원하면, 사용자는 온스크린 버튼을 가볍게 칠("tap") 수 있다. 온스크린 버튼을 가볍게 치면 서핑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은 1차 안내(primary guide)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통신을 교환하여 사용자가 특정 채널로의 동조 희망을 표시하였음을 1차 안내에게 알릴 수 있다. 1차 안내는 셋톱박스가 표시된 채널에 동조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적당한 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는 셋톱박스와 직접 통신하고 셋톱박스에게 표시된 채널에 동조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미디어 콘텐츠는 사용자 장비(예를 들면, 텔레비전)의 1차 디스플레이와 무선 통신 장치 사이에서 이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장비(예를 들면, 텔레비전)에서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동안에, 사용자는 룸을 떠날 수 있고(예를 들면, 욕실을 이용하기 위해), 이것은 사용자가 프로그램의 일부를 놓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예컨대 텔레비전 또는 셋톱박스로부터 신호범위를 벗어난 때 1차 디스플레이, 예를 들면 텔레비전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자동으로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신호범위 밖에 있음을 검출한 때, 무선 통신 장치는 와이파이와 같은 장거리 링크로 전환하고 예컨대 셋톱박스로부터의 콘텐츠를 와이파이 링크를 통해 스트리밍시켜서 콘텐츠를 무선 통신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콘텐츠는 사용자 장비로부터 직접 스트리밍될 수도 있고 미디어 콘텐츠 소스와 같은 다른 소스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는 비디오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 장치가 신호범위 밖으로 갈 때 텔레비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모든 것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만일 사용자가 프로그램 목록을 브라우징하고 룸을 떠나면, 무선 통신 장치는 텔레비전에서 디스플레이했던 프로그램 목록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는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왜곡시키지 않도록 그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예를 들면, 읽기 쉬운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는 사용자가 텔레비전 디스플레이를 무선 통신 장치로 수동으로 이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장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무선 통신 장치로 스트리밍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수동으로(예를 들면, 무선 통신 장치의 온스크린 버튼을 가볍게 침으로써, 또는 무선 통신 장치를 흔들어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장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하게 될 것이고, 첨부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대화식 미디어 시스템의 간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구성 화면을 보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핑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의 예시적인 화면을 보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대화식 미디어 시스템의 간략도이다.
도 6은 도 1의 무선 통신 장치에 비디오를 스트리밍하는 예시적인 처리를 보인 도이다.
도 7은 도 1의 무선 통신 장치에 프로그램 안내 목록을 스트리밍하는 예시적인 처리를 보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대화식 미디어 시스템의 간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종 유형의 미디어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격자 포맷을 이용한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종 유형의 미디어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자이크를 이용한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인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사용자 장비 장치를 보인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대화식 미디어 시스템의 간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무선 통신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사용자 장비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원격 화면을 보인 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원격 화면을 보인 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무선 통신 장치에 대화식 미디어 안내 및 다른 애플리케이션 특징을 제공하는데 수반되는 예시적인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사용자 장비에서 구동하는 1차 애플리케이션과 도 12의 무선 통신 장치에서 구동하는 2차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특징들을 동위화시키는데 수반되는 예시적인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무선 통신 장치에 자막을 제공하는데 수반되는 예시적인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무선 통신 장치에서 다른 채널의 스크린샷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데 수반되는 예시적인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 콘텐츠를 자동으로 스트리밍하는데 수반되는 예시적인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미디어 안내 기능은 PDA, 스마트폰, 휴대용 비디오 플레이어, 휴대용 뮤직 플레이어, 휴대용 게임기, 또는 다른 무선 장치와 같은 무선 통신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기능은 텔레비전, 셋톱박스, DVD 플레이어/리코더, 블루레이 플레이어/리코더, DVR, 미디어 서버, 보안 카메라, GPS 내비게이션 장치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 장치와 무선 통신 장치 사이에서 동위화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에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은 예를 들면 치우(Chiu) 등이 2009년 6월 30일자로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제12/495,522호에 자세하게 기술되어 있으며, 이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여기에서의 인용에 의해 본원에 통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406)는 다중 언어 지원과 같은 향상된 시청 옵션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제공될 수 있는 미디어 안내 기능 유형의 일 예는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하나 이상의 언어로 자막 및 오디오 더빙을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하나의 프로그램이 하나의 언어, 예컨대 영어 자막과 함께 사용자 장비(402)(예를 들면, 텔레비전)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한편 동일한 프로그램이 다른 언어, 예컨대 중국어 자막과 함께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은 사용자 장비(402)(예를 들면, 텔레비전) 및 무선 통신 장치(406)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를 보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 장비(402)는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영어 자막(218)을 디스플레이하고, 무선 통신 장치(406)는 사용자 장비(402)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것과 동일한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지만 중국어 자막(220)과 함께 디스플레이한다. 프로그램 또는 영화에 대응하는 비디오는 통신 경로(424)(예를 들면,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를 통해 사용자 장비(402)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406)로 스트리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자막 외에, 무선 통신 장치(406)는 오디오 더빙에 대한 접근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사용자 장비(402)(예를 들면, 텔레비전)에서 영화를 시청할 때, 영화의 중국어 더빙이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텔레비전으로 영화를 보지만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중국어로 대응하는 오디오를 들을 수 있다. 오디오는 무선 통신 장치(406)에 내장된 스피커로 재생될 수도 있고 또는 무선 통신 장치(406)에 접속된 한 쌍의 헤드폰을 통해 재생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화식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일반화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장치의 더 구체적인 구현예는 도 11 내지 도 14와 함께 뒤에서 설명된다.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미디어 안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무선 통신 장치(406)는 통신 경로(424)를 통해 사용자 장비(402) 및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경로(424)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링크일 수 있다. 통신 경로(424)는 무선 통신 장치(406)와 사용자 장비(402)와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 사이에서 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등과 같은 데이터의 이전을 가능하게 한다. 블루투스 링크의 경우에, 무선 통신 장치(406)는 사용자 장비(402) 및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와이파이 링크의 경우에, 무선 통신 장치(406)는 사용자 장비(402) 및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와 예를 들면 무선 라우터(426)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자막 및/또는 오디오 더빙은 사용자 장비(402)(예를 들면, 셋톱박스)로부터 통신 경로(424)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406)로 스트리밍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자막 및/또는 오디오 더빙은 인터넷을 통해 미디어 공급자(예를 들면,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 도 12))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406)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막 및 오디오 더빙을 동작 또는 정지시킬 수 있고, 무선 통신 장치(406)를 이용하여 자막 및 오디오 더빙의 언어를 또한 선택할 수 있다. 도 3은 무선 통신 장치의 자막 및 오디오 더빙을 동작 또는 정지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예시적인 구성 화면(350)을 보인 것이다. 또한, 구성 화면(350)은 자막 및 오디오 더빙의 언어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만일 자막이 사용자가 선택한 언어로 제공될 수 없으면, 무선 통신 장치(406)는 사용자가 선택한 언어로 된 자막 번역문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장치(406)는 입수가능한 언어(예를 들면, 영어)로 사용자 장비(402)로부터 자막을 획득하고, 배블피쉬™ 또는 구글™ 번역과 같은 웹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언어로 된 자막 번역문을 획득할 수 있다.
자막 및 오디오 더빙 외에, 무선 통신 장치(406) 및/또는 사용자 장비(402)(예를 들면, 텔레비전)는 프로그램 또는 영화가 사용자 장비(402)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프로그램 또는 영화와 관련된 다른 보충적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사용자 장비(402)에서 영화를 보는 동안, 무선 통신 장치(406)는 감독의 의견, 배우의 의견, 평론 등과 같은 보충적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보충적 콘텐츠가 사용자 장비(402)(예를 들면, 텔레비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영화가 무선 통신 장치(406)에 스트리밍될 수 있다. 보충적 콘텐츠는 예를 들면 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에서 제공될 수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로부터 또는 인터넷을 통해 제3자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406)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보충적 콘텐츠가 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에서 제공될 때, 사용자 장비(402)는 그 콘텐츠를 무선 통신 장치(406)에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등을 통해 스트리밍 또는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스포츠 쇼, 게임 쇼 또는 포커 토너먼트 쇼 등과 관련된 보충적 콘텐츠가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보여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사용자 장비(402)에서 포커 토너먼트를 보는 동안, 무선 통신 장치(406)는 선수의 카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또는 야구 게임 중에 무선 통신 장치(406)는 스코어 및 기타의 통계 기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보충적 콘텐츠는 예를 들면 사용자 장비(402)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공급자(416)로부터 또는 인터넷을 통해 제3자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406)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제공될 수 있는 미디어 안내 기능의 다른 예는 사용자가 미디어 선택을 효율적으로 내비게이트하고 미디어를 쉽게 식별하게 하는 미디어 안내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대화식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일 예는 여기에서 서핑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이라고 부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핑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서핑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사용자 장비(402)(예를 들면 텔레비전)에서 프로그램을 보는 동안 다른 채널에서 플레이되는 프로그램의 스크린샷을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브라우징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사용자 장비(402)에서 방송 프로그램을 보는 동안, 서핑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은 다른 채널에서 플레이되는 프로그램의 스크린샷을 획득하고 그 스크린샷을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스크린샷(1202)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부를 따라 디스플레이되고, 프리뷰 영역(1206)은 상부를 따라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스크린샷(1202)은 서핑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채널 포착 장치(502)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406)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406)에 서핑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500)의 일반화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무선 통신 장치(406)는 통신 경로(424)(예를 들면 와이파이 링크) 및 무선 라우터(426)를 통해 사용자 장비(402)와 통신할 수 있다. 채널 포착 장치(502)는 각종 방송 채널에서 플레이되는 프로그램의 스크린샷을 주기적으로 포착하여 그 스크린샷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서버일 수 있다. 채널 포착 장치(502)는 각종 채널의 DVB(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송을 수신하는 튜너(도시 생략됨)를 포함할 수 있고, 각종 채널의 스크린샷을 주기적으로 포착하여 저장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는 홈 네트워크에서 예를 들면 와이파이 링크를 이용하는 인터넷을 통해 채널 포착 장치(502)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크린샷(1202)을 선택한 때(예를 들면, 스크린샷을 가볍게 침으로써),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프리뷰 영역(1206)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채널 포착 장치(502)로부터 또는 미디어 공급자(예를 들면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로부터 스트리밍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리뷰 영역(1206)은 선택된 스크린샷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또는 역시 채널 포착 장치(502) 또는 미디어 공급자(예를 들면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스크린샷 외에, 서핑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은 커버아트(cover art) 또는 포스터 등과 같은 프로그램과 관련된 다른 이미지를 또한 획득할 수 있다. 이 이미지들은 도 4에 도시된 스크린샷(1202)과 유사한 방식으로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이미지들은 이미지를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채널 포착 장치(502)로부터 또한 다운로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미지는 미디어 콘텐츠 공급자로부터 또는 제3자 서버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선택된 프로그램을 사용자 장비(402), 예를 들면 텔레비전에서 보기 원하면, 사용자는 보기 버튼(1204)을 가볍게 치면 된다. 보기 버튼(1204)을 치면, 무선 통신 장치(406)는 예를 들면 IR 또는 블루투스 링크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402)와 직접 통신하고, 사용자 장비(402)(예를 들면, 셋톱박스)에게 표시된 채널로 동조(tune)하도록 지시한다. 다른 적당한 방법으로서, 서핑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장비(402)(예를 들면, 셋톱박스)에서 동작하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과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통신을 교환하여 사용자가 특정 채널로 동조하기 원함을 표시하였다는 것을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게 알릴 수 있다. 그 다음에,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장비(402)(예를 들면, 셋톱박스)가 표시된 채널로 동조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무선 통신 장치(406)와 사용자 장비(402) 사이에서 미디어 콘텐츠 재생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이전하기 원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현대의 스마트폰에서 발견되는 몇 가지 특징은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제공되는 미디어 안내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사용자가 무선 통신 장치(406)와 사용자 장비(402) 사이에서 콘텐츠를 이전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현대의 각종 스마트폰 및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는 사용자가 장치를 흔들거나 회전시킴으로써 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가속도계 및/또는 자이로스코프를 포함하고 있다. 도 6의 예시적인 실시예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무선 통신 장치(406)를 소정 횟수만큼(예를 들면 2회) 흔들어서 사용자 장비(402)(예를 들면 텔레비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를 무선 통신 장치(406)로 스트리밍할 수 있다. 셋톱박스 또는 미디어 서버와 같은 사용자 장비(402)는 통신 경로(424) 및 무선 라우터(426)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406)로 비디오를 스트리밍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는 그 다음에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프로그램을 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406)를 흔들면(예를 들면 3회) 비디오를 무선 통신 장치(406)로부터 사용자 장비(402)(예를 들면, 셋톱박스)로 스트리밍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만일 사용자가 콘텐츠 공급자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406)로 영화 또는 TV 쇼를 다운로드하였고 다운로드한 프로그램을 대형 화면(예를 들면, 텔레비전)에서 보기 원하면, 사용자는 영화 또는 TV 쇼가 플레이되는 동안 무선 통신 장치(406)를 단순히 흔들면 되고, 영화 또는 TV 쇼는 무선 통신 장치(406)로부터 사용자 장비(402)로 통신 경로(424) 및 무선 라우터(426)를 통해 스트리밍될 것이다.
통신 경로(424)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406)로/로부터 비디오를 스트리밍하는 것 외에, 흔들기 특징은 각종의 다른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만일 사용자가 사용자 장비(예를 들면, 텔레비전)에서 안내 목록을 브라우징하고 있으면, 사용자는 무선 통신 장치(406)를 흔들어서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안내 목록의 브라우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402)(예를 들면, 셋톱박스)는 통신 경로(424) 및 무선 라우터(426)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406)로 안내 목록을 스트리밍 또는 이전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사용자는 안내 목록을 무선 통신 장치(406)로 브라우징할 수 있다.
비록 상기 실시예는 흔들기 동작을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임의의 다른 적당한 동작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장치(406)의 터치스크린을 가로질러 휘두르는(swiping) 동작, 또는 무선 통신 장치(406)를 이용하여 행하여지는 지시하는(pointing) 동작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402)와 무선 통신 장치(406) 사이에서 콘텐츠의 이전을 시작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동작은 사용자 장비(402)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406)로 콘텐츠의 이전을 시작 또는 중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 장치(406)로부터 사용자 장비(402)로 콘텐츠의 이전을 시작 또는 중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콘텐츠는 제3자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406)로 또는 사용자 장비(402)로 이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만일 사용자가 유튜브(YouTube™) 또는 훌루(Hulu™)와 같은 서비스로부터의 비디오를 사용자 장비(402)에서 보고 있으면, 사용자는 전술한 동작들 중 하나(예를 들면, 흔들기, 휘두르기 등)를 수행하여 유튜브™ 또는 훌루™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406)로 직접 비디오의 스트리밍을 시작할 수 있다. 유사하게, 만일 사용자가 유튜브™ 또는 훌루™로부터의 비디오를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보고 있으면, 사용자는 전술한 동작들 중 하나(예를 들면, 흔들기, 휘두르기 등)를 수행하여 유튜브™ 또는 훌루™로부터 사용자 장비(402)로 직접 비디오의 스트리밍을 시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402)와 무선 통신 장치(406)(및 제3자, 예를 들면, 유튜브, 훌루 등) 사이의 콘텐츠 이전은 자동으로 행하여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장비(402)(예컨대, 텔레비전)에서 프로그램을 보는 동안, 사용자는 룸을 떠날 필요가 있을 수 있고(예를 들면, 욕실을 이용하기 위해), 이 경우 사용자는 프로그램의 일부를 놓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406)는 무선 통신 장치(406)가 사용자 장비(402)(예컨대 텔레비전)로부터 신호범위를 벗어난 때 텔레비전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자동으로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가 신호범위 밖에 있는지의 여부는 적외선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단거리 링크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만일 사용자가 무선 통신 장치(406)를 갖고 룸을 떠나면, 무선 통신 장치(406)와 사용자 장비(402) 간의 적외선(이것은 시선(視線)을 필요로 한다) 또는 블루투스 링크가 파괴될 것이다. 단거리 링크(예를 들면, IR 또는 블루투스)의 절단이 검출되면, 무선 통신 장치(406)는 자신이 신호범위 밖에 있다고 걸정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는 장거리 링크(예를 들면, 와이파이, 셀룰러 링크 등)를 이용하여 무선 라우터(426)를 통해 사용자 장비(402)로부터 콘텐츠를 스트리밍하여 콘텐츠를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장거리 링크는 단거리 링크가 절단되었다고 결정된 때 확립될 수도 있고 미리 확립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406)가 사용자 장비(402)로부터 신호범위 밖에 있는지의 여부는 무선 통신 장치(406)에 내장된 마이크로폰(도시 생략됨)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은 사용자 장비(402)에서 플레이되는 오디오를 듣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만일 오디오의 볼륨이 크게 감소되면(예를 들면, 80% 이상), 무선 통신 장치(406)는 자신이 사용자 장비(402)로부터 신호범위 밖에 있다고 결정하고 장거리 링크(예를 들면 와이파이)로 전환하여 사용자 장비(402)로부터 콘텐츠의 스트리밍을 시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장거리 링크(예를 들면, 와이파이, 셀룰러 링크 등)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406)가 신호범위 밖에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거리 링크는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해 또는 위치지정을 검출하기 위해(예를 들면, 신호 강도, 삼각측량 등을 이용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406)는 비디오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 장치(406)가 신호범위 밖으로 갈 때 사용자 장비(402)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모든 것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만일 사용자가 프로그램 목록을 브라우징하는 중에 룸을 떠나면, 무선 통신 장치(406)는 사용자 장비(402)에서 디스플레이하였던 프로그램 목록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왜곡시키지 않도록 그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또한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예를 들면, 읽기 쉬운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406)는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가 신호범위 밖에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사용자 장비(402)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디스플레이해야 할 때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사용자 장비(402)로부터 멀어지는 경우에도, 무선 통신 장치(406)는 여전히 사용자 장비(402)의 신호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장비(402)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무선 통신 장치(406)로 스트리밍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수동으로(예를 들면, 무선 통신 장치의 온스크린 버튼을 가볍게 침으로써, 또는 무선 통신 장치를 흔들어서) 선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가 사용자 장비(402)의 신호범위 내로 되돌아 왔을 때, 무선 통신 장치(406)는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시작하도록 사용자 장비(402)에게 자동으로 지시할 수 있다. 만일 무선 통신 장치(406)가 제3자(예를 들면, 유튜브™, 훌루™ 등)로부터 이미 콘텐츠를 수신하였으면, 무선 통신 장치는 제3자로부터의 콘텐츠의 스트리밍을 시작하도록 사용자 장비(402)에게 자동으로 지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406)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SM) 호환 장치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가능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을 보인 것이다. 사용자 장비(402)는 카메라(802)(예를 들면, 보안 카메라, 유아 감시 카메라 등) 및 GPS 내비게이션 장치(804)와 같은 하나 이상의 DLNA 호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통신 경로(424)를 통해 카메라에 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고, 카메라가 움직임을 검출한 때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만일 있으면)를 차단하고, 카메라에서 공급된 비디오의 디스플레이를 자동으로 시작할 수 있다. 카메라에서 공급된 비디오는 통신 경로(424)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406)에 스트리밍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공급된 비디오는 사용자 장비(402)(예를 들면, 텔레비전)에서 또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는 카메라에서 공급된 비디오를 보는 것을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오븐 내에 또는 스토브의 위에 설치된 카메라는 요리되고 있는 음식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장비(402)로 프로그램을 보는 동안 카메라에서 공급된 비디오를 무선 통신 장치(406)로 보면서 요리중인 음식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게다가, 카메라와 무선 통신 장치(406) 간의 신호의 범위 및 강도에 따라서, 사용자는 무선 통신 장치(406)를 집 밖으로 들고 나가서 카메라로부터 공급된 비디오를 보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다른 예로서,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DLNA 가능 온도계와 통신하여 요리중인 칠면조의 온도를 감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는 웹캠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내장 카메라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무선 통신 장치(406)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와 영상 채팅을 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는 와이파이 링크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다른 사용자에 대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더욱이, 무선 통신 장치(406)는 내장 마이크로폰(도시 생략됨)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402) 또는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를 통해 다른 사용자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만일 사용자가 다른 룸에서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와 통신하기 원하면, 무선 통신 장치(406)는 컴퓨터와 와이파이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접속은 내장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된 오디오를 컴퓨터에 전송하기 위해 무선 통신 장치(406)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무선 통신 장치(406)는 컴퓨터로부터 와이파이 링크를 통해 오디오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는 각종의 다른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과 동기화되거나 또는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휴대용 장치 또는 차량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는 GPS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타이핑을 하는 대신에 무선 통신 장치(406)를 이용하여 주소를 타이핑하고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입력된 정보는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가 GPS 내비게이션 장치의 신호범위 내에 들어올 때까지 무선 통신 장치(406)에 저장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무선 통신 장치(406)는 입력된 정보를 통신 경로(424)(예를 들면,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를 통해 GPS 내비게이션 장치로 이전할 수 있다.
전술한 대화식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이들이 안내를 제공하는 미디어에 따라서 각종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나의 전형적인 유형의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대화식 텔레비전 프로그램 가이드이다. 대화식 텔레비전 프로그램 가이드(때로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라고도 부른다)는 다른 무엇보다도 전통적인 텔레비전 프로그램(전통적인 방송, 케이블, 위성, 인터넷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해 제공됨) 뿐만 아니라, 페이퍼뷰(pay-per-view) 프로그램, 주문식 프로그램(주문식 비디오(VOD) 시스템에서처럼), 인터넷 콘텐츠(예를 들면, 스트리밍 미디어, 다운로드가능한 미디어, 웹캐스트 등), 및 다른 유형의 미디어 또는 비디오 콘텐츠를 비롯한 많은 유형의 미디어 콘텐츠 중에서 사용자가 내비게이팅하고 미디어 콘텐츠를 찾을 수 있게 하는 잘 알려진 안내 애플리케이션이다. 안내 애플리케이션도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예컨대 비디오 클립, 신문기사, 광고, 채팅 세션, 게임 등을 포함한 비디오 콘텐츠와 관계된 콘텐츠 중에서 내비게이팅하고 콘텐츠를 찾을 수 있게 한다.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에서 내비게이팅하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찾을 수 있게 한다. 용어 멀티미디어는 적어도 2개의 다른 콘텐츠 형태, 예를 들면, 텍스트, 오디오, 정지 화상, 애니메이션, 비디오 및 대화식 콘텐츠 형태를 이용하는 미디어 및 콘텐츠로서 여기에서 규정된다.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컴퓨터화 장치 및 전자 장치와 같은 정보 콘텐츠 처리 장치에 의해 기록되어 플레이되거나, 디스플레이되거나 액세스될 수 있지만, 라이브 퍼포먼스의 일부일 수도 있다. 미디어 콘텐츠와 관련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디오, 오디오 및/또는 멀티미디어와 같은 다른 유형의 콘텐츠에도 또한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인터넷, 모바일 컴퓨팅 및 고속 무선 네트워크의 출현으로, 사용자는 전에는 하지 못하였던 미디어에 대한 액세스를 퍼스널 컴퓨터(PC) 및 기타 장치, 예를 들면, 휴대용 컴퓨터,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이동 전화기, 또는 다른 모바일 장치에서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장치에서, 사용자는 텔레비전을 통하여 이용가능한 동일한 미디어를 내비게이트하고 찾아낼 수 있다. 그 결과, 미디어 안내는 이들 장치에서도 또한 필요하다. 제공되는 안내는 텔레비전을 통해서만 이용가능한 미디어 콘텐츠, 상기 장치들 중 하나 이상을 통해서만 이용가능한 미디어 콘텐츠, 또는 텔레비전 및 상기 장치들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이용가능한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PDA, 이동 전화기 또는 다른 모바일 장치와 같은 휴대용 장치에서 온라인 애플리케이션(즉,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것), 또는 독립 애플리케이션 또는 클라이언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각종 장치 및 플랫폼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의 한가지 기능은 사용자에게 미디어 목록 및 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9와 도 10은 미디어 안내, 특히 미디어 목록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인 것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은 임의의 적당한 장치 또는 플랫폼에서 구현될 수 있다. 비록 도 9 및 도 10의 디스플레이가 전화면 디스플레이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되는 미디어 콘텐츠 위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공된 선택 옵션(예를 들면, 메뉴 옵션, 목록 옵션, 아이콘, 하이퍼링크 등)을 선택함으로써, 또는 리모콘 또는 다른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장치의 전용 버튼(예를 들면, 가이드 버튼)을 누름으로써 미디어 정보에 대한 액세스 원함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표시에 응답해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격자 내에서 시간 및 채널에 의한 방법, 시간에 의한 방법, 채널에 의한 방법, 미디어 유형에 의한 방법, 카테고리에 의한 방법(예를 들면, 영화, 스포츠, 뉴스, 어린이 프로그램, 또는 다른 카테고리의 프로그램)을 포함한 각종 방법 중의 하나로 구성된 미디어 정보, 또는 다른 미리 정해진 미디어 정보, 사용자가 지정한 미디어 정보, 또는 다른 구성 기준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단일 디스플레이에서 다른 유형의 미디어 콘텐츠에 또한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시간 및 콘텐츠에 의해 배열된 예시적인 격자 프로그램 목록 디스플레이(100)를 보인 것이다. 디스플레이(100)는 (1) 채널/미디어 유형 식별자(104)의 열(column)- 여기에서 각각의 채널/미디어 유형 식별자(이것은 열 내의 셀임)는 이용가능한 다른 채널 또는 미디어 유형을 식별하는 것임 -; 및 (2) 시간 식별자(106)의 행(row)- 여기에서 각각의 시간 식별자(이것은 행 내의 셀임)는 프로그래밍의 시간 블록을 식별하는 것임 -을 가진 격자(102)를 포함할 수 있다. 격자(102)는 프로그램 목록(108)과 같은 프로그램 목록의 셀들을 또한 포함하고, 각 목록은 목록의 관련 채널 및 시간에 제공되는 프로그램의 제목을 제공한다. 사용자 입력 장치에 의해, 사용자는 하이라이트 영역(402)을 이동시킴으로써 프로그램 목록을 선택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영역(402)에 의해 선택된 프로그램 목록에 관한 정보는 프로그램 정보 영역(112)에 제공될 수 있다. 정보 영역(112)은 예를 들면 프로그램 제목, 프로그램 설명,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시간(적용가능한 경우), 프로그램이 플레이되는 채널(적용가능한 경우), 프로그램 등급, 및 다른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케줄에 따라 제공되는 선형 프로그래밍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외에,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스케줄에 따라 제공되지 않는 비선형 프로그래밍에 대한 접근을 또한 제공한다. 비선형 프로그래밍은 주문형 미디어 콘텐츠(예를 들면, VOD), 인터넷 콘텐츠(예를 들면, 스트리밍 미디어, 다운로드가능한 미디어 등), 국부적으로 저장된 미디어 콘텐츠(예를 들면,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DVR),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비디오 카세트, 컴팩트 디스크(CD) 등에 저장된 비디오 콘텐츠), 또는 기타 시간에 상관없는 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한 다른 미디어 소스로부터의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주문형 콘텐츠는 특정의 미디어 공급자(예를 들면, "The Sopranos" 및 "Curb Your Enthusiasm"을 주문형으로 공급하는 HBO)에 의해 공급되는 영화 및 원본 미디어 콘텐츠를 둘 다 포함할 수 있다. 주문형 HBO는 타임 워너 컴패니 엘.피.(Time Warner Company L.P.) 등이 소유한 서비스 마크이고, THE SOPRANOS와 CURB YOUR ENTHUSIASM은 홈 박스 오피스 인코포레이티드(Home Box Office, Inc.)가 소유하는 상표이다. 인터넷 콘텐츠는 채팅 세션 또는 웹캐스트와 같은 웹 이벤트, 또는 인터넷 웹 사이트 또는 다른 인터넷 액세스(예를 들면, FTP)를 통한 스트리밍 미디어 또는 다운로드가능한 미디어처럼 주문형으로 이용가능한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격자(102)는 주문형 목록(114), 녹화된 미디어 목록(116), 및 인터넷 콘텐츠 목록(118)을 포함한 비선형 프로그래밍에 대한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미디어 소스로부터의 콘텐츠에 대한 목록을 결합한 디스플레이는 때때로 "혼합 미디어" 디스플레이라고 부른다. 디스플레이(100)와는 다르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목록 유형의 각종 치환은 사용자 선택 또는 안내 애플리케이션 정의에 기초를 둘 수 있다(예를 들면, 녹화 및 방송 전용 목록, 주문형 및 방송 전용 목록 등의 디스플레이). 예시된 것처럼, 목록(114, 116, 118)은 이들 목록의 선택이 주문형 목록, 녹화 목록, 또는 인터넷 목록에 각각 전용되는 디스플레이에 대한 접근을 제공할 수 있음을 표시하기 위해 격자(102)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시간 블록에 걸쳐서 나타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들 미디어 유형에 대한 목록은 격자(102)에 직접 포함될 수 있다. 추가의 목록은 내비게이션 아이콘(120) 중의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한 것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의 화살표 키를 누름으로써 내비게이션 아이콘(120)을 선택하는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디스플레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100)는 비디오 영역(122), 광고 영역(124), 및 옵션 영역(126))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영역(122)은 사용자가 현재 볼 수 있는, 볼 수 있게 될, 또는 볼 수 있었던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보거나 및/또는 프리뷰(preview)하게 할 수 있다. 비디오 영역(122)의 콘텐츠는 격자(102)에서 디스플레이된 목록 중의 하나에 대응할 수도 있고 또는 그 목록과 무관할 수도 있다. 비디오 영역을 포함한 격자 디스플레이는 때때로 PIG(picturt-in-guide) 디스플레이라고 부른다. PIG 디스플레이 및 그들의 기능에 대해서는 새터필드 등에게 2003년 5월 13일자 허여된 미국 특허 제6,564,378호 및 유엔 등에게 2001년 5월 29일자 허여된 미국 특허 제6,239,794호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며, 이들 특허의 전체 내용은 여기에서의 인용에 의해 본원에 통합된다. PIG 디스플레이는 본 발명의 다른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화면에 포함할 수 있다.
광고(124)는 시청자의 접근 권한(예를 들면, 가입 프로그래밍에 대해)에 따라서 현재 시청이 가능한, 앞으로 시청이 가능하게 될, 또는 절대 시청할 수 없는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광고를 제공할 수 있고, 격자(102)의 미디어 목록 중의 하나 이상에 대응하거나 또는 미디어 목록과 관계없을 수도 있다. 광고(124)는 격자에 디스플레이된 미디어 콘텐츠와 관계있거나 관계없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것일 수도 있다. 광고(124)는 선택가능하고,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추가의 정보,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구매 가능한 미디어 콘텐츠, 제품 또는 서비스, 광고와 관련된 미디어 콘텐츠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광고(124)는 사용자의 프로필/선호도, 감시되는 사용자 행동, 제공되는 디스플레이의 유형, 또는 다른 적당한 목표 광고 기준에 따라서 목표가 정해질 수 있다.
비록 광고(124)가 직사각형 즉 배너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광고는 안내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에서 임의의 적당한 크기, 형상 및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고(124)는 수평으로 격자(102)에 인접한 직사각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때때로 패널 광고라고 부른다. 또한, 광고는 미디어 콘텐츠 또는 안내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위에 중첩될 수도 있고, 또는 디스플레이 내에 끼워넣어질 수도 있다. 광고는 또한 텍스트, 이미지, 회전 이미지, 비디오 클립 또는 다른 유형의 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는 안내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사용자 장비에, 사용자 장비에 접속된 데이터베이스에, 원격 위치(스트리밍 미디어 서버를 포함함)에, 또는 다른 스토리지 수단에 또는 상기의 것들의 임의 조합으로 저장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것은 예를 들면, 넛슨 등이 2003년 1월 17일에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제10/347,673호, 워드 3세 등에게 2004년 6월 29일자 허여된 미국 특허 제6,756,997호, 및 쉐인 등에게 2002년 5월 14일자 허여된 미국 특허 제6,388,714호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고, 이들 특허 및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여기에서의 인용에 의해 본원에 통합된다. 광고는 본 발명의 다른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화면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옵션 영역(126)은 사용자가 다른 유형의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및/또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특징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옵션 영역(126)은 디스플레이(100)(및 본 발명의 다른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일 수도 있고, 또는 온스크린 옵션을 선택함으로써 또는 사용자 입력 장치의 전용 또는 지정 버튼을 누름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불러낼 수도 있다. 옵션 영역(126)에서의 선택가능한 옵션은 격자(102) 내의 프로그램 목록에 관련된 특징들에 관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메인 메뉴 디스플레이로부터 이용가능한 옵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목록과 관련된 특징들은 프로그램의 다른 방송 시간 또는 수신 방법을 검색하는 것,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것, 프로그램의 가능한 시리즈 녹화, 프로그램 및/또는 채널을 좋아하는 것(favorite)으로 설정하는 것, 프로그램을 구매하는 것, 또는 기타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메뉴 디스플레이로부터 이용가능한 옵션은 검색 옵션, VOD 옵션, 부모 제어 옵션, 각종 유형의 목록 디스플레이에 대한 접근, 프리미엄 서비스에 대한 가입, 사용자 프로필의 편집, 브라우즈 오버레이에 대한 접근, 또는 기타의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개인화할 수 있다. 개인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개인화 "경험"을 생성하도록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및 특징들을 고객맞춤(customize)할 수 있게 한다. 이 개인화 경험은 사용자가 상기 고객맞춤을 입력하게 함으로써 및/또는 사용자 행동을 감시하여 각종 사용자 선호도를 결정하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로그인함으로써 또는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자신을 확인시키는 다른 방법에 의해 개인화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의 고객맞춤화는 사용자 프로필에 따라서 제작될 수 있다. 고객맞춤화는 다양한 프리젠테이션 방식(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의 컬러링 방식, 텍스트의 폰트 크기 등), 디스플레이되는 미디어 콘텐츠 목록의 양상(예를 들면, HDTV 전용 프로그래밍, 좋아하는 채널 선택에 기초한 사용자 지정 방송 채널, 채널 디스플레이의 재순서화, 추천된 미디어 콘텐츠 등), 원하는 녹화 특징(예를 들면, 특정 사용자를 위한 녹화 또는 시리즈 녹화, 녹화 품질 등), 부모 제어 설정, 및 다른 원하는 고객맞춤화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제공하게 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자동으로 컴파일할 수도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접근하는 미디어 및/또는 사용자가 안내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가질 수 있는 다른 상호작용을 감시할 수 있다. 추가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사용자에 관한 다른 사용자 프로필의 전부 또는 일부를 획득할 수 있고(예를 들면, www.tvguide.com과 같이 사용자가 접근하는 인터넷의 다른 웹사이트로부터, 사용자가 접근하는 다른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가 접근하는 다른 대화식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의 휴대용 장치로부터, 등), 및/또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접근할 수 있는 다른 소스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사용자의 다른 장치를 통해 통일된 안내 애플리케이션 경험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 유형의 사용자 경험은 뒤에서 도 12와 관련하여 자세히 설명된다. 추가의 개인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특징은 엘리스 등이 2005년 7월 11일에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제11/179,410호, 보이어 등이 1999년 11월 9일에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제09/437,304호, 및 엘리스 등이 2002년 2월 21일에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제10/105,129호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고, 상기 특허 출원들의 전체 내용은 여기에서의 인용에 의해 본원에 통합된다.
미디어 안내를 제공하는 다른 디스플레이 구성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비디오 모자이크 디스플레이(200)는 미디어 유형, 장르, 및/또는 다른 구성 기준에 기초하여 구성된 미디어 콘텐츠 정보에 대한 선택성 옵션(202)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200)에서, 텔레비전 목록 옵션(204))이 선택되었고, 따라서 방송 프로그램 목록으로서 목록(206, 208, 210, 212)이 제공된다. 도 9로부터의 목록과는 달리, 디스플레이(200)의 목록은 미디어를 설명하기 위한 단순 텍스트(예를 들면, 프로그램 제목) 및 아이콘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그보다, 디스플레이(200)에서, 목록은 커버 아트, 미디어 콘텐츠로부터의 정지 화상, 비디오 클립 프리뷰, 미디어 콘텐츠로부터의 라이브 비디오, 또는 목록에 의해 설명되는 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다른 유형의 미디어를 포함한 그래픽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그래픽 목록은 또한 목록과 관련된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텍스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록(208)은 미디어 부분(214)과 텍스트 부분(216)을 비롯해서 하나 이상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부분(214) 및/또는 텍스트 부분(216)은 전화면에서 비디오가 보이게 하도록 또는 미디어 부분(214)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에 관한 프로그램 목록이 보이게 하도록(예를 들면, 비디오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채널에 대한 목록이 보이게 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의 목록은 다른 크기로 되어 있지만(즉, 목록(206)은 목록(208, 210, 212)보다 더 크다), 만일 필요하다면 모든 목록을 동일한 크기로 할 수 있다. 목록은 미디어 공급자의 희망에 따라서 또는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관심 정도를 표시하기 위하여 또는 특정 콘텐츠를 강조하기 위하여 다른 크기로 하거나 그래픽적으로 강조될 수 있다. 미디어 목록을 그래픽적으로 강조하기 위한 각종 시스템 및 방법은, 예를 들면, 야테스가 2005년 12월 29일자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제11/324,202호에 설명되어 있고, 이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여기에서의 인용에 의해 본원에 통합된다.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 장치로부터의 미디어 콘텐츠 및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다. 도 11은 예시적인 사용자 장비 장치(300)의 일반화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사용자 장비 장치의 더 구체적인 구현예는 도 12와 관련하여 뒤에서 설명된다. 사용자 장비 장치(300)는 입력/출력(이하에서 "I/O"로 표시함) 경로(302)를 통해 미디어 콘텐츠 및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I/O 경로(302)는 처리 회로(306) 및 스토리지(308)를 포함한 제어 회로(304)에 미디어 콘텐츠(예를 들면, 방송 프로그래밍, 주문형 프로그래밍, 인터넷 콘텐츠, 및 기타 비디오 또는 오디오) 및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 회로(304)는 명령, 요청 및 기타의 적당한 데이터를 I/O 경로(302)를 이용하여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I/O 경로(302)는 제어 회로(304)(및 구체적으로 처리 회로(306))를 하나 이상의 통신 경로(뒤에서 설명함)에 접속할 수 있다. I/O 기능은 하나 이상의 통신 경로에 의해 제공될 수 있지만, 도 11에서는 도면이 과도하게 복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단일 경로로 도시되어 있다.
제어 회로(304)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프로그래머블 논리 장치 등에 기초를 둔 처리 회로와 같은 임의의 적당한 처리 회로(306)에 기초를 둘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회로(304)는 메모리(즉, 스토리지(308))에 저장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명령어를 실행한다. 클라이언트-서버 기반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회로(304)는 안내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다른 네트워크 또는 서버와 통신하기에 적합한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는 케이블 모뎀, 통합 서비스 디지털 네트워크(ISDN) 모뎀, 디지털 가입자 선호(DSL) 모뎀, 전화 모뎀, 또는 다른 장비와 통신하는 무선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은 인터넷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통신 네트워크 또는 경로를 수반할 수 있다(이것에 대해서는 도 12와 관련하여 더 자세히 설명된다). 또한, 통신 회로는 사용자 장비 장치의 피어투피어 통신, 또는 서로 원격에 있는 위치에서 사용자 장비 장치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회로(예를 들면, 블루투스)를 포함할 수 있다(이것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메모리(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광 드라이브,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고정식 또는 탈착식 기억 장치(예를 들면, DVD 리코더, CD 리코더, 비디오 카세트 리코더, 또는 다른 적당한 기록 장치)가 제어 회로(304)의 일부인 스토리지(308)로서 제공될 수 있다. 스토리지(308)는 상기 유형의 기억 장치를 한 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장비 장치(300)는 DVR을 위한 하드 드라이브(때로는 개인용 비디오 리코더 또는 PVR이라고 부름)와 2차 기억 장치로서 DVD 리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308)는 여기에서 설명하는 각종 유형의 미디어, 및 프로그램 정보, 안내 애플리케이션 설정, 사용자 선호도 또는 프로필 정보, 또는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데 사용되는 기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를 (예를 들면, 부트업 루틴 및 기타 명령어를 제공하기 위해)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제어 회로(304)는 비디오 발생 회로 및 동조 회로,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튜너, 하나 이상의 MPEG-2 디코더 또는 다른 디지털 디코딩 회로, 고선명 튜너,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동조 또는 비디오 회로, 또는 상기 회로들의 임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인코딩 회로(예를 들면, OTA(over-the-air),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저장을 위해 MPEG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것)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제어 회로(304)는 미디어를 사용자 장비(300)의 양호한 출력 포맷으로 상향 변환 및 하향변환하기 위한 계수기(scaler) 회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304)는 디지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 사이에서 변환을 행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회로 및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회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동조 및 인코딩 회로는 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플레이 또는 기록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동조 및 인코딩 회로는 안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동조, 비디오 발생, 인코딩, 디코딩, 계수기, 및/또는 아날로그/디지털 회로를 비롯해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회로는 하나 이상의 범용 또는 특수 용도 프로세서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동조 기능(예를 들면, 보기 및 기록 기능, 화상 내 화상(PIP) 기능, 다중 튜너 녹화 등)을 동시에 취급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가 제공될 수 있다. 만일 스토리지(308)가 사용자 장비(300)와는 별도의 장치로서 제공되면, 동조 및 인코딩 회로(다중 튜너를 포함함)는 스토리지(308)와 연관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10)를 이용하여 제어 회로(304)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10)는 리모콘, 마우스, 트랙볼, 키패드, 키보드,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스타일러스 입력, 조이스틱, 음성 인식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와 같은 임의의 적당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312)는 독립 장치로서 또는 사용자 장비 장치(300)의 다른 요소들과 통합된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2)는 모니터, 텔레비전, 모바일 장치의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시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당한 장비 중의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312)는 HDTV 가능형일 수 있다. 스피커(314)는 사용자 장비 장치(300)의 다른 요소와 통합형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독립형 장치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312)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및 다른 미디어 콘텐츠의 오디오 성분은 스피커(314)를 통해 재생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는 오디오를 처리하여 스피커(314)를 통해 출력하는 수신기(도시 생략됨)에 분배될 수 있다.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임의의 적당한 구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전적으로 사용자 장비 장치(300)에서 구현되는 독립형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어는 국부적으로 저장되고,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채널의 VBI로부터, 대역외 공급으로부터, 또는 다른 적당한 방법을 이용해서) 주기적으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이언트-서버 기반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사용자 장비 장치(300)에서 구현되는 두꺼운 또는 얇은 클라이언트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는 사용자 장비 장치(300)로부터 멀리 떨어진 서버에 요청을 발행함으로써 주문형으로 검색된다. 클라이언트-서버 기반 안내 애플리케이션의 일 예로서, 제어 회로(304)는 원격 서버에 의해 제공된 웹페이지를 해석하는 웹브라우저를 구동시킨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다운로드되어 해석되거나, 또는 인터프리터 또는 가상 머신(제어 회로(304)에 의해 구동됨)에 의해 다른 방식으로 구동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ETV 이진수 교환 포맷(EBIF)으로 인코딩되고, 적당한 공급의 일부로서 제어 회로(304)에 의해 수신되며, 제어 회로(304)에서 구동하는 사용자 에이전트에 의해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EBIF 위젯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로컬 가상 머신에 의해 수신되어 구동되는 자바 기반 파일 계열 또는 제어 회로(304)에 의해 실행되는 다른 적당한 미들웨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예를 들면, MPEG-2 또는 다른 디지털 미디어 인코딩 방식을 이용하는 것)의 일부에서,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프로그램의 MPEG 오디오 및 비디오 패킷과 함께 MPEG-2 객체 캐로셀(object carousel)로 인코드 및 전송될 수 있다.
도 11의 사용자 장비 장치(300)는 사용자 장비(402),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 또는 비휴대용 게임기와 같이 미디어에 접근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유형의 사용자 장비로서 도 12의 시스템(4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간단히 하기 위해, 이 장치들은 본원에서 집합적으로 사용자 장비 또는 사용자 장비 장치라고 부른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구현되는 사용자 장비 장치는 독립형 장치로서 기능할 수도 있고, 장치의 네트워크의 일부일 수도 있다. 장치의 각종 네트워크 구성이 구현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사용자 장비(402)는 셋톱박스, 위성 텔레비전을 취급하기 위한 통합 수신기 디코더(IRD), 텔레비전 세트, 디지털 기억 장치, DVD 플레이어/리코더, 블루레이 플레이어/리코더, 비디오 카세트 리코더(VCR), 로컬 미디어 서버, 웹캠, 하나 이상의 유아 감시 카메라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보안 카메라, GPS 내비게이션 장치, 네트워크 가능 온도계, 또는 기타의 사용자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GPS 내비게이션 장치는 독립형의 휴대용 내비게이션 장치일 수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자동차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내비게이션 장치 부분일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장비(402)에 포함된 임의의 장치는 네트워크 가능한 장치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와이파이 링크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장비(402)에 포함된 장치는 디지털 라이빙 네트워크 앨리언스SM(DLNA) 호환형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402)에 포함된 장치들은 블루투스 또는 IR과 같은 단거리 링크를 통해 또한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들 중 하나 이상은 만일 원한다면 단일 장치로 통합될 수 있다.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는 PC, 랩톱, 태블릿, 웹TV 박스, 개인용 컴퓨터 텔레비전(PC/TV), PC 미디어 서버, PC 미디어 센터, 또는 다른 사용자 컴퓨터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웹TV는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Micresoft Corp.)이 소유한 상표이다. 무선 통신 장치(406)는 PDA, 이동 전화기(예를 들면,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스마트폰), 휴대용 비디오 플레이어, 휴대용 뮤직 플레이어, 휴대용 게임기 또는 다른 무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는 사용자 장비(402) 및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의 원격 제어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PC용의 텔레비전 튜너 카드, 웹TV, 및 다른 사용자 장비 장치에 대한 비디오 통합형의 출현으로, 전술한 장치들 중 하나로서 장치를 분류하려고 할 때 그 경계가 불명료하게 되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사실, 사용자 장비(402),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 , 및 무선 통신 장치(406)는 각각 도 11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시스템 특징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할 수 있고, 그 결과 장치에서 이용가능한 미디어 콘텐츠 유형에 대하여 융통성을 갖는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장비(402)는 인터넷 콘텐츠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가능형일 수 있고,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는 텔레비전 프로그래밍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튜너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각종 다른 유형의 사용자 장비에서 동일한 레이아웃을 또한 가질 수 있고, 또는 사용자 장비의 디스플레이 능력에 맞게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컴퓨터 장비에서,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웹브라우저에 의해 접속되는 웹사이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무선 통신 장치용으로 규모 축소될 수 있다.
시스템(400)에는 각종 유형의 사용자 장비 장치가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 있지만, 도 12에서는 도면이 복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각각 1개씩만 도시되어 있다. 또한, 각 사용자는 한가지 이상 유형의 사용자 장비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고(예를 들면, 사용자는 텔레비전 세트와 컴퓨터를 가질 수 있다), 각종 유형의 사용자 장비 장치를 1개 이상 이용할 수도 있다(예를 들면, 사용자는 PDA와 이동 전화기 및/또는 복수의 텔레비전 세트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옥내 장치 및 원격 장치에 대하여 일관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세팅을 유지하도록 각종 세팅을 설정할 수 있다. 세팅은 여기에서 설명한 것뿐만 아니라 좋아하는 채널 및 프로그램,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프로그래밍 추천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선호성, 디스플레이 선호성, 및 기타 바람직한 안내 세팅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서, 만일 사용자가 그의 사무실에 있는 자신의 개인용 컴퓨터에서 예컨대 웹사이트 www.tvguide.com에서 '좋아하는 것'(favorite)으로서 하나의 채널을 설정하면, 동일한 채널이 사용자의 옥내 장치(예를 들면, 사용자 장비 및 사용자 컴퓨터 장비)에서 뿐만 아니라 만일 원한다면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에서도 '좋아하는 것'으로서 나타날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의 사용자 장비 장치에서 변경을 행하면, 사용자 장비 장치가 동일한 유형 또는 다른 유형의 사용자 장비 장치인지 여부에 상관없이 다른 사용자 장비 장치에서 안내 경험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변경은 사용자에 의한 세팅 입력뿐만 아니라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감시되는 사용자 행동에 기초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장비 장치는 통신 네트워크(414)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장비(402),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 및 무선 통신 장치(406)는 통신 경로(408, 410, 412)를 통해 각각 통신 네트워크(414)에 결합된다. 통신 네트워크(414)는 인터넷, 이동 전화기 네트워크, 모바일 장치(예를 들면, 블랙베리) 네트워크, 케이블 네트워크, 공중 회선식 전화 네트워크, 또는 다른 유형의 통신 네트워크 또는 통신 네트워크들의 조합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블랙베리(BLACKBERRY)는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코포레이션(Research In Motion Limited Corp.)이 소유하고 있는 서비스마크이다. 경로(408, 410, 412)는 하나 이상의 통신 경로, 예를 들면, 위성 경로, 광섬유 경로, 케이블 경로, 인터넷 통신을 지원하는 경로(예를 들면, IPTV), 자유 공간 접속(예를 들면, 방송 또는 다른 무선 신호를 위한 것),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경로, 또는 상기 경로들의 조합을 별도로 또는 함께 포함할 수 있다. 경로(412)는 도 1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경로임을 표시하기 위해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경로(408, 410)는 유선 경로(필요한 경우에는 무선 경로로 될 수 있다)임을 표시하기 위해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장비 장치와의 통신은 이들 통신 경로 중의 하나 이상에 의해 제공될 수 있지만, 도 12에서는 도면이 복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단일 경로로서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장비 장치는 경로(408, 410, 412)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통신 경로뿐만 아니라 USB 케이블, IEEE 1394 케이블, 무선 경로(예를 들면, 블루투스, 적외선, IEEE 802.11x 등)와 같은 다른 단거리 점대점 통신 경로를 통하여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고, 또는 유선 또는 무선 경로를 통하여 다른 단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블루투스(BLUETOOTH)는 블루투스 시그, 인코포레이티드(Bluetooth SIG, INC.)가 소유한 인증 마크이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장치(406)는 적외선을 통하여 사용자 장비(402)로/로부터 원격 제어 명령을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 장치는 또한 통신 네트워크(414)를 통한 간접 경로를 통해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시스템(400)은 통신 경로(420, 422)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414)에 각각 결합된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와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를 포함한다. 경로(420, 422)는 경로(408, 410, 412)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임의의 통신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 및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와의 통신은 하나 이상의 통신 경로를 통하여 교환될 수 있지만, 도면이 복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도 12에서는 단일 경로로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와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는 각각 1개 이상이 있을 수 있지만, 도면이 복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도 12에서는 각각 1개만 도시되어 있다. (이들 소스 각각의 다른 유형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만일 원한다면,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와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는 하나의 소스 장치로 통합될 수 있다. 비록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 및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와 사용자 장비 장치(402, 404, 406) 간의 통신이 통신 네트워크(414)를 통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소스(416, 418)는 경로(408, 410, 412)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통신 경로(도시 생략됨)를 통하여 사용자 장비 장치(402, 404, 406)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는 텔레비전 분배 설비, 케이블 시스템 헤드엔드, 위성 분배 설비, 프로그래밍 소스(예를 들면, NBC, ABC, HBO 등과 같은 텔레비전 방송국), 중간 분배 설비 및/또는 서버, 인터넷 공급자, 주문형 미디어 서버, 및 기타 미디어 콘텐츠 공급자를 비롯한 한가지 이상 유형의 미디어 분배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NBC는 내셔널 브로드캐스팅 컴패니(National Broadcasting Company, Inc.)가 소유한 상표명이고, ABC는 ABC사(ABC, Inc.)가 소유한 상표명이며, HBO는 홈 박스 오피스사(Home Box Office, Inc.)가 소유한 상표명이다.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는 미디어 콘텐츠의 창작자(예를 들면, 텔레비전 방송국, 웹캐스트 공급자 등)일 수도 있고, 미디어 콘텐츠의 창작자가 아닐 수도 있다(예를 들면, 주문형 미디어 콘텐츠 공급자, 다운로드용의 방송 프로그램 비디오 콘텐츠의 인터넷 공급자 등).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는 케이블 소스, 위성 공급자, 주문형 공급자, 인터넷 공급자, 또는 기타의 미디어 콘텐츠 공급자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는 임의의 사용자 장비 장치로부터 원격에 있는 위치에서 다른 유형의 미디어 콘텐츠(사용자가 선택한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함)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격 미디어 서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의 원격 저장을 행하고 원격 저장된 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 장비에 공급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서는 엘리스 등이 1999년 6월 11일자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제09/332,244호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고, 상기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여기에서의 인용에 의해 본원에 통합된다.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는 미디어 목록, 미디어 관련 정보(예를 들면, 방송 시간, 방송 채널, 미디어 제목, 미디어 설명, 등급 정보(예를 들면, 부모 제어 등급, 평론가 등급 등), 쟝르 또는 카테고리 정보, 배우 정보, 방송국 또는 공급자 로고에 대한 로고 데이터 등), 미디어 포맷(예를 들면, 표준 선명도, 고선명도 등), 광고 정보(예를 들면, 텍스트, 이미지, 미디어 클립 등), 주문형 정보, 및 사용자가 원하는 미디어 선택을 내비게이트하고 찾아내는데 도움을 주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안내 데이터와 같은 미디어 안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임의의 적당한 방법으로 사용자 장비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 공급(예를 들면, 연속 공급, 소량 공급, 또는 채널의 수직 귀선 기간의 데이터)을 통해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독립형의 대화식 텔레비전 프로그램 가이드일 수 있다.
프로그램 스케줄 데이터 및 다른 안내 데이터는 텔레비전 채널의 수직 귀선 기간에 대역내 디지털 신호를 이용해서, 대역외 디지털 신호를 이용해서,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데이터 전송 기술에 의해 텔레비전 채널 측파대에서 사용자 장비에게 제공될 수 있다. 프로그램 스케줄 데이터 및 다른 안내 데이터는 다중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 채널로 사용자 장비에게 제공될 수 있다. 프로그램 스케줄 데이터 및 다른 안내 데이터는 임의의 적당한 빈도로(예를 들면, 연속적으로, 매일로,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 주기로, 시스템이 지정한 시간 주기로,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해서 등) 사용자 장비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부 방법에 있어서,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는 클라이언트-서버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장비에 있는 안내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는 필요할 때 안내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소스(418)와 함께 세션을 개시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자체를 또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사용자 장비 장치(402, 404, 406)에게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사용자 장비 장치에서 구현되는 독립형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이언트만이 사용자 장비 장치에 체재하는 클라이언트-서버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부분적으로 사용자 장비 장치(300)의 제어 회로(304)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및 부분적으로 원격 서버에서 서버 애플리케이션(예를 들면,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안내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에 의해 발생되어 사용자 장비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는 또한 사용자 장비에 저장하기 위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장비는 그 다음에 제어 회로에 의해 처리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안내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를 발생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시스템(400)은 사용자 장비 장치와 미디어 콘텐츠 및 안내 데이터의 소스가 미디어에 접근하고 미디어 안내를 제공할 목적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다수의 방법 또는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 중의 임의의 하나 또는 부분집합에 적용될 수 있고, 또는 미디어를 전달하고 미디어 안내를 제공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의 3가지 방법은 도 12의 일반화 예의 특정 설명을 제공한다.
제1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 장치는 홈 네트워크 내에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 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단거리 점대점 통신 방식을 통해, 홈 네트워크에서 제공된 허브, 라우터 또는 다른 유사한 장치를 통한 간접 경로를 통해, 또는 통신 네트워크(414)를 통해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하나의 홈에서 복수의 개인들은 각각 홈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사용자 장비 장치를 운용할 수 있다. 그 결과, 각종 미디어 안내 정보 또는 세팅이 서로 다른 사용자 장비 장치들 간에 통신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엘리스 등이 2005년 7월 11일자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제11/179,410호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는 것처럼, 사용자가 홈 네트워크 내의 다른 사용자 장비 장치에서 일관된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세팅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 네트워크 내에서 다른 유형의 사용자 장비 장치도 또한 서로 통신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 컴퓨터 장비로부터 휴대용 비디오 플레이어 또는 휴대용 뮤직 플레이어로 전송할 수 있다.
제2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는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에 접근하여 미디어 안내를 획득하게 하는 복수 유형의 사용자 장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사용자는 옥내 장치 및 모바일 장치에 의해 접근되는 홈 네트워크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장치(예를 들면,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구현되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옥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자신의 사무실에 있는 개인용 컴퓨터를 통해, 또는 PDA 또는 웹 가능한 이동 전화기를 통해 웹사이트에서 온라인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온라인 안내 애플리케이션에서 각종 세팅(예를 들면, 리코딩, 리마인더, 또는 다른 세팅)을 설정하여 사용자의 옥내 장비를 제어할 수 있다. 온라인 안내는 사용자 장비를 직접 또는 사용자 옥내 장비의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 장치가 서로로부터 원격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 장비 장치가 통신하는 각종 시스템 및 방법은 예를 들면 엘리스 등이 2004년 8월 26일자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제10/927,814호에 설명되어 있으며, 이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여기에서의 인용에 의해 본원에 통합된다.
제3의 방법에 있어서, 홈 내/외에 있는 사용자 장비 장치의 사용자는 그들의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미디어 콘텐츠 소스와 직접 통신하여 미디어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 내에서, 사용자 장비(404) 및 사용자 컴퓨터 장비(406)의 사용자는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하여 바람직한 미디어 콘텐츠를 내비게이트하여 찾아낼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무선 통신 장치(406)를 이용해서 홈 외부의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하여 바람직한 미디어 콘텐츠를 내비게이트하고 찾아낼 수 있다.
비록 미디어 콘텐츠의 설명이 비디오 콘텐츠에 촛점을 맞추어 행하여졌지만, 미디어 안내의 원리는 음악, 이미지 등과 같은 다른 유형의 미디어 콘텐츠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용어 "1차"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장비(402) 및/또는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에서 구동하는 대화식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1차 애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통신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장치(406)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고, 또는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정 버전과 협력하여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정 버전일 수도 있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용어 "2차" 애플리케이션은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구동하는 대화식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2차 애플리케이션은 1차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고, 1차 애플리케이션과 협력적으로 구동하여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 또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획득하는 대화식 애플리케이션의 소정 버전일 수 있다.
1차 및 2차 애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통신을 교환함으로써 통신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통신은 1차 애플리케이션과 2차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통신 경로(424)를 통해 또는 통신 경로(412, 408) 및 통신 네트워크(414)를 통해 대화식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또는 다른 데이터(예를 들면,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프레임 및 디스플레이 화면)를 교환하기에 적합한 클라이언트-서버 또는 피어투피어 통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경로(424)는 적외선 링크, 와이파이 링크, 블루투스 링크, 상기 링크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무선 통신 링크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통신은 예를 들면 요청, 명령, 메시지 또는 원격 절차 호출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통신은 무선 통신 장치(406)와 사용자 장비(402) 및/또는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에서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 구성들 간의 복합 통신을 또한 수반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통신은 예를 들면 객체 기반형일 수 있다. 1차 가이드와 2차 가이드에서 구동하는 객체는, 예를 들면, 객체 요청 브로커(Object Request Broker; ORB)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대화식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예를 들면, 컴포넌트 객체 모델(COM) 객체로서 캡슐화되고 통신 경로(424) 및/또는 통신 네트워크(414)를 통해 전송되는 스트림에 집착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통신은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장치(406)와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사이에서 교환되는 HTML 포맷화 마크업 언어 문서(예를 들면, 웹 페이지)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402)(및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와 무선 통신 장치(406)는 통신 경로(424)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가 사용자 장비(402)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배타적으로 획득할 때와 같이 단일 통신 경로(424)만이 있을 수 있다. 통신 경로(424)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과 같이, 무선 통신 장치(406)와 사용자 장비(402)와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 간의 직접 링크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통신 경로(424)로서 와이파이를 사용할 때, 통신 경로(424)는 예를 들면 홈 네트워크에 포함된 무선 라우터(도시 생략됨)를 통해 라우트될 수 있다. 도면이 복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직접 통신 링크(424)만이 도시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406)는 예를 들면 통신 네트워크(414)를 통해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 또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및 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를 직접 획득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경로(424)가 있을 때는 상이한 통신 경로(424)에서 각종의 다른 미디어 및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홈에서, 통신 경로(424)는 넓은 지리적 영역에서의 데이터 전송에 더 적합한 더 복잡한 링크 대신에 RF, 와이파이, 적외선 또는 블루투스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무선 통신 장치(406)가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 또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와 직접 통신할 때, 통신 경로(424)는 인터넷 링크와 같이 넓은 지리적 영역에 대한 데이터 전송에 더 적합한 링크로 하는 것이 더 적합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 사용자 장비(402) 및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는 임의의 적당한 네트워크 및 운송층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면 순서화 패킷 교환/인터네트워크 패킷 교환(SPX/IPX) 층, 전송 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TCP/IP) 층, 애플토크 트랜잭션 프로토콜/데이터그램 전달 프로토콜(ATP/DDP) 층, 무선 접근 프로토콜(WAP) 층,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네트워크 또는 운송층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 및 사용자 장비(402)는 예를 들면 선 마이크로시스템즈의 지니 네트워킹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옥내 네트워크의 일부로 또한 될 수 있다. 네트워크 및 운송층 프로토콜은 만일 원한다면 시스템에서 제거될 수 있다. 각종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장치(406)와 사용자 장비(402)는 DLNA 및 UVNP 호환성 장치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에 의해 사용자 장비(402)에만 배타적으로, 사용자 장비(402)와 무선 통신 장치(406)에 함께, 또는 무선 통신 장치(406)에만, 임의의 적당한 방식을 이용하여 분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연속 스트림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적당한 시간 간격으로(예를 들면, 매 시간당 1회) 전송될 수도 있다. 만일 연속적으로 전송되면,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402) 또는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국부적으로 저장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그 대신, 사용자 장비(402) 또는 무선 통신 장치(406)는 데이터가 필요할 때 그 데이터를 급히(on the fly) 추출할 수 있다. 만일 원한다면,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 또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는 특정 정보(예를 들면, 지불식 프로그램 계좌 정보, 또는 국부적으로 발생되는 인증 기법을 이용해서 구매하여 본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위해 주기적으로 사용자 장비(402) 또는 무선 통신 장치(406)를 폴링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또한 적당한 클라이언트-서버 방법 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각종 실시예에서, 1차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장비(402) 및/또는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에서 전체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동작하는 2차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장비(402) 및/또는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2차 애플리케이션은 통신 경로(424)를 통해 사용자 장비(402) 또는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에게 보내진 애플리케이션 통신을 경유하여 서버로서 작용하는 1차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적당한 방법에 있어서, 2차 애플리케이션은 1차 애플리케이션을 수반하지 않고 사용자 장비(402) 또는 사용자 컴퓨터 장비(404)로부터 직접 데이터 애플리케이션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402)는,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연속 데이터 스트림의 일부로서 주기적으로, 또는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 또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로부터의 폴링 요청에 응답해서 수신할 수 있다. 그러한 방법에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2차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1차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요청하게 할 필요없이 무선 통신 장치(406)에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다른 적당한 방법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사용자 장비(402)에 의해 저장되고 무선 통신 장치(406)에게 회송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예를 들면 분배 설비(104)와 사용자 장비(402) 간, 및 사용자 장비(402)와 무선 통신 장치(406) 간의 데이터 전송률이 동일하지 않을 때 바람직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의 예시적인 구성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는 임의의 적당한 PDA, 이동 전화기, 휴대용 비디오 플레이어, 휴대용 뮤직 플레이어, 휴대용 게임기, 또는 다른 휴대용 무선 장치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은 그 처리 회로, 통신 회로 및 메모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는 윈도즈 CE 호환성 또는 자바 기반 핸드헬드 PDA 스타일 장치 또는 스마트폰일 수 있고, 또는 무선 통신 장치용의 임의의 다른 적당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에 의해 인에이블 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2), 처리 회로(54), 스토리지(56) 및 통신 장치(58)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2)는 임의의 적당한 입력 또는 출력 장치 또는 시스템일 수 있고, 액정 디스플레이(LCD), 터치 감응성 스크린, 음성 인식 및 합성 회로, 마이크로폰, 스피커, 매뉴얼 버튼 또는 키, 키보드,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사용자 입력 또는 출력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2)는 바람직하게 터치 감응성 스크린과 키패드를 포함한다. 터치 감응성 스크린은 각종 유형의 대화식 텔레비전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내비게이션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406)의 터치 감응성 스크린은 사용자가 보는 특정 스크린 또는 사용가자 수행하는 특정 작업에 적용되는 버튼 또는 제어만을 디스플레이할 필요가 있다. 또한, 터치 감응성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텔레비전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하려고 하는 데이터 엔트리의 유형에 맞도록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키보드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숫자 입력을 간단히 하기 위해 숫자 패드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2)는 무선 통신 장치에서 동작하는 적당한 수기(handwriting) 인식 소프트웨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적당한 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406)는 푸시 버튼과 디스플레이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푸시 버튼과 관련된 특징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해 각 푸시 버튼을 텍스트 또는 그래픽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른 대화식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때, 디스플레이는 접근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대화식 베팅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때, 2개의 디스플레이는 "베팅"(bet)과 "정보"(info)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예를 들어서 대화식 프로그램 가이드로 변경하면, 동일한 디스플레이는 "채널업" 및 "채널다운"을 표시할 수 있다.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소정의 푸시 버튼을 누르면 표시된 특징이 수행된다. 제어 코드는 예를 들면 사용자 장비(402)로부터 블루투스, 적외선, 와이파이 또는 다른 무선 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406)로 다운로드되어 무선 통신 장치(406)가 각 푸시 버튼에 대한 적절한 라벨 및 특징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처리 회로(54)는 인텔 펜티엄®, AMD, 또는 다른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임의의 적당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는 스토리지(56)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56)는 임의의 적당한 메모리 또는 다른 기억 장치, 예를 들면, RAM, ROM, 플래시 메모리, 자기 또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무선 통신 장치에 적합한 다른 스토리지일 수 있다. 처리 회로(54)는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적당한 회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신호는 예를 들면 MPEG-2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406)에 스트리밍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는 통신 장치(58)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58)는 통신 경로(424; 도 12)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406)와 사용자 장비(402) 간에, 및 통신 경로(412; 도 12)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와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 도 12)와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 도 12) 간에 통신을 지원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통신 장치(58)는 예를 들면 통신 포트(예를 들면, 직렬 포트, 병렬 포트, 범용 직렬 버스(USB) 포트 등), 모뎀(예를 들면, 임의의 적당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표준 모뎀 또는 셀룰러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예를 들면, 이더넷 카드, 토큰 링 카드 등), 무선 송수신기(예를 들면, 적외선, 라디오, 셀룰러, 또는 다른 적당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송수신기), 또는 무선 통신 장치용의 다른 적당한 통신 장치일 수 있다. 특히, 통신 장치(58)는 페이징-주파수 송수신기일 수 있다. 만일 원한다면, 무선 통신 장치(406)는 복수의 통신 장치(58)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통신 장치(58)는 통신 경로(412)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다른 통신 장치는 통신 경로(424)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각 통신 장치(58)는 다른 유형의 통신 경로용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통신 장치(58)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거나 접근 통신을 교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적외선 방사체와 같은 다른 통신 장치는 적외선 제어를 이용하는 사용자 장비(402) 및 다른 가정용 오락 장비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페이징-주파수 방사체는 예를 들면 장치 유형 정보를 업로드하고 적외선 코드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모드로 사용될 때, 키가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화면상의 키를 터치하여 명령을 발생할 수 있다. 키는 임의의 시간에 관련 키만이 디스플레이되는 문맥 감응성(context sensitive)일 수 있다.
동작시에, 무선 통신 장치(40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2)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획득하고, 처리 회로(54)를 이용하여 상기 명령을 처리하며, 적당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사용자 인터페이스(52)에서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획득할 것을 요구하는 2차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에 사용자가 접근하고자 한다고 표시할 때, 처리 회로(54)는 통신 장치(58)에게 지시하여 사용자 장비(402; 도 12),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 도 12) 또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 도 12)와 세션을 개시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는 예를 들면 대화식 광고를 포함한 메인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뉴에 있는 아이템들 중 하나는 대화식 프로그램 가이드일 수 있다. 가이드 특징을 선택하면 가이드 메인 메뉴, 프로그램 목록의 디스플레이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가이드 디스플레이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가 목록을 선택한 때, 장치는 그 목록과 관련된 프로그램의 설명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광고는 관련된 프로그래밍일 수 있고, 그 경우 광고의 선택은 프로그램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표시하게 하며, 리마인더가 설정되게 하거나 임의의 다른 적당한 기능이 가능하게 한다. 다른 제품에 대한 광고는 사용자가 제품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획득하거나 제품을 구매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 장비(402; 도 12)의 예시적인 구성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장비(402; 도 12)는 입력부(26)에서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로부터의 아날로그 비디오 또는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로부터의 데이터가 또한 입력부(26)에서 수신될 수 있다. 정상적인 텔레비전 시청 중에, 사용자는 사용자 장비(예를 들면, 셋톱박스(28))를 원하는 텔레비전 채널(아날로그 또는 디지털)로 동조시킬 수 있다. 그 텔레비전 채널에 대한 신호는 그 다음에 비디오 출력(30)으로 제공된다. 출력(30)으로 제공된 신호는 전형적으로 미리 규정된 채널(예를 들면, 채널 3 또는 4)에서의 무선 주파수(RF) 신호 또는 아날로그 복조 비디오 신호이지만, 적당한 디지털 버스(도시 생략됨)로 텔레비전(36)에 제공된 디지털 신호일 수도 있다. 출력(30)에서의 비디오 신호는 선택적인 2차 기억 장치(32)에서 수신될 수 있다.
1차 애플리케이션 또는 1차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는 셋톱박스(28)에서, 텔레비전(36)에서, 선택적인 디지털 기억 장치(31)에서(텔레비전(36) 또는 선택적인 디지털 기억 장치(31)가 적당한 처리 회로 및 메모리를 갖는 경우), 또는 텔레비전(36)에 접속된 적당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수신기에서 구동할 수 있다. 대화식 텔레비전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텔레비전(36) 및 셋톱박스(28) 양자에서 협력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협력적인 대화식 텔레비전 프로그램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이 복수의 장치에서 동작하는 대화식 텔레비전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예를 들면 엘리스가 1998년 11월 5일자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제09/186,598호에 설명되어 있으며, 이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여기에서의 인용에 의해 본원에 통합된다.
2차 기억 장치(32)는 임의의 적당한 유형의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프로그램 기억 장치 또는 플레이어(예를 들면, 비디오카세트 리코더,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플레이어 등)일 수 있다. 프로그램 리코딩 및 다른 특징은 제어 링크(34)를 이용하여 셋톱 박스(28)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만일 2차 기억 장치(32)가 예를 들어서 비디오 카세트 리코더이면, 전형적인 제어 링크(34)는 통상적으로 리모콘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는 비디오카세트 리코더의 적외선 수신기에 결합된 적외선 송신기의 사용을 수반한다.
무선 통신 장치(406)는 셋톱박스(28), 2차 기억 장치(32) 및 텔레비전(36)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는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고 리모콘과 같은 사용자 장비(402; 도 12)를 제어하기 위한 상이한 동작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는 예를 들면 미디어 시스템(400; 도 12) 내의 장치에 기초하여 프로그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면 적당한 구성 디스플레이 내에서 장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적당한 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사용자 장비(402)에서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예를 들면, 대화식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구성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만일 원한다면, 사용자는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또는 이들의 적당한 조합을 디지털 형태로 선택적인 디지털 기억 장치(31)에 기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소프트웨어를 인터넷 또는 어떤 다른 매체로부터 디지털 기억 장치(31)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디지털 기억 장치(31)는 기록가능한 광학 기억 장치(예를 들면, 기록가능형 DVD 디스크를 취급할 수 있는 DVD 플레이어), 자기 기억 장치(예를 들면,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디지털 테이프), 또는 임의의 다른 디지털 기억 장치일 수 있다. 프로그램 가이드가 디지털 기억 장치를 구비하는 대화식 텔레비전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하셀 등이 1998년 9월 17일자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제09/157,256호에 설명되어 있으며, 이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여기에서의 인용에 의해 본원에 통합된다.
디지털 기억 장치(31)는 셋톱박스(28)에 포함될 수도 있고, 또는 출력 포트 및 적당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셋톱박스(28)에 접속된 외부 장치일 수도 있다. 만일 필요하면, 셋톱박스(28)의 처리 회로는 수신된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파일 포맷으로 포맷한다. 바람직하게, 파일 포맷은 동영상 전문가 그룹(MPEG) MPEG-2 표준 또는 MJPEG(Moving Joint Photographic Exqerts Group) 표준과 같은 개방형 파일 포맷이다. 결과적인 데이터는 적당한 버스(예를 들면, 디지털 버스)를 통하여 디지털 기억 장치(31)에 스트리밍될 수 있고, 디지털 기억 장치(31)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적당한 방법에 있어서, MPEG-2 데이터 스트림 또는 일련의 파일들은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 도 12)로부터 수신되어 디지털 기억 장치(31)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 도 12)에서 원격 미디어 서버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기록된 프로그램으로부터의 파일들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파일은 원할 때 사용자에게 재생될 수 있다.
텔레비전(36)은 2차 기억 장치(32)로부터 통신 경로(38)를 통해 비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경로(38)의 비디오 신호는 사전 기록된 기억 매체(예를 들면, 비디오카세트 또는 기록가능형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를 재생할 때 2차 기억 장치(32)에 의해, 또는 사전 기록된 디지털 비디오(예를 들면, 사용자의 홈 내에 있거나 홈으로부터 원격에 있는 미디어 서버에서 사용자에 의해 기록된 프로그램용의 비디오)를 재생할 때 디지털 기억 장치(31)에 의해 발생될 수 있고, 셋톱박스(28)로부터 통과되거나, 만일 2차 기억 장치(32)가 사용자 장비(402)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셋톱박스(28)를 통해 텔레비전(36)에 직접 제공되거나, 또는 텔레비전(36)에 의해 직접 수신될 수 있다. 통상적인 텔레비전 시청 중에, 텔레비전(36)에 제공되는 비디오 신호는 사용자가 셋톱박스(28)를 이용하여 동조시킨 소망 채널에 대응한다. 비디오 신호는 셋톱박스(28)가 디지털 기억 장치(31)에 저장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해 사용될 때, 또는 셋톱박스(28)가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 또는 텔레비전 분배 설비(29)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파일을 디코딩하기 위해 사용될 때 셋톱박스(28)에 의해 텔레비전(36)에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셋톱박스(28)는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 도 12) 및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 도 12)와 통신 경로(408)를 통해 직접, 또는 무선 통신 장치(406)와 통신 경로(424; 도 12)를 통해 직접 통신하는 통신 장치(37)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37)는 예를 들면 통신 포트(예를 들면, 직렬 포트, 병렬 포트, 범용 직렬 버스(USB) 포트 등), 모뎀(예를 들면, 임의의 적당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표준 모뎀 또는 셀룰러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예를 들면, 이더넷 카드, 토큰 링 카드 등), 무선 송수신기(예를 들면, 적외선, 라디오, 셀룰러, 블루투스, 또는 다른 적당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송수신기), 또는 다른 적당한 통신 장치일 수 있다. 텔레비전(36)은 만일 원한다면 이러한 적당한 통신 장치를 또한 구비할 수 있다. 특히, 통신 장치(37)는 페이징-주파수 즉 900 MHz 송수신기일 수 있다. 만일 원한다면, 셋톱박스(28)는 복수의 통신 장치(3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통신 장치(37)는 분배 설비(104)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다른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 장치(406)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1차 애플리케이션 및 2차 애플리케이션은, 비제한적인 예를 들자면, 대화식 프로그램 가이드 애플리케이션, 홈쇼핑 애플리케이션, 웹브라우저, 할 일 목록(to-do list), 베팅 애플리케이션, 또는 임의의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임의의 적당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명확히 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화식 프로그램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장비(402; 도 12) 및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에서 구현되는 시스템과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의 하나의 적당한 구성에 있어서,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 도 12)로부터 사용자 장비(402; 도 12)에서 구현되는 대화식 프로그램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에 분배된다. 다른 적당한 구성에 있어서, 대화식 프로그램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1차 처리 전력이 예를 들면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에 위치된 서버에 의해 제공되고 사용자 장비(402)가 클라이언트 프로세서로서 작용하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다른 대안적인 구성에 있어서, 대화식 프로그램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은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를 인터넷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대화식 프로그램 가이드는 전형적으로 객체 위에 하이라이트 영역 또는 커서를 위치시킴으로써 객체가 선택되는 것을 요구함으로써 화면 위에서 대화식 객체를 선택하는 사용자 능력을 제한한다. 예를 들어서, 사용자가 프로그램 목록의 열(column) 내에 있을 때, 사용자는 대화식 객체를 선택하기 위해 열의 위 또는 아래를 화살표로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하나의 객체로부터 다른 객체로 내비게이팅하기 위해 몇 개의 키를 치도록 요구될 수 있다. 그러나, 무선 통신 장치(406)의 터치 감응성 디스플레이에서 임의의 영역이 선택가능으로 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대화식 객체에 접근하는 증가된 능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는, 예를 들면, 대화식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 장비(402; 도 12)에서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후에 모델링된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규의 리모콘과 같이 하이라이트 영역을 위치정하기 위해 복수의 키 누름을 수행할 필요없이 단일 동작으로 특정의 메뉴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시간에 따른 목록, 채널에 따른 목록, 카테고리에 따른 목록, 좋아하는 채널 또는 임의의 다른 가이드 특징과 같이, 대화식 프로그램 가이드의 많은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마인더를 설정하고 리마인더를 오디오 경고음 및 디스플레이와 함께 장치에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는 페이징 복귀를 통해 리마인더를 설정하고 기록을 원격에서 스케줄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장치(406)는 조사결과를 내보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는 시청률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구매 시점과 함께, 장치는 예를 들면 전자 쿠폰을 분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구동하는 2차 프로그램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은 1차 가이드의 기능을 2차 가이드의 기능과 동위화시키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1차 가이드와 2차 가이드의 상호작용성을 확장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의 터치 감응성 디스플레이는 온스크린 가이드의 통합 부분이 된다. 1차 가이드와 2차 가이드 사이의 상보적인 상호작용성은 텔레비전 시청을 방해하지 않고 각종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채널 및 시간을 통한 브라우징, 프로그램 정보에의 접근, 페이퍼뷰 프로그램의 순서화(ordering), 리마인더 설정 및 프로그램 잠금은 모두 콘텐츠가 텔레비전(36)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가 사용자 장비(402; 도 12)(예를 들면, 텔레비전(28))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프로그램 가이드 목록을 브라우징하여 프로그램 목록(108; 도 9)을 선택할 때,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풍부한 그래픽, 비디오, 및/또는 광고를 포함하는 정보 화면(80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정보 화면(801)에 디스플레이된 정보는 예를 들면 셋톱박스(28; 도 14)로부터 통신 경로(424; 도 4)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로 전송될 수 있다. 게다가, 각종 실시예에 있어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사용자 장비(402; 도 4)(예를 들면, 텔레비전(28; 도 14))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프로그램 가이드 목록을 브라우징하는 동안, 무선 통신 장치(406; 도 4)는 비디오 영역(122; 도 9)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비디오는 사용자 장비(402; 도 12)(예를 들면, 셋톱박스(28; 도 14))로부터 통신 경로(424; 도 12)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로 스트리밍될 수 있다.
2차 가이드는 무선 통신 장치(406)를 이용하여 1차 가이드 내에서 내비게이트하고 1차 가이드의 특징들에 접근하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예시적인 원격 제어 화면(1000)을 보인 것이다. 원격 제어 화면(1000)은 예를 들면 로고(707), 선택가능한 광고(705), 현재 시간(711) 및 현재 채널(713)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격 제어 회면(1000)에서 로고(707)를 선택하면, 2차 가이드는 1차 가이드에게 지시하여 프로그램 목록 화면을 텔레비전(36)에 디스플레이하게 한다. 원격 제어 화면(1000)의 제어부는 1차 가이드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특정의 1차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하이라이트되는 옵션, 1차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의 콘텐츠 또는 유형,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특징, 특징들의 그룹, 또는 콘텐츠에 기초를 두고 이들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면 화살표(1003)를 터치함으로써 1차 가이드를 내비게이트 및 제어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를 이용한 프로그램 가이드 디스플레이 화면에서의 내비게이션은 임의의 1차 가이드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온스크린 트랙볼(1102)을 이용하여 1차 가이드를 내비게이트 및 제어할 수 있다. 트랙볼(1102)은 수평 또는 수직으로 회전될 수 있고, 사용자는 트랙볼(1102)을 툭 쳐서 1차 가이드 내의 객체 또는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402; 도 12), 예를 들면, 텔레비전은 사용자가 트랙볼(1102)을 움직임에 따라 1차 가이드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대응하는 동작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온스크린 트랙볼을 이용하여 내비게이트 및 제어될 수 있는 대화식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의 각종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우즈 등이 2009년 9월 30일자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제12/571,069호에 설명되어 있고, 상기 특허 출원은 여기에서의 인용에 의해 본원에 통합된다.
2차 프로그램 가이드는 1차 프로그램 가이드 내에서 다른 방법으로 내비게이트하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2차 가이드는 2차 가이드에서, 1차 가이드에서, 또는 이들 둘 다에서 좋아하는 채널을 설정할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면 "FAV"(1007)를 터치함으로써 '좋아함'으로 설정된 목록들 사이에서 내비게이트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2차 가이드는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 또는 사용자 장비(402; 도 12)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가장 탁월하거나 편리한 위치에서 좋아하는 채널로 프로그램 목록을 재분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면 "LAST"(1009)를 터치함으로써 하나 이전의 1차 가이드 디스플레이 화면을 백업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면 "MENU"(1011)를 터치함으로써 1차 가이드 메인 메뉴 화면(100)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면 "EXIT"(709)를 터치함으로써 텔레비전 시청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면 하이라이트 영역(150)을 목록 위에 위치시키고 "INFO"(1013)를 터치함으로써 특정 목록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보고 싶다는 의사를 표시할 수 있다. 목록 화면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화면으로부터 사용자가 프로그램 목록을 하이라이트할 때 무선 통신 장치(406)의 2차 가이드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제어는 리마인더 설정, 프로그램 잠금, 페이퍼뷰 프로그램의 순서화, 프로그램의 다른 방송 시간 보기, 또는 사운드트랙의 CD와 같은 프로그램 관련 상품의 순서화, 프로그램의 비디오테이프, 또는 프로그램 브랜드가 부착된 의복에 대한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비디오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1차 가이드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목록을 통해 브라우징할 때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에 또한 스트리밍될 수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 비디오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되는 목록이 있으며 브라우징시에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비디오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시스템 자원이 비디오의 스트리밍을 허용하지 않으면, 스틸샷(still shot)이 대신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402; 도 12)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적당한 방법에 있어서, 대역폭 구속을 설명하기 위해 고도로 압축된 비디오를 사용할 수 있다. 고도로 압축된 비디오를 사용하는 것은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의 디스플레이의 해상도가 고해상도 비디오를 지원하지 않을 때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게다가, 각종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사용자 장비(402; 도 12)에서 하나의 프로그램을 보는 동안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에서 다른 프로그램을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이 미디어 서버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에 스트리밍되는 동안 다른 프로그램이 셋톱박스(28; 도 12)에 의해 텔레비전(36; 도 14)에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셋톱박스(28)는 복수의 튜너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튜너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다른 하나의 튜너는 제2 프로그램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텔레비전(36; 도 14)으로 시청하고, 제2 프로그램이 와이파이 링크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에 스트리밍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분쟁이 발생한 경우에 복수의 튜너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만일 사용자가 텔레비전(36; 도 14)과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에서 다른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하나의 튜너가 프로그램을 녹화하도록 스케줄되어 있으면, 사용자는 녹화를 허용하고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에의 스트리밍을 정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에의 스트리밍을 계속할 수 있도록 계획된 녹화를 무시할 수 있다(예를 들면, 녹화의 우선순위를 낮출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각각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프로그램들을 교환하는 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의 상업방송이 텔레비전(36)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동안에, 사용자는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의 버튼을 눌러서 텔레비전(36; 도 14)과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프로그램들을 교환할 수 있다. 상업방송의 말미에서, 사용자는 버튼을 다시 터치하여 텔레비전(36; 도 14)과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프로그램들을 교환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1은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에서 독립형 및 조정된 애플리케이션 특징을 제공하는데 수반되는 예시적인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도 17 내지 도 21에 도시된 단계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실제로는 임의의 적당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7은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로 대화식 텔레비전 및 다른 애플리케이션 특징을 제공하는데 수반되는 예시적인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단계 1300에서, 대화식 텔레비전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용 데이터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가 무선 통신 장치(406)에 제공된다. 데이터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 도 12)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로 직접,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 도 12)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로 사용자 장비(402; 도 12)를 통해서, 또는 사용자 장비(402)로부터 직접(즉, 사용자 장비(402)로부터 시작하는 데이터) 제공될 수 있다. 대화식 텔레비전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대화식 미디어 안내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임의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대화식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프로그래밍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예컨대 대화식 텔레비전 프로그램 가이드, 홈쇼핑 애플리케이션, 이메일, 베팅 및 금융거래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프로그래밍과 연관된 대화식 특징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서, 홈쇼핑 애플리케이션과 금융거래 애플리케이션은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특징이 사용자 장비를 통해 제공될 때 대화식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특징들은 특징들과 관련된 프로그래밍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홈쇼핑 애플리케이션은 홈쇼핑 텔레비전 채널에서 이루어지는 제품 및 서비스를 구매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단계 1310), 무선 통신 장치(406)를 이용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하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단계 1320). 대화식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독립형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서버(예를 들면,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 또는 사용자 장비(402)에서의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로서, 또는 사용자 장비(402)에서 동작하는 1차 애플리케이션과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단계 1330에서, 무선 통신 장치(406)는 예를 들면 PDA형 기능과 같이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하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장치(406)는 이메일, 캘린더, 접촉 리스트, 웹브라우징, 계산기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는 뉴스, 날씨, 스포츠, 교통정보,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데이터 서비스와 같은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장비(402)에서 동작하고 무선 통신 장치(406)에 의해 접근가능한 독립형 또는 서버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적당한 하드웨어 자원으로, 2차 프로그램 가이드는 진보된 통신 기능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진보된 통신 기능은 사용자가 가정용 장비를 원격으로 감시하여 시스템이 턴온되어 있는지, 어떤 채널이 온상태인지 등을 찾아낼 수 있게 한다. 진보된 통신 기능은 또한 사용자가 선택된 TV 채널로부터 오디오를 듣거나, 또는 오디오 채널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도 18은 사용자 장비(402)에서 동작하는 1차 애플리케이션과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동작하는 2차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특징들을 동위화하는데 수반되는 예시적인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단계 1400에서,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 또는 미디어 안내 데이터 소스(418)는 사용자 장비(402)에서 동작하는 1차 애플리케이션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제공한다. 1차 애플리케이션은 대화식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단계 1410에서, 1차 애플리케이션은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동작하는 2차 애플리케이션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통신 경로(도 12)를 이용하여 제공한다. 단계 1420에서,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동작하는 2차 애플리케이션은 1차 애플리케이션의 특징과 동위화된 인터페이스 제어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 제어는 1차 애플리케이션의 내비게이션 특징과 대응할 수 있다. 도 15의 예시적인 원격 화면(1000)은 사용자 장비(402)에서 동작하는 대화식 프로그램 가이드의 내비게이션 특징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화살표(1003)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좋아함, 최종, 더 많은 정보, 및 메뉴와 같은 대화식 가이드 특징에 대한 제어를 또한 포함한다. 예를 들면, 홈쇼핑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는 유사한 내비게이션 제어를 포함할 수 있고, 구매하기, 정보, 항목을 희망 목록에 넣기와 같은 홈쇼핑 특징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홈쇼핑 특징을 위한 다른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정용 주식 거래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는 유사한 내비게이션 제어를 포함할 수 있고, 주식 사기, 주식 팔기, 더 많은 정보와 같은 특징,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특징을 위한 다른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웹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는 유사한 내비게이션 제어 및 예컨대 뒤로, 앞으로, 홈으로, 북마크,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특징을 위한 다른 제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팅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는 베팅 기회에 대한 추가의 정보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특징을 제공하는 베팅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어는 1차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2차 애플리케이션의 특징들과 동위화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는 1차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만일 원한다면, 표준 제어의 라이브러리가 무선 통신 장치(406)에 의해 저장되어 사용자에게 1차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일관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특수한 1차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특수화된 제어들은 필요할 때 다운로드할 수 있다.
1차 애플리케이션의 특징들과 인터페이스 제어를 동위화하는 다른 예는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1차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대화식 프로그램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406)는 예컨대 사용자가 사용자 장비(402)에서 하나의 프로그램을 보는 동안 목록을 브라우징할 때 텔레비전 프로그래밍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1430에서, 2차 애플리케이션은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표시한 대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제어에 기초하여 1차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접근 통신을 1차 애플리케이션과 교환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홈쇼핑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1차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구매 제어를 선택한 것에 응답해서 구매 순서를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식 거래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1차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팔기 제어를 선택한 것에 응답해서 주식을 팔 수 있다. 예를 들면, 웹브라우저에 있어서, 시스템은 사용자가 '뒤로'(back) 제어를 선택한 것에 응답해서 이전에 접속한 웹 페이지로 되돌아갈 수 있다.
도 19는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에서 자막 및/또는 더빙을 제공하는데 수반되는 예시적인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단계 1502에서, 사용자 장비(402; 도 12)(예를 들면, 텔레비전(36; 도 14))는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로부터 올 수도 있고, 또는 예컨대 DVD로부터 플레이되는 영화일 수도 있다. 단계 1504에서, 만일 사용자가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에서 프로그램을 플레이하도록 요청하면, 사용자는 자막을 디스플레이할 것인지 및/또는 더빙을 플레이할 것인지 추가로 질문을 받을 수 있다(단계 1506). 사용자는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에서 플레이하도록 요청할 수 있고,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에서 디스플레이된 온스크린 버튼을 단순히 툭 침으로써 자막 및/또는 더빙과 함께 프로그램을 플레이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에서 플레이하는 것을 요청하지 않으면, 프로그램은 사용자 장비(402; 도 12)에서 계속 플레이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자막을 디스플레이하는 것 및/또는 프로그램과 함께 더빙을 듣는 것을 요청하지 않으면,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단계 1508에서 프로그램을 획득하고 그 프로그램을 단계 1510에서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사용자 장비(402; 도 12), 예를 들면, 셋톱박스(28; 도 14)로부터 통신 경로(424; 도 12)를 통해 스트리밍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만일 사용자 장비(402; 도 12)가 예컨대 유튜브™ 또는 훌루™와 같은 서비스로부터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고 있으면,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프로그램을 상기 서비스로부터 직접 스트리밍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프로그램과 함께 자막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및/또는 더빙을 플레이하도록 요청하면,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사용자 장비(402; 도 12)로부터 또는 서비스(예를 들면, 유튜브™, 훌루™)로부터 프로그램을 획득할 수 있다(단계 1512). 추가로,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자막 및/또는 더빙을 또한 획득할 수 있다(단계 1514). 자막 및/또는 더빙은 사용자 장비(402; 도 12)로부터 통신 경로(424; 도 12)를 통하여 또는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 도 12)로부터 통신 경로(412; 도 12)를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단계 1516에서,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수신된 자막 및/또는 더빙과 함께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단계 1518에 나타낸 것처럼,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프로그램을 보지 않고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자막을 보고 및/또는 더빙을 듣기를 원할 수 있다. 그 경우, 무선 통신 장치(406)는 자막 및/또는 더빙을 획득하고(단계 1520),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자막을 디스플레이하고 및/또는 더빙을 플레이할 수 있다(단계 1522).
도 20은 도 12에 도시된 서핑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의 스크린샷을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디스플레이하는데 수반되는 예시적인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단계 1602에서, 사용자 장비(402; 도 12)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채널로부터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장비(402)에서 프로그램을 보는 동안, 사용자는 다른 채널에서 어떤 프로그램이 플레이되고 있는지 알고 싶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에서 서핑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다른 채널의 스크린샷을 획득하고(단계 1604)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스크린샷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단계 1606). 스크린샷은 방송 채널의 스크린샷을 주기적으로 포착하고 그 스크린샷을 인터넷을 통해 접근가능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미디어 콘텐츠 소스(416; 도 12)의 서버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예를 들면 사용자 홈 네트워크의 와이파이 링크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크린샷을 툭 침으로써 스크린샷을 선택할 수 있다. 스크린샷이 선택되면, 무선 통신 장치(406)는 스크린샷을 프리뷰 영역(1206; 도 12)에서 더 자세히 디스플레이하거나, 그 프로그램을 프리뷰 영역(1206; 도 12)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통신 경로(412; 도 12)를 거쳐 서버로부터 스트리밍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프리뷰 영역(1206)은 프로그램의 설명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프로그램의 설명은 역시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그 프로그램을 보기 원하면, 사용자는 보기 버튼(1204; 도 12)을 가볍게 치면 된다. 보기 버튼(1204; 도 12)을 치면, 단계 1608에서, 서핑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통신을 통신 경로(424; 도 12)를 통해 1차 가이드와 교환하여 사용자가 특정 채널로 동조하기 원한다고 표시하였음을 1차 가이드에 알린다. 1차 가이드는 사용자 장비(402; 도 12)가 표시된 채널로 동조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적당한 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예를 들면 IR 또는 블루투스 링크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402; 도 12)와 직접 통신하여 사용자 장비(402; 도 12)로 하여금 표시된 채널로 동조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단계 1610에서, 선택된 채널이 사용자 장비(402; 도 12)에서 디스플레이된다.
도 21은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에 콘텐츠를 자동으로 스트리밍하는데 수반되는 예시적인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단계 1702에서, 사용자 장비(402; 도 12)는 사용자 장비(402; 도 12)에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콘텐츠는 프로그램, 광고 또는 영화일 수 있고, 또는 프로그램 가이드 디스플레이(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목록 격자)일 수 있다. 단계 1704에서,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사용자 장비(402; 도 12)(예를 들면, 텔레비전(36; 도 14) 또는 셋톱박스(28; 도 14))로부터 신호범위 밖에 있는지 결정한다. 만일 신호범위 밖에 있지 않으면, 사용자 장비(402; 도 12)는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계속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가 사용자 장비(402; 도 12)로부터 신호범위 밖에 있는지 여부는 적외선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단거리 링크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만일 사용자가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를 갖고 룸을 떠나면,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와 사용자 장비(402; 도 12) 사이의 적외선(이것은 시선을 필요로 한다) 또는 블루투스 링크가 파괴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가 사용자 장비(402; 도 12)로부터 신호범위 밖에 있는지 여부는 예를 들면 RFID 또는 GPS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의 위치를 탐지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만일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가 사용자 장비(402; 도 12)로부터 신호범위 밖에 있다고 결정되면,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단계 1706에서, 와이파이 등의 장거리 링크로 전환할 수 있다. 단계 1708에서,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사용자 장비(402; 도 12)로부터 통신 경로(424; 도 12)를 통해 콘텐츠를 스트리밍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만일 사용자 장비(402; 도 12)가 초기에 유튜브 또는 훌루와 같은 서비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였으면, 무선 통신 장치는 장거리 링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로부터 직접 콘텐츠를 스트리밍할 수 있다. 단계 1710에서,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에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룸으로 되돌아오면, 즉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가 사용자 장비(402; 도 12)의 신호범위 내로 들어오면,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와 사용자 장비(402; 도 12) 간의 장거리 링크(예를 들면, 와이파이)를 종료하고 단거리 링크(예를 들면, 적외선 또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접속을 다시 확립할 수 있다. 게다가,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가 사용자 장비(402; 도 12)의 신호범위 내로 되돌아온 때,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무선 통신 장치(406)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던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시작하도록 사용자 장비(402)에게 자동으로 지시할 수 있다. 만일 무선 통신 장치(406)가 제3자(예를 들면, 유튜브™, 훌루™ 등)로부터 미리 콘텐츠를 수신하였으면, 무선 통신 장치는 제3자로부터 콘텐츠의 스트리밍을 시작하도록 사용자 장비(402)에게 자동으로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비디오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가 신호범위 밖으로 갈 때 사용자 장비(402; 도 12)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모든 것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만일 사용자가 프로그램 목록을 브라우징하고 룸을 떠나면,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사용자 장비(402; 도 12)에서 디스플레이되었던 프로그램 목록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또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왜곡시키지 않도록 그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예를 들면, 읽기 쉬운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가 신호범위 밖에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사용자 장비(402; 도 12)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것을 디스플레이 해야 할 때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텔레비전(36; 도 14) 또는 셋톱박스(28; 도 14)로부터 멀어지는 경우에도, 무선 통신 장치(406; 도 12)는 여전히 텔레비전(36; 도 14) 또는 셋톱박스(28; 도 14)의 신호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셋톱박스(28; 도 14)로부터 콘텐츠의 스트리밍을 시작하도록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장치의 온스크린 버튼을 가볍게 침으로써)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단순히 예시한 것이고, 이 기술에 숙련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각종의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들은 설명의 목적으로 제시된 것이고 제한하는 의도가 없으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75)

  1. 사용자 장비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로 콘텐츠를 자동으로 이전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자 장비로부터 미리 정해진 신호범위 밖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무선 통신 장치가 미리 정해진 신호범위 밖에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장비와 무선 통신 장치 사이에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을 통하여 사용자 장비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에서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콘텐츠를 무선 통신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 콘텐츠 이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가 미리 정해진 신호범위 밖에 있는지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장비와 무선 통신 장치 간의 단거리 접속이 파괴되었는지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콘텐츠 이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단거리 접속은 적외선 링크인 콘텐츠 이전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단거리 접속은 블루투스 링크인 콘텐츠 이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접속은 와이파이 링크인 콘텐츠 이전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가 미리 정해진 신호범위 내에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장치와 사용자 장비 간에 단거리 접속을 재확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콘텐츠 이전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가 미리 정해진 신호범위 밖에 있는지 결정하는 단계는 GPS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콘텐츠 이전 방법.
  8. 사용자 장비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로 콘텐츠를 자동으로 이전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자 장비로부터 미리 정해진 신호범위 밖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처리와;
    무선 통신 장치가 미리 정해진 신호범위 밖에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장비와 무선 통신 장치 사이에 접속을 확립하는 처리와;
    상기 접속을 통하여 사용자 장비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처리와;
    콘텐츠를 무선 통신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인 콘텐츠 이전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가 미리 정해진 신호범위 밖에 있는지 결정하는 처리는 사용자 장비와 무선 통신 장치 간의 단거리 접속이 파괴되었는지 결정하는 처리를 포함한 것인 콘텐츠 이전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단거리 접속은 적외선 링크인 콘텐츠 이전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단거리 접속은 블루투스 링크인 콘텐츠 이전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접속은 와이파이 링크인 콘텐츠 이전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 장치가 미리 정해진 신호범위 내에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장치와 사용자 장비 간에 단거리 접속을 재확립하는 처리를 또한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인 콘텐츠 이전 시스템.
  14. 제8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가 미리 정해진 신호범위 밖에 있는지 결정하는 처리는 GPS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처리를 포함한 것인 콘텐츠 이전 시스템.
  15. 사용자 장비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로 콘텐츠를 자동으로 이전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자 장비로부터 미리 정해진 신호범위 밖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수단과;
    무선 통신 장치가 미리 정해진 신호범위 밖에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장비와 무선 통신 장치 사이에 접속을 확립하는 수단과;
    상기 접속을 통하여 사용자 장비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에서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단과;
    콘텐츠를 무선 통신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포함한 콘텐츠 이전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가 미리 정해진 신호범위 밖에 있는지 결정하는 수단은 사용자 장비와 무선 통신 장치 간의 단거리 접속이 파괴되었는지 결정하도록 또한 구성된 것인 콘텐츠 이전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단거리 접속은 적외선 링크인 콘텐츠 이전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단거리 접속은 블루투스 링크인 콘텐츠 이전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접속은 와이파이 링크인 콘텐츠 이전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가 미리 정해진 신호범위 내에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장치와 사용자 장비 간에 단거리 접속을 재확립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 콘텐츠 이전 시스템.
  21. 제15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가 미리 정해진 신호범위 밖에 있는지 결정하는 수단은 GPS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또한 구성된 것인 콘텐츠 이전 시스템.
  22. 사용자 장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1 언어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자막을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제1 언어와는 다른 제2 언어의 자막과 함께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희망을 표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무선 통신 장치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무선 통신 장치에서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와;
    사용자 장비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에서 자막을 수신하는 단계와;
    프로그램과 동시에 무선 통신 장치에서 자막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 자막 제공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는 사용자 장비로부터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자막 제공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자막을 수신하는 단계는 와이파이 링크를 통해 자막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자막 제공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자막을 수신하는 단계는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자막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자막 제공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로부터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는 사용자 장비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로 프로그램을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자막 제공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로부터 프로그램을 스트리밍하는 단계는 와이파이 링크를 통해 프로그램을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자막 제공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로부터 프로그램을 스트리밍하는 단계는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프로그램을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자막 제공 방법.
  29. 제22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무선 통신 장치의 터치 감응성 스크린을 통해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자막 제공 방법.
  30. 제22항에 있어서,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는 콘텐츠 공급자로부터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자막 제공 방법.
  31. 사용자 장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1 언어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자막을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제1 언어와는 다른 제2 언어의 자막과 함께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희망을 표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무선 통신 장치에서 수신하는 처리와;
    무선 통신 장치에서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처리와;
    사용자 장비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에서 자막을 수신하는 처리와;
    프로그램과 동시에 무선 통신 장치에서 자막을 디스플레이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인 자막 제공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처리는 사용자 장비로부터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처리를 포함한 것인 자막 제공 시스템.
  33. 제31항에 있어서, 자막을 수신하는 처리는 와이파이 링크를 통해 자막을 수신하는 처리를 포함한 것인 자막 제공 시스템.
  34. 제31항에 있어서, 자막을 수신하는 처리는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자막을 수신하는 처리를 포함한 것인 자막 제공 시스템.
  35. 제32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로부터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처리는 사용자 장비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로 프로그램을 스트리밍하는 처리를 포함한 것인 자막 제공 시스템.
  36. 제35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로부터 프로그램을 스트리밍하는 처리는 와이파이 링크를 통해 프로그램을 스트리밍하는 처러를 포함한 것인 자막 제공 시스템.
  37. 제35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로부터 프로그램을 스트리밍하는 처리는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프로그램을 스트리밍하는 처리를 포함한 것인 자막 제공 시스템.
  38. 제31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처리는 무선 통신 장치의 터치 감응성 스크린을 통해 입력을 수신하는 처리를 포함한 것인 자막 제공 시스템.
  39. 제31항에 있어서,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처리는 콘텐츠 공급자로부터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처리를 포함한 것인 자막 제공 시스템.
  40. 사용자 장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1 언어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자막을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제1 언어와는 다른 제2 언어의 자막과 함께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희망을 표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무선 통신 장치에서 수신하는 수단과;
    무선 통신 장치에서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수단과;
    사용자 장비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제2 언어의 자막을 수신하는 수단과;
    프로그램과 동시에 무선 통신 장치에서 자막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포함한 자막 제공 시스템.
  41. 제40항에 있어서,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수단은 사용자 장비로부터 프로그램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인 자막 제공 시스템.
  42. 제40항에 있어서, 자막을 수신하는 수단은 와이파이 링크를 통해 자막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인 자막 제공 시스템.
  43. 제40항에 있어서, 자막을 수신하는 수단은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자막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인 자막 제공 시스템.
  44. 제41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로부터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수단은 사용자 장비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로 프로그램을 스트리밍하도록 구성된 것인 자막 제공 시스템.
  45. 제44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로부터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수단은 와이파이 링크를 통해 프로그램을 스트리밍하도록 구성된 것인 자막 제공 시스템.
  46. 제44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로부터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수단은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프로그램을 스트리밍하도록 구성된 것인 자막 제공 시스템.
  47. 제40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수단은 무선 통신 장치의 터치 감응성 스크린을 통해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인 자막 제공 시스템.
  48. 제40항에 있어서,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수단은 콘텐츠 공급자로부터 프로그램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인 자막 제공 시스템.
  49.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장치에서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채널에 대응하는 프로그램들의 스크린샷을 획득하는 단계와;
    무선 통신 장치에서 스크린샷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샷의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와;
    선택된 스크린샷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 장비에게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한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선택된 스크린샷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프리뷰를 무선 통신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51. 제49항에 있어서, 선택된 스크린샷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설명을 무선 통신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52. 제50항에 있어서, 프리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인터넷을 통해 미디어 공급자로부터 프리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53. 제51항에 있어서, 설명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인터넷을 통해 미디어 공급자로부터 설명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54. 제49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에게 지시하는 단계는 스크린샷의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선택된 스크린샷에 대응하는 채널로 동조하도록 사용자 장비에게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55. 제49항에 있어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는 무선 통신 장치의 터치 감응성 스크린을 통해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56. 제49항에 있어서, 스크린샷을 획득하는 단계는 미디어 공급자로부터 스크린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57. 제49항에 있어서, 스크린샷을 획득하는 단계는 채널 포착 장치로부터 스크린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58.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장치에서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무선 통신 장치는,
    복수의 채널에 대응하는 프로그램들의 스크린샷을 획득하는 처리와;
    무선 통신 장치에서 스크린샷을 디스플레이하는 처리와;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샷의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처리와;
    선택된 스크린샷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 장비에게 지시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인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59. 제58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는 선택된 스크린샷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프리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또한 구성된 것인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60. 제58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는 선택된 스크린샷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설명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또한 구성된 것인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61. 제59항에 있어서, 프리뷰를 디스플레이하는 처리는 인터넷을 통해 미디어 공급자로부터 프리뷰를 획득하는 처리를 포함한 것인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62. 제60항에 있어서, 설명을 디스플레이하는 처리는 인터넷을 통해 미디어 공급자로부터 설명을 획득하는 처리를 포함한 것인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63. 제58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에게 지시하는 처리는 스크린샷의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선택된 스크린샷에 대응하는 채널로 동조하도록 사용자 장비에게 지시하는 처리를 포함한 것인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64. 제58항에 있어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처리는 무선 통신 장치의 터치 감응성 스크린을 통해 입력을 수신하는 처리를 포함한 것인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65. 제58항에 있어서, 스크린샷을 획득하는 처리는 미디어 공급자로부터 스크린샷을 수신하는 처리를 포함한 것인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66. 제58항에 있어서, 스크린샷을 획득하는 처리는 채널 포착 장치로부터 스크린샷을 수신하는 처리를 포함한 것인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67.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장치에서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채널에 대응하는 프로그램들의 스크린샷을 획득하는 수단과;
    무선 통신 장치에서 스크린샷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과;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샷의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수단과;
    선택된 스크린샷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 장비에게 지시하는 수단을 포함한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68. 제67항에 있어서, 스크린샷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은 선택된 스크린샷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프리뷰를 무선 통신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또한 구성된 것인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69. 제67항에 있어서, 스크린샷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은 선택된 스크린샷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설명을 무선 통신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또한 구성된 것인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70. 제68항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해 미디어 공급자로부터 프리뷰를 획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71. 제65항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해 미디어 공급자로부터 설명을 획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72. 제67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에게 지시하는 수단은 스크린샷의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선택된 스크린샷에 대응하는 채널로 동조하게끔 사용자 장비에게 지시하도록 또한 구성된 것인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73. 제67항에 있어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수단은 무선 통신 장치의 터치 감응성 스크린을 통해 입력을 수신하도록 또한 구성된 것인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74. 제67항에 있어서, 획득하는 수단은 미디어 공급자로부터 스크린샷을 수신하도록 또한 구성된 것인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75. 제67항에 있어서, 획득하는 수단은 채널 포착 장치로부터 스크린샷을 수신하도록 또한 구성된 것인 채널 서핑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KR1020127018711A 2010-01-05 2011-01-04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882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52,569 US20110164175A1 (en) 2010-01-05 2010-01-05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ubtitles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12/652,569 2010-01-05
US12/652,571 2010-01-05
US12/652,572 2010-01-05
US12/652,571 US20110167447A1 (en) 2010-01-05 2010-01-05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channel surfing application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12/652,572 US9201627B2 (en) 2010-01-05 2010-01-05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content between user equipmen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PCT/US2011/020112 WO2011084950A2 (en) 2010-01-05 2011-01-04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edia guidance application functionality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933A Division KR102017301B1 (ko) 2010-01-05 2011-01-04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471A true KR20120125471A (ko) 2012-11-15
KR101882005B1 KR101882005B1 (ko) 2018-07-25

Family

ID=4360800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933A KR102017301B1 (ko) 2010-01-05 2011-01-04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0197025173A KR20190104230A (ko) 2010-01-05 2011-01-04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0127018711A KR101882005B1 (ko) 2010-01-05 2011-01-04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933A KR102017301B1 (ko) 2010-01-05 2011-01-04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0197025173A KR20190104230A (ko) 2010-01-05 2011-01-04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6) EP3367672A1 (ko)
JP (4) JP5791117B2 (ko)
KR (3) KR102017301B1 (ko)
CN (1) CN102792679A (ko)
AR (1) AR079832A1 (ko)
AU (1) AU2011203723B2 (ko)
BR (2) BR122013032932A2 (ko)
CA (2) CA2785833C (ko)
DK (1) DK2522127T3 (ko)
ES (1) ES2634433T3 (ko)
MX (4) MX341574B (ko)
WO (1) WO201108495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5724A (ko) * 2013-03-22 2014-10-0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디지털방송 서비스 지원 시스템, 방송수신단말기,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디지털방송 서비스 지원방법
KR20150062630A (ko) * 2013-11-29 2015-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1526B2 (en) 2008-06-13 2013-12-03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media content and media guidance information
US9014546B2 (en) 2009-09-23 2015-04-21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users within detection regions of media devices
US9201627B2 (en) 2010-01-05 2015-12-01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content between user equipmen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9778818B2 (en) 2011-05-31 2017-10-03 Fanhattan, Inc. System and method for pyramidal navigation
US9239890B2 (en) 2011-05-31 2016-01-19 Fanhattan, Inc. System and method for carousel context switching
US9854318B2 (en) 2011-06-06 2017-12-26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interactive media guidance information
KR101995425B1 (ko) 2011-08-21 2019-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218122B2 (en) 2011-12-29 2015-12-22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settings across devices based on user gestures
US9146616B2 (en) 2012-01-10 2015-09-29 Fanhattan Inc. Touch-enabled remote control
US20130179796A1 (en) * 2012-01-10 2013-07-11 Fanhattan Llc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a user interface using a touch-enabled input device
KR101971624B1 (ko) 2012-07-25 2019-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정보 표시 방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 이동 단말의 제어 신호 생성 방법
CN103167278A (zh) * 2012-08-08 2013-06-19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dlna协议的婴儿监控系统及方法
JP6131053B2 (ja) * 2013-01-21 2017-05-17 Kddi株式会社 情報再生端末
CN104427374B (zh) * 2013-08-27 2018-03-20 海尔集团公司 多媒体内容的显示控制方法、装置及多媒体设备
US9674563B2 (en) 2013-11-04 2017-06-06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content
WO2015116164A1 (en) * 2014-01-31 2015-08-06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playbacks at two electronic devices
CN104869434A (zh) * 2014-02-21 2015-08-26 海尔集团公司 用于传送多媒体流的方法/终端、播放设备、服务器
WO2015134878A1 (en) * 2014-03-07 2015-09-11 Thomson Licensing Simultaneous subtitle closed caption system
US9971319B2 (en) 2014-04-22 2018-05-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roviding audio and alternate audio simultaneously during a shared multimedia presentation
CN104506909A (zh) * 2014-12-19 2015-04-08 恬家(上海)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捕屏遥控方法及装置
CN105530545A (zh) * 2015-12-10 2016-04-27 天脉聚源(北京)传媒科技有限公司 一种图像显示方法及装置
CN107105392A (zh) * 2017-04-25 2017-08-29 暴风集团股份有限公司 实现比赛现场定位的方法及系统
CN107493492B (zh) * 2017-09-20 2018-06-15 广州爱灵希电子科技有限公司 多功能双调谐器机顶盒
CN110401707A (zh) * 2019-07-22 2019-11-01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流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414209B (zh) * 2020-03-17 2023-05-09 浪潮通用软件有限公司 一种可定制的web计算器插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1821A (ja) * 2004-07-26 2006-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とそれらの連携システムおよび連携プログラム
JP2007524316A (ja) * 2004-02-25 2007-08-23 ソニー ドイチュラ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無線データ転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9794B1 (en) 1994-08-31 2001-05-29 E Guide, Inc. Method and system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 television program and information about the program
US6388714B1 (en) 1995-10-02 2002-05-14 Starsight Telecast Inc Interactive computer system for providing television schedule information
US6177931B1 (en) 1996-12-19 2001-01-23 Index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nd recording control interface with television programs, video, advertising information and program scheduling information
JPH11196345A (ja) * 1997-10-07 1999-07-21 Masanobu Kujirada 表示システム
US6564378B1 (en) 1997-12-08 2003-05-13 United Video Properties, Inc. Program guide system with browsing display
EP1158799A1 (en) * 2000-05-18 2001-11-28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receiver for providing subtitle data in several languages on demand
CA2350247A1 (en) * 2000-08-30 2002-02-28 Xybernaut Corporation System for delivering synchronized audio content to viewers of movies
CA2350015A1 (en) * 2000-08-30 2002-02-28 Xybernaut Corporation Head mounted display for viewing subtitles and closed captions in movie theaters
CN1204700C (zh) * 2001-12-29 2005-06-01 联想(北京)有限公司 长短距结合技术的无线通信系统及其实现方法
AU2003206009A1 (en) * 2002-03-21 2003-10-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lingual closed-captioning
US7519364B2 (en) * 2002-08-02 2009-04-14 Pctel, Inc.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 roaming between wireless networks
US7340263B2 (en) * 2002-11-15 2008-03-0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extual data embedded in broadcast media signals
JP2004215126A (ja) * 2003-01-08 2004-07-29 Cyber Business Corp 多言語対応型動画配信システム
JP3749226B2 (ja) * 2003-01-09 2006-02-22 株式会社オリエンタルランド ディスプレイ・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字幕表示システム
US7831199B2 (en) * 2006-01-03 2010-11-09 Apple Inc. Media data exchange, transfer or deliver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4159043B2 (ja) * 2003-07-29 2008-10-01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放送システム
US8046701B2 (en) 2003-08-07 2011-10-25 Fuji Xerox Co., Ltd. Peer to peer gesture based modular presentation system
JP2005150831A (ja) * 2003-11-11 2005-06-09 Nec Access Technica Ltd Tv受信及びリモコン機能付き携帯電話機
JP4025730B2 (ja) * 2004-01-16 2007-12-26 富士通株式会社 情報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517746B2 (ja) * 2004-06-25 2010-08-04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8719874B2 (en) * 2004-09-28 2014-05-06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streaming audio from a common video device
JP2006333355A (ja) 2005-05-30 2006-12-07 Toshiba Corp 携帯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操作方法
JP2006339856A (ja) * 2005-05-31 2006-12-14 Toshiba Corp テレビ装置および音声データの出力制御方法
JP4627228B2 (ja) 2005-07-28 2011-02-09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テンツ受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受信プログラム
JP2007036911A (ja) * 2005-07-29 2007-02-08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端末装置、ネットワーク放送受信プログラム及びネットワーク放送受信方法
JP4672517B2 (ja) * 2005-10-14 2011-04-2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音声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2007116301A (ja) * 2005-10-19 2007-05-10 Sharp Corp テレビ放送視聴システム及びテレビ受信機とワイヤレス受信機並びにテレビ放送視聴方法
US7469269B2 (en) * 2005-12-05 2008-12-2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for exchanging content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US20070157240A1 (en) * 2005-12-29 2007-07-0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media guidance system having multiple devices
US7721207B2 (en) 2006-05-31 2010-05-1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amera based control
US7805489B2 (en) * 2006-06-27 2010-09-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mail communications system with client email internet service provider (ISP) polling application and related methods
US20080064326A1 (en) * 2006-08-24 2008-03-13 Stephen Joseph Foster Systems and Methods for Casting Captions Associated With A Media Stream To A User
JP2008079039A (ja) * 2006-09-21 2008-04-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ゲーム携帯端末装置および情報処理端末
JP2008085515A (ja) * 2006-09-27 2008-04-10 Hitachi Ltd コンテンツ受信端末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受信端末装置
US9318152B2 (en) * 2006-10-20 2016-04-19 Sony Corporation Super share
US9654737B2 (en) * 2007-03-27 2017-05-16 Sony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to enhance broadcast entertainment
US8769577B2 (en) * 2007-05-15 2014-07-01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ast channel surfing
EP1998446A1 (en) * 2007-05-31 2008-12-03 Alcatel Lucent Remote control for devices with connectivity to a service delivery platform
US20090017799A1 (en) * 2007-07-13 2009-01-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file by use of a throwing gesture to a mobile terminal
JP2009060487A (ja) * 2007-09-03 2009-03-19 Sony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およ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2009081509A (ja) * 2007-09-25 2009-04-16 Funai Electric Co Ltd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8402484B2 (en) * 2007-11-14 2013-03-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s and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to media content
JP2009130866A (ja) * 2007-11-27 2009-06-11 Nec Corp メディア再生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9164655A (ja) * 2007-12-11 2009-07-23 Toshiba Corp 字幕情報送出装置、字幕情報処理装置およびこれら装置の連携方法
KR20090084634A (ko) * 2008-02-01 2009-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8301618B2 (en) * 2008-02-26 2012-10-30 Microsoft Corporation Techniques to consume content and metadata
GB2458727A (en) * 2008-03-15 2009-10-07 Blue Tiger Systems Ltd Delay of audiovisual (AV) signal component for synchronisation with wireless transmission
US9106801B2 (en) * 2008-04-25 2015-08-11 Sony Corporation Terminals, servers, and methods that find a media server to replace a sensed broadcast program/movie
JP2009278267A (ja) 2008-05-13 2009-11-26 Sony Corp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9154267A1 (ja) * 2008-06-20 2009-12-23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ータ出力装置、データ提供装置、データ出力システム、データ出力装置の制御方法、及びデータ提供装置の制御方法
KR100981200B1 (ko) * 2009-06-02 2010-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움직임 센서를 장착한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US10512802B2 (en) 2017-10-20 2019-12-24 Werner Co. Energy absorber cover and horizontal lifeline system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4316A (ja) * 2004-02-25 2007-08-23 ソニー ドイチュラ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無線データ転送方法
JP2006041821A (ja) * 2004-07-26 2006-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とそれらの連携システムおよび連携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5724A (ko) * 2013-03-22 2014-10-0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디지털방송 서비스 지원 시스템, 방송수신단말기,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디지털방송 서비스 지원방법
KR20150062630A (ko) * 2013-11-29 2015-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16456B1 (pt) 2022-02-01
AR079832A1 (es) 2012-02-22
EP3367671A1 (en) 2018-08-29
BR122013032932A2 (pt) 2019-08-06
EP3367670A1 (en) 2018-08-29
WO2011084950A3 (en) 2011-09-09
CN102792679A (zh) 2012-11-21
AU2011203723A1 (en) 2012-07-12
JP2013516849A (ja) 2013-05-13
JP2018029382A (ja) 2018-02-22
MX2012007893A (es) 2012-11-30
EP3367672A1 (en) 2018-08-29
BR112012016456A2 (ko) 2017-10-03
CA2785833C (en) 2019-02-26
MX341574B (es) 2016-08-25
EP3217650A1 (en) 2017-09-13
KR20190104230A (ko) 2019-09-06
ES2634433T3 (es) 2017-09-27
WO2011084950A2 (en) 2011-07-14
EP2522127A2 (en) 2012-11-14
JP2020205651A (ja) 2020-12-24
DK2522127T3 (en) 2017-08-28
EP3211882A1 (en) 2017-08-30
KR102017301B1 (ko) 2019-09-04
JP6231524B2 (ja) 2017-11-15
EP2522127B1 (en) 2017-05-03
AU2011203723B2 (en) 2014-03-20
CA3030066A1 (en) 2011-07-14
CA2785833A1 (en) 2011-07-14
JP6774923B2 (ja) 2020-10-28
JP7286600B2 (ja) 2023-06-05
MX365589B (es) 2019-06-07
JP2015233319A (ja) 2015-12-24
KR20180085077A (ko) 2018-07-25
JP5791117B2 (ja) 2015-10-07
MX352002B (es) 2017-11-06
KR101882005B1 (ko)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86600B2 (ja) 無線通信デバイスを用いてメディアガイダンスアプリケーション機能性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2016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content between user equipmen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201101674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channel surfing application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201201143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ubtitles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87695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media guidance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EP244953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media guidance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201003331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media guidance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U201320295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edia Guidance Application Functionality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