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4935A - 시각화 기반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시각화 기반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4935A
KR20120124935A KR1020110042884A KR20110042884A KR20120124935A KR 20120124935 A KR20120124935 A KR 20120124935A KR 1020110042884 A KR1020110042884 A KR 1020110042884A KR 20110042884 A KR20110042884 A KR 20110042884A KR 20120124935 A KR20120124935 A KR 20120124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input
mass
pro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8006B1 (ko
Inventor
김주형
최혜미
최현정
김동범
박승진
이형일
현창택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토지주택공사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42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006B1/ko
Publication of KR20120124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화 기반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단위 시설물을 포함하는 메가 프로젝트를 위한 시각화 기반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으로서, 프로젝트 관리자가 상기 도시 계획의 사업 정의를 위한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의 처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각화 인터페이스 제공부 및 상기 시각화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입력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프로젝트 관리자의 요구 사항, 상기 도시 계획을 위한 법적 정보 및 이해관계인의 요구 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되는 정보는 대지 구획 정보 및 단위 시설물에 관한 매스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시각화 기반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Visualization-Based Management System for Urban Planning and Recording Media for the Same}
본 발명은 시각화 기반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시 재생과 같은 메가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단일 시설물을 신축하는 것과 같은 단일 프로젝트와 달리 도시 재생 또는 신도시 계획은 서로 다른 성격의 프로젝트들로 구성되어 있어 메가 프로젝트의 성격을 갖는다.
도시 재생과 같은 메가 프로젝트는 초기단계에서부터 지역정부, 개발자, 거주민 및 사용자 등의 다양한 관심사를 가진 이해관계인들의 참여가 요구되기 때문에 단일 프로젝트 비해 더 많은 리스크에 직면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전문지식이 부족한 이해관계인들의 참여가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어 최악의 경우에는 사소한 설계변경만 이루어져도 이에 대한 반발로 인해 사업이 무기한 연기되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메가 프로젝트를 위해서는 진행 상황에 따른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고, 이에 대한 의견을 수렴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시 계획 관리는 개발자 또는 지역 정부의 주도로 이루어지고, 폐쇄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항상 갈등을 내포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시 계획 관리가 단지 정해진 구역에 신축 건물을 짓는 것이 아니라, 여러 대안으로 계획을 수립하고, 지리 정보 및 개별 건물에 대한 상세 정보와 연관되어야 함에도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관리 방안이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메가 프로젝트의 프로그램 관리가 이루어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여기서 프로그램 관리는 개별적으로 관리하는 것에서 얻을 수 없는 이익을 얻기 위해 여러 프로젝트를 조직화된 방법으로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시 계획과 같은 메가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각화 기반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단위 시설물을 포함하는 메가 프로젝트를 위한 시각화 기반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으로서, 프로젝트 관리자가 상기 도시 계획의 사업 정의를 위한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의 처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각화 인터페이스 제공부 및 상기 시각화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입력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도시 계획을 위한 법적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되는 정보는 대지 구획 정보 및 단위 시설물에 관한 매스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관리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지리 정보 시스템 및 단위 시설물에 관한 프로젝트 정보 관리 시스템에 연결되며, 상기 시각화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지리 정보 시스템과 연동하여 대지 도면을 표시하며 상기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과 연동하여 단위 시설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시각화 인터페이스는 상기 도시 계획의 대상이 되는 대지에 관한 도면을 표시하며, 상기 입력 정보 처리부는, 상기 프로젝트 관리자가 입력하는 라인을 이용하여 상기 대지를 구역 또는 지구로 구획하는 대지 구획부; 및 상기 구획된 구역 또는 지구의 면적을 산출하는 면적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인은 상기 대지를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하기 위한 도로 라인 및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을 복수의 지구로 구획하기 위한 서브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정보 처리부는, 상기 프로젝트 관리자가 입력한 상기 매스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구획된 구역 또는 지구 상에 단위 시설물의 매스를 생성하는 매스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스 관련 정보는, 바닥 면적, 바닥 너비, 지상층수, 지하층수, 층별 면적, 층고 및 주용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용도가 공공 목적인 경우, 상기 매스 생성부는, 상기 프로젝트 관리지가 입력한 면적 및 너비에 따라 단층의 매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매스 생성부는 상기 프로젝트 관리자가 입력하는 용도 정보를 이용하여 단위 시설물별 및 층별 용도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입력된 대지 구획 정보 및 매스 생성 정보에 기초하여 사업비를 산출하는 사업비 산출부; 및 상기 입력된 대지 구획 정보 및 매스 생성 정보에 기초하여 사업 기간을 산출하는 사업 기간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시각화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대지 구획 정보 및 상기 매스 생성 정보를 이용하여 사업 정의를 위한 복수의 대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단위 시설물을 포함하는 메가 프로젝트를 위한 시각화 기반 도시 계획 관리를 위한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로서, (a) 도시 계획의 대상이 되는 대지에 관한 도면이 표시되는 시각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시각화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라인을 이용하여 상기 대지를 구역 또는 지구로 구획하는 단계; 및 (c) 상기 프로젝트 관리자가 입력한 상기 매스 관련 정보 및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에서 제공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구획된 구역 또는 지구 상에 단위 시설물의 매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각화 인터페이스 및 이를 통해 입력된 정보의 처리를 통해 메가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정보 처리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화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은 관리 서버(100) 및 데이터베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지리 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104),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PMIS, 106)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8)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유무선 인터넷, 이동 통신망, 방송망, 위성망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00)는 비정량적인 데이터(예를 들어, 법적 정보)의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관리 서버(10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한다. 관리 서버(100)는 주도적으로 도시 계획을 수립하는 프로젝트 관리자 외에 해당 계획에 이해관계를 갖는 다양한 이해관계인의 요구 사항을 사용자 단말(108)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해관계인은 사용자 단말(108)을 통해 웹 기반으로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도시 계획 정보를 열람하고, 이에 대한 의견을 입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102)는 상기한 요구 사항, 비정량적 데이터 외에, 지구별 정보, 단위 시설물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지구별 정보는 상업 지구, 주거지구, 공업지구, 녹지지구의 구분을 위한 정보 및 각 지구의 요구 조건(각 지구별 상한 용적률 및 높이와 같은 지구별 건축 제한 정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시설물 정보는 주거, 상업, 문화, 업무 등과 같은 건물의 사용 용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00)는 프로젝트 관리자에게 시각화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각화 기반 서비스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00)는 시각화 인터페이스 제공부(200), 입력 정보 처리부(202), 네트워크 통신부(204), 사업비 산출부(206) 및 사업기간 산출부(208)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각화 인터페이스 제공부(200)는 프로젝트 관리자가 도시 계획의 사업 정의를 위한 정보를 입력하고, 사업을 시각화하여 정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입력 정보 처리부(202)가 프로젝트 관리자가 입력한 정보를 처리한 결과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 계획 사업 정의를 위해, 관리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지리 정보 시스템(104)으로부터 도시 계획의 대상이 되는 대지에 관한 지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시각화 인터페이스 제공부(200)는 네트워크 통신부(204)를 통해 지리 정보 시스템(104)에서 수신된 지리 정보를 기반으로 도시 계획의 대상이 되는 대지 도면을(사업 부지) 표시한다.
프로젝트 관리자는 화면상에 출력되는 시각화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 정보 처리부(202)는 입력된 정보를 처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정보 처리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정보 처리부(202)는 대지 구획부(300), 면적 산출부(302) 및 매스(mass) 생성부 (30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시 계획을 위한 사업 부지는 구역 및 지구 등으로 계층화될 수 있으며, 프로젝트 관리자는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된 대지를 구획할 수 있다.
대지 구획부(300)는 프로젝트 관리자가 입력한 정보에 기초하여 대지를 구획한다.
예를 들어, 대지 구획부(300)는 프로젝트 관리자가 도로 라인을 입력하는 경우 도로 라인을 이용하여 대지를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하고, 하나의 구역에 대해 서브 라인이 입력되는 경우, 이를 이용하여 하나의 구역을 복수의 지구로 구획한다.
또한, 프로젝트 관리자는 구획된 구역 또는 지구에 대해 이의 용도(주거/상업/공업/녹지)를 지정할 수 있으며, 대지 구획부(300)는 관리자가 입력한 용도 정보를 저장한다.
면적 산출부(302)는 상기와 같이, 복수의 구역 또는 지구로 구획이 이루어지는 경우, 지리 정보에 기초하여 각 구역 및 지구의 면적을 산출한다.
대지 구획이 이루어진 후, 프로젝트 관리자는 개략적으로 건물의 매스를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트 관리자가 대지 상의 소정 위치를 선택하고 단위 시설물의 매스 생성을 위한 정보, 예를 들어, 바닥 면적, 너비, 층수와 같은 매스 관련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매스 생성부(304)는 관리자가 입력한 정보에 기초하여 단위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매스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위 시설물에 관한 상세 정보는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106)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시각화 인터페이스 제공부(200)는 관리자가 생성한 매스를 대신하여, 상기와 같이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106)으로부터 수신된 단위 시설물을 시각화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매스 생성부(304)는 프로젝트 관리자가 입력한 용도 지정에 따라 매스에 시설물 용도 및 층별 용도를 저장하며, 시각화 인터페이스 제공부(200)는 지정된 용도를 색상 등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대지 구획 및 매스 생성 등이 완료된 이후, 사업 비 산출부(206) 및 사업 기간 산출부(208)는 상기와 같이 입력된 대지 구획 정보 및 매스 생성 정보에 기초하여 사업비를 산출하는 사업비 및 사업기간을 산출한다. 그밖에 사업비 산출부(206) 및 사업 기간 산출부(208)는 추가적인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사업비 및 사업기간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업비 및 사업 기간 산출 관련 정보는 이전 유사 사례의 견적 이력 및 단위 비용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업비 산출부(206) 및 사업 기간 산출부(208)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사업비 예측 시스템 및 사업 기간 예측 시스템과 연동하여 사업비 및 사업 기간을 산출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화 인터페이스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시각화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각화 인터페이스는 모델링 영역(400) 및 정보 입출력 영역(402)을 포함할 수 있다.
모델링 영역(400)에는 도시 계획의 대상이 되는 대지 도면이 표시된다.
모델링 영역(400)에 표시되는 대지 도면은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된 데이터일 수 있다.
관리자는 모델링 영역(400)상에서 대지 구획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자가 도로 라인 입력을 위한 메뉴(404)를 선택하고, 대지 도면 상에 도로 라인(406)을 입력하는 경우, 도로 라인(406)에 따라 대지는 복수의 구역으로 자동으로 구획된다.
정보 입출력 영역(402)에는 도로 라인(406) 입력에 따라 분할된 복수의 구역이 표시되며, 면적 산출부(302)에서 산출된 면적이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대지 도면은 지리 정보를 함께 포함하고 있으므로 산출된 면적은 실측 면적일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각 구역을 다시 구획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복수의 구역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구역만 활성화될 수 있다.
구역 활성화 이후, 관리자가 서브 라인 입력을 위한 메뉴(500)를 선택하고, 서브 라인(502)을 입력하는 경우, 서브 라인(502)에 따라 구역이 복수의 지구로 분할되며, 정보 입출력 영역(402)에는 각 지구의 면적이 표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관리자는 각 지구의 용도를 지정할 수 있으며, 지정된 용도에 따라 각 지구는 서로 다른 색으로 구분 표시될 수 있다.
용도 지정은 시각화 인터페이스 상에 존재하는 소정의 메뉴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됨이 없이 마우스의 조작(마우스 우클릭 및 선택)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화 인터페이스를 통해 매스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관리자가 모델링 영역(400)에서 소정 지구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지구만 활성화된다.
지구 활성화 상태에서 관리자가 매스 생성 메뉴(700)를 선택하는 경우, 정보 입출력 영역(402)에는 단위 시설물의 매스 생성을 위한 정보 입력창이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창에는 바닥 면적, 바닥 너비, 지상층수, 지하층수, 층고, 주용도 등을 입력하기 위한 영역이 포함된다. 주용도는 주거, 상업, 문화, 업무, 공공으로 구분될 수 있다.
관리자가 입력한 정보에 따라 단위 시설물의 매스(700)가 생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관리자가 공공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단층의 매스가 생성되며, 관리자는 공공 목적 시설물의 세부 용도를 지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관리자가 공공 용도를 선택하는 경우, 바닥 면적, 바닥 너비, 지상층수, 지하층수, 층고의 입력 영역은 비활성화되며, 관리자가 직접 입력한 면적 및 너비에 따라 단층의 매스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는 모델링 영역(400)에 표시된 매스에 대해 각 층별 용도를 지정할 수도 있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 계획의 대상이 되는 대지가 복수의 구역 및 지구로 구획되고, 복수의 단위 시설물 매스를 포함하는 사업 정의 정보가 생성된다.
사업 정의 정보가 생성된 이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입출력 영역(402)에는 사업 기간 및 사업비 산출을 위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업비 추정 과정은 매개변수기반 용적모델과 사업비관리 모듈의 비용 데이터의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비용산정을 위하여 가정된 단위비용과 변수들이 이에 포함된다. 관리자는 사업비 관리 모듈 내에서 변수들을 조정할 수 있고 정보 입출력 영역(402)에서 조정된 변수에 따른 사업비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용 추정은 매개변수 모델링 개념으로 인해 강점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건물(매스)이나 공간(구역/지구)의 기하 모델 값이 변경될 때 비용 추정값이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순차적 과정을 통해 완성된 사업 정의 정보는 하나의 대안 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구역, 지구로의 분할 및 다른 속성을 갖는 매스를 생성하여 또 다른 대안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사업 정의 정보가 생성된 이후, 이해관계인은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사업 정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자신의 의견 등을 개진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복수의 단위 시설물을 포함하는 메가 프로젝트를 위한 시각화 기반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으로서,
    프로젝트 관리자가 상기 도시 계획의 사업 정의를 위한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의 처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각화 인터페이스 제공부 및 상기 시각화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입력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도시 계획을 위한 법적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되는 정보는 대지 구획 정보 및 단위 시설물에 관한 매스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지리 정보 시스템 및 단위 시설물에 관한 프로젝트 정보 관리 시스템에 연결되며,
    상기 시각화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지리 정보 시스템과 연동하여 대지 도면을 표시하며 상기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과 연동하여 단위 시설물 정보를 표시하는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 인터페이스는 상기 도시 계획의 대상이 되는 대지에 관한 도면을 표시하며,
    상기 입력 정보 처리부는,
    상기 프로젝트 관리자가 입력하는 라인을 이용하여 상기 대지를 구역 또는 지구로 구획하는 대지 구획부; 및
    상기 구획된 구역 또는 지구의 면적을 산출하는 면적 산출부를 포함하는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은 상기 대지를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하기 위한 도로 라인 및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을 복수의 지구로 구획하기 위한 서브 라인을 포함하는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 처리부는,
    상기 프로젝트 관리자가 입력한 상기 매스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구획된 구역 또는 지구 상에 단위 시설물의 매스를 생성하는 매스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스 관련 정보는,
    바닥 면적, 바닥 너비, 지상층수, 지하층수, 층별 면적, 층고 및 주용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용도가 공공 목적인 경우, 상기 매스 생성부는, 상기 프로젝트 관리지가 입력한 면적 및 너비에 따라 단층의 매스를 생성하는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스 생성부는 상기 프로젝트 관리자가 입력하는 용도 정보를 이용하여 단위 시설물별 및 층별 용도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입력된 대지 구획 정보 및 매스 생성 정보에 기초하여 사업비를 산출하는 사업비 산출부; 및
    상기 입력된 대지 구획 정보 및 매스 생성 정보에 기초하여 사업 기간을 산출하는 사업 기간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시각화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대지 구획 정보 및 상기 매스 생성 정보를 이용하여 사업 정의를 위한 복수의 대안 정보를 생성하는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
  11. 복수의 단위 시설물을 포함하는 메가 프로젝트를 위한 시각화 기반 도시 계획 관리를 위한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로서,
    (a) 도시 계획의 대상이 되는 대지에 관한 도면이 표시되는 시각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시각화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라인을 이용하여 상기 대지를 구역 또는 지구로 구획하는 단계; 및
    (c) 상기 프로젝트 관리자가 입력한 상기 매스 관련 정보 및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에서 제공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구획된 구역 또는 지구 상에 단위 시설물의 매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네트워크를 통해 지리 정보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대지에 관한 도면을 표시하는 기록매체.
KR1020110042884A 2011-05-06 2011-05-06 시각화 기반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258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884A KR101258006B1 (ko) 2011-05-06 2011-05-06 시각화 기반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884A KR101258006B1 (ko) 2011-05-06 2011-05-06 시각화 기반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935A true KR20120124935A (ko) 2012-11-14
KR101258006B1 KR101258006B1 (ko) 2013-04-24

Family

ID=47510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884A KR101258006B1 (ko) 2011-05-06 2011-05-06 시각화 기반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00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481B1 (ko) * 2013-04-25 2014-02-2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심재생사업의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별 포털 생성 관리 시스템
KR101399351B1 (ko) * 2014-01-13 2014-05-27 (주)한성개발공사 시각화 기반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의 운용 기록매체 적용 시스템
CN109214669A (zh) * 2018-08-24 2019-01-15 佛山市城市规划设计研究院 一种城市公园绿地监测系统
CN109285449A (zh) * 2018-11-28 2019-01-29 上海风语筑展示股份有限公司 人工智能城市规划平台
CN116881997A (zh) * 2023-09-08 2023-10-13 中关村科学城城市大脑股份有限公司 城市规划界面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519B1 (ko) 2013-05-02 2013-11-1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심재생 종합 사업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820B1 (ko) * 2007-10-23 2008-07-28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3차원 매스를 이용한 건축 기준 표현 시스템 및 방법
JP4854090B2 (ja) * 2007-12-03 2012-01-11 株式会社ジオ技術研究所 仮想3次元地図生成システム
KR20090072385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두올테크 건설 프로젝트 통합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481B1 (ko) * 2013-04-25 2014-02-2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심재생사업의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별 포털 생성 관리 시스템
KR101399351B1 (ko) * 2014-01-13 2014-05-27 (주)한성개발공사 시각화 기반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의 운용 기록매체 적용 시스템
CN109214669A (zh) * 2018-08-24 2019-01-15 佛山市城市规划设计研究院 一种城市公园绿地监测系统
CN109214669B (zh) * 2018-08-24 2024-03-29 佛山市城市规划设计研究院 一种城市公园绿地监测系统
CN109285449A (zh) * 2018-11-28 2019-01-29 上海风语筑展示股份有限公司 人工智能城市规划平台
CN116881997A (zh) * 2023-09-08 2023-10-13 中关村科学城城市大脑股份有限公司 城市规划界面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CN116881997B (zh) * 2023-09-08 2023-12-08 中关村科学城城市大脑股份有限公司 城市规划界面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8006B1 (ko)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n Oosterom Research and development in 3D cadastres
Trubka et al. A web-based 3D visualisation and assessment system for urban precinct scenario modelling
KR101258006B1 (ko) 시각화 기반 도시 계획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Law et al. Advancement of three-dimensional noise mapping in Hong Kong
Wang et al. GIS-based framework for supporting land use planning in urban renewal: Case study in Hong Kong
Bansal Use of GIS to consider spatial aspects in construction planning process
CN101562823A (zh) 矢量地图切割方法、呈现方法、装置及无线网络地理系统
CN107423998B (zh) 一种基于SaaS平台的可视化销售数据管理方法及系统
Bansal Integrated framework of BIM and GIS applications to support building lifecycle: A move toward nD modeling
CN114037097A (zh) 一种基于bim模型的设备运维管理方法
KR20200064359A (ko) 부동산 개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CN114548811B (zh) 一种机场可达性的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Pissourios Survey methodologies of urban land uses: An oddment of the past, or a gap in contemporary planning theory?
CN115293570A (zh) 一种基于gis国土空间规划系统及方法
Altieri et al. Measuring heterogeneity in urban expansion via spatial entropy
Rahman et al.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NSDI) of Bangladesh–development, progress and way forward
CN113837541A (zh) 一种otn下沉政企专网接入方法、系统、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Glackin et al. A software-aided workflow for precinct-scale residential redevelopment
Shariatpour et al. Urban 3D Modeling as a Precursor of City Information Modeling and Digital Twin for Smart City Era: A Case Study of the Narmak Neighborhood of Tehran City, Iran
KR20160025698A (ko) 지역 특성을 반영한 지역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N116880840A (zh) 业务界面生成方法、业务界面生成装置、电子设备、介质
KR101362126B1 (ko) 단위공간 개념을 도입한 3차원 공간 그래픽 기반의 공사비 및 공사기간 예측 시스템
Shahumyan et al. Urban development scenarios and probability mapping for Greater Dublin Region: The MOLAND model applications
KR101640444B1 (ko) 지리정보시스템 기반 합필지원도구 시스템
CN114090147A (zh) 一种基于地理信息平台的数据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