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3847A - 접근 기반 보행자 안내시스템 - Google Patents

접근 기반 보행자 안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3847A
KR20120123847A KR1020110041433A KR20110041433A KR20120123847A KR 20120123847 A KR20120123847 A KR 20120123847A KR 1020110041433 A KR1020110041433 A KR 1020110041433A KR 20110041433 A KR20110041433 A KR 20110041433A KR 20120123847 A KR20120123847 A KR 20120123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voice
mobile device
information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진
이석원
Original Assignee
홍성진
이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진, 이석원 filed Critical 홍성진
Priority to KR1020110041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3847A/ko
Publication of KR20120123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8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4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e.g. through the touch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Neur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접근 기반 보행자 안내시스템을 개시한다. 시스템은 어느 한 장소에 설치된 안내고정장치와 보행자가 휴대하는 안내이동장치를 포함한다. 안내이동장치는 보행자가 휴대하고, 아이들 상태에서 불루투스 기반 스캔신호가 수신되면 디바이스 및 서비스 분류정보가 포함된 불루투스 기반 응답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응답신호에 대응하여 수신된 음성 또는 문자 안내정보를 음성 출력하거나 문자 표시하는 불루투스 기반 휴대장치이다. 안내고정장치는 어느 한 장소에 설치되고, 설치된 장소를 중심으로 일정 범위 내에 일정 주기로 스캔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스캔범위 내로 접근된 상기 불루투스 기반 안내이동장치로부터 대응하는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응답신호에 포함된 디바이스 분류를 확인하고 서비스 분류에 응답하여 음성 또는 문자 안내정보를 송출하는 불루투스 기반 액세스 포인터이다. 따라서 보행자가 휴대한 안내이동장치의 이어폰이나 스피커를 통하여 작은 볼륨레벨로 안내음성이 출력되므로 다른 정상 보행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접근 기반 보행자 안내시스템 {System for Pedestrian Guidance based on Proximity}
본 발명은 접근 기반 보행자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 장애 보행자들의 접근에 응답하여 서비스 분류에 따라 음성 또는 문자 안내를 선택적으로 가이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횡단보도나 지하철 등에서 시각 장애 보행자들을 위하여 신호안내나 길안내를 음성으로 알려주는 장치들이 소개되고 있다.
종래의 통상적인 장치로는 시각 장애 보행자의 무선 리모콘 조작에 응답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안내가 발생되었다. 스피커를 통해 발생된 음성안내방송은 주변의 소음 등을 고려하여 시각장애 보행자가 충분히 들을 수 있도록 볼륨이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된다.
이 방식은 시각장애 보행자가 음성 안내장치 까지 거리감이 없기 때문에 수시로 무선 리모콘을 누르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자주 스피커를 통한 음성안내방송이 되므로 다른 정상적인 보행자들에게 심적 부담감을 줄뿐만 아니라 수시 조작에 의해 리모콘 배터리가 빨리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제2004-66629호에서는 본체의 수신반경내로 휴대장치가 접근하면 1차로 음성안내영역 안으로 들어 왔다는 신호음을 발생시키고 이에 시각장애 보행자가 휴대장치의 버튼을 눌러 음성안내를 요구할 경우에만 음성안내가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공개특허에서는 기존 방식에 비하여 스피커를 통해 발생되는 음성안내방송 횟수를 줄일 수는 있으나 여전히 주변의 정상 보행자들에게는 음성안내방송이 소음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여전히 서비스 반경 내에서는 버튼을 조작하여 음성 안내를 요청하는 방식이므로 버튼 고장 장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자주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장치들은 주로 시각 장애자들을 중심으로 음성안내만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청각 장애자들에게는 음성 안내를 듣지 못하기 때문에 일부 장애자들에게만 안내 서비스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행자가 휴대하는 안내이동장치에서 음성 또는 문자안내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안내방송의 소음시비를 줄 일 수 있는 접근 기반 보행자 안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각 장애자에게는 음성안내를 하고 청각 장애자에게는 문자안내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안내 서비스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는 접근 기반 보행자 안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접근 기반 보행자 안내시스템을 개시한다. 시스템은 어느 한 장소에 설치된 안내고정장치와 보행자가 휴대하는 안내이동장치를 포함한다.
안내이동장치는 보행자가 휴대하고, 아이들 상태에서 불루투스 기반 스캔신호가 수신되면 디바이스 및 서비스 분류정보가 포함된 불루투스 기반 응답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응답신호에 대응하여 수신된 음성 또는 문자 안내정보를 음성 출력하거나 문자 표시하는 불루투스 기반 휴대장치이다. 안내고정장치는 어느 한 장소에 설치되고, 설치된 장소를 중심으로 일정 범위 내에 일정 주기로 스캔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스캔범위 내로 접근된 상기 불루투스 기반 안내이동장치로부터 대응하는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응답신호에 포함된 디바이스 분류를 확인하고 서비스 분류에 응답하여 음성 또는 문자 안내정보를 송출하는 불루투스 기반 액세스 포인터이다. 따라서 보행자가 휴대한 안내이동장치의 이어폰이나 스피커를 통하여 작은 볼륨레벨로 안내음성이 출력되므로 다른 정상 보행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안내이동장치는 송수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한 안내고정장치와 근거리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부와,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안내정보를 음성 또는 문자로 출력하기 위한 안내정보 출력부와, 디바이스 분류 및 서비스 분류를 세팅하기 위한 세팅부와, 아이들 상태에서 안내고정장치의 스캔신호가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지를 감시하고, 스캔신호가 수신되면, 세팅부의 디바이스 분류 및 서비스 분류로 세팅된 디바이스 정보를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안내고정장치에 제공하고, 서비스 분류에 응답하여 안내고정장치로부터 전송된 안내정보를 출력부를 통해 안내음성을 출력하거나 안내문자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출력부는 보행자가 혼자 들을 수 있는 이어폰연결단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내이동장치는 불루투스 통신모듈로 상기 무선 송수신부는 구성한 MP3 플레이어 또는 PMP와 같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불루투스 무선 헤드셋 또는 스마트 폰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스마트 폰으로 구성할 경우 "앱"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내이동장치는 안내정보의 재송신을 요청하기 위한 명령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이동 제어부는 명령 입력부의 재송신 요청 입력이 있을 경우에는 재송신 요청 명령입력에 응답하여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안내고정장치로 재송신 요청신호를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정안내장치는 송수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한 안내이동장치와 근거리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부와, 음성 및 문자 데이터로 각각 구성된 안내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일정 범위 내에 일정 주기로 스캔신호를 송출하고,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송수신 가능범위 내로 접근한 안내이동장치의 응답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감시하고,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응답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분류정보에 응답하여 음성 또는 문자 데이터 중 대응하는 안내정보를 독출하여 안내이동장치로 송출하는 고정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장치는 보행자가 휴대하는 안내 이동장치의 이어폰이나 외장 스피커를 통해 안내음성이 출력되므로 주변 정상 보행자들에게 안내방송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 하여 조용한 음성안내가 가능하다. 또한 서비스 분류에 따라 음성안내 또는 문자 안내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시각 장애자뿐만 아니라 청각 장애자에게도 문자표시로 안내서비스를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접근 감지에 의해 자동으로 안내되므로 보행자가 불필요하게 버튼조작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상 매우 편리하고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행자 접근 기반 안내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안내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안내이동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블록도.
도 4는 일반적인 불루투스 통신 규격인 패킷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24비트 디바이스/서비스 분류 필드의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분류 필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스 분류필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2의 고정 제어부에서 실행하는 접근기반 보행자 안내 고정 프로그램의 흐름도.
도 9는 도 3의 이동 제어부에서 실행하는 접근기반 보행자 안내 이동 프로그램의 흐름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행자 접근 기반 안내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행자 접근 기반 안내장치(10)는 어느 한 장소, 예컨대 도로의 횡단보도, 지하철역 분기점 등에 설치된 안내고정장치(100)와 보행자가 휴대하는 안내이동장치(200)를 포함한다. 안내 고정장치(100)는 설치된 장소를 중심으로 일정 범위, 즉 스캔범위(102) 내에 일정 주기로 스캔신호를 송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안내고정장치(100)는 무선송수신부(110), 고정제어부(120), 저장부(130), 배터리(140), 전원부(1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를 포함한다.
무선송수신부(110)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 무선송수신 칩 등을 포함하고 근거리 예컨대 10m 스캔범위를 가진 불루투스 통신방식으로 스캔범위, 즉 송수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한 이동장치(200)와 교신을 수행한다.
고정 제어부(120)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접근기반 보행자 안내 고정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고정 제어부(120)는 설치 장소에 따라 교통신호기, 센서 등과 교신하고 교신된 내용에 대응하는 안내정보를 제어한다.
저장부(130)는 ROM, RAM, EEPROM, flash MEMORY, 또는 HDD 등의 저장매체로 구성되고 음성데이터 형식 또는 문자데이터 형식의 안내정보를 각각 저장한다.
배터리(140) 및 전원부(150)는 고정장치(100)의 각부에 필요한 동작전원을 공급하며, 통상시에는 전원부(150)에서 상용교류를 입력받아 배터리(140)를 충전시키고 상용교류의 공급이 차단되면 배터리(140)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각부의 동작전압을 공급한다.
인터페이스(160)는 키입력부와 액정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관리자의 키조작에 응답하여 입력상태나 동작상태를 표시하고 고정 제어부(120)에 명령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입출력신호를 위한 I/O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센서나 교통신호기로부터 발생된 감지신호나 교통신호를 입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안내이동장치(200)는 MP3 플레이어 또는 휴대폰 타입으로 휴대하기 편리한 케이스 내에 무선송수신부(210), 이동제어부(220), 저장부(230), 전원부(240), 배터리(250), 출력부(260), 키입력부(270), 디스플레이부(280)를 포함한다.
무선송수신부(210)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 무선송수신 칩 등을 포함하고 근거리 예컨대 10m 스캔범위를 가진 불루투스 통신방식으로 스캔범위, 즉 송수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한 안내고정장치(200)와 교신을 위하여 초기에는 질의 스캔모드로 작동한다. 무선송수신부(210)는 딥스위치나 플래쉬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 디바이스 프로그램부(212)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프로그램부(212)는 안내이동장치의 디바이스 분류 및 서비스 분류를 세팅한다.
이동제어부(220)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접근기반 보행자 안내 이동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이동제어부(220)는 안내고정장치(100)의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접근기반 보행자 안내 이동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저장부(130)는 ROM, RAM, EEPROM, flash MEMORY 등의 저장매체로 구성되고 보행자와 교신한 고정안내장치 별로 안내정보를 저장하고 음악, 사진, 동영상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한다.
배터리(250) 및 전원부(240)는 이동장치(100)의 각부에 필요한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250)는 일반 건전지나 충방전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260)는 음성 코덱 및 액정 드라이브를 포함하고 음성안내정보는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이어폰(262)이나 외장 스피커(264)로 출력하고 문자안내정보인 경우에는 액정 표시부(280)에 문자를 표시 제어한다. 또한 출력부(260)는 청각 장애자 모드일 경우에는 진동모터(282)를 포함하고 문자 메시지 표시와 동시에 진동모터(282)를 구동하여 진동으로 문자 표시상태를 알려준다.
키입력부(280)는 전원키와 재전송키를 포함하고 키신호를 이동제어부(220)에 제공한다. 스마트 폰인 경우에는 보행안내모드를 수행하여 관련된 키입력을 터치패드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안내이동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MP3플레이와 같은 휴대 단말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불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폰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스마트 폰으로 구성할 경우 본 발명의 접근기반 보행자 안내 이동 프로그램은 "APP" 형태로 모바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운로딩되어 세팅될 수도 있다.
도 4는 일반적인 불루투스 통신 규격인 패킷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패킷은 액세스 코드(Access Code), 헤더(Header), 페이로드(Payload)로 구성된다. 68비트의 액세스 코드는 다시 4비트의 프리앰블과 64비트의 싱크워드로 구분되며, 64비트 싱크워드는 34비트 BCD 패리티 워드, 24비트 로우 어드레스 파트(LAP), 6비트 Barker Sequence로 구분된다. 안내고정장치(100)에서는 스캔 범위 내의 불루투스 기기와 최초 교신시 질의 스캔동작에 의해 액세스 코드 내의 24비트 로우 어드레스 파트를 분석하여 페어링 여부를 결정한다.
도 5는 24비트 디바이스/서비스 분류(CoD) 필드의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위 비트로부터 11비트는 서비스 분류를 표기하고 다음의 5비트는 주디바이스 분류를 표시하고 다음의 7비트는 부디바이스 분류를 표시하며 나머지 2비트는 '00'로 표시된다.
상위 11비트의 각 서비스 분류 내용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 분류 중 Information Class의 Sub-Class로 시각장애자 서브분류의 필드값 "1001 0000 000"과 청각장애자 서브분류의 필드값 "1010 0000 000"로 세팅한다.
또한 디바이스 분류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디바이스 분류는 주 디바이스 분류 Information의 필드값으로 "00111"로 세팅하고 부디바이스 분류 navigation_guide의 필드값으로 "0000 01"로 세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용 안내이동장치(200)에서는 디바이스 프로그램부(212)를 통하여 상기 필드값으로 세팅 또는 프로그램 된다. 이에 안내고정장치(100)에서는 질의 스캔모드에서 응답신호 내에 포함된 서비스 분류 및 디바이스 분류 값을 분석하여 해당 필드값을 가진 디바이스와 페어링 및 채널 커넥션을 하여 안내정보를 서비스 하게 된다.
도 8은 고정 제어부에서 실행하는 접근기반 보행자 안내 고정 프로그램의 흐름도를 나타내고 도 9는 이동 제어부에서 실행하는 접근기반 보행자 안내 이동 프로그램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안내고정장치(100)는 무선 송수신부(110)를 통해 대략 반경 10m 이내의 송출파워를 가진 스캔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한다.
불루투스 통신방식에서는 장치간 통신을 할 때 상대의 불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BD_ADDR)을 알아야 하지만 처음 통신을 시작할 때는 알 수 없으므로, BD_ADDR을 알기 위해 초기에는 질의 메시지를 스캔신호로 송출한다(S102). 고정제어부(120)에서는 질의 메시지에 응답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응답신호에 포함된 질의 액세스 코드값(IAC)에 포함된 디바이스 분류코드와 서비스 분류코드를 분리한다. 분리 판독된 서비스 분류코드에 응답하여 현재 교신된 불루투스 디바이스에서 세팅된 안내 서비스 형식이 시각장애자의 음성 서비스 형식인지 청각장애자의 문자서비스 형식인지를 판단한다(S106).
S106단계에서 시각 장애자의 음성 서비스 형식이면 저장부(130)에서 음성안내데이터를 독출하고(S108) 청각 장애자의 문자 서비스 형식이면 저장부(130)에서 문자안내데이터를 독출한다(S110).
고정제어부(120)에서는 무선 송수신부(110)를 통하여 커넥션된 이동안내장치에 독출된 안내정보를 송출한다(S112). 이동안내장치로부터 재전송 요청이 있는지를 체크하고(S114) 재송출요청이 존재하면 안내정보를 재송출하고(S116) 교신을 종료하고 대기모드로 리턴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안내이동장치(200)는 디바이스 프로그램부(212)에 의해 시각 장애자 서비스 장치인지 아니면 청각 장애자 서비스 장치를 구분하기 위하여 서비스 분류 및 디바이스 분류 필드값을 "1001 0000 0000 0111 0000 0100" 또는 "1010 0000 0000 0111 0000 0100"으로 프로램된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가 세팅된 상태에서 이동 제어부(220)는 대기상태에서 질의 스캔모드를 수행한다(S202).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안내장치(100)의 스캔범위 내로 이동안내장치를 휴대한 보행자가 진입하게 되면 질의신호에 응답하여(S204) 무선송수신부(210)를 통하여 응답신호를 송출한다(S206). 응답신호 내에는 세팅된 서비스 분류 및 디바이스 분류 필드값이 포함된다. 이어서 고정안내장치(100)과 통상의 페어링 및 커넥션 동작이 이루어지고 안내정보를 제공받게 된다(S208). 수신된 안내정보가 음성안내정보인 경우(S212)에는 출력부(260)를 통해 이어폰(262)이나 스피커(264)를 통해 안내음성을 출력한다(S210). S212단계에서 문자안내정보인 경우에는 출력부(260)를 통해 액정표시부(280)에 안내문자를 표시하고 동시에 진동모터(282)를 작동시켜서 진동을 발생하여 보행자에게 문자가 표시되었음을 알린다(S214). 키입력부(270)를 통하여 재전송 요청버튼이 조작되었는지를 체크하고(S216) 재전송 명령이 입력되었으면 S208 단계로 복귀하여 재전송 안내를 받으며 아니면 대기모드로 리턴한다(S216).

Claims (7)

  1. 송수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한 안내고정장치와 근거리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부;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안내정보를 음성 또는 문자로 출력하기 위한 안내정보 출력부;
    디바이스 분류 및 서비스 분류를 세팅하기 위한 세팅부; 및
    아이들 상태에서 상기 안내고정장치의 스캔신호가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지를 감시하고, 상기 스캔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세팅부의 디바이스 분류 및 서비스 분류로 세팅된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안내고정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분류에 응답하여 상기 안내고정장치로부터 전송된 안내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안내음성을 출력하거나 안내문자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 기반 보행자 안내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보행자가 혼자 들을 수 있는 이어폰연결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 기반 보행자 안내이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이동장치는 불루투스 통신모듈로 상기 무선 송수신부는 구성한 MP3 플레이어 또는 PMP와 같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불루투스 무선 헤드셋 또는 스마트 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기반 보행자 안내이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이동장치는 안내정보의 재송신을 요청하기 위한 명령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제어부는 상기 명령 입력부의 재송신 요청 입력이 있을 경우에는 재송신 요청 명령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안내고정장치로 재송신 요청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 기반 보행자 안내이동장치.
  5. 송수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한 안내이동장치와 근거리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부;
    음성 및 문자 데이터로 각각 구성된 안내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일정 범위 내에 일정 주기로 스캔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송수신 가능범위 내로 접근한 안내이동장치의 응답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감시하고, 상기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응답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분류정보에 응답하여 음성 또는 문자 데이터 중 대응하는 안내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안내이동장치로 송출하는 고정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 기반 보행자 안내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고정장치는 불루투스 통신모듈로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구성한 불루투스 액세스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 기반 보행자 안내 이동장치.
  7. 보행자가 휴대하고, 아이들 상태에서 불루투스 기반 스캔신호가 수신되면 디바이스 및 서비스 분류정보가 포함된 불루투스 기반 응답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응답신호에 대응하여 수신된 음성 또는 문자 안내정보를 음성 출력하거나 문자 표시하는 불루투스 기반 안내이동장치; 및
    어느 한 장소에 설치되고, 설치된 장소를 중심으로 일정 범위 내에 일정 주기로 스캔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스캔범위 내로 접근된 상기 불루투스 기반 안내이동장치로부터 대응하는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응답신호에 포함된 디바이스 분류를 확인하고 서비스 분류에 응답하여 음성 또는 문자 안내정보를 송출하는 불루투스 기반 안내고정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 기반 보행자 안내시스템.
KR1020110041433A 2011-05-02 2011-05-02 접근 기반 보행자 안내시스템 KR20120123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433A KR20120123847A (ko) 2011-05-02 2011-05-02 접근 기반 보행자 안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433A KR20120123847A (ko) 2011-05-02 2011-05-02 접근 기반 보행자 안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847A true KR20120123847A (ko) 2012-11-12

Family

ID=47509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433A KR20120123847A (ko) 2011-05-02 2011-05-02 접근 기반 보행자 안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38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52271A (zh) * 2016-10-27 2017-05-10 帛方纺织有限公司 一种设备维修呼叫系统及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52271A (zh) * 2016-10-27 2017-05-10 帛方纺织有限公司 一种设备维修呼叫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3215B2 (ja) 近距離無線通信装置
KR100956332B1 (ko) 환경 정보 수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방법
US201101021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pairing and enabling the reciprocal locating of keys and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KR101450536B1 (ko)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블루투스통신 방법
JP2007028158A (ja) 携帯通信端末
KR20120020805A (ko) 개인화 통신단말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활용한 신용카드 위치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23847A (ko) 접근 기반 보행자 안내시스템
KR20070035626A (ko) 시각 장애인용 위치안내장치 및 그 방법
KR101655823B1 (ko) 차량 내 이동 단말기 사용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956027B1 (ko) 메시지 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 방법
KR101076500B1 (ko)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및 방법
KR101014606B1 (ko) 무전기용 무선 송수신 장치 그리고 이의 송수신 방법
JP2009206711A (ja) 通信端末
CN103414498A (zh) 蓝牙信息录入设备、录入系统及录入方法
KR20100134392A (ko) 음성 유도 시스템
KR101874451B1 (ko) 저대역폭 무선 통신에 기반하는 음성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737806B1 (ko) 스마트 페이저
KR10067805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기능 수행 장치 및 방법
KR20080067256A (ko) 블루투스의 자동 페어링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0594053B1 (ko)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을 운용하는 휴대폰에서 무선 이어폰의 통화권 이탈시 경고음 발생방법
JP2005142940A (ja) 携帯電話電源オフ装置
US2008006442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message transformation function
KR102477206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200368095Y1 (ko) 지하철 역명 수신 기능이 포함된 휴대용 기기.
KR20070006958A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통화전환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