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2952A -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2952A
KR20120122952A KR1020120044418A KR20120044418A KR20120122952A KR 20120122952 A KR20120122952 A KR 20120122952A KR 1020120044418 A KR1020120044418 A KR 1020120044418A KR 20120044418 A KR20120044418 A KR 20120044418A KR 20120122952 A KR20120122952 A KR 20120122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nstruction
range
display control
he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6071B1 (ko
Inventor
에미 히토스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2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G09G5/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3Help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501Tailoring a user interface [UI] to specific requirements
    • H04N1/00506Customising to the data to be display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오브젝트의 직전의 표시동작이 종료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 소정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표시 시작 지시를 접수하는 경우, 그 표시동작의 종료시에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었던 표시 범위에 근거한 범위를 초기 표시 범위로서 결정한다. 상기 경과 시간이 소정시간이상이 되고 나서 상기 표시 시작 지시를 접수하는 경우에는, 표시동작의 종료시에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었던 표시 범위에 상관없이 미리 정해진 기준에 의거해 정해진 표시 범위를 초기 표시 범위로서 결정한다.

Description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오브젝트의 표시 범위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전화 등의 휴대 전자기기의 일부는, 유저가 취급 설명서를 휴대하지 않고 있는 경우이어도 그 기기내에 구비하고 있는 기능의 사용 방법을 알 수 있게, 그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데 사용된 데이터를 구비하고, 헬프(help) 화면으로서 그 데이터를 제시할 수 있다. 최근에는, 기능의 복잡화, 표시 문자의 확대 기능 등에 의해, 기기가 구비하는 표시장치의 표시 범위내에 헬프 화면의 내용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표시 범위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헬프 화면의 내용을 열람하기 위해서는, 유저는 헬프 화면의 스크롤 조작이나 페이지 전송(feeding) 조작을 함으로써, 해당 헬프 화면의 표시 범위를 변경해야 한다.
그렇지만, 헬프 화면의 내용이 표시 범위에 들어가지 않을 수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헬프 화면에서 조작방법을 열람하면서, 실제로 유저가 기기를 조작하는 경우, 유저가 헬프 화면의 표시조작을 일시적으로 종료할 때마다, 스크롤 조작이나 페이지 전송 조작이 행해진 후도 헬프 화면의 초기 표시 화면이 표시되어, 유저는 다시 그 조작을 행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65580호에는, 열람하고 있었던 전자 데이터의 표시 위치의 정보를 북마크 데이터로서 격납하여서, 다시 열람을 행할 때에, 이전에 표시되어 있었던 표시 범위와 동일한 범위를 표시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65580호의 기술에서는, 전자 데이터와 관련지어 북마크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전에 표시되어 있었던 표시 범위와 동일한 범위가 표시되므로, 유저가 소망하는 범위를 열람하기 위해서는 조작해야 한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은 헬프 화면의 열람에 대해서는, 상황(유저가 반복해서 동일한 기능에 관한 헬프를 열람하기를 원하는 경우, 선택 항목에 따라 헬프 화면의 표시 위치가 바뀌는 경우 등)에 따라 바람직한 표시 범위가 다른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65580호의 기술은, 이러한 상황에 따라 표시 범위를 종종 바꿀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오브젝트를 재표시할 때에, 해당 오브젝트의 표시 범위를 상황에 따라 적합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국면에서는, 표시 영역에 오브젝트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장치로서, 상기 오브젝트의 표시 시작의 지시를 접수하는 지시 수단; 상기 지시 수단이 접수한 상기 지시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의 전체 범위가 아닌 일부의 범위를 표시 범위로서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 상기 오브젝트의 표시 동작 시작 후에 상기 오브젝트의 표시 범위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 및 상기 오브젝트의 최후의 표시동작을 종료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 소정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지시 수단이 상기 지시를 접수하는 경우에는, 상기 최후의 표시동작을 종료했을 때에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었던 종료시의 표시 범위에 근거한 범위를 상기 표시 범위로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이 표시동작을 시작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소정시간이상이 되고 나서 상기 지시 수단이 상기 지시를 접수하는 경우에는, 상기 종료시의 표시 범위에 근거하지 않는 범위를 상기 표시 범위로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이 표시동작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표시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국면에서는, 표시 영역에 오브젝트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오브젝트의 표시 시작의 지시를 접수하는 지시 단계; 상기 지시 단계에서 접수한 상기 지시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의 전체 범위가 아닌 일부의 범위를 표시 범위로서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 단계; 상기 오브젝트의 표시동작 시작 후에 상기 오브젝트의 표시 범위를 변경하는 변경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의 최후의 표시동작을 종료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 소정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지시 단계에서 상기 지시를 접수하는 경우에는, 상기 최후의 표시동작을 종료했을 때에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었던 종료시의 표시 범위에 근거한 범위를 상기 표시 범위로서 상기 표시 제어 단계에서 표시동작을 시작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소정시간이상이 되고 나서 상기 지시 단계에서 상기 지시를 접수하는 경우에는, 상기 종료시의 표시 범위에 근거하지 않는 범위를 상기 표시 범위로서 상기 표시 제어 단계에서 표시동작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한,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면의 외관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헬프 표시 처리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설정 화면의 표시 예시도,
도 5a, 5b 및 5c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헬프 화면의 표시 예시도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일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들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표시 제어장치의 일례로서, 표시 대상의 오브젝트 중 표시장치에 표시시키는 범위를 제어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예를 든다. 그러나, 본 발명은, 표시 대상의 오브젝트 중 표시장치에 표시시키는 범위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기기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에 있어서, "표시 범위"란,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에, 표시 대상의 오브젝트의 일부의 범위 혹은 영역을 나타낸다.
(디지털 카메라(100)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제어부(101)는, 예를 들면 CPU이며, 디지털 카메라(100)가 구비하는 각 블록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1)는, 예를 들면 ROM(1O2)에 기억된 헬프 표시 제어 처리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RAM(1O3)에 그 판독된 프로그램을 전개해서 실행하여서, 각 블록의 동작을 제어한다.
ROM(1O2)은, 이를테면 EEPROM등의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이며, 헬프 표시 제어 처리의 프로그램과 아울러 디지털 카메라(100)가 구비하는 각 블록의 동작에 필요한 파라미터, 디지털 카메라(100)의 촬영 설정 등이 기억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ROM(1O2)에는, (후술하는) 표시부(107)에 표시되는 각종 GUI데이터 및 헬프 화면에 표시되는 헬프 문서 데이터가 기억된다.
RAM(1O3)은, 휘발성 메모리이며, 헬프 표시 제어 처리의 프로그램의 전개 영역으로서 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100)가 구비하는 각 블록의 동작시에 출력된 중간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격납하기 위한 영역으로서도 사용된다.
이때, 아래의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로서 디지털 카메라(100)에 구비된 각 블록에서의 처리가 실현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 블록의 처리는 해당 각 블록과 같은 처리를 행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촬상부(105)는, 예를 들면, CCD나 CMOS센서 등의 촬상소자(image sensor)이며, 광학계(104)에 의해 결상된 광학상을 광전변환 함에 의해, 아날로그 화상신호를 출력한다. 촬상부(105)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화상신호는, (후술하는) 화상처리부(106) 혹은 표시부(107)에 출력된다. 이때, 촬상부(105)에 의해 촬영된 아날로그 화상신호를, 표시부(107)에 순차로 출력해서 표시(스루(through) 표시)시킴으로써, 표시부(107)를 전자 뷰파인더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화상처리부(106)는, 촬상부(105)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화상신호, 혹은 (후술하는) 기록 매체(111)로부터 판독되어서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화상처리를 적용하는 블록이다. 화상처리부(106)에 있어서 적용되는 화상처리는, 예를 들면 A/D변환 처리, D/A변환 처리, 부호화 처리, 복호처리, 리사이즈(resize) 처리, 노이즈 저감 처리, 색 변환처리 등을 포함한다.
표시부(107)는, 예를 들면 소형 LCD등의 표시장치이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관련된 아날로그 신호, ROM(1O2)에 기억된 GUI데이터 혹은 헬프 문서 데이터 등을 표시한다.
시스템 타이머(108)는, 디지털 카메라(100)에 구비된 내장 타이머이고, 처리에 관련된 시간의 계측, 현재 시각의 유지 등에 사용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해당 시스템 타이머(108)를 사용하여, 헬프 화면의 표시화면이 종료하고 나서 다시 표시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한다.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듯이, 시간 계측 기능을 갖는 또 다른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사용해도 된다.
기록 매체I/F(11O)는, 접속된 기록 매체(111)에 대한 데이터의 판독/기록 액세스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이며, 제어부(101)의 지시를 받아서 작동한다. 또, 기록 매체(111)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등의 디지털 카메라(100)에 내장되는 기록 영역이나, 메모리 카드나 HDD등의 디지털 카메라(100)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기록 장치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촬영 지시가 검출된 경우, 기록 매체(111)에는 촬상부(105)에서 촬영된 후 화상처리부(106)에 있어서 각종 화상처리가 적용되어서 출력된 화상 데이터가, 기록 매체I/F(11O)를 거쳐서 기록된다.
조작 입력부(109)는, 예를 들면 전원 스위치나 모드 다이얼 등의, 디지털 카메라(100)가 구비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이며, 유저에 의해 이루어진조작 입력을 접수하고, 대응한 제어신호를 제어부(101)에 출력하는 블록이다.
(디지털 카메라(100)의 유저 인터페이스)
이하, 디지털 카메라(100)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 2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표시부(107)를 구비하는 면의 외관도를 보이고 있다.
셔터 버튼(201)은, 촬영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조작부재이며, 해당 부재를 눌렀을 때 스트로크량에 따라, SW1 및 SW2신호를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INFO 버튼(202)은, 표시부(107)에 표시되는 정보를 바꾸는데 필요한 지시를 접수하는데 사용된 조작부재다. 본 실시예에서는, INFO 버튼(202)은, 헬프 화면의 표시 지시의 입력에도 사용된다. 다이얼(203)은, 예를 들면, 설정 화면의 후보선택 지시나 헬프 화면의 스크롤 조작의 지시를 접수하는데 사용된 조작부재다. SET 버튼(204)은, 설정 화면에 포함된 항목 중, 다이얼(203)에 의해 입력된 지시에 의해 선택된 후보에 대해서 결정 지시를 내리기 위해서 사용된 조작부재다. 전원 스위치(205)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원투입에 사용된 조작부재이며, 전원 온(ON)상태와 전원 오프(OFF)상태를 바꾼다. 모드 다이얼(206)은, 정지 화상 촬영 모드, 씬(scene)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등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모드를 전환하는데 사용된 조작부재다. MENU 버튼(207)은, 촬영 모드 및 열람 모드의 각각에 있어서 메뉴 화면의 표시 지시의 입력에 사용된 조작부재다. MENU 버튼(207)에 의해 표시된 메뉴 화면에는 복수의 설정 항목이 포함되고, 유저가 이들 설정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여 결정할 때, 표시부(107)의 표시는 (후술하는) 설정 화면으로 천이한다.
(GUI 천이예)
본 실시예에서는, 유저의 조작에 의해 표시부(107)에 설정 화면이 표시될 때, INFO버튼(202)이 눌려져 있는 기간 동안에, 선택된 설정 항목 혹은 소정의 설정 항목내의 파라미터 후보에 관한 헬프 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설정 항목인 "세이프티(safety) 쉬프트"에 관한 설정 화면(400)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해당 화면에는 "오프"(설정 없음), "Tv값/Av값" 및 "ISO감도"의 3개의 파라미터 후보 401 내지 403이 표시되어 있다. 도 4의 예시에서는, 파라미터 후보(401)인 "오프"(OFF)가 선택되고, 해당 후보를 유저가 식별 가능하게 하는 선택 프레임(404)이 표시되어 있다. 이때, 해당 설정 화면(400)이 표시부(107)에 표시된 상태에 있어서, 유저는 다이얼(203)을 조작하여 선택 프레임(404)을 이동하여서, 다른 파라미터 후보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설정 화면(400)의 하부영역에는, INFO버튼(202)을 조작할 때 헬프 화면의 표시가 가능한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는데 필요한 표시(405)를 한다.
이때, 유저에 의해 INFO버튼(202)이 눌려져 있으면, 표시부(107)의 표시는 도 5a 내지 5c에 도시된 헬프 화면으로 천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정 화면(400)의 표시로부터 헬프 화면(500)으로 천이하는 경우, 설명 표시 영역(501)은 통상은 도 5a와 같이, "세이프티(safety) 쉬프트"에 관한 헬프 문서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해당 영역(501)의 범위내에 들어가는 데이터가 표시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설명 표시 영역(501)에 표시된 헬프 문서 데이터의 표시 범위는, 해당 범위가 헬프 문서 데이터의 전체에 대한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502)에 의해 나타내진다.
설명 표시 영역(501)에 표시된 헬프 문서 데이터의 표시 범위는, 유저가 INFO버튼(202)을 누르면서 다이얼(203)을 회전 조작할 때 초기 표시 범위이외의 범위로 이동 가능하고, 인디케이터(502)의 표시는 상기 회전 조작에 따라 천이한다. 예를 들면, 다이얼(203)에의 조작 입력에 의해, 도 5a에 도시된 설명 표시 영역(501)에 표시되어 있었던 헬프 문서 데이터의 표시 범위에 이어지는 범위가 새로운 표시 범위로서 설정된 경우,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헬프 화면(500)은 표시부(107)에 표시된다. 또 헬프 문서 데이터의 표시 범위가 후단에 이르는 경우, 헬프 화면(500)은, 도 5c에 도시된 것처럼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헬프 문서 데이터의 전체 범위의 정보를 설명 표시 영역(501)에 표시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다이얼(203)에 의해 페이지 전송 조작 혹은 스크롤 조작을 필요로 한다고 가정한다.
일반적으로, 헬프 화면(500)의 표시 동작 종료 후에 짧은 시간 간격내에서 재표시 지시를 입력한 경우에, 유저가 이전의 설명과 같은 설명을 열람하기를 소망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한편, (예를 들면, 유저가 헬프 화면(500)의 표시 종료 후에 다른 조작을 함) 헬프 화면(500)의 표시 동작 종료 후에 보다 긴 시간이 경과한 만큼, 유저가 이전의 설명과 같은 설명을 열람하기를 소망할 가능성은 낮아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헬프 화면(500)의 표시 동작이 종료한 후에 다시 헬프 화면(500)의 표시 지시를 내리는 경우에, 표시조작 종료 후에 재표시의 지시가 내릴 때까지 경과한 시간에 따라, 설명 표시 영역(501)에 표시된 헬프 문서 데이터의 초기 표시 범위를 제어한다. 즉, 헬프 화면(500)의 재표시시에 이전이 범위와 같은 표시 범위를 표시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는데 사용된 소정시간을 설정하여 표시 제어를 행함으로써, 유저가 소망할 가능성이 높은 헬프 화면을 제시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표시부(107)의 표시가 설정 화면(400)으로부터 헬프 화면(500)으로 천이할 경우, 소정시간의 경과 후는 헬프 문서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규정된 표시 범위가 설명 표시 영역(501)에 표시되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헬프 문서 데이터가 복수의 파라미터 후보에 관한 설명을 포함하는 경우, 헬프 화면(500)으로 천이할 때에 설정 화면(400)에 있어서 선택되어 있었던 파라미터 후보에 따른 설명 장소의 부분을 포함하는 범위는, 표시 범위로서 표시되어도 된다. 즉, 소정시간의 경과 후에 헬프 문서 데이터의 표시 범위는, "이전의 표시 범위"로서 규정된 범위와는 다르고, 미리 설정된 기준에 의거해 규정되는 범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저가 의도하지 않고 헬프 화면의 표시 동작을 종료해버려, 그 헬프 화면을 재표시하기를 소망하는 상황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예로서, INFO버튼(202)이 계속 가압되고 있는 기간만 헬프 화면을 표시하는 사양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예를 든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특정한 사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INFO 버튼(202)의 가압에 의해 헬프 화면의 표시 유무가 바뀌는 구성이나, 주어진 시간 경과 후에 자동적으로 헬프 화면의 표시 동작을 종료하는 구성 등에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것은 용이하게 상상할 수 있다.
(헬프 표시 제어 처리)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헬프 표시 제어 처리에 대해서,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흐름도에 대응한 처리는, 제어부(101)가, 예를 들면 ROM(1O2)에 기억되어 있는 대응하는 처리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RAM(1O3)에 전개해서 실행할 때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본 헬프 표시 제어 처리는, 예를 들면 유저가 메뉴 화면에 있어서 특정한 설정 항목을 선택했을 때, 즉 도 4와 같은 설정 화면이 표시될 때에 개시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단계S301에서, 제어부(101)는, 헬프 화면의 표시 지시가 검출되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1)는, 조작 입력부(109)로부터 유저가 INFO버튼(202)을 조작할 때 이루어진 입력에 대응한 제어신호를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검사하여서 헬프 화면의 표시 지시의 유/무를 판단한다. 제어부(101)가 헬프 화면의 표시 지시를 검출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S302로 옮기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S311로 점프한다.
단계S302에서, 제어부(101)는, 현재 표시된 설정 화면에 대응하는 설정 항목에 관한 헬프 화면이 이전의 표시 동작이 종료되고 나서 소정시간이상 경과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1)는, 현재의 설정 항목에 관한 헬프 화면의 상기 이전의 표시 동작이 종료되었을 때에 개시된 시스템 타이머(108)의 카운트 값이, 소정시간이상의 값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본 단계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상기 대응한 설정 항목에 관한 헬프 화면을 표시할 때에 표시된 헬프 문서 데이터의 표시 범위를, 이전의 표시 동작이 종료되었을 때에 표시되어 있었던 표시 범위에 설정할지, 혹은 그 데이터의 선두로부터의 표시 범위에 설정할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소정시간은, 헬프 문서 데이터의 표시 범위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역치로서 설정된 시간이며, 미리 공장출시시에 ROM(1O2)에 기억되어 있어도 되거나, 유저에 의해 설정되어도 된다. 본 발명은, 헬프 화면의 이전의 표시 동작이 종료되고 나서 경과한 시간을, 시스템 타이머(108)에 카운트시키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설정 항목에 관련지어 헬프 화면의 표시 동작이 종료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계측 가능하도록, 표시 동작 종료시의 시스템 타이머(108)의 카운트 값을 RAM(1O3)에 기억하고, 본 단계에서 시스템 타이머(108)의 카운트 값으로부터 감산되어도 된다. 또한, 표시 동작 종료 후에 소정시간이상 경과했을 경우, 시스템 타이머(108)에서 개시시킨 카운트 동작을 정지해도 되거나, 혹은 소정시간이상 전에 기억된 카운트의 데이터를 삭제해도 된다.
제어부(101)는, 현재의 설정 항목의 헬프 화면의 이전의 표시 동작이 종료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 소정시간이상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S303으로 옮기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S304로 옮긴다.
이때, 제어부(101)는,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 표시된 설정 화면에 대응한 설정 항목에 관한 헬프 화면의 이전의 표시 동작이 종료되고 나서 소정시간 이상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그렇지만, 그 판단의 기준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어부(101)는, 현재 표시된 설정 화면에 대응한 설정 항목에 관한 헬프 화면의 이전의 표시 동작이 종료되고 나서 소정시간 전후에, 헬프 화면의 표시 지시가 검출되었다고 판단하기도 한다.
단계S303에서, 제어부(101)는, 헬프 화면의 설명 표시 영역에 초기에 표시되는 현재의 설정 항목의 헬프 문서 데이터의 표시 범위를, 현재의 설정 항목에 관련지어 ROM(1O2)에 기억되어, 이전의 표시 동작 종료시에 해당 영역에 표시되어 있었던 범위로 설정한다.
현재의 설정 항목의 헬프 화면의 이전의 표시 동작이 종료되고 나서 소정시간이상 경과한 경우에, 단계S304에서 제어부(101)는, 헬프 화면의 설명 표시 영역에 초기에 표시한, 현재의 설정 항목의 헬프 문서 데이터의 표시 범위를, 그 데이터의 선두로부터의 범위로 설정한다.
제어부(101)는, 헬프 화면의 표시 지시를 계속할 것 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단계S305 내지 단계S308의 루프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1)는, 유저가 INFO버튼(202)을 누르고 있으며, 조작입력부(109)로부터 INFO버튼(202)의 조작상태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계속해서 수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헬프 화면의 표시 지시가 계속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S305 내지 단계S308의 루프 처리를 실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루프 처리를 빠져나와, 헬프 화면의 표시 동작을 완료하고, 처리를 단계S309로 옮긴다.
단계S306에서, 제어부(101)는, 현재의 설정 항목의 헬프 문서 데이터에 대해서 설정된 표시 범위를, 설명 표시 영역에 묘화하여 상기 헬프 화면의 데이터를 화상처리부(106)에 생성시키고, 표시부(107)에 그 헬프 화면을 표시시킨다.
단계S307에서, 제어부(101)는, 헬프 화면의 설명 표시 영역에 현재 표시된 헬프 문서 데이터의 표시 범위를 변경하는 조작 입력이 검출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1)는, 조작 입력부(109)로부터 유저가 다이얼(203)을 조작하는 경우에 이루어진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검사하여서 표시 범위의 변경 조작의 유/무를 판단한다. 제어부(101)는, 헬프 문서 데이터의 표시 범위를 변경하는 조작입력이 검출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S308로 옮기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S309로 옮긴다.
단계S308에서, 제어부(101)는, 단계S307에서 검출된 조작 입력에 따라, 헬프 문서 데이터의 표시 범위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1)는, 조작 입력부(109)로부터 입력된 다이얼(203)의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의 정보에 따라, 표시 범위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산출하여, 새로운 표시 범위를 결정한다.
헬프 화면의 표시 지시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판단되어서 제어를 단계S305 내지 단계S308의 루프 처리를 빠져나간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단계S309에서 제어부(101)는, 현재 표시된 헬프 문서 데이터의 표시 범위의 정보를 취득하여, 현재의 설정 항목에 관련지어 RAM(1O3)에 기억한다. 또한, 제어부(101)는, 단계S310에 있어서 시스템 타이머(108)에 시간계측을 개시시킨다.
단계S311에서, 제어부(101)는, 설정 화면의 파라미터 후보의 선택을 변경하는 입력이 검출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1)는, 조작 입력부(109)로부터 유저가 다이얼(203)을 조작하는 경우에 이루어진 입력에 대응한 제어신호를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검사하여서, 후보 선택의 변경 입력의 유/무를 판단한다. 제어부(101)는, 설정 화면의 후보의 선택을 변경하는 입력이 검출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S312로 옮기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S313으로 옮긴다.
단계S312에서, 제어부(101)는, 단계S311에서 검출된 조작 입력에 따라, 설정 화면에서 선택되는 파라미터 후보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1)는, 조작 입력부(109)로부터 입력된 다이얼(203)의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의 정보에 따라 선택되는 파라미터 후보를 변경하고, 그 변경된 파라미터 후보의 정보를 예를 들면 RAM(1O3)에 격납한다.
단계S313에서, 제어부(101)는, 선택된 파라미터 후보에 선택 프레임을 중첩한 설정 화면의 데이터를 화상처리부(106)에 생성시키고, 표시부(107)에 그 설정 화면을 표시시킨다.
단계S314에서, 제어부(101)는, 설정 화면의 표시 동작을 종료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1)는, 유저에 의해 설정 화면을 종료하는데 필요한 조작 입력에 대응한 제어신호를 조작 입력부(109)로부터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검사하여서 상기 설정 화면의 표시 동작을 종료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제어부(101)는, 설정 화면의 표시 동작을 종료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본 헬프 표시 제어 처리를 완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S301로 되돌아간다.
이때, 설정 화면의 표시 동작을 종료하는데 필요한 조작 입력은, 유저가 MENU 버튼(207)을 조작할 때 내려진 설정 화면의 표시 종료 지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그 조작은, SET버튼(204)의 조작에 의한 선택 프레임이 중첩된 파라미터 후보에 관련된 선택 결정 지시이어도 된다. 한편, 예를 들면 유저가 셔터 버튼(201)을 조작할 때 촬영 지시기 내려진 경우에는, 유저가 다시 동일한 헬프 문서 데이터의 표시 범위의 열람을 소망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경과 시간의 계측을 리셋트하고, 해당 조작은 설정 화면 표시 종료의 조작으로서 판단되어도 된다. 이에 따라, 촬영 처리 후의, 다음번의 헬프 화면 표시시에는, 헬프 화면의 이전의 표시 종료시의 표시 범위에 상관없이 상기 데이터의 선두로부터의 범위는 초기 표시 범위로서 설정된다. 또한, 예를 들면 유저가 모드 다이얼(206)을 조작하여 촬영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에, 유저가 설정 파라미터를 현재의 설정 파라미터와 다르게 변경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경과 시간의 계측을 리셋트하고, 해당 조작은 설정 화면 표시 종료의 조작으로서 판단되어도 된다. 이때, 촬영 모드를 변경하는 처리인 경우에는, 그 변경된 촬영 모드에 대해서 유저가 설정을 변경 가능하도록, 헬프 표시 제어 처리를 완료하지 않고 처리를 단계S301로 되돌려도 된다. 유저가 촬영 모드뿐만 아니라, 다른 촬영동작에 대한 설정도 변경하는 경우에, 경과 시간의 계측을 리셋트하고, 다음번의 헬프 화면 표시시에는, 헬프 화면의 이전의 표시 종료시의 표시 범위에 상관없이 상기 데이터의 선두로부터의 범위는 초기 표시 범위로서 설정되어도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헬프 화면의 설명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헬프 문서 데이터(헬프 정보)의 표시 범위를 제어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특정한 표시 영역에 데이터 표시시에 전체 범위를 표시하기 위해서 표시 범위를 다르게 하는 처리를 필요로 하는 오브젝트의 표시 제어에 대해서 적용가능하고, 해당 표시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 등의 문서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유저로부터의 리셋트 지시를 접수하는 리셋트 지시 접수 버튼을 더욱 가져도 된다. 이때, 유저가 리셋트 지시 접수 버튼을 누른 경우에, 제어부(101)는, 헬프 화면의 최후의 표시 동작이 소정 시간에 도달한 후의 경과된 시간 이전에 헬프 화면의 표시 지시(INFO 버튼(202)의 가압)를 접수하는 경우에도, 상기 데이터의 선두로부터의 범위를 초기 표시 범위로 하도록 헬프 화면을 표시하여도 된다. 이에 따라, 유저의 명시적인 조작이 있는 경우에는, 소정시간의 경과에 관계없이 제어부(101)는 바로 상기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헬프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단계S302에서의 검사처리에 사용된 상기의 소정시간은, 유저가 INFO 버튼(202)을 잘못해서 해제해버리고 즉각 다시 헬프 화면을 표시시키도록 INFO 버튼(202)을 눌렀는가를 검사하는데 필요한 것으로서 생각하고, 수초(예를 들면, 6초이하정도: 1초)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저는, 예를 들면 INFO 버튼(202)을 누르는 손가락의 힘이 풀어져버리는 경우나, INFO 버튼(202)을 누르는 손가락의 위치가, 땀이나 과도한 압력으로 인해 변위되는 경우에, INFO 버튼(202)을 잘못해서 해제해버린다. 이러한 경우에는, 유저가 수초 이내에 다시 INFO 버튼(202)을 누르면, 유저가 헬프 화면을 닫으려고 한 조작이 아니고 잘못하여 INFO 버튼(202)을 해제해버렸기 때문에, INFO 버튼(202)을 다시 눌러서 헬프 화면의 속편을 열람하기를 원한다고 가정한다. 반대로, 6초이상을 경과한 후 INFO 버튼(202)을 다시 누른 경우에, 그 전의 INFO 버튼(202)의 가압 조작의 해제 조작은 의도적인 것이었다고 가정할 수 있고, 새로운 INFO 버튼(202)의 가압 조작은 이전의 열람 동작의 속편의 열람 동작이 아니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표시 제어장치는, 오브젝트를 재표시할 때에, 오브젝트의 표시 범위를 상황에 따라 적합하게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장치는, 표시 영역보다도 큰 오브젝트의 해당 표시영역에의 표시 시작의 지시를 접수한 것에 따라, 해당 오브젝트의 일부의 범위를 표시 범위로서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직전에 오브젝트의 표시 동작을 종료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 소정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표시 시작의 지시를 접수하는 경우, 표시를 종료했을 때에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었던 표시 범위에 근거한 범위를 초기 표시 범위로서 결정한다. 상기 경과 시간이 소정시간이상이 되고 나서 표시 시작의 지시를 접수했을 경우에는, 표시를 종료했을 때에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었던 표시 범위에 상관없이 미리 정해진 기준에 의거해 정해진 표시 범위를 초기 표시 범위로서 결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유저가 잘못해서 오브젝트의 표시동작을 중단해버렸을 경우와, 유저가 오브젝트의 열람 조작과 다른 조작을 반복적으로 행하는 경우에, 오브젝트의 원하는 표시 범위는 용이하게 제시될 수 있다. 한층 더, 오브젝트의 재표시시에 이전의 표시 범위를 표시할 필요가 없는 조건을 충족시켰을 경우에는, 이전의 표시 범위와는 다른 기준에 의거해 선택된 표시 범위가 표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이전의 표시 범위의 표시동작으로 인한 복잡한 조작이나 별도의 조작이 필요한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1)의 제어는, 하나의 하드웨어 구성요소로 행해도 되거나, 복수의 하드웨어 구성요소가 처리를 공유하는 경우 장치 전체를 제어해도 된다.
본 발명을 그 적합한 실시예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한층 더,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것에 지나지 않고, 각 실시예들을 필요에 따라 조합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했을 경우를 예로 해서 설명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예에 한정되지 않고, 설정 도중의 설정 항목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제어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PDA, 휴대전화단말, 휴대형 화상 뷰어,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프린터 장치, 디지털 포토 프레임, 음악 플레이어, 게임기, 전자 북 리더 등에 적용 가능하다.
(기타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국면들은,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 또는 MPU 등의 디바이스들)의 컴퓨터에 의해서, 또한,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단계들, 예를 들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메모리 디바이스의 기록매체(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아주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14)

  1. 표시 영역에 오브젝트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장치로서,
    상기 오브젝트의 표시 시작의 지시를 접수하는 지시 수단;
    상기 지시 수단이 접수한 상기 지시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의 전체 범위가 아닌 일부의 범위를 표시 범위로서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
    상기 오브젝트의 표시 동작 시작 후에 상기 오브젝트의 표시 범위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 및
    상기 오브젝트의 최후의 표시동작을 종료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 소정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지시 수단이 상기 지시를 접수하는 경우에는, 상기 최후의 표시동작을 종료했을 때에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었던 종료시의 표시 범위에 근거한 범위를 상기 표시 범위로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이 표시동작을 시작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소정시간이상이 되고 나서 상기 지시 수단이 상기 지시를 접수하는 경우에는, 상기 종료시의 표시 범위에 근거하지 않는 범위를 상기 표시 범위로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이 표시동작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표시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지시 수단이 접수한 상기 지시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의 표시동작을 시작한 후, 상기 지시 수단이 상기 지시를 계속해서 접수하는 동안, 상기 표시 영역에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상기 지시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의 표시동작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된 항목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지시 수단이,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소정시간에 도달한 후에 상기 지시를 접수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오브젝트 중 상기 선택된 항목과 관련된 부분을 포함되는 범위를 상기 표시 범위로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이 표시동작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시의 상기 표시 범위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한, 표시 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문서 데이터인, 표시 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화상 데이터인, 표시 제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표시 제어장치의 설정 조작에 관련된 헬프 정보인, 표시 제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장치는 촬상수단을 갖는 촬상장치이며,
    상기 오브젝트의 최후의 표시동작을 종료하고 나서 촬영동작에 관련된 설정의 변경 지시가 접수된 경우에,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소정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지시를 접수한 경우에도, 상기 종료시의 표시 범위에 근거하지 않는 범위를 상기 표시 범위로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이 표시동작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동작에 관련된 설정의 변경 지시는, 복수의 촬영 모드의 설정되는 촬영 모드의 변경 지시인, 표시 제어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장치는 촬상수단을 갖는 촬상장치이며,
    상기 오브젝트의 최후의 표시동작을 종료한 직후에 촬영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소정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지시를 접수하는 경우에도, 상기 종료시의 표시 범위에 근거하지 않는 범위를 상기 표시 범위로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이 표시동작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저로부터의 리셋트 지시를 접수하는 리셋트 지시 접수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리셋트 지시 접수수단이 상기 리셋트 지시를 접수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소정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지시를 접수하는 경우에도, 상기 종료시의 표시 범위에 근거하지 않는 범위를 상기 표시 범위로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이 표시동작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시간은 6초 이하인, 표시 제어장치.
  13. 표시 영역에 오브젝트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오브젝트의 표시 시작의 지시를 접수하는 지시 단계;
    상기 지시 단계에서 접수한 상기 지시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의 전체 범위가 아닌 일부의 범위를 표시 범위로서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 단계;
    상기 오브젝트의 표시동작 시작 후에 상기 오브젝트의 표시 범위를 변경하는 변경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의 최후의 표시동작을 종료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 소정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지시 단계에서 상기 지시를 접수하는 경우에는, 상기 최후의 표시동작을 종료했을 때에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었던 종료시의 표시 범위에 근거한 범위를 상기 표시 범위로서 상기 표시 제어 단계에서 표시동작을 시작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소정시간이상이 되고 나서 상기 지시 단계에서 상기 지시를 접수하는 경우에는, 상기 종료시의 표시 범위에 근거하지 않는 범위를 상기 표시 범위로서 상기 표시 제어 단계에서 표시동작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한,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
  14. 컴퓨터를 청구항 1에 기재된 표시 제어장치의 각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20044418A 2011-04-28 2012-04-27 촬상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16060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02346A JP5762117B2 (ja) 2011-04-28 2011-04-28 撮像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JP-P-2011-102346 2011-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952A true KR20120122952A (ko) 2012-11-07
KR101606071B1 KR101606071B1 (ko) 2016-03-24

Family

ID=46245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418A KR101606071B1 (ko) 2011-04-28 2012-04-27 촬상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274826A1 (ko)
EP (1) EP2521347A1 (ko)
JP (1) JP5762117B2 (ko)
KR (1) KR101606071B1 (ko)
CN (1) CN1027617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87838B2 (ja) * 2012-07-31 2018-03-0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90273831A1 (en) * 2018-03-01 2019-09-05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emporary recording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4326A (en) * 1983-10-25 1988-06-28 Keycom Electronic Publish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user of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JPS62140128A (ja) * 1985-12-16 1987-06-23 Mazda Motor Corp 車両搭載機器用操作キ−デイスプレイ装置
US4964077A (en) * 1987-10-06 1990-10-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help information displayed in an online interactive system
DE3853512T2 (de) * 1987-11-09 1995-11-23 Sharp Kk Einrichtung für Rechner oder rechnergesteuerte Systeme zum Erzeugen einer Hilfe-Anzeige.
US5111408A (en) * 1988-10-19 1992-05-05 Hewlett-Packard Company Digital image documentation system
US5371846A (en) * 1991-10-16 1994-1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on-linear scroll bar
WO1993015455A1 (en) * 1992-01-24 1993-08-05 Interactive Media Corporation System for performing function on second portal upon activation of related first portal
JPH07225576A (ja) * 1994-02-16 1995-08-22 Toshiba Corp 電子機器及びデータ表示制御方法
JPH07325718A (ja) * 1994-06-01 1995-1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メッセージ送信制御装置
US6208343B1 (en) * 1997-12-10 2001-03-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scroll bar that provides varied levels of access granularity
US7194685B2 (en) * 2001-08-13 2007-03-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usage of online help systems
US7505911B2 (en) * 2001-09-05 2009-03-17 Roth Daniel L Combined speech recognition and sound recording
US20040205543A1 (en) * 2001-11-01 2004-10-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bookmarking a section of a web page
JP2004045494A (ja) * 2002-07-09 2004-02-12 Minolta Co Ltd カメラ
US20040036715A1 (en) * 2002-08-26 2004-02-26 Peter Warren Multi-level user help
JP4423871B2 (ja) * 2003-03-26 2010-03-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説明掲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532276B1 (ko) * 2003-04-23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전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웹-사이트를 표시하는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803120B1 (ko) * 2003-12-12 2008-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데이터의 부분 확대 방법
JP2005311660A (ja) * 2004-04-21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表示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JP4463643B2 (ja) 2004-08-26 2010-05-19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閲覧装置、情報閲覧プログラム、情報閲覧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情報閲覧システム
JP2007235391A (ja) * 2006-02-28 2007-09-13 Canon Inc ヘルプ機能を備えた撮像装置、ヘルプ機能を備えた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381103B2 (en) * 2006-03-01 2013-02-19 Yamah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JP5013791B2 (ja) * 2006-09-13 2012-08-29 ペンタックス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
JP4334559B2 (ja) * 2006-10-13 2009-09-30 株式会社東芝 スクロール位置予測装置
JP2008257345A (ja) * 2007-04-02 2008-10-23 Fuji Xerox Co Ltd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2009188486A (ja) * 2008-02-04 2009-08-20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5537044B2 (ja) * 2008-05-30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0009240A (ja) * 2008-06-25 2010-01-14 Kyocera Mita Corp 表示装置及びヘルプメッセージ表示プログラム
JP5069816B2 (ja) * 2008-07-25 2012-11-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ヘルプ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ヘルプ表示方法
JP5344220B2 (ja) * 2008-10-17 2013-11-20 横河電機株式会社 測定装置および測定装置の操作方法
JP4752897B2 (ja) * 2008-10-31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10181956A (ja) * 2009-02-03 2010-08-19 Ricoh Co Ltd 電子機器、画像記録再生装置及びヘルプ情報の表示制御方法
JP5438333B2 (ja) * 2009-02-05 2014-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4869426B2 (ja) * 2010-06-25 2012-02-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カメラ
JP6902741B2 (ja) * 2017-12-15 2021-07-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建具施工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74826A1 (en) 2012-11-01
JP2012234353A (ja) 2012-11-29
EP2521347A1 (en) 2012-11-07
KR101606071B1 (ko) 2016-03-24
CN102761707A (zh) 2012-10-31
CN102761707B (zh) 2016-05-18
JP5762117B2 (ja) 2015-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06912B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control apparatus
US8482650B2 (en) Image pickup apparatus,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1016517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905354B1 (ko) 디지털 카메라
KR20120122952A (ko)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US9635281B2 (en) Imag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6918605B2 (ja) 撮像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EP2337335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amera
JP6124535B2 (ja) 表示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10530981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not producing a notification sound
US9083939B2 (en) Moving image playback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JP6664226B2 (ja) 撮像制御装置、撮像制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590560B2 (ja) 撮像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188484B2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5988726B2 (ja)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438509B2 (en) Imaging apparatus configured to record orientation of the imaging apparatus when an image is captured
JP4720170B2 (ja) 起動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起動方法
JP2009105942A (ja) 電子カメラ装置
KR100681196B1 (ko) 영상 촬영장치가 포함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영상 편집 방법
JP6210795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250677A (ja) 電子機器の設定画面表示方法及び電子機器
JP5648781B2 (ja) 画像表示装置、表示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16581A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5072426A (ja) 表示装置
KR20070049439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