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2681A - 자동차의 수동 접이식 도어 스텝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수동 접이식 도어 스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2681A
KR20120122681A KR1020110040983A KR20110040983A KR20120122681A KR 20120122681 A KR20120122681 A KR 20120122681A KR 1020110040983 A KR1020110040983 A KR 1020110040983A KR 20110040983 A KR20110040983 A KR 20110040983A KR 20120122681 A KR20120122681 A KR 20120122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board
mounting bracket
hinge
vehicle
door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7217B1 (ko
Inventor
이건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액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액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액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10040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217B1/ko
Publication of KR20120122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7Removable steps or ladders,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60R2013/046Foot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의 사이드 실 부위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접철되어 승/하차를 돕도록 하는 접이식 도어 스텝에 있어, 언폴딩상태에서 폴딩상태로의 전환이 수동 조작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에 설치되는 마운팅 브라켓(10);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에 대해 힌지핀(30)을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풋 보드(20);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에 대해 상기 풋 보드(20)를 폴딩방향으로 축선회시키는 탄성기구(40); 상기 풋 보드(20)의 언폴딩 시 폴딩방향으로 축선회를 제한하는 선회 구속부(50); 및 상기 선회 구속부(50)에 대해 해제 조작력을 제공하는 조작부(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수동 접이식 도어 스텝{Manual folding type door step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승용 차량에 비해 지상고가 상대적으로 높은 차량의 사이드 실에 적용하여 탑승자의 승/하차시 발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도어 스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시 언폴딩상태에서 폴딩상태로의 전환이 수동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수동 접이식 도어 스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 차량의 경우에는 지상고가 낮기 때문에 탑승자의 승/하차 시 별다른 문제가 없었으나, 승합차 또는 다목적 차량(SUV 등)과 같이 지상고가 상대적으로 높은 차량의 경우에는 어린이나 노약자 등이 승/하차 하는 데 많은 무리가 수반될 뿐만 아니라 각종 안전사고에 대한 위험이 잔존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2009-002261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사이드 실과 노면 사이의 중간 높이의 위치로 접이식 구조로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스텝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 접이식 도어 스텝은 승/하차 시에 국한하여 탑승자가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용에 많은 편리함을 줄 수 있었으나, 마운팅 브라켓에 대해 도어 스텝이 탄성기구를 매개로 항상 폴딩방향으로만 축선회 가능하도록 복원력을 제공받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 중 원치 않는 폴딩방향으로의 선회에 따라 이용에 불편함을 줄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체의 사이드 실 부위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접철되어 승/하차를 돕도록 하는 접이식 도어 스텝에 있어, 언폴딩상태에서 폴딩상태로의 전환이 수동 조작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의 사이드 실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마운팅 브라켓;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대해 힌지핀을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풋 보드;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대해 상기 풋 보드를 폴딩방향으로 축선회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기구;
상기 풋 보드의 언폴딩 시 폴딩방향으로 축선회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풋 보드에 설치되는 선회 구속부; 및
상기 선회 구속부에 대해 해제 조작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풋 보드에 설치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선회 구속부는 상기 풋 보드에 축지지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과의 걸림작용을 하는 록킹 링크와, 상기 록킹 링크에 대해 상기 마운팅 브라켓측으로 가압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여 걸림작용을 지속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록킹 링크는 상기 풋 보드 내에 축지지를 위한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일측부에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배면에 형성된 스토퍼와 걸림작용을 하는 걸림부, 및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타측부에서 상기 조작부에 의해 해제 조작력을 제공받도록 연장된 수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리턴 스프링은 일단부가 상기 풋 보드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홈에 끼워져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록킹 링크의 걸림부의 배면에 형성된 수용홈에 끼워져 지지되어, 상기 록킹 링크의 걸림부를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스토퍼에 결합되는 위치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조작부는 상기 풋 보드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과, 상기 풋 보드에 축지지되고, 상기 버튼에 의한 외력을 매개로 상기 록킹 링크에 해제 조작력을 전달하는 릴리스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풋 보드에 형성된 개구부에 대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외부로의 이탈을 억제하기 위해 하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된 플랜지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릴리스 링크는 상기 풋 보드 내에 축지지를 위한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일측부에서 상기 록킹 링크의 수압부와 접촉 가능하게 형성된 가압부, 및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타측부에서 상기 버튼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된 수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선회 구속부와 상기 조작부는 상기 풋 보드의 양단부에 위치한 힌지 결합부 중에서 적어도 한 군데 이상의 위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승용 차량에 비해 지상고가 상대적으로 높은 차량의 사이드 실과 같은 부위에 마운팅 브라켓을 고정하고, 마운팅 브라켓에 대해 힌지지점을 공유하여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폴딩되어 승/하차 시 발판 기능을 수행하는 풋 보드를 설치함에 있어, 사용 시 풋 보드에 대한 언폴딩상태에서 폴딩상태로의 전환이 별도로 행해지는 수동 조작에 한해 이루어질 수 있는 부가적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를 도울 수 있게 된다.
부연하자면, 본 발명은 복원 회동이 가능한 풋 보드에 있어 사용 중 폴딩상태로의 전환을 제한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사용 중 원치 않는 폴딩상태로의 전환으로부터 기인하는 각종 안전사고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이식 도어 스텝이 가지는 본연의 기능, 즉 어린이를 비롯하여 거동이 불편한 승객의 승/하차 시 중간 발판으로써의 유용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수동 접이식 도어 스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부위로서 선회 구속부와 조작부에 대한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으로 풋 보드의 설치상태 중 폴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으로 풋 보드의 언폴딩방향으로 선회 시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4의 A-A선 단면으로 풋 보드의 언폴딩방향으로 선회 완료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4의 A-A선 단면으로 풋 보드의 언폴딩상태에서 폴딩방향으로 복원 선회를 위한 시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체에 설치되는 마운팅 브라켓(10)과,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에 대해 폴딩 또는 언폴딩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풋 보드(20), 상기 마운팅 브라켓(10)과 상기 풋 보드(20) 사이의 힌지지점에 설치되는 힌지핀(30),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에 대해 상기 풋 보드(20)를 폴딩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기구(40), 상기 풋 보드(20)의 언폴딩상태에서 폴딩방향으로 축선회를 제한하는 선회 구속부(50), 및 상기 선회 구속부(50)에 대해 해제 조작력을 제공하는 조작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은 차체 중에서 사이드 실과 같은 부위로 고정되는 한 쌍의 부재로서, 상기 힌지핀(30)을 매개로 차체에 대해 상기 풋 보드(20)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은 힌지지점의 형성을 위해 양단부에 일체로 돌출된 형태로서 상기 힌지핀(30)의 삽입을 위한 관통구멍을 갖춘 한 쌍의 힌지 결합부(12)를 구비한다.
상기 풋 보드(20)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10)과의 사이에서 상기 힌지핀(30)에 의해 형성되는 힌지지점을 매개로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에 대해 폴딩방향으로 수납되어 있다가 외력에 의해 축선회하여 언폴딩방향으로 펼쳐짐으로써 발판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풋 보드(20)는 양단부에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의 힌지 결합부(12)와의 힌지지점을 형성하기 위해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서 상기 힌지핀(30)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힌지 결합부(22)와, 상기 힌지 결합부(22) 사이에서 사용자에 의해 밟혀질 수 있는 발판의 기능을 수행하는 답입부(24)를 일체로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에 대한 상기 풋 보드(20)의 축선회 각도는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90도 정도로 한정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풋 보드(20)는 언폴딩상태에서 그 높이를 차체의 사이드 실과 노면 사이의 중간 위치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핀(30)은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의 양단부에서 힌지지점의 형성을 위해 상기 풋 보드(20)와의 사이로 조립되는 것으로,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의 힌지 결합부(12)와 상기 풋 보드(20)의 힌지 결합부(22) 사이에는 동축상으로 상기 힌지핀(30)의 조립을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탄성기구(40)의 설치를 위한 적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기구(40)는 힌지지점에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의 힌지 결합부(12)와 상기 풋 보드(20)의 힌지 결합부(22) 사이에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에 대한 상기 풋 보드(20)의 복원 선회력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토션 스프링과 이를 내장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원통형 스프링 커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탄성기구(40)의 토션 스프링은 상기 힌지핀(30)의 외주에 끼워지고, 상기 탄성기구(40)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본원의 선행기술에 해당하는 특허출원 제2009-0022612호에 개시된 바와 동일하다. 즉, 상기 탄성기구(40)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에 대해 상기 풋 보드(20)가 항상 폴딩방향으로 선회력을 제공받을 수 있게 하는 탄성 복원력을 발휘한다.
상기 선회 구속부(50)는 상기 풋 보드(20)에 축지지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의 배면에 결합된 스토퍼(14)에 걸려 고정되는 록킹 링크(52)와, 상기 풋 보드(20)에 설치되고 상기 록킹 링크(52)를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측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록킹 링크(52)와 상기 마운팅 브라켓(10) 사이의 걸림작용을 지속하게 하는 리턴 스프링(54)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록킹 링크(52)는 상기 풋 보드(20)의 양단부에 위치한 힌지 결합부(22)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힌지 결합부(22) 내에서 힌지핀(도시안됨)을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이를 위해, 상기 록킹 링크(52)는 상기 풋 보드(20)의 힌지 결합부(22) 내에서 축지지를 위한 힌지부(52a)와, 상기 힌지부(52a)를 중심으로 일측부에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의 배면에 형성된 스토퍼(14)와 걸림작용을 하도록 돌출된 형태의 걸림부(52b), 및 상기 힌지부(52a)를 중심으로 타측부에서 상기 조작부(60)에 의해 해제 조작력을 제공받도록 연장되도록 형성된 수압부(52c)를 일체로 구비한다.
또한, 상기 리턴 스프링(54)은 일단부가 상기 풋 보드(20)의 힌지 결합부(22) 내에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 수용홈(26)에 끼워져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록킹 링크(52)의 걸림부(52b)의 배면에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 수용홈(52d)에 끼워져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리턴 스프링(54)은 상기 록킹 링크(52)의 걸림부(52b)를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의 스토퍼(14)에 항상 결합되는 위치로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조작부(60)는 상기 풋 보드(20)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62)과, 상기 풋 보드(20)에 축지지되고, 상기 버튼(62)에 가해지는 외력을 매개로 상기 록킹 링크(52)에 해제 조작력을 전달하는 릴리스 링크(64)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버튼(62)은 상기 풋 보드(20)의 양단부에 위치한 힌지 결합부(22) 중에서 상기 록킹 링크(52)가 설치된 부위에 한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버튼(62)은 상기 풋 보드(20)의 힌지 결합부(22)에 형성된 개구부(28)에 대해 외부로 출몰 가능한 상태로 끼워지고, 하단부에 외부로 돌출된 플랜지(62a)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28)를 통해 상기 풋 보드(20)의 힌지 결합부(22) 외부로 완전 이탈이 억제되는 상태로 내장된다.
또한, 상기 릴리스 링크(64)는 상기 풋 보드(20)의 힌지 결합부(22) 내에서 축지지를 위한 힌지부(64a)와, 상기 힌지부(64a)를 중심으로 일측부에서 상기 록킹 링크(52)의 수압부(52c)와 접촉 가능하게 형성된 가압부(64b), 및 상기 힌지부(64a)를 중심으로 타측부에서 상기 버튼(62)의 하단부와의 접촉이 가능하게 형성된 수압부(64c)를 일체로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수동 접이식 도어 스텝에 대한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차체의 사이드 실과 같은 부위에 마운팅 브라켓(10)이 고정된 상태에서 풋 보드(20)는 양측 힌지 결합부(22)의 힌지지점에 설치된 탄성기구(40)의 복원력을 매개로 도 5에 도시된 수납상태(폴딩방향으로 선회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 사용자가 승차하거나 하차를 목적으로 상기 풋 보드(20)의 답입부(24)를 밟아 힘을 가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풋 보드(20)는 힌지지점을 중심으로 폴딩상태에서 언폴딩방향을 향해 축선회하게 된다.
이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풋 보드(20)가 언폴딩방향으로 축선회를 종료하게 되면, 선회 구속부(50)의 동작을 매개로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을 향한 풋 보드(20)의 복원방향 축선회 운동은 제한된다. 즉, 상기 힌지 결합부(22) 내에 설치된 록킹 링크(52)는 리턴 스프링(54)의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의 배면에 결합된 스토퍼(14)와의 걸림작용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에 대한 상기 풋 보드(20)의 언폴딩상태를 지속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언폴딩상태로 펼쳐진 풋 보드(20)를 밟고 디디면서 승차 또는 하차할 수 있게 되므로, 지상고가 높은 차량을 이용할 때 어린이를 포함한 노약자는 보다 안전하게 승/하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언폴딩상태로 펼쳐진 상기 풋 보드(20)의 답입부(24)를 이용하여 승/하차가 종료된 다음에는 조작부(60)에 대한 누름 조작을 통해 풋 보드(20)를 다시 원래의 폴딩상태로 접어줄 수 있게 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풋 보드(20)의 힌지 결합부(22)에서 외부로 노출된 버튼(62)을 누르면, 릴리스 링크(64)의 수압부(64c)는 힌지부(64a)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 되고, 상기 힌지부(64a)를 중심으로 수압부(64c)의 반대편에 위치한 가압부(64b)는 상기 록킹 링크(52)의 수압부(52c)를 상방향으로 들어 올리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록킹 링크(52)의 걸림부(52b)는 힌지부(52a)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 되므로 상기 스토퍼(14)와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운팅 브라켓(10)과 상기 풋 보드(20) 사이의 힌지지점에 설치된 탄성기구(40)에 의한 복원력을 매개로 상기 풋 보드(20)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을 향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방향 축선회 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거쳐 풋 보드(20)의 위치가 원래대로 폴딩상태로 접혀지게 되면,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가 최소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 중 차량이 받게 되는 저항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마운팅 브라켓 12-힌지 결합부
14-스토퍼
20-풋 보드 22-힌지 결합부
24-답입부 26-수용홈
28-개구부 30-힌지핀
40-탄성기구
50-선회 구속부 52-록킹 링크
54-리턴 스프링
60-조작부 62-버튼
64-릴리스 링크

Claims (8)

  1. 차체에 설치되는 마운팅 브라켓(10);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에 대해 힌지핀(30)을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풋 보드(20);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에 대해 상기 풋 보드(20)를 폴딩방향으로 축선회시키는 탄성기구(40);
    상기 풋 보드(20)의 언폴딩 시 폴딩방향으로 축선회를 제한하는 선회 구속부(50); 및
    상기 선회 구속부(50)에 대해 해제 조작력을 제공하는 조작부(60)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수동 접이식 도어 스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회 구속부(50)는 상기 풋 보드(20)에 축지지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10)과의 걸림작용을 하는 록킹 링크(52)와, 상기 록킹 링크(52)에 대해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측으로 가압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여 걸림작용을 지속시키는 리턴 스프링(5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수동 접이식 도어 스텝.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록킹 링크(52)는 상기 풋 보드(20) 내에서 축지지를 위한 힌지부(52a)와, 상기 힌지부(52a)를 중심으로 일측부에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의 배면에 형성된 스토퍼(14)와 걸림작용을 하는 걸림부(52b), 및 상기 힌지부(52a)를 중심으로 타측부에서 상기 조작부(60)에 의해 해제 조작력을 제공받는 수압부(52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수동 접이식 도어 스텝.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프링(54)은 일단부가 상기 풋 보드(20)에 형성된 수용홈(26)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록킹 링크(52)의 걸림부(52b)의 배면에 형성된 수용홈(52d)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수동 접이식 도어 스텝.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60)는 상기 풋 보드(20)에 대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62)과, 상기 풋 보드(20)에 축지지되고, 상기 버튼(62)에 의한 외력을 매개로 상기 록킹 링크(52)에 해제 조작력을 전달하는 릴리스 링크(6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수동 접이식 도어 스텝.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버튼(62)은 상기 풋 보드(20)에 형성된 개구부(28)에 대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28)로부터 외부로의 이탈을 억제하기 위해 돌출된 플랜지(62a)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수동 접이식 도어 스텝.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링크(64)는 상기 풋 보드(20) 내에서 축지지를 위한 힌지부(64a)와, 상기 힌지부(64a)를 중심으로 일측부에서 상기 록킹 링크(52)와 접촉 가능하게 형성된 가압부(64b), 및 상기 힌지부(64a)를 중심으로 타측부에서 상기 버튼(62)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된 수압부(64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수동 접이식 도어 스텝.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회 구속부(50)와 상기 조작부(60)는 상기 풋 보드(20)의 양단부에 위치한 힌지 결합부(22) 중에서 적어도 한 군데 이상의 위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수동 접이식 도어 스텝.
KR1020110040983A 2011-04-29 2011-04-29 자동차의 수동 접이식 도어 스텝 KR101247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983A KR101247217B1 (ko) 2011-04-29 2011-04-29 자동차의 수동 접이식 도어 스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983A KR101247217B1 (ko) 2011-04-29 2011-04-29 자동차의 수동 접이식 도어 스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681A true KR20120122681A (ko) 2012-11-07
KR101247217B1 KR101247217B1 (ko) 2013-03-25

Family

ID=47508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983A KR101247217B1 (ko) 2011-04-29 2011-04-29 자동차의 수동 접이식 도어 스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2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53202A (zh) * 2013-05-06 2013-08-21 东风汽车公司 一种商用车用翻转式踏步及其使用方法
CN108189795A (zh) * 2018-01-05 2018-06-22 广东东箭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侧踏杠装置及一种汽车
CN108973868A (zh) * 2017-05-31 2018-12-11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可自动伸缩的汽车踏板机构及汽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86119B (zh) * 2015-07-08 2017-07-14 交运集团公司青岛黄岛分公司 一种控制校车安全逃生门踏板伸出与缩回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441Y1 (ko) * 1989-10-16 1991-09-27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차량 탑승용 디딤판
JP2007245959A (ja) 2006-03-16 2007-09-27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車両用扉装置
KR101071161B1 (ko) * 2009-03-17 2011-11-17 한국교통연구원 자동차의 접이식 도어 스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53202A (zh) * 2013-05-06 2013-08-21 东风汽车公司 一种商用车用翻转式踏步及其使用方法
CN108973868A (zh) * 2017-05-31 2018-12-11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可自动伸缩的汽车踏板机构及汽车
CN108189795A (zh) * 2018-01-05 2018-06-22 广东东箭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侧踏杠装置及一种汽车
CN108189795B (zh) * 2018-01-05 2023-12-29 广东东箭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侧踏杠装置及一种汽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7217B1 (ko) 2013-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62709B (zh) 汽车安全座椅及其侧撞保护机构
RU2691456C2 (ru) Система ступеньк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ступеньки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247217B1 (ko) 자동차의 수동 접이식 도어 스텝
US7585011B2 (en) Leg covering structure for folding seat
US10618473B2 (en) Load carrier for a vehicle
JP2009022481A (ja) ヘッドレスト
CN111874148A (zh) 折叠结构、折叠设备和折叠车
JP4635952B2 (ja) 車両用格納式シートのロック構造
KR101071161B1 (ko) 자동차의 접이식 도어 스텝
KR101471119B1 (ko)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
JP2008049885A (ja) 車両のスロープ装置
KR101011188B1 (ko) 자동차의 편의 향상을 위한 어시스트 핸들 장치
JP6852630B2 (ja) 乗物用シート
KR100520775B1 (ko) 차량의 자동접이식 시트
JPH0236754Y2 (ko)
KR101869057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스트라이커 회동장치
KR101340305B1 (ko) 자동차의 하차용 보조 레버
KR100568742B1 (ko) 승합차용 보조시트 절첩장치
TWI711554B (zh) 踏板結構
CN216915698U (zh) 一种车辆踏板
KR100655617B1 (ko) 차량 보조시트의 가동다리 잠금장치
KR100410727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백의 폴딩 구조
KR20230087880A (ko) 전동 사이드스텝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사이드스텝 구조체
KR101329650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JPH05707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