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1494A -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1494A
KR20120121494A KR1020110039343A KR20110039343A KR20120121494A KR 20120121494 A KR20120121494 A KR 20120121494A KR 1020110039343 A KR1020110039343 A KR 1020110039343A KR 20110039343 A KR20110039343 A KR 20110039343A KR 20120121494 A KR20120121494 A KR 20120121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athroom
floor slab
waterproof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8810B1 (ko
Inventor
이병규
Original Assignee
이현배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배쓰(주) filed Critical 이현배쓰(주)
Priority to KR1020110039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810B1/ko
Publication of KR20120121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04H1/1266Cubicles for dressing; Toi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8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use in wet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loor Finish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당 세대의 각종 배관을 욕실바닥 슬래브 상측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배수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층간 소음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욕실바닥 슬래브의 침출수를 배출토록 한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당 세대 바닥 슬래브보다 낮게 시공된 욕실바닥 슬래브와; 상기 욕실바닥 슬래브의 가장자리와 상기 해당 세대 바닥 슬래브를 연결하며 오수관과 배수관이 관통하는 벽체와; 상기 벽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수직오수관과 수직배수관이 설치되는 수직관 설치공간을 포함하는 조립식 욕실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욕실바닥 슬래브에 씌워지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벽체에 밀착되며 상기 오수관과 배수관이 관통되는 방수막과, 상기 바닥판과 방수막에 의하여 형성되는 배관공간을 가지는 방수판재와; 상기 배관공간 내에 타설되어 상기 오수관과 배수관을 매립하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을 포함하는 조립식 욕실의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Structure of prefabricated bathroom}
본 발명은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당 세대의 각종 배관을 욕실바닥 슬래브 상측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배수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층간 소음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욕실바닥 슬래브의 침출수를 배출토록 한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욕실(Unit Bath Room; UBR)"은 욕실의 바닥, 벽면 및 천정의 구성에 필요한 자재를 공장에서 미리 생산하여 현장에서 단순 조립하여 완성하는 욕실을 말한다.
본 출원인은 조립식 욕실과 관련하여 특허등록 10-0865483호 "조립식 욕실의 바닥층 방수구조"(이하, "선등록 발명"이라 함)를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선등록 발명의 조립식 욕실의 바닥층 방수구조는 욕실의 바닥층 전체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의 바닥판과 이 바닥판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절곡된 방수막을 가지는 방수판재를 슬래브 상에 설치하고, 타일이 부착된 벽판넬을 방수판넬의 방수막 안쪽 면에 밀착된 상태로 조립하며, 방수판재의 바닥판 위에 시멘트몰탈층을 타설하고 그 위에 바닥타일을 부착하는 구조이다.
상술한 방수판재는 제작이 용이하고 공사기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현장에서의 대응성이 월등하다는 측면에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주거환경에 있어 층간소음 및 진동은 공동주택 거주자들의 주거만족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와 같은 층간소음 및 진동의 원인으로는 위층 세대 욕실에서의 배관을 통한 유체소음 및 진동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선등록 발명이 적용된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는 해당 욕실의 바닥슬래브의 위에 방수판재가 설치되어 있고, 욕실의 각종 위생기구(예: 양변기, 세면기 등으로부터 연결된 배관들을 해당 세대의 바닥슬래브 상에 설치할 공간이 없기 때문에 그 바닥슬래브를 관통시켜 아래층 세대의 천정 내에서 연결한 후 아래층 세대의 욕실 측면에 위치하고 있는 수직관 설치영역의 수직관에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등록 발명이 적용된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는 위층 세대의 욕실의 배관이 아래층 세대의 천정에 설치되기 때문에 위층 세대에서 발생하는 배수 소음 및 진동이 그대로 아래층으로 전달되어 아래층 세대 거주자에게 소음 및 진동에 따른 피해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이나 공동주택의 조립식 욕실에서는 아래층 세대의 천정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의 노후나 막힘, 누수 등의 하자 발생으로 인한 유지/보수 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그 작업이 어렵고 장기간의 작업기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해당 세대가 아닌 아래층 세대에서 공사를 해야 하므로 아래층 세대에 거주하는 거주자에게 피해를 주고, 사생활을 침해하게 되며, 많은 불편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조립식 욕실과 관련하여 특허출원 10-2008-129431호 "조립식 욕실의 바닥층 방수구조"(이하, "선출원 발명"이라 함)를 출원한 바 있다.
상기 선출원 발명의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는 욕실 설치영역의 욕실바닥 슬래브를 기본바닥 슬래브보다 그 높이를 낮게 한 슬래브다운 구조로 구성하고, 슬래브 다운된 욕실바닥 슬래브 상에 오수관과 배수관을 설치하여 배수 소음 및 진동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허등록 10-0865483 특허출원 10-2008-12943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당 세대의 욕실 배관을 아래층 세대의 천정에 설치하지 않고, 해당 세대의 슬래브 상에 설치함으로써 배수 소음 및 진동이 아래층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아래층 세대 거주자에게 소음 및 진동에 따른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한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본바닥 슬래브에 대하여 슬래브 다운하고 방수판재를 설치하여 방수판재 상에 일정한 높이로 경량기포콘크리트층과 시멘트몰탈층을 시공하여 욕실의 오?배수 및 난방배관이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욕실바닥에서 침투하는 침출수를 방수판재의 침출수 배출관을 통해 유용하게 배출함으로써 쾌적한 욕실공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해당 세대 바닥 슬래브보다 낮게 시공된 욕실바닥 슬래브와; 상기 욕실바닥 슬래브의 가장자리와 상기 해당 세대 바닥 슬래브를 연결하며 오수관과 배수관이 관통하는 벽체와; 상기 벽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수직오수관과 수직배수관이 설치되는 수직관 설치공간을 포함하는 조립식 욕실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욕실바닥 슬래브에 씌워지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벽체에 밀착되며 상기 오수관과 배수관이 관통되는 방수막과, 상기 바닥판과 방수막에 의하여 형성되는 배관공간을 가지는 방수판재와; 상기 배관공간 내에 타설되어 상기 오수관과 배수관을 매립하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을 포함하는 조립식 욕실의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벽체와 방수막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배수관에 연결되어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을 통하여 상기 방수판재의 방수막에 고이는 침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침출수 배출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은 상기 세대 바닥 슬래브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의 상면에는 난방배관과 상기 난방배관을 매립하는 시멘트몰탈층이 구비되며, 상기 시멘트몰탈층의 상면에는 욕실바닥 타일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오수관과 배수관 등이 아래층 세대의 천정에 설치되지 않고, 해당 세대의 욕실바닥 슬래브 상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배수 소음 및 진동이 아래층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아래층 세대 거주자에게 소음 및 진동에 따른 피해를 주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본바닥 슬래브에 대하여 슬래브 다운하고 방수판재를 설치하여 방수판재 상에 일정한 높이로 경량기포콘크리트층과 시멘트몰탈층을 시공하여 욕실의 오?배수배관이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욕실바닥에서 침투하는 침출수를 방수판재의 배출관을 통해 유용하게 배출함으로써 쾌적한 욕실공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를 보인 종단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를 요부를 종단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의 요부인 방수판재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를 보인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를 보인 전체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를 보인 층간 전체 종단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은 해당 세대 바닥 슬래브(P1)보다 낮게 시공된 욕실바닥 슬래브(P10)와; 상기 욕실바닥 슬래브(10)의 가장자리와 상기 해당 세대 바닥 슬래브(P1)를 연결하며 오수관(40)과 배수관(50)이 관통하는 벽체(10B)와; 상기 벽체(10B)의 일측에 구비되어 수직오수관(4)과 수직배수관(5)이 설치되는 파이프샤프트(PS) 영역(S1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욕실바닥 슬래브(P10)에 씌워지는 바닥판(101)과, 상기 바닥판(101)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벽체(10B)에 밀착되며 상기 오수관(40)과 배수관(50)이 관통되는 방수막(103)과, 상기 바닥판(101)과 방수막(103)에 의하여 형성되는 배관공간(S20)을 가지는 방수판재(100)와; 상기 배관공간(S20) 내에 타설되어 상기 오수관(40)과 배수관(50)을 매립하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벽체(10B)와 방수막(103)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배수관(5)에 연결되어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0)을 통하여 상기 방수판재(100)의 방수막(103)에 고이는 침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침출수 배출관(1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0)은 상기 세대 바닥 슬래브(P1)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0)의 상면에는 난방배관(60)과 상기 난방배관(60)을 매립하는 시멘트몰탈층(70)이 구비되며, 상기 시멘트몰탈층(70)의 상면에는 욕실바닥 타일(80)이 부착된다.
상기 벽체(10F, 10B, 10L, 10R)와 벽판넬(20F, 20B, 20L, 20R)의 도면 부호에서 'F'는 전면, 'B'는 배면, 'L'은 좌측면, 'R'은 우측면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5에서 '1'은 양변기, '2'는 세면기, '3'은 욕조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를 시공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실바닥 슬래브(P10)의 위에 네 벽체(10F, 10B, 10L, 10R)를 세워서 네 벽체(10F, 10B, 10L, 10R)에 의해 욕실공간과 파이프샤프트(PS) 영역(S10)으로 한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해당 세대의 욕실 바닥에서 양변기(1), 세면기(2) 및 욕조(3)와 같은 각종 위생기구가 설치되는 위치의 면적에만 배관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슬래브 다운(down)하여 시공된 욕실바닥 슬래브(P10)의 위에 일정한 면적으로 규격화된 방수판재(100)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써 조립식 욕실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수관(40) 및 배수관(50)이 욕실바닥 슬래브(P10)에서 위생기구인 양변기(1)와 세면기(2), 욕실(3) 등이 설치되는 바닥에만 형성된 방수판재(100) 위의 배관공간(S20) 내에 설치되어 있어, 오수 및 배수에 따른 소음이 아래층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층간 소음을 줄여주어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아래층 세대의 욕실 천장에서 배관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아래층 세대의 간섭없이 배관 설치작업이 가능하고 마감처리 상태도 매우 깔끔하게 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면 측 벽체(10B)는 수직배수관(5)이 설치되는 파이프샤프트(PS) 영역(S10)과 해당 세대의 실내 영역을 구분하는 벽체이며, 기타 벽체는 욕실바닥 슬래브(P10)를 한정하는 벽체이다.
상기 방수판재(100)는 욕실바닥 슬래브(P10)에 부착되며, 내측에 바닥판(101)과, 내측 가장자리에서 위로 절곡 형성되는 방수막(103)로 구성된다. 상기 방수판재(100)는 TPR(Thermoplastic Resin) 등의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 벽판넬(20F, 20B, 20L, 20R)을 설치한다. 상기 벽판넬(20F, 20B, 20L, 20R)은 상기 벽체(10F, ,10B, 10L, 10R)의 방수막(103) 내면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방수판재(100)의 일측에는 상기 오수관(40), 배수관(50)을 통과시키기 위한 각각의 관통공(미도시)이 천공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면측 벽판넬(20L)은 배면측 벽체(10L)와의 사이에 세면기(2)의 배수구(32)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S)을 형성하도록 이격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배면측 벽판넬(20L)은 그 전체 높이에 걸쳐서 배면측 벽체(10R)와 이격 설치할 수도 있으나, 도시 예와 같이 상반부는 배면측 벽체(10L)에 밀착되고, 하부만 배면측 벽체(10L)에서 이격시키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판넬(20F, 20B, 20L, 20R)들의 하단부는 상기 방수판재(100)의 방수막(103) 내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벽판넬(20F, 20B, 20L, 20R)의 상단에는 천정판넬(미도시)이 조립된다.
상기 천정판넬(미도시)은 위층 세대의 바닥 슬래브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오수관(40)과 배수관(50)과 양변기(1)의 배수구(31)와 세면기(2)의 배수구(32) 및 욕실(3)의 배수구(33) 및 배수트랩(35)을 설치한다.
상기 오수관(40)은 상기 배면측 벽판넬(20B)과 배면측 벽체(10B)를 관통하여 파이프샤프트(PS) 영역(S10)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수관(50)은 방수판재(100) 상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방수판재(100)의 방수막(103)과 배면측 벽판넬(20B) 및 배면측 벽체(10B)를 관통하여 수직오수관(4)과 수직배수관(5)이 있는 파이프샤프트(PS) 영역(S10)으로 연장된다.
상기 양변기(1)의 배수구(31)는 오수관(40)에 연결된다.
상기 세면기(2)의 배수구(32) 및 욕조(3)의 배수구(33)는 배수트랩(35)을 통해 배수관(50)에 연결된다.
또한 바닥난방 적용시 상기 방수판재(100) 위에 난방배관(60)을 설치한다. 상기 난방배관(60)은 방수판재(100)의 상부에서 위로 이격 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방수판재(100)는 방수막(103)의 일측에 방수판재(100)의 바닥판(101)에 고일 수 있는 침출수를 방출하는 침출수 방출관(110)을 상기 수직배수관(5)이 설치된 설치영역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하도록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방수판재(100)는 상기 방수막(103)에 상기 오수관(40)과 배수관(50) 및 침출수 배출관(110)을 관통하는 관통공(미도시)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방수판재(100)의 상부에 오수관(40) 및 배수관(50)을 매립하는 경량기포콘크리트(200)가 타설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200)는 콘크리트에 기포를 주입하여 단위중량을 줄인 콘크리트를 말하는 것으로, 기포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일단은 가볍고 단열 성능도 있으며, 열저장 효과도 있어 난방배관 하부에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난방배관을 하는 데 많이 사용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200) 상부로 난방배관(60) 등이 매설되는 시멘트몰탈층(70)을 타설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오수관(40) 및 배수관(50), 양변기(1)의 배수구(31)와 세면기(2)의 배수구(32)와 욕조(3)의 배수구(33), 배수트랩(35)의 일부와 난방배관(60)은 시멘트몰탈층(70)에 매설된다.
상기 오수관(40)은 아래층 세대의 천정에 설치되지 않고, 해당 세대의 배면측 벽판넬(20B)과 배면측 벽체(10B)를 통해 파이프샤프트(PS) 영역(S10)으로 연장되어 수직오수관(4)에 설치되고, 상기 배수관(50)은 아래층 세대의 천정에 설치되지 않고, 해당 세대의 배면측 벽판넬(20B)과 배면측 벽체(10B)를 통해 파이프샤프트(PS) 영역(S10)으로 연장되어 수직배수관(5)에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배수관(50)은 아래층 세대의 천정에 설치되지 않고, 해당 세대의 욕실바닥 슬래브(P10) 상에서 방수판재(100) 위에 타설되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0)에 욕실 배수구(33)과 배수트랩(35)과 함께 매설되는 것이므로, 양변기(2)의 배수구(31), 세면기(3)의 배수구(32), 샤워실(4)의 배수구(33) 및 배수트랩(35)이 연결된 오수관(40)과 배수관(50) 등에서 발생하는 배수 소음 및 진동이 아래층 세대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벽판넬((20F, 20B, 20L, 20R)과 시멘트몰탈층(70) 위에는 벽 및 바닥 타일(80)이 부착된다. 이때 상기 배수트랩(35)은 바닥 타일(80) 위로 노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양변기 3 : 세면기
3 : 욕조 4 : 수직오수관
5 : 수직배수관 P1 : 세대 바닥 슬래브
P10 : 욕실바닥 슬래브 S10 : 파이프샤프트(PS) 영역
S20 : 배관공간 10F, 10B, 10L, 10R : 벽체
20F, 20B, 20L, 20R : 벽판넬 31, 32, 33 : 배수구
40 : 오수관 50 : 배수관
60 : 난방배관 70 : 시멘트몰탈층
80 : 바닥 타일 90 : 벽 타일
100 : 방수판재 101 바닥판
103 : 방수막 110 : 침출수 배출관
200 : 경량기포콘크리트층

Claims (3)

  1. 해당 세대 바닥 슬래브(P1)보다 낮게 시공된 욕실바닥 슬래브(P10)와; 상기 욕실바닥 슬래브(10)의 가장자리와 상기 해당 세대 바닥 슬래브(P1)를 연결하며 오수관(40)과 배수관(50)이 관통하는 벽체(10B)와; 상기 벽체(10B)의 일측에 구비되어 수직오수관(4)과 수직배수관(5)이 설치되는 파이프샤프트(PS) 영역(S10)을 포함하는 조립식 욕실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욕실바닥 슬래브(P10)에 씌워지는 바닥판(101)과, 상기 바닥판(101)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벽체(10B)에 밀착되며 상기 오수관(40)과 배수관(50)이 관통되는 방수막(103)과, 상기 바닥판(101)과 방수막(103)에 의하여 형성되는 배관공간(S20)을 가지는 방수판재(100)와;
    상기 배관공간(S20) 내에 타설되어 상기 오수관(40)과 배수관(50)을 매립하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0)을 포함하는 조립식 욕실의 설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10B)와 방수막(103)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배수관(5)에 연결되어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0)을 통하여 상기 방수판재(100)의 방수막(103)에 고이는 침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침출수 배출관(1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0)은 상기 세대 바닥 슬래브(P1)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0)의 상면에는 난방배관(60)과 상기 난방배관(60)을 매립하는 시멘트몰탈층(70)이 구비되며,
    상기 시멘트몰탈층(70)의 상면에는 욕실바닥 타일(80)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20110039343A 2011-04-27 2011-04-27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1218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343A KR101218810B1 (ko) 2011-04-27 2011-04-27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343A KR101218810B1 (ko) 2011-04-27 2011-04-27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494A true KR20120121494A (ko) 2012-11-06
KR101218810B1 KR101218810B1 (ko) 2013-01-04

Family

ID=47507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343A KR101218810B1 (ko) 2011-04-27 2011-04-27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81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95922A (zh) * 2012-11-28 2013-03-27 王浩迅 多系统集成智能整体卫间
CN103233596A (zh) * 2013-04-19 2013-08-07 深圳海龙建筑制品有限公司 预制卫生间及其生产方法
KR101469385B1 (ko) * 2013-09-30 2014-12-04 이화인 층간 소음 방지용 배관 케이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60043423A (ko) 2014-10-13 2016-04-21 정일테크 (주) 조립식 세면 욕실의 건식 뜬바닥 보강 구조
KR20160068312A (ko) 2014-12-05 2016-06-15 정일테크 (주) 조립식 세면 욕실의 건식 뜬바닥 보강 구조
CN110541467A (zh) * 2019-09-30 2019-12-06 贵州群之英科技铸造有限公司 一种装配式集成卫生间防水底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975B1 (ko) * 2015-03-10 2015-07-22 정일테크 (주) 바닥 구조물 내부 배수 배관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1806225B1 (ko) * 2016-11-02 2017-12-07 김종국 좌변기 및 세면대 설치용 프레임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7233B1 (ko) * 1994-12-07 1998-09-15 김주용 전화기 조작에 의한 광 catv가입자 장치
KR100865483B1 (ko) * 2007-03-21 2008-10-27 이현배쓰(주) 조립식 욕실의 바닥층 방수구조 시공방법
KR101064614B1 (ko) * 2009-01-07 2011-09-16 이현배쓰(주)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95922A (zh) * 2012-11-28 2013-03-27 王浩迅 多系统集成智能整体卫间
CN103233596A (zh) * 2013-04-19 2013-08-07 深圳海龙建筑制品有限公司 预制卫生间及其生产方法
CN103233596B (zh) * 2013-04-19 2016-03-02 深圳海龙建筑制品有限公司 预制卫生间
KR101469385B1 (ko) * 2013-09-30 2014-12-04 이화인 층간 소음 방지용 배관 케이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60043423A (ko) 2014-10-13 2016-04-21 정일테크 (주) 조립식 세면 욕실의 건식 뜬바닥 보강 구조
KR20160068312A (ko) 2014-12-05 2016-06-15 정일테크 (주) 조립식 세면 욕실의 건식 뜬바닥 보강 구조
CN110541467A (zh) * 2019-09-30 2019-12-06 贵州群之英科技铸造有限公司 一种装配式集成卫生间防水底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810B1 (ko) 201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810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20110075701A (ko) 층상 배관용 조립식 세면욕실
KR101150282B1 (ko) 층상 배수 시스템
KR100967788B1 (ko)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
KR20100070745A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20140049220A (ko) 조립식 욕실의 층하배관 방수용 배수소켓
KR20160101767A (ko) 경량화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35564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1064614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1290817B1 (ko)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
KR20080017112A (ko) 방수 저소음 형 화장실 통합 독립 스리브 부착 통합트랩(에어 덕트, 벽식 양변기 고정대 부착형 ) (kkttss)
KR101219145B1 (ko)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
KR100926825B1 (ko) 다층건축물의 욕실구조
KR101081970B1 (ko) 다층건물 욕실의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1393529B1 (ko) 층상 배관용 배관 안치대
KR101313848B1 (ko) 평슬라브 층상 배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 슬리브
KR20170002282U (ko) 층상배관용 바닥배수장치
KR102104940B1 (ko)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욕실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0981324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시공방법 및 그 세면욕조실
KR100918851B1 (ko) 층상 배수 배관용 설치틀
KR200480115Y1 (ko)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EP3399113A1 (en) Plumbing unit
KR101089087B1 (ko) 층상 배관용 방수판
KR101677028B1 (ko) 평슬라브형 층상배관 시스템 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 안치틀
KR20150127331A (ko) 리모델링용 층상배관 욕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