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539A - 미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539A
KR20120117539A KR1020110035350A KR20110035350A KR20120117539A KR 20120117539 A KR20120117539 A KR 20120117539A KR 1020110035350 A KR1020110035350 A KR 1020110035350A KR 20110035350 A KR20110035350 A KR 20110035350A KR 20120117539 A KR20120117539 A KR 20120117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bran
rice
skin
raw material
l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9680B1 (ko
Inventor
서용교
한길환
윤종국
김재만
이규현
권선영
우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Priority to KR1020110035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680B1/ko
Publication of KR20120117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미강 추출물은 Collagenase, Elastase 및 Tyrosinase 활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는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미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a leaf extract of rice bran showing skin whitening and anti-wrinkle activity}
본 발명은 피부미백 및 주름 개선을 나타내는 미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Juliano BO. 1985. Rice bran. In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2nd ed. Julian BO,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 Inc., St. Paul MN. p647.
[문헌 2] Qureshi, A.A.,B. A. Bradlow, L. Brace, J.Manganello, D.M. Peterson, B.C. Pearce, J.J.K. Wright, A. Gapo, and C.E. Elson. 1995. Lipids 30: 1171-1177.
[문헌 3] Han HK, Choi SS, Shin JC< Chung HS(2007) A study on single oral dose toxicity of highly-developed anthocyanin-pigmented rice varieties. J. Kor. Soc. Food Sci. Nutr. 36:527-533.
[문헌 4] Kitani K, Minami C, Yamamoto T, Kanai S, Ivy GO, Carrillo MC. 2002.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in aging and age-associated disorders: Potentials of propargylamines for human use. Ann. N. Y. Acad. Sci. 959: 295-307.
[문헌 5] Kong SH, Choi YM, Lee S, Lee JS. 2008.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milling fractions of black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815-819.
[문헌 6] Seo SJ, Choi YM, Lee SM, Kong SH, Lee JS. 2008. Anto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some specialty 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9-135.
쌀(Oryza sativa L.)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아프리카 및 라틴 아프리카 지역의 주식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는 하루 섭취열량의 절반이상을 섭취하고 있는 중요한 곡류이다.
미강은 현미에서 백미로 정미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쌀겨와 쌀눈으로 이루어진 속껍질 가루를 이르며 쌀의 영양성분을 분석하면 쌀겨부분에 29%, 쌀눈에 66%, 그리고 백미라고 일컫는 쌀에는 5%의 영양이 분포되어 있어 쌀의 영양분의 대부분인 95%가 쌀겨와 쌀눈으로 구성된 미강에 있다 (Juliano BO. 1985. Rice bran. In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2nd ed. Julian BO,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 Inc., St. Paul MN. p647).
이러한 미강은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내장의 연동운동 활성화로 숙변제거 및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감소로 고혈압, 동맥경화 치유효과, 뇌세포의 기능을 활발하게 하여 집중력과 기억력 향상의 기능 등 다양하게 인체에 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Qureshi, A.A.,B. A. Bradlow, L. Brace, J.Manganello, D.M. Peterson, B.C.Pearce, J.J.K. Wright, A. Gapo, and C.E. Elson. 1995. Lipids 30: 1171-1177).
현미는 다른 곡류에 비해 인슐린 분비를 자극하지 않아서 인체지방의 합성과 축적이 억제되어 비만을 예방할 수 있고 혈당량의 급격한 증가를 초래하지 않아 당뇨병의 예방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미강이 콜라게나제(Collagenase), 엘라스타제(Elastase) 및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내고 항산화 활성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을 갖는 미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주름 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 효과를 갖는 미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추출물은 감마오리자놀 및 페눌릭산을 다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미강을 수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분도별 미강은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미강은 미강제조기(DCH-600, (주)대원GSI)를 사용하여 제조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현미를 세척 후 색채선별기에 넣어 불량 현미를 분리해낸 후, 승강기에 의해 원료탱크로 이송되는 제 1단계; 상기 단계에서 원료탱크로 이송된 현미를 승강기에 의해 1차 미강제조기로 이송한 후, 1차 미강제조기에서 2분도 미강을 분리하는 제 2단계; 상기 단계에서 1차 미강 분리한 원료는 승강기에 의해 2차 미강제조기로 이송된 후, 2차 미강제조기에서 4분도 미강을 분리하는 제 3단계; 상기 단계에서 2차 분리된 미강 원료는 승강기에 의해 3차 미강제조기로 이송된 후, 3차 미강제조기에서 6분도 미강을 분리한 뒤, 단계별 분리 미강 및 백미를 회수하는 제 4단계의 제조공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미강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강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수득한 미강을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섞은 다음에 2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의 온도에서 12시간 내지 5일, 바람직하게는 1일 내지 3일 동안 침적시켜 열수 추출, 50% 에탄올 추출, 에탄올 추출, 환류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환류냉각 추출의 추출방법으로 1회 내지 5회 반복하여 추출물을 수득한 후, 감압여과하고 동결 건조하여 본 발명의 미강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미강은 쌀겨 및 쌀눈으로 이루어진 속껍질 가루로서, 미강제조기, 바람직하게는 (주)대원GSI사 미강제조기로 1 내지 10분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분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분도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수득되는 미강 추출물을 대상으로 한 콜라게나제(Collagenase), 엘라스타제(Elastase) 및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내고 항산화 활성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의 제공에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물은 Collagenase, Elastase 및 Tyrosinase 활성 억제효과를 확인한 결과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피부에 적용시 안전성에도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수득한 미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피부 외용제 제형으로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형태의 약학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미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의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위한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 등의 화장품류,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미용팩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 중량 백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 중량 백분율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Collagenase, Elastase 및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바, 미백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단계병 미강 제조공정을 나타낸 도이며;
도 2는 MTT 어세이에 의한 섬유아세포주인 NIH3T3 세포생육에 대한 분도에 따른 미강의 추출물의 세포 생존력을 나타낸 도이며 (상기 데이터는 Mean±SD로서 표현되었고 그 결과는 3가지 이상의 독립적인 실험을 대표함 (P<0.05));
도 3은 MTT 어세이에 의한 melanoma 세포주 B16F10 세포생육에 대한 분도에 따른 미강의 추출물의 세포 생존력을 나타낸 도이며 (상기 데이터는 Mean±SD로서 표현되었고 그 결과는 3가지 이상의 독립적인 실험을 대표함 (P<0.05));
도 4은 피부 노화의 예방을 위한 미강의 collagenase 저해활성의 효과를 나타낸 도이며(상기 데이터는 Mean±SD로서 표현되었고 그 결과는 3가지 이상의 독립적인 실험을 대표한다 (P<0.05));
도 5은 피부 노화의 예방을 위한 미강의 Elastase 저해활성의 효과를 나타낸 도이며 (상기 데이터는 Mean±SD로서 표현되었고 그 결과는 3가지 이상의 독립적인 실험을 대표함(P<0.05));
도 6은 피부 노화의 예방을 위한 미강의 Tyrosinase 저해활성의 효과를 나타낸 도이며 (상기 데이터는 Mean±SD로서 표현되었고 그 결과는 3가지 이상의 독립적인 실험을 대표함(P<0.05);
도 7은 피부 노화의 예방을 위한 미강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낸 도이며 (상기 데이터는 Mean±SD로서 표현되었고 그 결과는 3가지 이상의 독립적인 실험을 대표함 (P<0.05);
도 8은 피부 노화의 예방을 위한 미강의 SOD-like 활성을 나타낸 도이며 (상기 데이터는 Mean±SD로서 표현되었고 그 결과는 3가지 이상의 독립적인 실험을 대표함 (P<0.05);
도 9은 피부 노화의 예방을 위한 미강의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을 나타낸 도이며 (상기 데이터는 Mean±SD로서 표현되었고 그 결과는 3가지 이상의 독립적인 실험을 대표함 (P<0.05);
도 10은 HPLC에 의해 측정된 미강 추출물로부터 나온 γ-oryzanol의 기능성 성분상을 나타낸 도이며;
도 11은 HPLC에 의해 측정된 미강 추출물로부터 나온 ferulic acid의 기능성 성분상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단계별 미강 제조 공정
현미(고령 RPC, 경북)를 세척 후 색채선별기(N84-070104, (주)대원 GSI)에 넣어 불량 현미를 분리해낸 후, 승강기에 의해 원료탱크로 이송하였다. 승강기에 의해 1차 미강제조기(DCH-600, (주)대원 GSI)로 이송된 현미를 1차 미강제조기에서 2분도 미강을 분리하였다. 1차 미강 분리 후 원료는 승강기에 의해 2차 미강제조기(DCH-600, (주)대원 GSI)로 이송된 후, 2차 미강제조기에서 4분도 미강을 분리하였고, 상기 단계에서 2차 미강 분리 후 원료는 승강기에 의해 3차 미강제조기(DCH-600, (주)대원 GSI)로 이송된 후, 3차 미강제조기에서 6분도 미강을 분리한 뒤, 단계별 분리 미강 및 백미를 회수하는 제 4단계의 제조공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미강을 수득할 수 있다(도 1 참조).
실시예 2. 미강 분도별 수율측정
실시예 1의 미강처리 시스템에서 미강의 분도별 수율을 측정하기 위해 현미 6Kg을 측량하여 분도별 처리후 미강의 수율을 측정한 결과 표 1과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2도 미강에 있어서는 약 500g의 수율을 나타내었으며, 4도 미강에 있어서는 106g의 수율을 나타내었으며, 6분 미강에 있어서는 120g의 수율함량을 나타내었다.
미강 분쇄별 수율 (g)
2분 499.3±11.54
4도 106.6±11.55
6도 미강 120.0±12.00
실시예 3. 미강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미강 100g에 물 1ℓ, 50% 에탄올 및 95% 에탄올을 사용하여 3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의 온도에서 12시간 내지 5일, 바람직하게는 1일 내지 3일 동안 침적시켜 환류냉각 추출의 추출방법으로 1회 내지 3회 반복하여 추출물을 수득한 후, 감압여과하고 동결 건조하여 미강의 열수추출물 30g(이하, “RB-W”라 함), 50% 에탄올 추출물 20g (이하, “RB-50E”라 함) 및 100% 에탄올 추출물 8g (이하, “RB-E”라 함)을 각각 수득하였다.
참고예 1. 단계별 미강 제조 시스템
단계별 미강제조기는 첨부된 도면에 의해 주관기관인 (주)대원GSI의 기계 제작부((M250B0110037,미강 다단계 생산 시스템))에서 제작하여 바이오텍사업부의 생산시설에 설치하였다.
참고예 2. 단계별 미강 제조
단계별 미강제조 시스템에 의거하여 미강을 1단계 미강(9~10분도 제조시 발생 미강), 2단계 미강(8~9분도 제조시 발생 미강), 3단계 미강(7~8분도 제조시 발생 미강)으로 제조한 후 항산화, 미백 및 기능성 성분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참고예 3. 시료처치
하기 실험예에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3에서 얻은 미강에탄올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증류수에 0.1mg/ml, 1mg/ml, 5mg/ml 으로 제조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참고예 4. 세포배양
NIH3T3는 마우스의 섬유아세포주이며, B16F10는 마우스의 멜라노마(melanoma) 세포주로 한국 세포주 은행에서 구입하였다. 구입한 세포는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에 5% heat-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 (FBS; GibcoBRL)과 gentamicin (50mg/ml)을 첨가한 배지를 사용하여 37℃, 5%의 CO2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예 1. 세포 생존력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시료의 세포 생존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 문헌의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Han HK, Choi SS, Shin JC< Chung HS(2007) A study on single oral dose toxicity of highly-developed anthocyanin-pigmented rice varieties. J. Kor. Soc. Food Sci. Nutr. 36:527-533).
1-1. 세포 생존력 측정(1)
세포를 96-well plate에 8 X 104cells/ml로 분주하여 안정화시킨 후 미강 추출물을 농도 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 한 다음 배지를 제거한 후 MTT 용액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0.5mg/ml)을 첨가하여 37℃에서 2시간 동안 CO2배양기에서 반응시키면 불용성의 결정이 생성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불용성 결정을 dimethylsulfoxide (DMSO)로 완전히 녹인 다음,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70nm의 파장에서 측정하였다. 이렇게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미강의 세포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미강은 0.1, 1, 5mg/ml 농도로 배지에 첨가한 후 세포 생존율을 MTT assay로 측정하였다.
미강의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 세포주 모두 5mg/ml에서 EtOH 추출물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세포독성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이후 실험에서는 미강의 농도를 독성을 갖지 않는 최대 농도를 설정하여 항산화, 주름 개선 및 미백 효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1-2. 세포 생존률 측정(2)
마우스의 섬유아세포주인 NIH3T3 와 melanoma 세포주 B16F10 세포생육에 대해 미강을 절단 두께별로 분리하여 용매 별로 열수, EtOH 50, 100%로 추출하여 각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여 보았다.
상기 실험 결과, 2, 4, 6분도의 미강 두께에 의한 세포생존력에서는 차이점을 찾을 수 없었으며 5mg/ml 농도에서 EtOH 추출물의 경우 생존율이 20% 수준으로 떨어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도 2 ; 도 3 참조).
실험예 2. 피부 항노화 활성 측정( In vitro )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시료의 피부 항노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 문헌의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Kitani K, Minami C, Yamamoto T, Kanai S, Ivy GO, Carrillo MC. 2002.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in aging and age-associated disorders: Potentials of propargylamines for human use. Ann N Y Acad Sci 959: 295-307.).
2-1. Collagenase 저해활성 측정
피부 노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collagenase저해활성 측정은 아래와 같이 측정하였다. 즉 반응구는 0.1M Tris-HCI buffer (pH 7.5)에 4mM CaCl2를 첨가하여, 4-phenylazobenzyloxycarbonyl-Pro-Leu-Gly-Pro-Arg (0.3mg/ml)를 녹인 기질액 0.25ml 및 시료용액 0.1ml 의 혼합액에 collagenase (0.2mg/ml) 0.15m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한 후 6% citric acid 0.5ml을 넣어 반응을 정지시킨 후, ethylacetate 1.5ml을 첨가하여 상등액을 3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ollagenase 저해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 결과, 도 4에서와 같이 2분도 미강을 50%, 및 100% EtOH로 추출한 추출물 5mg/ml에서 60% 가까운 콜라게나제(collagenase) 활성 저해력을 나타내었다.
2-2. 엘라스타제 ( Elastase ) 저해 활성 측정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포신 판크레아스 엘라스타제(porcine pancreas elastase) 저해 활성 측정은 기질로서 N-succinyl-(L-Ala)3-p-nitoanilide(S4760, Sigma)를 사용하여 37℃에서 30분간 p-nitoanilide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각 시험용액을 일정 농도가 되도록 조제하여 0.1ml씩 시험관에 취하고 50mM Tris-HCl buffer (pH 8.6)에 녹인 elastase, pancreatic solution, Type I : From Porcine Pancreas (0.6units/ml)용액 0.05ml을 가한 후 기질로 50mM Tris-HCl buffer (pH 8.6)에 녹인 N-succinyl-(L-Ala)3-p-nitoanilide(1mg/ml)을 0.1 ml 첨가하여 30분간 반응시켜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10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Elastase 저해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 결과, 도 5에서와 같이 EtOH 100%로 2, 4, 6 분도의 미강과 쌀눈을 대상으로 엘라스타제(elastase) 저해력을 확인한 결과, 30%의 저해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2-3.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
피부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활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즉 시험관에 pH 6.8의 1/15M sodium phosphate buffer 0.5ml에 10mM L-DOPA을 녹인 기질액 0.2ml 및 시료용액 0.1ml 를 넣은 혼합액에 110 Unit/ml mushroom tyrosinase (T3824, Sigma) 0.2ml를 첨가하여 25℃에서 2분간 반응시켜 반응액 중에 생성된 DOPA chrome을 microplate reader(Sunrise-Basic Tecan, Austria)를 이용하여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 결과, 2, 4, 6, 분도의 미강과 쌀눈에 대한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4분도에서 30% 이상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도 6 참조).
실험예 3. 항산화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 문헌의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Kong SH, Choi YM, Lee S, Lee JS. 2008.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milling fractions of black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815-819).
3-1. 전자공여( DPPH ) 활성 측정
각 시료의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에 대한 전자공여 효과로써 시료의 환원력을 측정 하였다. 즉 각 추출물을 농도 별로 제조한 시료 1ml 에 0.4mM DPPH 용액 0.5ml 를 가하고, 10초간 vortex mixing 후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이 반응액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17nm 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 미강은 2, 4, 6분도와 쌀눈 EtOH 100% 추출물에서 DPPH radical 소거작용이 우수하였고, 5mg/ml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DPPH radical 소거 효과를 나타내었다. 미강 역시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왕겨초액과 미강 자체가 항산화 작용이 높고 피부에서 흔히 일어나는 활성산소에 대한 노화를 방지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도 7 참조).
3-3. SOD - like 활성 측정
각 시료 0.2mL 에 pH 8.5로 보정한 Tris-HCl buffer (50mM tris[hydroxymethyl] aminomethane+10 mM EDTA) 3ml 와 7.2mM pyrogallol 0.2ml 를 가하고 25℃에서 10분간 방치 후 1 N HCl 1ml로 반응을 정지 시킨 후 microplate reader 를 이용하여 420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본 실험 결과, 미강의 2, 4, 6 분도의 쌀눈을 분리하여 SOD-like 활성을 측정하여 60% 이상의 억제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6 분도의 경우 70% SOD-like 활성을 확인하였다 (도 8 참조).
3-4.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측정
시료용액 0.1ml 와 pH 7.5의 0.1M potassium phosphate buffer 0.6ml에 2mM xanthine을 녹인 기질액 0.2ml를 첨가하고 0.2unit/ml xanthine oxidase 0.1ml를 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1N HCl 1ml를 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킨 다음, 반응액 중에 생성된 uric acid를 292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Xanthin oxidase 저해 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본 실험 결과, 미강의 2, 4, 6 분도 및 쌀눈을 분리하여 크산틴 옥시다제(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80% 이상의 억제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9 참조).
참고예 4. 통계 처리
본 연구는 독립적으로 3회 이상 반복 실시하여 실험한 결과로 모든 실험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표기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은 Student’s t-test로 하였으며, p값이 0.05 미만 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실험예 4. 미강의 기능성 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시료의 기능성 성분 분석을 위하여 하기 문헌의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Seo SJ, Choi YM, Lee SM, Kong SH, Lee JS. 2008. Anto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some specialty 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9-135).
미강 추출물을 제조하여 효능 실험결과물을 이용하여 ferulic acid 및 γ-oryzanol의 기능성 성분을 HPLC를 이용하여 함량을 측정하였다. 먼저γ-oryzanol은 시료 100mg에 ascorbic adic 100mg, ethanol 5mL, KOH로 비누화를 유도한후 Hexane 5mL와 물 5mL를 첨가하여 강하게 진탕하여 상층액을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ferulic acid는 시료 100mg에 메탄올 3mL를 첨가하여 0.45μm filteration 후 HPLC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HPLC(Shimadzu, Koyto, Japan)에 전처리 시료 20μL를 주입하여 분석하였으며, 기능성 성분은 C18 column을 이용하여, acetonitrile, dichloromethane 및 acetic acid(88:6:6)의 용매조건에서 분석하였다.
미강의 분도에 따른 추출물의 활성 측정결과, 2, 4 및 6분도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항산화 및 미백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미강 추출물의 기능성성분으로 오리자놀과 페눌릭에시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4 및 6분도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감마오리자놀 함량과 페눌릭에스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에 4 및 6분도 10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미강팩을 개발하였다(표 2 ; 도 10 ; 도 11 참조).
추출물의 기능성 성분 함량
γ-oryzanol contents (ppm) ferulic acid contents (ppm)
1 12.13±0.02 223.14±3.27
2 0 72.75±0.44
3 109.24±0.82 186.46±1.13
4 130.67±1.17 172.18±2.77
5 184.32±0.64 73.61±0.69
6 30.43±0.12 0
1 : 2 water extract
2 : 2 50% ethanol extract
3 : 2 100% ethanol extract
4 : 4 100% ethanol extract
5 : 6 100% ethanol extract
6 : 쌀눈 100% ethanol extract
본 발명의 미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제의 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조예 1. 유연 화장수( 스킨 )의 제조
미강 에틸알코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연 화장수(스킨)의 제조예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번호 원료 단위 : 중량 %
1 RB-E 2.0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 글리콜 2.0
4 프로필렌 글리콜 2.0
5 폴리옥시에칠렌(60)경화 피마자유 1.00
6 에탄올 10.0
7 트라이에탄올아민 0.1
8 방부제 미량
9 색소 미량
10 향료 미량
11 정제수 잔량
합 계 100
제조예 2. 영양화장수(로션)의 제조
미강 에틸알코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화장수(로션)의 제조예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번호 원료(중량 %) 단위 : 중량 %
1 RB-E 2.0
2 시토 스테롤 1.7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0
4 세라마이드 0.7
5 세테아레스-4 1.2
6 콜레스테롤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8 농글리세린 5.0
9 선플라우어오일 10.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1 산탄검 0.3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합 계 100
제조예 3. 영양크림의 제조
미강 에틸알코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제조예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번호 원료(중량 %) 단위 : 중량 %
1 RB-E 3.0
2 시토 스테롤 4.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3.0
4 세라마이드 0.7
5 세테아레스-4 2.0
6 콜레스테롤 3.0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8 농글리세린 5.0
9 선플라우어오일 22.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11 트라이에탄올아민 0.5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합 계 100
제조예 4. 에센스의 제조
미강 에탈알코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제조 예를 표 6에 나타내었다.
번호 원료(중량 %) 단위 : 중량 %
1 RB-E 0.05
2 시토스테롤 1.7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0
4 세라마이드 0.7
5 세테아레스-4 1.2
6 콜레스테롤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8 농글리세린 5.0
9 선플라우어오일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1 산탄검 0.2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합 계 100
제조예 5. 유화형 파운데이션의 제조
미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화형 파운데이션의 제조예를 표 7에 나타내었다.
번호 원료(중량 %) 단위 : 중량 %
1 RB-50E 2.0
2 밀납 2.0
3 사이크로메치콘 2.0
4 유동파라핀 5.0
5 스쿠알란 5.0
6 스테아린산 2.0
7 친유성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3.0
8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4.0
9 글리세린 4.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11 부틸렌글리콜 3.0
12 트라이에탄올아민 1.0
13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케이트 0.5
14 안료 12
15 방부제 미량
16 향료 미량
17 정제수 잔량
합 계 100
제조예 6. 친수성 연고제의 제조
번호 원 료 함량(중량%) 함량(중량%)
1 RB-W 0.5 -
2 PIT-BU - 0.5
3 백색 바세린 250 250
4 스테아릴 알콜 220 220
5 에칠(또는 메칠)p-옥시벤조에이트 0.25 0.25
6 프로필렌 글리콜 120 120
7 라우릴 황산 나트륨 15 15
8 프로필 p-옥시벤조에이트 0.15 0.15
제조예 7. 미강팩의 제조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정제수 잔량
2 미강추출물 10
3 폴리비닐알코올 9.0
4 에탄올 8.5
5 부틸렌글리콜 3.0
6 글리세린 5.5
7 디메치콘 1.0
8 히아루론산 1.0
9 판테놀 0.5
10 잔탄검 0.3
11 EDTA-2Na 0.1
12 방부제 미량
합계 100

Claims (7)

  1. 미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 외용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강은 미강제조기(대원 GSI)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도별 미강은 현미를 세척 후 색채선별기에 넣어 불량 현미를 분리해낸 후, 승강기에 의해 원료탱크로 이송되는 제 1단계; 상기 단계에서 원료탱크로 이송된 현미를 승강기에 의해 1차 미강제조기로 이송한 후, 1차 미강제조기에서 2분도 미강을 분리하는 제 2단계; 상기 단계에서 1차 미강 분리한 원료는 승강기에 의해 2차 미강제조기로 이송된 후, 2차 미강제조기에서 4분도 미강을 분리하는 제 3단계; 상기 단계에서 2차 미강 분리한 원료는 승강기에 의해 3차 미강제조기로 이송된 후, 3차 미강제조기에서 6분도 미강을 분리한 뒤, 단계별 로 분리된 미강 및 백미를 회수하는 제 4단계의 제조공정으로 수득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또는 파스타제인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5. 미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미강은 미강제조기(대원 GSI)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린저,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미용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035350A 2011-04-15 2011-04-15 미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309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350A KR101309680B1 (ko) 2011-04-15 2011-04-15 미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350A KR101309680B1 (ko) 2011-04-15 2011-04-15 미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539A true KR20120117539A (ko) 2012-10-24
KR101309680B1 KR101309680B1 (ko) 2013-09-17

Family

ID=47285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350A KR101309680B1 (ko) 2011-04-15 2011-04-15 미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68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671B1 (ko) * 2012-08-27 2014-04-30 한국식품연구원 속미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화장료 조성물
KR101448805B1 (ko) * 2014-04-01 2014-10-10 한국식품연구원 속미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화장료 조성물
KR101462374B1 (ko) * 2013-05-13 2014-11-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정화된 쌀겨와 쌀눈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50113253A (ko) * 2014-03-27 2015-10-08 (주)현농 비타민 강화 미강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와 이의 제조방법
KR20150113252A (ko) * 2014-03-27 2015-10-08 (주)현농 비타민 강화 미강 추출물과 이를 이용한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16783A (ko) * 2019-04-02 2020-10-1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볏짚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72344A (ko) * 2020-11-25 2022-06-02 한상철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7172B1 (ko) * 2021-11-19 2022-12-12 하정우 쌀겨 추출물을 함유한 향기용 조성물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475B1 (ko) * 2015-06-09 2017-03-16 (주)뷰티화장품 미강, 카올린 및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필-오프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88148A (ko) 2017-01-26 2018-08-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미강 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7549A (ko) * 2005-12-23 2007-06-28 주식회사 두산 미강 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호 및 개선용조성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671B1 (ko) * 2012-08-27 2014-04-30 한국식품연구원 속미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화장료 조성물
KR101462374B1 (ko) * 2013-05-13 2014-11-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정화된 쌀겨와 쌀눈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50113253A (ko) * 2014-03-27 2015-10-08 (주)현농 비타민 강화 미강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와 이의 제조방법
KR20150113252A (ko) * 2014-03-27 2015-10-08 (주)현농 비타민 강화 미강 추출물과 이를 이용한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48805B1 (ko) * 2014-04-01 2014-10-10 한국식품연구원 속미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화장료 조성물
KR20200116783A (ko) * 2019-04-02 2020-10-1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볏짚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72344A (ko) * 2020-11-25 2022-06-02 한상철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7172B1 (ko) * 2021-11-19 2022-12-12 하정우 쌀겨 추출물을 함유한 향기용 조성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9680B1 (ko) 201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680B1 (ko) 미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513892B1 (ko) 단삼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에 유용한 유효 성분인 탄시논 i 및 탄시논 iia을 다향 함유한 정제물을 생산하는 제조방법
KR100773856B1 (ko) 나한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라이터펜계화합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626319B1 (ko) 동백오일 발효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00161B1 (ko)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종자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0805386B1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1001578B1 (ko) 산거울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알파-비니페린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191724B1 (ko) 대청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094306B1 (ko) 타이모퀴논류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179589B1 (ko)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o-메틸호노키올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888753B1 (ko)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865071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284899B1 (ko) 황기 펩타이드 숙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활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7529A (ko) 신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10939B1 (ko) 밀기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 조성물
KR101536224B1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20210123548A (ko)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
KR100622286B1 (ko)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3048A (ko) 아롱 부챗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의학적 조성물
KR101873244B1 (ko) 발아 오미자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염 조성물
KR101646347B1 (ko) 솔방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30073040A (ko) 지칭개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헤미스텝신(Hemistepsin) A 또는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498201B1 (ko) 몽우리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