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267A - 고객 위치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감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고객 위치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감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267A
KR20120117267A KR1020110034920A KR20110034920A KR20120117267A KR 20120117267 A KR20120117267 A KR 20120117267A KR 1020110034920 A KR1020110034920 A KR 1020110034920A KR 20110034920 A KR20110034920 A KR 20110034920A KR 20120117267 A KR20120117267 A KR 20120117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ensing device
touch
mat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8303B1 (ko
Inventor
한대희
윤정민
조산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10034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303B1/ko
Publication of KR20120117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1Time-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1Hardware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 위치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감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스 제공 시스템은, 압력센서와 터치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고정 설치되고, 상기 압력센서 또는 터치센서의 동작에 의해 외부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촉이 감지되면, 해당 접촉 감지 시간과 기 저장된 감지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촉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로부터 상기 접촉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접촉한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고유 식별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의 접촉 발생 시간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접촉 발생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접촉 감지 신호와 상기 접촉 발생 신호에 포함된 각 정보를 비교하여 상호 접촉이 이루어진 감지장치와 무선통신 단말기를 매칭시키고, 상기 매칭된 감지장치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객 위치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감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제어방법{SYSTEM FOR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POSITION OF CLI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PER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ERVICE PROVING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객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감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는 거의 모든 사람들이 휴대하는 보편적인 상품이 되었고,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이용하여 각 고객에게 각종 광고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고객의 위치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어야 하지만 그것이 여의치 않은 경우가 종종 발생하곤 한다.
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장착하지 않은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기지국과의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랜 통신을 하는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통해 개략적인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는 있으나 그 위치의 오차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GPS 모듈을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도 건물 내에서는 GPS 위성 신호 수신이 여의치 않기 때문에 해당 고객이 건물 내 몇 층 어느 위치에 있는지는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위치정보만을 가지고서는 실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즉, 그 사용 고객)의 위치를 정확히 판단하는데 문제가 있고, 이는 적절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각 고객에게 제공하는데 있어서 제한사항이 되고 있다.
특히, 여러 개의 가게들이 있는 건물 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 이용 고객들이 각 매장을 방문할 때마다 해당 매장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고객의 건물 내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어야하지만 종래의 GPS에만 기반한 방식으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의 위치에 기반하여 소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고객 위치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외부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촉이 감지되면, 해당 접촉 감지 시간과 기 저장된 감지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촉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접촉한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의 접촉 발생 시간과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촉 발생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접촉 감지 신호와 상기 접촉 발생 신호에 포함된 각 정보를 비교하여 상호 접촉이 이루어진 감지장치와 무선통신 단말기를 매칭시키고, 상기 매칭된 감지장치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고객 위치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외부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촉이 감지되면 해당 접촉 감지 시간과 기 저장된 감지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촉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무선통신 단말기에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상기 접촉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감지장치와 접촉한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해당 감지장치와의 접촉 발생 시간과,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촉 발생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접촉 감지 신호와 상기 접촉 발생 신호에 포함된 각 정보를 비교하여 상호 접촉이 이루어진 감지장치와 무선통신 단말기를 매칭시키고, 상기 매칭된 감지장치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는, 감지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저장부와; 현재시간을 판단하는 시간 판단부와;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구비된 센서부의 동작에 의해 외부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와; 상기 접촉 감지부의 접촉 감지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감지장치 식별자와 상기 시간 판단부에서 판단된 현재시간을 포함하는 접촉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촉을 감지하고 소정의 서비스 제공 서버와 통신하는 감지장치의 제어방법은, 외부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접촉이 감지된 시점의 현재시간을 판단하는 단계와; 기 구비된 감지 장치 식별자와 상기 판단된 현재시간을 포함하는 접촉 감지 신호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로부터 접촉 감지 시간과 감지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촉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접촉한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의 접촉 발생 시간과,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촉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수신한 접촉 감지 신호와 접촉 발생 신호에 포함된 각 정보를 비교하여 상호 접촉이 이루어진 감지장치와 무선통신 단말기를 매칭시키는 매칭부와; 상기 매칭된 감지장치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로부터 접촉 감지 시간과 감지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촉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접촉한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의 접촉 발생 시간과,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촉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접촉 감지 신호와 상기 수신한 접촉 발생 신호에 포함된 각 정보를 비교하여 상호 접촉이 이루어진 감지장치와 무선통신 단말기를 매칭시키는 단계와; 상기 매칭된 감지장치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어떠한 곳에 위치하거나 어떠한 매장 등을 방문하는지를 보다 정확히 알 수 있다. 특히 건물 내와 같이 GPS 모듈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경우에도 그 위치 파악 정확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는 그 구성이 압력센서나 터치 센서로 이루어짐으로써, 예를 들어 무선통신 단말기와의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고가의 가속도 센서에 비해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 단말기가 제공하는 위치 정보만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무선통신 단말기와 감지 장치가 접촉한 시간을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 및 감지장치로부터 각각 수신하여 분석함으로써, 감지장치의 위치에 기반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무선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의 무선통신 단말기를 고정 설치된 감지장치에 접촉할 때만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만 무선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수집되도록 한다.
또한, 감지장치의 위치정보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관리함으로써, 감지장치로부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의 일 예이고,
도 2는 도 1의 감지 장치의 기능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서비스 제공 서버의 기능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신호 및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위치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 단말기(400)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장치(100,100',100"), 무선통신 단말기(400)와 통신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나아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는 시간 정보 제공 장치(30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통신 단말기(400)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과 통신 기능이 구비된 것으로서,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Display) 등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한다.
즉,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무선통신 단말기(400)는 이동통신 기지국(510)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통신하는 것을 일 예로 하지만, 무선랜을 통해 인터넷망을 거쳐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통신할 수도 있는 등 그 통신방식은 다양하게 구성 가능하다.
또한, 무선통신 단말기(400)는 충격센서를 구비할 수 있는데, 여기서 충격센서는 무선통신 단말기(400)가 감지 장치(100,100',100")와 부딪히는 상태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충격센서는 3축 가속도 센서 또는 속도 센서로 이루어져 무선통신 단말기(400)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다 갑자기 멈추는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이처럼 무선통신 단말기(400)는 감지 장치(100,100',100")와 부딪히는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여 접촉 발생 시간과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촉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전송한다. 무선통신 단말기(400)의 접촉 발생 신호는 후술하는 감지 장치(100,100',100")의 접촉 감지 신호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그 감지 장치(100,100',100")의 접촉 감지 신호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어이다.
여기서 고유 식별자는 다른 단말기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로서 예를 들어 무선통신 단말기(400) 전화번호나 사용자 고유 정보 등에 해당할 수 있고, 접촉 발생 시간은 감지 장치(100,100',100")와 부딪히는 시점의 현재 시간을 의미하며, 위치 정보는 감지 장치(100,100',100")와 부딪히는 시점의 위치 좌표를 의미할 수 있다.
특히 무선통신 단말기(400)는 GPS 정보에 기초하거나 기지국 또는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통해 자신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데, 그 판단되는 위치 정보를 접촉 발생 신호에 포함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무선통신 단말기(400)가 자체적으로 판단하는 위치 정보는 상황에 따라 그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신호를 제대로 수신하기 어려운 건물 안이라거나, 또는 실외라도 배터리 용량을 고려한 무선통신 단말기(400) 설정 등에 따라 실시간으로 GPS 좌표를 산출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하한 경우라도 무선통신 단말기(400)는 감지 장치(100,100',100")와 부딪히는 시점에 현재 자신의 위치라고 판단되는 위치 정보를 접촉 발생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무선통신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와 자체적으로 판단하는 감지 장치(100,100',100")의 위치 정보 등의 비교를 통해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400)의 현재의 위치를 특정하게 된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감지 장치(100,100',100")와 부딪히는 상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무선통신 단말기(400)에 기 구비된 가속도 센서와 같은 충격센서에 의해 감지할 수 있다.
한편, 감지 장치(100,100',100")는 압력센서와 터치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예를 들어 매장 내의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장치로서, 그 구비된 압력센서 또는 터치센서의 동작에 의해 외부의 무선통신 단말기(400)의 접촉이 감지되면, 해당 접촉 감지 시간과 기 저장된 감지 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촉 감지 신호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압력센서는 외부로부터 누르는 압력이 가해지면 특정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스프링 등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평상시에는 탄성력에 의해 스위칭이 열려있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외부의 누름 압력에 따라 스위칭이 닫히게 되어 소정의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터치센서는 외부 물체의 터치 상태를 감지하면 특정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일 수 있는데, 특히 터치센서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적외선의 차단 여부에 따라 터치 상태를 감지하는 이용하는 방식이나 정전용량이 변경되는 상태를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압력센서와 마찬가지로 외부의 압력 누름을 감지하는 가압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감지 장치(100,100',100")는 자체적으로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를 구비하고 있는데, 시간 정보 제공 장치(300)로부터 시간 정보를 제공받아 정확한 시간으로 조정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감지 장치(100,100',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는데, 그 구성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감지 장치는 감지 단말기(101), POS(Point Of Sale)와 같은 결제 처리 단말기(1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감지 단말기(103), 그 감지 단말기(103)와 연결되는 컴퓨터(1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감지 장치 내에 모든 필요한 구성이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감지 장치(100) 단독으로 구성된 형태를 일 예로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감지 장치(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장치(100)는 저장부(150), 시간 판단부(160), 센서부(110), 접촉 감지부(120), 전송부(130), 판매 처리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저장부(150)에는 감지 장치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데, 감지 장치 식별자는 복수개의 감지 장치(100)를 서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고유 아이디에 해당한다.
시간 판단부(160)는 현재의 시간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시간 판단부(160)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타이머 구성 그 자체는 공지된 것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시간 판단부(160)는 시간 정보 제공 장치(300)와 통신하여 시간 정보를 수신한 후 현재 판단되는 시간을 보정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간 판단부(160)는 주기적으로 시간 정보 제공 장치(300)에 시간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센서부(110)는 압력센서와 터치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압력센서와 터치센서의 종류 및 그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접촉 감지부(120)는 센서부(110)의 동작에 의해 외부의 무선통신 단말기(400)의 접촉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센서부(110)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통신 단말기(400)의 접촉 여부를 감지한다.
전송부(130)는 접촉 감지부(120)가 무선통신 단말기(400)와의 접촉을 감지하게 되면 저장부(150)에 저장된 감지 장치 식별자와 시간 판단부(160)에서 판단된 현재시간을 포함하는 접촉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판매 처리부(140)는 사용자(예를 들어 감지 장치(100)가 구비된 매장의 점원)로부터 판매 가격(예를 들어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가격)을 입력받고 고객의 카드 정보를 감지하여 외부의 금융망의 금융 거래 서버와 통신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판매 처리부(140)는 일종의 결제 처리 장치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제 처리를 수행하여 매상금액을 정산해 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소매경영에 필요한 각종정보와 자료를 수집, 처리해 주는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예를 들어 인터넷망(600) 및 이동통신망(500)에 연결되어 감지 장치(100) 및 무선통신 단말기(400)와 통신하여 무선통신 단말기(400)(즉, 그 사용자)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장치이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제공하는 서비스에는, 감지 장치(100)에 대응되는 쿠폰 또는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여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400)에 전송하거나, 감지 장치(100)에 대응되는 포인트를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400)에 적립시키거나, 감지 장치(100)에 대응되는 구매 할인율을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400)에 적용하는 것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용한 정보로서 일종의 광고를 무선통신 단말기(400)에 전송하는 것도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해당할 수 있고, 반드시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것만이 아니라 할인된 금액으로 물품 등을 구매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도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해당할 수 있다.
이처럼,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무선통신 단말기(400)에 제공해주는 서비스는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400)의 현재의 위치에 기반한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장치(100)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그 적어도 하나의 감지 장치(100)와 접촉한 무선통신 단말기(400)로부터 접촉 발생 시간과,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촉 발생 신호를 수신하며, 그 수신한 접촉 감지 신호와 접촉 발생 신호에 포함된 각 정보를 비교하여 상호 접촉이 이루어진 감지 장치(100)와 무선통신 단말기(400)를 매칭시키고, 그 매칭된 감지 장치(100)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400)에 제공한다. 이때 감지 장치(100)와 무선통신 단말기(400)를 매칭시킬 때 위치 정보가 활용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구체적인 예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저장부(240), 신호 수신부(210), 매칭부(220), 서비스 제공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부(240)는 각 감지 장치 식별자에 매칭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서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신호 수신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장치(100)로부터 접촉 감지 시간과 감지 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촉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감지 장치(100)와 접촉한 무선통신 단말기(400)로부터 고유 식별자, 그 접촉 발생 시간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접촉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신호 수신부(210)와 무선통신 단말기(400) 및 감지 장치(100) 간의 통신 채널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감지 장치(100)와는 유선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고 무선통신 단말기(400)와는 기지국을 통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매칭부(220)는 수신한 접촉 감지 신호와 접촉 발생 신호에 포함된 각 정보를 비교하여 상호 접촉이 이루어진 감지 장치(100)와 무선통신 단말기(400)를 서로 매칭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무선통신 단말기(400)는 비슷한 시점에 서로 다른 감지 장치(100)와 접촉할 수 있는데, 매칭부(220)는 각 무선통신 단말기(400) 및 감지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접촉이 이루어진 무선통신 단말기(400)와 감지 장치(100)를 식별해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매칭부(220)는 접촉 감지 신호의 접촉 감지 시간과 접촉 발생 신호의 접촉 발생 시간을 비교하고, 접촉 감지 신호의 감지 장치 식별자에 매칭된 위치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로부터 추출한 후 접촉 발생 신호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소정의 범위 이내에서 일치하는 감지 장치(100)와 무선통신 단말기(400)를 상호 매칭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동일한 시간대(정확히 일치할 필요는 없고 기 설정된 값만큼의 오차를 가지는 시간대)라 판단되는 시점에 각기 다른 위치에 있는 A1이라는 무선통신 단말기(400)와 A2라는 무선통신 단말기(400)로부터 각각 접촉 발생 신호가 수신되고, 마찬가지의 동일한 시간대에 각기 다른 위치에 있는 B1이라는 감지 장치(100)와 B2라는 감지 장치(100)로부터 각각 접촉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매칭부(220)는 각 무선통신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와 각 감지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범위 이내로 동일한 장소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무선통신 단말기(400)와 감지 장치(100)를 서로 매칭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실제 접촉이 발생한 무선통신 단말기와 감지 장치는 예를들어 A1:B1, A2:B2와 같이 서로 매칭될 수 있다.
여기서 동일한 시간대라고 판단하기 위한 오차범위와 동일한 장소라고 판단하기 위한 오차범위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미리 저장될 수도 있고, 추후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부(230)는 매칭부(220)에 의해 매칭된 감지 장치(100)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그 감지 장치(100)에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4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부(230)는 감지 장치(100)에 대응되는 광고 콘텐츠를 저장부(240)로부터 추출하여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400)에 전송하거나, 감지 장치(100)에 대응되는 할인 쿠폰을 저장부(240)로부터 추출하여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400)에 전송하거나, 감지 장치(100)에 대응되는 포인트를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400)에 적립시키거나, 감지 장치(100)에 대응되는 구매 할인율 저장부(240)로부터 추출하여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400)에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적용된 구매 할인율에 대한 정보는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400) 또는 감지 장치(1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서비스 제공부(230)는 무선통신 단말기(400)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서비스로써 무선통신 단말기(4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시간 정보 제공 장치(300)는 감지 장치(100) 및 무선통신 단말기(400)와 상호 통신하는데, 감지 장치(100) 및 무선통신 단말기(400)에 시간 정보를 제공하여 감지 장치(100) 및 무선통신 단말기(400)의 시간 정보가 일치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시간 정보 제공 장치(300)는 감지 장치(100) 및 무선통신 단말기(4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하고 폴링 방식 또는 푸시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적인 제어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무선통신 단말기(400) 사용자가 소정의 매장 내의 특정 감지 장치(100)에 자신의 무선통신 단말기(400)를 툭 접촉(충격)하는 상황을 가정한다(단계 S1).
감지 장치(100)는 압력센서 또는 터치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 구비된 센서에 의해 무선통신 단말기(400)와 상호 접촉을 감지하면, 기 저장된 감지 장치 식별자를 추출하고 접촉 감지 시간을 생성하여(단계 S7), 추출한 감지 장치 식별자와 생성된 접촉 감지 시간을 포함하는 접촉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이어서 감지 장치(100)는 그 생성한 접촉 감지 신호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전송한다(단계 S9).
마찬가지로 무선통신 단말기(400)는 감지 장치(100)와 접촉이 발생하면 자신의 고유 식별자를 추출하고 접촉 발생 시간과 현재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그 추출한 고유 식별자와 생성한 접촉 발생 시간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접촉 발생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3). 이어서 무선통신 단말기(400)는 그 생성한 접촉 발생 신호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전송한다(단계 S5).
한편,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각 감지 장치(100)에 대해 감지 장치 식별자에 매칭된 위치 정보와 서비스 내용을 구비하고 있는데, 감지 장치(100)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와 무선통신 단말기(400)로부터 접촉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동일한 시간 또는 오차범위 내에서 동일한 시간대에 신호를 전송한 감지 장치(100)와 무선통신 단말기(400)를 선정한다(단계 S11).
즉, 접촉 감지 신호와 접촉 발생 신호에는 모두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그 포함된 시간 정보의 비교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오차범위 내에서 동일한 시간대에 신호를 전송한 감지 장치(100)와 무선통신 단말기(400)를 선정할 수 있다.
이어서 선정된 감지 장치(100)와 무선통신 단말기(400)가 복수 개인 경우에는 선정된 각 감지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기 저장되어 있던 정보로부터 추출하고(단계 S13), 그 추출한 위치 정보를 선정된 각 무선통신 단말기(400)가 전송한 접촉 발생 신호의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서로 접촉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감지 장치(100)와 무선통신 단말기(400)를 상호 매칭시킨다(단계 S15).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앞서 매칭된 감지 장치(100)에 대응하는 서비스 내용을 추출하여(단계 S17) 해당 감지 장치(100)에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400)에 전송한다(단계 S19).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할인 쿠폰을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무선통신 단말기(400)는 수신한 서비스 내용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단계 S21).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무선통신 단말기에 서비스 내용(예를 들어 쿠폰)을 전송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서비스 제공서버는 감지장치에 소정의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매장에 쿠폰 발행용 감지 장치와 결제용 감지 장치가 각각 구분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무선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쿠폰 발행용 감지 장치에 자신의 무선통신 단말기를 접촉하면 상술한 과정과 같이 서비스 제공 서버는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에 감지 장치에 대응되는 쿠폰을 전송하기만 하면 되지만, 만일 무선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결제용 감지 장치에 자신의 무선통신 단말기를 접촉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는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에는 감지 장치에 대응되는 광고 콘텐츠를 전송함과 아울러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결제 금액 할인 처리를 하도록 하는 명령을 결제 기능이 구비된 감지 장치 즉, 결제용 감지 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자체적으로 할인 처리를 수행(이를 위해서는 결제 승인 또는 처리 등의 구성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수행할 수 있으면 됨)한 후 그 할인 결과를 결제용 감지 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신되는 접촉 감지 신호의 감지장치 식별자를 이용하여 해당 감지 장치가 단순 쿠폰 발행용 장치인지 또는 결제용 장치인지를 구분할 수 있으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감지 장치 200 : 서비스 제공 서버
300 : 시간 정보 제공 장치 400 : 무선통신 단말기
110 : 센서부 120 : 접촉 감지부
130 : 전송부 140 : 판매 처리부
150, 240 : 저장부 160 : 시간 판단부
210 : 신호 수신부 220 : 매칭부
230 : 서비스 제공부

Claims (24)

  1. 외부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촉이 감지되면, 해당 접촉 감지 시간과 기 저장된 감지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촉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접촉한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의 접촉 발생 시간과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촉 발생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접촉 감지 신호와 상기 접촉 발생 신호에 포함된 각 정보를 비교하여 상호 접촉이 이루어진 감지장치와 무선통신 단말기를 매칭시키고, 상기 매칭된 감지장치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위치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압력센서와 터치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고정 설치되어, 상기 압력센서 또는 터치센서의 동작에 의해 외부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위치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매칭된 감지장치에 대응되는 쿠폰 또는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여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 상기 매칭된 감지장치에 대응되는 포인트를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립시키는 기능, 상기 매칭된 감지장치에 대응되는 구매 할인율을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용하는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는 각 감지장치 식별자에 매칭된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접촉 감지 신호의 접촉 감지 시간과 상기 접촉 발생 신호의 접촉 발생 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접촉 감지 신호의 감지장치 식별자에 매칭된 위치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접촉 발생 신호의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소정의 범위 이내에서 일치하는 감지장치와 무선통신 단말기를 상호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시간 정보를 일치시키는 시간 정보 제공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a) 외부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촉이 감지되면 해당 접촉 감지 시간과 기 저장된 감지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촉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b) 무선통신 단말기에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상기 접촉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감지장치와 접촉한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해당 감지장치와의 접촉 발생 시간과,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촉 발생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접촉 감지 신호와 상기 접촉 발생 신호에 포함된 각 정보를 비교하여 상호 접촉이 이루어진 감지장치와 무선통신 단말기를 매칭시키고, 상기 매칭된 감지장치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위치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압력센서와 터치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고정 설치되어 상기 압력센서 또는 터치센서의 동작에 의해 외부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위치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매칭된 감지장치에 대응되는 쿠폰 또는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여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 상기 매칭된 감지장치에 대응되는 포인트를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립시키는 기능, 상기 매칭된 감지장치에 대응되는 구매 할인율을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용하는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는 각 감지장치 식별자에 매칭된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접촉 감지 신호의 접촉 감지 시간과 상기 접촉 발생 신호의 접촉 발생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와;
    (b2)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접촉 감지 신호의 감지장치 식별자에 매칭된 위치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로부터 추출하고, 그 추출한 위치 정보와 상기 접촉 발생 신호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b1) 단계와 상기 (b2) 단계의 비교 결과 소정의 범위 이내에서 일치하는 감지장치와 무선통신 단말기를 상호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장치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와 상호 통신하는 시간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감지 장치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시간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감지 장치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시간 정보가 일치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감지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저장부와;
    현재시간을 판단하는 시간 판단부와;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구비된 센서부의 동작에 의해 외부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와;
    상기 접촉 감지부의 접촉 감지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감지장치 식별자와 상기 시간 판단부에서 판단된 현재시간을 포함하는 접촉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압력센서와 터치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판단부는 소정의 시간 정보 제공 장치와 통신하여 시간 정보를 수신한 후 현재 판단되는 시간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장치.
  14.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판매 가격을 입력받고 고객의 카드 정보를 감지하여 외부의 금융망의 금융 거래 서버와 통신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판매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장치.
  15.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촉을 감지하고 소정의 서비스 제공 서버와 통신하는 감지장치의 제어방법 있어서,
    (a) 외부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와;
    (b) 상기 접촉이 감지된 시점의 현재시간을 판단하는 단계와;
    (c) 기 구비된 감지 장치 식별자와 상기 (b) 단계에서 판단된 현재시간을 포함하는 접촉 감지 신호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외부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접촉을 기 구비된 압력센서와 터치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에 의해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소정의 시간 정보 제공 장치와 통신하여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카운트되는 현재 시간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5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판매 가격을 입력받고 고객의 카드 정보를 감지하여 외부의 금융망의 금융 거래 서버와 통신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장치.
  19.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로부터 접촉 감지 시간과 감지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촉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접촉한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의 접촉 발생 시간과,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촉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수신한 접촉 감지 신호와 접촉 발생 신호에 포함된 각 정보를 비교하여 상호 접촉이 이루어진 감지장치와 무선통신 단말기를 매칭시키는 매칭부와;
    상기 매칭된 감지장치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매칭된 감지장치에 대응되는 쿠폰 또는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여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 상기 매칭된 감지장치에 대응되는 포인트를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립시키는 기능, 상기 매칭된 감지장치에 대응되는 구매 할인율을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용하는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각 감지장치 식별자에 매칭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칭부는 상기 접촉 감지 신호의 접촉 감지 시간과 상기 접촉 발생 신호의 접촉 발생 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접촉 감지 신호의 감지장치 식별자에 매칭된 위치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접촉 발생 신호의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소정의 범위 이내에서 일치하는 감지장치와 무선통신 단말기를 상호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22. (a)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로부터 접촉 감지 시간과 감지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촉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접촉한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의 접촉 발생 시간과,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촉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c) 상기 (a) 단계에서 수신한 접촉 감지 신호와 상기 (b) 단계에서 수신한 접촉 발생 신호에 포함된 각 정보를 비교하여 상호 접촉이 이루어진 감지장치와 무선통신 단말기를 매칭시키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에서 매칭된 감지장치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제어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매칭된 감지장치에 대응되는 쿠폰 또는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여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 상기 매칭된 감지장치에 대응되는 포인트를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립, 상기 매칭된 감지장치에 대응되는 구매 할인율을 그 매칭된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제어방법.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접촉 감지 신호의 접촉 감지 시간과 상기 접촉 발생 신호의 접촉 발생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와;
    (c2) 상기 접촉 감지 신호의 감지장치 식별자에 매칭된 위치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로부터 추출하고, 그 추출한 위치 정보와 상기 접촉 발생 신호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c1) 단계와 상기 (c2) 단계의 비교 결과 소정의 범위 이내에서 일치하는 감지장치와 무선통신 단말기를 상호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0110034920A 2011-04-15 2011-04-15 고객 위치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감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101308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920A KR101308303B1 (ko) 2011-04-15 2011-04-15 고객 위치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감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920A KR101308303B1 (ko) 2011-04-15 2011-04-15 고객 위치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감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267A true KR20120117267A (ko) 2012-10-24
KR101308303B1 KR101308303B1 (ko) 2013-09-17

Family

ID=47285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920A KR101308303B1 (ko) 2011-04-15 2011-04-15 고객 위치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감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3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3149A1 (ko) * 2014-06-30 2016-01-07 주식회사 투게더 방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N115150887A (zh) * 2022-05-30 2022-10-04 广东乐心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8636A (ko) * 2004-08-23 2004-09-10 안재명 매장 관리 시스템
KR20060022509A (ko) * 2004-09-07 2006-03-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방위각, 고각, 이동 거리를 이용한 위치 정보 서비스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05960B1 (ko) * 2004-10-04 2007-04-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기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3149A1 (ko) * 2014-06-30 2016-01-07 주식회사 투게더 방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N115150887A (zh) * 2022-05-30 2022-10-04 广东乐心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8303B1 (ko) 201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8503B2 (en) Matching mobile device to transaction and/or customer account
US20100042493A1 (en) Advertising distribution system, advertising effectiveness validation server, advertising distribution method,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validation program
US100851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device location using wireless data and other geographical location data
US8897707B2 (en) Input device with an accelerometer
US2017003235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beacon and gesture detection system
KR101936369B1 (ko) 와이파이를 이용한 매장 고객분석시스템
US2009030709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consumers at a store using personal mobile wireless devices and related methods
KR20170104153A (ko) 멀티 레이어 인증을 이용한 오퍼 기반 거래 및 비콘 기반 디지털 거래에 대한 비콘 기반 내비게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5336059A (zh) 结算系统及信息处理方法
CN105222785A (zh) 一种室内场所中的路线推荐方法及用户终端
JP5635716B1 (ja) 広告効果測定システム、広告効果測定端末及び広告効果測定端末用プログラム、並びに、広告効果測定方法
KR101308303B1 (ko) 고객 위치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감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제어방법
US2009030689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a store providing consumer-specific advertisement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US20160029177A1 (en) Data transmission device for recording visit data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1323253B1 (ko) 마케팅 방법 및 시스템
WO2015194232A1 (ja) 広告効果測定システム、広告効果測定端末及び広告効果測定端末用プログラム、並びに、広告効果測定方法
RU2659475C1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эффективности размещения онлайн рекламных кампаний (варианты)
WO2022149403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5271854A (zh) 宽带套餐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70048074A (ko) 결제 동작 감지를 통한 쿠폰 및 포인트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JP7091382B2 (ja) 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端末制御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端末制御プログラム
KR20130021179A (ko) 쇼핑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쇼핑 서비스 제공방법, 쇼핑 서비스를 지원하는 카트 단말기 및 그 쇼핑 서비스 지원방법
JP7360331B2 (ja) 販売管理システムおよび販売管理方法
US11144961B1 (en) Messenger bot and geolocation beacon based system and related methods
CN108090795B (zh) 行动信息互动方法、系统及计算机程序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