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229A - 전기습윤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습윤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229A
KR20120117229A KR1020110034858A KR20110034858A KR20120117229A KR 20120117229 A KR20120117229 A KR 20120117229A KR 1020110034858 A KR1020110034858 A KR 1020110034858A KR 20110034858 A KR20110034858 A KR 20110034858A KR 20120117229 A KR20120117229 A KR 20120117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fluid layer
pixel
pixel electrode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주한
황태형
채경태
이상명
홍석준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4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7229A/ko
Priority to US13/293,569 priority patent/US8514479B2/en
Publication of KR20120117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2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4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 G02B26/00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based on electrowet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the deformation of a fluid drop, e.g. electrowet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230/00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65Improved aperture ratio, e.g. by size reduction of the pixel circuit, e.g. for improving the pixel density or the maximum displayable luminance or bright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전기습윤 표시장치는 제1 기판, 제1 기판과 마주하는 제2 기판, 및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구비된 유체층을 포함한다. 제1 기판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 복수의 데이터 라인, 및 이들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유체층은 색을 갖는 제1 유체층 및 투명한 제2 유체층을 포함하는 유체층을 포함한다. 각 화소는 스위칭 소자, 스위칭 소자에 연결된 화소 전극, 및 이격 전극을 포함한다. 스위칭 소자는 게이트 라인들 중 i번째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들 중 j번째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다. 이격 전극은 화소 전극의 적어도 일측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게이트 라인들 중 i-1번째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전기습윤 표시장치 {ELECTROWETTING DISPLAY}
본 발명은 전기습윤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선된 표시 특성을 갖는 전기습윤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습윤(Electrowetting) 현상이란 유체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표면 장력이 변화되어 유체의 이동 또는 변형을 초래하는 현상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전기습윤 현상을 이용한 표시장치를 전기습윤 표시장치라고 한다.
상기 전기습윤 표시장치는 편광판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광의 투과 및 반사 효율이 우수하고, 전력 소모가 적고 응답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전기습윤 현상을 이용한 차세대 표시장치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전기습윤 표시장치는 사용되는 유체의 표면 장력에 따라 특정 전압에서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표시 특성을 갖는 전기습윤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표시장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마주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구비된 유체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기판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 복수의 데이터 라인, 및 상기 게이트 라인들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층은 색을 갖는 제1 유체층 및 투명한 제2 유체층을 포함한다.
각 화소는 스위칭 소자, 상기 스위칭 소자에 연결된 화소 전극, 및 이격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게이트 라인들 중 i번째(i는 2이상의 정수이다) 게이트 라인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 중 j번째(j는 1이상의 정수이다)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다. 상기 이격 전극은 상기 화소 전극의 적어도 일측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게이트 라인들 중 i-1번째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표시장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마주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구비된 유체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기판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 복수의 데이터 라인, 및 상기 게이트 라인들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층은 색을 갖는 제1 유체층 및 투명한 제2 유체층을 포함한다.
각 화소는 스위칭 소자 및 화소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게이트 라인들 중 i번째(i는 2이상의 정수이다) 게이트 라인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 중 j번째(j는 1이상의 정수이다)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다.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스위칭 소자 및 상기 게이트 라인들 중 i-1번째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전기습윤 표시장치에 따르면, 현재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 화소를 구동함에 있어, 이전 게이트 라인으로 입력되는 게이트-온 전압을 이용함으로써 유체의 히스테리시스 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의 계조 표현 오류 및 응답 속도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패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화소에서 전압에 따른 개구율 및 반사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의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타이밍도에 따른 제1 및 제2 유체의 이동을 설명하는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도 2의 표시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표시패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10의 타이밍도에 따른 제1 및 제2 유체의 이동을 설명하는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도 8의 표시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3는 도 1의 표시패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의 표시패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기습윤 표시장치를 표시장치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습윤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10), 게이트 드라이버(120) 데이터 드라이버(130), 및 타이밍 컨트롤러(140)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상기 표시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영상신호(RGB) 및 제어신호(CS)를 수신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30)와의 인터페이스 사양에 맞도록 상기 영상신호들(RGB)의 데이터 포맷을 변환하고, 변환된 영상신호들(R'G'B')을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3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데이터 제어신호(DCS), 예를 들어, 출력개시신호, 수평개시신호, 및 극성반전신호 등을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30)로 제공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게이트 제어신호(GCS), 예를 들어, 수직개시신호, 수직클럭신호, 및 수직클럭바신호 등을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120)로 제공한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4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어신호(GCS)에 각각 응답해서 게이트 신호들(G1~Gn)을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3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4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데이터 제어신호(DCS)에 응답해서 상기 영상신호들(R'G'B')을 데이터 전압들(D1~Dm)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출력된 데이터 전압들(D1~Dm)은 상기 표시패널(110)로 인가된다.
상기 표시패널(110)은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GLn), 상기 게이트 라인들(GL1~GLn)과 교차하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DL1~DLm), 및 화소들(PX)을 포함한다.
상기 화소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는 하나의 화소를 예로서 도시하였다.
각 화소(PX)는 박막 트랜지스터(TR), 액정 커패시터(Clc),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 커패시터(Clc)는 화소 전극 및 공통 전극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화소 전극 및 스토리지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 전극(GE)은 상기 게이트 라인들(GL1~GLn) 중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에 연결되고, 소스 전극(SE)은 상기 데이터 라인들(DL1~DLm) 중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며, 드레인 전극(DE)은 화소 전극(PX)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연결된다.
상기 게이트 라인들(GL1~GLn)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120)에 연결되어, 게이트 신호들(G1~Gn)을 수신한다. 상기 데이터 라인들(DL1~DLm)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30)에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3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전압들(D1~Dm)을 수신한다.
각 화소(PX)의 박막 트랜지스터(TR)는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으로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고,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된 데이터 전압은 턴-온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통해 화소 전극에 인가된다. 한편, 상기 화소 전극과 마주하여 형성된 공통 전극에는 공통전압이 인가된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표시장치(100)는 상기 표시패널(10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100)로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들은 발광 다이오드(LED), 냉음극 형광 램프(Cold Cathode Fluorecent Lam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표시패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대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의 화소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는 하나의 화소를 예로서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패널(110)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제1 게이트 라인(GLi-1) 및 제2 게이트 라인(GLi),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라인(GLi-1, GLi)과 절연된 제1 데이터 라인(DLj-1) 및 제2 데이터 라인(DLj), 상기 제1 게이트 라인(GLi-1) 및 상기 제2 데이터 라인(DLj)에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TR),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에 연결된 화소 전극(PE)을 포함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는 상기 제2 게이트 라인(GLi)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GE), 상기 제2 데이터 라인(DLj)에 연결된 소스 전극(SE), 및 제1 콘택홀(CH1)을 통해 상기 화소 전극(PE)과 연결되는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110)은 상기 화소 전극(PE)과 이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DLj-1, DLj) 및 상기 제2 게이트 라인(GLi)을 따라 구비된 이격 전극(SEE)을 포함한다. 상기 이격 전극(SEE)은 상기 제1 게이트 라인(GLi-1)에서 돌출되어 연장된 게이트 돌출 전극(GEE)과 제2 콘택홀(CH2)을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이격 전극(SEE)에는 상기 제1 게이트 라인(GLi-1)으로 입력되는 게이트 신호를 인가받는다. 도 2에서, 상기 이격 전극(SEE)은 U자 모양으로 구비되었으나, 상기 이격 전극(SEE)의 모양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표시패널(110)은 상기 화소 전극(PE) 및 상기 이격 전극(SEE)과 이격되고 상기 제1 게이트 라인(GLi-1)을 따라 구비된 노치 전극(N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치 전극(NE)은 상기 이격 전극(SEE)이 구비되지 않은 상기 화소 전극(PE)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치 전극(NE)에는 상기 공통 전입이 인가될 수 있고, 도 2의 제1 유체(FL1)의 이동 방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소 전극(PE)에 데이터 전압이 인가될 때, 상기 제1 유체(FL1)는 상기 노치 전극(NE)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한다. 다만,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표시패널(110)은 상기 노치 전극(NE)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제1 유체(FL1)의 이동 방향은 상기 화소 전극(PE)의 모양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전극(PE), 상기 노치 전극(NE), 및 상기 이격 전극(SEE) 상에는 반사 전극(RE)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 전극(RE)은 상기 표시장치(100)가 반사형 표시장치로 사용될 경우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반사 전극(RE)은 광의 반사율이 높은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110)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라인(GLi-1, GLi) 사이에 구비된 스토리지 전극(ST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 전극(STE)은 상기 화소 전극(PE)과 마주하여 구비되어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형성한다. 상기 스토리지 전극(STE)은 상기 스토리지 전극(STE)에 공통 전압을 인가하는 스토리지 라인(SLi)에 연결된다. 상기 스토리지 라인(SLi)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패널(110)은 서로 마주하여 구비된 제1 베이스 기판(111) 및 제2 베이스 기판(119)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기판(111, 119)은 연성 재질, 예컨대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섬유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또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 기판(111) 상에는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라인(GLi-1, GLi), 상기 게이트 전극(GE), 및 상기 스토리지 전극(STE)이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라인(GLi-1, GLi), 상기 게이트 전극(GE), 및 상기 스토리지 전극(STE)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112)이 구비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12) 상에는 반도체 층(SEL)이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반도체 층(SEL)은 액티브 층 및 오믹 콘택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12) 및 상기 반도체 층(SEL) 상에는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은 보호막(113)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보호막(113) 상에는 유기 절연막(11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절연막(114) 상에는 화소 전극(PE), 이격 전극(SEE), 및 노치 전극(NE)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화소 전극(PE)은 상기 보호막(113) 및 상기 유기 절연막(114)에 형성된 상기 제1 콘택홀(CH1)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DE)과 연결된다. 상기 화소 전극(PE), 상기 이격 전극(SEE), 및 상기 노치 전극(NE)은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일 수 있다. 상기 화소 전극(PE), 상기 이격 전극(SEE), 및 상기 노치 전극(NE) 상에는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상기 반사 전극(RE)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 전극(RE) 상에는 소수성 절연막(115)이 구비된다. 상기 소수성 절연막(115)은 소수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거나 표면이 소수성으로 계질된 것이다. 상기 소수성 절연막(115)은 전기가 인가되지 않으면 소수성을 갖고 전기가 인가되면 친수성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테프론일 수 있다.
상기 소수성 절연막(115) 상에는 인접한 화소들을 서로 격리시키는 격벽(116)이 구비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격벽(116)은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라인(GLi-1, GLi) 및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DLj-1, DLj)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격벽(116)은 친수성일 수 있다.
상기 제2 베이스 기판(119) 상에는 컬러 필터(CF)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러 필터(CF)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나타내는 색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컬러 필터(CF) 상에는 공통 전극(CE)이 구비된다. 상기 공통 전극(CE)은 상기 화소 전극(PE)과 마주하여 구비되고, 상기 공통 전압을 인가받는다.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기판(111, 119) 사이에는 제1 및 제2 유체(FL1, FL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유체(FL1)는 소수성을 갖는 것으로, 예를 들어, 오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체(FL1)는 입사된 광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므로, 검은색 염료을 포함하거나 광을 흡수하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체(FL2)는 전기 전도성이 있거나 극성이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물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유체(FL1, FL2)는 서로 다른 비중을 갖고 서로 섞이지 않으며, 일정한 경계면을 기준으로 분리되어 존재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유체(FL1)을 적색, 녹색, 및 청색을 나타낼 수 있는 염료를 포함하거나, 적색, 녹색, 및 청색을 나타낼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된 경우, 상기 표시장치(100)는 상기 컬러 필터(CF)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격벽(116)은 상기 제1 유체(FL1)가 인접한 화소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상기 표시장치(100)는 반사형 표시장치로 사용될 때의 구성을 예로써 도시한 것으로, 상기 표시장치(100)를 투과형 표시장치로 사용할 경우, 상기 표시장치(100)는 상기 반사 전극(RE)을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표시장치(100)에 구비된 상기 스토리지 전극(STE)의 면적은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에서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조절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화소에서 전압에 따른 개구율 및 반사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가로축은 화소 전극(PE)에 인가되는 전압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상기 제1 유체(FL1)의 이동에 따른 반사 영역의 개구율 및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4를 참고하면, 0V, 즉 기준 전압에서 전압이 점점 낮아질 때의 개구율을 나타내는 제1 그래프(G1)는 -15V보다 낮은 전압에서 개구율이 증가한다. 반면에, 낮은 전압에서 기준 전압으로 점점 증가할 때의 개구율을 나타내는 제2 그래프(G2)는 -5V보다 낮은 전압에서 개구율이 약 0이 된다. 다시 말해, 0V에서 -30V로 전압이 변경될 때에는 0V 내지 약 -15V 사이에서 개굴율이 0을 나타내지만, -30V에서 0V로 전압이 변경될 때에는 0V 내지 약 -5V 사이에서 개구율이 0을 나타낸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화소 전극(PE)에 0V가 입력되어 상기 제1 유체(FL1)가 상기 화소 전극 전체를 커버하고 있는 때에는 상기 제1 유체(FL1)를 상기 격벽(116)에서 분리시키는데 약 15V의 전압이 필요하다는 것을 뜻한다. 즉, 일반적인 전기습윤 표시장치는 이러한 히스테리시스 현상으로 인하여 전압에 따라 특정 계조를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도 5는 도 1 및 도 2의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타이밍도에 따른 제1 및 제2 유체의 이동을 설명하는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장치(100)는 한 프레임 시간(1FR) 내에서 제1 내지 제n 게이트 라인(GL1~GLn)을 순차적으로 구동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한 프레임 시간(1FR)은 1/60초, 1/120초 등일 수 있다.
도 5에서, 상기 제1 내지 제n 게이트 라인(GL1~GLn) 중 i-1번째 배치된 게이트 라인을 제i-1 게이트 라인(GLi-1)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 게이트 라인(GL1~GLn) 중 i번째 배치된 게이트 라인을 제i 게이트 라인(GLi)으로 표시하였다. 이때, i는 2이상의 정수이다. 또한, 상기 제i 게이트 라인(GLi)에 연결된 화소에 배치된 이격 전극을 제i 이격 전극(SEEi)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i 게이트 라인(GLi)에 연결된 화소에 배치된 화소 전극을 제i 화소 전극(PEi)으로 표시한다. 도 5의 타이밍도는 상기 제1 내지 제n 게이트 라인(GL1~GLn), 상기 제i 이격 전극(SEEi), 및 상기 제i 화소 전극(PEi)에 인가되는 전압 레벨을 예로써 도시하였다.
도 5 및 도 6a를 참고하면, 상기 제i-1 게이트 라인(GLi-1)에 게이트-온 신호가 인가되기 전까지 상기 제i 이격 전극(SEEi) 및 상기 제i 화소 전극(PEi)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6a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유체(FL1)층은 상기 소수성 절연막(115)을 완전히 커버한다.
도 5 및 도 6b를 참고하면, 상기 제i-1 게이트 라인(GLi-1)에 제1 시간(t1) 동안 게이트-온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i 이격 전극(SEEi)에도 게이트-온 신호와 동일한 레벨의 신호가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제i 이격 전극(SEEi)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유체(FL1)는 상기 격벽(116)과 이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i 이격 전극(SEEi)에 게이트-온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제i 이격 전극(SEEi)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유체(FL2)는 상기 제i 이격 전극(SEEi)과 상기 공통 전극(CE)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따라 상기 소수성 절연막(115)으로 이동하여 상기 소수성 절연막(115)과 접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i 이격 전극(SEEi)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유체(FL1)는 상기 제2 유체(FL2)의 이동에 따라 상기 격벽(116)과 이격된다.
도 5 및 도 6c를 참고하면, 제2 시간(t2) 동안 상기 제i 게이트 라인(GLi)에 입력된 게이트-온 신호에 따라 상기 제i 화소 전극(PEi)에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데이터 전압은 한 프레임 동안 유지된다.
정리하면, 상기 제i 이격 전극(SEEi)은 상기 제i 화소 전극(PEi)에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기 전에 상기 제1 유체(FL1)를 상기 격벽(116)과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i 화소 전극(PEi)에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어 특정 계조를 표시할 때 히스테리시스 현상에 의해 이상 계조가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도 2의 표시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7a를 참고하면, 제1 베이스 기판(111) 상에 제1 게이트 라인(GLi-1), 제2 게이트 라인(GLi), 및 스토리지 라인(SLi)을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 베이스 기판(111) 상에는 상기 제1 게이트 라인(GLi-1)에서 연장된 게이트 돌출 전극(GEE), 상기 제2 게이트 라인(GLi)에서 연장된 게이트 전극(GE), 및 상기 스토리지 라인(SLi)에서 연장된 스토리지 전극(STE)이 형성된다.
도 7a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게이트 라인(GLi-1), 상기 제2 게이트 라인(GLi), 및 상기 스토리지 라인(SLi)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게이트 전극(GE)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는 반도체 층이 형성된다.
도 7b를 참고하면,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제1 데이터 라인(DLj-1) 및 제2 데이터 라인(DLj)이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 데이터 라인(DLj)에서 연장되어 소스 전극(SE)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GE) 상에서 상기 소스 전극(SE)과 이격되어 드레인 전극(DE)이 형성된다.
도 7b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데이터 라인(DLj-1) 및 상기 제2 데이터 라인(DLj) 상에는 보호막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호막 상에는 유기 절연막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7c를 참고하면, 상기 보호막 및 상기 유기 절연막 상에 화소 전극(PE), 노치 전극(NE), 및 이격 전극(SEE)을 형성한다. 상기 노치 전극(NE)은 상기 제1 게이트 라인(GLi-1)을 따라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격 전극(SEE)은 상기 노치 전극(NE)과 함께 상기 화소 전극(PE)을 둘러싸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도 7c에서 상기 이격 전극(SEE)은 U자 모양으로 구비되었으나, 상기 이격 전극(SEE)의 모양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소 전극(PE)은 상기 보호막 및 상기 유기 절연막에 형성된 제1 콘택홀(CH1)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DE)과 연결되고, 상기 이격 전극(SEE)은 상기 보호막 및 상기 유기 절연막에 형성된 제2 콘택홀(CH2)을 통해 상기 게이트 돌출 전극(GEE)과 연결된다.
도 7d를 참고하면, 상기 화소 전극(PE), 상기 노치 전극(NE), 및 상기 이격 전극(SEE) 상에는 반사 전극(RE)이 형성된다. 상기 반사 전극(RE)은 외부에서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광 반사율이 높은 물질을 포함한다.
도 8은 도 1의 표시패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의 화소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8에는 하나의 화소를 예로서 도시하였다. 도 8 및 도 9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패널(110)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제1 게이트 라인(GLi-1) 및 제2 게이트 라인(GLi),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라인(GLi-1, GLi)과 절연된 제1 데이터 라인(DLj-1) 및 제2 데이터 라인(DLj), 상기 제1 게이트 라인(GLi-1) 및 상기 제2 데이터 라인(DLj)에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TR),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에 연결된 화소 전극(PE)을 포함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는 상기 제2 게이트 라인(GLi)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GE), 상기 제2 데이터 라인(DLj)에 연결된 소스 전극(SE), 및 제1 콘택홀(CH1)을 통해 상기 화소 전극(PE)과 연결되는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한다.
상기 화소 전극(PE)은 상기 제1 게이트 라인(GLi-1)에서 돌출되어 연장된 게이트 돌출 전극(GEE)과 제2 콘택홀(CH2)을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화소 전극(PE)에는 상기 드레인 전극(DE)을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 외에, 상기 제1 게이트 라인(GLi-1)으로 입력되는 게이트 신호를 더 인가받는다.
상기 표시패널(110)은 상기 화소 전극(PE) 과 이격되고 상기 제1 게이트 라인(GLi-1)을 따라 구비된 노치 전극(N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치 전극(NE)에는 상기 공통 전입이 인가될 수 있고, 도 9의 제1 유체(FL1)의 이동 방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소 전극(PE)에 데이터 전압이 인가될 때, 상기 제1 유체(FL1)는 상기 노치 전극(NE)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한다. 다만,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표시패널(110)은 상기 노치 전극(NE)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제1 유체(FL1)의 이동 방향은 상기 화소 전극(PE)의 모양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전극(PE) 및 상기 노치 전극(NE) 상에는 반사 전극(RE)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 전극(RE)은 상기 표시장치(100)가 반사형 표시장치로 사용될 경우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반사 전극(RE)은 광의 반사율이 높은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110)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라인(GLi-1, GLi) 사이에 구비된 스토리지 전극(ST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 전극(STE)은 상기 화소 전극(PE)과 마주하여 구비되어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형성한다. 상기 스토리지 전극(STE)은 상기 스토리지 전극(STE)에 공통 전압을 인가하는 스토리지 라인(SLi)에 연결된다. 상기 스토리지 라인(SLi)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패널(110)은 서로 마주하여 구비된 제1 베이스 기판(111) 및 제2 베이스 기판(119)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베이스 기판(111) 상에는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라인(GLi-1, GLi), 상기 게이트 전극(GE), 및 상기 스토리지 전극(STE)이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라인(GLi-1, GLi), 상기 게이트 전극(GE), 및 상기 스토리지 전극(STE)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112)이 구비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12) 상에는 반도체 층(SEL)이 구비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12) 및 상기 반도체 층(SEL) 상에는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은 보호막(113)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보호막(113) 상에는 유기 절연막(11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절연막(114) 상에는 화소 전극(PE) 및 노치 전극(NE)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화소 전극(PE)은 상기 보호막(113) 및 상기 유기 절연막(114)에 형성된 상기 제1 콘택홀(CH1)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DE)과 연결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112), 상기 보호막(113), 및 상기 유기 절연막(114)에 형성된 상기 제2 콘택홀(CH2)을 통해 상기 게이트 돌출 전극(GEE)과 연결된다.
상기 화소 전극(PE) 및 상기 노치 전극(NE) 상에는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상기 반사 전극(RE)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 전극(RE) 상에는 소수성 절연막(115)이 구비된다. 상기 소수성 절연막(115) 상에는 인접한 화소들을 서로 격리시키는 격벽(116)이 구비된다.
상기 제2 베이스 기판(119) 상에는 컬러 필터(CF)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 컬러 필터(CF)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컬러 필터(CF) 상에는 공통 전극(CE)이 구비된다. 상기 공통 전극(CE)은 상기 화소 전극(PE)과 마주하여 구비되고, 상기 공통 전압을 인가받는다.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기판(111, 119) 사이에는 제1 및 제2 유체(FL1, FL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유체(FL1)는 소수성을 갖는 것으로, 예를 들어, 오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체(FL1)는 입사된 광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므로, 검은색 염료을 포함하거나 광을 흡수하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체(FL2)는 전기 전도성이 있거나 극성이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물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유체(FL1, FL2)는 서로 다른 비중을 갖고 서로 섞이지 않으며, 일정한 경계면을 기준으로 분리되어 존재한다.
상기 격벽(116)은 상기 제1 유체(FL1)가 인접한 화소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 상기 표시장치(100)는 반사형 표시장치로 사용될 때의 구성을 예로써 도시한 것으로, 상기 표시장치(100)를 투과형 표시장치로 사용할 경우, 상기 표시장치(100)는 상기 반사 전극(RE)을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표시장치(100)에 구비된 상기 스토리지 전극(STE)의 면적은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에서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조절될 수 있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고,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10의 타이밍도에 따른 제1 및 제2 유체의 이동을 설명하는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장치(100)는 한 프레임 시간(1FR) 내에서 제1 내지 제n 게이트 라인(GL1~GLn)을 순차적으로 구동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한 프레임 시간(1FR)은 1/60초, 1/120초 등일 수 있다.
도 10에서, 상기 제1 내지 제n 게이트 라인(GL1~GLn) 중 i-1번째 배치된 게이트 라인을 제i-1 게이트 라인(GLi-1)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 게이트 라인(GL1~GLn) 중 i번째 배치된 게이트 라인을 제i 게이트 라인(GLi)으로 표시하였다. 이때, i는 2이상의 정수이다. 또한, 상기 제i 게이트 라인(GLi)에 연결된 화소에 배치된 화소 전극을 제i 화소 전극(PEi)으로 표시한다. 도 10의 타이밍도는 상기 제1 내지 제n 게이트 라인(GL1~GLn), 및 상기 제i 화소 전극(PEi)에 인가되는 전압 레벨을 예로써 도시하였다.
도 10 및 도 11a를 참고하면, 상기 제i-1 게이트 라인(GLi-1)에 게이트-온 신호가 인가되기 전까지 상기 제i 화소 전극(PEi)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1a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유체(FL1)층은 상기 소수성 절연막(115)을 완전히 커버한다.
도 10 및 도 11b를 참고하면, 상기 제i-1 게이트 라인(GLi-1)에 제1 시간(t1) 동안 게이트-온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i 화소 전극(PEi)에도 게이트-온 신호가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제i 화소 전극(PEi)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유체(FL1)는 상기 격벽(116)과 이격되어 상기 노치 전극(NE) 부근으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기 제i 화소 전극(PEi)에 게이트-온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상기 제i 화소 전극(PEi)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유체(FL2)는 상기 상기 제i 화소 전극(PEi)과 상기 공통 전극(CE)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따라 상기 소수성 절연막(115)으로 이동하여 상기 소수성 절연막(115)과 접하고, 이에 따라 상기 상기 제i 화소 전극(PEi)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유체(FL1)는 상기 제2 유체(FL2)의 이동에 따라 상기 노치 전극(NE) 주위로 모인다.
도 10 및 도 11c를 참고하면, 제2 시간(t2) 동안 상기 제i 게이트 라인(GLi)에 입력된 게이트-온 신호에 따라 상기 제i 화소 전극(PEi)에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데이터 전압은 한 프레임 동안 유지된다.
정리하면, 상기 제i 화소 전극(PEi)에는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기 전에 상기 제i-1 게이트 라인(GLi-1)에서 입력된 게이트-온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유체(FL1)를 상기 노치 전극(NE) 방향으로 먼저 이동시켜 두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i 화소 전극(PEi)에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어 특정 계조를 표시할 때 히스테리시스 현상에 의해 이상 계조가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도 8의 표시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2a를 참고하면, 제1 베이스 기판(111) 상에 제1 게이트 라인(GLi-1), 제2 게이트 라인(GLi), 및 스토리지 라인(SLi)을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 베이스 기판(111) 상에는 상기 제1 게이트 라인(GLi-1)에서 연장된 게이트 돌출 전극(GEE), 상기 제2 게이트 라인(GLi)에서 연장된 게이트 전극(GE), 및 상기 스토리지 라인(SLi)에서 연장된 스토리지 전극(STE)이 형성된다.
도 12a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게이트 라인(GLi-1), 상기 제2 게이트 라인(GLi), 및 상기 스토리지 라인(SLi)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게이트 전극(GE)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는 반도체 층이 형성된다.
도 12b를 참고하면,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제1 데이터 라인(DLj-1) 및 제2 데이터 라인(DLj)이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 데이터 라인(DLj)에서 연장되어 소스 전극(SE)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GE) 상에서 상기 소스 전극(SE)과 이격되어 드레인 전극(DE)이 형성된다.
도 12b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데이터 라인(DLj-1) 및 상기 제2 데이터 라인(DLj) 상에는 보호막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호막 상에는 유기 절연막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2c를 참고하면, 상기 보호막 및 상기 유기 절연막 상에 화소 전극(PE) 및 노치 전극(NE)을 형성한다. 상기 노치 전극(NE)은 상기 제1 게이트 라인(GLi-1)을 따라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화소 전극(PE)은 상기 보호막 및 상기 유기 절연막에 형성된 제1 콘택홀(CH1)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DE)과 연결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기 보호막 및 상기 유기 절연막에 형성된 제2 콘택홀(CH2)을 통해 상기 게이트 돌출 전극(GEE)과 연결된다.
도 12d를 참고하면, 상기 화소 전극(PE) 및 상기 노치 전극(NE) 상에는 반사 전극(RE)이 형성된다. 상기 반사 전극(RE)은 외부에서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광 반사율이 높은 물질을 포함한다.
도 13는 도 1의 표시패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의 화소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3에는 하나의 화소를 예로서 도시하였다.
도 1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표시장치(100)를 투과형 표시장치로 사용될 수 있도록 변형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도 13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표시장치(100)는 상기 화소 전극(PE), 상기 노치 전극(NE), 및 상기 이격 전극(SEE) 상에 반사 전극(RE)을 구비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스토리지 전극(STE)은 백라이트 유닛(미도시)로부터 입사된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상기 드레인 전극(DE)과 중첩되고 작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로부터 입사된 광은 상기 화소 전극(PE), 상기 노치 전극(NE), 및 상기 이격 전극(SEE)을 투과할 수 있어, 상기 표시장치(100)는 투과형 표시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의 표시패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의 화소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5에는 하나의 화소를 예로서 도시하였다.
도 15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표시장치(100)를 투과형 표시장치로 사용될 수 있도록 변형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도 15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표시장치(100)는 상기 화소 전극(PE) 및 상기 노치 전극(NE) 상에 반사 전극(RE)을 구비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스토리지 전극(STE)은 백라이트 유닛(미도시)로부터 입사된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상기 드레인 전극(DE)과 중첩되고 작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로부터 입사된 광은 상기 화소 전극(PE) 및 상기 노치 전극(NE)을 투과할 수 있어, 상기 표시장치(100)는 투과형 표시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장치 110: 표시패널
120: 게이트 드라이버 130: 데이터 드라이버
140: 타이밍 컨트롤러 PE: 화소 전극
NE: 노치 전극 SEE: 이격 전극

Claims (20)

  1. 복수의 게이트 라인, 상기 게이트 라인들과 절연되게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 및 상기 게이트 라인들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마주하여 구비된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구비되고 색을 갖는 제1 유체층 및 투명한 제2 유체층을 포함하는 유체층을 포함하고,
    각 화소는,
    상기 게이트 라인들 중 i번째(i는 2이상의 정수이다) 게이트 라인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 중 j번째(j는 1이상의 정수이다)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
    상기 스위칭 소자에 연결된 화소 전극; 및
    상기 화소 전극의 적어도 일측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게이트 라인들 중 i-1번째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 이격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소는 상기 화소 전극의 타측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유체층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노치 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전극은 U자 모양으로 구비되어 상기 화소 전극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 전극은 상기 이격 전극이 구비되지 않는 상기 화소 전극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화소 전극과 마주하여 구비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화소 전극에는 상기 스위칭 소자를 통하여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공통 전극 및 상기 노치 전극에는 기준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이격 전극에는 상기 i-1번째 게이트 라인을 통하여 입력되는 게이트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층은 상기 화소 전극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상기 제2 유체층은 상기 제1 유체층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유체층은 상기 데이터 전압의 레벨과 상기 기준 전압의 레벨의 차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유체층이 상기 화소 전극을 커버하는 면적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소는 평면상 적어도 상기 화소 전극을 둘러싸고 적어도 상기 제1 유체층을 상기 화소 내에 유지시키는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격 전극은 상기 i-1번째 게이트 라인으로 입력된 게이트-온 전압을 받아 상기 제1 유체층 및 상기 격벽을 서로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소는 상기 화소 전극, 상기 노치 전극, 및 상기 이격 전극을 커버하는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층은 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체층은 물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막은 소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소는 상기 화소 전극 상에 구비되어 입사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 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
  11. 복수의 게이트 라인, 상기 게이트 라인들과 절연되게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 및 상기 게이트 라인들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마주하여 구비된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구비되고 색을 갖는 제1 유체층 및 투명한 제2 유체층을 포함하는 유체층을 포함하고,
    각 화소는,
    상기 게이트 라인들 중 i번째(i는 2이상의 정수이다) 게이트 라인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 중 j번째(j는 1이상의 정수이다)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스위칭 소자 및 상기 게이트 라인들 중 i-1번째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소는 상기 화소 전극의 일측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유체층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노치 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화소 전극과 마주하여 구비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화소 전극에는 상기 스위칭 소자를 통하여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i-1번째 게이트 라인을 통하여 게이트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공통 전극에는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층은 상기 화소 전극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상기 제2 유체층은 상기 제1 유체층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유체층은 상기 데이터 전압의 레벨과 상기 기준 전압의 레벨의 차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유체층이 상기 화소 전극을 커버하는 면적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소는 평면상 적어도 상기 화소 전극을 둘러싸고 적어도 상기 제1 유체층을 상기 화소 내에 유지시키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i-1번째 게이트 라인으로 입력된 게이트-온 전압을 받아 상기 제1 유체층 및 상기 격벽을 서로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소는 상기 화소 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공통 전극과 마주하여 구비되어 상기 기준 전압을 인가받는 스토리지 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소는 상기 화소 전극 및 상기 노치 전극을 커버하는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층은 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체층은 물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막은 소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소는 상기 화소 전극 상에 구비되어 입사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 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
KR1020110034858A 2011-04-14 2011-04-14 전기습윤 표시장치 KR2012011722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858A KR20120117229A (ko) 2011-04-14 2011-04-14 전기습윤 표시장치
US13/293,569 US8514479B2 (en) 2011-04-14 2011-11-10 Electro-wetting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858A KR20120117229A (ko) 2011-04-14 2011-04-14 전기습윤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229A true KR20120117229A (ko) 2012-10-24

Family

ID=47006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858A KR20120117229A (ko) 2011-04-14 2011-04-14 전기습윤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14479B2 (ko)
KR (1) KR201201172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1322B2 (en) 2017-03-09 2021-04-27 Academy Of Shenzhen Guohua Optoelectronics Bistable driving method for electrowetting display and related electrowetting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527B1 (ko) 2012-03-14 2019-02-18 리쿠아비스타 비.브이. 전기 습윤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11092B1 (ko) * 2012-03-16 2018-10-23 리쿠아비스타 비.브이. 전기 습윤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31373B1 (ko) * 2012-04-17 2018-12-20 리쿠아비스타 비.브이. 전기 습윤 표시장치용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41712B1 (ko) 2012-06-05 2019-01-24 리쿠아비스타 비.브이. 전기습윤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9246485B2 (en) * 2013-01-11 2016-01-26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Single layer sensor pattern
US9568727B2 (en) * 2014-03-25 2017-02-14 Amazon Technologies, Inc. Electrowetting display pixel architecture
US9256064B1 (en) * 2014-06-13 2016-02-09 Amazon Technologies, Inc. Angled orientation of sub-pixels in an electrowetting display
US9772488B2 (en) * 2014-09-29 2017-09-26 Amazon Technologies, Inc. Electrowetting display pixels with patterned electric field
US9810899B1 (en) * 2014-12-23 2017-11-07 Amazon Technologies, Inc. Illumination of an electrowetting display
US9728143B2 (en) * 2015-06-29 2017-08-08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US9865200B2 (en) * 2015-06-29 2018-01-09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US10031332B1 (en) * 2015-12-28 2018-07-24 Amazon Technologies, Inc. Thin film transistor for electrowetting display element
US10074321B2 (en) * 2016-01-05 2018-09-11 Amazon Technologies, Inc. Controller and methods for quantization and error diffusion in a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CN106373532B (zh) 2016-10-27 2019-01-11 合肥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电润湿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0156714B1 (en) * 2017-03-22 2018-12-18 Amazon Technologies, Inc. Electrowetting pixel with bottom electrode to reduce electromagnetic fringe fields
CN108630153A (zh) * 2018-04-20 2018-10-09 深圳市国华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多级灰阶的电润湿驱动方法及系统
US11927740B2 (en) 2019-11-20 2024-03-12 Nuclera Ltd Spatially variable hydrophobic layers for digital microfluidics
US11554374B2 (en) 2020-01-17 2023-01-17 Nuclera Nucleics Ltd. Spatially variable dielectric layers for digital microfluidics
US11946901B2 (en) 2020-01-27 2024-04-02 Nuclera Ltd Method for degassing liquid droplets by electrical actuation at higher temperatures
US11410620B2 (en) 2020-02-18 2022-08-09 Nuclera Nucleics Ltd. Adaptive gate driving for high frequency AC driving of EWoD arrays
EP4106920A4 (en) 2020-02-19 2024-03-20 Nuclera Ltd LATCHED TRANSISTOR DRIVE FOR HIGH FREQUENCY AC CONTROL OF EWOD DEVICES
US11596946B2 (en) 2020-04-27 2023-03-07 Nuclera Nucleics Ltd. Segmented top plate for variable driving and short protection for digital microfluidic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7879A1 (ja) 2005-07-14 2007-01-18 Sharp Kabushiki Kaisha 表示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
JP2009211047A (ja) 2008-02-05 2009-09-17 Sony Corp 液体光学素子
JP2009258380A (ja) 2008-04-16 2009-11-05 Sharp Corp 表示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
US8729551B2 (en) * 2010-03-17 2014-05-20 Samsung Display Co., Ltd. Flat panel display
KR20130033798A (ko) * 2011-09-27 2013-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1322B2 (en) 2017-03-09 2021-04-27 Academy Of Shenzhen Guohua Optoelectronics Bistable driving method for electrowetting display and related electrowetting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14479B2 (en) 2013-08-20
US20120262774A1 (en) 201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7229A (ko) 전기습윤 표시장치
KR101913428B1 (ko) 전기 습윤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064463B2 (e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TWI386744B (zh) 薄膜電晶體面板以及使用該薄膜電晶體面板之液晶顯示器
US9001106B2 (en) Display apparatus
US750209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613370B2 (en) Substrat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KR102027586B1 (ko) 전기습윤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163183B2 (en) Display device
US10008163B1 (en) Driver structure for RGBW four-color panel
WO2014097925A1 (ja) 液晶表示装置
US7663596B2 (en) Trans-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improving color reproducibility and brightness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US20180246316A1 (en) Three-layer full-color dynamic electronic paper
CN107193170B (zh) 显示装置及彩色显示方法
CN102998862B (zh) 阵列基板及液晶显示面板
KR102421145B1 (ko) 표시 장치
KR20120111809A (ko) 표시장치
TW201439587A (zh) 具有交錯之顯示元件排列之顯示器
JPWO2011111263A1 (ja) 表示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
CN109870860B (zh) 像素结构
CN108897180B (zh) 显示面板、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KR102295609B1 (ko) 도광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KR20130104029A (ko) 전기 영동 표시장치
KR102210524B1 (ko) 표시패널
US10386693B2 (en) Electrophoretic element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