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518A - 균일성이 높은 스판덱스 - Google Patents

균일성이 높은 스판덱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518A
KR20120115518A KR20127018242A KR20127018242A KR20120115518A KR 20120115518 A KR20120115518 A KR 20120115518A KR 20127018242 A KR20127018242 A KR 20127018242A KR 20127018242 A KR20127018242 A KR 20127018242A KR 20120115518 A KR20120115518 A KR 20120115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diamine
meq
polyurethaneurea
spa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7018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5234B1 (ko
Inventor
스티븐 피. 파디니
Original Assignee
인비스타 테크놀러지스 에스.에이.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비스타 테크놀러지스 에스.에이.알.엘. filed Critical 인비스타 테크놀러지스 에스.에이.알.엘.
Publication of KR20120115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2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7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5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 C08G18/2865Compounds having only one primary or secondary amino group; Ammoni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25Polyamines
    • C08G18/3228Polyamines acyclic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4Dry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6Wet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7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urea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8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8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40Knit fabric [i.e., knit strand or strip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우 균일한 스판덱스 및 이러한 스판덱스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스판덱스로 제조되는 폴리우레탄우레아는 디알킬우레아 및 시클로알킬우레아 말단부 양쪽 모두를 포함하며, 연쇄 종결제 조성물은 디에틸아민과 같은 디알킬아민 및 시클로헥실아민과 같은 시클로알킬아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균일성이 높은 스판덱스{SPANDEX WITH HIGH UNIFORMITY}
본 출원은 매우 균일한 스판덱스 및 이러한 스판덱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스판덱스로 제조되는 폴리우레탄우레아는 디알킬우레아 및 시클로알킬우레아 말단부 양쪽 모두를 가지며, 연쇄 종결제 조성물은 디에틸아민과 같은 디알킬아민 및 시클로헥실아민과 같은 시클로알킬아민을 포함한다.
미국 특허 제6,503,996호는 균일성이 높은 스판덱스 조성물을 개시한다. 상기 조성물은 모노알코올 연쇄 종결제 및 모노알킬우레아 연쇄 종결제로부터의 알킬우레탄 말단부를 포함한다. 상대적 반응 속도로 인해 모노알코올은 모노알킬우레아 연쇄 종결제와 함께가 아니라 캡핑된(capped) 글리콜의 제조 도중에 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에 첨가되어야 한다.
<발명의 요약>
일부 양태에서, 경편직물(warp-knitting) 또는 고 함량의 위편직물(weft-knitting)(환편직물(circular knitting)을 포함)에 특히 유용한 균일성이 높은 스판덱스가 제공된다.
(a) (i)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올; 및
(ii) 디이소시아네이트
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캡핑된 글리콜;
(b) 제1 디아민 및 제2 디아민을 적어도 포함하는 연쇄 연장제; 및
(c) 시클로헥실아민을 포함한 단관능성 아민을 포함하는 연쇄 종결제 조성물
의 반응 생성물인 폴리우레탄우레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판덱스 섬유 또는 얀(yarn)을 포함하는 물품이며,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는 약 75:25 내지 약 85:15의 제1 디아민 대 제2 디아민의 몰비; 및 약 10 meq/Kg 내지 약 30 meq/Kg의 시클로헥실우레아 말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a)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올을 제공하는 단계;
(b)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제공하는 단계;
(c) 폴리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접촉시켜 캡핑된 글리콜을 형성하는 단계;
(d) 제1 디아민 및 제2 디아민을 적어도 포함하는 연쇄 연장제를 제공하는 단계;
(e) 시클로헥실아민을 포함한 단관능성 아민을 포함하는 연쇄 종결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f) 캡핑된 글리콜, 연쇄 연장제 및 연쇄 종결제 조성물을 용매 중에서 접촉시켜 용액 중의 폴리우레탄우레아를 형성하는 단계; 및
(g) 용액 중의 폴리우레탄우레아를 방사하여 스판덱스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는 약 75:25 내지 약 85:15의 제1 디아민 대 제2 디아민의 몰비; 및 약 10 meq/Kg 내지 약 30 meq/Kg의 시클로헥실우레아 말단부를 포함하는 스판덱스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섬유 균일성이 높은 스판덱스는 몇몇 양태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로 제조되고 있다.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은 디아민 연쇄 연장제와 같은 2종 이상의 연쇄 연장제의 블렌드 또는 혼합물을 포함한 연쇄 연장제 조성물 및 시클로헥실아민을 포함한 연쇄 종결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용액-방사"는 통상의 섬유 제조 기술인 습식-방적 또는 건식-방적 방법일 수 있는 용액으로부터의 섬유의 제조를 포함한다.
지방족 1급 아민으로 연쇄-종결되는 폴리우레탄우레아는 모노알킬우레아 말단부를 가지며, 예를 들어 연쇄 종결제로서 시클로헥실아민은 시클로헥실우레아 말단부를 제공할 것이다. (2급) 디알킬아민에 의한 연쇄 종결은 디알킬우레아 말단부를 제공한다. 폴리우레탄우레아에서 아민 말단부는 불완전 반응된 디아민 연쇄 연장제로부터 유래된다. 일부 양태의 스판덱스는 약 10 meq/Kg 내지 약 60 meq/Kg (약 10 meq/Kg 내지 약 40 meq/Kg을 포함)의 디에틸우레아 말단부 (예컨대 약 22 meq/Kg 내지 약 26 meq/Kg), 약 10 meq/Kg 내지 약 30 meq/Kg의 시클로헥실우레아 말단부 (예컨대 약 16 meq/Kg 내지 약 20 meq/Kg), 및 약 12 meq/Kg 내지 약 24 meq/Kg의 1급 아민 말단부 (예컨대 약 16 meq/Kg 내지 약 20 meq/Kg)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든 meq/Kg의 측정은 중합체 고형분을 기준으로 함).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은, 적어도 85 중량%의 세그먼트된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며 또한 스판덱스로 지칭되는 섬유 또는 장쇄 합성 중합체의 제조에 유용하다. 통상적으로, 이들은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여 NCO-종결된 예비중합체 ("캡핑된 글리콜")을 형성하고, 그 후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N-메틸피롤리돈과 같은 적합한 용매 중에 용해되고, 2차적으로 이관능성 연쇄 연장제와 반응하는 중합성 글리콜을 포함한다. 폴리우레탄은 연쇄 연장제가 디올인 경우 제2 단계에서 형성된다(용매 없이도 제조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우레아, 즉 하위 분류의 폴리우레탄은 연쇄 연장제가 디아민인 경우에 형성된다. 스판덱스로 방사될 수 있는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의 제조 시, 글리콜은 히드록시 말단기와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1종 이상의 디아민과의 순차 반응에 의해 연장된다. 각각의 경우, 글리콜은 연쇄 연장을 일으켜서 점도를 비롯한 필요한 특성을 갖는 중합체를 제공해야 한다. 필요에 따라,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옥토산 주석, 무기 산, 3급 아민, 예컨대 트리에틸아민, N,N'-디메틸피페라진 등, 및 기타 공지된 촉매를 사용하여 캡핑 단계를 촉진할 수 있다.
적합한 폴리올 또는 중합성 글리콜 성분은 폴리에테르 글리콜, 폴리카르보네이트 글리콜, 및 수 평균 분자량이 약 600 내지 약 3,500 (약 1600 내지 약 2200, 및 약 1800을 포함)인 폴리에스테르 글리콜을 포함한다. 2종 이상의 중합성 글리콜 또는 공중합체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폴리에테르 글리콜의 예로는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트리메틸렌 옥사이드,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3-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의 개환 중합 및/또는 공중합으로부터의, 또는 각 분자 내에 탄소 원자수가 12개 미만인 디올 또는 디올 혼합물과 같은 다가 알코올,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2,2-디메틸-1,3 프로판디올, 3-메틸-1,5-펜탄디올, 1,7-헵탄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및 1,12-도데칸디올의 축합 중합으로부터의 2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글리콜이 포함된다. 선형 이관능성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바람직하고, 분자량이 약 1,700 내지 약 2,100인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 예컨대 관능가가 2인 테라탄(Terathane)® 1800 (미국 캔자스주 위치타 소재의 인비스타)은 특별한 적합한 글리콜의 일 구체예이다. 공중합체는 폴리(테트라메틸렌-코-에틸렌에테르)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로는 각 분자 내에 탄소 원자수가 12개 이하인 저분자량의 지방족 폴리카르복실산 및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축합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2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에스테르 글리콜이 포함된다. 적합한 폴리카르복실산의 예는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박산, 운데칸디카르복실산, 및 도데칸디카르복실산이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제조에 적합한 폴리올의 예는 에틸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1,7-헵탄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및 1,12-도데칸디올이다. 용융 온도가 약 5℃ 내지 약 50℃인 선형 이관능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구체예이다.
사용될 수 있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의 예로는 포스겐, 클로로포름산 에스테르, 디알킬 카르보네이트 또는 디알릴 카르보네이트 및 지방족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각 분자 내에 탄소 원자수가 12개 이하인 저분자량임)의 축합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2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카르보네이트 글리콜이 포함된다.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의 제조에 적합한 폴리올의 예는 디에틸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1,7-헵탄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및 1,12-도데칸디올이다. 용융 온도가 약 5℃ 내지 약 50℃인 선형 이관능성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은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의 구체예이다.
일부 양태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스판덱스 얀 및 섬유는 디알킬우레아 및 아민 말단부를 포함하는 스판덱스보다 더 낮은 데니어 변동 계수 (CDV)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데니어 변동 계수의 감소는 현저하다. 스판덱스의 CDV는 섬유 또는 얀의 데니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CDV는 약 20 이하일 수 있다. 20 데니어인 얀의 경우, CDV는 약 18일 수 있으며, 30 데니어인 얀의 경우, CDV는 약 15일 수 있으며, 40 데니어인 얀의 경우, CDV는 약 14일 수 있다.
일부 양태의 방법은 중합성 글리콜과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접촉시켜 캡핑된 글리콜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캡핑된 글리콜은 블렌드 또는 혼합물로서 제공될 수 있는 적어도 제1 디아민 연쇄 연장제 및 제2 디아민 연쇄 연장제, 및 시클로헥실아민과 같은 단관능성 아민을 포함하는 연쇄 종결제 조성물과 용매 중에서 접촉하고, 생성된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을 용액 방사하여 스판덱스가 형성된다.
또한, 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단일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4,4'-메틸렌 비스(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및 2,4'-메틸렌 비스(페닐 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하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MDI)의 이성체 혼합물을 비롯한 상이한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MDI의 이성체 혼합물이 사용되는 경우, 4,4' 이성체 대 2,4' 이성체의 비율은 약 100:0 내지 약 50:50 (약 98:2 내지 약 88:12, 약 70:30 및 약 60:40을 포함)일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방향족 또는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가 MDI의 4,4' 이성체와 조합하여 포함될 수 있다(4,4'_MDI가 주성분임). 사용될 수 있는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4,4'-메틸렌 비스(페닐 이소시아네이트), 2,4'-메틸렌 비스(페닐 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 1,3-디이소시아네이토-4-메틸-벤젠, 2,2'-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5-이소시아네이토-1-(이소시아네이토메틸)-1,3,3-트리메틸시클로헥산, 1,6-디이소시아네이토헥산, 2,2-비스(4-이소시아네이토페닐)-프로판, 1,1'-메틸렌비스(4-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산), 1,4-디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산, 1,4-비스(4-이소시아네이토-α,α-디메틸벤질)벤젠, 1-이소시아네이토-2-[(4'-이소시아네이토-페닐)메틸]벤젠,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구체예로는 먼두르(Mondur)® ML (바이엘(Bayer)), 루프라네이트(Lupranate)® MI (바스프(BASF)), 및 이소네이트(Isonate)® 50 O,P'(다우 케미칼(Dow Chemical)),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캡핑된 글리콜 중의 NCO 잔기 함량은 약 2 내지 6 중량 퍼센트(약 2.3 내지 약 3.0, 약 2.5 내지 약 2.7을 포함)일 수 있다.
용액 방사의 경우, 캡핑된 글리콜은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디메틸아세트아미드 ("DMAc"), N-메틸피롤리돈,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 용해될 수 있다. 임의로, 캡핑 단계는 용매, 예를 들어 용매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50 ppm 미만의 물 및 약 2000 ppm 미만의 조합된 포름아미드 및 아민을 함유하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중에서 행해질 수 있다.
디아민 연쇄 연장제 조성물은 제1 디아민 및 제2 디아민을 적어도 포함하여 함께 블렌드 또는 혼합되거나 또는 따로따로 첨가되어 캡핑된 글리콜과 접촉한다. 적합한 디아민으로는 2개 내지 12개의 탄소를 갖는 것, 예를 들어 에틸렌 디아민, 1,3-부탄디아민, 1,4-부탄디아민, 1,3-디아미노-2,2-디메틸부탄, 1,6-헥산-디아민, 1,2-프로판디아민, 1,3-프로판디아민, N-메틸아미노비스(3-프로필-아민), 2-메틸-1,5-펜탄디아민, 1,5-디아미노펜탄, 1,3-디아미노-4-메틸시클로헥산, 1,3-시클로헥산디아민, 1,1'-메틸렌-비스(4,4'-디아미노헥산), 3-아미노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3-디아미노펜탄,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1 디아민 대 제2 디아민의 중량비는 약 75:25 내지 약 85:15 (약 80:20을 포함)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제1 디아민은 에틸렌 디아민일 수 있으며, 2-메틸-1,5-펜타메틸렌디아민 (MPMD)과 같은 제2 디아민, 또는 추가의 디아민은 '공연장제'로 간주될 수 있다.
연쇄 종결제 조성물은 시클로헥실아민을 포함하며, 또한 5개 내지 12개의 탄소, 예컨대 6개 내지 7개의 탄소를 갖는 모노아민 연쇄 종결제와 같은 다른 적합한 연쇄 종결제, 예를 들어 n-펜틸아민, n-헥실아민, n-헵틸아민, 메틸시클로헥실아민 (예를 들어, 1-아미노-3-메틸시클로헥산, 1-아미노-2-메틸시클로헥산, 및 1-아미노-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n-도데실아민, 2-아미노노르보르난, 1-아다만탄아민, 비대칭성 디메틸 히드라진 (UDMH), 및 이들의 혼합물과 조합될 수 있다. 모노아민은 중합체 성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약 2 meq/kg 및 최대 약 55 meq/kg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양태의 방법에서 스판덱스로 제조되고 방사되는 폴리우레탄우레아의 고유 점도는 약 0.90 내지 약 1.20 dl/g (약 0.95 내지 약 1.10 dl/g을 포함)일 수 있다.
임의로, 중합성 글리콜은 캡핑 단계 전에 첨가될 수 있는 산 및 산-발생 화합물, 예를 들어 인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황산, 카르복실산 염화물 및 무수물뿐만 아니라 인산 에스테르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산 및 산-발생 화합물은중합성 글리콜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약 10 및 최대 약 125 ppm(parts per million)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인산은 낮은 부식성으로 인해 유용하다.
또한, 일부 양태의 스판덱스 및 제조 방법에서는 각종 다른 첨가제가 임의의 적합한 양으로 사용되어 원하는 특성을 달성할 수 있다. 그 예로는 중합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임의의 적합한 양, 예컨대 약 0.05% 내지 약 0.5%의 이산화티타늄과 같은 탈광택제(delustrant); 히드로탈사이트(hydrotalcite), 훈타이트(huntite)와 히드로마그네사이트(hydromagnesite)의 혼합물과 같은 안정제 (임의의 적합한 양, 예를 들어 중합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25% 내지 5.0%으로), 황산바륨, 입체 장애 아민 광 안정제, UV 차폐제, 입체 장애 페놀, 및 산화아연; 염료 및 염료 증강제 등을 들 수 있다.
연쇄 연장 단계에서 임의로 디에틸렌트리아민은 용액 점도를 제어하기 위해 저 수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디에틸렌트리아민이 포함되는 경우, 적합량은 (중합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 초과 내지 약 500 ppm 또는 0 초과 내지 약 125 ppm, 0 초과 내지 약 250 ppm, 약 50 ppm 내지 약 250 ppm (약 50 ppm 내지 약 125 ppm을 포함)을 포함한다.
폴리우레탄우레아의 용액 점도는 40℃에서 운전되는 모델 DV-8 강하 볼 점도계 (미국 버지니아주 웨인즈버로 소재의 듀라테크 코포레이션(Duratech Corp.))를 사용하여 ASTM D1343-69의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서 측정되며, 포와즈(poise) 단위로 기록된다. 상기 장치로 측정될 수 있는 최대 용액 점도는 35,000 포와즈이었다.
데니어 변동 계수 ('CDV')를 측정하기 위해서, 권취된 스판덱스 패키지의 표면에서 최초 50 미터의 섬유를 제거하여 취급 손상으로 인한 부정확성을 방지한다. 그 후, 스판덱스를 롤링 테이크-오프(take-off)를 사용하여 패키지로부터 130초 동안 제거하고 압전 세라믹 핀을 포함하는 장력계를 거쳐 공급한다. 테이크-업(take-up) 롤의 원주는 공급 롤의 원주보다 50% 더 크고, 공급 및 테이크-업 롤은 동일한 rpm으로 회전하여, 폴리우레탄 섬유는 장력계를 거쳐 50%의 신장률로 연신된다. 스판덱스가 롤을 통해 공급됨에 따라 장력계는 장력을 측정하였다. 장력의 표준 편차를 평균 장력으로 나누어 변동 계수를 얻고, CDV로 기록하며, 이는 데니어가 장력에 직접 비례하기 때문이다. CDV는 사용되는 선 밀도 단위 (데니어 vs. 데시텍스)와는 별개이며, 낮은 CDV는 높은 섬유 균일성을 나타낸다.
캡핑된 글리콜의 총 이소시아네이트 잔기 함량 (중량 퍼센트 NCO)은 문헌[S. Siggia, "Quantitative Organic Analysis via Functional Group", 3rd Edition, Wiley & Sons, New York, pp. 559-561 (1963)]의 방법에 따라 측정된다.
스판덱스의 강도 및 탄성은 ASTM D2731-72의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측정된다. 각각의 측정에는 3개의 필라멘트, 게이지 길이 2-인치 (5-cm), 및 0 내지 300% 연신 사이클을 사용한다. 샘플은 인스트론(Instron)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50 cm/분의 일정한 신장 속도로 5회 사이클 처리된다. 초기 연신 시 스판덱스 상의 응력인 부하력 ("LP")은 1회째 사이클에서 200% 신장률 하에 측정된다. 이완력 ("UP")은 5회째 이완 싸이클에서 200% 신장률 하에 측정된다. 퍼센트 파단 시 신장률 ("%ELO") 및 파단 시 인성 ("TEN")은 6회째 연신에서 측정된다. 파단 시 인성, 부하력 및 이완력은 센티-뉴튼 (CN) 단위로 기록된다. 또한, 고정율(percent set)은 5회의 0 내지 300%의 연신/이완 사이클을 거친 샘플에 대해 측정된다. 고정율 ("%S")은 %S=100(Lf-Lo)/Lo으로 산출되며, Lo 및 Lf은 각각 5회의 연신/이완 사이클 전후에 장력 없이 직선으로 유지했을 때의 필라멘트 (얀) 길이를 나타낸다.
폴리우레탄우레아의 고유 점도 ("IV")는 25℃에서 DMAc 자체의 점도에 대해 DMAc 중 희석 중합체 용액의 점도를 비교함으로써 측정된다.
("상대 점도" 방법) 표준 캐논-펜스케(Cannon-Fenske) 점도계 튜브에서 ASTM D2515에 따라 측정되며, dl/g의 단위로 기록된다.
"Meq/kg"은 총 성분, 즉 중합체 고형분의 킬로그램당 지정된 성분의 밀리그램 당량을 지칭한다.
일부 양태의 얀은 이하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Figure pct00001

Claims (14)

  1. (a) (i)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올; 및
    (ii) 디이소시아네이트
    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캡핑된 글리콜;
    (b) 제1 디아민 및 제2 디아민을 적어도 포함하는 연쇄 연장제; 및
    (c) 시클로헥실아민을 포함한 단관능성 아민을 포함하는 연쇄 종결제 조성물
    의 반응 생성물인 폴리우레탄우레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판덱스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는 약 75:25 내지 약 85:15의 상기 제1 디아민 대 상기 제2 디아민의 몰비; 및 약 10 meq/Kg 내지 약 30 meq/Kg의 시클로헥실우레아 말단부를 포함하는 것인,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쇄 종결제는 디에틸아민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는 약 10 meq/Kg 내지 약 60 meq/Kg의 디에틸우레아 말단부를 포함하는,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는 약 12 meq/Kg 내지 약 24 meq/Kg의 1급 아민 말단부를 포함하는,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는 점도 안정제를 포함하는,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 안정제는 약 50 ppm 내지 약 250 ppm의 양으로 존재하는, 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제1 디아민은 에틸렌디아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아민은 2-메틸-1,5-펜타메틸렌디아민 (MPMD)을 포함하는, 물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1600 내지 약 2200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물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된 글리콜은 약 2.3 내지 약 3.0의 %NCO를 갖는, 물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된 글리콜은 약 2.5 내지 약 2.7의 %NCO를 갖는, 물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 글리콜을 포함하는, 물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MDI)를 포함하는, 물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편직물(knit)인, 물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물은 경편직물 및 환편직물로부터 선택되는, 물품.
  14. (a)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올을 제공하는 단계;
    (b)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제공하는 단계;
    (c) 폴리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접촉시켜 캡핑된 글리콜을 형성하는 단계;
    (d) 제1 디아민 및 제2 디아민을 적어도 포함하는 연쇄 연장제를 제공하는 단계;
    (e) 시클로헥실아민을 포함한 단관능성 아민을 포함하는 연쇄 종결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f) 캡핑된 글리콜, 연쇄 연장제 및 연쇄 종결제 조성물을 용매 중에서 접촉시켜 용액 중의 폴리우레탄우레아를 형성하는 단계; 및
    (g) 용액 중의 폴리우레탄우레아를 방사하여 스판덱스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는 약 75:25 내지 약 85:15의 제1 디아민 대 제2 디아민의 몰비; 및 약 10 meq/Kg 내지 약 30 meq/Kg의 시클로헥실우레아 말단부를 포함하는, 스판덱스의 제조 방법.
KR1020127018242A 2010-01-14 2011-01-05 균일성이 높은 스판덱스 KR101825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9493510P 2010-01-14 2010-01-14
US61/294,935 2010-01-14
PCT/US2011/020216 WO2011087943A2 (en) 2010-01-14 2011-01-05 Spandex with high uniform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518A true KR20120115518A (ko) 2012-10-18
KR101825234B1 KR101825234B1 (ko) 2018-02-02

Family

ID=44304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8242A KR101825234B1 (ko) 2010-01-14 2011-01-05 균일성이 높은 스판덱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279197B2 (ko)
EP (1) EP2524072B1 (ko)
JP (1) JP5829218B2 (ko)
KR (1) KR101825234B1 (ko)
CN (1) CN102713033B (ko)
BR (1) BR112012017395B8 (ko)
HK (1) HK1176385A1 (ko)
MX (1) MX347436B (ko)
TW (1) TWI506050B (ko)
WO (1) WO201108794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280B1 (ko) * 2015-07-31 2016-11-11 주식회사 효성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51100B (zh) 2014-05-05 2022-01-01 盧森堡商英威達技術有限公司 生物衍生之聚胺基甲酸酯纖維
WO2023220760A2 (en) * 2022-05-13 2023-11-16 The Lycra Company Llc Spandex fibers with improved low-temperature heat sett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32948A1 (de) * 1989-10-03 1991-04-11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egmentierten polyurethanharnstoff-elastomerloesungen, sowie faeden und folien daraus
US5907012A (en) * 1996-04-08 1999-05-25 H.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Water-based polyurethane-urea laminating adhesives and primers
IL139555A0 (en) * 1998-06-02 2002-02-10 Bayer Ag Polyurethane ureas, polyurethane urea fibre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6127506A (en) * 1999-02-19 2000-10-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melt spinning spandex
CN1270006C (zh) * 2001-04-19 2006-08-16 株式会社可隆 聚氨酯型弹性纤维及其制备方法
US6503996B1 (en) * 2001-11-14 2003-01-07 Dupont Dow Elastomers L.L.C. High-uniformity spandex and process for making spandex
US6984708B2 (en) * 2002-10-04 2006-01-10 Invista North America S.A.R.L. Spandex of a particular composition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20080004395A1 (en) * 2005-02-11 2008-01-03 Invista North America S.A.R.L. Aqueous polyurethaneurea compositions including dispersions and films
WO2009032636A1 (en) * 2007-08-30 2009-03-12 Invista Technologies S.A R.L. Preparation of thin-walled articles of polyurethaneurea
KR100942359B1 (ko) 2007-11-06 2010-02-12 주식회사 효성 열세트성이 향상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의 제조방법
CN102066637B (zh) * 2008-04-14 2012-10-03 英威达技术有限公司 形成可拉伸的弹性织物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280B1 (ko) * 2015-07-31 2016-11-11 주식회사 효성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17395B8 (pt) 2020-08-04
WO2011087943A3 (en) 2011-11-17
BR112012017395A2 (pt) 2016-03-29
US9279197B2 (en) 2016-03-08
TW201136967A (en) 2011-11-01
EP2524072A2 (en) 2012-11-21
WO2011087943A2 (en) 2011-07-21
EP2524072B1 (en) 2017-09-27
TWI506050B (zh) 2015-11-01
JP5829218B2 (ja) 2015-12-09
CN102713033A (zh) 2012-10-03
EP2524072A4 (en) 2013-08-28
MX347436B (es) 2017-04-26
US20120295506A1 (en) 2012-11-22
CN102713033B (zh) 2015-04-15
JP2013517391A (ja) 2013-05-16
BR112012017395B1 (pt) 2020-07-21
KR101825234B1 (ko) 2018-02-02
MX2012007776A (es) 2012-08-03
HK1176385A1 (en) 201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088B1 (ko) 고생산성 스판덱스 섬유 공정 및 제품
EP2411571B1 (en) Elastic fiber containing an anti-tack additive
US9567694B2 (en) Elastic fabric comprising a polyurethane elastic fiber made from a polyether based polyol
US6639041B2 (en) Spandex having low set at low temperatures
US20180298140A1 (en) Polyurethane fiber including copolymer polyol
EP3044357B3 (en) Spandex fibers for enhanced bonding
KR100923612B1 (ko) 고균일성 스판덱스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825234B1 (ko) 균일성이 높은 스판덱스
WO2014210378A2 (en) Polyurethaneurea fiber including glycol blend
EP3724248B1 (en) Polymers with engineered segment molecular weights
CN110770374A (zh) 具有降低的表面摩擦和粘性的弹性纤维
WO2001040345A1 (en) Spandex having low set at low tempera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