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277A - 타이어를 제조하는 공정 및 설비 - Google Patents

타이어를 제조하는 공정 및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277A
KR20120115277A KR1020127016109A KR20127016109A KR20120115277A KR 20120115277 A KR20120115277 A KR 20120115277A KR 1020127016109 A KR1020127016109 A KR 1020127016109A KR 20127016109 A KR20127016109 A KR 20127016109A KR 20120115277 A KR20120115277 A KR 20120115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tire
forming drum
manufacturing
ja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9995B1 (ko
Inventor
지안니 만치니
마우리치오 마르키니
아드리아노 지로토
Original Assignee
피렐리 타이어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렐리 타이어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filed Critical 피렐리 타이어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Publication of KR20120115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6Accessories or details, e.g. membranes, transfe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5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s for the processing of tyr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16Handling tyres or parts thereof, e.g. supplying, storing, conve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10Building tyres on round cores, i.e. the shape of the core is approximately identical with the shape of the completed tyre
    • B29D2030/105Building tyres on round cores, i.e. the shape of the core is approximately identical with the shape of the completed tyre the cores being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2030/202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the building drums being movable, i.e. not permanently connected to a fixed frame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 몸체(4)에 대해서 마주하는 측면들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 샤프트(5)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성형 드럼(2)의 사용을 포함하는 차륜용 타이어를 제조하는 설비에 관한 것이다. 처리 장치(7)는 성형 드럼(2)에 맞물리고, 로딩/언로딩 위치(8a, 8b, 8c) 및 성형 드럼(2)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공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제공된 작업 위치(3a, 3b) 사이에서 성형 드럼(2)을 이동하도록 설계된다. 처리 장치(7)는 지지 샤프트(5)의 단부들(5a, 5b)에 근접해서 지지 샤프트(5)를 각각 맞무는 적어도 두 개의 그립 부재들(14)을 수반하는 그립 조립체(11), 및 작업 위치(3a, 3b)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공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에 성형 드럼(2)을 회전 구동하기 위해 상기 그립 부재들(14)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2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이어를 제조하는 공정 및 설비{PROCESS AND PLANT FOR BUILDING TYRES}
본 발명은 타이어를 제조하는 공정 및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최종 제품을 얻기 위해 나중에 가황 사이클로 가게 될 그린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공정 및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륜용 타이어는 각각의 림 상에 타이어의 소위 "피팅 지름(fitting diameter)"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내부 직경을 구비하는 "비드들(beads)"로서 통상적으로 나타내는 영역들 내로 통합된 각각의 환형 앵커 구조들과 맞물린 마주하는 단부 플랩들을 각각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카스 플라이를 포함하는 카카스 구조를 포함한다.
타이어의 원주의 연장 방향에 가로지르는 방향 및/또는 실질적으로 평행으로 직물 또는 금속 보강 코드들을 구비하는 서로 위에 그리고 카카스 플라이 위에 반경 방향의 겹쳐진 관계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벨트 층들을 포함하는 벨트 구조가 카카스 구조와 결합된다. 벨트 구조의 반경방향으로 외부 위치에 트레드 밴드가 부착되고, 트레드 밴드 역시 타이어를 구성하는 다른 반제품들과 같은 엘라스토머 재료로 만들어진다.
또한, 엘라스토머 재료의 각각의 사이드월들은 각각의 환형 앵커 구조에 근접할 때까지 트레드 밴드의 측면 에지들 중 하나로부터 비드들로 연장하는 카카스 구조의 측면 표면들 상에 축방향으로 외부 위치에서 부착된다. "튜블리스(tubeless)" 형태의 타이어들에서는, 통상적으로 "라이너(liner)"로 나타내는 기밀 코팅 층이 내부 타이어 표면들을 덮는다.
일반적으로, 카카스 구조 및 벨트 구조는 각각의 작업 스테이션에서 서로 따로 만들어지고 나서, 서로 조립된다.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조립을 통해 수행된 그린 타이어의 제조 후에, 엘라스토머 화합물의 교차 결합을 통해 타이어의 구조적 안정성을 결정하고 바람직한 트레드 패턴 및 타이어 사이드월들에 가능한 독특한 그래픽 표시들로 타이어를 새기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가황 및 몰딩 처리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동일한 출원인 이름의 WO 01/36185에 개시된 것과 같이, 구조적인 타이어 요소들이 적절히 형성된 토로이드 성형 지지부 상에 복수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들을 차례로 적층하는 것에 의해서 제조되고, 예를 들어, 구성 요소들은 특히 카카스 및 벨트 구조들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고무화된 개개의 코드들 또는 스트립형 요소들의 형태로 평행하게 모인 원하는 크기로 절단된 코드들, 및 예를 들어 트레드 밴드, 사이드월들, 라이너, 충진제들, 보조 지지 삽입물들과 같은 특히 타이어의 다른 구조적 요소들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엘라스토머 재료의 연속적인 세장 요소들로 구성되는 생산 공정들이 공지되어 있다.
전술한 WO 01/36185 문헌 및 역시 동일한 출원인 이름의 WO 00/35666 문헌에 따르면, 기본적인 구성 요소들이 성형 지지부 상에 부착되고 적절히 분배되고, 성형 지지부는 자동화된 암을 통해 성형 지지부로부터 동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생크(shank)에 있는 돌출부 내에 지지된다. 자동화된 암은 토로이드 지지부를 토로이드 지지부의 축 둘레로 회전시키고, 컴퓨터에 미리 설정된 미리 결정된 적층 계획에 기초해서 기본적인 구성 요소들의 제어된 분배를 결정하기 위해 압출기 또는 다른 분배 장치의 앞으로 토로이드 지지부를 이동시킨다.
동일한 출원인 이름의 WO 2009/040594는 a) 적어도 하나의 카카스 제조 라인에서 제 1 제조 드럼 상에 그린 타이어의 카카스 구조를 성형하는 단계; b) 적어도 하나의 크라운(crown) 구조 제조 라인에서 보조 드럼 상에 크라운 구조를 성형하는 단계; c) 제조되는 타이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립 및 형성 스테이션에서 크라운 구조에 카카스 구조를 결합하기 위해서 카카스 구조를 토로이드 형태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들을 생산하는 설비 및 공정을 개시한다. 조립 및 형성 스테이션의 작동은 카카스 제조 라인 및 크라운 구조 제조 라인의 작동과 동시에 이루어진다. 각각의 카카스 구조는 적어도 형성 단계의 완료까지 각각의 제조 드럼 상에 맞물린 채로 있는다. 제조된 타이어는 조립 및 형성 스테이션과 분리된 가황 및 몰딩 라인에서 몰딩되고 가황된다. 자동화된 암들은 카카스 제조 라인에서 조립 및 형성 스테이션으로 제조 드럼들의 이송뿐만 아니라, 크라운 구조 제조 라인에서 조립 및 형성 스테이션으로 그리고 크라운 구조 제조 라인을 따라 제공된 다른 작업 스테이션들 사이로 보조 드럼들의 이송을 수행한다.
또한, 동일한 출원인 이름의 WO 2009/128046은 각각의 제조 라인들에서 미리 제조된 카카스 슬리브 및 외부 슬리브가 서로 결합되는 조립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설비를 개시한다. 크라운 구조 제조 라인에서 미리 형성된 외부 슬리브를 수반하는 보조 드럼에, 그리고 카카스 제조 라인에서 형성된 카카스 슬리브를 수반하는 제조 드럼에 교대로 결합될 수 있는 맞물림 장치들이 조립 스테이션 내로 통합된다.
이러한 맞물림 장치들은 각각의 제조 드럼/보조 드럼으로부터 마주하는 측면들로 돌출하는 드럼 지지 샤프트의 제 1 및 제 2 단부를 각각 맞물도록 설계된 전동 척(powered chuck) 및 심압대(footstock)를 포함한다.
외부 슬리브는 보조 드럼 대신에 각각의 맞물림 장치들과 결합된 제조 드럼에 의해서 수반된 카카스 슬리브에 결합되기 위해서 맞물림 장치들과 미리 결합된 보조 드럼으로부터 들어 올려진다.
갈퀴형(fork-shaped) 단부를 수반하는 자동화된 암은 카카스 제조 라인으로부터 조립 스테이션 내에 제공된 맞물림 장치들까지 제조 드럼의 이송을 수행한다.
최근에, 출원인은 높은 작동 유연성 및 높은 품질 수준을 유지하면서, 특히 WO 2009/0405941 및 WO 2009/128046에 개시된 형태의 공정들 및 설비들의 일일 생산성을 증가시키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출원인은 특히, 구조적으로 복잡한 성형 드럼들, 즉, 팽창 및 수축 메커니즘들을 구비하거나 및/또는 특정 작업 단계들 하에서 타이어의 일부 부품들을 지지하기 위한 축방향 연장 보조부들을 갖춘 드럼들의 사용이 필요한, 그리고 작업 동안에 상기 드럼 상에 가해진 성형 드럼 무게 및/또는 응력들이 상당한 값이 되는 일부의 생산 상황들에서 예를 들어 전술한 문헌들에 따라 구상된 공정들 및 설비들은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본 문헌에서, 가공 작업 및 각각의 작업 위치로부터 그리고 각각의 작업 위치로의 이송이 수행될 때 성형 드럼이 성형 드럼의 지지 샤프트의 양 단부들에서 동시에 지지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출원인의 생각이다.
또한, 출원인은 성형 드럼이 마주하는 단부들에서 안정적으로 보유되고 작업 위치에서 가공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회전 구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했다.
마지막으로, 출원인은 성형 드럼의 지지 샤프트의 마주하는 단부들에 동시에 도달하고 맞물 수 있는 처리 장치의 사용에 의해서, 상기 단부들의 맞물림과 동시에 드럼 자체를 회전 구동하기 위해 샤프트에 모터의 결합을 통해, 작업 위치에서 가공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해 성형 드럼을 준비하고 로딩/언로딩 위치에서 드럼 자체를 풀기 위해 필요한 시간과 관련하여 상당한 감소가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양태에서, 본 발명은:
- 적어도 하나의 처리 장치에 의해서, 성형 드럼의 중앙 몸체에 대해서 마주하는 측면들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 샤프트의 양 단부들 부근에 가공되는 타이어를 운반하도록 설계된 성형 드럼을 맞무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로딩/언로딩 위치 및 성형 드럼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공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작업 위치 사이에서 상기 성형 드럼을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공 작업이 작업 위치에서 수행되고 있는 동안에, 지지 샤프트의 상기 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성형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인 타이어들을 제조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출원인은 로딩/언로딩 위치로부터 성형 드럼을 들어올리기 위해서 자동화된 암을 준비시키는 순간 및 가공 단계의 실행이 작업 위치 자체 내의 성형 드럼 상에서 실제로 시작하는 순간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을 감소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작업 위치에서 가공 작업의 실행이 끝나는 순간 및 작업 위치와 관련된 출구 위치로 성형 드럼이 풀리는 순간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이 감소된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 중앙 몸체에 대해서 마주하는 측면들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 샤프트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성형 드럼;
- 성형 드럼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공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업 위치;
- 성형 드럼과 맞물리고, 작업 위치와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로딩/언로딩 위치 및 상기 작업 위치 사이로 성형 드럼을 이송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장치는:
- 지지 샤프트의 단부들의 각각의 부근에서 지지 샤프트를 각각 맞무는 적어도 두 개의 그립 부재들을 수반하는 그립 조립체, 및
-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공 작업이 작업 위치에서 수행되는 동안에, 성형 드럼을 회전 구동하도록 상기 그립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포함하는 차륜용 타이어들을 제조하는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양태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이하에 설명되는 바람직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샤프트의 상기 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 샤프트의 맞물림과 동시에 모터에 연결된다.
가공 작업의 실행 동안에, 성형 드럼은 상기 처리 장치에 의해서 작업 위치로 옮겨진다.
따라서, 상기 성형 드럼의 회전 구동과 동시에 성형 드럼 상에 부착되는 기본적인 구성 요소의 제어된 분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위치에서 작동하는 압출기에 의해 공급된 연속적인 세장 요소가 미리 설정된 기하학 패턴에 따라서 서로 근접하거나 및/또는 겹쳐져서 차례로 배치된 성형 드럼 상에 분배될 수 있다.
성형 드럼의 맞물림은 지지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해 서로에 가까이 이동될 수 있는 제 1 조(jaw) 및 제 2 조 사이에서 지지 샤프트의 단부들의 각각을 맞무는 것에 의해서 수행된다.
이러한 해결책은 제조 드럼 둘레의 벌키성(bulkiness)이 제한되도록 해서, 감소된 공간들에서 다른 작업 위치들의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조들 사이의 단부들의 맞물림은:
- 열린 상태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된 조들 사이에 상기 단부들을 삽입하는 단계; 및
-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 서로에 가까이 조들을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은 지지 샤프트에 대해서 반경 방향으로 수행된다.
상기 가까워지는 이동과 동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부의 작동에 따라서 성형 드럼을 회전 구동하기 위해 운동 전달 유닛이 지지 샤프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해결책들 역시 제조 드럼의 축방향 벌키성 및 그립 속도를 제한하는 목적을 위한 이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지지 샤프트의 단부들의 맞물림은 상기 제 1 및 제 2 조들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수반되는 서로 접근할 수 있는 제 1 및 제 2 회전 부시들 사이에 상기 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마감을 포함한다.
따라서, 성형 드럼의 회전 구동에 따른 지지 샤프트 및 조들 사이의 마찰 및 마모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작업 위치에서 가공 작업이 완료될 때, 성형 드럼은:
- 제 1 부분이 제 1 조에 의해서 수반되고 제 2 부분이 제 2 조에 의해서 수반되는 정지 위치에 회전 부시를 고정하는 단계; 및
- 회전 부시로부터 지지 샤프트를 분리하기 위해 조들과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들을 서로 멀어지게 이동하는 단계;에 의해서 상기 로딩/언로딩 위치에서 풀린다.
조들의 열림과 동시에 분리 가능한 부시 부분들의 상호 멀어지는 이동은 성형 드럼의 용이한 분리를 허락한다.
운동 전달 유닛은 조들의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이동에 따라 지지 샤프트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운동 전달 유닛 및 관련된 모터는 조들의 열린 상태에서도 회전 부시와 계속 맞물린 채로 있을 수 있어서, 운동 전달 유닛 및 관련된 모터는 닫힌 상태로 서로에 근접하는 조들의 움직임에 따라서 성형 드럼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준비를 한다.
서로에 근접하는 조들의 움직임과 동시에 지지 샤프트에 대한 회전 부시의 회전 고정이 발생해서, 회전 부시의 회전에 따라 회전 움직임이 지지 샤프트로 전달된다.
따라서, 회전 부시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에 의지하지 않고 성형 드럼으로 움직임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공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에 상기 작업 위치 내의 성형 드럼의 움직임을 위한 자동화된 암을 포함한다.
각각의 그립 부재는 반경의 체결 방향으로 지지 샤프트를 수용하기 위해 서로로부터 이격된 열린 상태 및 지지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해 서로에 근접하게 이동되는 닫힌 상태 사이에서 서로 이동할 수 있는 제 1 조 및 제 2 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들 중 하나에 의해 작동 가능하게 수반되고 상기 모터의 작동에 따라 성형 드럼을 회전 구동하기 위해 지지 샤프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 전달 유닛이 제공된다.
운동 전달 유닛은 조들의 열린 상태에서 지지 샤프트로부터 분리되고 조들의 닫힌 상태에서 지지 샤프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각각 나타난다.
상기 그립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맞물기 위한 회전 부시를 포함한다.
회전 부시는 그립 부재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분배되고 회전 부시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롤러들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수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회전 부시는 적어도 제 1 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수반된 롤러들의 제 1 연속물 및 제 2 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수반된 롤러들의 제 2 연속물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수반된다.
롤러들의 상기 제 1 및 제 2 연속물들 각각에 속하는 롤러들은 원주의 분배 방향을 따라 서로 전개된다.
상기 회전 부시는 서로 가까이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으로 정반대로 분리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부분이 제 1 조에 의해 수반되고 제 2 부분이 제 2 조에 의해 수반되는 정지 상태로 회전 부시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들이 제공된다.
운동 전달 유닛은 상기 모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회전 부시를 회전 구동하기 위해서 상기 모터 및 회전 부시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개재된다.
운동 전달 유닛은 회전 부시 위로 부분적으로 지나가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벨트를 포함한다.
구동 벨트는 제 1 풀리 및 제 2 풀리 둘레로 작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내부 톱니 및 부시 외부에 제공된 결합 톱니와 맞물림 관계인 외부 톱니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모터 및 운동 전달 유닛은 그립 부재들 중 하나에만 결합되고, 다른 그립 부재는 각각의 롤러들 상에 단지 설치된 각각의 회전 부시를 구비한다.
또한, 지지 샤프트에 대해서 회전 부시의 회전 고정을 위한 요소들이 제공되어서, 회전 부시의 회전에 따라 지지 샤프트로 회전 움직임이 전달된다.
상기 회전 고정을 위한 요소들은 상기 회전 부시 및 지지 샤프트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된 설치 시트 내에 삽입하기 위해 상기 회전 부시 및 지지 샤프트 중 하나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구동 핀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핀은 회전 부시가 정지 위치에 있을 때 조들의 상호 접근의 방향에 평행으로 지향된다.
본 명세서의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음.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이 본 발명의 몇몇의 바람직하나 배타적이지 않은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하질 것이다. 이하, 본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로서 제공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착수될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들을 제조하는 설비의 평면도이다.
- 도 2는 로딩/언로딩 위치에 있는 성형 드럼의 맞물림 동안에, 논의되고 있는 설비의 일부인 그립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 도 3은 열린 상태의 조들을 가진 도 2의 그립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 도 4는 성형 드럼이 회전 구동되는 동안에 닫힌 상태의 조들을 가진 도 2의 그립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 도 5는 도 4의 라인 V-V를 따라 절단된 도 2의 그립 조립체의 세부구조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 타이어들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의 일부인 작업 영역은 일반적으로 도면부호 1로 나타내었으며, 본 발명의 목적들을 위해 설비의 중요한 부분들만 도시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성형 드럼들(2)은 각각의 성형 드럼들 상에 타이어를 제조하는 각각의 가공 작업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작업 위치들을 포함하는 제조 라인을 따라서 미리 결정된 경로로 이동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각각 인접해 있는 제 1 작업 위치(3a) 및 제 2 작업 위치(3b)가 도시된다; 제 1 및 제 2 작업 위치들은 가공되는 각각의 타이어들을 제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미리 결정된 가공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각각의 성형 드럼(2) 상에서 각각 동시에 작동한다. 다른 작업 위치들이 제조 라인을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작업 위치들(3a, 3b)의 상류 및/또는 하류에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성형 드럼(2)은 가공되는 타이어를 지지하도록 설계된 중앙 몸체(4) 및 성형 드럼을 들어올리거나 이동할 수 있게 하도록 중앙 몸체(4)에 대해서 마주하는 측면들로 동축으로 돌출하는 지지 샤프트(5)를 구비한다.
가공되는 각각의 타이어는 하나 이상의 카카스 플라이들, 비드들에 대한 환형 보강 구조들, 하나 이상이 벨트 층들, 트레드 밴드 및 사이드월들과 같은 몇 개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적층 및/또는 처리하는 것에 의해서 각각의 성형 드럼 상에서 직접 성형된다. 바람직하게는, 가황 처리를 받게 될 완성된 그린 타이어가 획득될 때까지, 각각의 구성요소는 미리 적층된 구성 요소들에 더하여 성형 드럼(2)의 중앙 몸체(4) 상에 직접 성형되거나, 및/또는 각각의 작업 위치(3a, 3b) 내에서 수행되는 미리 결정된 가공 작업에 따라서 적절히 처리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작업 위치들(3a, 3b)의 각각은 성형 드럼(2) 상에 생 엘라스토머 재료의 연속적인 세장 요소를 공급하도록 설계된 이하에서 더욱 명확하게 설명될 압출기(6a, 6b)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작업 위치들(3a, 3b)은 개개의 코드들 또는 원하는 크기로 절단되고 고무화 스트립형 요소들의 형태로 함께 모인 코드들과 같은 다른 형태의 구성요소들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들 및/또는 반제품들을 공급하기 위한 다른 분배 유닛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처리 장치(7)는 적어도 하나의 로딩/언로딩 위치(8a, 8b, 8c) 및 로딩/언로딩 위치가 연동되는 작업 위치(3a, 3b) 사이에서 성형 드럼(2)을 이송하기 위해 각각의 성형 드럼(2)을 맞물도록 설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로딩/언로딩 위치(8a), 제 2 로딩/언로딩 위치(8b) 및 제 3 로딩/언로딩 위치(8c)가 제공되고, 제 1 내지 제 3 로딩/언로딩 위치들의 각각은 예를 들어 중앙 몸체(4)의 마주하는 측면들 각각 상에 있고 마주하는 측면들에 인접한 지지 샤프트(5) 상에서 작동하고 두 개의 기둥들(10)에 의해서 성형 드럼(2)을 지지하도록 설계된 지지 구조(9)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처리 장치(7)는 작동 유닛(12)에 의해서 작동 가능하게 수반되는 그립 조립체(11)를 포함한다.
그립 조립체(11)는 지지 샤프트(5)의 마주하는 단부들(5a, 5b) 각각에서 성형 드럼(2)을 맞물도록 설계된다. 작동 유닛(12)은 성형 드럼(2)을 공간적으로 이동하도록 그립 조립체(11) 상에서 차례로 작동해서, 성형 드럼(2)은 로딩/언로딩 위치(8a, 8b, 8c)로부터 그리고 로딩/언로딩 위치(8a, 8b, 8c)로 이송될 수 있고, 가공 작업의 실행 동안에 작업 위치(3a, 3b) 내에서 처리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작동 유닛(12)은 예를 들어 세 개 이상의 축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다섯 개의 축들을 구비하는 인간형 산업 로봇(anthropomorphous industrial robot)인 자동화된 암을 포함한다.
그립 조립체(11)는 길이방향 연장부의 중간 지점에서 작동 유닛(12)과 맞물리는 다리-형(bridge-shaped) 지지 빔(13)을 포함하고, 다리-형 빔의 맞은편 단부들로부터 하부로 돌출하는 적어도 두 개의 그립 부재들(14)을 수반해서, 그립 부재들의 각각은 지지 샤프트(5)의 단부들(5a, 5b) 중 하나와 맞물린다.
이를 위해서, 각각의 그립 부재(14)는 유체 액추에이터(fluid-operated actuator)(16)의 명령에 따라서 서로 움직일 수 있는 예를 들어 한 쌍의 조들(jaws)(15a, 15b)을 구비한다. 유체 액추에이터(16)의 작동은 조들이 지지 샤프트(5)의 직경보다 더 큰 양만큼 서로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있는 열린 상태 및 조들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및 제 2 조들(15a, 15b) 사이에 제공된 회전 부시(17)에 지지 샤프트(5)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해 서로 가까이 배치되어 있는 닫힌 상태 사이에서 조들(15a, 15b)의 서로의 움직임을 결정한다.
서로 가까이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부분(17a) 및 하나의 제 2 부분(17b)으로 정반대로 분리된 회전 부시(17)는 원주방향으로 분배되고 그립 부재(14)와 회전 가능하게 맞물린 롤러들(18a, 18b)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수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적어도 제 1 조(15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수반된 롤러들(18a)의 하나의 제 1 연속물 및 제 2 조(15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수반된 롤러들(15b)의 하나의 제 2 연속물이 제공된다. 조들(15a, 15b)이 닫힌 상태에 있을 때, 제 1 및 제 2 연속물들 각각에 속하는 롤러들(18a, 18b)은 원주의 분배 방향을 따라서 서로 전개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롤러들(18a, 18b)의 제 1 및 제 2 연속물들의 각각은 회전 부시(17)의 축방향으로 맞은편 측면들 상에 형성된 가이드 레이스들(19a, 19b) 내에 작동 가능하게 맞물린 축방향으로 맞은편 롤러들의 쌍들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3 및 4에 명확히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부분(17a)이 제 1 조(15a)에 의해 수반되고 제 2 부분(17b)이 제 2 조(15b)에 의해 수반되는 정지 위치에 회전 부시(17)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들(20)이 제공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정지 위치에서, 회전 부시(17)의 제 1 및 제 2 부분들(17a, 17b)의 접근 평면은 조들(15a, 15b)을 서로 가까이 그리고 멀리 이동하는 방향에 수직이어서,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 사이의 상기 조들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고정 디바이스들(20)은 각각의 조(15a, 15b)와 통합된 액추에이터(22)의 명령에 따라서 회전 부시(17) 내에 제공된 고정 시트(23)에 설치되도록 회전 부시(17)의 부분들의 각각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핀(21)을 포함한다.
또한, 그립 부재와 결합된 모터(25) 자체의 명령에 따라서 성형 드럼(2)을 회전 구동하기 위해서 지지 샤프트(5)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운동 전달 유닛(24)이 그립 부재들(14) 중 적어도 하나 내로 통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운동 전달 유닛(24)은 상기 모터(25)의 명령에 따라서 회전 부시(17)를 회전 구동하기 위해서 모터(25)와 회전 부시(17)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를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조들(15a, 15b) 중 하나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조(15a) 내에 수용된 운동 전달 유닛(24)은 바람직하게는 톱니 벨트(toothed belt)인 적어도 하나의 구동 벨트(26)를 포함한다. 구동 벨트(26)는 모터(25)와 결합된 감속 기어(25a)에 의해 수반된 제 1 풀리(27)와 각각의 조(15a)의 하단 부근에서 작동하는 제 2 풀리(28) 둘레로 작동 가능하게 맞물린 내부 톱니(26a)를 구비한다. 구동 벨트(26)의 뻗은 구간은 부시 자체의 외부에 제공된 결합 톱니(29)와 맞물림 관계인 외부 톱니(16b)로 회전 부시(17) 둘레에 부분적으로 감긴다.
운동 전달 유닛(24)은 구동 벨트(26) 대신에 톱니바퀴 열(gear train)을 사용하여 설명된 것과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출원인은 적어도 중량 감소의 목적을 위해 구동 벨트(26)의 사용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한다.
바람직하게는, 모터(25) 및 운동 전달 유닛(24)은 그립 부재들(14) 중 하나에만 결합되고, 다른 그립 부재(14)는 각각의 롤러들(18a, 18b) 상에 단지 설치된 각각의 회전 부시(17)를 구비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지지 샤프트(5) 또는 회전 부시(17) 내에 제공된 설치 시트(30b) 내의 삽입을 위해 회전 부시(17) 또는 지지 샤프트(5)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구동 핀(30a)을 각각 포함하는 성형 드럼(2)의 지지 샤프트(5)에 대해서 회전 부시(17)를 회전 고정하기 위한 요소들이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회전 부시(17)는 두 개의 구동 핀들(30a)을 구비하며, 구동 핀들의 각각은 회전 부시의 각각의 제 1 및 제 2 부분들(17a, 17b)의 내측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고 회전 부시(17)가 정지 위치에 있을 때 조들(15a, 15b)의 상호 접근 방향에 평행으로 지향된다.
제조 공정 동안에, 바람직하게 선행하는 작업 위치로부터 와서 제 1 작업 위치(3a)에서 가공 작업을 받게 될 성형 드럼(2)은 제 1 로딩/언로딩 위치(8a)로 제공된다.
제 1 로딩/언로딩 위치(8a)에 제공된 성형 드럼(2)은 제 1 작업 위치(3a) 자체에서 가공 작업을 받기 위해 제 1 작업 위치(3a)와 관련된 처리 장치(7)에 의해서 들어 올려질 준비를 한다.
이를 위하여, 제 1 작업 위치(3a)와 관련된 처리 장치(7)는 처리 장치의 그립 조립체(11)를 제 1 로딩/언로딩 위치(8a)에 가까이 가져가고, 지지 구조(9)의 기둥들(10)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 샤프트(5)의 단부들(5a, 5b) 중 하나 위로 그립 부재들(14)의 각각을 위치시킨다.
그립 조립체(11)의 적절한 움직임에 의해서, 지지 샤프트(5)의 단부들(5a, 5b)의 각각은 열린 상태로 설정된 각각의 그립 부재(14)의 제 1 조(15a) 및 제 2 조(15b)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삽입된다. 그립 부재들(14)의 각각에 결합된 유체 액추에이터들(16)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조들(15a, 15b)을 상호 접근하도록 작동해서, 그립 조립체(11)에 의해 지지 샤프트(5)의 맞물림을 결정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조들(15a, 15b)의 상호 접근에 의해서, 지지 샤프트(5)의 단부들(5a, 5b)의 각각은 닫힌 상태에 도달할 때 서로 연결되는 각각의 회전 부시(17)의 제 1 부분(17a) 및 제 2 부분(17b)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맞물린다.
바람직하게는, 맞물림이 일어났을 때, 단부들(5a, 5b)의 각각은 그립 부재(14)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돌출한다.
동시에, 구동 핀들(30a)은 지지 샤프트(5)의 단부들(5a, 5b) 내에 제공된 각각의 설치 시트들(30b) 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각각의 회전 부시(17)는 지지 샤프트(5)에 대해서 회전 고정된다. 따라서, 운동 전달 유닛(24)을 수반하는 그립 부재(14)에 의해 맞물린 지지 샤프트(5)의 단부들(5a, 5b) 중 하나는 운동 전달 유닛(24) 자체에 연결되어서, 닫힌 상태로 조들(15a, 15b)의 근접하는 이동에 따른 지지 샤프트(5)의 맞물림과 동시에 결과적으로 모터(25)와 연결된다. 따라서, 도 3 및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부(5a)는 제 1 작업 위치(3a) 내에서 가공 작업의 실행 동안에 성형 드럼(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이다. 운동 전달 유닛(24)이 없는 그립 부재(14)에 의해 맞물린 다른 단부(5b)는 각각의 회전 부시(17)를 회전 구동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처리 장치(7)는 제 1 로딩/언로딩 위치(8a)로부터 성형 드럼(2)을 제거하고, 가공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성형 드럼(2)을 제 1 작업 위치(3a)로 이송하도록 설계된다.
가공 작업 동안에, 성형 드럼(2)은 모터(25)의 명령에 따라서 그리고 운동 전달 유닛(24)을 통해서 회전하도록 설정되어서, 압출기(6a)로부터 나오는 연속적인 세장 요소 및/또는 작업 위치(3a)에 공급된 다른 구성 요소들이 중앙 뭄체(4)의 표면 둘레로 원주방향으로 분배될 수 있다. 동시에, 작동 유닛(12)에 의해 그립 조립체(11)로 전달된 변위들에 의해서, 성형 드럼(2)이 그 회전 축에 대해서 평행으로 및/또는 가로질러서 이동될 수 있고, 미리 결정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다른 축들로 각도로 지향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서로에 근접하거나 및/또는 겹쳐져서 차례로 적절히 배치됨에 따라서 압출기(6a)로부터 연속적인 세장 요소를 분배하는 것에 의해서 바람직한 형상 및 두께의 엘라스토머 구성 요소를 형성한다.
제 1 작업 위치(3a)에서 가공 작업의 실행이 완료될 때, 성형 드럼(2)의 회전이 멈추고, 작동 유닛(12)은 상기 드럼을 제 1 로딩/언로딩 위치(8a) 또는 인접한 제 2 로딩/언로딩 위치(8b)로 가져온다.
더욱 구체적으로, 성형 드럼(2)의 회전이 회전 부시들(17) 내에 제공된 고정 시트들(23) 및 액추에이터들(22)에 의해서 구동되는 각각의 핀들(21) 사이에서 정렬이 결정되는 그러한 각 위치로 정지되어서, 조들(15a, 15b)이 열린 상태로 서로 분리될 수 있게 하도록 설계된 정지 위치로 상기 부시들을 고정시킨다.
따라서, 지지 샤프트(5)가 회전 부시들 및 운동 전달 유닛(24)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서, 유체 액추에이터들(16)은 열린 상태로 조들(15a, 15b)의 상호 분리 이동과 그에 따른 각각의 회전 부시(17)의 제 1 및 제 2 부분들(17a, 17b)의 분리 이동을 결정한다.
그립 조립체(11)가 작동 유닛(12)에 의해 올려지고 분리되면, 성형 드럼(2)은 예를 들어 제 2 로딩/언로딩 위치(8b)에서 풀린다.
따라서, 성형 드럼(2)은 다음 가공 작업을 받기 위해 제 2 작업 위치(3b)와 관련된 다른 처리 장치(7)에 의해서 다시 들어 올려지고 그 다음에 제 3 로딩/언로딩 위치(8c)로 풀리도록 설계된다.
도 1에 실시예로서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 샤프트(5)의 단부들(5a, 5b) 상의 반경방향의 삽입에 의해 성형 드럼(2)을 맞물도록 설계된 그립 부재들(14)의 사용은 드럼 자체의 회전 축을 따르는 상당한 벌키성(bulkiness) 감소를 가능하게 해서, 각각의 성형 드럼들(2) 상에서 동시에 작동하는 몇 개의 작업 위치들(3a, 3b)의 근접하게 이격된 배치를 허락한다.

Claims (27)

  1. - 적어도 하나의 처리 장치(7)에 의해서, 성형 드럼(2)의 중앙 몸체(4)에 대해서 마주하는 측면들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 샤프트(5)의 양 단부들(5a, 5b)에 근접하게 가공되는 타이어를 운반하도록 설계된 성형 드럼(2)을 맞무는 단계; 및
    - 적어도 하나의 로딩/언로딩 위치(8a, 8b, 8c)로부터 성형 드럼(2)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공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작업 위치(3a, 3b)로 상기 성형 드럼(2)을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지지 샤프트(5)의 상기 단부들(5a, 5b)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공 작업이 작업 위치(3a, 3b)에서 수행되는 동안에 성형 드럼(2)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인 타이어를 제조하는 공정.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 샤프트(5)의 상기 단부들(5a, 5b)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 샤프트(5)의 맞물림과 동시에 모터(25)에 연결되는 타이어를 제조하는 공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형 드럼(2)이 상기 처리 장치(7)에 의해서 작업 위치(3a, 3b)로 옮겨지고, 상기 가공 작업이 수행되는 타이어를 제조하는 공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형 드럼(2)의 맞물림은 지지 샤프트(5)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해 서로 가까이 이동될 수 있는 제 1 조(15a) 및 제 2 조(15b) 사이에 지지 샤프트(5)의 단부들(5a, 5b)의 각각을 맞무는 것에 의해서 수행되는 타이어를 제조하는 공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조들(15a, 15b) 사이에 단부들(5a, 5b)의 맞물림은:
    - 열린 상태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된 조들(15a, 15b) 사이에 상기 단부들(5a, 5b)을 삽입하는 단계; 및
    -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조들(15a, 15b)을 서로에 가까이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은 지지 샤프트(5)에 대해서 반경 방향으로 수행되는 타이어를 제조하는 공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까이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부(5a, 5b)의 작동에 따라 성형 드럼(2)을 회전 구동하기 위해 운동 전달 유닛(24)이 지지 샤프트(5)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타이어를 제조하는 공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샤프트(5)의 단부들(5a, 5b)의 맞물림은 상기 제 1 및 제 2 조들(15a ,15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수반된 회전 부시(17)의 서로 접근가능한 제 1 및 제 2 부분들(17a, 17b) 사이에 상기 단부들(5a, 5b) 중 적어도 하나의 마감을 포함하는 타이어를 제조하는 공정.
  8. 제7항에 있어서,
    작업 위치(3a, 3b)에서 가공 작업이 완료될 때,
    - 제 1 부분(17a)이 제 1 조(15a)에 의해 수반되고 제 2 부분(17b)이 제 2 조(15b)에 의해 수반되는 정지 위치로 회전 부시(17)를 고정하는 단계; 및
    - 회전 부시(17)로부터 지지 샤프트(5)를 분리하기 위해 조들(15a, 15b)과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들(17a, 17b)을 서로 떨어뜨려 이동하는 단계;에 의해서 성형 드럼(2)이 상기 로딩/언로딩 위치(8a, 8b) 내에 풀리는 타이어를 제조하는 공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동 전달 유닛은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조들(15a, 15b)의 이동에 따라 지지 샤프트(5)로부터 분리되는 타이어를 제조하는 공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샤프트(5)에 대한 회전 부시(17)의 회전 고정이 서로에 가까워지는 조들(15a, 15b)의 움직임과 동시에 일어나서, 회전 부시(17)의 회전에 따라 회전 움직임이 지지 샤프트(5)에 전달되는 타이어를 제조하는 공정.
  11. - 중앙 몸체(4)에 대해서 마주하는 측면들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 샤프트(5)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성형 드럼(2);
    - 성형 드럼(2)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공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업 위치(3a, 3b);
    - 성형 드럼(2)에 맞물리고, 작업 위치(3a, 3b)와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로딩/언로딩 위치(8a, 8b, 8c) 및 상기 작업 위치(3a, 3b) 사이에서 성형 드럼(2)을 이송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처리 장치(7)를 포함하고,
    처리 장치(7)는:
    - 지지 샤프트(5)의 단부들(5a, 5b)의 각각의 부근에서 지지 샤프트(5)를 각각 맞무는 적어도 두 개의 그립 부재들(14)을 수반하는 그립 조립체(11), 및
    - 작업 위치(3a, 3b)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공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에 성형 드럼(2)을 회전 구동하기 위해 상기 그립 부재들(14)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25)를 포함하는 차륜용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
  12. 제11항에 있어서,
    처리 장치(7)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공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에 상기 작업 위치(3a, 3b) 내에 성형 드럼(2)의 이동을 위한 자동화된 암(12)을 포함하는 차륜용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각각의 그립 부재는 반경의 설치 방향으로 지지 샤프트(5)를 수용하기 위해 서로로부터 이격된 열린 상태 및 지지 샤프트(5)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해 서로에 가까이 이동되는 닫힌 위치 사이로 서로 움직일 수 있는 제 1 조(15a) 및 제 2 조(15b)를 포함하는 차륜용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들(15a, 15b) 중 하나에 의해서 작동 가능하게 수반되고, 상기 모터(25)의 작동에 따라 성형 드럼(2)을 회전 구동하기 위해 지지 샤프트(5)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 전달 유닛(24)을 더 포함하는 차륜용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전달 유닛(24)은 조들(15a, 15b)의 열린 상태에서 지지 샤프트(5)로부터 분리되고 조들(15a, 15b)의 닫힌 상태에서 지지 샤프트(5)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차륜용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부재들(14)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 샤프트(5)를 회전 가능하게 맞물기 위한 회전 부시(17)를 포함하는 차륜용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
  17. 제16항에 있어서,
    회전 부시(17)는 그립 부재(14)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분배되고 회전 부시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맞물린 롤러들(18a, 18b)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수반되는 차륜용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
  18.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16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 부시(17)는 적어도 제 1 조(15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수반된 롤러들(18a)의 제 1 연속물 및 제 2 조(15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수반된 롤러들(18b)의 제 2 연속물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수반되는 차륜용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들(18a, 18b)의 제 1 및 제 2 연속물들에 속하는 롤러들은 원주의 분배 방향을 따라서 서로 각각 전개되는 차륜용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시(17)는 서로 가까이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제 1 부분(17a) 및 제 2 부분(17b)으로 정반대로 분리되는 차륜용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
  21.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을 인용할 때, 제20항에 있어서,
    제 1 부분(17a)이 제 1 조(15a)에 의해 수반되고 제 2 부분(17b)이 제 2 조(15b)에 의해서 수반되는 정지 위치에 회전 부시(17)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들을 더 포함하는 차륜용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
  22. 제14항 또는 제15항 또는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전달 유닛(24)은 상기 모터(25)의 작동에 따라서 상기 회전 부시(17)를 회전 구동하기 위해 상기 모터(25) 및 회전 부시(17)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개재되는 차륜용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
  23. 제22항에 있어서,
    운동 전달 유닛(24)은 회전 부시(17) 위로 부분적으로 지나가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벨트(26)를 포함하는 차륜용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
  24. 제16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샤프트(5)에 대한 회전 부시(17)의 회전 고정을 위한 요소들을 더 포함해서, 회전 부시(17)가 회전에 따라 회전 움직임이 지지 샤프트(5)로 전달되는 차륜용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고정을 위한 요소들은 상기 회전 부시(17) 및 지지 샤프트(5)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된 설치 시트(30b) 내의 삽입을 위해 상기 회전 부시(17) 및 지지 샤프트(5) 중 하나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구동 핀(30a)을 포함하는 차륜용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
  26. 제25항에 있어서,
    회전 부시(17)가 정지 위치에 있을 때, 구동 핀(30a)은 조들(15a, 15b)의 상호 접근의 방향에 평행으로 지향되는 차륜용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
  27. 제17항에 있어서,
    모터(25) 및 운동 전달 유닛(24)은 그립 부재들(14) 중 하나에만 결합되고, 다른 그립 부재는 각각의 롤러들(18a, 18b) 상에 단지 설치된 각각의 회전 부시(17)를 구비하는 차륜용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
KR1020127016109A 2009-12-23 2010-11-29 타이어를 제조하는 공정 및 설비 KR101819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2009A002282 2009-12-23
ITMI20092282 2009-12-23
US28231310P 2010-01-20 2010-01-20
US61/282,313 2010-01-20
PCT/IB2010/055473 WO2011077296A2 (en) 2009-12-23 2010-11-29 Process and plant for building ty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277A true KR20120115277A (ko) 2012-10-17
KR101819995B1 KR101819995B1 (ko) 2018-01-18

Family

ID=42355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109A KR101819995B1 (ko) 2009-12-23 2010-11-29 타이어를 제조하는 공정 및 설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039853B2 (ko)
EP (1) EP2516143B1 (ko)
JP (1) JP5744911B2 (ko)
KR (1) KR101819995B1 (ko)
CN (1) CN102712150B (ko)
BR (1) BR112012015162B1 (ko)
WO (1) WO201107729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68980B2 (ja) 2009-12-21 2017-01-25 ピレリ・タイヤ・ソチエタ・ペル・アツィオーニ タイヤを構築するためのプロセスおよびプラント
CN103171167A (zh) * 2011-12-22 2013-06-26 软控股份有限公司 胎圈传递环及其传递方法
EP3807082B1 (en) * 2018-06-15 2023-10-04 Pirelli Tyre S.p.A. Process and apparatus for building tyres
FR3099407B1 (fr) * 2019-08-01 2021-07-02 Michelin & Cie Tambour expansible pour la conformation de bandages pneumatiques comprenant un dispositif extenseur a parallélogramme pour le maintien de la tringl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45268A (en) * 1926-08-03 1927-10-11 Jerome E Walker Segmental flywheel gear
US2846909A (en) * 1954-06-24 1958-08-12 Mason Carlton Tool Co Inc Power-driven pipe tong
US3687756A (en) * 1970-07-06 1972-08-29 Goodyear Tire & Rubber Method and apparatus for stripping flexible article from a building drum
US3709072A (en) * 1971-04-15 1973-01-09 W Rogers Motor driven pipe wrench
US3799010A (en) * 1971-10-15 1974-03-26 W Guier Apparatus for rotating a member
US4059477A (en) * 1976-05-26 1977-11-22 Labelette Company Box end labeling apparatus
US4314864A (en) * 1980-05-07 1982-02-09 The Firestone Tire & Rubbe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 tire
US4443290A (en) * 1982-06-08 1984-04-17 The Firestone Tire & Rubber Company Work station
DE3728090A1 (de) * 1987-08-22 1989-03-02 Walter Hunger Sattelkupplung
US5037356A (en) * 1990-05-21 1991-08-06 Ucc Corporation Split sprocket assembly
US5351582A (en) * 1992-09-04 1994-10-04 Aldridge Electric Inc. Pipe turning tool
US5848947A (en) * 1996-08-23 1998-12-15 Giddings & Lewis, Inc. Split power transfer member
BR9916360B1 (pt) 1998-12-17 2008-11-18 processo para fabricaÇço de componentes de um pneu para rodas de veÍculo.
CN1205019C (zh) 1999-11-19 2005-06-08 倍耐力轮胎公司 制造车辆轮胎合成橡胶材料组成部分的方法
US6793752B2 (en) 2001-09-21 2004-09-2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recision longitudinal registration of tire building drum to automated tire building system work station
US6863760B2 (en) * 2001-09-21 2005-03-0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tabilizer for cantilevered tire building drum
WO2004024430A1 (en) 2002-09-12 2004-03-25 Societe De Technologie Michelin Tire build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40256885A1 (en) * 2003-03-10 2004-12-23 Bui Le Trong Rear spoiler with motorized vertical and angle adjustability
US20070187018A1 (en) 2003-07-30 2007-08-16 Claudio Lacagnin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yres for vehicle wheels
US7195047B2 (en) * 2003-12-11 2007-03-27 The Goodyear Tire And Rubber Company Tire manufacturing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ires
BR0318691B1 (pt) * 2003-12-29 2014-02-04 Métodos para fabricar um pneu, e para controlar uma disposição de um material elastomérico não curado sobre um suporte rígido
ATE400425T1 (de) * 2004-09-20 2008-07-15 Pirelli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reifen
BRPI0722044B1 (pt) 2007-09-27 2018-08-14 Pirelli Tyre S.P.A. Processo e instalação para produzir pneus para rodas de veículos
PL2276625T3 (pl) * 2008-04-18 2012-04-30 Pirelli Sposób i urządzenie do montażu opon
US20100139844A1 (en) * 2008-12-04 2010-06-10 Dennis Alan Lundell Tire building core handling mechanism and method
CN202047744U (zh) * 2011-05-15 2011-11-23 中国石油集团西部钻探工程有限公司 顶驱主轴用对开式锁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83772A1 (en) 2015-10-08
CN102712150B (zh) 2015-07-22
JP2013515629A (ja) 2013-05-09
JP5744911B2 (ja) 2015-07-08
US20130000823A1 (en) 2013-01-03
US10195804B2 (en) 2019-02-05
BR112012015162A2 (pt) 2016-03-29
EP2516143B1 (en) 2014-06-04
CN102712150A (zh) 2012-10-03
US9039853B2 (en) 2015-05-26
WO2011077296A3 (en) 2011-11-24
BR112012015162B1 (pt) 2019-08-06
WO2011077296A2 (en) 2011-06-30
EP2516143A2 (en) 2012-10-31
KR101819995B1 (ko)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5382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tyres
EP2190655B1 (en) Process and plant for producing tyres for vehicle wheels
KR20110116014A (ko) 차륜용 생타이어 건조 방법 및 설비
KR101941962B1 (ko) 차륜용 타이어들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 및 설비
JP6749924B2 (ja) 車両ホイール用のタイヤを構築するためのプロセスおよび拡張可能な成形ドラム
KR20110099232A (ko) 차륜용 타이어를 제조하는 공정 및 장치
US10195804B2 (en) Process and plant for building tyres
CN107107505B (zh) 用于构建车辆车轮的轮胎的方法、工艺和设备
JP2013501650A (ja) 車両ホイール用タイヤを構築するためのプロセスおよびプラント
EP3352979B1 (en) Process and plant for building tyres
EP17299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yres for vehicle wheels
EP4069500B1 (en) Method and plant for building tyres for vehicle wheels
KR20120108008A (ko) 타이어를 제조하는 공정 및 장치
EP4076924B1 (en) Process and plant for producing tyres for vehicle wheels
CN114829120B (zh) 用于生产车辆车轮用轮胎的方法和设备
RU2455164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ки шин
EP4263194A1 (en) Method for managing a process for building tyres for vehicle wheels and building line
JP2022551339A (ja) 車両ホイール用タイヤのベルトアセンブリを構築するため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