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178A - 북엔드를 구비하는 서가 및 북트럭 - Google Patents

북엔드를 구비하는 서가 및 북트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178A
KR20120115178A KR1020120088074A KR20120088074A KR20120115178A KR 20120115178 A KR20120115178 A KR 20120115178A KR 1020120088074 A KR1020120088074 A KR 1020120088074A KR 20120088074 A KR20120088074 A KR 20120088074A KR 20120115178 A KR20120115178 A KR 20120115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shelf
guide rail
bookshelf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7211B1 (ko
Inventor
박소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드에스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드에스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드에스엔씨
Priority to KR1020120088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211B1/ko
Publication of KR20120115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47B65/20Book-e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5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 A47B57/5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by sli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47B65/1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adjustable
    • A47B65/15Partitions, e.g. divi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6Gliders or the like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서관 또는 서점 등에서 사용되는 서가 및 북트럭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서(책, 서적) 등을 정돈한 후 전도(쓰러짐)를 방지하면서 진열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북엔드(책꽃이, 칸막이) 선반을 다단으로 구비하는 서가(책장)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서관 등에서 많은 분량의 도서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도서를 적재하고 사용자가 끌고 다닐 수 있도록 만들어진 북트럭(도서 카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북엔드를 구비하는 서가 및 북트럭{A BOOKSHELF AND A BOOKTRUCK}
본 발명은 도서관이나 서점 등에서 사용되는 서가와 북트럭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서(책, 서적) 등을 정돈한 후 전도(쓰러짐)를 방지하면서 진열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북엔드(책꽃이, 칸막이) 선반을 다단으로 구비하는 서가(책장)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서관 등에서 많은 분량의 도서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도서를 적재하고 사용자가 끌고 다닐 수 있도록 만들어진 북트럭(도서 카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의 예시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서가는,
상패널(11); 좌패널(12L) 및 우패널(12R)로 한 쌍인 측면패널(12); 및 하패널(13);로 짜여진 패널프레임(10)과,
서적을 올려놓는 지지판 역할; 및 강하하는 먼지를 줄이기 위한 천정 역할;을 하도록 다단으로 구비되는 선반(20)과,
도서가 쓰러져서 전도하는 것을 방지하고; 서적간의 구획을 나누기 위한; 북엔드(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의 도시는 북트럭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상기 서가와 유사한 구성을 하고서 선반(20)에 도서를 싣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특히, 하패널(13)의 저면에 바퀴(14)를 장착하여서 상기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바퀴는 보통 4개로 구비되며 또한 방향을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는 캐스터 바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3의 예시에서 상기 북엔드(30)의 종류에는,
도 3 A의 도시와 같이 도서를 구획하는 칸이 고정된 형태의 북엔드(30a); 또는 도 3 B의 도시와 같이 서적을 구획하는 칸이 별도로 구획되어 있지 않고 이동하면서 그 역할을 할 수 있는 형태의 북엔드(30b); 등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는 기존의 기술에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91211호(2002.09.24)가 있으며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통상의 책장에 있어서, 전면 및 이면에 다수의 걸림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지지대가 받침대에 입설되어 횡대로 연결되고 저부가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절곡 형성되며 측면에 피스공이 형성된 칸막이부재의 절곡부위 상면 및 후방에 각각 걸림돌기 및 후크가 일체로 형성되어 선반의 저부 양쪽에 칸막이부재의 걸림돌기가 끼워진 상태로 칸막이부재의 피스공을 통해 구비된 피스로 칸막이부재와 선반을 각각 고정시키되, 선반이 결합된 칸막이부재의 후크를 지지대의 걸림공에 등간격으로 끼워 책장골조를 구성하는 한편, 일면 중앙에 삽입홈이 요설된 외곽틀을 구비하여 외곽틀의 삽입홈에 책장골조의 지지대 및 횡대의 일부가 수용된 상태로 결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에 관한 것이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394810호 (2005.08.30) 역시 기존에 실시되고 있는 바,
“여러 개의 칸막이와 선반이 설치되는 책꽂이 본체의 후방에 배판을 설치하여 책이나 자료 등을 진열하도록 한 책꽂이에 있어서, 상기 책꽂이 본체에 설치되는 각각의 선반 후방에 삽입부를 형성하고 이 삽입부에는 보강구를 설치하도록 하며, 이 보강구의 후면은 상기 책꽂이 본체의 후방에 설치되는 배판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보강구의 전면에는 완충구를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책꽂이”
에 관한 것임을 그 청구항을 통하여 알 수 있다.
그리고 등록특허 제10-0734574호 (2007.06.26)가 있으며 상기 등록특허는,
“상측에 서적 및 다양한 물품을 올려놓게 판상의 선반이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거치되는 진열장에 설치되어, 하측에 위치한 타선반의 상면에 올려진 물품의 쓰려짐을 방지하도록 한 북걸이대를 구비하는 선반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하면에 밀착되어 선반과 스크류 체결하기 위한 설치공을 형성하며, 그 전후단이 대향하여 절곡된 내측을 통해 길이방향의 레일부를 형성하되, 걸이대의 상단이 안착되게 절개부를 부가 형성하며, 그 중앙하면에는 걸이대의 상단을 밀착시켜 상기 절개부측으로의 착탈을 유도 가이드하게 하방으로 만곡부를 부가 형성한 가이드부재와, 상기 절개부에 탄력적 안착되는 양 자유단으로의 상단에 수평바를 형성하며, 이 수평바의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부로 구성된 걸이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걸이대를 구비하는 선반“
임을 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밝히고 있다.
북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335263호 (2003.11.26)가 있으며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양측에 수직으로 마련되는 측판(12)과, 그 측판(12)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판(14) 및, 상기 측판(12)의 내측을 연결하도록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호 적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개의 선반(15)으로 이루어진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외측에 결합되며 그 상부에 다른 재질의 손잡이(50)가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각 테두리 하측에 결합되고 이동을 위한 바퀴(32)를 갖는 복수개의 캐스터(3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트럭”
이라고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기재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그 목적은, 도서를 카테고리별로 구획하여 정돈되도록 하고; 도서의 전도를 방지하고; 그 진열상태를 유지하기 용이한 서가 또는 북트럭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하여 상기 구획되어 정돈된 도서의 카테고리 분류가 용이하게 전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서가 오래되어 낡거나 연질의 재질로 제본되어 있는 경우 쉽게 변형되거나 훼손되는 문제; 서가에 수납되어 있는 도서의 관리를 위하여 정리하는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의 최소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서가 및 북트럭을 제공하자 한다.
또한, 선반에 전도를 방지하는 북엔드가 선반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그 설치를 간단히 하거나 필요 유무에 따라 탈거를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분량의 도서를 카테고리별로 묶어서 정돈하고 도서 외에 다양한 볼륨의 물품 배열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서가는,
서가의 상면을 덮는 판재로 이루어진 상패널(110);
서가의 좌측면을 막는 판재로 이루어진 좌패널(120L) 및 서가의 우측면을 막는 판재로 이루어진 우패널(120R) 한 쌍으로 구비되는 측면패널(120); 및
서가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패널(130);로 짜여진 패널프레임(100)과,
서적을 올려놓는 지지판 역할을 하면서 강하하는 먼지를 막기 위한 천정 역할을 하도록, 상기 패널프레임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다단 구비되어 수납 공간을 구획하는 선반(200)과,
도서가 옆으로 전도하는 것을 방지하고 서적간의 구획을 유동적으로 배분하기 위한 북엔드(310)와 상기 북엔드의 이동방향을 안내(가이드)하고 고정시키는 가이드레일(320)로 구성되는 북엔드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북엔드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북엔드는 탄성이 있는 30cm 안팍의 금속부재 강선을 U형태로 절곡하여 만들어지는 토션부와; 다시 상기 U형태의 양 단을 각각 두 번씩 다른 차원(dimension)의 방향으로 절곡하여 만들어지는 한 쌍의 절곡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양 단이 위에 놓이고 상기 절곡결합부가 밑으로 놓이도록 상기 선반으로부터 하향하여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선반저면(220)에 설치되되, 상기 절곡결합부에 대응하는 한 쌍의 레일 형태로 만들어져서, 상기 한 쌍의 절곡결합부가 각각 걸려서 빠지지 않고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북트럭의 경우에 있어서는,
도서를 적재하고 빼내기 용이하도록 상기 상패널(110)이 생략되는 패널프레임(100‘)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하패널(130)의 저면에는 바퀴(140)를 장착한다.
상기 바퀴는 상기 하패널의 저면 네군데 모서리부분에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브라킷에 장착되어 고정되며 이 때, 캐스터(Caster) 바퀴를 사용하게 되면 방향전환에 유리하다.
한편 북트럭의 경우 북트럭 자체의 이동을 전제로 하므로 적재된 도서를 안정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북엔드의 절곡결합부는 선반저면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되는 도면들의 서가 및 북트럭에 사용되는 북엔드는 탑다운 방식을 예시하고 있으며, 상기 탑다운 방식은 천정 즉, 상기 선반의 선반저면에서 아래방향으로 북엔드를 가져다 대는 방식을 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서가 및 북트럭에 따르면,
도서를 구획함에 있어서 카테고리별로 정돈하기 쉽고; 도서의 전도가 잘 방지되고; 도서의 진열상태 유지가 용이하면서,
낡거나 연질의 재질로 형성된 도서의 변형, 훼손을 방지하고; 수납된 도서의 관리, 정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북엔드가 선반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며; 북엔드의 설치, 탈거가 용이하고; 도서 외에 다양한 부피를 갖는 물품의 배열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서를 카테고리별 관리상태별로 분류시에 그 분류된 상태를 파악하기 용이하다.
도 1 내지 도 3은 공지되어 있는 기존기술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서가의 전체를 보인 사시도
도 2 북카트의 전체를 보인 사시도
도 3 A 칸막이를 고정한 형태의 북엔드 사시도; B 이동 가능한 형태의 북엔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A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서가(100) 전체를 보인 정면도; B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북트럭(100‘)의 전체를 보인 정면도
도 5 A 북엔드(310)의 전체를 보인 사시도; B 가이드레일(320)의 부분을 보인 사시도
도 6 북엔드가 가이드레일에 조립된 북엔드부(300)의 측단면도
도 7 조립된 북엔드부(300) 다른 실시의 저면사시도
도 8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라 고정 브라킷(320‘)을 적용하는 저면 사시도
도 9 A 북엔드에 도서분류유니트(500)가 첨부되는 실시를 예시하는 분해 사시도; B 상기 도서분류유니트의 예시도
도 10 상기 도서분류유니트의 다른 실시로서, A 사시도; B 북엔드(310)에 결합되어진 것을 보이는 사시도; C 북엔드몸체(312)를 회전축으로 접히는 것을 보이는 예시도
도 11 가이드레일(320)에 탑다운 방식의 스토퍼(k)를 설치한 북엔드부(300)의 , A 측단면도; B 종단면도; C 상기 종단면도에 보인 동작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 서가 및 북트럭의 구체적인 설명을 개시하기로 한다.
상기 서가의 경우를 도 4 A의 도시를 참조하여 보면,
수평으로 배치되는 상패널(110); 상기 상패널의 좌우 양 단에 각각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상패널의 단부와 만나서 직각으로 고정되는 측면패널(120); 및 상기 상패널에 대하여 수평으로 놓이고 좌우 양 단이 상기 측면패널의 하단과 각각 만나서 직각으로 고정되는 하패널(130);로 짜여지는 패널프레임(100)과,
상기 패널프레임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다단 구비되어 각각의 좌우 양 단이 상기 측면패널에 고정되어 지지받는 선반(200)을 바탕으로,
도 5 내지 도7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단의 선반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공간을 구획하는 북엔드(310); 및
상기 북엔드의 횡방향 이동을 안내하고 고정시키는 가이드레일(320);이 조립된 형태의 북엔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패널프레임(100)은 도서(a)가 배치되는 선반(200)을 지지하는 역할에 있어서 도서(a)의 하중에 버틸 수 있는 강성을 가지도록 제조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패널프레임은 튼튼한 목재 또는 철재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패널프레임(100)은 복수의 선반(200)이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반(200)에 있어서는, 선반상면(210)에 도서가 배치되어 얹히고; 선반저면(220)에 상기 북엔드부(300) 특히, 가이드레일의 몸체가 나사 등으로 조여져서 설치, 결합된다.
도 5 A의 예시에서 상기 북엔드부(300)의 북엔드(310)에 있어서는,
강선의 중앙부가 횡방향의 디멘션에서 U 형태로 절곡(b3)되어서 굽힘에 대한 탄성이 부여되는 토션부(313)의 역할을 하고,
북엔드의 양단부는 전후방향의 디멘션에서 서로 반대쪽으로 각각 절곡(b2)되어 진행한 후, 수평방향의 디멘션에서 상기 진행하여 오던 길과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다시 절곡(b1)된다.
상기 절곡(b1, b2)들의 과정을 통하여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절곡결합부(311)가 만들어지지고 상기 절곡결합부는 상기 가이드레일(320)에 직접 접촉하도록 결합되어서 상기 가이드레일과 함께 하나의 조립체를 이루어서 북엔드부(300)가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절곡결합부와 상기 토션부(313) 사이에는 북엔드몸체(312)가 형성되고 상기 북엔드몸체(312)는 도서를 압박하여 일측으로 전도되는 것을 막아서 제자리에 정돈시키는 것이다.
도 5 B, 도 6 및 도 7의 도시에서 상기 북엔드부(300)의 가이드레일(320)은,
도 5 B의 예시처럼 횡단면이 ㄴ 자 형태(c1)이거나 혹은 도 6의 예시처럼 횡단면이 ㄷ 자 형태(c2)를 하는 레일부재(321)가 일정 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북엔드의 상부를 개재할 공간(d)이 만들어진다.
여기에서 절곡결합부(311)가 상기 ㄴ 자 혹은 ㄷ 자의 레일부재(321)에, 도 6 및 도 7의 도시와 같이 개재되어서, 선반(200)에 보관되는 도서의 분량에 대응하면서 선반(200)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가 아닌 도서(a)가 상기 북엔드몸체(312)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북엔드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절곡결합부(311)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하여 토크가 걸린 상태로 비틀리게 가압하게 되어 슬라이딩이 원활하지 않게 제동이 되어서 상기 도서의 전도를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딩은 도서의 전도를 가능하게 한다.
그래서 상기 슬라이딩의 제동을 더욱 확실하게 하여서 도서(a)의 전도를 완전히 방지하도록,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다운 방식의 스토퍼(k)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k)는 가이드레일의 상단(j2)에서 하향하여 돌출하는 돌기 형태를 취하여서 등 간격을 두고 계속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320) 상기 절곡결합부(311) 사이에는 이격되도록 공간을 두어서 스토퍼 작동공간(j3)의 역할을 하게 한다.
북엔드의 절곡결합부(311)의 끝부분이 상기 가이드레일(320)의 하단(j1)만 접촉하도록 사용자가 힘과 각도를 제어하면서 북엔드몸체(312)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시에는 상기 절곡결합부(311)가 상기 스토퍼(k)에 접촉할 일이 없다.
하지만 도서(a)가 전도 시에 옆쪽에서 힘(l)을 가하면 상기 북엔드몸체(312)에는 토크가 걸리도록 가압 되어서, 도 11 C의 예시와 같이 상기 절곡결합부(311)의 한 쪽이 들리면서 상기 스토퍼(k)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여 전도는 방지하면서도 슬라이딩은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레일부재(321)는 도 6의 도시의 예시와 같이 레일프레임(322)에 결속되어서 선반저면(220)에 부착된다. 상기 부착의 방법은 공지된 방법이 가능한 바 예컨대, 볼트, 나사 따위로 조이거나 접착하거나 용접하여서 고정할 수 있다.
도 4 B의 도시에서 북트럭의 경우에 있어서는,
상면이 선반(200)의 역할을 겸하는 하패널(130)의 저면에는 바퀴(140) 세트를 장착하여서 다른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퀴(140)는 방향전환이 자유로운 캐스터 바퀴(Caster Wheel)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북트럭의 경우 도서의 분량에 맞추어 대응하는 기능보다는 도서를 적재하여 위치 이동의 개념이 강하므로,
도 8의 도시와 같이, 절곡결합(311)부를 고정 브라킷(320‘) 내에서 슬라이딩하지 못 하도록 단단하게 조이는 방법으로 고정하여, 북엔드(310)를 선반저면(220)에 부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 브라킷(320‘)의 고정유닛(321’)은 상기 절곡결합부(311)를 개재시킨 후 고정되도록 잡아주는 것으로 상기 레일부재(321)를 대신하게 되는 것이다.
도 8의 예시와 같이 북엔드부(300)를 선반(200)에 부착하는 방법 중 하나는,
선반저면(220)과 고정 브라킷(320‘)의 상면을 맞대면한 후 나사(e1)를 사용하여 고정 브라킷(320‘) 및 선반(200)에 형성된 홈(e2)에 끼워 조이는 방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서가 및 북트럭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상패널(110)은 사용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성하지 않고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맨 위의 선반상면에는 도 4 B의 예시와 같은 상향식 북엔드부(400)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술된 바에 더하여 본 발명의 서가 또는 북트럭은, 도서를 카테고리별로 구획하여 정돈한 후 그 진열상태의 파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9 및 도 10의 예시에서,
북엔드(310)에 도서분류유니트(50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도서분류유니트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내용물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된 분류케이스(520);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구성되며 북엔드몸체(312)가 끼워지는 파이프 형상의 회전결합부(510); 상기 분류케이스(520)의 개방된 곳으로부터 내부에 삽입되는 분류표(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도서분류유니트(500)가 결합된 북엔드(310)를 이용하여, 도서의 전도를 방지함은 물론이고 북엔드(310)에 의해 구획되는 구간의 도서(a)가 어떤 분류(카테고리)의 것인지 또, 관리상태가 어떠한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필요한 내용의 분류표(530)를 작성한 후 상기 분류케이스(520)에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다. 상기 분류케이스는 북엔드몸체에 결합되어 거치되는 것이다.
도 10 A의 도시에서 회전결합부(510)는 연직(f)에 대하여 경사(f')를 주어 구성할 수 있는 바, 상기 경사는 상기 북엔드몸체(312)의 경사에 대응되도록 하여 상기 분류케이스(520)가 수평(g)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하여 결합 후에 도 10 B와 같은 형상을 취한다.
도 10 C의 도면은 상기 북엔드몸체(312)에 결합된 상기 회전결합부(510)를 회전축으로 상기 분류케이스(520)가 회전(h)하여 접힐 수 있도록 하는 예시이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상기 도서분류유니트(500)를 필요에 따라 회전(h)시켜서 , 외부에서 인식될 수 있도록 하거나, 북엔드몸체 사이로 접어넣어 외부에서 사용자의 몸에 접촉되거나, 인식되지 않도록 은폐(i)할 수 있다.
패널프레임(100); 상패널(110); 측면패널(120); 하패널(130); 바퀴(140),
선반(200); 선반상면(210); 선반저면(220),
북엔드부(300); 북엔드(310); 북엔드몸체(312); 절곡결합부(311); 가이드레일(320),
상향식 북엔드부(400),
도서분류유니트(500)

Claims (4)

  1. 수직으로 놓여 좌우측에 배치되는 측면패널; 및 수평으로 놓이고 좌우측 양 단이 상기 측면패널의 하단과 각각 만나서 직각으로 고정되는 하패널;을 포함하여 짜여지는 패널프레임과,
    수평으로 놓이고 상기 패널프레임 내에서 좌우 양 단이 상기 측면패널에 고정되어 지지받는 선반과,
    횡방향으로 공간을 구획하는 북엔드; 및 상기 북엔드의 횡방향 이동을 안내하고 고정시키는 가이드레일;이 조립된 북엔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북엔드부는.
    도서의 전도를 막는 북엔드; 및 상기 북엔드를 지지하며 그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북엔드는,
    중앙부가 횡방향의 디멘션에서 U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북엔드몸체(312); 및 양단부가 전후방향의 디멘션에서 서로 반대쪽으로 각각 절곡되어 진행한 후, 수평방향의 디멘션에서 상기 진행의 반대 방향으로 다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결합부(31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횡단면이 ㄴ 혹은 ㄷ 자 형태를 취하고 서로 이격되어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레일부재 한 쌍; 및 상기 선반저면에 부착되어서 상기 레일부재를 결속하는 레일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엔드를 구비하는 서가 및 북트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고정 브라킷으로 대치되고,
    상기 고정 브라킷은 상기 절곡결합부가 개재되어 고정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선반저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엔드를 구비하는 서가 및 북트럭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북엔드부는 도서분류유니트를 포함하되 상기 도서분류유니트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투명한 재질로 된 분류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구성되며 북엔드몸체가 끼워지는 파이프 형상의 회전결합부; 및 상기 분류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분류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엔드를 구비하는 서가 및 북트럭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북엔드의 슬라이딩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되되,
    상기 북엔드부의 가이드레일의 상단에서 하향하는 돌기가 등 간격을 두고 계속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절곡결합부가 이격되도록 스토퍼 작동공간이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엔드를 구비하는 서가 및 북트럭
KR1020120088074A 2012-08-11 2012-08-11 북엔드를 구비하는 북트럭 KR101397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074A KR101397211B1 (ko) 2012-08-11 2012-08-11 북엔드를 구비하는 북트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074A KR101397211B1 (ko) 2012-08-11 2012-08-11 북엔드를 구비하는 북트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178A true KR20120115178A (ko) 2012-10-17
KR101397211B1 KR101397211B1 (ko) 2014-05-20

Family

ID=47284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074A KR101397211B1 (ko) 2012-08-11 2012-08-11 북엔드를 구비하는 북트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2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520B1 (ko) * 2013-04-30 2014-11-03 주식회사 위드에스엔씨 북앤드부를 구비하는 북트럭
CN107647633A (zh) * 2017-09-30 2018-02-02 国网山东省电力公司烟台供电公司 一种自动选择陈列装置
KR20180076434A (ko) * 2016-12-28 2018-07-06 김담희 노크식 북엔드
CN115227036A (zh) * 2022-06-22 2022-10-25 江西轩源金属设备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半封闭式密集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701B1 (ko) * 2018-01-23 2018-07-11 김태평 운반용 카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491Y1 (ko) 2002-08-01 2002-11-09 이준흠 북앤드
KR100734574B1 (ko) 2006-01-18 2007-07-02 주식회사 우드메탈 북걸이대를 구비하는 선반
KR200433786Y1 (ko) 2006-09-29 2006-12-13 정용주 칸막이가 구비된 수납장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520B1 (ko) * 2013-04-30 2014-11-03 주식회사 위드에스엔씨 북앤드부를 구비하는 북트럭
KR20180076434A (ko) * 2016-12-28 2018-07-06 김담희 노크식 북엔드
CN107647633A (zh) * 2017-09-30 2018-02-02 国网山东省电力公司烟台供电公司 一种自动选择陈列装置
CN115227036A (zh) * 2022-06-22 2022-10-25 江西轩源金属设备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半封闭式密集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211B1 (ko) 201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0600B2 (en) Retail cart
CN104095447B (zh) 商品陈列架
KR101397211B1 (ko) 북엔드를 구비하는 북트럭
US5848798A (en) Office cart
US7207447B2 (en) Modular storage and dispensing assembly
US7681744B2 (en) Merchandising system
US4542832A (en) Storage accessories for movable partition systems
US20010035383A1 (en) Adjustable track system for modular display systems
US6824231B2 (en) Storage cabinet
MX2008016484A (es) Bastidor de exhibicion.
JPS6028713B2 (ja) 平鍋、棚板および類似物用、改良されたラツクを設けた移動式台車
JP6728384B2 (ja) 商品陳列棚
KR101443520B1 (ko) 북앤드부를 구비하는 북트럭
US8960823B2 (en) Reinforcement rib for shelving
US20050212241A1 (en) Modular mobile cart
US3210143A (en) Mobile storage cabinets
DE20106285U1 (de) Hochregallager für Hängeware
US3161160A (en) Library shelving system
JP3072882U (ja) 組立式パソコン格納用ラック
JP3663473B2 (ja) 組立式運搬車
JP2020029122A (ja) 折り畳み運搬カート
KR20140132926A (ko) 보강대 일체형 선반
KR200192363Y1 (ko)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CN209073750U (zh) 一种多功能壁挂式书架
JP3240108U (ja) パネル型陳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