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4656A - 스트레치 벤딩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레치 벤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4656A
KR20120114656A KR1020110032318A KR20110032318A KR20120114656A KR 20120114656 A KR20120114656 A KR 20120114656A KR 1020110032318 A KR1020110032318 A KR 1020110032318A KR 20110032318 A KR20110032318 A KR 20110032318A KR 20120114656 A KR20120114656 A KR 20120114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ending
bending die
frame
stre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9798B1 (ko
Inventor
이문용
정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10032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798B1/ko
Publication of KR20120114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movably-arranged forming men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02Bending by stretching or pulling over a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2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 B21D7/02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by a swinging forming member
    • B21D7/025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by a swinging forming member and pulling or pushing the ends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16Auxiliary equipment, e.g. for heating or cooling of b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스트레치 벤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벤딩장치는 중앙 후측에 힌지 프레임이 구성되는 벤딩 다이; 상기 벤딩 다이의 중앙 일측에 설치되는 벤딩 금형; 상기 벤딩 금형을 기준으로 상기 벤딩 다이 상의 양측과 상기 힌지 프레임 사이에 각각 구성되어 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테이블이 회전 구동되는 한 쌍의 회전유닛; 및 상기 각 회전유닛의 회전 테이블 상에 구성되어 공급되는 성형빔의 양단을 각각 클램핑하여 일정압력으로 당기는 스트레칭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트레치 벤딩장치 {STRETCH BENDING DEVICE}
본 발명은 벤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 포밍으로 성형된 고강도의 직선 성형빔을 스트레치 벤딩하기 위한 스트레치 벤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벤딩장치는 빔류를 일정한 곡률로 벤딩 성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벤딩 성형기로서, 특히, 차량용 범퍼빔과 같이 롤 포밍 공정을 통하여 성형된 직선 성형빔을 일정 곡률로 벤딩 성형하는데 적용된다.
즉, 상기 벤딩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은 직선 성형빔(1)을 벤딩 성형하여, 도 2에서와 같은 일정 곡률을 갖는 곡선 성형빔(3)으로 제작한다.
여기서, 직선 성형빔(1)은 전면(F1)에 대하여 상면(F2)과 하면(F3)을 가지며, 전면(F1)의 중앙에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요부(G)를 형성하며, 일반 승용 차량에 적용되는 범퍼빔에 비하여 폭(W)이 상대적으로 넓은 대형 트럭의 범퍼빔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런데, 상면(F2)과 하면(F3)의 폭(W)이 상대적으로 큰 고강도 직선 성형빔(1)을 일반적인 롤 벤딩기나 라운드 벤더 등으로 벤딩하게 되면, 직선 성형빔(1)의 고강성으로 인해 성형성이 나쁜 단점이 있다.
또한, 직선 성형빔(1)이 고강성 소재인 경우, 스프링 백 등에 의해 정확한 곡률을 얻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치수 불량에 의한 조립 불량 등의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폭이 상대적으로 큰 고강도 성형빔의 양단을 당기면서 일정 형상의 금형에 대하여 스트레치 벤딩시킴으로써 강성이나 스프링 백을 제어하여 성형 곡률의 치수 정밀도를 높이는 스트레치 벤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중앙 후측에 힌지 프레임이 구성되는 벤딩 다이; 상기 벤딩 다이의 중앙 일측에 설치되는 벤딩 금형; 상기 벤딩 금형을 기준으로 상기 벤딩 다이 상의 양측과 상기 힌지 프레임 사이에 각각 구성되어 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테이블이 회전 구동되는 한 쌍의 회전유닛; 및 상기 각 회전유닛의 회전 테이블 상에 구성되어 공급되는 성형빔의 양단을 각각 클램핑하여 일정압력으로 당기는 스트레칭유닛을 포함하는 스트레치 벤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벤딩 금형은 상기 벤딩 다이의 중앙에 설치 프레임을 통하여 일정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벤딩 금형은 전면에 성형빔의 곡률 성형을 위한 곡률 성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벤딩 금형의 전면 양측에 대응하여 상기 벤딩 다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는 회전 프레임; 및 상기 힌지 프레임과 상기 회전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 실린더는 실린더의 후단이 상기 힌지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고, 작동로드의 선단이 상기 회전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트레칭유닛은 상기 회전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스트레칭 실린더; 및 상기 스트레칭 실린더의 작동로드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 상에 안내레일을 따라 안내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성형빔의 단부를 클램핑하는 클램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램퍼는 토클 클램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중앙 후측에 힌지 프레임이 구성되는 벤딩 다이; 상기 벤딩 다이의 중앙 일측에 설치되는 벤딩 금형; 상기 벤딩 금형을 기준으로 상기 벤딩 다이 상의 양측과 상기 힌지 프레임 사이에 각각 구성되어 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테이블이 회전 구동되는 한 쌍의 회전유닛; 상기 각 회전유닛의 회전 테이블 상에 구성되어 공급되는 성형빔의 양단을 각각 클램핑하여 일정압력으로 당기는 스트레칭유닛; 및 상기 벤딩 다이와 상기 회전 테이블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회전 테이블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하는 스트레치 벤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회전 테이블의 회전궤적을 따라 상기 벤딩 다이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가이더; 및 상기 가이더의 외측단에 끼워져 상기 가이더를 따라 안내되도록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 단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정 곡률의 곡률 성형홈이 형성된 벤딩 금형에 대하여 큰 고강도 성형빔의 양단을 당기는 스트레칭 작동과 함께 벤딩 성형을 이루어 강성이나 스프링 백을 제어하여 성형 곡률의 치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롤 포밍으로 성형된 고강도 성형빔을 스트레치 벤딩함으로써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성형빔의 경우에도 벤딩 내측면에 발생하는 주름과 버클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롤 포밍 공정으로 성형된 직선 성형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벤딩장치를 이용하여 벤딩 성형한 곡선 성형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벤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벤딩장치의 단계별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벤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벤딩장치(10)는 차량용 범퍼빔과 같이 고강도 강판을 롤 포밍 공정을 통하여 성형한 고강도의 직선 성형빔(1: 도 1 참조)(이하에서는 편의 상 "성형빔" 이라고 한다)을 스트레치 벤딩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성형빔(1)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F1)에 대하여 상면(F2)과 하면(F3)을 가지며, 전면(F1)의 중앙에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요부(G)를 형성하며, 일반 승용 차량에 적용되는 범퍼빔에 비하여 폭(W)이 상대적으로 넓은 대형 트럭의 범퍼빔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스트레치 벤딩장치(10)는 폭(W)이 상대적으로 큰 고강도 성형빔(1)의 강성과 스프링 백을 제어하여 성형빔(1)의 성형 곡률의 치수 정밀도를 높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벤딩장치(10)는 기본적으로, 벤딩 다이(20), 벤딩 금형(30), 회전유닛(40), 및 스트레칭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벤딩 다이(20)는 각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 하나의 프레임에 각 구성 요소들이 모두 설치될 수 있고, 구성 요소들이 서로 분활된 프레임에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벤딩 다이(20)는 각종 블록, 돌기, 칼라, 플레이트, 브라켓 등에 의해 구성되는데, 이러한 파트들은 각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한 요소들이므로,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벤딩 다이(20)로 통칭한다.
또한, 벤딩 다이(20)에는 중앙 후측에 힌지 프레임(21)이 별도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벤딩 금형(30)은 성형빔(1)을 일정 곡률로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서, 벤딩 다이(20)의 상부면 중앙 일측에 설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벤딩 금형(30)은 상기 벤딩 다이(20)의 중앙에 일정높이로 설치되는데, 벤딩 금형(30)이 벤딩 다이(20)에 대하여 일정높이를 갖기 위해 별도의 설치 프레임(31)을 통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벤딩 금형(30)은 그 전면에 성형빔(1)의 곡률 성형을 위한 일정 곡률의 곡률 성형홈(3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유닛(40)은 한 쌍으로 구비되며, 벤딩 금형(30)의 양측 하부에 대응하여 벤딩 다이(20) 상에 회전축(41)을 두고, 상기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회전 테이블(43)이 실린더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즉, 회전유닛(40)은 상기 벤딩 금형(30)의 전면 양측에 대응하여 그 하부에서, 상기 벤딩 다이(20) 상에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41)이 설치된다. 이 회전축(41)은 하단이 벤딩 다이(20) 상에 베어링(B)을 통하여 설치되고, 상단이 상기 벤딩 금형(30)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 프레임(31)에 베어링(B)을 개재하여 설치된다.
또한, 회전 프레임(43)은 일단부가 상기 회전축(41)에 고정되어 벤딩 다이 (20)상에서 회전축(41)을 회전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회전 프레임(43)은 회전 실린더(45)에 의해 회전 구동력을 제공받는데, 상기 회전 실린더(45)는 힌지 프레임(21)과 상기 회전 프레임(43) 사이에 설치된다.
즉, 회전 실린더(45)는 그 후단이 상기 힌지 프레임(21)에 힌지(H) 연결되고, 그 작동로드(47)의 선단이 상기 회전 프레임(43)의 회전 외측에 힌지(H)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벤딩 다이(20)와 회전 테이블(43) 사이에는 상기 벤딩 다이(20)에 대하여 회전 테이블(43)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유닛(60)이 구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유닛(60)은 상기 회전 테이블(43)의 회전궤적을 따라 벤딩 다이(20)의 양측 단부에 가이더(61)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더(61)는 상기 회전궤적을 따르는 곡선의 판재로 구성되어 상기 벤딩 다이(2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더(61)의 외측단에는 가이드 블록(63)이 끼워져 가이더(61)를 따라 안내되는데, 상기 가이드 블록(63)은 상기 회전 프레임(43)의 회전 단부에 설치되어 가이더(61)에 대하여 회전 프레임(43)의 회전 단부가 슬라이딩 지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스트레칭유닛(50)은 각 회전유닛(40)의 회전 테이블(43) 상에 구성되어 공급되는 성형빔(1)의 양단을 각각 클램핑하여 일정압력으로 당기는 스트레칭 작동을 이룬다.
즉, 스트레칭유닛(50)은 상기 회전 프레임(43) 상의 회전 단부측에 스트레칭 실린더(51)가 브라켓(52)을 통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트레칭 실린더(51)의 작동로드(53) 선단에는 토글 클램퍼(54)가 연결되는데, 이 토글 클램퍼(54)는 상기 회전 프레임(43) 상에 안내레일(55)을 따라 슬라이드 안내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토글 클램퍼(54)는 상기 성형빔(1)의 단부를 일정압력 이상으로 클램핑하여 상기 스트레칭 실린더(51)에 의한 스트레칭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클램핑 실린더유닛(56)의 작동에 의해 복수의 클램핑부재(57)가 구동하는 일반적인 구성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 구체적인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벤딩장치(10)의 작동을 도 5 내지 도 7을 통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양측 회전유닛(40)의 각 회전 실린더(45)가 전진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벤딩 금형(30)의 전방으로 벤딩 소재인 성형빔(1)이 투입되면, 양측 스트레칭유닛(50)의 각 스트레칭 실린더(51)가 전진 구동한다.
그러면, 양측 스트레칭유닛(50)의 각 토글 클램퍼(54)가 작동하여 성형빔(1)의 양측 단부를 클램핑한다.
이러한 성형빔(1)의 클램핑 상태에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양측 회전유닛(40)의 각 회전 실린더(45)가 동일하게 후진 구동하여 회전축(41)을 회전중심으로 각 회전 프레임(43)의 단부를 후방으로 당겨 회전시킨다. 동시에 상기 양측 토글 클램퍼(54)는 각 스트레칭 실린더(51)의 후진 구동으로 성형빔(1)의 양 단부를 일정 압력으로 당겨 스트레칭 작동시킨다.
이때, 각 회전 프레임(43)은 회전 단부가 가이드 블록(63)에 의해 가이더(61)를 따라 가이드된다.
이에, 상기 성형빔(1)은 양 단부가 각 토글 클램퍼(54)에 클램핑된 상태로 스트레칭 실린더(51)에 의한 스트레칭 작동으로 당겨지며, 이와 동시에 양측 회전 실린더(45)의 작동으로 벤딩 금형(30)의 곡률 성형홈(33)을 따라 휘어지면서 벤딩 성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성형빔(1)이 벤딩 금형(30)의 곡률 성형홈(33)을 따라 일정한 곡률로 성형된 후에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토글 클램퍼(54)는 클램핑력을 해제하고, 각 스트레칭 실린더(51)는 후진 구동함으로써 양측 토글 클램퍼(54)에 의한 성형빔(1)의 양 단부에 대한 클램핑 상태를 해제한다.
이후, 벤딩 성형이 완료된 곡선 성형빔(3; 도 2참조)은 벤딩 금형(30)으로부터 취출되며, 양측 토글 클램퍼(54)는 양측 회전 실린더(45)의 전진 구동으로 회전 프레임(43)과 함께 최초 위치로 복원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벤딩장치(10)에 의하면, 스트레칭유닛(50)과 회전유닛(40)을 이용하여 벤딩 금형(30)의 곡률 성형홈(33)에 대해 성형빔(1)을 스트레칭 작동과 함께 벤딩 성형함으로써 롤 포밍으로 성형된 고강도 성형빔(3)의 강성 및 스프링 백을 제어하여 성형 곡률의 치수 정밀도를 높이고 주름이나 버클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3: 성형빔 10: 스트레치 벤딩장치
20: 벤딩 다이 21: 힌지 프레임
30: 벤딩 금형 31: 설치 프레임
33: 곡률 성형홈 40: 회전유닛
41: 회전축 43: 회전 프레임
45; 회전 실린더 50: 스트레칭유닛
51: 스트레칭 실린더 54: 토글 클램퍼
55: 안내레일 60: 가이드유닛
61: 가이더 63: 가이드 블록

Claims (12)

  1. 스트레치 벤딩장치에 있어서,
    중앙 후측에 힌지 프레임이 구성되는 벤딩 다이;
    상기 벤딩 다이의 중앙 일측에 설치되는 벤딩 금형;
    상기 벤딩 금형을 기준으로 상기 벤딩 다이 상의 양측과 상기 힌지 프레임 사이에 각각 구성되어 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테이블이 회전 구동되는 한 쌍의 회전유닛; 및
    상기 각 회전유닛의 회전 테이블 상에 구성되어 공급되는 성형빔의 양단을 각각 클램핑하여 일정압력으로 당기는 스트레칭유닛;을 포함하는 스트레치 벤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금형은 상기 벤딩 다이의 중앙에 설치 프레임을 통하여 일정높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벤딩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금형은 전면에 성형빔의 곡률 성형을 위한 곡률 성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벤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벤딩 금형의 전면 양측에 대응하여 상기 벤딩 다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는 회전 프레임; 및
    상기 힌지 프레임과 상기 회전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벤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실린더는 실린더의 후단이 상기 힌지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고, 작동로드의 선단이 상기 회전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벤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칭유닛은 상기 회전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스트레칭 실린더; 및
    상기 스트레칭 실린더의 작동로드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 상에 안내레일을 따라 안내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성형빔의 단부를 클램핑하는 클램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벤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퍼는 토클 클램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벤딩장치.
  8. 스트레치 벤딩장치에 있어서,
    중앙 후측에 힌지 프레임이 구성되는 벤딩 다이;
    상기 벤딩 다이의 중앙 일측에 설치되는 벤딩 금형;
    상기 벤딩 금형을 기준으로 상기 벤딩 다이 상의 양측과 상기 힌지 프레임 사이에 각각 구성되어 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테이블이 회전 구동되는 한 쌍의 회전유닛;
    상기 각 회전유닛의 회전 테이블 상에 구성되어 공급되는 성형빔의 양단을 각각 클램핑하여 일정압력으로 당기는 스트레칭유닛; 및
    상기 벤딩 다이와 상기 회전 테이블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회전 테이블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하는 스트레치 벤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벤딩 금형의 전면 양측에 대응하여 상기 벤딩 다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는 회전 프레임; 및
    상기 힌지 프레임과 상기 회전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벤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실린더는 실린더의 후단이 상기 힌지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고, 작동로드의 선단이 상기 회전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벤딩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칭유닛은 상기 회전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스트레칭 실린더; 및
    상기 스트레칭 실린더의 작동로드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 상에 안내레일을 따라 안내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성형빔의 단부를 클램핑하는 클램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벤딩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회전 테이블의 회전궤적을 따라 상기 벤딩 다이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가이더; 및
    상기 가이더의 외측단에 끼워져 상기 가이더를 따라 안내되도록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 단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벤딩장치.
KR1020110032318A 2011-04-07 2011-04-07 스트레치 벤딩장치 KR101279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318A KR101279798B1 (ko) 2011-04-07 2011-04-07 스트레치 벤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318A KR101279798B1 (ko) 2011-04-07 2011-04-07 스트레치 벤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656A true KR20120114656A (ko) 2012-10-17
KR101279798B1 KR101279798B1 (ko) 2013-06-28

Family

ID=47283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318A KR101279798B1 (ko) 2011-04-07 2011-04-07 스트레치 벤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79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061B1 (ko) * 2011-12-19 2013-11-2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스트레치 벤딩장치
CN105251822A (zh) * 2015-11-18 2016-01-20 宁波泰尔汽车部件有限公司 自动折弯落料机构
CN105251820A (zh) * 2015-11-18 2016-01-20 宁波泰尔汽车部件有限公司 用于折弯落料的机构
KR20160074285A (ko) * 2014-12-18 2016-06-28 함강호 차량 범퍼용 빔의 제조장치
CN111633080A (zh) * 2020-06-03 2020-09-08 明达铝业科技(太仓)有限公司 一种防撞梁拉弯成型工艺及其拉弯设备
KR102166958B1 (ko) * 2020-06-16 2020-10-16 주식회사 티에스티 캠 구조와 능동제어 시스템을 적용한 경량 알루미늄 범퍼빔 성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339B1 (ko) * 2015-08-07 2016-09-22 주식회사 싸이텍 스트레치 벤딩장치 및 벤딩방법
KR101899288B1 (ko) * 2018-05-15 2018-09-14 한동권 Tv 스탠드용 프레임의 벤딩 가공용 벤딩머신
KR20240027998A (ko) 2022-08-24 2024-03-05 함강호 밴딩각의 향상과 정밀한 제어 가능한 스트레칭 밴딩 머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3587Y1 (ko) * 1982-03-22 1986-12-15 주식회사금성사 봉체 및 관체의 밴딩장치
KR100249132B1 (ko) * 1997-08-29 2000-04-01 박국경 자동차용 밴딩부재의 밴딩장치
JP2008006475A (ja) * 2006-06-29 2008-01-17 Kawasaki Heavy Ind Ltd 耐力検出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引張曲げ加工方法
EP2127774B1 (en) * 2007-02-21 2016-12-21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ss-bending tube material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061B1 (ko) * 2011-12-19 2013-11-2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스트레치 벤딩장치
KR20160074285A (ko) * 2014-12-18 2016-06-28 함강호 차량 범퍼용 빔의 제조장치
CN105251822A (zh) * 2015-11-18 2016-01-20 宁波泰尔汽车部件有限公司 自动折弯落料机构
CN105251820A (zh) * 2015-11-18 2016-01-20 宁波泰尔汽车部件有限公司 用于折弯落料的机构
CN111633080A (zh) * 2020-06-03 2020-09-08 明达铝业科技(太仓)有限公司 一种防撞梁拉弯成型工艺及其拉弯设备
KR102166958B1 (ko) * 2020-06-16 2020-10-16 주식회사 티에스티 캠 구조와 능동제어 시스템을 적용한 경량 알루미늄 범퍼빔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9798B1 (ko) 201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798B1 (ko) 스트레치 벤딩장치
KR101334061B1 (ko) 스트레치 벤딩장치
KR101640322B1 (ko) 차량 범퍼용 빔의 제조장치
KR20120056148A (ko) 롤 포밍 장치 및 방법
KR101477111B1 (ko) 벤딩 프레스 장치
KR101641550B1 (ko) 스트레치 벤딩장치
KR101279357B1 (ko) 스트레치 벤딩기용 용접장치
KR101792085B1 (ko) 벤딩 장치
KR20120023884A (ko) 스트레치 벤딩장치
JP2013100074A (ja) 車両用パネルクランプ装置
KR101545603B1 (ko) 성형 온도 보정형 온간 드로우 벤딩 장치
CN208450284U (zh) 一种不锈钢折弯机
KR20120008893A (ko) 잔넬 벤딩장치
KR101062267B1 (ko) 스틸관체 벤딩을 위한 다축 벤딩기
CN207642075U (zh) 铁板扭弯装置
CN209829942U (zh) 一种弯管机
KR101181662B1 (ko) 용접 기능을 갖는 스트레치 벤딩장치
JP2010005697A (ja) パイプの曲げ加工方法および装置
JP4490563B2 (ja) 曲げ加工装置および曲げ加工方法
JP2010137242A (ja) 金属板への補強リブ成形装置
CN104512015A (zh) 具有压板调整机构的注塑成型机的合模装置
KR101189061B1 (ko) 패널용 스크랩 제거장치
KR20120077090A (ko) 스트레치 벤딩장치
KR20130070367A (ko) 스트레치 벤딩기용 이젝팅장치
CN112427517A (zh) 一种用于机械加工可多角度调节的零件弯曲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