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4428A -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networking service based on offlin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networking service based on offl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4428A
KR20120114428A KR1020110023997A KR20110023997A KR20120114428A KR 20120114428 A KR20120114428 A KR 20120114428A KR 1020110023997 A KR1020110023997 A KR 1020110023997A KR 20110023997 A KR20110023997 A KR 20110023997A KR 20120114428 A KR20120114428 A KR 20120114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ervice
terminal device
public
dis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9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56779B1 (en
Inventor
주병선
김영중
김경수
차동욱
김경진
유병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3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779B1/en
Publication of KR20120114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4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7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URPOSE: An offline 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supply communication to a plurality of users located in a service area through a display device located in an offline service, thereby extending a service range of a social networking service limited as an online service into the offline service. CONSTITUTION: A service opening device(200) requests open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a terminal device(100). The service opening device displays the opening contents received according to the request through an extra display device located in a specific offline area. A service relay device(300) stores opening setting information which a preset information opening range is shown of each user. The service relay device provides the open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to the service opening device based on the opening sett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Reference numerals] (200) Service opening device; (300) Service mediating device; (AA) Offline business; (BB) Sensing data; (CC) Display device; (DD, EE, 400) Service providing device

Description

오프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OCIAL NETWORKING SERVICE BASED ON OFFLINE}Offline-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NETWORKING SERVICE BASED ON OFFLINE}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방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서비스 범위를 오프라인으로 확장하여, 오프라인 상에 위치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해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는 오프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서비스공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서비스중계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scheme, and more particularly, to extend the service range of an online-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 offline, and to locate it in a service area through a display device located offline. An offline 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to a plurality of users, and a service disclosure devi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nd a service relay devi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개인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수단도 점차로 진화되어 왔다. 특히,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등장한 웹이라는 매체는 PC를 통해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누구와도 상호작용할 수 있다는 특성으로 이전에 있던 매체들이 가지고 있던 장소와 시간의 제약을 동시에 해결하는 매체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means by which individuals form social relationships have gradually evolved. In particular, the web, which has emerged due to the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is able to interact with anyone at any time, anywhere, by forming a network through a PC, and serves as a medium that simultaneously solves the limitations of place and time of previous media. Doing.

이와 같이 이동통신 기술 및 무선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발달하면서, 개인이 자신의 인터넷상의 가상 공간에서 타인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서비스, 즉,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고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대두되었으며, 이를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라 한다.As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data communication through wireless Internet have developed, services that enable individuals to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their virtual space on the Internet, that is, services that provide communication and share various information, This is called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이러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대표적인 형태로는 미니홈피, 블로그, 카페 메신저 등이 있으며, 사용자들은 이러한, 미니홈피, 블로그, 카페, 메신저 등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거나 커뮤니케이션을 하면서 더욱 돈독한 관계를 형성하거나 또는 관심분야에 대해 주제별 커뮤니티 공간을 만들어 새로운 관계를 형성해 나가기도 한다.Representative types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include mini homepages, blogs, cafe messengers, and the like. Users can form stronger relationships by sharing or communicating information through such homepages, blogs, cafes, and messengers. Others create new relationships by creating thematic community spaces around their interests.

그러나, 기존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경우, 온라인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만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간에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다양한 정보의 공유를 위해서는 오프라인 예컨대, 공연장, 빌딩, 카페 등 공용 및 상용 공간에 대한 서비스 확장이 요구된다.However, exis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share information by providing communication only in a limited space of online. Accordingly, in order to share various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users, it is required to expand services for public and commercial spaces such as offline venues, for example, concert halls, buildings, and cafes.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서비스중계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사용자 별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하며, 서비스공개장치가 단말장치의 특정 오프라인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하고, 상기 서비스중계장치가 상기 서비스공개장치로부터의 공개컨텐츠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 공개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공개컨텐츠를 획득하여 제공하면, 상기 서비스공개장치가 상기 서비스중계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공개컨텐츠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위치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오프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온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서비스 범위를 오프라인으로 확장하여, 오프라인 상에 위치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해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ore public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user indicating a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so that the service relay apparatus corresponds to at least one offline area. The service publishing apparatus requests the op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entry into a specific offline area of the terminal apparatus, and the service relay apparatus requests the open contents from the service publishing apparatus. A separate display device positioned on the specific offline area for the public content received from the service relay apparatus when the public content designated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is obtained and provided based on user privacy setting information; Offline-based cows displayed via By providing a network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by expanding the range of services based on online social networking service offline, to provide communications for multiple users on a display device located on an offline location in the service area.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단말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하며, 서비스공개장치가 상기 단말장치의 특정 오프라인 영역으로의 진입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공개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공개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공개컨텐츠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위치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오프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온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서비스 범위를 오프라인으로 확장하여, 오프라인 상에 위치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해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ore public setting information indicating a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so that a terminal device corresponds to at least one offline area. Receives the public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as the entry into a specific offline area of the terminal device, obtains the publ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public setting information, and obtains the obtained public content. By providing an offline-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and a method of displaying the same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specific offline area, the service range of the online-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 can be expanded offline, and the display device located offline. Located in the service area Is to provide communication for multiple user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오프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단말장치의 특정 오프라인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하며,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되는 상기 공개컨텐츠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위치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서비스공개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사용자 별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서비스공개장치로부터의 공개컨텐츠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 공개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공개컨텐츠를 획득하여 상기 서비스공개장치에 제공하는 서비스중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ffline-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is provided. The system, upon detecting an entry into a specific offline area of a terminal device, requests publ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A service disclosure device for displaying the public content received according to the request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specific offline area; And storing public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user indicating a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fline area, and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disclosure content from the service publishing apparatus, based on the user disclosur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nd a service relaying device that obtains the open content designated to correspond to the offline area and provides the service disclosure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서비스공개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단말장치의 특정 오프라인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요청부; 및 상기 공개컨텐츠를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공개컨텐츠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공개컨텐츠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위치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컨텐츠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rvice disclosure apparatus, comprising: a content request unit for requesting op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detection of entry into a specific offline area of the terminal apparatus; And receiving the public content designat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the public content, and displaying the received public content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specific offline area.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ent display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요청부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사용자 별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중계장치에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ent request unit, requesting the op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to the service relay device for storing the user-specific disclosur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to correspond to the at least one offline area. do.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표시부는,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상기 서비스중계장치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ent display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at least one public content for each social networking service specifi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to correspond to the particular offline area through the service relay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서비스중계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사용자 별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 및 특정 오프라인 영역으로의 단말장치 진입 시 수신되는 공개컨텐츠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 공개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공개컨텐츠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컨텐츠획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rvice relay device, comprising: an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public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user indicating a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fline area; And a content acquiring unit, which obtains and provides the public content designated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based on the user disclosure sett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ublic content request received when the terminal device enters the specific offline area. It is done.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획득부는, 특정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ent acquisi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obtain and provide the public content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social networking service specifi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from a service providing device for providing a specific social networking service.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오프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장치; 및 상기 단말장치의 특정 오프라인 영역 진입에 따라, 상기 공개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획득하여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위치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서비스공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ffline-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comprising: a terminal device for storing public setting information indicating a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fline area; And a service disclosure device that acquires the op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disclosure setting information and displays it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specific offline area as the terminal device enters a specific offline area.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서비스공개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장치의 특정 오프라인 영역 진입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공개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요청부; 및 상기 공개컨텐츠를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공개컨텐츠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공개컨텐츠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위치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컨텐츠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rvice disclosure apparatus: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entry of a specific offline region of the terminal device for storing the disclosur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fline region, A content requesting unit requesting op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disclosur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And receiving the public content designat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the public content, and displaying the received public content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specific offline area.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ent display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표시부는,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ent display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at least one public content for each social networking service specifi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to correspond to the particular offline area.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오프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서비스중계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사용자 별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단계; 서비스공개장치가 단말장치의 특정 오프라인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요청단계; 상기 서비스중계장치가 상기 서비스공개장치로부터의 공개컨텐츠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 공개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공개컨텐츠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컨텐츠획득단계; 및 상기 서비스공개장치가 상기 서비스중계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공개컨텐츠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위치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컨텐츠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ffline-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 method is provided. The method includes: information storage for storing service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user indicating a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so that a service relay device corresponds to at least one offline area; step; A content request step of requesting op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service disclosure apparatus detecting an entry into a specific offline area of the terminal device; A content acquiring step, wherein the service relay apparatus obtains and provides the public content designated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based on the user content sett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ublic content request from the service public device; And a content display step of displaying, by the service publishing apparatus, the public content received from the service relay apparatus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specific offline area.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서비스공개장치의 동작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단말장치에 대한 특정 오프라인 영역으로의 진입을 감지하는 단말장치감지단계;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요청단계; 상기 공개컨텐츠를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공개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수신단계; 및 상기 수신된 공개컨텐츠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위치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컨텐츠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service disclosure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a terminal device detecting step of detecting entry into a specific offline area for a terminal device; A content request step of requesting op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A content receiving step of receiving the public content designat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apparatus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the public content; And a content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received public content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specific offline area.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요청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사용자 별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중계장치에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ent request step, requesting the op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to the service relay device for storing the user-specific disclosur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offline area. It is done.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수신단계는,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상기 서비스중계장치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ent receiving step,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at least one public content for each social networking service specifi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through the service relay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서비스중계장치의 동작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사용자 별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단계; 특정 오프라인 영역으로의 단말장치 진입에 따라 공개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컨텐츠요청수신단계; 및 상기 공개컨텐츠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 공개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공개컨텐츠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컨텐츠획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service relay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an information storage step of storing user-specific disclosure information representing a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fline area; A content request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public content request as the terminal enters a specific offline area; And a content acquisition step of acquiring and providing the public content designated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based on the user disclosure sett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ublic content request.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획득단계는, 특정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ent acquisition step, characterized in that to obtain and provide the public content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social networking service specifi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for providing a specific social networking service.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오프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단말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단계; 서비스공개장치가 상기 단말장치의 특정 오프라인 영역으로의 진입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공개설정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단계; 상기 서비스공개장치가 상기 공개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획득하는 컨텐츠획득단계; 및 상기 서비스공개장치가 상기 획득된 공개컨텐츠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위치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컨텐츠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ffline-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 method comprising: an information storage step of storing, by a terminal device, disclosure information indicating a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so as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fline area; An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by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the disclosur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apparatus as the entry into a specific offline area of the terminal apparatus; A content acquiring step, wherein the service publishing apparatus obtains the op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disclosure setting information; And a content display step of the service disclosure device displaying the obtained public content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specific offline area.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서비스공개장치의 동작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장치의 특정 오프라인 영역 진입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공개설정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단계; 상기 공개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요청단계; 상기 공개컨텐츠를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공개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수신단계; 및 상기 수신된 공개컨텐츠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위치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컨텐츠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service disclosure device. The method includes: entering a specific offline area of a terminal device storing disclosure information indicating a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fline area. Accordingly, an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the disclosur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A content request step of requesting op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disclosure setting information; A content receiving step of receiving the public content designat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apparatus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the public content; And a content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received public content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specific offline area.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수신단계는,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ent receiving step,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at least one public content for each social networking service specifi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to correspond to the particular offline area.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오프라인 상에 위치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해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함으로써, 오프라인 예컨대, 공연장, 빌딩, 카페 등 공용 및 상용 공간에 대해 사전에 설정한 서비스 영역과, 데이터 범위 내에서 사용자 간 정보의 공유 및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함에 따라 온라인으로 한정되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서비스 범위를 오프라인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offline-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and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communication to a plurality of user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through a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offline, offline and public, for example, public halls, buildings, cafes, etc. By implementing the service area set in advance for the commercial space and information shar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users within the data rang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service range of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 that is limited to online to offlin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공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중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공개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중계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8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공개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n offline 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ice disclosu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service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n offline 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offline-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service disclosur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service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offline-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service disclosur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n offline-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단말장치(100)의 특정 오프라인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수신하여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표시하는 서비스공개장치(200), 및 단말장치(100)의 사용자 공개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공개컨텐츠를 서비스제공장치(400)로부터 획득하여 서비스공개장치(200)에 제공하는 서비스중계장치(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서비스제공장치(400)는 상기 단말장치(100) 사용자가 가입한 특정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예컨대, 미니홈피, 블로그, 카페 메신저 등을 제공하는 별도의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온라인 사용자 간에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다양한 정보 공유 환경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공개컨텐츠는 예컨대, 개인정보, 음악, 동영상 등과 같은 특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의 다양한 공유 정보가 해당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ystem receives a publ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in response to detecting an entry into a specific offline area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displays the service content on the specific offline area 200. And a service relay device 300 which obtains,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400, the public content designated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based on the user disclosur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provides the service content to the service publishing device 200. )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Her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400 refers to a separate device that provides a specific social networking service, such as a mini homepage, a blog, a cafe messenger, etc., to which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100 subscribes. Provide various information sharing environment. In addition, the public content may correspond to various sharing information on a specific social network service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music, video, and the like.

상기 서비스공개장치(200)는 단말장치(100)의 특정 오프라인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공개장치(200)는 특정 오프라인 영역 예컨대, 공연장, 빌딩, 카페와 같은 공용 및 상용 공간으로 진입한 단말장치(100)를 감지하여 상기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중계장치(300)에 상기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하게 된다.The service disclosure device 200 requests publ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entry into a specific offline area of the terminal device 100. More specifically, the service disclosure device 200 detects the terminal device 100 that enters a common offline area such as a concert hall, a building, a cafe, and acqui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Based on this, the service relay device 300 requests op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100.

아울러, 서비스공개장치(200)는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되는 상기 공개컨텐츠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위치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공개장치(200)는 상기 단말장치(100)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공개컨텐츠 즉,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서비스중계장치(300)를 통해 취득하여 대형 스크린과 같은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오프라인 상의 다수의 사용자 간 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disclosure device 200 displays the public content received according to the request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specific offline area. More specifically, the service disclosure apparatus 200 includes at least one social networking service designat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apparatus 100 to correspond to the open content designated by the terminal apparatus 100 user, that is, the specific offline area. By obtaining the open content through the service relay device 300 and displaying it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such as a large screen, sharing of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users in offline can be achieved.

상기 서비스중계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사용자 별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중계장치(300)는 상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공개설정정보 즉,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각각 대응하도록 사용자가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 목록을 저장한다.The service relay device 300 stores the public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user indicating a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fline area. More specifically, the service relay device 300 includes at least one social networking that the user subscribes to correspond to the public set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set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100, that is, at least one offline area. Stores a list of open content by service.

아울러, 서비스중계장치(300)는 공개컨텐츠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공개컨텐츠를 획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중계장치(300)는 서비스공개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공개컨텐츠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 공개설정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특정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장치(400)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획득함으로써, 획득된 공개컨텐츠를 서비스공개장치(200)에 전달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rvice relay device 300 obtains the open content designated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according to the open content request. More specifically, the service relaying apparatus 300 extracts user disclosur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public content request received from the service publishing apparatus 200, and provides a specific social networking service based on this. By obtaining the at least one public content for each social networking service specifi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400, and delivers the obtained public content to the service public device 200.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공개장치(2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2, a mor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disclosure device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즉, 서비스공개장치(200)는 단말장치(100)의 특정 오프라인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요청부(210); 및 상기 공개컨텐츠를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공개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컨텐츠표시부(2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That is, the service publishing apparatus 200 includes a content requesting unit 210 for requesting op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entry into a specific offline area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a content display unit 220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public content designat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apparatus 100 so as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the public content.

상기 컨텐츠요청부(210)는 단말장치(100)의 특정 오프라인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요청부(210)는 특정 오프라인 영역 예컨대, 공연장, 빌딩, 카페와 같은 공용 및 상용 공간으로 진입한 단말장치(100)를 감지하여 상기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중계장치(300)에 상기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하게 된다.The content requesting unit 210 requests the op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entry into a specific offline area of the terminal device 100. More specifically, the content request unit 210 detects the terminal device 100 that enters a common offline space such as a concert hall, a building, a cafe, and acqui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Based on this, the service relay device 300 requests op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100.

상기 컨텐츠표시부(220)는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되는 상기 공개컨텐츠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위치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표시부(220)는 상기 단말장치(100)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공개컨텐츠 즉,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서비스중계장치(300)를 통해 취득하여 대형 스크린과 같은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오프라인 상의 다수의 사용자 간 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content display unit 220 displays the public content received according to the request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specific offline area. More specifically, the content display unit 220 is published by at least one social networking service specifi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100 to correspond to the open content designat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100, that is, the specific offline area. Content is obtained through the service relay device 300 and displayed on a separate display device such as a large screen, so that information can be shared among a plurality of users offline.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중계장치(3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relay device 3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즉, 서비스중계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사용자 별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310); 및 특정 오프라인 영역으로의 단말장치 진입 시 수신되는 공개컨텐츠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공개컨텐츠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컨텐츠획득부(3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That is, the service relay device 300 includes an information storage unit 310 for storing the preset information for each user set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fline area; And a content acquisition unit 320 that obtains and provides the public content designated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according to the open content request received when the terminal device enters the specific offline area.

상기 정보저장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사용자 별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저장부(310)는 상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공개설정정보 즉,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각각 대응하도록 사용자가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 목록을 저장한다.The information storage unit 310 stores public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user indicating a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fline area. More specifically,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310 is at least one social networking that the user subscribes to correspond to the public set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set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that is, at least one offline area, respectively Stores a list of open content by service.

상기 컨텐츠획득부(320)는 공개컨텐츠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공개컨텐츠를 획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획득부(320)는 서비스공개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공개컨텐츠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 공개설정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특정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장치(400)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획득함으로써, 획득된 공개컨텐츠를 서비스공개장치(200)에 전달하게 된다.The content acquisition unit 320 obtains the open content designated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according to the open content request. More specifically, the content acquisition unit 320 extracts user disclosur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a public content request received from the service disclosure device 200 and provides a specific social networking service based on the content. By obtaining the at least one public content for each social networking service specifi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400, and delivers the obtained public content to the service public device 200.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4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n offline-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장치(100); 및 상기 단말장치(100)의 특정 오프라인 영역 진입에 따라, 상기 공개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서비스제공장치(400)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표시하는 서비스공개장치(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서비스제공장치(400)는 상기 단말장치(100) 사용자가 가입한 특정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예컨대, 미니홈피, 블로그, 카페 메신저 등을 제공하는 별도의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온라인 사용자 간에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다양한 정보 공유 환경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공개컨텐츠는 예컨대, 개인정보, 음악, 동영상 등과 같은 특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의 다양한 공유 정보가 해당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system includes: a terminal device 100 storing preset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fline area; And publish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from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400 and displaying the content on the specific offline area based on the disclosure setting information as the terminal device 100 enters the specific offline area. Has a configuration that includes an apparatus 200. Her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400 refers to a separate device that provides a specific social networking service, such as a mini homepage, a blog, a cafe messenger, etc., to which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100 subscribes. Provide various information sharing environment. In addition, the public content may correspond to various sharing information on a specific social network service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music, video, and the like.

상기 단말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공개설정정보 즉,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각각 대응하도록 사용자가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 목록을 저장한다.The terminal device 100 stores the public set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offline area. More specifically, the terminal device 100 stores the public set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set by the user, that is, a list of public contents for at least one social networking service subscribed to by the user so as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fline area, respectively. .

상기 서비스공개장치(200)는 단말장치(100)의 특정 오프라인 영역 진입에 따라, 상기 공개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공개장치(200)는 특정 오프라인 영역 예컨대, 공연장, 빌딩, 카페와 같은 공용 및 상용 공간으로 진입한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공개설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특정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장치(400)에 상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요청한다.The service disclosure device 200 requests publ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100 based on the disclosure setting information as the terminal device 100 enters a specific offline area. More specifically, the service disclosure device 200 receives a public information bulletin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that enters a common offline area, such as a concert hall, a building, a cafe, and the like, and based on the specific social information Requests at least one content for each social networking service designat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100 to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400 for providing a networking service.

아울러, 서비스공개장치(200)는 상기 획득된 공개컨텐츠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위치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공개장치(200)는 상기 단말장치(100)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공개컨텐츠 즉,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상기 서비스제공장치(400)로부터 수신하여 대형 스크린과 같은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오프라인 상의 다수의 사용자 간 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disclosure device 200 displays the obtained public content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specific offline area. More specifically, the service disclosure apparatus 200 includes at least one social networking service designat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apparatus 100 to correspond to the open content designated by the terminal apparatus 100 user, that is, the specific offline area. The public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400 and displayed on a separate display device such as a large screen, so that information can be shared among a plurality of users offline.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공개장치(2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5, a mor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disclosure device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즉, 서비스공개장치(200)는 단말장치(100)의 특정 오프라인 영역 진입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공개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요청부(210); 및 상기 공개컨텐츠를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공개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컨텐츠표시부(2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That is, as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0 enters a specific offline area of the terminal apparatus 100, the content request for requesting the op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apparatus based on the disclosur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apparatus 100. Part 210; And a content display unit 220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public content designat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apparatus 100 so as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the public content.

상기 컨텐츠요청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장치(100)의 특정 오프라인 영역 진입에 따라, 상기 공개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요청부(210)는 특정 오프라인 영역 예컨대, 공연장, 빌딩, 카페와 같은 공용 및 상용 공간으로 진입한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공개설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특정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장치(400)에 상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요청한다.The content requesting unit 210 may enter the specific offline area of the terminal device 100 that stores the public set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offline area. The publ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100 is requested. More specifically, the content request unit 210 receives a public information report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that enters a common offline area, such as a concert hall, a building, a cafe, and the like, and based on the specific social information, Requests at least one content for each social networking service designat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100 to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400 for providing a networking service.

상기 컨텐츠표시부(220)는 서비스제공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공개컨텐츠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위치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표시부(220)는 상기 단말장치(100)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공개컨텐츠 즉,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상기 서비스제공장치(400)로부터 수신하여 대형 스크린과 같은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오프라인 상의 다수의 사용자 간 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content display unit 220 displays the open content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400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specific offline area. More specifically, the content display unit 220 is published by at least one social networking service specifi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100 to correspond to the open content designat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100, that is, the specific offline area. The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400 and displayed on a separate display device such as a large screen, so that information can be shared among a plurality of users offlin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오프라인 상에 위치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해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함으로써, 오프라인 예컨대, 공연장, 빌딩, 카페 등 공용 및 상용 공간에 대해 사전에 설정한 서비스 영역과, 데이터 범위 내에서 사용자 간 정보의 공유 및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함에 따라 온라인으로 한정되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서비스 범위를 오프라인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offline-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communication to a plurality of user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through a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offline, offline, for example, a concert hall, The service scope of the online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which are limited to online, can be expanded offline by implementing preset service areas for public and commercial spaces such as buildings and cafes, and sharing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between users within the data range. Can be.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ffline 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Here,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S. 1 to 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우선,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First, a method of operating an offline-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먼저, 서비스중계장치(300)가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사용자 별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한다(S11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중계장치(300)는 상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공개설정정보 즉,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각각 대응하도록 사용자가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 목록을 저장한다.First, the service relay device 300 stores the public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user indicating a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so as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fline area (S110). Preferably, the service relay device 300 is at least one social networking to which the user subscribes to correspond to the public set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set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100, that is, at least one offline area. Stores a list of open content by service.

그리고 나서, 서비스공개장치(200)가 단말장치(100)의 특정 오프라인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한다(S120-S13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공개장치(200)는 특정 오프라인 영역 예컨대, 공연장, 빌딩, 카페와 같은 공용 및 상용 공간으로 진입한 단말장치(100)를 감지하여 상기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중계장치(300)에 상기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하게 된다.Then, the service disclosure apparatus 200 requests publ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entry into a specific offline area of the terminal apparatus 100 (S120-S130). Preferably, the service disclosure device 200 detects the terminal device 100 entering a common offline area such as a concert hall, a building, a cafe, and acqui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Based on this, the service relay device 300 requests op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100.

그런 다음, 서비스중계장치(300)가 공개컨텐츠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공개컨텐츠를 획득한다(S140-S16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중계장치(300)는 서비스공개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공개컨텐츠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 공개설정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특정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장치(400)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획득함으로써, 획득된 공개컨텐츠를 서비스공개장치(200)에 전달하게 된다.Then, the service relaying device 300 obtains the open content designated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according to the open content request (S140-S160). Preferably, the service relay apparatus 300 extracts user disclosur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public content request received from the service disclosure apparatus 200, and provides a specific social networking service based on this. By obtaining the at least one public content for each social networking service specifi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400, and delivers the obtained public content to the service public device 200.

이후, 서비스공개장치(200)가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되는 상기 공개컨텐츠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위치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한다(S17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공개장치(200)는 상기 단말장치(100)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공개컨텐츠 즉,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서비스중계장치(300)를 통해 취득하여 대형 스크린과 같은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오프라인 상의 다수의 사용자 간 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한다.Thereafter, the service disclosure device 200 displays the public content received according to the request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specific offline area (S170). Preferably, the service publishing apparatus 200 includes at least one social networking service designated by a user of the terminal apparatus 100 to correspond to the open content designated by the terminal apparatus 100 user, that is, the specific offline area. By obtaining the open content through the service relay device 300 and displaying it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such as a large screen, sharing of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users in offline can be achieved.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공개장치(200)의 동작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the service disclosure device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먼저, 단말장치(100)에 대한 특정 오프라인 영역으로의 진입을 감지한다(S210). 바람직하게는, 컨텐츠요청부(210)는 특정 오프라인 영역 예컨대, 공연장, 빌딩, 카페와 같은 공용 및 상용 공간으로 진입한 단말장치(100)를 감지한다.First, an entry into a specific offline area of the terminal device 100 is detected (S210). Preferably, the content request unit 210 detects the terminal device 100 entering a specific offline area, for example, public and commercial spaces such as a concert hall, a building, and a cafe.

그리고 나서, 상기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한다(S220-S230). 바람직하게는, 컨텐츠요청부(210)는 특정 오프라인 영역 예컨대, 공연장, 빌딩, 카페와 같은 공용 및 상용 공간으로 진입한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중계장치(300)에 상기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하게 된다.Then, request the op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100) (S220-S230). Preferably, the content requesting unit 210 obtain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that has entered a specific offline area, for example, a public and commercial space such as a performance hall, a building, a cafe, and the like, based on the service relay device 300. ) To request the op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100.

이후, 공개컨텐츠 요청에 따라 수신되는 상기 공개컨텐츠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위치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한다(S240-S250). 바람직하게는, 컨텐츠표시부(220)는 상기 단말장치(100)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공개컨텐츠 즉,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서비스중계장치(300)를 통해 취득하여 대형 스크린과 같은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오프라인 상의 다수의 사용자 간 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한다.Thereafter, the open content received according to the open content request is displayed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specific offline area (S240-S250). Preferably, the content display unit 220 is a public content specifi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100, that is, at least one social networking service specifi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100 so as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Content is obtained through the service relay device 300 and displayed on a separate display device such as a large screen, so that information can be shared among a plurality of users offline.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중계장치(300)의 동작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the service relay device 3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먼저,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사용자 별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한다(S310). 바람직하게는, 정보저장부(310)는 상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공개설정정보 즉,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각각 대응하도록 사용자가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 목록을 저장한다.First, storage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user indicating a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fline area is stored (S310). Preferably,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310 is at least one social networking that the user subscribes to correspond to the public set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set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that is, at least one offline area, respectively Stores a list of open content by service.

그리고 나서, 공개컨텐츠 요청을 수신한다(S320). 바람직하게는, 컨텐츠획득부(320)는 서비스공개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공개컨텐츠 요청을 수신한다.Then, the public content request is received (S320). Preferably, the content acquisition unit 320 receives a public content request received from the service publishing apparatus 200.

이후, 상기 공개컨텐츠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공개컨텐츠를 획득한다(S330-S350). 바람직하게는, 컨텐츠획득부(320)는 서비스공개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공개컨텐츠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 공개설정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특정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장치(400)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획득함으로써, 획득된 공개컨텐츠를 서비스공개장치(200)에 전달하게 된다.Thereafter, in accordance with the open content request, the open content designated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is obtained (S330-S350). Preferably, the content acquisition unit 320 extracts the user disclosur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ublic content request received from the service disclosure device 200, and provides a specific social networking service based on this. By obtaining the at least one public content for each social networking service specifi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400, and delivers the obtained public content to the service public device 200.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ffline-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Here,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S. 1 to 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우선,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First, a method of operating an offline-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먼저, 단말장치(100)가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한다(S41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공개설정정보 즉,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각각 대응하도록 사용자가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 목록을 저장한다.First, the terminal device 100 stores the public set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offline area (S410). Preferably, the terminal device 100 stores the public set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set by the user, that is, a list of public contents for at least one social networking service subscribed to by the user so as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fline area, respectively. .

그리고 나서, 서비스공개장치(200)가 단말장치(100)의 특정 오프라인 영역 진입에 따라, 상기 공개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한다(S420-S43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공개장치(200)는 특정 오프라인 영역 예컨대, 공연장, 빌딩, 카페와 같은 공용 및 상용 공간으로 진입한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공개설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특정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장치(400)에 상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요청한다.Then, as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0 enters a specific offline area of the terminal apparatus 100, the service publishing apparatus 200 requests publ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apparatus 100 based on the disclosure setting information (S420-S430). Preferably, the service disclosure apparatus 200 receives a public information bulletin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that enters a common offline area such as a concert hall, a building, a cafe, and the like, and based on the specific social information Requests at least one content for each social networking service designat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100 to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400 for providing a networking service.

이후, 서비스공개장치(200)가 상기 획득된 공개컨텐츠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위치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한다(S440-S450). 바람직하게는, 서비스공개장치(200)는 상기 단말장치(100)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공개컨텐츠 즉,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상기 서비스제공장치(400)로부터 수신하여 대형 스크린과 같은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오프라인 상의 다수의 사용자 간 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한다.Thereafter, the service disclosure device 200 displays the obtained public content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specific offline area (S440-S450). Preferably, the service publishing apparatus 200 includes at least one social networking service designated by a user of the terminal apparatus 100 to correspond to the open content designated by the terminal apparatus 100 user, that is, the specific offline area. The public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400 and displayed on a separate display device such as a large screen, so that information can be shared among a plurality of users offline.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공개장치(200)의 동작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the service disclosure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먼저,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장치(100)의 특정 오프라인 영역 진입에 따라, 상기 공개설정정보를 수신한다(S510). 바람직하게는, 컨텐츠요청부(210)는 컨텐츠요청부(210)는 특정 오프라인 영역 예컨대, 공연장, 빌딩, 카페와 같은 공용 및 상용 공간으로 진입한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공개설정보를 수신한다.First, in response to entering a specific offline area of the terminal device 100 that stores disclosure setting information indicating a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fline area, the disclosure setting information is received (S510). Preferably, the content request unit 210, the content request unit 210 receives a public information bulletin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entered a specific offline area, such as public and commercial spaces, such as a concert hall, a building, a cafe do.

그런 다음, 공개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한다(S520). 바람직하게는, 컨텐츠요청부(2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공개설정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장치(400)에 상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요청한다.Then, the publ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100 is requested based on the public setting information (S520). Preferably, the content request unit 210 is designat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100 to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400 for providing a specific social networking service based on the disclosu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Request public content for at least one social networking service.

이후, 서비스제공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공개컨텐츠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위치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한다(S530-S540). 바람직하게는, 컨텐츠표시부(220)는 상기 단말장치(100)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공개컨텐츠 즉,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상기 서비스제공장치(400)로부터 수신하여 대형 스크린과 같은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오프라인 상의 다수의 사용자 간 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한다.Thereafter, the open content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400 is displayed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specific offline area (S530-S540). Preferably, the content display unit 220 is a public content specifi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100, that is, at least one social networking service specifi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100 so as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The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400 and displayed on a separate display device such as a large screen, so that information can be shared among a plurality of users offlin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오프라인 상에 위치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해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함으로써, 오프라인 예컨대, 공연장, 빌딩, 카페 등 공용 및 상용 공간에 대해 사전에 설정한 서비스 영역과, 데이터 범위 내에서 사용자 간 정보의 공유 및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함에 따라 온라인으로 한정되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서비스 범위를 오프라인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offline-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communication to a plurality of user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through a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offline, offline, for example, a performance hall, The service scope of the online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which are limited to online, can be expanded offline by implementing preset service areas for public and commercial spaces such as buildings and cafes, and sharing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between users within the data range. Can be.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단말기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단말기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embodied directly in hardware, in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a processor, or in a combination of both. A software module may reside in a RAM memory, a flash memory, a ROM memory, an EPROM memory, an EEPROM memory, registers, a hard disk, a removable disk, a CD-ROM, or any other form of storage medium known in the art. An exemplary storage medium is coupled to the processor such that the processor can read information from, and write information to, the storage medium. Alternatively, the storage medium may be integrated into the processor. The processor and the storage medium may be included within an ASIC. The ASIC may be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In the alternative, the processor and the storage medium may reside as discrete components in a terminal.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오프라인 상에 위치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해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The offline-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technology in providing communication to a plurality of users located in a service area through a display device located offline. It is an invention that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because it is not only sufficient for the use of the apparatus but also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ly available or commercially available devices as well as the degree to which it can be clearly implemented in reality.

100: 단말장치
200: 서비스공개장치
210: 컨텐츠요청부 220: 컨텐츠표시부
300: 서비스중계장치
310: 정보저장부 320: 컨텐츠획득부
400: 서비스제공장치
100: terminal device
200: service disclosure device
210: content request unit 220: content display unit
300: service relay device
310: information storage unit 320: content acquisition unit
400: service providing device

Claims (18)

단말장치의 특정 오프라인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하며,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되는 상기 공개컨텐츠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위치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서비스공개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사용자 별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서비스공개장치로부터의 공개컨텐츠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 공개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공개컨텐츠를 획득하여 상기 서비스공개장치에 제공하는 서비스중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
In response to detecting the entry into a specific offline area of the terminal device, requesting the op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the open content received according to the request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specific offline area Service disclosure device; And
Storing the user-specific disclosure information representing a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fline area, and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disclosure content from the service disclosure device, the specific offline based on user disclosur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nd a service relaying device that obtains the open content designated to correspond to an area and provides the service disclosure device to the service publishing device.
단말장치의 특정 오프라인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요청부; 및
상기 공개컨텐츠를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공개컨텐츠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공개컨텐츠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위치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컨텐츠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공개장치.
A content request unit requesting op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detection of entry into a specific offline area of the terminal device; And
Receiving the public content designat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the public content, and displaying the received public content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specific offline area. Service disclosure device comprising a content displa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요청부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사용자 별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중계장치에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공개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ent request unit,
And requesting the op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from a service relay device that stores the public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user indicating a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fline area.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표시부는,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상기 서비스중계장치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공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ent display unit,
And at least one public content for each social networking service designated by a user of the terminal device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through the service relay device.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사용자 별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 및
특정 오프라인 영역으로의 단말장치 진입 시 수신되는 공개컨텐츠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 공개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공개컨텐츠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컨텐츠획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중계장치.
An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public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user indicating a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fline area; And
And a content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and providing the public content designated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based on the user disclosure sett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ublic content request received when the terminal device enters the specific offline area. Service relay devi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획득부는,
특정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중계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ent acquisition unit,
And a service providing apparatus for obtaining at least one public content for each social networking service designated by a user of the terminal apparatus from a service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specific social networking service.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장치; 및
상기 단말장치의 특정 오프라인 영역 진입에 따라, 상기 공개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획득하여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위치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서비스공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
A terminal device for storing the public setting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offline area; And
As the terminal device enters a specific offline area, a service disclosure device that obtains the op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disclosure setting information to display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specific offline area; Offline based social networking ser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장치의 특정 오프라인 영역 진입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공개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요청부; 및
상기 공개컨텐츠를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공개컨텐츠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공개컨텐츠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위치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컨텐츠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공개장치.
In response to a specific offline area entry of the terminal device storing the public set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offline area, the terminal device corresponds to the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public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Content request unit for requesting the open content; And
Receiving the public content designat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the public content, and displaying the received public content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specific offline area. Service disclosure device comprising a content displa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표시부는,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공개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ent display unit,
And at least one social content for each social networking service designated by a user of the terminal device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서비스중계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사용자 별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단계;
서비스공개장치가 단말장치의 특정 오프라인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요청단계;
상기 서비스중계장치가 상기 서비스공개장치로부터의 공개컨텐츠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 공개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공개컨텐츠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컨텐츠획득단계; 및
상기 서비스공개장치가 상기 서비스중계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공개컨텐츠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위치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컨텐츠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방법.
An information storage step of storing, by the service relay device, public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user indicating a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offline area;
A content request step of requesting op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service disclosure apparatus detecting an entry into a specific offline area of the terminal device;
A content acquiring step, wherein the service relay apparatus obtains and provides the public content designated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based on the user content sett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ublic content request from the service public device; And
And a content display step of displaying, by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the public content received from the service relay apparatus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specific offline region.
단말장치에 대한 특정 오프라인 영역으로의 진입을 감지하는 단말장치감지단계;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요청단계;
상기 공개컨텐츠를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공개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수신단계; 및
상기 수신된 공개컨텐츠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위치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컨텐츠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공개장치의 동작 방법.
A terminal device detecting step of detecting entry into a specific offline area of the terminal device;
A content request step of requesting op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A content receiving step of receiving the public content designat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apparatus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the public content; And
And a content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received public content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specific offline area.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요청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사용자 별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중계장치에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공개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ent request step,
And requesting the op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from a service relay device that stores user-specific disclosure information indicating a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so as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fline area.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수신단계는,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상기 서비스중계장치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공개장치의 동작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ent receiving step,
And receiving at least one social content for each social networking service designated by a user of the terminal device through the service relay devic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사용자 별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단계;
특정 오프라인 영역으로의 단말장치 진입에 따라 공개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컨텐츠요청수신단계; 및
상기 공개컨텐츠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 공개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공개컨텐츠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컨텐츠획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중계장치의 동작 방법.
An information storing step of storing user-specific disclosure setting information representing a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fline area;
A content request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public content request as the terminal enters a specific offline area; And
And a content acquiring step of acquiring and providing the open content designated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based on the user disclosure sett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open content request.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획득단계는,
특정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중계장치의 동작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ntent acquisition step,
And a method for obtaining and providing at least one public content for each social networking service designated by a user of the terminal device from a service providing device for providing a specific social networking service.
단말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단계;
서비스공개장치가 상기 단말장치의 특정 오프라인 영역으로의 진입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공개설정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단계;
상기 서비스공개장치가 상기 공개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획득하는 컨텐츠획득단계; 및
상기 서비스공개장치가 상기 획득된 공개컨텐츠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위치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컨텐츠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방법.
An information storage step of storing, by the terminal device, disclosure setting information indicating a preset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offline area;
An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by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the disclosur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apparatus as the entry into a specific offline area of the terminal apparatus;
A content obtaining step of the service publishing apparatus obtaining the op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apparatus based on the disclosure setting information; And
And a content display step of displaying, by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the obtained public content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specific offline area.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정보공개범위를 나타내는 공개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장치의 특정 오프라인 영역 진입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공개설정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단계;
상기 공개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공개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요청단계;
상기 공개컨텐츠를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공개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수신단계; 및
상기 수신된 공개컨텐츠를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 상에 위치한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컨텐츠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공개장치의 동작 방법.
An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the disclosur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entry of a specific offline region of the terminal apparatus storing the disclosure setting information indicating a preset disclosure ran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fline region;
A content request step of requesting op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disclosure setting information;
A content receiving step of receiving the public content designated by the user of the terminal apparatus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the public content; And
And a content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received public content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specific offline area.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수신단계는,
상기 특정 오프라인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별 공개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공개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The content receiving step,
And receiving at least one public content for each social networking service designated by a user of the terminal device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offline area.
KR1020110023997A 2011-03-17 2011-03-17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networking service based on offline KR1017567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997A KR101756779B1 (en) 2011-03-17 2011-03-17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networking service based on off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997A KR101756779B1 (en) 2011-03-17 2011-03-17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networking service based on offl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428A true KR20120114428A (en) 2012-10-17
KR101756779B1 KR101756779B1 (en) 2017-07-14

Family

ID=47283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997A KR101756779B1 (en) 2011-03-17 2011-03-17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networking service based on offl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77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747B1 (en) * 2013-04-05 2015-01-13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Community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202B1 (en) 2019-05-28 2023-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1645A (en) 2002-03-18 2003-09-26 Ntt Data Corp Content delivery control system
JP4394506B2 (en) 2003-05-22 2010-01-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Mobile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electronic bulletin board system
JP5094704B2 (en) * 2008-12-26 2012-1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Content sharing system and content sharing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747B1 (en) * 2013-04-05 2015-01-13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Communit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779B1 (en) 2017-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0996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in a pre-determined location
EP2765792B1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system including electronic device an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30122937A1 (en) String Based Travel System and Methods Thereof
US10546338B2 (en) System, method and medium for recommending place
US20120317205A1 (en) Anonymous location-based notification
CN105447129B (en) Personalized content acquisition method, user attribute mining method, system and device
JP2015507295A (en) User search method, user search system, and user search device in a social network
JP2013545154A (en) RF fingerprint for content location
JP6411011B2 (en) User terminal de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136480A (en) Empirical expert determination and question routing system and method
US20150012604A1 (en) Instant messaging service based on item of interest to user
US10156446B2 (en) Facility wayfinding system
US201702001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a user of a multi-user transportation system to initiate a transaction for at least one of a good and a service offered by a third party and use thereof
KR2013000545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of user equipment in communication system
US20160012484A1 (en) Providing Targeted Advertising Using Local Positioning Technology
KR20150088806A (en) Using custom rtf commands to extend chat functionality
KR20120114428A (en)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networking service based on offline
TW201305985A (en)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for mobile computing device
KR102041849B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position information using multiple ids
KR20170061415A (en) Apparu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gion based information
JP725896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101695783B1 (en) Personalized telepresenc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2016192019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data structure
JP6143820B2 (en) Terminal device
KR101379031B1 (en) Managing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online customer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