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4251A -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송신 방법, 프로그램 및 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송신 방법, 프로그램 및 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4251A
KR20120114251A KR1020127014260A KR20127014260A KR20120114251A KR 20120114251 A KR20120114251 A KR 20120114251A KR 1020127014260 A KR1020127014260 A KR 1020127014260A KR 20127014260 A KR20127014260 A KR 20127014260A KR 20120114251 A KR20120114251 A KR 20120114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ntent
information
access
digital television
broadca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히사 기타자토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14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2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5Synchronising client clock from received content stream, e.g. locking decoder clock with encoder clock, extraction of the PCR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9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 H04N21/2393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involving handling client requests
    • H04N21/2396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involving handling client requests characterized by admiss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9Monitoring of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bandwidth variations of a wireles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7Content authoring involving timestamps for synchronizing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5Centralised control of user terminal ; Registering at cent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위한 방송 대역에 데이터 콘텐츠를 방송하기 위한 대역을 제공하지 않고 AV 콘텐츠 프로그램과 연동할 수 있는 데이터 콘텐츠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AV)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를 제공하고, 이 장치는 AV 콘텐츠로부터, AV 콘텐츠의 진행에 연동해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되고 트리거 타입을 포함하는 트리거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활성화, 실행 중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이벤트의 디스패치 및 추출된 트리거 정보에 포함된 트리거 타입에 따른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종료 중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송신 방법, 프로그램 및 방송 시스템{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PROGRAM, AND BROADCAST SYSTEM}
본 발명은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송신 방법, 프로그램 및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서 소위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AV 콘텐츠의 진행에 연동해서(interlocking) 데이터 콘텐츠를 실행시키는 경우에 이용하기 적절한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송신 방법, 프로그램 및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본에서는 텔레비전 방송의 디지털화가 추진되어 지상파 디지털 방송, BS 디지털 방송 등이 널리 보급되었다. 또한, 지상파 디지털 방송 등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은 소위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AV 콘텐츠 방송뿐만 아니라 소위 데이터 콘텐츠 방송도 실현한다. 데이터 콘텐츠를 이용하여, 방송중인 텔레비전 프로그램(AV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거나, 방송중인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관련없는 정보(다른 텔레비전 프로그램 알림, 뉴스, 일기 예보, 교통 정보 등)를 표시하거나, 방송중인 텔레비전 프로그램(AV 콘텐츠)에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의 데이터 콘텐츠 방송은, 텔레비전 방송의 디지털화 시에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용 방송 대역 내에 데이터 방송용 대역이 미리 확보되어, 이 대역을 이용하여 데이터 콘텐츠가 방송됨으로써 실현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미국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일본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데이터 방송에 대응하는 것이 실현되지 않고 있다. 즉, 미국의 현재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방송 대역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대역, 오디오 대역, 제어 정보 대역이 차지하고, 데이터 콘텐츠를 방송하기 위한 대역(band for broadcasting data content)은 제공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제한된 방송 대역에서 데이터 콘텐츠를 방송하기 위한 대역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디오 대역 및 오디오 대역의 크기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인용 문헌]
[특허 문헌]
[PTL 1]
일본특허공보 특개2006-50237호
그러나, 데이터 콘텐츠를 방송하기 위한 대역을 확보하기 위해 비디오 대역 및 오디오 대역의 크기를 줄이는 것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화질 및 음질 저하를 야기하여 원치않는 결과를 가져온다.
또한, CATV(케이블 TV)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재송신 시스템이 미국 전역에서 사용되므로, 후술할 문제점들 또한 발생할 수 있다.
도 2는 CATV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지털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재송신 시스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재송신 시스템은 주로 방송 또는 출력 장치(1), CATV 재송신 장치(2), CATV 네트워크(3),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4), 셋톱 박스(STB)(5), 텔레비전 수상기(6)를 포함한다.
방송국 등에 설치된 방송 장치(1)는 방송을 하거나,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송신기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방송은 지상파 또는 위성파를 이용할 수 있다. 케이블 TV 방송국 등에 설치된 CATV 재송신 장치(2)는 방송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여,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하고, CATV 고유의 정보를 추가하여 CATV 네트워크(3)를 통해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4), 셋톱 박스(5) 등에 최종 결과물을 재송신한다.
CATV 재송신 장치(2)는 튜너(11), 소정의 패킷 ID의 패킷을 필터링하는 PID 필터(12), CATV 고유(CATV-specific) 신호 발생부(13), 다중화부(14) 및 변조부(15)를 포함한다.
튜너(11)는 각 채널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수신해서 복조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TS(트랜스포트 스트림)를 PID 필터(12)로 출력한다. PID 필터(12)는 TS로부터 미리 정해진 패킷 ID에 대응하는 패킷(텔레비전 프로그램으로서의 AV 콘텐츠에 관계가 없는 패킷)을 제거해서 TS를 다중화부(14)에 출력한다. CATV 고유 신호 발생부(13)는 관련된 CATV국에 고유한 정보가 저장된 패킷을 생성해서 다중화부(14)에 그 패킷을 출력한다. 다중화부(14)는 PID 필터(12)의 출력, CATV 고유 신호 발생부(13)의 출력을 다중화해서 그 결과물을 변조부(15)에 출력한다. 변조부(15)는 CATV 네트워크(3)에 적합한 변조 시스템에 의해 다중화부(14)의 출력을 변조하고, CATV 네트워크(3)를 통해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4), 셋톱 박스(5) 등에 재송신한다.
CATV를 지원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4)는 CATV 네트워크(3)를 통해 재송신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TS를 수신해서 디코드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비디오를 표시하는 동시에 오디오를 출력한다.
CATV를 지원하는 셋톱 박스(5)는 CATV 네트워크(3)를 통해 재송신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TS를 수신해서 디코드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HDMI 케이블 등을 통해 텔레비전 수상기(6)에 출력한다. 텔레비전 수상기(6)는 HDMI 케이블 등을 통해 셋톱 박스(5)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기초로 비디오를 표시하고 오디오를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CATV 재송신 장치(2)에서는, 미리 정해진 패킷 ID에 대응하는 패킷(텔레비전 프로그램으로서의 AV 콘텐츠에 관계가 없는 패킷)을 PID 필터(12)에 의해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의 TS로부터 제거한다. 그 결과,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콘텐츠를 방송하기 위한 대역이 방송 대역 내에 확보되더라도, 데이터 콘텐츠를 저장한 패킷이 PID 필터(12)에 의해 제거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상황에 비추어 보면,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위한 방송 대역 내에 데이터 방송용 대역을 구비하지 않고도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진행에 연동할 수 있는 데이터 콘텐츠 서비스의 실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위한 방송 대역 내에 데이터 방송용 대역을 구비하지 않고도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의 AV 콘텐츠의 진행에 연동해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AV)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를 제공하고, 이 장치는 AV 콘텐츠로부터, AV 콘텐츠의 진행에 연동해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되고 트리거 타입을 포함하는 트리거 정보(또는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다른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추출된 트리거 정보에 포함된 트리거 타입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활성화(activation), 실행 중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이벤트의 디스패치(dispatch) 및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종료(end)중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AV) 콘텐츠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를 제공하고, 이 장치는 AV 콘텐츠의 진행에 연동해서 수신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관된 트리거 정보를 AV 콘텐츠에 저장하여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트리거 정보는 트리거 타입을 포함하고, 트리거 타입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애플리케이션 활성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이벤트의 디스패치(dispatch)를 지시하는 애플리케이션 이벤트,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종료를 지시하는 애플리케이션 종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상의 데이터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 -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는 데이터 콘텐츠를 포함하지 않음 - 에 삽입하도록 구성된 삽입 유닛(insertion unit) 및 방송을 위해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및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로부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된 추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상의 데이터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 -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는 데이터 콘텐츠를 포함하지 않음 - 에 삽입하는 단계; 및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로부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콘텐츠를 전달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방송하도록 구성된 방송 장치 -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는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데이터 콘텐츠는 포함하지 않음 -; 및 데이터 콘텐츠에 대한 요구에 응답하여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 콘텐츠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정해진 방법(a method)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이 방법은 데이터 콘텐츠를 포함하지 않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 및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정해진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이 방법은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로부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용 방송 대역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기존의 CATV 재송신 시스템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한 방송 시스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한 수신 장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TS의 PCR 패킷을 송신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PCR 패킷에서 트리거 정보의 구체적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트리거 정보에 포함된 항목(items)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트리거 정보의 구문(syntax)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트리거 정보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서버에 대한 액세스의 분산(distribution)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의 화면의 표시 예이다.
도 12는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의 화면의 다른 표시 예이다.
도 13은 트리거 정보를 기저대역 비디오 신호(base band video signal)에 내장하는 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컴퓨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후에, 본 발명을 실현하는 최적의 모드는(이하에서, 실시예로 언급)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기술될 것이다.
(1. 제1 실시예)
[방송 시스템의 구조적 예]
도 3은 본 실시예로서의 방송 시스템(30)을 나타낸다. 방송 시스템(30)은, 예를 들어, 현재 미국에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위한 방송 대역에 데이터 콘텐츠를 방송하기 위한 대역을 제공하지 않고,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AV 콘텐츠와 연동할 수 있는 데이터 콘텐츠 서비스를 실현한다.
방송 시스템(30)은 방송국 측에 설치되는 방송 장치(41) 및 서버(42)와, 수신기 측에 설치되는 수신 장치(60)를 포함한다.
방송 장치(41)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출력 또는 송신한다.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의 방송 대역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디오 대역, 오디오 대역 및 제어 정보 대역이 차지하며, 데이터 콘텐츠를 방송하기 위한 대역은 구비되지 않는다.
또한, 방송 장치(41)는 미리 정해진 타이밍에서, 트리거 정보와 같은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의 TS(송신 스트림)를 구성하는 TS 패킷 내의 프로그램 클록 레퍼런스(Program Clock Reference; PCR) 패킷 등의 CATV 장치에 의해 제거되지 않도록 정의되는 패킷에, 저장 또는 삽입한다. 그 이후, 방송 장치(41)는 트리거 정보를 저장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모두, 데이터 방송 콘텐츠의 실행 타이밍을 나타내는 정보, 데이터 방송 콘텐츠의 획득 출처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하는 트리거 정보일 수 있다. 트리거 정보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서버(42)는 인터넷(50)을 통해 서버(42)에 액세스하는 수신 장치(60)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데이터 방송 콘텐츠 등을 수신 장치(60)로 공급한다.
수신 장치(60)는 지상파 RF 방송 등의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방송 장치(41)로부터 방송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AV 콘텐츠의 비디오 및 오디오를 획득해서, 모니터(도시되지 않음)에 획득한 비디오 및 오디오를 출력한다. 또한, 수신 장치(60)는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예컨대, 인터넷(50) 등을 통해 서버(42)에 액세스하여 데이터 방송 콘텐츠를 획득한다. 수신 장치(60)는, 예를 들어, 개별적으로 존재할 수 있고, 또는 텔레비전 수상기나 비디오 레코더에 내장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수신 장치의 구조적 예]
도 4는 수신 장치(60)의 구조적 예를 나타낸다. 수신 장치(60)는 튜너(61) 등의 수신 유닛, 역다중화부(62) 등의 추출 유닛, 오디오 디코더(63), 오디오 출력부(64), 비디오 디코더(65), 트리거 검출부(66), 비디오 출력부(67), 제어부(68), 메모리(69), 조작부(70), 기록부(71), 통신 I/F(72) 및 브라우저(73)를 포함한다.
튜너(6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수신해서 복조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TS를 역다중화부(62)에 출력한다. 역다중화부(62)는 튜너(61)로부터 입력되는 TS를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 및 제어 신호로 역다중화하고,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 및 제어 신호를 각각 오디오 디코더(63), 비디오 디코더(65) 및 제어부(68)로 출력한다.
또한, 역다중화부(62)는 TS에 배열된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PCR 패킷을 추출하여 제어부(68)에 PCR 패킷을 출력한다.
오디오 디코더(63)는 입력된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그 결과 얻어지는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부(64)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64)는 이후의 스테이지(예를 들어, 스피커)로,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비디오 디코더(65)는 이와 같이 입력된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비디오 신호를 트리거 검출부(66) 및 비디오 출력부(67)로 출력한다. 트리거 검출부(66)는 입력된 비디오 신호를 계속적으로 감시하고, 비디오 신호에 내장된 트리거 정보를 검출한다(이는 트리거 정보가 PCR 패킷에 저장된 경우의 송신 방법과 다른 송신 방법(후술함)에 대응한다). 비디오 출력부(67)는 비디오 디코더(65)로부터 입력된 비디오 신호를 이후의 스테이지(예를 들어, 모니터)로 출력한다. 또한, 비디오 출력부(67)는 브라우저(73)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방송 콘텐츠의 비디오 및 비디오 디코더(65)로부터 입력된 비디오 신호를 합성하여, 형성된 결과물을 이후의 스테이지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64) 및 비디오 출력부(67)로부터 이후의 스테이지로의 출력은 HDMI 케이블을 이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제어부(68)는 메모리(69) 내에 기록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수신 장치(60) 전체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68)는, 역다중화부(62)(또는 트리거 검출부(66))로부터 입력된 트리거 정보를 기초로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연동하는 데이터 방송 콘텐츠를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획득, 활성화, 이벤트 디스패치, 종료 등을 제어한다.
메모리(69)에는, 제어부(68)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제어 프로그램은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 또는 인터넷(50)을 통해 획득된 갱신 데이터를 기초로 갱신될 수 있다. 조작부(70)는 사용자로부터의 다양한 조작을 받아들여, 다양한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제어부(68)에 알린다.
기록부(71)는,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배포된 경우에는, 다운로드된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을 내장된(built-in) 기록 매체에 저장한다.
통신 I/F(72)는 브라우저(73)의 제어 하에 인터넷(50)을 통해 서버(42)에 접속된다. 브라우저(73)는 제어부(68)의 제어 하에 통신 I/F(72) 및 인터넷(50)을 통해 서버(42)로부터 데이터 방송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으로써 간단히 언급)을 획득한다.
[트리거 정보의 상세]
도 5는 TS의 PCR 패킷 내에 저장된 트리거 정보가 송신되는 경우의 개념을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트리거 정보는 모든 PCR 패킷 내에 저장되는 것은 아니고,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AV 콘텐츠와 연동하기 위한 적절한 타이밍에만 PCR 패킷 내에 저장된다. PCR 패킷은 CATV 재송신 시스템에 의한 처리 후에도 트랜스포트 스트림 내에 남아있도록 정의된 패킷 타입이므로, PCR 패킷은 일반적으로 도 2에 도시된 CATV 재송신 장치(2)의 PID 필터(12)를 통과한다. 트리거 정보는 따라서 CATV 네트워크를 이용해 수신 장치(도 2의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4))에 통지될 수 있다.
트리거 정보의 내용에 따라, 트리거 정보가 수신 장치(60)에 의해 수신되지 않은 경우를 고려하여, 동일한 트리거 정보가 복수 회 송신됨에 주목해야 한다.
도 6은 트리거 정보가 PCR 패킷에 저장된 위치를 나타낸다. PCR 패킷은 TS 패킷의 "adaptation_field" 내에 PCR을 저장함으로써 얻어지고, 트리거 정보(TriggerInfo_descriptor)는 PCR 이후의 "transport_private_data_byte"에 저장된다. 트리거 정보가 저장된 경우, PCR 이전에 제공된 "Various flags"의 "transport_private_data_flag"는 1로 설정된다.
도 7은 트리거 정보에 포함된 정보 항목의 일례를 나타낸다.
트리거 ID는, 관련된 트리거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동일한 트리거 정보가 복수 회 송신된 경우, 각 트리거 정보의 트리거 ID는 동일하다. 또한, 단지 후술할 서버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만이 다른 트리거 정보에도, 동일한 트리거 ID를 부여한다. 트리거 타입은 트리거 정보가 "애플리케이션 실행"(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의 획득 및 활성화를 지시함), "애플리케이션 종료"(실행 중인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의 종료를 지시함), "인젝트-이벤트"(실행 중인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의 이벤트(표시된 내용의 갱신 등)의 디스패치를 지시함) 및 "프리캐쉬(precache)"(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의 획득만을 지시함) 중 어느 상태에 있는 지를 나타낸다.
애플리케이션 ID는, 트리거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애플리케이션 타입은 트리거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의 타입을(예를 들어, html 및 java) 나타내는 정보이다. 사업자 ID는 트리거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업자(방송국 등)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애플리케이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은 트리거 타입이 "애플리케이션 실행" 또는 "프리캐쉬"인 경우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경우, 서버(42))의 획득처(acquisition source)(즉, 위치에 관한 정보)의 URL이다. 축적(accumulation) 애플리케이션 ID는, 트리거 타입이 "애플리케이션 실행"인 경우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을 즉각적으로 획득하지 않고, 활성화해야 할 축적된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이미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 획득)이 지정된 경우에만 기술된다.
자동 활성화 플래그는, 트리거 타입이 "애플리케이션 실행"인 경우에 기술되고, 온 또는 오프로 설정된다. 자동 활성화 플래그가 온이면, "자동 실행"(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활성화함)이 설정된다. 자동 활성화 플래그가 오프되면, "수동 활성화"(사용자에게 조작 입력을 재촉하여 조작 입력에 따른 데이터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함)이 설정된다.
애플리케이션 종료 시각은, 트리거 타입이 "애플리케이션 종료"인 트리거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실행 중인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는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서버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는, 트리거 정보를 수신한 각 수신 장치(60)가 서버(42)로부터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을 획득하는 경우, 특정 기간의 시간에 집중을 피하기 위해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서버(42)에 대한 액세스를 분산하기 위한 또는 액세스를 시도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값 N(2 이상의 정수)이다. 예를 들어, 다수일 수 있는 수신 장치(60)로부터 서버(42)에 대한 액세스를 4회로 분산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트리거 정보를 4회 송신해서, 제1 트리거 정보의 서버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 N을 4로 설정하고, 제2 트리거 정보의 서버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 N을 3으로 설정하고, 제3 트리거 정보의 서버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 N을 2로 설정하고, 제4 트리거 정보의 서버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 N을 1로 설정하기만 하면 된다. 즉,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는 복수의 값으로서 차례대로 삽입 또는 송신될 수 있다. 트리거 정보가 서버(42)에의 액세스와 관련이 없는 경우 서버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 N은 1로 설정하기만 하면 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서버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의 세부사항은 도 10을 참조하여 이후에 기술될 것이다.
애플리케이션 이름은, 자동 활성화 플래그가 "수동 활성화"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에게 제시될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이다. 이벤트 ID는, 트리거 타입이 "인젝트-이벤트"로 설정된 경우 이벤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트리거 정보는 일반적으로 상술한 모든 항목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그 타이밍에서 필요한 항목만을 포함함에 주목해야 한다.
도 8은 트리거 정보의 구문의 예를 나타낸다. 트리거 정보의 구문은 임의적으로 설정되고, 도 8의 구문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동작 설명]
다음으로, 수신 장치(60)가 트리거 정보를 수신하는 시점에서의 동작(이후, 트리거 정보 처리로 언급)에 대해 기술한다.
도 9는 트리거 정보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트리거 정보 처리는 사용자가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보고 있을 때, 즉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 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단계 S1에서, 제어부(68)는 역다중화부(62)로부터의 입력을 기초로,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PCR 패킷이 수신될 때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PCR 패킷이 수신되면, 처리는 단계 S2로 진행한다.
단계 S2에서, 제어부(68)는 수신된 PCR 패킷으로부터 트리거 정보를 추출하고, 단계 S4 및 이후의 단계의 처리가 트리거 정보에 대해 이미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4 및 이후의 단계의 처리가 이미 수행되었다고 판단되면, 처리는 단계 S1로 되돌아 가고, 이후의 단계들을 반복한다. 반대로, 단계 S4 및 이후의 단계의 처리가 트리거 정보에 대해 수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처리는 단계 S3으로 진행한다.
단계 S3에서, 제어부(68)는 트리거 정보의 서버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 N을 기초로 현재 처리가 유효인지(처리가 서버 액세스를 행하도록 단계 S4 및 이후의 단계들로 진행할지) 또는 무효인지(처리가 단계 S1로 돌아갈지) 판단한다. 서버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 N이 트리거 정보 내에 기술되어 있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단계 S4로 진행함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현재 처리가 유효인지 또는 무효인지에 대한 단계 S3에서의 판단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송국 측의 의도로서, 다수일 수 있는 수신 장치(60)로부터 서버(42)로의 액세스를 4회로 분산하기 위해, 방송 장치(41)로부터 동일한 트리거 정보가 4회 송신되어, 서버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 N은 복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트리거 정보의 서버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 N을 4로 설정하고, 제2 트리거 정보의 서버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 N을 3으로 설정하고, 제3 트리거 정보의 서버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 N을 2로 설정하고, 제4 트리거 정보의 서버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 N을 1로 설정한다.
이에 응답하여, 수신 장치(60)의 제어부(68)는 확률 1/N로 유효가 판정되는, 즉, 서버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 N이 서버에 대한 다른 액세스 확률에 대응하는 조건 아래에서 난수 등에 기초하여 유효 또는 무효를 판단한다.
그 결과, 10000대의 수신 장치(60)가 동시에 트리거 정보 처리를 실행한다고 가정하면, 제1 트리거 정보(서버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 N = 4)에 의해 약 2500(=10000/4)대의 수신 장치(60)에서 처리가 유효로 판정되고, 추가적으로 제2 트리거 정보(서버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 N = 3)에 의해 약 2500(=7500/3)대의 수신 장치(60)에서 유효로 판정되고, 추가적으로 제3 트리거 정보(서버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 N = 2)에 의해 약 2500(=5000/2)대의 수신 장치(60)에서 유효로 판정되고, 나머지 제4 트리거 정보(서버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 N = 1)에 의해 약 2500(=2500/1)대의 수신 장치(60)에서 유효로 판정된다. 따라서, 복수의 수신 장치에 의한 액세스 확률은 서버에 대한 연속적인 요구에 따라 증가한다.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단계 S4에서, 제어부(68)는 트리거 정보의 트리거 타입이 "애플리케이션 실행", "인젝트-이벤트", "애플리케이션 종료" 및 "프리캐쉬" 중 어떤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단계 S4에서 트리거 정보의 트리거 타입이 "애플리케이션 실행"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단계 S5로 진행한다. 단계 S5에서, 제어부(68)는 축적 애플리케이션 ID가 트리거 정보에서 지정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이미 기록부(71)에 축적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축적 애플리케이션 ID가 지정되어 있지 않고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축적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처리는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단계 S6에서, 제어부(68)는 트리거 정보의 애플리케이션 URL에 대응하는 서버(42)에 액세스하여 트리거 정보의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하는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을 획득하도록 브라우저(73)를 제어한다. 여기서, 관련된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후술할 단계 S15에서 애플리케이션 URL에 대응하는 서버(42)로부터 이미 획득되고 프리캐쉬화 되어 있으면, 그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이용된다. 그 이후에, 처리는 단계 S8로 진행한다.
반대로, 단계 S5에서 축적 애플리케이션 ID가 트리거 정보에서 지정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이미 기록부(71)에 축적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단계 S7로 진행한다. 단계 S7에서, 제어부(68)는 기록부(71)로부터 트리거 정보의 축적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하는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을 판독하도록 브라우저(73)를 제어한다. 그 이후, 처리는 단계 S8로 진행한다.
단계 S8에서, 제어부(68)는 트리거 정보의 자동 활성화 플래그가 "자동 실행"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8에서 트리거 정보의 자동 활성화 플래그가 "자동 실행"이 아닌 것(즉, 플래그가 "수동 활성화"로 설정)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단계 S9로 진행한다. 단계 S9에서, 브라우저(73)는 제어부(68)에 의한 제어를 기초로 화면상에서, 예를 들어, "실행(애플리케이션 이름)?"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조작을 행하도록 재촉한다. 단계 S10에서 재촉 표시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 조작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처리는 단계 S12로 진행한다. 단계 S12에서, 브라우저(73)는 제어부(68)의 제어 하에서, 단계 S6에서 획득되거나 단계 S7에서 판독된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한다. 그 이후, 처리는 단계 S1로 되돌아 가고, 단계 S1 및 이후의 단계들을 반복한다.
단계 S9에서 재촉 표시 이후에 단계 S10에서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 조작이 입력되지 않고, 단계 S11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활성화 조작 없이 경과 하였다고 판단되면, 처리는 단계 S1로 되돌아 가고, 단계 S1 및 이후의 단계들을 반복할 것에 유의해야 한다.
단계 S8에서 트리거 정보의 자동 활성화 플래그가 "자동 활성화"로 설정된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단계 S12로 진행함에 유의해야 한다. 단계 S12에서, 브라우저(73)는 제어부(68)의 제어 하에서 단계 S6에서 획득하거나 단계 S7에서 판독한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한다. 그 이후에, 처리는 단계 S1로 되돌아 가고, 단계 S1 및 이후의 단계들을 반복한다.
단계 S4에서 트리거 정보의 트리거 타입이 "인젝트-이벤트"라고 판단되면, 처리는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3에서, 오직 트리거 정보의 애플리케이션 ID가 동작 중인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ID와 일치할 경우에만, 제어부(68)는 동작 중인 애플리케이션 내의 트리거 정보의 이벤트 ID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디스패치(실행)하도록 브라우저(73)를 제어한다. 그 이후에, 처리는 단계 S1로 되돌아 가고, 단계 S1 및 이후의 단계들을 반복한다.
단계 S4에서 트리거 정보의 트리거 타입이 "애플리케이션 종료"로 판단되는 경우, 처리는 단계 S14로 진행한다. 단계 S14에서, 트리거 정보의 애플리케이션 ID가 동작 중인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ID와 일치할 경우에만, 제어부(68)는 동작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도록 브라우저(73)를 제어한다. 그 이후에, 처리는 단계 S1로 되돌아 가고, 단계 S1 및 이후의 단계들을 반복한다.
트리거 타입이 "애플리케이션 종료"인 트리거 정보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애플리케이션 종료시간에 도달하면 동작 중인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된다(애플리케이션 종료시간은 동작 중인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었을 때 트리거 정보에 기술된다).
단계 S4에서 트리거 정보의 트리거 타입이 "프리캐쉬"라고 판단되면, 처리는 단계 S15로 진행한다. 단계 S15에서, 제어부(68)는 트리거 정보의 애플리케이션 URL에 대응하는 서버(42)에 액세스하여 트리거 정보의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하는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을 획득하여, 브라우저(73)에 포함된 캐쉬 메모리 등의 저장 수단에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도록 브라우저(73)를 제어한다. 그 이후, 처리는 단계 S1로 되돌아 가고, 단계 S1 및 이후의 단계들을 반복한다.
단계 S15에서 트리거 타입이 "프리캐쉬"이면, 연동해야 할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대응하는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을 획득할 수 있다. 그 결과, 대응하는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은 연동해야 할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시작과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서버(42)에 대한 액세스의 집중을 분산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트리거 정보 처리에 대한 설명은 여기까지이다.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화면의 표시 예]
도 11은 트리거 정보의 자동 활성화 플래그가 오프("수동 활성화")인 경우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진행에 연동하여 실행될 때의 화면의 전이(transition)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시간 동안에 트리거 타입이 "애플리케이션 실행"이고 자동 활성화 플래그가 오프("수동 활성화")인 트리거 정보를 수신하면, 대응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획득된다. 다음에, 사용자에게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조작을 행하도록 재촉하게 하는 표시(indication)가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비디오 상에 겹쳐져서 표시된다. 사용자가 재촉에 응답하여 활성화 조작을 입력하는 경우,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고, 화면의 표시는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비디오와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비디오의 합성으로 변경된다.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트리거 타입이 "인젝트-이벤트"인 트리거 정보가 수신되면, 트리거 정보의 이벤트 ID에 대응하는 이벤트가 실행중인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에서 디스패치된다. 그 결과,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의 영역이 트리거 정보의 이벤트 ID에 대응하는 비디오로 변경된다.
그 이후, 트리거 타입이 "애플리케이션 종료"인 트리거 정보가 수신되면, 실행 중인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은 종료되고,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비디오가 화면 전체에 표시된다.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의 화면의 다른 표시 예]
그러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진행과 연동하여 실행되는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반드시 화면상의 표시를 수반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그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은 수신 장치(60)의 사용자에게 알려지지 않고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시청률 조사(audience survey)가 실행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리거 타입이 "인젝트-이벤트"인 트리거 정보에 따라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시청되고 있는지 여부를 기록하고, 기록 결과를 미리 정해진 타이밍에 미리 정해진 서버에 통지하고, 그 결과, 트리거 타입이 "인젝트-이벤트"인 트리거 정보의 송신 간격으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시청률이 조사될 수 있다.
도 12는 트리거 정보의 자동 활성화 플래그가 온("자동 활성화")되는 경우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진행과 연동하여 화면상의 표시가 없는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의 화면의 전이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때 트리거 타입이 "애플리케이션 실행"이고 자동 활성화 플래그가 온("자동 활성화")인 트리거 정보를 수신하면, 대응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획득되어 활성화된다. 화면 상의 표시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비디오를 표시한 채 변하지 않는다.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트리거 타입이 "인젝트-이벤트"인 트리거 정보를 수신하면, 트리거 정보의 이벤트 ID에 대응하는 이벤트는 실행 중인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에서 디스패치된다. 이 경우에도,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비디오는 표시된 채로 남아서, 화면 상의 표시는 변하지 않는다.
그 이후, 트리거 타입이 "애플리케이션 종료"인 트리거 정보가 수신되면, 실행 중인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은 종료된다.
[트리거 정보의 다른 송신 방법]
이상의 설명에서는, 송신해야 할 TS의 PCR 패킷 내에 트리거 정보를 저장하지만, 트리거 정보는 송신해야 할 기저대역 비디오 신호에 내장될 수 있다.
도 13은 트리거 정보를 기저대역 비디오 신호에 내장시킨 두 가지 예를 나타낸다.
도 13a는 트리거 정보를 2차원 바코드로 변환하여 기저대역 비디오 신호의 이미지 내의 미리 정해진 위치(이 경우, 우측 하단 코너)에 겹쳐놓은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b는 트리거 정보를 비디오 코드로 변환하여 기저대역 비디오 신호의 화상의 하측 상에 위치한 넘버 라인(number lines)에 결합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a 및 도 13b의 트리거 정보는 수신 장치(60)의 트리거 검출부(66)에 의해 검출된다.
트리거 정보가 도 13a 및 도 13b 모두에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화면상에 배열되므로, 트리거 정보는, 예를 들어, CATV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신 장치(예를 들어, 도 2의 텔레비전 수상기(6))에도 통지될 수 있다.
또한, 화면 상의 트리거 정보(2차원 바코드 및 비디오 코드)가 도 13a 및 도 13b의 두 경우에 수신 장치(60)의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지만, 이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면, 2차원 바코드 또는 비디오 코드는 2차원 바코드 또는 비디오 코드 주변의 화소와 동일한 화소들에 의해 마스크된 후에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한 방송 시스템(30)에 따르면, 데이터 방송에 관련된 트리거 정보는 PCR 패킷 또는 기저대역 비디오 신호에 내장시켜 송신하는 반면에,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넷을 통해 서버로부터 제공된다. 그 결과,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연동할 수 있는 데이터 콘텐츠 서비스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위한 방송 대역에서 데이터 방송용 대역을 제공하지 않고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서버에 대한 액세스를 특정 시간 동안의 집중을 피하기 위해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디지털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CATV 네트워크, 위성 통신 네트워크 등을 통해 재송신되는 경우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연동할 수 있는 데이터 콘텐츠의 서비스가 실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가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기록 매체로부터 전용 하드웨어에 내장된 컴퓨터, 각종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범용 퍼스널 컴퓨터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4는 프로그램에 의해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실행하는 컴퓨터 하드웨어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컴퓨터(100)에서, CPU(101), ROM(102) 및 RAM(103)은 버스(104)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5)도 버스(104)에 접속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5)에는 입력부(106), 출력부(107), 저장부(즉,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108), 통신부(109), 드라이브(110)가 접속된다. 입력부(106)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 등을 포함한다. 출력부(107)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포함한다. 저장부(108)는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하고, CPU에 의해 실행 하기 위한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109)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한다. 드라이브(110)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의 이동식 매체(111)를 구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컴퓨터에서, CPU(101)는, 예를 들어, 입출력 인터페이스(105) 및 버스(104)를 통해 저장부(108)에 저장된 명령어를 가진 프로그램을 RAM(103)에서 로딩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이로 인해 상술한 일련의 처리가 수행된다.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 순서로 처리가 수행되는 프로그램일 수 있고, 또는 병렬로 혹은 호출된 때와 같이 필요한 타이밍에 처리가 수행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1대의 컴퓨터에 의해 처리될 수 있거나, 복수의 컴퓨터에 의해 분산 처리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원격 컴퓨터에 송신되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시스템은 전체적으로 복수의 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형이 행해질 수 있다.
본 출원은 일본 특허청에 2009년 12월 18일자로 출원된 일본 우선권 주장 특허출원 2009-287228호의 개시 내용과 관련된 요지를 포함하고,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30: 방송 시스템
41: 방송 장치
42: 서버
60: 수신 장치
61: 튜너
62: 역다중화부
63: 오디오 디코더
64: 오디오 출력부
65: 비디오 디코더
66: 트리거 검출부
67: 비디오 출력부
68: 제어부
69: 메모리
70: 동작부
71: 기록부
72: 통신 I/F
73: 브라우저

Claims (49)

  1. 서버상의 데이터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 -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는 상기 데이터 콘텐츠를 포함하지 않음 - 에 삽입하도록 구성된 삽입 유닛; 및
    방송을 위해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액세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 콘텐츠의 실행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정보(timing information)를 포함하는, 액세스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모두 타이밍 정보인, 액세스 제공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 사이에서 상기 서버로의 액세스를 분산하기 위한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액세스 제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는 상기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서버로의 원하는 액세스 확률에 대응하는, 액세스 제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에 의한 액세스 확률은 상기 서버로의 연속적인 액세스 요구에 따라 증가하는, 액세스 제공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유닛은 상기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로서 복수의 값을 삽입하는, 액세스 제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유닛은 상기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로서 복수의 값을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 사이에서 상기 서버에 대한 액세스 확률을 수정하는, 액세스 제공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액세스 제공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정보는 상기 데이터 콘텐츠의 실행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데이터 콘텐츠의 위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액세스 제공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유닛은,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CATV 재송신 시스템에 의한 처리 후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남도록 정의되는 타입의 패킷내에 삽입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제공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유닛은,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의 PCR 패킷내에 삽입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제공 장치.
  13. 데이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액세스 가능한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및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로부터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된 추출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콘텐츠 수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 콘텐츠의 실행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콘텐츠 수신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모두 타이밍 정보인, 데이터 콘텐츠 수신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 콘텐츠를 포함하는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요구를 제어하는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콘텐츠 수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대한 액세스 확률은 상기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는, 데이터 콘텐츠 수신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대한 액세스 확률은 상기 서버에 액세스로의 연속적인 액세스 요구에 따라 증가하는, 데이터 콘텐츠 수신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는 상기 서버로의 원하는 액세스 확률을 기초로 하는, 데이터 콘텐츠 수신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상기 서버로의 서로 다른 액세스 확률에 대응하여 상기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로서 복수의 값을 포함하는, 데이터 콘텐츠 수신 장치.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콘텐츠 수신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정보는 상기 데이터 콘텐츠의 실행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데이터 콘텐츠의 위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콘텐츠 수신 장치.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CATV 재송신 시스템에 의한 처리 후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남도록 정의되는 타입의 패킷에 포함되는, 데이터 콘텐츠 수신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의 PCR 패킷에 포함되는, 데이터 콘텐츠 수신 장치.
  25. 서버상의 데이터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 -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는 상기 데이터 콘텐츠를 포함하지 않음 - 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제공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 콘텐츠의 실행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액세스 제공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모두 타이밍 정보인, 액세스 제공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 사이에서 상기 서버로의 액세스를 분산하기 위한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액세스 제공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는 상기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 사이에서 상기 서버에 대한 원하는 액세스 확률에 대응하는, 액세스 제공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에 의한 액세스 확률은 상기 서버로의 연속적인 액세스 요구에 따라 증가하는, 액세스 제공 방법.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로서 복수의 값을 차례대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제공 방법.
  32.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액세스 제공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정보는 상기 데이터 콘텐츠의 실행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데이터 콘텐츠의 위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액세스 제공 방법.
  34.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CATV 재송신 시스템에 의한 처리 후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남도록 정의되는 타입의 패킷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제공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의 PCR 패킷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제공 방법.
  36. 데이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액세스 가능한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로부터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콘텐츠 수신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 콘텐츠의 실행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콘텐츠 수신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모두 타이밍 정보인, 데이터 콘텐츠 수신 방법.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에 포함된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 콘텐츠를 포함하는 서버로의 액세스를 선택적으로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콘텐츠 수신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대한 액세스 확률은 상기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는, 데이터 콘텐츠 수신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대한 액세스 확률은 상기 서버로의 연속적인 액세스 요구에 따라 증가하는, 데이터 콘텐츠 수신 방법.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의 서로 다른 액세스 확률에 대응하여 상기 액세스 분산 파라미터로서 복수의 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콘텐츠 수신 방법.
  43.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콘텐츠 수신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정보는 상기 데이터 콘텐츠의 실행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데이터 콘텐츠의 위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콘텐츠 수신 방법.
  45.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CATV 재송신 시스템에 의한 처리 후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남도록 정의되는 타입의 패킷에 포함되는, 데이터 콘텐츠 수신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의 PCR 패킷에 포함되는, 데이터 콘텐츠 수신 방법.
  47. 데이터 콘텐츠를 전달하는 시스템으로서,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방송하도록 구성된 방송 장치 -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는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콘텐츠는 포함하지 않음 -; 및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대한 요구에 응답하여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데이터 콘텐츠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서버를 포함하는, 데이터 콘텐츠 전달 시스템.
  48.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터로 하여금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데이터 콘텐츠를 포함하지 않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49.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터로 하여금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로부터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데이터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27014260A 2009-12-18 2010-12-10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송신 방법, 프로그램 및 방송 시스템 KR201201142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87228 2009-12-18
JP2009287228A JP5720095B2 (ja) 2009-12-18 2009-12-18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送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放送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251A true KR20120114251A (ko) 2012-10-16

Family

ID=44167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260A KR20120114251A (ko) 2009-12-18 2010-12-10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송신 방법, 프로그램 및 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8677396B2 (ko)
EP (1) EP2514204A2 (ko)
JP (1) JP5720095B2 (ko)
KR (1) KR20120114251A (ko)
CN (1) CN102870429A (ko)
BR (1) BR112012014087A2 (ko)
CA (1) CA2782193C (ko)
IN (1) IN2012DN04892A (ko)
MX (1) MX2012006726A (ko)
RU (1) RU2562427C2 (ko)
WO (1) WO2011074218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4045893A1 (ja) * 2012-09-20 2016-08-18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WO2020247845A1 (en) * 2019-06-07 2020-12-10 The Nielsen Company (Us), Llc Content-modification system with probability-based selection fea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1779B2 (en) 2012-03-21 2015-01-27 Sony Corporation Non-closed caption data transport in standard caption service
US8893210B2 (en) 2010-08-20 2014-11-18 Sony Corporation Server load balancing for interactive television
US8918801B2 (en) * 2010-08-30 2014-12-23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program, and broadcasting system
US9986270B2 (en) 2010-09-21 2018-05-29 Saturn Licensing Llc Reception and transmission of trigger information for application program control
JP5703664B2 (ja) 2010-09-30 2015-04-22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送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放送システム
US9554175B2 (en) 2011-07-20 2017-01-24 Sony Corporation Method, computer program, recep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trigger compaction
RU2594000C2 (ru) * 2011-08-05 2016-08-10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При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приема,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и система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CA2842152C (en) * 2011-08-24 2020-03-10 Sony Corporation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WI528749B (zh) * 2011-09-06 2016-04-01 Sony Corp A signal receiving device, a signal receiving method, a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9219950B2 (en) * 2011-11-01 2015-12-22 Sony Corporation Reproduction apparatus, reproduction method, and program
US9113230B2 (en) 2011-12-21 2015-08-18 Sony Corporatio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reception apparatus for delivery of supplemental content
KR102057107B1 (ko) 2012-01-24 2019-12-18 소니 주식회사 수신 장치, 수신 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시스템
US9936231B2 (en) 2012-03-21 2018-04-03 Saturn Licensing Llc Trigger compaction
KR101336161B1 (ko) * 2012-03-30 2013-12-03 애니포인트 미디어 그룹 방송 연동형 서비스 제공 방법
BR112014001763A2 (pt) * 2012-06-01 2017-02-21 Sony Corp aparelho e método de processamento de informação, programa, e, aparelho transmissor de tabela de informação de aplicativo
KR101318308B1 (ko) * 2012-06-12 2013-10-15 애니포인트 미디어 그룹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 수신기에서의 연동형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US10104447B2 (en) 2012-06-19 2018-10-16 Saturn Licensing Llc Extensions to trigger parameters table for interactive television
CN103428580A (zh) * 2012-07-06 2013-12-04 上海数字电视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数字电视异构网络结构
CN103428543B (zh) * 2012-07-06 2014-08-27 上海数字电视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与宽带通信网协同的数字电视广播系统及信息传输网络
CN103428542B (zh) * 2012-07-06 2014-08-27 上海数字电视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用于连接广播网与通信网的用户终端
EP2910029B1 (en) * 2012-10-18 2019-06-05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nteractive service
CN103532924B (zh) * 2013-03-07 2016-12-28 上海数字电视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数字通信系统、信息分发方法及接收终端
EP3010241B1 (en) * 2013-06-12 2019-08-07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150057149A (ko) * 2013-11-18 2015-05-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전송망에 기초한 3d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0228751B2 (en) 2014-08-06 2019-03-12 Apple Inc. Low power mode
US9647489B2 (en) 2014-08-26 2017-05-09 Apple Inc. Brownout avoidance
CA2955486C (en) 2014-09-05 2023-03-21 Sony Corporation Receiving device, receiving method,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US10708391B1 (en) 2014-09-30 2020-07-07 Apple Inc. Delivery of apps in a media stream
US10231033B1 (en) 2014-09-30 2019-03-12 Apple Inc. Synchronizing out-of-band content with a media stream
US20170272828A1 (en) * 2016-03-17 2017-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1363133B1 (en) 2017-12-20 2022-06-14 Apple Inc. Battery health-based power management
US10817307B1 (en) 2017-12-20 2020-10-27 Apple Inc. API behavior modification based on power source health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3036B1 (ko) * 1996-11-20 2000-08-01 김영환 디지탈 케이블티브이 시스템의 원격제어장치
US6310646B1 (en) * 1996-11-29 2001-10-30 Wavetek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 radio frequency signal having program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DE69841181D1 (de) * 1998-06-17 2009-11-05 Hitachi Ltd Rundfunkverfahren und rundfunkempfänger
JP3975308B2 (ja) * 1998-07-15 2007-09-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信号再生システム、情報信号読み出し装置、情報信号処理装置、情報信号再生方法、情報信号読み出し方法、および、情報信号処理方法
US8479251B2 (en) * 1999-03-31 2013-07-0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streaming content with enhancing content using pre-announced triggers
WO2000064177A1 (en) * 1999-04-15 2000-10-26 Skystream Networks Inc. Data broadcast system
DE60041259D1 (de) * 1999-07-14 2009-02-12 Panasonic Corp Vorrichtung zur bereitstellung von information,informations empfänger und speichermedium
IL153048A0 (en) * 2000-05-31 2003-06-24 Optinetix Israel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information through broadcast media
GB0225903D0 (en) * 2002-11-07 2002-12-11 Siemens Ag Method for uplink access transmission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2005096136A (ja) * 2003-09-22 2005-04-14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記録装置
JP2005151463A (ja) * 2003-11-19 2005-06-09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トリーム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ストリームデータ受信方法
JP4592282B2 (ja) * 2003-12-22 2010-12-01 株式会社東芝 受信方法及び装置
JP2005311810A (ja) * 2004-04-23 2005-11-04 Aii Kk デジタル放送を用いた視聴履歴収集方法
JP4655534B2 (ja) 2004-08-04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4392795B2 (ja) * 2004-10-07 2010-01-06 Kddi株式会社 放送通信融合システム
JP2006311120A (ja) * 2005-04-27 2006-1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BRPI0811289A2 (pt) * 2007-05-10 2015-01-20 Thomson Lincensing Detecção de falha utilizando marcas d'água embutidas
JP5367237B2 (ja) * 2007-06-18 2013-12-11 ソニー株式会社 サーバ
FR2928806B1 (fr) 2008-03-14 2011-12-09 Streamezzo Procede de restitution d'au moins un contenu multimedia personnalise, terminal et programme d'ordinateur correspondants
US20100084849A1 (en) * 2008-10-02 2010-04-08 Casdex, Inc.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Digital and Printed Contents Using Unique Content Identifiers
US20100121907A1 (en) * 2008-10-24 2010-05-13 Mcknight Thomas R Cooperative Measurement Technique for the Determination of Internet Web Page Exposure and Viewing Behavi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4045893A1 (ja) * 2012-09-20 2016-08-18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10425699B2 (en) 2012-09-20 2019-09-24 Sony Corporation Controlling execution of an application linked with received contents
WO2020247845A1 (en) * 2019-06-07 2020-12-10 The Nielsen Company (Us), Llc Content-modification system with probability-based selection feature
US11546647B2 (en) 2019-06-07 2023-01-03 Roku, Inc. Content-modification system with probability-based selection feature
US11843813B2 (en) 2019-06-07 2023-12-12 Roku, Inc. Content-modification system with probability-based selection fea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91064A1 (en) 2012-11-15
RU2012123977A (ru) 2013-12-20
WO2011074218A2 (en) 2011-06-23
EP2514204A2 (en) 2012-10-24
JP2012248908A (ja) 2012-12-13
IN2012DN04892A (ko) 2015-09-25
WO2011074218A3 (en) 2012-07-19
BR112012014087A2 (pt) 2016-07-05
US9451212B2 (en) 2016-09-20
MX2012006726A (es) 2012-06-28
US20160353137A1 (en) 2016-12-01
CN102870429A (zh) 2013-01-09
RU2562427C2 (ru) 2015-09-10
CA2782193A1 (en) 2011-06-23
CA2782193C (en) 2016-08-16
US8677396B2 (en) 2014-03-18
JP5720095B2 (ja) 2015-05-20
US11284138B2 (en) 2022-03-22
US20140181858A1 (en)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4138B2 (en)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program, and broadcast system for accessing data content on a network server
CA2806837C (en) Receiver, reception method, transmitter, transmission method, program and broadcasting system
JP6225151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プログラム
US9516365B2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2432245A2 (en)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ting method, receiving apparatus, receiving method, program, and broadcasting system
US9357241B2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40007907A (ko)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수신 방법, 프로그램 및 방송 시스템
KR20140008455A (ko) 비디오 프로그래밍에서 타임드 텍스트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371016B1 (ko) 보조 채널을 이용한 방송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3691938B2 (ja) データ放送方法,及び放送受信装置
JP4109510B2 (ja) データ放送システム
JP2017079423A (ja) 放送受信装置
JP2013183443A (ja) コンテンツ視聴制御方法、放送システム、録画再生機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