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4064A - 물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물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4064A
KR20120114064A KR1020110031814A KR20110031814A KR20120114064A KR 20120114064 A KR20120114064 A KR 20120114064A KR 1020110031814 A KR1020110031814 A KR 1020110031814A KR 20110031814 A KR20110031814 A KR 20110031814A KR 20120114064 A KR20120114064 A KR 20120114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ting
cooling
water discharge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진
신광식
전두열
손태용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1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4064A/ko
Publication of KR20120114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0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20Pillar fountains or like apparatus for dispensing drinking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a heating or cooling apparatus in the supply l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물 배출 장치는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과 출수유로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물을 열교환에 의해 냉각하는 냉각수단과, 상기 냉각수단에 의해 냉각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출수유로를 통과하는 물을 순간 가열하여 살균하고, 상기 냉각수단을 이용하여 순간 냉각하여 멸균된 미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멸균을 위하여 끓인 물을 음용하기에 적절한 온도로 식히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물을 식히는 동안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물로 상기 출수유로를 살균하고, 컵 살균모듈에 의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컵이나 젖병 등을 살균할 수 있으므로, 멸균된 미온수를 보다 위생적으로 섭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물 배출 장치{WATER DRAIN DEVICE}
본 발명은 물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순간가열 및 순간냉각에 의하여 멸균된 미온수를 공급하고, 출수유로 및 컵을 살균하여 위생적인 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물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물을 복수개의 정수필터가 구비된 필터부에 의해서 정수시킨 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에는 정수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저장탱크에 저장된 정수된 물은 추출코크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살균된 물을 적절한 온도로 음용하기를 원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특히, 영유아를 둔 가정의 경우 분유 등을 조제시 40~70℃정도의 멸균된 미온수를 사용하므로 살균된 물과 이를 공급받을 수 있는 제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그런데, 정수기에서 정수된 물에는 세균 등의 미생물이 여전히 존재하게 되어 문제가 된다. 그리고, 정수탱크에 정수를 장시간 보관시 탱크의 오염 등으로 세균이 번식할 수 있으며, 유로나 추출코크 등의 정수기 내부의 오염으로 추출되는 물이 오염될 수 있어 문제된다.
이에 따라, 특히 영유아를 둔 가정에서는 정수기에서 출수된 물을 다시 끓여 살균한 후, 냉장보관이나 실온보관하여 원하는 온도의 멸균된 미온수를 섭취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별도로 끓여서 식혀 먹게 되면 멸균된 미온수를 섭취하는데 시간이 걸릴 수 있으며, 끓인 물을 식히는 과정에서 다시 세균이 번식할 수 있어 문제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하나의 출수유로를 통과하는 물을 순간 가열하여 살균하고 순간 냉각함으로써 멸균된 미온수를 생성하여, 멸균을 위하여 끓인 물을 식히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물을 식히는 동안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는 물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써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물로 상기 출수유로를 살균하고, 컵 살균모듈에 의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컵이나 젖병 등을 살균하여 멸균된 미온수를 보다 위생적으로 섭취할 수 있는 물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과 출수유로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물을 열교환에 의해 냉각하는 냉각수단;과, 상기 냉각수단에 의해 냉각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물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수단은 가열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열히터는 상기 물공급원에서 공급된 물을 60℃ 내지 110℃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수단은 가열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열히터는 상기 물공급원에서 공급된 물을 80℃ 내지 100℃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물을 열교환에 의해 냉각하도록 상기 출수유로에 구비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출수유로의 외측에 배치되는 냉각관을 구비하며, 상기 출수유로를 통과하는 물은 상기 냉각관을 순환하는 원수 또는 냉수탱크에서 공급된 냉수와 열교환되어 냉각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출수유로를 통과하는 물을 증발기를 순환하는 냉매 또는 빙축열식 냉각조에서 냉각된 냉수와 열교환시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열교환부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열교환에 의해서 상기 출수유로를 통과하는 물을 냉각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물을 이용하여 컵을 살균하는 살균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물이 유입되는 가열접시;와, 상기 가열접시에 연계되며 상기 가열접시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가열히터;와, 상기 가열접시 상부에 컵을 받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열접시로부터 스팀이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는 가열접시에서 공급되는 스팀을 배출할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살균모듈은 살균된 컵을 건조시키는 팬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출수유로는 상기 배출부를 폐쇄하여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물로 채워짐으로써 살균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물 배출 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출수유로를 통과하는 물을 순간 가열하여 살균하고, 상기 냉각수단을 이용하여 순간 냉각하여 멸균된 미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멸균을 위하여 끓인 물을 식히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물을 식히는 동안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물로 상기 출수유로를 살균하고, 컵 살균모듈에 의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컵이나 젖병 등을 살균할 수 있으므로 멸균된 미온수를 보다 위생적으로 섭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 배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수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단의 다른 실시예로 증발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로 열전소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물 배출 장치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물 배출 장치가 정수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장치가 이용되는 제품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 배출 장치(100)는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110)과, 상기 가열수단(110)에 의해 가열된 물을 열교환에 의해 냉각하는 냉각수단(130)과, 상기 냉각수단(130)에 의해 냉각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물공급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돗물인 원수를 필터부에 의해 필터링한 직수일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링되어 정수탱크(30)에 저장된 정수일 수 있다.
상기 가열수단(110)은 상기 물공급원에 연결된 유로(210)를 통하여 유입된 물을 고온으로 순간 가열할 수 있다. 이때,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필터부(20)에 의해서 필터링된 정수이나, 상기 정수에는 미생물이 여전히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210)를 통해 공급된 정수가 상기 가열수단(110)을 통과하면서 순간 가열되어 세균 등의 미생물이 살균될 수 있다.
상기 가열수단(110)은 가열히터(1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가열히터(173)는 상기 물공급원에서 공급된 물을 살균이 가능한 온도인 60℃ 내지 110℃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다만, 60℃정도에서 물을 가열하면 물 속에 번식하고 있는 세균이 제대로 살균되지 않을 수 있고, 110℃정도로 물을 가열하면 상기 출수유로(120) 내의 수증기의 압력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상기 가열히터는 상기 물공급원에서 공급된 물을 80℃ 내지 100℃의 온도 즉, 적절한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는 온도에서부터 대기압에서 물이 끓는 온도인 100℃범위 내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가열히터(173)의 가열온도는 상기 온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살균 가능한 온도이면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냉각수단(130)은 상기 가열수단(110)과 출수유로(120)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가열수단(110)에 의해 가열된 물을 열교환에 의해 냉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각수단(130)은 상기 가열수단(110)과 마찬가지로, 상기 출수유로(120)에 유입된 물을 순간 냉각할 수 있고, 상기 냉각수단(130)의 온도를 조절하여 가열된 물을 원하는 온도로 식혀 미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미온수는 상기 배출부(150)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 배출 장치(100)는 하나의 출수유로(120)를 통과하는 물을 순간 가열함으로써 살균하고, 상기 냉각수단(130)을 이용하여 순간 냉각하여 미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멸균을 위하여 물을 끓인 후에 식히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물을 식히는 동안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물 배출 장치(100)는 살균된 물을 적절할 온도로 섭취하기를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특히 유아를 둔 가정에서 분유를 타기 적절한 온도인 40℃~70℃의 온도의 멸균된 미온수를 간편하게 생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물 배출 장치(100)에서 상기 가열수단(110)을 통하여 가열된 물을 냉각하지 않고 배출하면 별도의 온수탱크 및 이에 장착된 히터를 구비하지 않고 온수를 배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냉각수단(130)은 상기 가열수단(110)에 의해 가열된 물을 열교환에 의해 냉각하도록 상기 출수유로(120)에 구비되는 열교환부(1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출수유로(120)를 통과하는 냉각하는 열교환부(131)에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도 1,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부(131)는 상기 출수유로(120)의 외측에 배치되는 냉각관(133)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냉각관(133)을 순환하는 원수와 열교환되어 냉각될 수 있다.
즉, 정수기용 원수(예를 들어 수도물)가 유입되는 유로(210)가 아닌 별도의 유로(220)를 통하여 원수를 유입하고, 유량조절밸브(132)를 통하여 유량을 조절하면서 상기 유로(220)에 연결된 상기 냉각수단(130)의 냉각관(133)에 원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상기 원수는 상기 출수유로(120)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냉각관(133)을 흐르면서 상기 출수유로(120)를 통과하는 물을 열교환에 의해 냉각시키게 된다. 이 후, 상기 출수유로(120)를 통과하는 가열된 물을 냉각한 원수는 냉각관(133)에 연결된 유로(221)를 통하여 유출되어 생활용수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각관(13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수유로(1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감아 내려오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냉각관(133)을 흐르는 원수와 상기 출수유로(120)를 흐르는 물 사이의 열교환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일례와 같이, 상기 출수유로(120)를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넓고 얇은 판으로 형성하고, 상기 냉각관(133)을 상기 출수유로(120)의 전단 또는 후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하여 신속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출수유로(120) 및 상기 냉각관(133)의 형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출수유로(120)를 통과하는 물을 상기 냉각관(133)을 흐르는 원수와의 열교환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상기 냉각관(133)의 일실시예는 후술하는 열교환방식인 냉수탱크의 냉수, 빙출열식 냉각조에서 냉각된 냉수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부(131)의 다른 실시예로, 도 2 및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수유로(120)를 통과하는 물은 상기 냉수탱크(40)에서 공급되어 상기 냉각관(133)을 순환하는 냉수와 열교환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물 배출 장치(100)가 정수기에 사용되는 경우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수식 정수기에 적용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탱크(30) 및 냉수탱크(40)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적용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냉수탱크(40)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상기 출수유로(120)를 통과하는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냉수탱크(40)에 저장된 냉수는 유로(222)를 매개로 상기 냉각관(133)에 유입되고, 상기 원수와 마찬가지로 상기 출수유로(120)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냉각관(133)을 순환하면서 상기 출수유로(120)를 통과하는 물을 열교환에 의해 냉각하게 된다. 이 후, 상기 출수유로(120)를 통과하는 물을 냉각시킨 냉수는 상기 냉각관(133)에 연결된 유로(223)를 통하여 상기 정수탱크로 유입된다.
이때, 사용자가 냉수를 추출하고자 하면, 밸브(213a)를 작동시켜 상기 냉수탱크(20)와 상기 출수유로(120)를 연결하는 유로(213)를 통하여 냉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배출부(150)를 통하여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냉수탱크(40)의 냉수를 이용하여 냉각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원수를 이용하여 냉각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냉각효율이 더 좋으므로, 상기 냉각관을 소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부(131)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수유로(120)를 통과하는 물을 증발기(134)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교환시켜 냉각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134)를 이용한 냉각방식은 일반적인 냉동시스템을 이용한 열교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즉, 냉매 가스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축기(135)와, 상기 압축기(135)에서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136)와, 상기 응축기(136)에서 응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액상 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밸브(137)와, 상기 팽창밸브(137)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면서 냉매의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상기 출수유로(120)를 통과하는 물을 열교환에 의하여 냉각시키는 증발기(134)를 포함하는 냉동시스템이 이용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134)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냉각관(133)의 일실시예와 같이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134)를 순환하는 냉매와 상기 출수유로(120)를 통과하는 물을 열교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증발기(134)를 이용하여 상기 출수유로(120)를 통과하는 물을 냉각시키면, 별도의 냉각시스템을 구비하여 상기 증발기(134)를 순환하는 저온의 냉매를 이용하게 되므로, 상기 원수나 냉수탱크의 냉수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단시간에 물을 냉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131)는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출수유로(120)를 통과하는 물을 빙축열식 냉각조에서 냉각된 냉수와 열교환시켜 냉각할 수 있다.
즉, 상기 빙축열식 냉각조(미도시)는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냉각된 얼음 및/또는 낮은 온도의 유체를 수용하며, 냉각조 내부의 냉수배관(미도시)을 통하여 유입된 물을 빙축열식 냉각조에 수용된 얼음 및/또는 낮은 온도의 유체 사이의 열교환을 통하여 냉수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냉수는, 상기 원수 또는 냉수탱크의 냉수를 이용한 냉각방식과 마찬가지로, 상기 냉각관(133)으로 유입되어 상기 출수유로(120)를 통과하는 물을 열교환에 의해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냉각장치는, 도 3에 도시된 통상의 냉각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압축기(135), 응축기(136), 증발기(134), 팽창밸브(137)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131)는 또 다른 실시예로, 열전소자를 이용한 열교환에 의해서 상기 출수유로(120)를 통과하는 물을 냉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수유로(120)에는 상기 열전소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흡열판이 부착되고, 상기 열전소자에는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발산하도록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을 통한 열의 발산 즉, 냉각을 촉진시키기 위한 냉각팬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전소자는 펠티에 효과를 응용한 것으로, 펠티에 효과란 두 종류의 금속을 접속하여 전류가 흐를 때 두 금속의 접합부에서 열의 발생 또는 흡수가 일어나는 열전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열전소자는 전류가 흐르면 작동하여 상기 출수유로(120)를 통과하는 물을 냉각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물 배출 장치(100)는 상기 가열수단(110)에 의해 가열된 물을 이용하여 컵(C)을 살균하는 살균모듈(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컵(C)은 물이나 음료 따위를 따라 마실 수 있는 용기이면 한정 없이 적용가능, 예를 들어 젖병, 물컵, 물통 등일 수 있다.
상기 살균모듈(170)은, 상기 가열수단(110)에 의해 가열된 물이 유입되는 가열접시(171)와, 상기 가열접시(171)에 연계되며 상기 가열접시(171)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가열히터(173)와, 상기 가열접시(171) 상부에 컵을 받치도록 구비되며, 가열접시(171)로부터 스팀이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받침부재(1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가열수단(110)에 의해 공급된 물을 가열한 후, 밸브(231)를 작동시켜 상기 살균모듈(170)과 연결된 유로(230)를 개방하여 상기 가열된 물을 상기 가열접시(171)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접시(171) 하부에 구비된 가열히터(173)는 상기 가열접시(171)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열접시(171) 상부에는 컵을 받치도록 받침부재(175)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받침부재(175)는 상기 가열접시(171)로부터 스팀이 공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상기 받침부재(175)는 스테인리스 망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컵에 스팀이 공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모듈(170)은 살균된 컵을 건조시키는 팬(17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물 배출 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컵은 상기 받침부재(175)에 놓여져 상기 가열수단(110)에 의해 가열된 물과 이를 가열하는 상기 가열히터(173)에 의해 발생된 스팀에 의해 살균되므로, 스팀발생을 위한 가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간단하고 신속하게 컵을 살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살균모듈(170)은, 특히 젖병이나 컵을 자주 살균해야 하는 영유아를 키우는 가정에서 빠르고 간편하게 젖병 등을 소독할 수 있어 유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출수유로(120)는 상기 배출부(150)를 폐쇄하여 상기 가열수단(110)에 의해 가열된 물로 채워짐으로써 살균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유로(210)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상기 가열수단(110)을 통하여 가열한 후, 상기 출수유로(120) 이외에 유로(230,240)에 장착된 밸브(231,241)의 작동을 중단하고 상기 배출부(150)를 폐쇄하여, 가열된 물로 상기 출수유로(120)를 채움으로써 살균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출수유로(120)를 살균한 물은, 밸브(241)를 작동시켜 상기 출수유로(120)에서 분기된 유로(240)를 통하여 생활용수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열수단(110)에 의해 멸균된 물을 살균된 상기 출수유로(120)를 통하여 배출함으로써 더욱 위생적인 물을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물 배출장치를 이용하면, 하나의 출수유로를 통과하는 물을 순간 가열하여 살균하고, 상기 냉각수단을 이용하여 순간 냉각하여 멸균된 미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멸균을 위하여 끓인 물을 식히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끓인 후 바로 식혀서 배출하므로 물을 식히는 동안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물로 상기 출수유로를 살균하고, 컵 살균모듈에 의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컵이나 젖병 등을 살균할 수 있으므로 멸균된 미온수를 보다 위생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예를 들어, 유아를 둔 가정에서 분유를 타기 위하여 물을 끓이는 과정과 끓인 물을 적절한 미온으로 식히는 과정과 젖병을 살균하는 과정을 하나의 제품으로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 물 배출 장치 110 : 가열수단
120 : 출수유로 130 : 냉각수단
131 : 열교환부 132 : 유량조절밸브
133 : 냉각관 134 : 증발기
150 : 배출부 170 : 살균모듈
171 : 가열접시 173 : 가열히터
175 : 받침부재 177 : 팬

Claims (12)

  1.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가열수단과 출수유로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물을 열교환에 의해 냉각하는 냉각수단;
    상기 냉각수단에 의해 냉각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부;
    를 포함하는 물 배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가열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열히터는 상기 물공급원에서 공급된 물을 60℃ 내지 110℃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배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가열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열히터는 상기 물공급원에서 공급된 물을 80℃ 내지 100℃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배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물을 열교환에 의해 냉각하도록 상기 출수유로에 구비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배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출수유로의 외측에 배치되는 냉각관을 구비하며,
    상기 출수유로를 통과하는 물은 상기 냉각관을 순환하는 원수 또는 냉수탱크에서 공급된 냉수와 열교환되어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배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출수유로를 통과하는 물을 증발기를 순환하는 냉매 또는 빙축열식 냉각조에서 냉각된 냉수와 열교환시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배출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열교환에 의해서 상기 출수유로를 통과하는 물을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배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물을 이용하여 컵을 살균하는 살균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배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물이 유입되는 가열접시;
    상기 가열접시에 연계되며 상기 가열접시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가열히터; 및,
    상기 가열접시 상부에 컵을 받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열접시로부터 스팀이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받침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배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가열접시에서 공급되는 스팀을 배출할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배출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은 살균된 컵을 건조시키는 팬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배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유로는, 상기 배출부를 폐쇄하여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물로 채워짐으로써 살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배출 장치.
KR1020110031814A 2011-04-06 2011-04-06 물 배출 장치 KR201201140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814A KR20120114064A (ko) 2011-04-06 2011-04-06 물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814A KR20120114064A (ko) 2011-04-06 2011-04-06 물 배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064A true KR20120114064A (ko) 2012-10-16

Family

ID=47283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814A KR20120114064A (ko) 2011-04-06 2011-04-06 물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40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377B1 (ko) * 2015-09-18 2017-01-17 (주)구츠 무인자동운전이 가능한 탱크리스 순간 열교환방식의 음용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기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377B1 (ko) * 2015-09-18 2017-01-17 (주)구츠 무인자동운전이 가능한 탱크리스 순간 열교환방식의 음용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기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8150333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с заданной температурой употребления из стерилизованной воды
KR101884736B1 (ko)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
WO2007135608A3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sterilized water and an instant product
KR20180045757A (ko)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
JP2007232225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US201701563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ying liquid
JP2015010738A (ja) 凍結乾燥システムおよび凍結乾燥方法
JP2014531013A5 (ko)
JP2015147593A (ja) 個別に動作可能な2系統の熱殺菌経路を備えた給水機
KR100743141B1 (ko) 냉,온수기
JP2009082085A (ja) 牛乳の急速冷却システム
KR20120114064A (ko) 물 배출 장치
KR101585470B1 (ko) 냉온정수기
JP3153851U (ja) 飲料水供給装置
KR101164517B1 (ko) 축열식 물끓임기의 순간냉각방식을 이용한 순환살균 냉각시스템
KR200452878Y1 (ko) 단체급수용 식수대
TWI656309B (zh) Multi-temperature water dispenser and ice water device thereof and water-making and heat-dissipating method
KR100645126B1 (ko) 유아용 다기능 보관고
KR20060105077A (ko) 콤팩트형 위생안전 냉온수기
KR101012229B1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냉각장치
JP2012110866A (ja) 温泉水殺菌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温泉水供給システム、並びに、温泉水殺菌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温泉水供給方法
KR200449784Y1 (ko) 가열 냉각식 음수대
CN105962782A (zh) 一种饮水系统的蒸汽消毒方法及实现该方法的饮水系统
WO2015104534A1 (en) Instant drinks chiller
TWM542121U (zh) 多溫飲水機及其冰水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