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757A -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5757A
KR20180045757A KR1020160144725A KR20160144725A KR20180045757A KR 20180045757 A KR20180045757 A KR 20180045757A KR 1020160144725 A KR1020160144725 A KR 1020160144725A KR 20160144725 A KR20160144725 A KR 20160144725A KR 20180045757 A KR20180045757 A KR 20180045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cold
main body
dir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우
Original Assignee
(주) 케어스워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케어스워터 filed Critical (주) 케어스워터
Publication of KR20180045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50Constructional features of escutcheons for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더 싱크(UNDER SINK)형 먹는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수형 필터부, 직수형 직냉/직온 모듈을 구비한 본체가, 싱크대의 하부 수납공간과 같은 설치 장소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고, 정수, 냉수 및/또는 온수를 토출하는 토출수단이 개수대와 같은 설치 장소의 상부 공간에 설치되어, 소형화를 통해 설치 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정수, 냉수 및 온수의 사용이 편리한,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UNDER SINK TYPE WATER DISPENSER}
본 발명은 언더 싱크(UNDER SINK)형 먹는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수형 필터부, 직수형 직냉/직온 모듈을 구비한 본체가, 싱크대의 하부 수납공간과 같은 설치 장소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고, 정수, 냉수 및 온수를 토출하는 토출수단이 개수대와 같은 설치 장소의 상부 공간에 설치되어, 소형화를 통해 설치 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정수, 냉수 및 온수의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직온 모듈을 이용한 고온의 살균수로 모든 배관을 살균할 수 있는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일반 상수도의 물을 다단의 필터로 통과시켜 음용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정수된 음용수가 냉수탱크 및 온수 탱크로 자동으로 유입되게 하여, 각 탱크에 저장된 물을 가열 또는 냉각시켜 대기 상태로 있게 하며, 사용자가 냉수 배출구 또는 온수 배출구를 조작하면 대기 상태에 있던 냉수 또는 온수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정수기는 모델에 따라 냉온수를 모두 제공하거나, 온수 기능이 없이 냉수만을 제공하는 형태로 판매되고 있다.
상기한 구조의 일반적인 정수기(스탠드 타입)는, 냉수 또는 온수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데 반하여, 냉온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냉수 냉각 및/또는 온수 가열이 계속 이루어져 전기 에너지의 소모가 크고, 냉온수의 공급 용량이 각 탱크 용량에 제한을 받는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음용수를 냉수/온수 탱크 등에 별도로 저장하지 않고, 정수기 사용 시 음용수가 바로 정수되면서 배출되는 형태의 직수형 정수기(하프 타입)에 관한 수요가 늘고 있다.
이러한 직수형 정수기는 냉온수 저장을 위한 별도의 탱크를 사용하지 않아 정수기의 소형화에 유리하고, 정수된 깨끗한 물이 바로 배출되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은 장점이 있는데, 이러한 직수형 정수기에 냉온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음용수를 순간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이러한 직수형 정수기는 냉온수 기능이 아예 없는 저가의 특별한 모델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냉수 기능이 기본적으로 구현된 상태에서, 모델에 따라 온수 기능이 추가되어 있는 형태로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일반 정수기, 냉온수기, 얼음 정수기 등으로 대별되는 먹는물 공급장치는, 주로 주방의 싱크대나 식탁 위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먹는물의 정수 및 저장 방식 등에 상관없이, 모든 종류의 먹는물 공급장치는, 본체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상당한 부피를 차지하기 때문에, 이를 싱크대나 식탁 위에 설치하는 경우, 공간 활용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즉, 스탠드 타입의 일방 정수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형화에 유리한 하프 타입의 직수형 정수기도, 각종 필터 및 냉온수 형성을 위한 모듈의 구성 등으로 인해, 소형화에 한계가 있어, 주방의 공간을 상당히 많이 차지할 수밖에 없다.
이에 상기와 같은 먹는물 공급장치의 단점을 해소하고자, 최근에는 싱크대 하부의 수납공간에 각종 필터를 설치하고, 일방 상수도를 필터에 연결한 상태에서, 싱크대 상부에 필터와 연결된 노즐(파우셋)을 설치하여, 정수된 물이 노즐을 통해 수도꼭지와 같은 형태로 바로 토출되는 방식의 언더 싱크(UNDER SINK)형 정수기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언더 싱크형 정수기는, 싱크대 하부의 수납공간을 활용함에 따라 주방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일반 파우셋 및 이와 별도로 연결된 조리수용 파우셋의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언더 싱크형 정수기는, 일반 상수도와 파우셋 사이의 배관에 필터를 직렬 방식으로 단순 연결한 형태여서 냉수 및 온수의 사용이 불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언더 싱크형 정수기와 별도로 냉온 정수기를 추가로 설치하거나, 또는 정수된 조리수의 제공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언더 싱크형 구조와 같이, 싱크대나 식탁 등 설치 공간 상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면서도, 별도의 냉온 정수기 설치 없이 정수, 냉수 및/또는 온수의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설치 장소의 하부 공간에 정수용 필터부, 직수형 직냉/직온 모듈을 구비한 본체를 내장, 설치하고,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정수 및 냉수 및/또는 온수가 토출되는 토출수단을 설치 장소의 상부 공간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위생적인 관리를 위하여, 직온 모듈을 이용해 고온의 살균수를 생성하고, 이 살균수가 모든 배관을 순환하면서 살균이 이루어지는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수, 냉수, 온수의 선택, 출수량 조절 및 냉수, 온수의 온도 설정 등 각종 기능 조작이 쉽고 편리하도록, 토출수단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조작 패널, 또는 본체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토출수단에 탈착 가능한 분리형 조작 패널을 포함하는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정수, 냉수, 온수 등을 컵이나 냄비 등의 용기에 담을 때 사용자가 용기를 계속 들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토출수단에 용기 받침용 받침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받침부를 필요에 따라 접거나 다른 방향으로 돌려서 노즐부의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상기 받침부가 접이식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회전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는,
설치 장소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직수형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와 연결된 입수배관 상에 냉수용 직냉 모듈과, 온수용 직온 모듈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 및
설치 장소의 상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의 출수배관과 연결되어 정수, 냉수, 온수를 토출하는 노즐부를 구비한 토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는,
상기 토출수단과 연결된 출수배관,
상기 필터부와 상기 출수배관을 연결하는 제1 입수배관,
상기 필터부와 상기 출수배관을 연결하고 상기 직냉 모듈을 구비한 제2 입수배관,
상기 필터부와 상기 출수배관을 연결하고 상기 직온 모듈을 구비한 제3 입수배관,
상기 제3 입수배관과, 상기 제1, 제2 입수배관 사이에, 살균수가 순환하도록 연결된 분기관 및
상기 제3 입수배관의 출수측과, 상기 분기관의 입수측에 각각 구비된 순환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직온 모듈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가 모든 배관을 순환하면서 살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에서,
상기 토출수단은, 기능 선택을 위한 조작 패널이, 상기 노즐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에서,
상기 토출수단은, 기능 선택을 위한 조작 패널이, 또는 상기 노즐부에 탈착 가능한 분리형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에서,
상기 토출수단은, 접이식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회전식으로 연결된 용기 받침용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는, 종래의 언더 싱크형 정수기와 같이, 직수형 필터부를 구비한 본체가 싱크대나 식탁 등 설치 장소의 하부 공간에 내장, 설치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임과 동시에, 직수형 냉온수기에 사용되는 직냉 및/또는 직온 모듈이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이러한 본체와 연결된 토출수단이 설치 장소의 상부 공간에 설치됨으로써,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함과 아울러, 별도의 냉온 정수기 설치 없이, 정수, 냉수 및/또는 온수를 모두 사용할 수 있어, 정수된 물을 필요에 맞게 음용수, 조리수 등으로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는, 직온 모듈을 통해 고온의 살균수를 생성하고, 이 살균수를 모든 배관에 순환시켜 살균이 이루어져 보다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 조작 패널을 도입하여, 정수, 냉수, 온수의 선택, 출수량 조절 및 냉수, 온수의 온도 설정 등 각종 기능 조작이 쉽고 편리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는, 토출수단에 구비된 받침부를 이용해, 컵이나 물병, 냄비 등의 용기를 받친 상태로, 정수, 냉수 및/또는 온수를 받을 수 있어 매우 편리하며, 특히, 상기 받침부를 접이식 또는 회전식으로 연결하여, 필요에 따라 받침부를 접거나 다른 방향으로 돌려서 사용할 수 있어, 받침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 노즐부의 사용에 불편함이 없고, 다양한 종류 및/또는 크기의 용기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파우셋을 도시한 사시도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의 설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배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노즐부재를 도시한 사시도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0)가 설치 장소의 하부 공간에 내장(또는 매립) 설치되고, 파우셋(20) 또는 노즐부재(25) 등으로 이루어진 토출수단이 설치 장소의 상부 공간에 외장(또는 노출) 설치되는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면에서는 대표적으로 주방의 싱크대에 설치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식탁, 급수대 등 다양한 설치 장소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의 제1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싱크대 하부의 수납공간과 같은 설치 장소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는 본체(10), 싱크대 상부에 구비된 개수대와 같은 설치 장소의 상부 공간에 설치되는 파우셋(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일반 상수도 배관에 연결되어, 정수되지 않은 원수를 정수로 정화하는 것으로, 싱크대 하부 수납 공간과 같은 설치 장소의 하부 공간에 노출되지 않는 형태로 설치되며,
직수형 필터부(11)와, 상기 필터부(11)와 연결된 입수배관 상에 구비된 냉수용 직냉 모듈(12) 및 온수용 직온 모듈(13)을 포함한다.
상기 직수형 필터부(11)는, 일측 배관이 일반 상수도와 연결되고, 타측 배관이 상기 냉수용 직냉 모듈(12) 및/또는 온수용 직온 모듈(13)과 연결되어 구성되며,
이러한 직수형 필터부(11)는 각종 여과수단이 마련된 복수개의 필터를 직렬 방식으로 연결하여, 파우셋(20)을 통해 먹는물이 배출될 때, 상용수가 필터들을 거치면서 정화가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직수형 필터부(11)의 구체 구성은, 공지된 다양한 여과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다만 개별 필터 및/또는 하나의 직수형 필터부(11)를 구성하는 필터모듈을 본체(10)의 하우징에서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직냉 모듈 및 직온 모듈은 공지된 직수형 정수기에 사용되는 직수형 냉각 및 직수형 가열 방식이다.
즉, 일반 스탠드 타입 정수기와 같이, 정수된 물을 냉수/온수 탱크에 개별 저장한 상태에서, 각 탱크를 냉각 및 가열하여 냉/온수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하프 타입 정수기(직수형 정수기)와 같이, 노즐부(22)를 통해 물이 출수될 때, 정수가 본체(10)의 배관을 통과하면서 순간적인 냉각 또는 가열이 이루어져, 냉/온수를 제공하는 형태이다.
대표적으로 이러한 공지된 직냉 모듈 및 직온 모듈은, 냉매 순환용 배관이, 정수용 배관 외측에 코일 형태로 권취되어, 정수가 냉매 순환용 배관 사이를 통과하면서, 냉매 순환용 배관을 순환하는 냉매와 열교환이 이루어져 냉/온수를 생성하는 방식이 있다.
이렇게 직수형 직냉/직온 모듈을 도입하면, 싱크대 하부 공간에 설치되는 본체(10)의 크기를 더욱 소형화하는데 유리하다.
이하에서는, 필터부(11)와 직냉/직온 모듈(12)(13)간의 배관 연결 구조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공급부(14)와 연결된 필터부(11)는, 정수 및 냉/온수 공급을 위한 제1 내지 제3 입수배관(15)(16)(17)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1 내지 제3 입수배관(15)(16)(17)은 출수배관(18)을 통해 토출수단(파우셋(20))에 모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입수배관(15)에는 별도의 모듈 없이 상온의 정수가 출수배관(18)으로 흐르고,
제2 입수배관(16)에는 직냉 모듈(12)이 구비되어,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된 냉수가 출수배관(18)으로 흐르고,
제3 입수배관(17)에는 직온 모듈(13)이 구비되어,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온수가 출수배관(18)으로 흘러,
파우셋(20)을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각 배관(15)(16)(17)에는, 필터부(11)와의 사이(즉, 입수측)에 정수의 공급을 on/off 하는 공급밸브(솔레노이드밸브)(15a)(16a)(17a)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출수배관(18)은, 일측 출수부가 파우셋(20)에 연결되고, 타측 배수부가 드레인에 연결되며, 출수부와 배수부 사이에 상기 제1 내지 제3 입수배관(15)(16)(17)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출수배관(18)의 배수부에는, 드레인과의 사이에 잔수의 배출을 on/off 하는 배수밸브(솔레노이드밸브)(18a)가 구비된다.
이러한 배수밸브(18a)는, 상시 개방이 유지되어, 배관의 잔수가 배출되도록 하며, 출수에 사용하거나 살균 시에만 배수밸브(18a)가 잠기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3 입수배관(17)과, 상기 제1, 제2 입수배관(15)(16) 사이에는, 살균수 순환을 위한 분기관(19)이 연결되어 있으며, 제3 입수배관(17)의 출수측과, 분기관(19)의 입수측에 각각 순환밸브(솔레노이드밸브)(17b)(19a)가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관 연결 구조는, 고온의 온수(살균수)를 이용한 모든 배관의 살균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살균은, 조작 패널(23)로 온수(고온) 살균을 작동하거나, 주기별로 온수 살균이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
먼저 조작 패널(23)로 순환 살균을 실시하면, 밸브(15a)(16a)(18a)들이 잠기고, 제1 순환밸브(17b)가 열린 상태에서, 제3 입수배관(17)의 공급밸브(17a)만이 개방되면서 직온 모듈(13)이 작동한다.
이때 살균 모드에서의 직온 모듈(13)은 일반 온수보다 더 높은(살균 가능한) 온도로 정수를 가열한다.
이렇게 제3 입수배관(17)을 통과하면서 가열된 고온의 살균수는, 일부가 출수배관(18) 및 토출수단을 따라 흐르면서 살균이 이루어지고, 다른 일부는 분기관(19)을 거쳐 제1, 제2 입수배관(15)(16)으로 흐르며, 이와 동시에 제1, 제2 입수배관(15)(16)의 공급밸브(15a)(16a)들이 개방(이 경우 삼방밸브 등을 활용하여 분기관(19)과 제1, 제2 입수배관(15)(16) 사이만이 개방되고, 제1, 제2 입수배관(15)(16)과 필터부(11) 사이는 잠긴 상태가 유지됨.)되어, 살균수가 제1, 제2 입수배관(15)(16)을 거쳐 출수배관(18)으로 흐르면서 살균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모든 배관을 순환한 살균수는, 파우셋 (20)을 통해 출수 또는 배수밸브(18a)의 개방에 의해 배수된다.
또한 사용자가 조작 패널(23)로 정수 또는 냉/온수의 출수를 작동하면, 배수밸브(18a)가 잠긴 상태에서, 해당 배관의 공급밸브가 개방되면서 출수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해당 물의 출수가 완료되면, 해당 공급밸브가 잠기면서, 별도의 조작 없이, 배수밸브(18a)가 자동으로 다시 개방되어, 각 배관(15)(16)(17) 및 출수배관(18)에 남은 잔수가 드레인을 통해 자동으로 배출되며, 이러한 배수밸브(18a)의 개방은 출수와 살균수 순환 시를 제외하고 상시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수 및 냉/온수 사용 후, 배관에 잔수가 남지 않게 됨에 따라, 다음 출수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어, 사용자에게 필요한 물을 바로 받아서 사용할 수 있다.
즉, 각 공급밸브(15a)(16a)(17a)와 배수밸브(18a) 사이의 배관들에 잔수가 남게 되면, 잔수가 상온으로 유지됨에 따라, 다음 출수 시 잔수가 먼저 배출되는데, 이때 냉/온수를 사용하는 경우 상온의 잔수로 인해 냉/온수가 적정 온도로 출수되지 않아, 최초 출수되는 물을 일정량 따라서 버려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바, 사용 후 잔수의 자동 배출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잔수의 배출은 사용 후 자동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사용 전에 자동으로 잔수의 배출이 선행 된 후 해당 물이 토출수단으로 토출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우셋(20)은, 싱크대 상부에 구비된 개수대와 같은, 설치 장소의 상부 공간에 노출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직냉/직온 모듈과 배관으로 연결된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21)에 연결되어 정수 및 냉/온수를 토출하는 노즐부(22)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21)는, 상기 본체(10)와 연결된 배관이 내장되어, 파우셋(20)을 개수대의 일측 상면에 고정하면서, 본체(10) 직냉/직온 모듈과, 노즐부(22) 사이를 배관 연결한다.
상기 노즐부(22)는, 상기 몸체부(21)에 연결되어 정수 및 냉/온수를 토출하는 일종의 수도꼭지 내지 코크와 같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노즐부(22)의 토출공이 싱크볼(개수대) 상부에 형성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입설되는 몸체부(21)에 대하여 일측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연결된다.
이러한 노즐부(22) 또는 몸체부(21)는, 출수 on/off 제어를 위한 별도의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기능 선택을 위한 조작 패널(23)이, 노즐부(22)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비되어 조작 패널(23)로 각 공급밸브의 개폐를 제어하여, 밸브의 기능을 대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즐부(22)는, 입설된 몸체부(21)에 대하여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의 [A]에는, 노즐부(22)가 몸체부(21)의 상부에서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이 노즐부(22)의 상면에 조작 패널(23)이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의 [B]에는, 노즐부(22)가 꼭지부(22a)와 조작부(22b)로 이루어져 몸체부(21)의 상부에 꼭지부(22a)와 조작부(22b)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꼭지부(22a)가, 조작부(22b)와 몸체부(21) 사이에서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조작부(22b)의 전면에 조작 패널(23)이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조작 패널(23)은,
정수, 냉/온수 선택을 위한 기능 선택 기능,
정수, 냉/온수 출수를 위한 밸브 기능,
정량 출수 또는 연속 출수 선택 등의 출수량 조절 기능,
수압 조절 기능,
냉/온수 온도 설정 기능,
살균 선택 기능(배관에 살균수단이 구비된 모델의 경우) 등
정수 및 냉/온수 사용을 위한 각종 기능을 선택 및 조작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조작 패널(23)은, 버튼식으로도 구현 가능하나, 방수성 및 사용의 편리성 확보를 위해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되어, 기능 선택과 해당 기능의 디스플레이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 패널(23)을 이용해, 냉/온수의 온도를 설정하고,
정수를 선택 후 출수하면, 필터부(11)를 통과한 정수가 제1 배관(15)을 거쳐, 냉각 또는 가열 없이 몸체부(21)와 노즐부(22)를 지나 바로 토출되고,
냉/온수를 선택 후 출수하면, 직냉/직온 모듈이 작동하여, 필터부(11)를 통과한 정수가 제2, 제3 입수배관(16)(17)의 직냉/직온 모듈을 지나면서 순간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된 상태로 몸체부(21)와 노즐부(22)를 지나 토출되며,
이때 출수량이나 수압 등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언더 싱크형 정수기와 같이 본체(10)를 수납 설치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이면서도, 직냉 및 직온 모듈, 특히 순간적인 냉각 및 가열이 가능한 직수형 직냉 및 직수형 직온 모듈을 사용함에 따라 일반 정수뿐만 아니라, 냉/온수를 모두 사용하면서,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의 소형화에 보다 유리하고, 일체형 또는 분리형 조작 패널(23)을 통해 파우셋(20)의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직온 모듈로 생성된 고온의 살균수를 이용해 배관의 살균이 이루어진다.
한편 물병이나 냄비와 같이 용량이 큰 용기에 물을 받기 편하도록, 본 발명의 파우셋(20)은, 상기 몸체부(21)에 연결된 용기 받침용 받침부(2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24)는, 상기 노즐부(22)보다 하측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구비되어, 사용자가 용기를 직접 잡지 않은 상태에서도, 정수 및 냉/온수를 받아서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조리수용 파우셋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24)는, 상기 몸체부(21)에 접이식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회전식으로 연결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 받침부(24)를 접을 수 있고, 또는 용기의 크기 등에 따라 받침부(24)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받침부(24)에, 접이식과 회전식을 동시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노즐부(22)의 회전과 함께 받침부(24)를 회전시켜 사용이 보다 편리해지며, 미사용 시 받침부(24)를 접어 싱크대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 및 냉/온수 사용을 위한 하나의 파우셋(20)이 본체(10)와 연결되어 개수대에 설치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별도의 조리수용 파우셋 등을 포함한 일반 상수도용 수도꼭지(30)를 본체(10)와 추가 연결 가능하며, 이때 본체(10)와 연결된 수도꼭지(30)는, 본체(10)의 필터부(11)와 직결되어 정수만이 토출되는 형태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의 본체(1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파우셋(20)을 대신해 노즐부재(25)가 사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2 실시예의 노즐부재(25)는, 노즐부로써, 본체(10)의 출수배관(18)과 하나의 관체로 연결된 관체형 노즐(26)이 구비되는 것으로, 노즐(26)의 하단에 용기 받침용 받침부(27)가 구비되고, 노즐(26) 상단에 분리형 조작 패널(23A)이 탈착 가능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노즐(26)은, 받침부(27)에 대하여 좌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받침부(27)에는 물받이용 그릴부(27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리형 조작 패널(23A)은, 상기 일체형 조작 패널(23)과 동일 기능을 갖는 것으로, 다만, 일체형 조작 패널(23)이 본체(10)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에 반하여, 분리형 조작 패널(23A)은 본체(10)와 유선 또는 무선(블루투스 등)으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분리형 조작 패널(23A)을 관체형 노즐(26)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본체(10)의 작동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원격 조작하여 정수 및 냉/온수의 출수, 살균 등을 실시할 수 있다.
나아가, 파우셋(20) 또는 노즐부재(25)로 구성된 토출수단은, 도면과 다른 종류 내지 모양으로 변형 가능하며, 상기 조작 패널(23)을 구비한 형태이면 구체적인 종류 내지 모양에 제한이 없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1 : 필터부
12 : 직냉 모듈 13 : 직온 모듈
15, 16, 17 : 입수배관 15a, 16a, 17a : 공급밸브
18 : 출수배관 18a : 배수밸브
19 : 분기관 19a, 17b : 순환밸브
20 : 파우셋 21 : 몸체부
22 : 노즐부 22a : 꼭지부
22b : 조작부 23, 23A : 조작 패널
24, 27 : 받침부 25 : 노즐부재
26 : 노즐 27a : 그릴부
30 : 수도꼭지

Claims (4)

  1. 설치 장소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직수형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와 연결된 입수배관 상에 냉수용 직냉 모듈과, 온수용 직온 모듈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 및

    설치 장소의 상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의 출수배관과 연결되어 정수, 냉수, 온수를 토출하는 노즐부를 구비한 토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는,
    상기 토출수단과 연결된 출수배관,
    상기 필터부와 상기 출수배관을 연결하는 제1 입수배관,
    상기 필터부와 상기 출수배관을 연결하고 상기 직냉 모듈을 구비한 제2 입수배관,
    상기 필터부와 상기 출수배관을 연결하고 상기 직온 모듈을 구비한 제3 입수배관,
    상기 제3 입수배관과, 상기 제1, 제2 입수배관 사이에, 살균수가 순환하도록 연결된 분기관 및
    상기 제3 입수배관의 출수측과, 상기 분기관의 입수측에 각각 구비된 순환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직온 모듈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가 모든 배관을 순환하면서 살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수단은, 기능 선택을 위한 조작 패널이, 상기 노즐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수단은, 기능 선택을 위한 조작 패널이, 또는 상기 노즐부에 탈착 가능한 분리형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수단은, 접이식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회전식으로 연결된 용기 받침용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
KR1020160144725A 2016-10-25 2016-11-01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 KR201800457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128 2016-10-25
KR20160139128 2016-10-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757A true KR20180045757A (ko) 2018-05-04

Family

ID=6219934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722A KR20180045756A (ko) 2016-10-25 2016-11-01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
KR1020160144726A KR20180045758A (ko) 2016-10-25 2016-11-01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
KR1020160144725A KR20180045757A (ko) 2016-10-25 2016-11-01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
KR1020160144721A KR20180045755A (ko) 2016-10-25 2016-11-01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722A KR20180045756A (ko) 2016-10-25 2016-11-01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
KR1020160144726A KR20180045758A (ko) 2016-10-25 2016-11-01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721A KR20180045755A (ko) 2016-10-25 2016-11-01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1800457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047A1 (en) * 2022-01-26 2023-08-03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1777B (zh) * 2018-06-13 2020-12-29 浙江美约风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橱柜
KR102283533B1 (ko) * 2019-02-22 2021-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191049B1 (ko) 2019-02-22 2020-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267887B1 (ko) 2019-02-22 2021-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194595B1 (ko) 2019-02-22 2020-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447111B1 (ko) * 2020-11-17 2022-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047A1 (en) * 2022-01-26 2023-08-03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756A (ko) 2018-05-04
KR20180045758A (ko) 2018-05-04
KR20180045754A (ko) 2018-05-04
KR20180045755A (ko)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4736B1 (ko)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
KR20180045757A (ko)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
ES2947169T3 (es) Sistema de suministro de líquido
AU2018347169B2 (en) Refrigerator
EP3695756B1 (en) Refrigerator
WO2019072228A1 (zh) 冰箱
CN107917573B (zh) 冰箱
KR20220055532A (ko) 정수기
CN201243948Y (zh) 速热式多功能饮水装置
KR20160142445A (ko)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얼음 정수기
US10758080B2 (en) Refrigerator appliance and extraction fluid assembly
CN109665641A (zh) 一种净水饮水机
KR100622574B1 (ko) 가열냉각식 음수대 및 그 사용방법
CN209136232U (zh) 一种多功能直饮机
KR20140131615A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17922B1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 취수 및 정수통의 살균장치
KR100787911B1 (ko) 직수를 음용수로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711467B1 (ko)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
CN205083274U (zh) 智能泡奶净饮机
KR101012229B1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냉각장치
KR200399773Y1 (ko) 벽걸이형 이온 냉온정수기
JP6279205B2 (ja) 浄水器
KR200449784Y1 (ko) 가열 냉각식 음수대
CN206350677U (zh) 净饮机
CN206350678U (zh) 净饮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