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3451A - 토르말린 볼을 이용한 수족관 물 자동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토르말린 볼을 이용한 수족관 물 자동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3451A
KR20120113451A KR1020110031166A KR20110031166A KR20120113451A KR 20120113451 A KR20120113451 A KR 20120113451A KR 1020110031166 A KR1020110031166 A KR 1020110031166A KR 20110031166 A KR20110031166 A KR 20110031166A KR 20120113451 A KR20120113451 A KR 20120113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quarium
tourmaline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철
Original Assignee
이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철 filed Critical 이병철
Priority to KR1020110031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3451A/ko
Publication of KR20120113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4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족관용 물 자동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속에서 정화작용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수중모터부, 상기 수중모터부에 연결되어 여과작용을 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의 여과통 내부에 저장되어 오염된 물을 정화하는 토르말린 볼을 포함하며, 여과부에 유입된 오염된 물을 토르말린 볼로 정화하여 배출하는 과정을 순환반복하는 과정에서 수족관에 담수된 물이 자동적으로 신속하게 정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수족관의 물을 자주 갈아준다거나 오염된 수족관을 청소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오염된 물을 배출함으로써 발생하는 수질환경오염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토르말린 볼을 이용한 수족관 물 자동 정화장치{omitted}
본 발명은 토르말린 볼을 이용한 수족관 물 자동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족관은 담수된 물에 수중 생물을 수용하는 용기를 말하며 관상용이나 실내습도조절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족관은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기 때문에 수중생물이 서식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비물이나 먹이 등으로 인하여 오염되기 때문에 여과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여과재로는 대부분의 경우 스폰지를 삽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스폰지는 여과기의 물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부유물만 분리하고, 오염된 물을 정화할 수는 없으므로 수족관에 담수된 물은 오염되고 녹조류가 발생하면서 시간이 경과할수록 오염이 가속되게 된다.
상기의 스폰지 외에 모래, 무기질 입자들과 같은 것들은 합섬섬유와 같은 망에 넣거나 바닥에 쌓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 물과 접촉하는 시간이 많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수없이 많은 장소에 설치되는 수족관은 오염된 물을 수시로 청소하고 새로 갈아주어야 하는데, 일손도 부족하고 처리비용도 과다하게 소요되며, 관련업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오염된 물을 처리하는 것을 꺼려하고 귀찮아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수족관과 같은 밀폐된 공간의 오염된 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토르말린 광석을 이용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토르말린 광석은 전기석으로 명명되고 있으며, 광석의 결정은 플러스 전극은 우주에서 유입되는 음이온을 흡착하고 마이너스 전극으로 계속 배출하는 특성이 있다고 한다.
마이너스 전극에 모여진 전자는 토르말린 광석의 결정이 물에 접촉하면 순간적으로 수중에 방전된다. 이로 인하여 주위의 물은 가벼운 전기분해를 일으켜 물분자는 수소이온과 수산이온으로 분리한다. 이때 플러스 이온(양이온)은 토르말린 광석의 토르말린 광석의 마이너스 전극에 끌려 거기서 방전되는 전자와 결합하여 중화되고 수소원자가 되어 수소가스로서 공기 중에 방출된다. 이것은 알칼리화 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토르말린 광석이 발생하는 전기는 미약전기로서 물을 약 알칼리화하고 계속적으로 PH 7.5에 가까워지게 한다.
한편, 음이온은 주위의 물 분자와 결합되어 hydroxyl ion이라고 하는 계면활성 물질로 변화되고 이 hydroxyl ion이 단분자막을 만들어 계면활성 효과가 발생한다.
상기의 특성을 가진 토르말린은 잘게 부서지는 성질이 있어 사용하기 불편하다. 본 발명은 토르말린 광석 그 자체가 아닌 토르말린 볼이 여과재로 사용하고자 한다. 토르말린을 분말로 하여 옥, 게르마늄, 제올라이트, 백운석 등의 다양한 광물들의 분말과 혼합하여 성형한 토르말린 볼을 현재 사용되고 있는 스폰지 대신에 여과재로 사용함으로서, 스폰지의 여과기능은 물론 수족관에 담수된 물이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물 자동 정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토르말린은 미약전류의 발생, 물의 활성화 음이온 발생, 미네랄 용출, 원적외선 방출, 계면활성 효과의 다양한 특성이 있으며, 토르말린 볼도 토르말린의 특성을 가지게 된다. 토르말린 볼은 고온에서 소성하여 볼 형태로 만든 것으로 내파괴강도가 크고, 잘 부서지지 않으므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토르말린 볼은 여과재로서 물과 접촉하면서 미약전류를 발생시켜 물의 클러스터를 분해함으로서 담수된 물을 부드러운 물로 변화시키고, 음이온을 발생시켜 약알칼리성으로 변화시키고, 담수된 물속의 노폐물을 분해시킨다.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생물의 생존과 생체활동을 촉진시킨다. 물을 전기분해할 때 발생시키는 hydroxyl ion이 계면활성 작용을 하여 산화된 물질을 중화시키고, 항균, 제균, 탈취효과가 있어 악취의 발생도 억제한다.
이러한 성질들은 수족관 내에서 여러 가지 작용을 하게 되는데, 마찰에 의해 전기가 형성되며, 가열에 의해 양 끝이 플러스(+)와 마이너스(-)로 대전되며 음이온을 많이 방출한다. 또한, 토르말린은 복사체로서 원적외선 방사량이 뛰어나며, 이러한 원적외선의 열작용은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없애는 살균 및 제균작용을 하며, 모세혈관을 확장하여 혈액순환과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준다. 토르말린은 수분과 접촉하면 더 빨리 효과를 발휘하는데, 수족관에서 물과 접촉하면서 서식하는 물고기의 성장을 촉진하고, 물고기가 배출하는 노폐물의 제거와 살균, 녹조 발생을 억제하기도 한다.
토르말린 볼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 물 자동 정화장치는 수족관에 담수된 물속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물 자동 정화장치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여과부와 다른 일측면에 설치되는 수중모터부로 구성된다. 상기 여과부는 여과통과 물유입구와 토르말린 볼로 구성되며, 여과통은 외벽에 수족관의 오염된 물을 유입하는 다수 개의 물유입구가 있고, 내부에는 토르말린 볼로 충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중모터부는 전원을 연결하는 코드와 여과부의 유입구에서 유입되어 토르말린으로 정화된 물을 받아 내보내는 배출구와 외부의 산소를 수족관의 물에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 자동 정화장치는 수족관 내에서 오염된 물을 수중모터의 힘에 의해 여과부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한 후 여과부에 충족된 토르말린 볼과 강제로 접촉하게 하여 정화시키고 배출구로 내보내는 과정에서 외부의 깨끗한 공기를 유입하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을 지속적으로 순환반복하는 과정에서 수족관의 물은 자동으로 깨끗하게 정화되는 것이다.
토르말린 볼을 이용한 수족관용 물 자동 정화장치는 먼저 물을 정화하는 효과가 크고, 수족관 내 동식물의 성장활동을 촉진하는 기능이 있으므로 수족관의 동식물의 성장활동에 매우 효과가 있다. 고온에서 소성한 토르말린 볼은 입자의 노출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물에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 여과통 내에서 물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오염된 물과 접촉을 많이 하여 물이 빨리 정화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수족관뿐만 아니라 물을 저장하는 형태의 물탱크, 활어조, 수영장, 목욕탕, 정수장, 연못과 같은 다양한 장소에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물 자동 정화장치 개략도.
도 2는 토르말린 볼을 통과하는 물의 흐름 개략도.
도 3은 수족관에 물 자동 정화장치를 설치한 수족관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물 자동 정화장치에 대하여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물 자동 정화장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물 자동 정화장치(1)는 수중모터부(10)와 여과부(20)로 구성된다.
수중모터부(10)는 배출구(11)와 공기유입구(12)와 수중모터(13)와 전원코드(14)로 구성된다.
배출구(11)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여과부에서 정화된 물을 수족관에 배출하는 작용을 하며, 일측에 공기유입구(12)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유입구(12)는 배출구(11)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으며 수면 위의 공기를 흡입하여 수족관 내부의 물에 유입하는 작용을 한다.
수중모터(13)는 전원코드(14)에 의해 힘을 받아 담수된 물을 여과부에 흡입하여 배출구로 배출하는 순환작용을 지원한다.
여과부(20)는 오염된 물을 유입하는 여과통(21), 물유입구(22)와 오염된 물을 정화하는 토르말린 볼(23)로 구성되고, 수중모터부와 연결되며, 수족관 내부의 오염된 물을 유입하여 정화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은 물 자동 정화장치는 스폰지를 사용하지 않고 수중모터의 힘을 이용하여 수족관 내의 오염된 물이 강제적으로 토르말린 볼(23)에 지속적으로 접하게 함으로써 수족관 내에서 오염된 물을 자동으로 정화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여과통(21)은 물유입구(22)를 관통하는 오염물질이 여과통 내부에 충진된 토르말린 볼(23)에 접촉하게 한 후 수중모터의 배출구로 배출되게 한다. 또한, 여과통(21) 내부에 충진된 토르말린 볼(23)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물유입구(22)는 여과통(21)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여과통(21) 외부의 오염된 물을 유입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토르말린 볼을 이용한 수족관 물 정화장치는 수족관이 유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흡착판(30)을 이용하여 벽에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걸이를 이용하여 물속에 매달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토르말린 볼 용기 안의 토르말린 볼의 표면에 고형수초와 같은 고형오염물이 퇴적되는 경우에는 가볍게 흔들어 세척함으로써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다양한 소재를 혼합하여 고온에서 소성한 토르말린 볼(23)은 스폰지를 사용하여 수족관의 물을 오염시키는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청소하는 기간을 길게 하고, 오염된 물을 정화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방법은 수많은 수족관의 물을 오염시키고, 오염된 물을 청소하면서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향후 물부족 사태를 대비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술이다.
참고로 위 설명과 도면에서 본 발명의 수족관의 물 자동 정화장치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수족관은 관상용 수족관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물을 저장하는 용기나 장소라면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수족관의 물 정화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물 저장 용기와 물탱크와 같은 먹는 물 정화 분야야 적용된다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물 자동정화장치 2 : 수족관
10: 수중모터부 11: 배출구
12: 공기유입구 13: 수중모터
14: 전기코드 20: 여과부
21: 여과통 22: 물유입구
23: 토르말린 볼 30: 흡착판

Claims (2)

  1. 수족관의 오염수가 유입되고 배출되도록 하는 물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 정화장치의 수중모터부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코드와,
    상기 물 정화장치의 여과부로 물을 유입하고 배출하는 작용을 하는 수중모터와,
    상기 수중모터부에 결합되어 정화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결합되어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구와,
    상기 수중모터부에 결합되어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의 측면에 담수된 오염수를 유입하는 물 유입구와,
    상기 여과부의 여과통 내부에 저장되어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토르말린 볼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수중모터에 의해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배출되는 과정에서 유입된 오염수가 토르말린과 순환반복하여 접촉하면서 담수된 물을 정화하는 토르말린을 이용한 수족관용 물 자동 정화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토르말린 볼을 여과통 내부에 충진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물 자동 정화장치.
KR1020110031166A 2011-04-05 2011-04-05 토르말린 볼을 이용한 수족관 물 자동 정화장치 KR201201134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166A KR20120113451A (ko) 2011-04-05 2011-04-05 토르말린 볼을 이용한 수족관 물 자동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166A KR20120113451A (ko) 2011-04-05 2011-04-05 토르말린 볼을 이용한 수족관 물 자동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451A true KR20120113451A (ko) 2012-10-15

Family

ID=47283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166A KR20120113451A (ko) 2011-04-05 2011-04-05 토르말린 볼을 이용한 수족관 물 자동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34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45342B (zh) 一种游泳池水处理系统
JPS588812B2 (ja) 魚類飼育水槽用水の浄化方法
JPH10156349A (ja) 空気及び水の殺菌・脱臭・浄化方法並びにその装置
JP2009214041A (ja) 浄化装置及び浄化槽
JP2001161212A (ja) 養殖システム
JP4686363B2 (ja) 銀担持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75454B1 (ko)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
KR101642663B1 (ko) 양식장용 위생 사육수조 시스템
KR20120133763A (ko) 수족관 물 자동 정화장치
KR20120113451A (ko) 토르말린 볼을 이용한 수족관 물 자동 정화장치
KR20120035087A (ko) 제어형 수족관 살균 여과기
KR20120138265A (ko) 활어수조의 살균처리장치
KR101323258B1 (ko) 플라즈마 살균방법
JP2010036082A (ja) 複合循環抗菌浴槽システム、複合循環抗菌給湯システム、複合循環抗菌クーリングタワーシステム、複合循環抗菌プールシステム、複合循環抗菌上下水道システム及び複合循環抗菌農業漁業水産業用水システム
JP2011110471A (ja) 光触媒を用いた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システム
CN204400756U (zh) 紫外线杀菌过滤器
KR102494415B1 (ko) 수질 개선 장치
KR200431050Y1 (ko) 수족관용 폐수 정화장치
JP2000296391A (ja) 水中紫外線殺菌装置
CN108925485B (zh) 一种增氧杀菌消毒免换水型生态鱼缸
JP2002045847A (ja) 藻類発生抑制方法及び装置
JPWO2005044741A1 (ja) 魚類を利用した水処理方法及び装置
KR100801493B1 (ko) 수족관용 폐수 정화장치
KR100463103B1 (ko) 항균기능을 강화한 정수 겸용 자활수 시스템
JP3167226U (ja) 水改質用バブ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