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454B1 -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454B1
KR100875454B1 KR1020070068321A KR20070068321A KR100875454B1 KR 100875454 B1 KR100875454 B1 KR 100875454B1 KR 1020070068321 A KR1020070068321 A KR 1020070068321A KR 20070068321 A KR20070068321 A KR 20070068321A KR 100875454 B1 KR100875454 B1 KR 100875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aquarium
filter medium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호
최정민
Original Assignee
(주)웹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웹토스 filed Critical (주)웹토스
Priority to KR1020070068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54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7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ir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08Means for controlling the separation proce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내의 오염물질을 포함한 외부공기를 수족관 내부로 흡입하여 UV램프를 구비한 크로스 팬 또는 쿨링팬에 의해 공기 정화하며, 물수납부의 물을 수족관의 용수정화장치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분해, 제거, 살균하여 정화된 물과 살균된 공기를 배출하여 수족관 내부에 깨끗한 물과 공기를 분사하며 수족관 내부의 용수를 정화하며 실내 환경을 쾌적하고 청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공기 정화 기능과 수질 정화 기능을 갖는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수족관, 공기청정기, 공기정화, 살균, UV램프, 쿨링팬, 광촉매, 여과재, 크로스 팬

Description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Specie device equiped to aquariu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의 조명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의 일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의 쿨링팬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 다른 실시예의 송풍팬을 장착한 수족관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의 공기 정화 장치 다른 실시예의 수족관 일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부 12:물수납부
14:모터 20:조명부
22:중간바 23:투명체
24:램프바 30:용수정화부
32:물유입공간부 34:분리판
40:쿨링팬 42:공기유입공간부
44:UV램프 46:공기배출공간부
50:회전체 60:여과재
70:유출구 80:송풍팬
100:정화장치
본 발명은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오염물질을 포함한 외부공기를 수족관 내부로 흡입하여 수족관의 공기 정화 장치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분해, 제거, 살균하여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여 수족관 내부에 깨끗한 공기를 분사하며 실내 환경을 쾌적하고 청정하게 유지시켜 주며, 수족관 내부에 수납된 용수를 용수정화장치에 의해 용수를 정화하여 용수를 순환시키는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족관은 열대어, 금붕어 등 각종 물고기를 관상용으로 기르는 수족관으로 수조와 수조 내의 물과, 수조 내부를 장식하는 모래, 수초 등의 장식품들과, 수조 내의 물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수족관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물과 접촉하여 오염성분이 물로 이동하게 되고, 물이 계속 정체되어 있어 세균이나 오염물질로 탁해지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미생물, 세균 등의 서식에 노출될 경우 물의 오염원으로 되어 관상 어의 서식 환경을 크게 저해하는 문제를 수반하고 있다. 최근 벽면 등에 부착하여 설치할 수 있는 폭이 좁은 이른바 벽걸이형 수족관이 보급되고 있으나, 벽걸이형 수족관 내에 설치할 수 있는 적합한 정화장치가 개발되지 못하여 수족관의 정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일반적인 공기청정기는 송풍장치의 구동에 의하여 실내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면서 필터에 의하여 오염물질을 여과시키거나 흡착시켜 제거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기청정기의 흡착식 필터가 오염물질에 의하여 폐색되면 효율이 저하되고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청정기를 분해하여 필터를 자주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으며, 특히, 오염물질이 오염되어 있는 필터를 장기간 방치할 경우 오염물질에 곰팡이나 세균 등이 서식하여 악취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공기의 오염원으로 작용되고, 심한 경우 발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내의 오염물질을 포함한 외부공기를 수족관 내부로 흡입하여 UV램프(A+TiO₂=프리즈마(살균,탈취))를 구비한 크로팬에 의해 공기 정화하며, 물수납부의 물을 수족관의 용수정화장치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분해, 제거, 살균하여 정화된 물과 살균된 공기를 배출하여 수족관 내부에 깨끗한 물과 공기를 분사하며 수족관 내부의 용수를 정화하며 실내 환경을 쾌적하고 청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공기 정화 기능과 수질 정화 기능 및 자연적으로 실내의 기온을 낮추는 자연 에어컨 기능을 갖는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정화 장치는, 내부에 수중 생물과 물을 수납하기 위해 내부공간이 마련된 물수납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 일측에 위치하여 중간바에서 램프바가 단계적으로 인출되어 물수납부에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어 용수를 정화하는 용수정화부와,
상기 용수정화부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본체부 내의 상부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된 공기를 물수납부의 물 표면에 분사하는 것으로 내부 중심축에 UV램프를 고정 설치한 쿨링팬과,
상기 물수납부에 담겨진 물이 용수정화부에 마련된 물유입공간부로 물이 유입되면서 물의 낙하하는 흐름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표면에 먼지, 부유세균을 흡착시키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의해 하단으로 낙하하는 물에 포함된 유해성 박테리아와 미생 물을 분해하는 것으로 회전체 하단에 다수개로 저장된 여과재와,
상기 여과재 사이를 물이 통과하면서 분해되어 정화된 물을 물수납부의 하단으로 흘려보내는 유출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를 제공하므로 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100)는 수족관 내에 적합한 공기 정화하면서, 수족관 내부에 담겨진 물을 정화하여 용수와 공기를 순환 시키는 것이다.
상기 수족관은 열대어, 금붕어 등 각종 물고기를 관상용으로 기르는 수족관으로 수조와 수조 내의 물과, 수조 내부를 장식하는 모래, 수초 등의 장식품들과, 수조 내의 물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기를 기본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수족관의 본체부(10) 내부에 수중 생물과 물을 수납하기 위한 물수납부(12)가 내부공간에 마련된다.
아울러,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의 조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본체부(10)의 상단 일측에 조명부(20)가 위치하여 단계적으로 인출되어 물수납부(12)에 빛을 발산한다.
상기 조명부(20)는 본체부(10)의 외부 상단 일측에 움직임을 가지는 축에 고정되게 위치하여 내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인출되는 램프를 구비한 막대형으로 제작되어 본체부(10)의 내부 공간을 조명하는 것으로 상기 조명부(20)는 상하, 좌우에 의해 자유로운 움직을 가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명부(20)의 조명 램프는 LED. CCFL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명부(20)는 본체부(10)의 내부 공간을 조명하면서, 조명부(20)의 일측 부분이 회전 가능하여 본체부(10)의 외부를 조명하여 실내 조명등(20)으로 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즉, 상기 조명부(20)는 본체부(10)의 상단에서 돌출되는 수직 기둥이 고정되고, 상기 수직 기둥에 수평한 막대 형상의 조명바(20)가 힌지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평하게 고정된다.
상기 조명바(20)는 중간바(22)에서 램프바(24)가 단계적으로 일측 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으로 조명바(20)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바(22)의 상단부에는 투명 체(23)로 형성되며, 중간바(22)의 일측으로 인출된 램프바(24)가 하단 방향으로 회동되어 중간바(22) 내부로 삽입되어 램프는 상단을 향해 중간바(22)의 투명체(23)를 통해 본체부(10)의 외부 상단 실내를 조명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의 물수납부(12) 일측에 물을 정화하는 용수정화부(30)가 마련된다.
이같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의 일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용수정화부(30)는 본체부(10)의 내부에 물을 정화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것으로 물수납부(12)의 물 표면과 수평한 위치에 회전체(50)가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0)의 물수납부(12)와 용수정화부(30) 사이에 분리판(34)이 형성되어 양측 공간을 분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리판(34)의 상단부에는 물이 유입될 수 있는 물유입공간부(32)가 형성된다.
상기 물유입공간부(32)는 물수납부(12)에 담긴 물이 물유입공간부(32)를 지나 용수정화부(30)에 장착된 회전체(50)로 유입되는 것이다.
즉, 상기 회전체(50)는 물수납부(12)의 물 표면과 수평한 위치에 장착되어 물이 용수정화부(30) 측으로 유입되고, 상기 물이 회전체(50)의 원형표면에 낙하되어 물레방아 식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체(50)는 회전할 수 있도록 내부 중심에 축이 형성되고, 상기 축이 용수정화부(30) 양 측벽에 고정되어 물의 흐름에 회전체(50)가 회전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체(50)는 본체부(10)의 일측에 모터(14)를 장착하여 물의 흐름과 상관없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모터(14)를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회전체(50)의 표면에 먼지, 부유세균 등이 흡착되어 물을 1차적으로 정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50)의 하단에는 바이오 볼 형태의 여과재(60)가 용수정화부(30) 내부에 다수개로 담아져 상기 회전체(50)에 의해 하단으로 흐르는 물을 정화하는 여과재(60)가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여과재(60)는 바이오 볼(호기성 박테리아 서식) 형태의 여과재(60)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물 정화기능이 있는 볼 형태의 여과재(60)는 화산재 또는 황토바이오 볼 여과재 등의 여과재(60)를 대체하여 사용 가능하다.
즉, 상기 여과재(60)인 바이오 볼에 서식하는 호기성 박테리아의 종류로는 rhodopseudomana 박테리아와 rhodospinllium 박테리아 두 종류를 여과재(60)의 표면 또는 내부에 인위적으로 점착시켜 상기 두 종류의 박테리아에 의해 물에 포함된 단백질을 분해하는 것이다.
상기 여과재(60)는 용수정화부(30) 내부에 다수개로 쌓아 놓은 형태로 담아져 물이 여과재(60) 사이로 흐르면서 물을 여과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여과재(60)는 물에 포함된 먼지와 단백질 등을 분해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여과재(60) 사이로 물이 통과하면서 분해되어 정화된 물을 물수납부(12)의 하단으로 흘려보내는 유출구(70)가 마련된다.
즉, 상기 물수납부(12)에 담긴 물은 용수정화부(30)의 물유입공간부(32)로 유입되고, 다시 용수정화부(30)의 유출구(70)에 의해 물이 계속적으로 공급되어 물의 표면은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게 되며, 수족관 내부의 물은 자동으로 순환이 이루어져 물을 정화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물수납부(12)에 담긴 물은 용수정화부(30)의 정화에 의해 수족관 내부의 물을 깨끗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용수정화부(30)의 상단부 천장측에 UV램프(44)를 구비한 쿨링팬(40)이 장착되어 공기를 흡입하여 다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아울러,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의 쿨링팬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쿨링팬(40)의 내부에 위치한 UV램프(44)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분해, 살균, 항균 및 탈취되어 제거한다.
이러한, 상기 쿨링팬(40)은 본체부(10) 내의 상부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된 공기를 물수납부(12)의 물 표면에 분사하게 되어 수족관 내의 물에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쿨링팬은(40) 수족관 내부에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면서 수족관이 설치된 실내의 공기도 정화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이, 상기 쿨링팬(40)의 UV램프(44)에서 방사는 되는 자외선은 본체부(10)의 용수정화부(30) 측으로 흐르는 물에 직접 조사되기도 하여 수족관 내의 유기물질뿐 아니라 대기중에 있는 각종 유해 물질까지도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하단의 여과재(60)의 볼 까지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생태계는 파괴되지 않게 된다.
상기 쿨링팬(40)은 일측에 구비된 모터(14)에 의해 외부 팬이 회전하는 것이며, 상기 쿨링팬(40)의 일측부에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공간부(42)와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공간부(46)가 형성되어 있으며, 쿨링팬(40)의 내부 중심축에는 자와선 발광을 하는 살균정화의 UV램프(44)가 장착된다.
즉, 상기 쿨링팬(40)의 일측부에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공간부(42)가 형성되고, 내부 중심축에 설치되어 자외선 발광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살균정화하는 UV램프(44)가 위치하며, 상기 UV램프(44)에 살균 정화된 공기를 쿨링팬(40)의 회전에 의해 하단으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공간부(46)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수족관에 설치된 정화장치는 쿨링팬(40)에 의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된 공기를 물수납부(12)의 물 표면에 분사하면서 실내로 정화된 공기를 방출하고, 상기 물수납부(12)의 물이 수위 오버로 본체부(10) 내부 일측에 형성된 용수정화부(30) 측의 물유입공간부(32)로 흘러들어가게 되며, 물은 회전체(50)에 낙하되어 회전체(50)를 물레방아 식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체(50)에 의해 다시 물은 하단으로 낙하되어 여과재(60)의 사이를 아래로 통과하게 되어 물에 포함된 먼지, 상단의 UV램프(44)에 의해 죽은 박테리아, 미생물을 분해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여과재(60)에 의해 정화된 물은 다시 용수정화부(30)의 하단에 형성된 유출구(70)를 통해 물수납부(12) 내부로 유출된다.
이같이, 정화장치(100)의 순환으로 수족관은 쿨링팬(40)에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며, 용수정화부(30)에 의해 정환된 물이 순환된다.
그리고,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 다른 실시예의 송풍팬을 장착한 수족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의 공기 정화 장치 다른 실시예의 수족관 일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수족관의 정화장치(100)에 형성된 쿨링팬(40)의 다른 실시예로 본체부(1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용수정화부(30)의 천장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80)이 장착되어 상기 송풍팬(80)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물수납부(12)와 회전체(50)에 공기를 분사하게 된다.
상기 송풍팬(80)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회전체(50)에 분사되어 공기는 공기의 흐름으로 다시 내부로 순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정화장치(100)를 구비한 수족관으로 유입되는 실내 및 대기 중의 오염된 외부 공기를 정화함으로써 수족관 내부의 수질 및 공기정화는 물론 공기 정화장치를 구비한 수족관이 설치되는 실내의 공기도 정화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정화장치(100)에 의해 정화되는 공기는 본체부(10)의 쿨링팬(40)의 회전으로 이동하면서 정화된 공기의 온도가 기체(수증기)로 변화면서 주위의 열을 빼앗아 냉각되고, 상기 냉각된 공기는 물수납부(12)의 수면과 접촉하여 수온을 하강시키며, 실내 온도를 떨어뜨려 자연적인 에어컨 역활을 한다.
아울러, 상기 정화장치(100)의 쿨링팬(40)은 공기의 온도를 냉각시킴과 공기 정화시키는 기능으로 상기 정화장치(100)는 수족관에 설치될 수 있으며, 공기 정화 기능이 쓰이는 자동차 실내, 사무공간, 의료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며 공기 정화장치의 길이와 크기를 조정하여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화 기능을 갖는 수족관은 관상용 수족관 내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영업용 등의 양어 양식용 수족관에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그 일 예로서 각각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등록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 져야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수족관의 공기 정화 장치는 실내의 오염물질을 포함한 외부 공기를 수족관 내부로 흡입하여 수족관의 공기 정화 장치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분해, 제거, 살균하여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여 공기정화, 집진 및 냄새 흡수 성능으로 실내 환경을 쾌적하고 청정하게 유지시켜 주며, 수족관 내의 수질 정화 기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 청정 기능과 동시에 가습 효과가 있어 흡연실, 극장, 백화점, 사무실, 은행, 지하철 역사 등 주거 실내공간, 의료실내공간 등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9)

  1. 수족관을 이용한 공기 정화기에 있어서,
    내부에 수중 생물과 물을 수납하기 위해 내부공간이 마련된 물수납부(12)가 형성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상단 일측에 위치하여 중간바(22)에서 램프바(24)가 단계적으로 인출되어 물수납부(12)에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20)와,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어 용수를 정화하는 용수정화부(30)와,
    상기 용수정화부(30)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본체부(10) 내의 상부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된 공기를 물수납부(12)의 물 표면에 분사하는 것으로 내부 중심축에 UV램프(44)를 고정 설치한 쿨링팬(40)과,
    상기 물수납부(12)에 담겨진 물이 용수정화부(30)에 마련된 물유입공간부(32)로 물이 유입되면서 물의 낙하하는 흐름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표면에 먼지, 부유세균을 흡착시키는 회전체(50)와,
    상기 회전체(50)에 의해 하단으로 낙하하는 물에 포함된 미생물을 분해하는 것으로 회전체(50) 하단에 다수개로 저장된 여과재(60)와,
    상기 여과재(60) 사이를 물이 통과하면서 분해되어 정화된 물을 물수납부(12)의 하단으로 흘려보내는 유출구(7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20)는 본체부(10)의 상단에서 돌출되는 수직 기둥(21)이 고정되고, 상기 수직 기둥(21)에 수평한 막대 형상의 조명바(20)가 힌지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평하게 고정된 상기 조명바(20)는 중간바(22)에서 램프바(24)가 단계적으로 일측 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으로 조명바(20)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바(22)의 상단부에는 투명체(23)로 형성되며, 중간바(22)의 일측으로 인출된 램프바(24)가 하단 방향으로 회동되어 중간바(22) 내부로 삽입되는 램프는 상단을 향해 중간바(22)의 투명체(23)를 통해 본체부(10)의 외부 상단 실내를 조명하게 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팬(40)은 모터(14)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며, 상기 쿨링팬(40)의 일측면에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공간부(42)와,
    상기 쿨링팬(40)의 내부 중심축에 설치되어 자외선 발광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살균정화하는 UV램프(44)와,
    상기 UV램프(44)에 살균 정화된 공기를 쿨링팬(40)의 회전에 의해 하단으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공간부(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팬(40)에 의해 정화되는 공기는 본체부(1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공기의 온도를 냉각하며, 냉각된 공기는 물수납부(12)의 수면과 접촉하여 수온을 하강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50)는 물수납부(12)의 물 표면과 수평한 위치에 장착되어 물이 물유입공간부(32)를 통해 용수정화부(30) 측으로 유입되고, 상기 물이 회전체(50)의 원형표면에 낙하되어 물레방아 식으로 회전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60)는 바이오 볼 형태로 호기성 박테리아를 인위적으로 점착시켜 여과재(60) 사이를 흐르게 되는 물의 단백질을 분해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60)는 구슬 형태의 여과재(60)가 용수정화부(30)의 내부공간에 다수개로 저장된 것으로 회전체(50)의 의해 하단으로 낙하된 물이 다수개로 쌓여있는 여과재(60) 사이를 흐르면서 먼지, 유해성 박테리아, 미생물을 분해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용수정화부(30)의 천장에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80)이 장착되어 상기 송풍팬(80)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물수납부(12)와 회전체(50)에 공기를 분사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80)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회전체(50)에 분사되어 여과재(60)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다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
KR1020070068321A 2007-07-06 2007-07-06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 KR100875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321A KR100875454B1 (ko) 2007-07-06 2007-07-06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321A KR100875454B1 (ko) 2007-07-06 2007-07-06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5454B1 true KR100875454B1 (ko) 2008-12-22

Family

ID=40373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321A KR100875454B1 (ko) 2007-07-06 2007-07-06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54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035B1 (ko) 2009-11-23 2012-04-02 이재식 세척이 용이한 수족관 내장형 정수장치
KR20160052849A (ko) * 2014-10-29 2016-05-13 (주)삼호무역 수중 모터 구동식 에어 워셔를 구비한 어항
KR101876378B1 (ko) * 2016-07-12 2018-07-09 주식회사 퓨리 공기 유입량 조절 기능을 갖는 사이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CN112772539A (zh) * 2021-01-20 2021-05-11 闫庆丰 一种密封型不锈钢鱼池过滤器
KR20220140956A (ko) * 2021-04-12 2022-10-19 문명호 살균램프가 내장된 크로스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3591A (en) 1990-06-11 1998-12-29 Aquaria, Inc. Rotating biological aquarium filter system
JPH11197420A (ja) 1998-01-14 1999-07-27 Aiwa Co Ltd 濾過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3591A (en) 1990-06-11 1998-12-29 Aquaria, Inc. Rotating biological aquarium filter system
JPH11197420A (ja) 1998-01-14 1999-07-27 Aiwa Co Ltd 濾過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035B1 (ko) 2009-11-23 2012-04-02 이재식 세척이 용이한 수족관 내장형 정수장치
KR20160052849A (ko) * 2014-10-29 2016-05-13 (주)삼호무역 수중 모터 구동식 에어 워셔를 구비한 어항
KR101658844B1 (ko) * 2014-10-29 2016-09-23 (주)삼호무역 수중 모터 구동식 에어 워셔를 구비한 어항
KR101876378B1 (ko) * 2016-07-12 2018-07-09 주식회사 퓨리 공기 유입량 조절 기능을 갖는 사이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CN112772539A (zh) * 2021-01-20 2021-05-11 闫庆丰 一种密封型不锈钢鱼池过滤器
KR20220140956A (ko) * 2021-04-12 2022-10-19 문명호 살균램프가 내장된 크로스팬
KR102504500B1 (ko) * 2021-04-12 2023-02-28 경진부로아 주식회사 살균램프가 내장된 크로스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2708B2 (en) Air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875454B1 (ko) 수족관에 구비된 정화장치
KR20110037271A (ko) 공기 살균기
KR100868751B1 (ko) 공기 정화 장치를 구비한 수족관
KR20170125523A (ko) 공기 살균정화 장치
KR101944759B1 (ko) 세정식 공기 정화장치
KR102263083B1 (ko) 공기 정화 및 소독장치
JP2009090040A (ja) 空気清浄装置
KR100995005B1 (ko) 음수공급장치
KR20110096258A (ko) 공기 청정기
KR20080085964A (ko) 엘리베이터용 공기청정기
KR20110086403A (ko) 공기정화 장치를 구비한 조명기구
CN101469895A (zh) 简易多功能室内空气净化器
KR200443340Y1 (ko) 이중 팬과 이중 케이스를 구비한 공기살균기
KR102179050B1 (ko) 플라즈마 혼합 기체 기포발생 보조수조를 구비한 수족관
KR20050022499A (ko) 공기청정수단을 구비한 수족관
KR200355965Y1 (ko) 공기정화 및 가습기능이 겸비된 장식용 수족관
KR20220096596A (ko) 필터 살균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KR200399657Y1 (ko) 공기정화용 오존발생기
KR101266959B1 (ko) 해수정화장치
US20040213696A1 (en) UV disinfection for turbid liquids
KR102292519B1 (ko) 공기청정을 겸비한 강제순환방식의 항살균조명장치
KR100682588B1 (ko) 공기정화용 오존발생기
KR20120006374U (ko) 전기 스탠드
KR102594459B1 (ko) 실내공기 정화 및 살균기능을 갖는 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