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2960A - 배관스케일 제거기 - Google Patents

배관스케일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2960A
KR20120112960A KR1020110030579A KR20110030579A KR20120112960A KR 20120112960 A KR20120112960 A KR 20120112960A KR 1020110030579 A KR1020110030579 A KR 1020110030579A KR 20110030579 A KR20110030579 A KR 20110030579A KR 20120112960 A KR20120112960 A KR 20120112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otating shaft
horizontal rotating
wir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4807B1 (ko
Inventor
이광호
Original Assignee
이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호 filed Critical 이광호
Priority to KR1020110030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807B1/ko
Publication of KR20120112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the cleaning devices having internal motors, e.g. turbines for powering clea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the cleaning devices being rotated while moved, e.g. flexible rotating shaft or "sn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3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회전하는 플랙시블 와이어를 배관 내부로 삽입시켜 가면서 배관 내벽면에 달라붙은 스케일을 타격에 의해 제거하도록 된 배관스케일 제거기에 배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관(P) 내부로 출입하는 와이어 회전기(110);
상기 와이어 회전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고속으로 회전하는 다각단면을 가진 수평회전축(120);
상기 수평회전축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각 관통공(131)을 가지며, 상기 다각 관통공을 통해 수평회전축의 단부로부터 끼워져 장착된 복수의 끼움판(130);
한 쌍의 끼움판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상기 수평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배관의 내벽면을 타격 및 마찰시켜 배관 내벽면에 생성된 스케일(S)을 제거하며, 회전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양단에 연결된 끼움판의 접근정도가 변화되면서 회전반경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랙시블 와이어(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배관스케일 제거기{Apparatus for removing scale in pipe}
본 발명은 고속회전하는 플랙시블 와이어를 배관내부로 삽입시켜가면서 상기 배관내에 생성된 스케일을 타격에 의해 제거하도록 된 배관스케일 제거기에 배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물이나 기타 유체를 소정의 장소로 유도하여 이동시키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주로 건물의 바닥이나 벽체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어 사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배관은 장기간 사용시 내부 벽면이 산화되어 부식됨은 물론 각종 이물질이 내부 벽면에 달라붙어 스케일을 생성시키게 되고, 이러한 스케일은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고체화되어 배관의 유로를 좁게 하는 원인이 된다.
상기와 같이 스케일에 의해 배관의 유로 단면적이 좁아지면 유체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해 설계된 대로의 배관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고, 심한 경우 유체의 이동 압력에 의해 배관이 파손될 우려도 있으므로 배관내에 스케일이 많이 생성되는 경우 이를 즉각 제거하여 배관으로서 정상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주어야 한다.
따라서 배관내의 스케일을 제거하여 주기 위해 상기 배관내부로 화학약품이 첨가된 물을 통과시켜 상기 물에 포함된 화학약품이 스케일과 접촉되면서 화학반응을 일으시면서 상기 스케일이 녹아내리도록 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는 있는 방법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상기 화학약품에 의한 배관스케일 제거방법은 공기분사기와 같은 부수적인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게 되고, 화학약품을 사용하므로 시공과정에서 상당한 주의를 하여야 하며, 스케일 제거과정에서 화학약품에 의한 배관손상이 초래되고, 화학약품이 고가이므로 인해 시공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관스케일의 제거를 위해 사용되는 화학약품이 아무리 인체에 무해하다고 하더라도 물을 사용하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불안감을 가지지 않을 수 없어 특히 일반 가정일수록 스케일의 제거에 극히 부정적이어서 배관내부의 스케일 생성으로 인한 문제는 쉽게 해결되지 않고 있다.
상기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속회전하는 플랙시블 와이어를 배관내부로 삽입시켜가면서 상기 배관내에 생성된 스케일을 타격에 의해 제거하도록 된 배관스케일 제거기가 알려져 있다.
그 일예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국내특허등록 제533508호로 제안된 "배관스케일 제거기"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배관스케일 제거기(10)는 중공축(2)을 가진 모터(1)와, 상기 중공축(2)에 고정된 와이어 하우징(4)과, 상기 와이어 하우징에 수납되어 선단부가 상기 모터의 중공축(2)을 통해 인출되는 플랙시블 와이어(5)와, 상기 중공축(2)을 통해 인출된 플랙시블 와이어를 고정하는 콜렛 척(Collet Chuck)(3)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배관스케일 제거기(10)는 상기 중공축(2)과 콜렛 척(3)을 통해 인출된 플랙시블 와이어(5)를 배관(6) 내부로 진입시킨 상태에서 모터(1)를 구동시키면 중공축(2)에 고정된 와이어 하우징(4)과 콜렛 척(3)이 중공축(2)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콜렛 척(3)에 고정된 플랙시블 와이어(5)가 회전하면, 플랙시블 와이어(5)가 배관(6)의 내벽에 생성된 스케일에 반복적으로 충돌 및 마찰을 일으키게 되고 그 충격 및 마찰에 의해 스케일이 배관(6)의 내벽면에서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플랙시블 와이어(5)를 배관내로 더욱 깊게 진입시키고자 할 때에는 모터(1)를 완전히 정지시킨 다음 콜렛척(3)을 풀어 와이어 하우징(4)내에 수납되어 있는 플랙시블 와이어(5)를 배관(6) 내부로 밀어 넣은 후 다시 콜렛 척(3)을 조이고 모터(1)를 다시 구동시키면 된다.
한편 상기한 배관스케일 제거기는 소구경의 배관에 적합하며, 큰 직경의 배관내의 스케일은 제거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직경의 배관내의 스케일도 제거할 수 있도록 일자형 메인와이어(5)에 S자 형태로 연속된 보조와이어(7)를 고정시켜 고속회전시 원심력에 의한 회전 직경을 증대시킴으로써 큰 직경의 배관에 생성된 스케일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배관스케일 제거기용 플랙시블 와이어"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국내특허등록 제820873호로 제안된 바 있다.
국내특허등록 제533508호(2004.11.03.) 국내특허등록 제820873호(2008.04.11.)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배관스케일 제거기용 플랙시블 와이어"는 보조와이어가 메인와이어에 결속된 구조이므로 보조와이어의 회전반경을 조절하기가 매우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
즉, 구경이 다른 배관의 스케일을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스케일제거기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플랙시블 와이어를 배관으로부터 모두 인출시켜야 하며, 보조와이어와 메인와이어와의 결속을 일일이 해제한 다음 보조와이어의 회전반경을 작업대상이 되는 배관의 내경에 맞추어 변경해 주고 다시 메인와이어에 결속시키는 작업들을 거쳐야 한다. 따라서, 보조와이어의 회전반경을 조절하는 조작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관의 구경에 따라 일일이 회전반경을 조절해 주지 않아도 되는 배관스케일 제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배관 내부로 출입하는 와이어 회전기와, 상기 와이어 회전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고속으로 회전하는 다각단면을 가진 수평회전축과, 상기 수평회전축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각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다각 관통공을 통해 수평회전축의 단부로부터 끼워져 장착된 복수의 끼움판과, 각기 다른 끼움판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상기 수평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배관의 내벽면을 타격 및 마찰시켜 배관 내벽면에 생성된 스케일을 제거하며 회전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양단에 연결된 끼움판의 접근정도가 변화되면서 회전반경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랙시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랙시블 와이어는 인접하는 한 쌍의 끼움판에 양단이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끼움판에는 수평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기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플랙시블 와이어가 복수로 고정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끼움판은 플랙시블 와이어가 고정된 상태로 수평회전축을 중심으로 끼움 방향을 달리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플랙시블 와이어는 각각 그 길이를 달리하여 복수로 구비되고, 각 플랙시블 와이어들은 중앙이 수평회전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면서 동일 수직평면상에 위치하도록 각기 다른 한 쌍의 끼움판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평회전축(120)의 단부에는 상기 끼움판(130)이 수평회전축(120)으로부터 상기 끼움판(130)이 이탈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이탈방지편(150)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움판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도록 상기 수평회전축상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편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배관스케일 제거기에 의하면, 고속으로 회전하는 수평회전축에 끼움판이 장착되고 상기 끼움판에 각기 다른 방향으로 플랙시블 와이어가 고정되어 수평회전축이 회전할 때 플랙시블 와이어가 원심력에 의해 회전반경이 배관의 구경에 맞도록 자동으로 확장되므로, 종래와 같이 배관의 구경에 따라 일일이 플랙시블 와이어의 회전반경을 조절해 주지 않아도 되므로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스케일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관스케일 제거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배관스케일 제거기용 플랙시블 와이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스케일 제거기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Ⅵ-Ⅵ선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플랙시블 와이어와 지지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플랙시블 와이어가 다양한 형태로 끼움판에 고정되고 상기 끼움판이 다양한 형태로 수평회전축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스케일 제거기의 사용상태 평면도로서, 수평회전축이 회전하기 이전의 작업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스케일 제거기의 사용상태 평면도로서, 수평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스케일이 제거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관(P) 내부로 출입하는 와이어 회전기(110)와, 상기 와이어 회전기(11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고속으로 회전하는 다각단면을 가진 수평회전축(120)과, 상기 수평회전축(12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각 관통공(131)을 가지며 상기 다각 관통공(131)을 통해 수평회전축(120)의 단부로부터 끼워져 장착된 복수의 끼움판(130)과, 각기 다른 끼움판(130)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상기 수평회전축(120)과 함께 회전하면서 배관(P)의 내벽면을 타격 및 마찰시켜 배관(P) 내벽면에 생성된 스케일(S)을 제거하며 회전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양단에 연결된 끼움판(130)의 접근정도가 변화되면서 회전반경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랙시블 와이어(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 회전기(110)는 본체 내부에 모터가 장착되어 있으며, 배관(P)의 내부로 진입이 가능하도록 바퀴와 조명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와이어 회전기(110)는 작업자가 직접 밀고 배관(P) 내부로 직접 들어갈 수도 있으나, 작업자의 안전과 작업의 간편성을 고려하여 외부의 원격조작으로 전후진 및 방향전환이 제어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 회전기(110)에 장착된 모터에는 수평회전축(120)이 결합된다. 따라서, 와이어 회전기(110)의 모터가 동작되면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부여받아 상기 수평회전축(120)이 고속으로 회전된다. 상기 수평회전축(120)은 단면은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단면형상은 전구간에 걸쳐 변화하지 않는다.
상기 수평회전축(120)에는 끼움판(130)들이 차례로 끼워져 장착된다. 상기 끼움판(130)은 수평회전축(12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각 관통공(131)을 가지며, 상기 다각 관통공(131)을 통해 수평회전축(120)의 단부로부터 끼워져 장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평회전축(120)이 다각단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끼움판(130)이 수평회전축(12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각 관통공(131)을 통해 수평회전축(120)에 장착되므로 상기 끼움판(130)은 수평회전축(120)이 고속으로 회전할 때 수평회전축(120)의 외주면을 따라 슬립되지 않는다. 만일 지지판이 수평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슬립되면 지지판에 고정된 플랙시블 와이어(140)가 스케일(S)을 타격하는 타격력이 약해져서 원활한 스케일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인접한 다른 플랙시블 와이어(140)와의 엉킴이 발생되면서 작업이 중단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회전축(120)의 단면과 끼움판(130)의 다각 관통공(131)의 형상이 사각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상기 끼움판(130)에는 플랙시블 와이어(140)가 고정된다. 상기 플랙시블 와이어(140)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것을 고려하여 쉽게 풀어지지 않으면서 충분한 강도를 가지도록 여러가닥의 와이어(140)들이 서로 합쳐진 상태에서 나선상으로 꼬여져 일체화된 것으로서, 자체 탄성을 가진다.
상기 플랙시블 와이어(140)는 한 쌍의 끼움판(130)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U" 자 형태를 이루며 상기 수평회전축(120)과 함께 회전하면서 배관(P)의 내벽면을 타격 및 마찰시켜 배관(P) 내벽면에 생성된 스케일(S)을 제거하게 되는데, 회전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양단에 연결된 끼움판(130)의 접근정도가 변화되면서 회전반경이 자동으로 조절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랙시블 와이어(140)는 다양한 형태로 끼움판(130)에 고정되고 상기 끼움판(130) 역시 다양한 형태로 수평회전축(120)에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랙시블 와이어(140)는 인접하는 한 쌍의 끼움판(130,130)에 각각 양단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랙시블 와이어(140)를 끼움판(130)에 미리 고정시켜 유닛화하고, 이렇게 유닛화된 와이어(140)조립체들을 수평회전축(120)에 방향을 달리해가면서 연속적으로 장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플랙시블 와이어(140)의 원심력과 배관(P) 내의 스케일(S)을 타격할 때 발생되는 충격이 수평회전축(120)의 일측으로만 집중되기 때문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랙시블 와이어(140)는 인접하는 한 쌍의 끼움판(130,130)에 복수로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랙시블 와이어(140)들은 수평회전축(120)을 중심으로 방향을 달리해가면서 끼움판(130)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랙시블 와이어(140)는 각각 그 길이를 달리하여 복수로 구비되고, 각 플랙시블 와이어(140)들은 중앙(C)이 수평회전축(120)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면서 동일 수직평면(A)에 위치하도록 각기 다른 한 쌍의 끼움판(130)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플랙시블 와이어(140)는 수평회전축(120)이 회전할 경우 중앙(C)이 동일반경 선상에 위치하도록 그 길이가 셋팅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평회전축(120) 단부에는 수평회전축(120)에 장착된 끼움판(130)들이 수평회전축(1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이탈방지편(15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이탈방지편(150)은 수평회전축(120)이 정지된 상태에서 수평회전축(120)에 장착된 끼움판(130)들이 U"자 형태로 구부진 상태로 고정된 플랙시블 와이어(140)의 탄반력에 의해 수평회전축(1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것이다.
상기 이탈방지편(150)은 끼움편이 모두 수평회전축(120)에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수평회전축(120)의 단부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이탈방지편(150)은 끼움판(130)과 마찬가지로 중앙(C)에 수평회전축(120)의 단면과 동일한 다각형상의 관통공(13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131)을 통해 수평회전축(120)의 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로써 체결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회전축(120)에는 상기 끼움판(13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160)이 착탈가능하게 더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편(160)이 수평회전축(120)에 나선결합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수평회전축(120)에 일정간격으로 나사홀(121)들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편(160)으로는 볼트가 채용되었다. 상기 고정편(160)은 상단부가 수평회전축(120) 상으로 돌출되며 끼움판(130)은 고정편(160)의 상단부에 지지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편(160)에 의해 끼움판(130)의 위치가 고정되면, 플랙시블 와이어(140)가 스케일(S)을 타격할 때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끼움판(130)의 사이가 벌어지지 않게 된다. 만일 끼움판(130)들의 사이가 벌어지면 플랙시블 와이어(140)의 작업반경이 줄어들면서 배관(P) 내에 달라붙은 스케일(S)을 정상적으로 타격하지 못하기 된다. 따라서, 고정편(160)을 이용하여 끼움판(130)의 위치를 고정시키면 타격시 큰 충격이 가해지는 경질의 스케일(S)을 제거하는데 매우 유리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배관(P) 스케일(S) 제거기를 이용하여 배관(P)의 내부에 생성된 스케일(S)을 제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9는 수평회전축(120)이 회전하기 이전의 작업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일(S) 대상이 되는 배관(P) 입구에 와이어 회전기(110)를 위치시킨 다음 와이어 회전기(110)를 동작시킨다. 와이어 회전기(110)가 동작되면 수평회전축(120)이 회전됨과 동시에 플랙시블 와이어(140)들이 회전하기 시작한다. 회전하는 플랙시블 와이어(140)들은 원심력에 의해 점차로 회전반경이 커지는 동시에 와이어 회전기(110)측으로 밀착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회전축(120)이 회전하면서 배관(P)의 내벽면에 근접하도록 플랙시블 와이어(140)의 회전반경이 커지게 되면, 플랙시블 와이어(140)가 배관(P)의 내부에 생성된 스케일(S)들을 타격하게 되고 상기 스케일(S)들은 이때의 충격으로 배관(P)의 내벽면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면서 제거된다. 작업자는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와이어 회전기(110)를 배관(P) 내부로 계속 진입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스케일(S)을 제거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배관(P) 스케일(S) 제거기는 플랙시블 와이어(140)의 작업반경이 원심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해당 배관(P)의 구경에 맞추어 조정되므로 배관(P)의 구경에 따라 일일이 플랙시블 와이어(140)의 작업반경을 조절해 주지 않아도 된다.
한편, 작업자는 배관(P) 내에 경질의 스케일(S)이 발견되면 각 끼움판(130) 사이에 고정편(160)을 추가로 고정시켜 고정편(160)의 이동을 제한한 다음 작업을 재개하도록 한다. 이럴 경우를 대비하여 작업개시부터 고정편(16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이동이 제한된 고정편(160)에 의해 플랙시블 와이어(140)의 타격력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져오므로 경질의 스케일(S)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110...와이어 회전기 120...수평회전축
130...끼움판 131...다각 관통공
140...플랙시블 와이어 150...이탈방지편
160...고정편 A...수직평면
P...배관 S...스케일

Claims (7)

  1. 배관 내부로 출입하는 와이어 회전기;
    상기 와이어 회전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고속으로 회전하는 다각단면을 가진 수평회전축;
    상기 수평회전축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각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다각 관통공을 통해 수평회전축의 단부로부터 끼워져 장착된 복수의 끼움판; 및
    한 쌍의 끼움판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상기 수평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배관의 내벽면을 타격 및 마찰시켜 배관 내벽면에 생성된 스케일을 제거하며, 회전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양단에 연결된 끼움판의 접근정도가 변화되면서 회전반경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랙시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스케일 제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랙시블 와이어는 인접하는 한 쌍의 끼움판에 양단이 각각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스케일 제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끼움판에는 수평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기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플랙시블 와이어가 복수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스케일 제거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끼움판은 플랙시블 와이어가 고정된 상태로 수평회전축을 중심으로 끼움 방향을 달리하여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스케일 제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랙시블 와이어는 각각 그 길이를 달리하여 복수로 구비되고,
    각 플랙시블 와이어들은 중앙이 수평회전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면서 동일 수직평면에 위치하도록 각기 다른 한 쌍의 끼움판을 통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스케일 제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회전축의 단부에는 상기 끼움판이 수평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끼움판이 이탈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이탈방지편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스케일 제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판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도록 상기 수평회전축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편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스케일 제거기.
KR1020110030579A 2011-04-04 2011-04-04 배관스케일 제거기 KR101334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579A KR101334807B1 (ko) 2011-04-04 2011-04-04 배관스케일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579A KR101334807B1 (ko) 2011-04-04 2011-04-04 배관스케일 제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960A true KR20120112960A (ko) 2012-10-12
KR101334807B1 KR101334807B1 (ko) 2013-11-29

Family

ID=47282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579A KR101334807B1 (ko) 2011-04-04 2011-04-04 배관스케일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8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423A (ko) * 2017-03-15 2018-09-28 전튼튼 관로 스케일 제거장치
KR101986369B1 (ko) * 2018-03-02 2019-06-05 양윤태 배관 청소기
CN111495891A (zh) * 2020-05-09 2020-08-07 苏州琦少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废气净化装置的管道清洗装置
CN114130772A (zh) * 2021-11-25 2022-03-04 唐山职业技术学院 一种机械零件清洗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399B1 (ko) 2023-01-05 2023-07-12 (주)크린워터시스템 부식 억제 기능을 겸비한 스케일 포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873B1 (ko) * 2007-03-30 2008-04-11 주식회사 이투스텍 배관 스케일 제거기용 플랙시블 와이어
KR100766791B1 (ko) * 2006-11-01 2007-10-17 영 식 황 관로 디스케일링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423A (ko) * 2017-03-15 2018-09-28 전튼튼 관로 스케일 제거장치
KR101986369B1 (ko) * 2018-03-02 2019-06-05 양윤태 배관 청소기
CN111495891A (zh) * 2020-05-09 2020-08-07 苏州琦少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废气净化装置的管道清洗装置
CN114130772A (zh) * 2021-11-25 2022-03-04 唐山职业技术学院 一种机械零件清洗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4807B1 (ko) 201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807B1 (ko) 배관스케일 제거기
KR100866899B1 (ko) 관로 내부의 고착물 제거장치
CN103316873B (zh) 旋转式管道清洗器
KR100951435B1 (ko) 분사노즐을 이용한 상하수도 비굴착 관로 스케일 제거장치 및 공법
KR100837151B1 (ko) 중구경 파이프 크리닝 머신
KR101705845B1 (ko) 배관용 스케일 제거장치
CN203343130U (zh) 旋转式管道清洗器
JP2017051909A (ja) 管洗浄用ノズル装置及び管洗浄用ノズル装置を備えた排水縦管洗浄装置
KR20110092656A (ko) 배관스케일 제거기
KR100846104B1 (ko) 배관 스케일 제거기용 플랙시블 와이어
JP5801524B2 (ja) 煙突用石綿除去装置
KR101193801B1 (ko) 중대형 노후 상수 관로 내면의 세척장치
KR100701830B1 (ko) 배관 스케일 제거기용 플랙시블 와이어
KR100835138B1 (ko) 지하수공 세척장치
US2596571A (en) Tube cleaner
KR200254505Y1 (ko) 다기능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KR100820873B1 (ko) 배관 스케일 제거기용 플랙시블 와이어
KR100960654B1 (ko) 배관용 스케일 제거기
WO2015075762A1 (ja) 管内洗浄装置
KR100722699B1 (ko) 배관 스케일 제거기의 플렉시블 와이어 클램핑장치
KR100761317B1 (ko) 배관 스케일 제거기의 와이어 하우징
KR100479380B1 (ko) 배관내 스케일 제거기
JP4179610B2 (ja) 鋼管内面塗装工法
KR100324449B1 (ko)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AU2007201546B2 (en) Pipe cleaning blas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