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2314A - 보풀 면봉 - Google Patents

보풀 면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2314A
KR20120112314A KR1020120095419A KR20120095419A KR20120112314A KR 20120112314 A KR20120112314 A KR 20120112314A KR 1020120095419 A KR1020120095419 A KR 1020120095419A KR 20120095419 A KR20120095419 A KR 20120095419A KR 20120112314 A KR20120112314 A KR 20120112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tton
fluff
swab
cotton ball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미화
송훈호
Original Assignee
문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미화 filed Critical 문미화
Priority to KR1020120095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2314A/ko
Publication of KR20120112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38Swabs having a stick-type handle, e.g. cotton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61M35/006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using sponges, foams, absorbent pads or swabs as spread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풀 면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귓속의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으면 안정적으로 귀에이지, 수분 등 귓속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면봉의 솜뭉치 거죽에 부드럽고 미세하게 가는 털이 부풀어 일어나도록 보풀을 형성하는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Description

보풀 면봉{fluff cotton bud}
본 발명은 면봉의 솜뭉치 거죽에 미세하게 가는 털이 부풀어 일어나도록 부드러운 보풀을 형성함으로써 귓속의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귀에이지, 수분 등 귓속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보풀 면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면봉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제로 만든 막대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탈지솜을 타원형 또는 기타 변형된 형태로서 두툼하게 감싸주는 형상으로 제조되어 면봉부에 의해 우리 인체의 귀소제 또는 코후비게 등의 용도로 각 가정이나 숙박업소, 사우나, 미용실 등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막대의 끝에 솜을 딱딱하게 말아 붙인 기존의 면봉은 귀소제를 하는 과정에서 귓속에 작은 상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인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하여 완성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가느다란 막대의 끝에 말아 붙인 솜의 거죽에 미세하게 가는 털이 부풀어 일어나도록 보풀을 형성토록 함으로서 딱딱한 면봉의 솜이 부드러워져서 귓속의 불순물 제거 과정에서 귓속의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인 보풀 면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손잡이 역할이 가능한 가느다란 막대를 갖는 막대부와; 상기 막대부의 일단 또는 양단에 구비되는 솜뭉치부를 갖는 면봉에 있어서,
상기 솜뭉치부에 보풀이 형성되도록 부러쉬기나 연마기를 이용하여 부러쉬나 연마를 수행하여 솜뭉치부의 거죽에 미세하게 가는 털이 부풀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인 보풀 면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면봉은 보풀을 형성하기 전, 증류수 등 수분에 침지 후 건조과정을 더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보풀 면봉은 귀소제 등을 실시할 때 면봉의 솜 거죽에 형성된 보풀이 부드러움으로 인해 귓속의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귀소제가 가능한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풀 면봉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보풀이 형성되기 전 면봉의 외관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보풀 면봉과 종래의 면봉의 비교도.
먼저, 첨부된 도 1과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풀 면봉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보풀이 형성되기 전 면봉의 외관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보풀 면봉과 종래의 면봉의 비교도이다.
우선, 도 1,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역할이 가능한 가느다란 막대를 갖는 막대부(10)와; 상기 막대부의 일단(11) 또는 양단(11,12)에 구비되는 솜뭉치부(20a, 20b)를 갖는 면봉에 있어서, 상기 솜뭉치부(20)에 부러쉬기나 연마기를 이용하여 부러쉬나 연마를 수행하여 솜뭉치부(20)의 거죽에 미세하고 부드러운 가는 털이 부풀어 일어나도록 보풀(25)을 형성하는 구조의 보풀 면봉(100)이 제공된다.
상기 보풀 면봉(100)에 사용되는 막대부(10)는 나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 등 압착성형 가능한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솜뭉치부(20)는 귀안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함과 아울러 상기 솜뭉치부(20a, 20b)가 막대부(10)의 일단(11) 또는 양단부(11,12)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재질은 탈지면, 폴리에틸렌(PE)계 섬유, 폴리프로필렌계 합성 섬유 등 접촉감이 부드럽고 이물질을 닦아낼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솜뭉치부(20)의 형태도 타원형 또는 대한민국특허 등록 제 10-0801971 호의 1회용 흑면봉 및 그 제조 방법의 도 1과 같은 형태이거나 기타 변형된 형태로서 두툼하게 감싸주는 형상으로 공지의 면봉제조기 등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와같이 제조된 면봉의 솜뭉치부(20)에 부러쉬기나 연마기를 이용하여 부러쉬나 연마를 수행하여 솜뭉치부(20)의 거죽에 미세하고 부드러운 가는 털이 부풀어 일어나도록 보풀(25)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보풀(25)을 형성하는 연마기는 위생상 소독이나 멸균처리 후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부러쉬기는 다수개의 가는 철사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솔 형태의 것일 수 있으며, 연마기는 사포와 같은 연사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보풀(25)을 형성할 때는 면봉 1개를 선택하여 솜뭉치부(20)의 거죽 전체에 부러쉬나 연마를 하거나, 같은 크기의 면봉을 집단으로 뭉친 다음, 솜뭉치부(20) 일부분(바람직하게는 솜뭉치부의 끝 부분에서부터 적어도 솜뭉치부의 중간부 이상에 고르게 부러쉬나 연마를 수행하면 딱딱하고 두툼하게 감싸주는 형상의 솜뭉치부(20)는 그 거죽으로 미세하게 가는 털이 부풀어 일어나 부드러운 보풀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부러쉬나 연마 등에 의하여 형성되는 보풀(25)은 부러쉬나 연마를 수행하기 전 상태의 솜뭉치부(20) 표면으로부터 그 길이가 0.001 ~ 8 mm, 바람직하게는 0.01 ~ 5 mm, 바람직하게는 0.1 ~ 3 mm의 길이가 접합하며, 이러한 보풀의 길이는 일정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보풀을 형성하기 전, 면봉을 증류수 등 수분에 침지 후 건조과정을 더 추가함으로써 솜뭉치부(20)와 막대부(10)가 수분을 흡수하여 소정의 크기로 부풀어 올랐다가 건조됨으로써 솜뭉치부(20)와 막대부(10)간의 결합을 증강시켜 솜뭉치부(20)에 보풀(25)을 형성하기 위하여 부러쉬나 연마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솜뭉치부(20)가 막대부(10)에서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분에 면봉을 침치시키는 시간은 반드시 제한되지 않으나 5분 내지 1시간 정도면 충분하고, 수분을 흡수한 면봉은 건조실에서 열건조, 또는 열풍건조 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면 된다.
물론, 면봉을 침치시킬 때 사용되는 수분은 보통의 증류수를 사용하거나, 편백나무 증류액 등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인체에 무해한 소독제나 인체에 유익한 약리학적 한방추출물, 향료, 색소 등을 희석한 수화물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완성된 보풀면봉(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면봉(200)과 비교할 때 솜뭉치부(20)의 거죽으로 보풀(25)이 형성됨으로써 비교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면봉의 솜뭉치부(20)의 거죽에 보풀(25)을 형성함으로써 면봉 손잡이인 막대부(10)를 손으로 잡고 솜뭉치부(20)를 귀 구멍 속으로 넣어 귀속에 있는 수분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면 된다.
이때, 상기한 본 발명의 보풀 면봉(100)은 딱딱하고 거친 느낌이 드는 종래의 면봉에 비해 보풀(25)이 귀속의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으며 부드러운 느낌으로 안정적으로 귀소제를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상, 본 명세서를 통해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속하는 보풀 면봉의 특정한 양태가 예시되고 기술되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구현예 및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다른 변화 및 변형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자명한 사실이며, 이에 따라 이러한 기술도 본 발명의 특허 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보풀 면봉은 보풀이 부드러움으로 인해 귓속의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귀소제가 가능한 용도로 제품 생산이 가능하여 면봉 용품 분야의 틈새시장을 공략하는데 전략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서, 당 분야에 미치는 산업적 의의는 극히 크다 하겠다.
10; 박대부
20; 솜뭉치부
25; 보풀
100; 보풀 면봉

Claims (1)

  1. 손잡이 역할이 가능한 가느다란 막대를 갖는 막대부와; 상기 막대부의 일단 또는 양단에 구비되는 솜뭉치부를 갖는 면봉에 있어서, 상기 솜뭉치부에 부러쉬나 연마를 수행하여 솜뭉치부의 거죽에 보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보풀 면봉.
KR1020120095419A 2012-08-30 2012-08-30 보풀 면봉 KR20120112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419A KR20120112314A (ko) 2012-08-30 2012-08-30 보풀 면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419A KR20120112314A (ko) 2012-08-30 2012-08-30 보풀 면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314A true KR20120112314A (ko) 2012-10-11

Family

ID=47282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419A KR20120112314A (ko) 2012-08-30 2012-08-30 보풀 면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23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9157A (ko) 2020-09-01 2022-03-08 이승진 귀지 제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9157A (ko) 2020-09-01 2022-03-08 이승진 귀지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13709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acting Keratinaceous Nails With Solutions
US9084654B2 (en) Interdental cleaning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20112314A (ko) 보풀 면봉
KR20120007020U (ko) 보풀 면봉
US20120328355A1 (en) Cosmetic Correction Tool
CN206512364U (zh) 美容巾结构
JP3179742U (ja) 携帯耳かき具
US20050085759A1 (en) Pre-moistened swab apparatus
CN2912503Y (zh) 一种清洁抛光钢丝棉块
TWM493301U (zh) 化妝棉
JP2011110069A (ja) スキンケアブラシ
JP3145634U (ja) 洗浄器具
JP2003125840A (ja) 化粧綿
JP3179784U (ja) 持ち易さを向上した竹や木製の耳かき具
JPS6235489Y2 (ko)
KR200479202Y1 (ko) 세안용 클렌징기구
KR20120082617A (ko) 누에고치를 이용한 클렌징 티슈 및 그 제조방법
JP2014188248A (ja) ブラシ用カバー
US20160331190A1 (en) Cleaning Tool for Body or Facial Piercings
JP3165401U (ja) 足指用の掃除具
CN207119013U (zh) 一种卸妆纸
CN109846186A (zh) 底位和侧位易洁毛刷
JP2007029661A (ja) 耳掻きおよび耳掻きセット
KR200467464Y1 (ko) 아세톤 용기
CN107149272A (zh) 同时附设有侧置刷和底面刷的杯用毛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