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933A - 고주파 필터 - Google Patents

고주파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1933A
KR20120111933A KR1020117029722A KR20117029722A KR20120111933A KR 20120111933 A KR20120111933 A KR 20120111933A KR 1020117029722 A KR1020117029722 A KR 1020117029722A KR 20117029722 A KR20117029722 A KR 20117029722A KR 20120111933 A KR20120111933 A KR 20120111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onductor
high frequency
section
frequency filter
coup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9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0531B1 (ko
Inventor
옌스 니타
Original Assignee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filed Critical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Publication of KR20120111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2Coaxial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waveguides or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1Manufacturing waveguides or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5Manufacturing coaxial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2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two longitudinal conductors
    • H01P3/06Coaxial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4Coaxial 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갖는 개선된 고주파 필터(high pass filter: 고역 통과 필터)와 관련이 있다: 결합된 두 개 내부 도체 섹션(5a)의 용량성으로 결합된 두 개 이상의 내부 도체 정면(5b) 또는 용량성으로 결합된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에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115)가 제공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115)는 상기 결합된 내부 도체 섹션(5b)의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 배열 상태로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 혹은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115)와 외부 도체(1) 사이에서는 분기 라인(7)이 뻗는다.

Description

고주파 필터{HIGH FREQUENCY FILTER}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고주파 필터, 다시 말해 소위 고역 통과 필터(high pass filter)에 관한 것이다.
무선 기술 장치, 예를 들어 이동 무선 분야에서는 송신 및 수신 신호를 위해 단 하나의 공용 안테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송신 및 수신 신호는 상이한 주파수 영역들을 이용한다. 사용되는 안테나는 두 가지 주파수 영역에서 송신 및 수신을 하기에 적합해야만 한다.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한 편으로 송신 신호를 송신기로부터 단지 안테나로만 전달하는 (그리고 수신기의 방향으로는 전달하지 않는)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 수신 신호를 안테나로부터 단지 수신기로만 전달하는 동작을 보증해주는 적합한 주파수 필터링이 필요하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두 가지 모두 특정한 (즉, 각각 원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과하는 한 쌍의 고주파 필터(대역 통과 필터), 또는 두 가지 모두 특정한 (즉, 각각 원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을 차단하는 한 쌍의 고주파 필터(대역 저지 필터), 또는 송신 대역과 수신 대역 사이에 놓인 주파수 아래의 주파수는 통과시키고 상기 주파수 위의 주파수는 차단하는 필터(저역 통과 필터) 및 송신 대역과 수신 대역 사이에 놓인 상기 주파수 아래의 주파수는 차단하고 상기 주파수 위의 주파수는 통과시키는 필터(고역 통과 필터)로 형성된 한 쌍의 고주파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유형의 필터들로부터 조합된 추가의 필터들도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유형의 고주파 필터들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공지된 고역 통과 필터는 밀링 또는 캐스팅 하우징 안에 있는 채널 또는 보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채널 또는 보어 안에는 내부 도체 섹션들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내부 도체 섹션들은 소위 바 라인(bar line)을 통해 외부 도체와 갈바니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내부 도체 섹션들은 (전체 장치가 콤팩트한 구조적 크기를 가져야만 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매우 작게 치수 설계된 차단부를 가지며, 상기 차단부에 의해서는 상응하는 내부 도체 섹션들의 정면이 용량성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 경우 라인 섹션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용량성 결합의 크기는 거리 변동에 대하여 반비례한다. 이 경우 내부 도체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정면의 용량성 결합은 또한 라인의 횡단면이 증가함에 따라 그리고 라인들 사이에 형성된 간극 안에 존재할 수 있는 재료의 유전 상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승한다. 선행 기술에 공지된 그리고 선행 기술에 상응하게 형성된 동축의 고역 통과 필터에서는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커패시턴스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언급된 바와 같이 비교적 콤팩트한 외부 치수가 유지되어야만 하는 경우에) 축 방향 연장부 안에 상호 위치 설정된 내부 도체 섹션들의 정면들 간의 거리는 (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다른 안테나 장치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0.5mm보다 작다. 상기 거리는 대략 0.1 내지 0.2mm인 경우가 많다.
선행 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은 상응하는 동축의 고역 통과 필터는 도 12a에는 개략적인 축 방향 종단면도로 (예를 들어 외부 도체를 차단하는 커버가 도시되지 않은 상태의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12b에는 축 방향 횡단면도로 (예를 들어 외부 도체를 폐쇄하는 커버가 도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형상과 달리 하우징은 또한 두 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결합 가능한 두 개의 하우징 섹션 또는 하우징 절반을 포함할 수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외부 도체 하우징이 또한 완전히 폐쇄될 수도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내부 도체 장치는 상기 외부 도체 하우징 내부로 단지 축 방향으로만 삽입되어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제약이 전혀 없다.
상기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는 사실은, 상기와 같은 동축의 고역 통과 필터가 외부 도체(1)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도체가 언급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밀링 또는 캐스팅 하우징(금속,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링 또는 캐스팅 하우징 안에 동축의 보어 또는 동축의 채널(3)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보어 혹은 상기 채널(3)을 따라서는 다수의 내부 도체 섹션(5a)으로 이루어진 내부 도체 장치(5)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내부 도체 섹션들의 내부 도체 정면(5b)들이 약간의 간격(A)을 두고 종료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내부 도체 정면(5b)과 내부 도체 섹션(5a) 사이에서는 용량성 결합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내부 도체 정면(5b)들 사이에는 유전체(D)가 삽입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개별 내부 도체 섹션(5a)들은 각각 (일반적으로 중앙에서) 해당 내부 도체 섹션(5a)에 대하여 가로로 또는 수직으로 뻗는 분기 라인(7)을 통해 외부 도체(1)와 갈바니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상응하는 분기 라인(7)은 외부 도체(1) 재료 안에 있는 측면의 분기 라인 채널(9)(다시 말해 분기 라인 리세스(9)) 내부에서 뻗고, 상기 분기 라인의 채널 바닥(9a)에서 상기 외부 도체(1)와 갈바니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이 경우 상기 외부 도체(1)는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고역 통과 필터의 하우징과 거의 유사하게 도시되었다).
상기와 같은 동축의 구조를 갖는 고역 통과 필터는 예를 들어 마타이, 영, 존즈(Matthei, Young, Jones): "Microwave Filters, Impedance도체 장치Matching Networks, and Coupling Structures", McGraw 도체 장치 Hill Book Company 2001, 즉 414 페이지(도면 7.07도체 장치3)에 의해서 공지된 것으로 인용될 수 있다.
도 12c에는 도 12a 및 도 12b에 따른 선행 기술에 공지된 고주파 필터를 위한 상응하는 등가 회로도가 재현되어 있다. 상기 도면으로부터는 소수의 내부 도체 섹션(5a)을 갖는 단 하나의 내부 도체(5)가 제공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두 개의 내부 도체 섹션(5a) 사이에는 하나의 커패시턴스(C1)가 형성되어 있고, 연속하는 내부 도체 섹션(5a)에서는 인덕턴스(I)의 형태로 형성된 분기 라인(7)이 상기 두 개의 내부 도체 섹션(5a)으로부터 뻗어 나와서 접지 또는 외부 도체(1)에 접속되어 있다.
다수의 라인 섹션 또는 라인 부재가 용량성으로 쌍으로 결합됨으로써 (이 경우 상기 결합은 공기 또는 기타 물질로 이루어진 유전체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음) 그리고 상기 다수의 라인 섹션 또는 라인 부재가 외부 도체와 갈바니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고역 통과 필터의 원하는 응답 특성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용량성 결합의 치수는 내부 도체 섹션들을 결합시키는 각각 마주 놓인 두 개 정면의 크기에 의해서, 두 개 정면 내부 도체 섹션 간의 거리(A)에 의해서 그리고 두 개 정면 내부 도체 섹션 사이에서 사용되는 유전체에 의해서 결정된다.
도 12a 및 도 12b에 따른 도면에 상응하는 선행 기술과 대등한 한 가지 해결책은 DE 10 2007 061 413 A1호에 상응하는 US 2009/0153270 A1호에도 공지되어 있다. 소수의 내부 도체 섹션을 포함하는 하나의 내부 도체를 구비한 고역 통과 필터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축 방향 연장부 내에서 상호 연속하는 두 개의 내부 도체 섹션은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이때 서로를 향하고 있는 정면들 그리고 상기 정면들에 연결되는 내부 도체 섹션은 튜브 형태의 중간 부재 안에 부분 길이로 잠기고, 상기 튜브 형태의 중간 부재는 상호 연속하는 내부 도체 섹션들의 두 개 정면 사이의 중앙에 폐쇄된 벽 섹션을 갖는다. 상기 벽에 의해서는 상기 튜브 형태의 중간 섹션 안에 잠기는 내부 도체 단부 섹션과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 1 튜브 커패시터 사이에서 신호 방향으로 제 1 결합이 형성되며, 이 경우 상기 튜브 형태 중간 부재의 마주 놓인 단부에서는 튜브 형태의 재킷 섹션과 상기 섹션 안에 잠기는 인접하는 다음 내부 도체 섹션의 단부 섹션 사이에서 제 2 튜브 커패시터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튜브 형태 중간 부재의 정면 제한부에서는 나선형의 라인 섹션이 내부 도체로부터 외부 도체까지 뻗으며, 이로 인해 코일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는 도 12a에 따른 실시 예에 비해 중간 접속된 그리고 상호 연속하는 이중 용량성 결합을 갖는 내부 도체 구간이 한 내부 도체 섹션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태 중간 부재까지 그리고 상기 튜브 형태 중간 부재로부터 다음 내부 도체 섹션까지 그리고 계속해서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뻗게 된다.
하지만, 고역 통과 필터의 차단 특성에 대한 요구 조건이 증가함에 따라, 상응하는 차단 감쇠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다수의 내부 도체 섹션은 직렬로 접속되어야만 한다.
지금까지 공지된 상응하는 동축의 구조를 갖는 고역 통과 필터의 단점은, 다른 무엇보다 이동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서 고역 통과 필터에 대한 상응하는 요구 조건들을 구현할 수 있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게 다수의 라인 섹션이 직렬로 배치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 경우 언급된 바와 같이, 충분히 높은 용량성 결합을 보증하기 위해서는 라인 부재들 간에 매우 작은 거리가 유지되어야만 한다. 이와 같이 매우 작은 거리는 구조물의 매우 높은 허용 오차 감도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바람직하게 콤팩트한 구조적 형상을 가짐으로써 차단 영역의 급경사를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고주파 필터(소위 고역 통과 필터)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1에 기재된 특징들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매우 놀라운 것으로 언급할 수 있고 그리고 언급해야만 하는 사실은, 본 발명의 틀 안에서는 개선된 전기적 특성들 그리고 공간 절약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선행 기술에 비해 현저하게 개선된 고역 통과 필터가 구현된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역 통과 필터는 선행 기술에 비해 현저하게 개선된 허용 오차 감도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역 통과 필터는 또한 개별 필터로서 사용될 수 있지만 하나 또는 다수의 동일한 혹은 상이한 형태의 고주파 필터와 상호 결합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필터(HF 필터)를 이동 무선 통신 기술에 사용하는 것도 유리한 적용 예로서 간주되며, 이때에는 특히 동일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고 사용되는 주파수 영역에서 송신 혹은 수신되는 수신 신호들로부터 하나의 안테나에 공급되는 송신 신호들을 분리하기 위하여 서문에 언급된 바와 같은 듀플렉스 필터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실제로 추가의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를 고주파 필터 트랙 안에 함께 장착하는 것으로서, 이 경우 상기 추가의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도전성을 갖거나, 또는 금속성으로 혹은 도전성으로 코팅된 유전체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와 같은 유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추가로 제공된 상기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는 내부 도체 섹션의 정면 결합 영역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가 예를 들어 중공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내부 리세스를 가지면, 상기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 내에서는 이웃하는 내부 도체 섹션들, 다시 말해 관련 내부 도체 정면들이 상기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 내에서 전체적으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마주 놓이게 된다. 그러나 상기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는 이 커플링 부재와 상호 작용을 하는 내부 도체 섹션들과 단지 주변의 부분 영역에서만 중첩 배치될 수도 있는데, 다시 말하자면 예를 들어 추가의 결합을 구현하기 위하여 단지 축 방향 길이에 걸쳐서만 상기 내부 도체 섹션의 개별 정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해당 내부 도체 섹션의 단부 영역에 의해 덮이게 된다.
이 경우에는 선행 기술과 달리 또한 외부 도체와 내부 도체의 전기 접속도 내부 도체 섹션에 의해서 이루어지지 않고, 오히려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의 상응하는 분기 라인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틀 안에서는 고역 통과 필터의 상기와 같이 구조화된 구조에 의해서 일련의 놀라운 장점들에 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틀 안에서는, 통과 대역 아래에서 필터 특성의 현저한 급경사에 기여할 수 있는 차단 극이 주파수 통과 대역 아래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각각의 본 발명에 따른 고역 통과 필터에 의해 상응하는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를 사용해서 차단 극이 성취될 수 있다. 다른 말로 말하자면, 상기와 같은 다수의 구조물이 직렬로 (시리즈로) 접속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응하는 튜닝 작업에 의하여 다수의 추가 차단 극이 형성될 수 있다. 단지 완전성을 위해 이 자리에서 미리 언급할 사실은, 본 발명에 따른 고역 통과 필터는 하나 또는 다수의 차단 극을 형성하면서 종래의 추가 고역 통과 필터 구조물과도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도 역시 제약은 전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틀 안에서는 고주파 필터의 구조적 형상도 선행 기술에 비해 현저하게 축소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전체적으로 더욱 콤팩트한 전체 치수가 얻어진다.
또한, 사용되는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에 의해서는 용량성 전기 결합의 감도도 줄어든다.
본 발명의 틀 안에서는 비용적인 장점도 나타난다. 그 이유는 본 발명이 추가로 제공되는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를 위해서 단지 상대적으로 더 적은 추가 비용만을 야기하기 때문이며, 이와 같은 추가 비용은 선행 기술에서 반드시 필요한 추가 도체 섹션들의 연속 접속을 위해서 소요되는 추가 비용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적은 비용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틀 안에서는 사용되는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에 의해 기계적인 안정성도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은 내용은 다른 무엇보다도 고체 형태의 유전체,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기체 상태가 아닌 유전체를 상응하게 사용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그 이유는, 상기와 같은 고체 형태의 유전체를 사용함으로써 내부 도체 섹션,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 또는 분기 라인이 함께 안정화되고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말로 말하자면, 내부 도체 섹션들이 종료되는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 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유전체는 특히 이 유전체가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 외부에서도 외부 도체 장치의 상응하는 수용 공간(보어, 채널) 안에 제공된 경우에는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의 위치 설정 기능 및 그와 더불어 내부 도체 섹션들의 위치 설정 기능도 추가로 담당한다. 또한, 구조물 내부에서의 기계적인 안정화를 위한 추가의 유전체들, 예를 들어 코팅된 유전체들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은 높은 파워의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특히 이동 무선 통신 기술에서도 매우 중요한 전체적으로 우수한 상호 변조 특성도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언급할 수 있고 그리고 언급해야만 할 사실은,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틀 안에서는 또한 열이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 및 예를 들어 갈바니 전기 결합을 통해 외부 도체로 우수하게 방출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틀 안에서는 또한 상응하는 분기 라인들이 외부 도체와 갈바니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내부 도체 구조물들이 반드시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와 외부 도체 사이에 결합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추가의 개선이 성취될 수 있다. 분기 라인들은 외부 도체에 용량성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황에 따라 외부 도체 내부 공간 안에 존재하는 고체 유전체는 외부 도체와 용량성으로 결합된 분기 라인들의 위치 설정 및 고정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요약적으로 기재할 수 있는 사실은, 본 발명의 틀 안에서는 이하에서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로도 표기되는 구조물을 목적한 바대로 삽입함으로써 통과 대역 아래에서 차단 극이 형성될 수 있는 고주파 필터, 즉 소위 고역 통과 필터가 제작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다수의 구조물이 직렬로 접속되면, 그로 인해 다수의 차단 극이 통과 대역 아래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은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는 도전성을 가질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가 예를 들어 금속 또는 금속성 구조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가 예를 들어 도전성으로 코팅된 유전체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와 같은 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하나 또는 다수의 추가 차단 극의 본 발명에 따른 한 가지 실시 예는 차단 영역을 확연하게 경사지게 하고, 구조적 형상을 축소시키는 동시에 지금까지의 해결책들에 비해 고역 통과 필터의 허용 오차 감도를 높여준다. 이 경우 본 발명은 개별 필터로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형태 혹은 상이한 형태의 하나 또는 다수의 고주파 필터와 상호 접속된 상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개별 필터로서 사용하는 이외에 주 적용 예들 중 한 가지 주 적용 예는 소위 듀플렉스 필터에 사용하는 경우 또는 예를 들어 트리플렉서로 사용하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들, 세부 사항들 그리고 특징들은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로부터 드러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개략적인 축 방향 종단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선 Ⅰ도체 구조물Ⅰ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축 방향 횡단면도이며;
도 1c는 도 1a 및 도 1b에 따른 실시 예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고;
도 1d는 도 1c를 참조하여 도시된 것과 기본적으로 일치하는 등가 회로도이지만, 도 1c에 비해 더 콤팩트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1e는 두 개의 신호 경로 상에 있는 커패시턴스에 의해 야기되는 두 개의 차단 극이 형성된 상태에서 도 1a 내지 도 1d에 상응하는 실시 예의 감쇠 파형을 도시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이고;
도 2a 내지 도 2k는 상이한 내부 도체 및 외부 도체 횡단면 형태 그리고 예를 들어 내부 도체 섹션과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 사이에 제공된 (고체) 유전체의 상이한 횡단면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1a에 따른 선 Ⅱ-Ⅱ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추가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며;
도 3a는 다른 무엇보다 분기 라인들이 외부 도체와 용량성으로 결합된 추가 실시 예와 관련이 있는 도 1a와 유사한 축 방향 종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따른 실시 예를 선 Ⅲ-Ⅲ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4a 내지 도 4h는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두 개 내부 도체 단부 섹션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여덟 가지 상이한 실시 예의 개략적인 축 방향 종단면도이고;
도 5a는 내부 도체 섹션과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 간의 결합 상태가 상이한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 예의 개략적인 축 방향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따른 선 Ⅴ-Ⅴ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축 방향 횡단면도이고;
도 6a는 도 5a와 상이한 실시 예의 개략적인 축 방향 추가 단면도로서, 이 경우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와 외부 도체 사이에 있는 분기 라인은 외부 도체 영역에서는 갈바니 전기적으로 구현되지 않고 오히려 용량성으로 구현되었으며;
도 6b는 도 6a의 선 Ⅵ-Ⅵ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7a는 두 개의 차단 극을 갖는 고역 통과 필터의 종단면도로서, 이 경우에는 두 개의 상이한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장치가 사용되며;
도 7b는 도 7a의 선 Ⅶ-Ⅶ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필터를 포함하는 고역 통과 필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로서, 이 경우 상기 고주파 필터는 선행 기술에 따른 종래의 고역 통과 필터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도 8b는 도 8a의 선 Ⅷ-Ⅷ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역 통과 필터가 분기 라인을 연장하기 위한 외부 도체 확장부를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설명하기 위한 추가 변형 실시 예의 종단면도이며;
도 9b는 도 9a의 선 Ⅸ-Ⅸ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c는 상응하는 라인 섹션 혹은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의 전기 특성을 변경하기 위한 추가 튜닝 부재가 제공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설명하기 위한 고역 통과 필터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며;
도 11은 두 개의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역 통과필터 그레이드(5)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선행 기술에 따른 고역 통과 필터 그레이드(5) 간의 S 파라미터 비교 결과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12a 내지 도 12b는 선행 기술에 따른 동축 구조로 형성된 고역 통과 필터를 도 12a에 따른 선 Ⅹ-Ⅹ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축 방향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12c는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에 따른 동축 구조로 형성된 고역 통과 필터과 관련된 등가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 예가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본 실시 예는 다른 무엇보다도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의 영역에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115)의 형태를 따른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가 제공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선행 기술에 따른 동축 구조 방식의 고주파 필터와 상이하며, 이 경우 상기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은 소정의 축 방향 길이를 두고 상기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115)와 중첩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는 내부 도체 커플링 실린더(15a)로서 형성되었고, 상기 내부 도체 커플링 실린더 안에는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이 소정의 축 방향 길이를 두고 잠기며, 이 경우 축 방향 연장부 안에서 상호 위치 설정된 내부 도체 섹션(5a)의 내부 도체 정면(5b)들은 상호 간격(A)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부 도체 섹션(5a)은 축 방향 연장부 안에 있는 공동의 축선(X1) 상에 상호 배치되어 있고, 내부 도체 커플링 실린더(15a) 안에 동축으로 잠긴다.
기본적으로 개별 내부 도체 섹션들은 예를 들어 전체 내부 도체 공간(21)이 고체 유전체로 채워지고 주조되거나 또는 상기 내부 도체 공간의 소정의 섹션들만 고체 유전체로 채워지고 주조됨으로써도 예컨대 채널(3)로 형성된 내부 도체 공간(21) 안에서 유전체 간격 유지 부재에 의하여 외부 도체(1)(다시 말해 외부 도체 하우징(10))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유전체 구조물이 예를 들어 축 방향 간격을 두고 내부 도체 공간(21) 안에 제공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내부 도체 섹션들의 개별 영역들은 외부 도체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고정되고 지지 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전체(23)는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의 영역 안에, 다시 말해 내부 도체 커플링 실린더(15a)의 내부에 제공되어 있고,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기체가 아니라 고체 재료(예를 들어 플라스틱, 세라믹 등)로 이루어지며, 그로 인해 개별 내부 도체 섹션(5a)은 내부 도체 커플링 실린더(15a)에 의해 고정되고 위치 설정된다.
선행 기술에서 이미 설명된 분기 라인(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개별 내부 도체 섹션(5a)에 일체로 결합되지 않고, 오히려 개별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 다시 말해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115)와 갈바니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바람직하게는 상응하는 분기 라인 채널(9) 안에서 내부 도체(5)의 축 방향 연장부(X1)에 대하여 가로로 그리고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상기 내부 도체(5)의 축 방향 연장부(X1)에 대하여 수직으로 외부 도체 하우징(10) 안에 있는 분기 라인 채널 바닥(9a)까지 뻗으며,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와 마주보면서 외부 도체(1)와, 다시 말해 외부 도체 하우징(10)과 갈바니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개별 분기 라인들은 또한 외부 도체 하우징의 바닥에 있는 분기 라인 채널 안에 혹은 외부 도체의 마주 놓인 측에 존재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제약이 전혀 없다.
도 1a에 따른 축 방향 종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바람직하게 고체 유전체(23)로 형성된 유전체는 내부 도체 커플링 실린더(15a)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지 않고, 오히려 (도 1a에 따른 우측 결합 상태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도체 커플링 실린더(15a)의 정면 단부 앞에서 종료되거나 또는 심지어 (도 1a에 따른 좌측 결합 상태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도체 커플링 실린더(15a)를 통해 축 방향으로 돌출할 수도 있다.
커플링 장치(15)를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 의해서는 직렬로 접속된 두 개의 용량성 커플링이 나타나게 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예를 들어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와 하나의 내부 도체 단부 섹션(5b)을 커플링 하기 위한 제 1 커플링 그리고 상기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로부터 후속하고 이웃하는 내부 도체 단부 섹션(5b)의 이웃하는 다음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까지 커플링 하기 위한 제 2 커플링이 나타난다. 상기 용량성 커플링들은 기능상으로 볼 때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에 따른 고역 통과 필터의 정면(5b)들 사이에 있는 정면 커플링에 상응한다. 본 발명에서는 새로운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를 통한 전술된 연속 접속 용량성 커플링에 의하여 정면(5b)들 사이에 제공되는 용량성 커플링이 추가로 더 형성되며, 상기 추가로 제공된 용량성 커플링은 도 1a 및 도 1b에 따른 구조에서는 선행 기술에 비해 고역 통과 필터의 측면(flank)을 더욱 개선하기 위한 추가의 차단 극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도 1c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대체 회로도를 보여주며, 이 경우 도 1d에는 대체 회로도가 도 1c에 따른 도시 예에 비해 더욱 콤팩트한 상태로 재현되어 있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사실은, 본 발명의 틀 안에서는 새로운 커패시턴스(C2)의 도입에 의해 추가의 용량성 결합이 만들어지고, 이와 같은 용량성 결합을 통해서는 궁극적으로 두 개의 신호 경로(P1 및 P2)를 통과하는 두 개의 차단 극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e에는 수직 Y축 상에 고주파 필터에 대한 통과 감쇠가 dB로 기재되어 있고 수평 X축 상에 고주파 필터에 대한 주파수가 GHz로 기재되어 있는 다이어그램이 재현되어 있다. 상기 감쇠 파형은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을 위해 구현된 실시 예와 관련이 있고, 특히 예를 들어 200 MHz 내지 960 MHz의 감쇠와 관련이 있으며, 이 경우 감쇠는 60 dB보다 더 크다. 도 1e에 따른 다이어그램에서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두 가지 신호 경로에서 이루어지는 용량성 결합에 의해 야기되는 두 개 차단 극의 형성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개선안은 종래의 해결책에 공지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해결책에서 가능하지도 않았다.
도 2a 내지 도 2k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를 참조해서 드러나는 바와 같이, 외부 도체의 횡단면 형태, 내부 도체의 횡단면 형태,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의 횡단면 형태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내부 도체 단부 섹션과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 사이에 제공된 유전체(23)의 횡단면 형태도 상이한 형상, 특히 상이한 횡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k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에는 더 큰 재료 연장부를 갖는 외부 도체 하우징 확장부(1')가 도시되어 있고, 상기 확장부 내에는 분기 라인을 수용하기 위한 전술된 분기 라인 리세스 또는 분기 라인 채널(9)이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상기 외부 도체 하우징은 외부 도체 하우징 확장부(1')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오히려 일반적으로 (임의의 횡단면 형태를 갖는) 튜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분기 라인(7)은 외부 도체 하우징 또는 외부 도체 튜브의 내부 벽, 일반적으로는 외부 도체의 내부 벽에 직접 연결된다.
상기 분기 라인 리세스도 마찬가지로 외부 도체 영역 혹은 상응하는 홈이 형성된 커버 안에 존재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k는 예를 들어 외부 도체(1)의 외부 윤곽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또는 일반적으로 n다각형일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러나 외부 도체는 궁극적으로 적어도 상기 외부 도체의 외측에서 원형의 횡단면 형태 또는 섹션 방식으로 원형인 횡단면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부 도체는 타원형으로 또는 실린더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정 횡단면 형태 또는 외부 윤곽에 대한 제약은 전혀 없다.
도 2a 내지 도 2d는 또한 예를 들어 내부 도체 공간(21)의 횡단면 형태가 적어도 외부 도체(1) 내에서 분기 라인 리세스 또는 분기 라인 채널(9)이 제공되어 있는 영역 밖에서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원통형 또는 일반적으로 n 다각형의 횡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와 같은 횡단면 형태는 외부 도체 내부면(1a)에 의해서 형성된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k도 내부 도체(5), 즉 내부 도체 섹션(5a) 및 특히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이 상이한 횡단면 형태, 예를 들어 원형의 횡단면 형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횡단면 형태, 일반적으로는 n 다각형의 횡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내부 도체 횡단면을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들 사이의 원형 천이 영역에 제공된 횡단면 형태와 같은 타원형의 횡단면 형태 또는 혼합 형상도 가능하다. 그러나 타원형의 횡단면 형태 등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제약이 전혀 없다.
도 2a 내지 도 2k에 따른 횡단면도들은 또한 다른 무엇보다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도 상이한 횡단면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는 것, 예를 들어 원형의 횡단면 형태 혹은 각진 횡단면 형태를 갖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혹은 섹션 방식으로 각진 혹은 정사각형의 외부면(15b) 및 내부에 있고 마찬가지로 부분적으로 혹은 섹션 방식으로 원형, 정사각형 혹은 일반적으로 n 다각형의 내부면(15c) 등을 갖는 중공 실린더의 형태를 따른 상이한 횡단면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경우에도 개별 벽 섹션들, 다시 말해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115)의 외측 혹은 내측에 있는 개별 표면들은 각진 부분 또는 원형으로 처리된 부분을 거쳐서 인접하는 다음 벽 섹션으로 넘어갈 수 있다.
도 2j를 참조해서는 예를 들어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가 자체 외부면(15b)과 관련하여 타원형의 횡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이와 달리 내부에서 내부 도체 단부 섹션 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면(15c)들이 상이한 횡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는 것, 예를 들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에 가까운 횡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도 2f에 따른 예는 또한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115)가 원주 방향으로 완전히 둘러싸여 있지 않고, 오히려 도 2g에 따른 실시 예에서와 유사하게 개구 섹션(15d)을 구비할 수 있다는 사실도 보여준다. 이 경우 도 2g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개구 영역(15d) 그리고 내부 도체 단부 섹션(5b)과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 사이의 간격도 유전체(23)로 채워진다.
도 2h 및 도 2i에 따른 예들은 또한, 연장부 안에 상호 배치된 두 개 내부 도체 섹션(5a)의 위?아래로 겹쳐서 배치된 내부 도체 정면(5b)들 간의 용량성 결합 이외에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115)까지 뻗는 개별 내부 도체 단부 섹션(5b)과 상기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115)로부터 다음 내부 도체 섹션(5a)의 이웃하는 다음 내부 도체 단부 섹션까지 뻗는 개별 내부 도체 단부 섹션(5b) 간의 추가 결합을 형성하기 위하여,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115)가 예를 들어 내부 도체 섹션을 기준으로 단지 측면 영역 또는 부분 둘레 영역에서만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또는 일반적으로는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에 대하여 다소 중첩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는 사실도 보여준다.
이 경우 도 2f, 2g, 2h 혹은 2i 또는 2j는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가 상호 결합될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을 10°이상의 둘레 영역에서, 특히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200°, 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 300°, 310°, 320°, 330°, 340°, 350°이상의 둘레 영역에서 둘러쌀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동일한 횡단면도들은 또한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가 상호 결합될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을 360°, 350°, 340°, 330°, 320°, 310°, 300°, 290°, 280°, 270°, 260°, 250°, 240°, 230°, 220°, 210°, 200°, 190°, 180°, 170°, 160°, 150°, 140°, 130°, 120°, 110°, 100°, 90°, 80°, 70°, 60°, 50°, 40°, 30°미만만큼 그리고 특히 20°미만만큼 둘러쌀 수 있다는 사실도 보여준다.
도 2h에 따른 실시 예는 예를 들어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115)의 횡단면 형태가 절반 실린더 형태일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며, 이 경우 도 2i에 따른 변형 예는 상기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115)가 단지 부분 둘레 영역에서만 내부 도체 단부 섹션을 둘러싸거나 또는 이 목적으로 배치된 경우에도 상기 커플링 부재(115)의 형상이 내부 윤곽(15c)으로부터 벗어나는 외부 윤곽(15b)을 가질 수 있다는 것, 예를 들면 내부가 절반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외부가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상기 실시 예들은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의 형상 또는 배열 상태와 관련해서 제약이 전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도 2k에 따른 실시 예는 또한 예를 들어 상응하는 내부 도체 단부 섹션(5b) 및 일반적으로 상기 내부 도체 단부 섹션(5b)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는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가 평평한 모양으로, 즉 플레이트 형태로,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평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 도체 단부 섹션(5b)과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 사이에는 횡단면 상으로 볼 때 마찬가지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유전체(23)가 존재한다는 사실도 보여준다. 도 2k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재차 상기 하나의 내부 도체 단부 섹션 아래에 (횡단면 상으로 볼 때 직사각형인) 추가 유전체(23')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유전체도 또한 커플링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실시 예들 중에 몇 가지 실시 예들은 또한 외부 도체가 상응하는 내부 도체 채널(3)을 구비한 폐쇄된 전체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사실도 보여준다. 도 2b, 도 2c, 도 2d, 도 2f, 도 2g, 도 2i 및 도 2k에 따른 변형 예들은 또한 외부 도체 하우징이 두 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고, 바람직하게 해체 가능한 외부 도체 하우징 커버(1a)로 폐쇄된 고유한 하우징 섹션을 포함한다는 사실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도 2a를 참조하여 대안적으로 그리고 보완적으로 기재될 사실은, 상기 하우징이 또한 두 개의 하우징 절반(1b 및 1c)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두 개의 하우징 절반이 분리 평면(T)을 따라 바람직하게는 중앙에서 내부 도체의 높이에서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분리 평면이 또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고 반드시 내부 도체 섹션의 평면에 배치될 필요도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기 두 개의 하우징 부분은 상이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 경우에는 임의의 변형이 가능하다.
최종적으로 상기 도 2a 내지 도 2k를 참조해서 드러나는 사실은 모든 윤곽, 횡단면 형태, 내부에 있는 표면 또는 외부로 향하는 외부 도체의 표면, 내부 도체 섹션, 커플링 부재, 유전체 등과 관련하여 다수의 혼합 형상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도 2a 내지 도 2k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들은 가능한 변형 예들 중에서 단지 소수의 변형 예들만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도 1a 혹은 도 1b와 달리 도 3a를 참조한 개략적인 축 방향 종단면도 및 도 3b를 참조한 개략적인 축 방향 단면도는 분기 라인(7)을 통한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와 외부 도체(1) 간의 전기 접속이 갈바니 전기적으로뿐만 아니라 용량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본 실시 예에서 분기 라인(7)은 분기 라인 베이스(7a)의 형태로 형성된 분기 라인 커플링 섹션(7a)을 갖는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에 대하여 마주 놓여 있으며, 상기 분기 라인 베이스(7a)는 도 3a에 따른 변형 예의 좌측에서는 입방체 형상, 예를 들어 정육면체 형상뿐만 아니라 원통형의 형상도 가질 수 있고, 도 3a에 따른 변형 예의 우측에서는 볼 형상 혹은 마찬가지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에 상응하게 외부 도체(1a)의 재료 내에는 리세스(1b)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리세스 안에는 상응하는 분기 라인 커플링 섹션(7a)이 결합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외부 도체 리세스(1b)는 상기 분기 라인 베이스 섹션(7a)의 횡단면 형태 또는 윤곽에 맞추어 적응되어 있다(하지만, 이 경우에도 변형은 가능하고, 외부 도체 리세스(1b)의 횡단면 형태는 상기 분기 라인 베이스 섹션(7a)의 횡단면 형태 또는 윤곽과 다르거나 또는 완전히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a에 따른 변형 예의 좌측에서 분기 라인 커플링 섹션(7a)과 외부 도체 리세스(1b) 사이에는 고체 유전체(23a)가 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분기 라인 섹션(7)이 외부 도체 하우징(10)의 외부 도체(1)에 고정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115)가 내부 도체 공간(21) 안에 고정적으로 그리고 안정적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 경우에는 언급된 바와 같이,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15)도 마찬가지로 고체 유전체(23)를 구비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상황을 통해 내부 도체 단부 섹션(5a)도 마찬가지로 고정 및 위치 설정되고, 고유한 내부 도체 섹션(5a)은 추가의 유전성 간격 유지 부재를 통해 내부 도체 공간(21) 안에 고정 및 위치 설정될 필요가 없어진다. 도 3a에 따른 우측 변형 예에서는 분기 라인 커플링 섹션(7a)과 외부 도체 리세스(1b) 사이에 유전체(23a)로서 공기가 제공되어 있다.
도 3a(종단면도) 및 도 3b(도 3a의 선 Ⅲ-Ⅲ을 따라 절단된 횡단면도)에 따른 변형 예는 또한 커플링 장치(15)가 축 세로 방향으로도, 다시 말해 내부 도체 섹션(5a)의 연장 방향(X1)으로도 동일하게 형성될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원주 방향으로 다양한 섹션에서 상이한 길이 연장부 그리고 그와 더불어 해당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을 갖는 상이한 크기의 중첩 섹션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도 보여준다.
또한, 내부 도체 섹션들은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도 있고, 축 방향 길이 연장부에도 계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계단에서는 내부 도체 섹션들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으로 변형되거나 또는 그 반대로 변형된다. 그밖에 커플링 부재 영역(예를 들어 외부 도체의 내부면 영역)에는 추가의 유전체가 더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유전체는 예를 들어 커플링 부재까지 뻗거나 또는 그전에 종료된다. 하지만, 상기 변형 예들은 도면의 개관을 명확하게 할 목적으로 도 3a 및 도 3b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본 경우에는 소수의 변형 예를 도시하고 재현하는 도 2a 내지 도 2k가 부분적으로 참조된다.
도 4a 내지 도 4h를 참조하여 드러나는 또 다른 사실은, 내부 도체 섹션(5a)의 정면(5d)들 간의 결합 그리고 내부 도체 단부 섹션(5b)을 통한 보완적인 결합이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를 통해 중개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4a에 따른 변형 예에서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은 동일한 직경으로 그리고 예를 들어 동일한 횡단면 형태로, 말하자면 원형으로 형성되며, 이 경우에는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가 내부 도체 단부 섹션의 외부 직경보다 더 큰 내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내부 도체 단부 섹션은 튜브 형태로 형성된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 내부(15e)에 소정의 축 방향 길이만큼 잠길 수 있고, 그 결과 해당 내부 도체 정면(5b)들은 언급된 상호 간격(A)을 두고 종료된다. 본 실시 예에서 커플링 장치(15)의 내부 공간(15e)은 고체 유전체(23)로 채워지고, 예를 들어 캐스팅되며,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내부 도체 섹션(5b)은 기계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b에 따른 변형 예에서 최외곽에 놓인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은 이웃하는 자체 정면(5b)에 주변을 둘러싸는 링형 돌출부(5r)를 구비하는데, 다시 말하자면 인접하는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보다 더 큰 외부 직경을 갖는 영역을 구비한다. 특히 원주 방향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폐쇄된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115)가 유전체(23)로 캐스팅되거나 채워진 경우에는, 이로 인해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이 방사 방향으로뿐만 아니라 축 방향으로도 상기 유전체에 대하여 특히 유리하게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도 4c에 따른 변형 예에서는 우측에 도시된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의 단부 영역에 주변을 둘러싸는 내부 도체 홈(5n)이 형성됨으로써, 상기와 동일한 장점이 얻어진다. 이 경우에도 내부 도체 및 유전체에 대하여 우수한 축 방향 고정이 이루어진다.
도 4d에 따른 변형 예에서는 하나의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이 예를 들어 팩 보어(일반적으로는 내부 도체 수용부(5"c))로 형성되고, 상기 팩 보어 안에는 상기 팩 보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외부 직경으로 형성된 제 2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이 무접촉 상태로 소정의 축 방향 길이만큼 삽입된다. 본 변형 예에서도 한 편으로는 상기와 같이 위치 설정된 두 개의 내부 도체 섹션(5a) 사이에 존재하는 두 개의 단부 섹션(5c) 간에 직접적인 용량성 결합이 구현되고, 다른 한 편으로는 하나의 내부 도체 섹션(5a) 또는 (전술된 내부 도체 수용부(5"c)를 구비한)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으로부터 상기 섹션과 중첩 배치된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까지 용량성 결합이 구현되며, 그리고 상기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로부터 도 4d의 우측에 배치된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까지 추가의 용량성 결합이 구현된다. 마지막으로 유전체(23)는 우측에서 커플링 장치 위로 방사 방향으로 돌출한다.
도 4e에 따른 실시 예에서 내부 도체 섹션(5a)들의 직경은 상이하고, 도면에 도시된 두 개 내부 도체 단부 섹션의 중앙 축도 상이하다. 도 4e에서는 중앙 축(X2 및 X3)이 상호 변위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우측에 있는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의 외부 둘레의 간격은 예를 들어 튜브 형태의 또는 중공 실린더 형태의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에 대하여 동축으로 배치될 수 없다. 또한, 도 4e의 좌측에 배치된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은 점차 좁아지는 폐쇄 섹션(5'c)으로 변환되고, 상기 폐쇄 섹션은 상대적으로 더 작은 외부 직경을 갖는다. 이 경우 우측에 배치된 내부 도체 단부 섹션은 유전체(23)에 이웃해서 주변을 둘러싸는 링형 쇼울더(5)를 가지며, 상기 링형 쇼울더는 유전체 안으로 잠기는 내부 도체 단부 섹션보다 더 큰 외부 직경을 갖는다.
도 4f에 따른 변형 예는 단지 플레이트 형태의 커플링 부재(115)만을 보여주며, 상기 플레이트 형태의 커플링 부재는 유전체(23)의 중간 접속을 통하여 위?아래로 겹쳐서 뻗는 그리고 상호 짧은 간격(A)을 두고 종료되는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에 대하여 평행하게 (상기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에 대하여 평행한 위치에) 중첩 방식으로 배치되어 상기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과 결합된다.
도 4g에 따른 변형 예는 또한 커플링 부재가 (예를 들어 이 커플링 부재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폐쇄된 경우에도) 자신의 축 방향 길이를 초과하여 동일한 외부 직경 또는 내부 직경을 가질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도 4g에 따른 본 실시 예에서는 커플링 부재가 원추형으로 형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예를 들어 도 4c 및 도 4e를 참조해서 계단을 위한 융기부(15e 혹은 15s)와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도체에 뿐만 아니라 커플링 장치(15)에도 계단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h는 상호 결합될 내부 도체 단부 섹션들이 반드시 축 방향 연장부 안에 직접 상호 용량성으로 배치될 필요가 없고, 오히려 옆으로 나란히 배치된 상태로 종료될 수 있다는 사실을 단지 개략적으로만 보여준다. 이 경우에는 도 4h에 따라 횡단면도 상으로 볼 때 포크 모양으로 뻗는 그리고 좌측에 배치된 내부 도체 단부 섹션을 위한 두 개의 마주 놓인 내부 도체 단부 섹션(5d)이 도시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내부 도체 단부 섹션(5d) 안에는 우측에 배치된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의 점차 좁아지는 내부 도체 단부 섹션(5e)이 (동축으로 또는 외부 중앙에서) 결합되며, 이 경우 서로 직접 결합된 단부 섹션을 구비한 본 실시 예의 전체 장치는 상기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 안에 잠긴다.
도 5a(종단면도) 및 도 5b(도 5a의 선 Ⅴ도체 수용부Ⅴ를 따라 절단된 횡단면도)에 따른 실시 예도 도 1a 및 도 1b에 따른 변형 실시 예에 대하여 반대 의미에서 비슷한 전술된 실시 예들과 유사한 한 가지 추가 변형 예를 보여준다. 도 5a 및 도 5b에 따른 본 실시 예에서는 정면에서 결합될 내부 도체 섹션(5b)의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이 포크 모양으로 또는 포트 모양으로 또는 혼합 형상으로 종료되며, 이 경우 고유한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115)는 상기 포크 모양의 또는 포트 모양의 내부 도체 단부 섹션 사이에서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한 편으로는 내부 도체 단부 섹션들 사이에서 직접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개별 내부 도체 단부 섹션과 해당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 사이에서 다중 용량성 결합이 나타나게 된다.
도 6a는 도 5a에 상응하는 실시 예를 보여주지만, 도 3a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게 분기 라인(7)이 외부 도체와 갈바니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고, 오히려 분기 라인 베이스 섹션(7a)의 영역에서 용량성으로 결합된다는 점에서 도 5a와 상이하다. 도 6b는 도 6a의 선 Ⅵ-Ⅵ을 따라 절단된 상응하는 횡단면도를 보여준다. 본 실시 예에서도 베이스 섹션에는 재차 고체 유전체 또는 공기가 유전체로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도 6b에 따른 횡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또 다른 사실은, 분기 라인 커플링 섹션(7a)이 핀 형태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외부 도체(1)에 상응하게 형성된, 본 경우에는 평평한 커플링 평면에 대하여 약간의 간격(A1)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재차 고체 재료로 이루어지고 기체로 이루어지지 않은 유전체(23')도 제공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말해서 상기 외부 도체의 커플링 면은 외부 도체의 연장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뻗는다.
도 7a에 따른 축 방향 종단면도 및 7a의 선 Ⅶ-Ⅶ을 따라 절단된 횡단면도를 참조해서 드러나는 사실은, 전술된 변형 예들 중 한 가지 변형 예에 따른 본 발명의 모든 고역 통과 필터 구조물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공통 고역 통과 필터에 대하여 직렬로 접속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7a에 따른 변형 예에서는 예를 들어 두 개의 고역 통과 필터가 직렬로 상호 접속되어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고역 통과 필터는 도 5a에 따른 실시 예의 구조물에 상응하고, 그 우측에 배치된 고역 통과 필터는 도 1a에 따른 변형 예에 상응한다. 그럼으로써 두 개의 추가 차단 극을 갖는 고역 통과 필터가 얻어진다.
도 8a 및 도 8b에 따른 변형 예는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를 참조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은 소수의 고역 통과 필터도 서문에서 선행 기술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종래의 고역 통과 필터 구조물과 상호 접속될 수 있다는 사실만을 보여준다.
도 9a 및 도 9b에 따른 변형 예에서는 분기 라인(7)이 반드시 외부 도체 하우징(1) 안에 있는 분기 라인 채널(9)에서 종료될 필요가 없다는 것,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전술된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외부 도체 하우징이 반드시 외부 도체 하우징 확장부(1')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만이 드러난다. 도 9a, 도 9b에 따른 변형 예에서는 예를 들어 횡단면이 정사각형 또는 튜브 형태인 외부 도체 하우징 사용되고, 상기 외부 도체 하우징 내에서 상응하는 내부 도체 공간(21) 안에는 커플링 부재 및 상기 커플링 부재로부터 뻗어나오는 분기 라인들을 갖는 내부 도체 섹션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분기 라인들은 단부에서 외부 도체 하우징과 갈바니 전기 방식으로 접속되거나 또는 용량성으로 결합된다.
개별 분기 라인들도 마찬가지로 마주 보는 측에서 외부 도체 하우징과 갈바니 전기 방식으로 또는 용량성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단부에 있는 커버 혹은 바닥과 갈바니 전기 방식으로 또는 용량성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앞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개별 분기 라인 채널(9)이 상응하는 커버 구조물 안에 제공될 수도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이 경우에는 분기 라인이 제공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0a 및 10b를 참조해서는 또한 추가의 튜닝 부재(T)가 외부 도체 하우징의 하나 또는 다수의 장소에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내부 공간(21) 안으로 상이한 폭으로 회전 삽입 및 회전 인출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는 사실도 드러난다. 도 10b에 따른 변형 예에서 우측에 있는 튜닝 부재(T)는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개구 섹션(15d)을 거쳐서 커플링 부재(115) 내부에 있는 공간 안으로 삽입되어 심지어 상기 공간에 제공된 유전체 내부의 자유 공간 내부까지 돌출하며, 그리고 또한 외부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추가의 회전 삽입 및 외전 인출 동작에 의해 외부 도체 하우징 안으로 깊숙이 삽입하도록 조절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공지된 조치들에 의해서는 개별 라인 섹션들 혹은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들의 전기적 특성이 변경될 수 있음으로써 고역 통과 필터의 주파수 파형이 규정 및 요구에 상응하여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금속 및 금속 합금으로 구성된 모든 도전성 구조물은 예를 들어 캐스팅, 밀링, 회전, 디프 드로잉 또는 시트 혹은 벤딩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전술된 상응하는 도전성 부분들을 절연체, 플라스틱, 일반적으로 유전체로 구성하고 그와 더불어 상기 전도성 부분 또는 표면을 전도성 면으로 코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외부 도체를 위한) 금속 구성 부품 그리고 커플링 부재, 내부 도체 섹션 또는 분기 라인과 같이 내부에 배치된 부분들의 혼합 형상들도 도전성 표면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도전성 표면 위에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유전성 재료로 구성된 도전성 트랙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 예들을 참조해서 드러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틀 안에서는 기본적으로 동축의 구조를 갖는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외부 도체 내부로 뻗는 내부 도체 혹은 내부 도체 섹션을 갖는) 고역 통과 필터가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역 통과 필터는 통과 대역 아래에서 추가의 차단 극을 형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금속성 또는 도전성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 혹은 상응하는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는 사용되는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115)당, 일반적으로 다시 말하자면 사용되는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당 하나의 차단 극이 성취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고역 통과 필터 구조물의 상응하는 다중 접속에 의해서는 상호 변위 배치된 다수의 차단 극을 갖는 고역 통과 필터가 구성될 수 있다.
도 11에는 두 개의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를 갖는 레벨 5의 본 발명에 따른 고역 통과 필터의 경우를 위한 S 파라미터와 선행 기술에 따른 해결책(도 12a 및 도 12b)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S 파라미터가 상호 비교 도시되어 있으며, 특히 주파수 위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삼각형 및 정사각형으로 표시된 곡선들은 본 발명에 따른 고역 통과 필터와 관련이 있는 한편, │ 또는 원으로 표시된 측정점들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선행 기술에 따른 고역 통과 필터와 관련이 있다. 이로부터 분명하게 알 수 있는 사실은, 두 개의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를 사용하는 본 발명에 의해 통과 대역(f_sperr) 아래에서 두 개의 추가 차단 극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통과 대역(f_sperr) 아래에서 필터 특성의 현저한 경사화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이때 y축 상에서는 화살표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증가하는 차단 감쇠의 크기가 나타난다.
전술된 고역 통과 필터는 통상적으로 100 MHz 내지 10 GHz의 주파수 범위 안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개별 도체 섹션, 다시 말해 개별 도체 부재(5b)의 전기적인 상호 접속은 직접 결합된 내부 도체 섹션들의 정면 간격을 통해서 그리고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또는 상기 내부 도체 단부 섹션의 외부면(5d))과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 특히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115)의 인접하는 상부면 또는 내부면(15c) 사이의 간격을 통해서 그리고 유전체의 사용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상기 간격들의 크기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라인 부재들의 정면 용량성 결합은 통과 대역 아래에서 차단 극을 형성한다.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들은 외부 도체와 갈바니 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또는 용량성으로 결합된다.
마지막으로 더 언급할 사실은, 내부 도체뿐만 아니라 커플링 장치도 처음부터 완전히 상이한 도전성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도전성 코팅을 구비한 유전체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며,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분기 라인과 마찬가지로 내부 도체도 평탄 재료 또는 시트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제약이 전혀 없다.
전술된 고역 통과 필터 구조물에 의해서는 예를 들어 저역 통과 필터 및 고역 통과 필터로 이루어진 듀플렉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각각 고역 통과 필터를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필터 구조물이 사용될 수 있고, 저역 통과 필터를 위해서는 종래의 필터 구조물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9)

  1. 고주파 필터로서,
    외부 도체(1)를 구비하고,
    내부 도체 장치(5)를 구비하며,
    두 개 이상의 내부 도체 섹션(5a)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도체 섹션들은 자체 내부 도체 정면(5b)에서 또는 자체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에서 상기 내부 도체 정면(5b)과 상기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 사이에 간격(A)을 형성하면서 용량성으로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분기 라인(7)을 구비하고, 상기 분기 라인을 통해 상기 내부 도체 장치(5)와 상기 외부 도체(1) 사이에 전기 접속이 이루어지는, 고주파 필터에 있어서,
    상호 결합된 두 개 내부 도체 섹션(5a)의 용량성으로 결합된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 또는 용량성으로 결합된 두 개 이상의 내부 도체 정면(5b)에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115)가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115)는 상기 상호 결합된 내부 도체 섹션(5a)의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 상태로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분기 라인(7)은 상기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 혹은 상기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115)와 상기 외부 도체(1) 사이에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는 튜브 형태로 형성되며, 이 경우 상호 결합될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은 상기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의 내부 공간(15b) 안에 잠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필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는 단지 부분적으로만 원주 방향으로 진행하고, 개구 섹션(15d)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필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는 상호 결합될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을 10°이상의 둘레 영역에서, 특히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200°, 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 300°, 310°, 320°, 330°, 340°, 350°이상의 둘레 영역에서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필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는 상호 결합될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을 360°, 350°, 340°, 330°, 320°, 310°, 300°, 290°, 280°, 270°, 260°, 250°, 240°, 230°, 220°, 210°, 200°, 190°, 180°, 170°, 160°, 150°, 140°, 130°, 120°, 110°, 100°, 90°, 80°, 70°, 60°, 50°, 40°, 30°미만만큼 그리고 특히 20°미만만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필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결합될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은 해당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 안에 상이한 폭으로 잠기거나 또는 해당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와 상이한 길이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필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결합될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은 상호 동축으로 그리고 그와 동시에 상기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또는 외부 중앙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필터.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결합될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은 자체 중앙 축들이 상호 측면 변위된 상태로 놓이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필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1), 상기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 및 상기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은 상이한 직경, 상이한 횡단면 형태 또는 상이한 형상을 갖고, 특히 핀 모양, 포크 모양 또는 포트 모양을 갖고 또는 상이한 외부 직경 또는 내부 직경, 계단 또는 돌출부를 갖거나 또는 포함하거나 또는 적어도 세로 방향으로 원추형으로 변형되는 외부면 또는 내부면을 갖춘 섹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필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특히 내부 도체 커플링 부재(115)의 형태로 형성된 상기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n 다각형의 횡단면 형상 또는 오목한 아크 섹션이 형성된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또는
    b) 상기 개별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 쪽을 향하고 있는 내부 또는 표면 섹션(15c)은 직선으로 뻗거나 또는 상호 각을 형성하거나 또는 아크 형태의 표면 섹션을 갖춘 표면을 가지며, 또는
    c) 상기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으로부터 출발하여 외부 도체(1)의 방향으로 향하는 표면 섹션(15b)은 직선의 또는 경우에 따라 상호 각을 형성하는 표면 섹션 또는 곡선의 표면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필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기 라인(7)은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와 마주 놓인 자체 단부에서 외부 도체(1)와 갈바니 전기 방식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필터.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기 라인(7)은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와 마주 놓인 자체 단부에서 외부 도체(1)와 용량성으로 결합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필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라인(7)은 분기 라인, 커플링 또는 베이스 섹션(7a)을 갖고, 상기 섹션은 공기 또는 고체 재료로 이루어진 유전체를 사용해서 바람직하게는 외부 도체 리세스(1') 안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필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은 고체 유전체(23)를 사용해서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와 고정되고 또는 상기 내부 도체 섹션(5b)은 고체 유전체를 사용해서 외부 도체 내부면(1a)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필터.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는 외부 도체와 갈바니 전기 방식으로 접속된 분기 라인(7)을 통해서 또는 유전체(23a)를 사용해서 외부 도체(1)와 용량성으로 결합된 분기 라인(7)을 통해서 기계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필터.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호 결합된 다수 쌍의 내부 도체 섹션(5a)이 연속으로 접속되며, 그리고 상호 결합된 각각의 내부 도체 섹션(5a) 쌍을 위해 각각 하나의 해당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를 사용하여 통과 영역 아래에서 추가의 차단 극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필터.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속으로 상호 결합된 내부 도체 섹션(5a) 쌍이 다수인 경우에는 상기 내부 도체 커플링 장치(15)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필터.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라인(7)은 내부 도체 공간(21) 안에 또는 상기 내부 도체 공간으로부터 가로로 멀리 뻗는 분기 라인 채널(9) 안에 제공되거나 또는 그 안에서 뻗으며, 이때 상기 분기 라인 채널(9)은 외부 도체 하우징(10)의 재료 안에 제공되거나 또는 외부 도체 커버(1a)의 재료 안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필터.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체 단부 섹션(5c)은 동일한 또는 상이한 형상을 갖고 그리고 그와 동시에 특히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필터.
KR1020117029722A 2009-07-01 2010-06-22 고주파 필터 KR101690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31373.7 2009-07-01
DE102009031373A DE102009031373A1 (de) 2009-07-01 2009-07-01 Hochfrequenzfilter
PCT/EP2010/003803 WO2011000501A1 (de) 2009-07-01 2010-06-22 Hochfrequenzfi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933A true KR20120111933A (ko) 2012-10-11
KR101690531B1 KR101690531B1 (ko) 2016-12-29

Family

ID=42757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9722A KR101690531B1 (ko) 2009-07-01 2010-06-22 고주파 필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40620B2 (ko)
EP (1) EP2449622B1 (ko)
KR (1) KR101690531B1 (ko)
CN (1) CN102473992B (ko)
DE (1) DE102009031373A1 (ko)
HK (1) HK1167748A1 (ko)
WO (1) WO20110005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6992B2 (ja) 2008-06-20 2014-04-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モード同期固体レーザ装置
CN102683779B (zh) * 2012-05-18 2014-09-10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通信腔体器件及其椭圆函数型高通滤波通路
EP3123556A4 (en) * 2014-03-24 2017-11-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axial fil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14116724A1 (de) * 2014-11-14 2016-05-19 Phoenix Contact Gmbh & Co. Kg Dielektrische Koppelhülse
DE102015006739A1 (de) * 2015-05-22 2016-11-24 Kathrein-Austria Ges.M.B.H. Hochfrequenzleitersystem mit leitungsgebundener HF-Durchführung
US9590583B2 (en) * 2015-06-29 2017-03-07 Agilent Technologies, Inc. Alternating current (AC) coupler for wideband AC signals and related methods
JP2017163535A (ja) * 2016-01-28 2017-09-14 マクドナルド,デットワイラー アンド アソシエイツ コーポレーション アンテナシステムのrfコンポーネントのための小型で軽量なtemラインネットワーク
CN110277614A (zh) * 2019-06-08 2019-09-24 扬州江嘉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传输零点的介质同轴低通滤波器
WO2023061572A1 (en) * 2021-10-13 2023-04-20 Hitachi Energy Switzerland Ag High voltage installation and waveguide for use in a high voltage install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16529A (en) * 1946-03-04 1950-07-25 Richard C Raymond Capacitive connection for coaxial lines
US3167729A (en) * 1962-10-29 1965-01-26 Sylvania Electric Prod Microwave filter insertable within outer wall of coaxial line
US3792385A (en) * 1972-11-06 1974-02-12 Rca Corp Coaxial magnetic slug tuner
US20060170522A1 (en) * 2005-02-03 2006-08-03 Friedrich Jakob Adjustable filte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0490A (en) * 1946-01-03 1953-03-03 Paul I Richards Coaxial transmission line filter
JPS5353906Y2 (ko) 1974-03-28 1978-12-23
US4329667A (en) * 1979-11-07 1982-05-11 Uti Corporation Coaxial cable low frequency band-pass filter
DE19907413C1 (de) * 1999-02-20 2000-08-31 Forschungszentrum Juelich Gmbh Koaxialwellenleiter
WO2004079795A2 (en) * 2003-03-04 2004-09-16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Coaxial waveguide microstructures and methods of formation thereof
DE10328881B3 (de) * 2003-06-26 2005-01-13 Kathrein-Werke Kg Kontaktfreier HF-Verbinder
DE102007061413A1 (de) 2007-12-11 2009-06-25 Telegärtner Karl Gärtner GmbH Hochpassfilter
DE102009019547A1 (de) 2009-04-30 2010-11-11 Kathrein-Werke Kg Filteranordn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16529A (en) * 1946-03-04 1950-07-25 Richard C Raymond Capacitive connection for coaxial lines
US3167729A (en) * 1962-10-29 1965-01-26 Sylvania Electric Prod Microwave filter insertable within outer wall of coaxial line
US3792385A (en) * 1972-11-06 1974-02-12 Rca Corp Coaxial magnetic slug tuner
US20060170522A1 (en) * 2005-02-03 2006-08-03 Friedrich Jakob Adjustable filt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531B1 (ko) 2016-12-29
US20120133457A1 (en) 2012-05-31
DE102009031373A1 (de) 2011-01-05
CN102473992B (zh) 2014-06-25
EP2449622B1 (de) 2021-04-07
US9240620B2 (en) 2016-01-19
WO2011000501A1 (de) 2011-01-06
CN102473992A (zh) 2012-05-23
HK1167748A1 (en) 2012-12-07
EP2449622A1 (de)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1933A (ko) 고주파 필터
US10205214B2 (en) Radio-frequency filter
FI121514B (fi) Kaistanestosuodatin
KR100263025B1 (ko) 유전체 필터
US7486162B2 (en) High frequency filter
KR101663534B1 (ko) 튜닝 가능한 고주파 필터
KR101484934B1 (ko) 폐쇄 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EP1732158A1 (en) Microwave filter including an end-wall coupled coaxial resonator
US8115569B2 (en) Monoblock dielectric multiplexer capable of processing multi-band signals
EP1715544B1 (en) Block filter
JP3395675B2 (ja) 帯域通過フィルタ、アンテナ共用器および通信装置
US6975181B2 (en) Dielectric resonator loaded metal cavity filter
KR20020091810A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장치
KR100317468B1 (ko) 유전체필터,듀플렉서및통신장치
EP2482377A1 (en) RF filter with coupling means for RF signals
KR19980079948A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897625B1 (ko)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와 nrn 스터브를 이용한 대역통과필터
CN108028451B (zh) 具有导线连接的hf引导通过装置的高频导体系统
KR100460617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JP2000091810A (ja) 誘電体フィルタ、複合誘電体フィルタ、アンテナ共用器および通信装置
KR101137438B1 (ko)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
KR100524545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장치
US6580338B1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esigning dielectric resonator apparatus
JP3622645B2 (ja)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JP2002204106A (ja) 複合誘電体フィルタ装置および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