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934B1 - 폐쇄 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 Google Patents

폐쇄 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934B1
KR101484934B1 KR1020097012217A KR20097012217A KR101484934B1 KR 101484934 B1 KR101484934 B1 KR 101484934B1 KR 1020097012217 A KR1020097012217 A KR 1020097012217A KR 20097012217 A KR20097012217 A KR 20097012217A KR 101484934 B1 KR101484934 B1 KR 101484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filter
frequency
inner conductor
coaxial resona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2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8822A (ko
Inventor
빌헬름 바잇첸베르거
Original Assignee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filed Critical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Publication of KR20090098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3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the coaxial cavity resonators being disposed parall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01P1/2136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using comb or interdigital filters; using cascaded coaxial cavities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갖는 개선된 고주파 필터와 관련이 있다: 이 고주파 필터는 한 주파수(fs)에서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포인트를 갖는 커플링 임피던스 공진 전송 특성을 가지며, 이 경우 주파수(fs)에서의 블로킹 포인트는 한 신호 경로(10) 상에서 직접 연속하는 2개의 동축 공진기(15) 사이에서 소정의 용량성 커플링(12/') 및 유도성(12/") 커플링을 미리 명시하고 또는 미리 선택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폐쇄 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HIGH FREQUENCY FILTER WITH CLOSED CIRCUIT COUPLING}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폐쇄 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 필터는 폭 넓은 범위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이동 무선 통신 기술에서 기지국과 이동 가입자의 통신은 기지국 내에 제공된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서 실행된다. 이 경우에는 송신 및 수신 신호를 위하여 단 하나의 공통된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경우 송신 및 수신 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 범위를 이용한다. 사용되는 안테나는 두 가지 주파수 범위에서 송신 및 수신하기에 적합해야만 한다.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한편으로는 송신 신호가 단지 송신기로부터 안테나로만 전달되도록(그리고 수신기로는 전달되지 않도록) 되어야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수신 신호가 안테나로부터 단지 수신기로만 전달되도록 적합한 주파수-필터링 과정이 필요하다.
상기 목적을 위해서는 두 가지가 모두 특정 주파수 대역을 통과하는, 다시 말해 각각 원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과하는 한 쌍의 고주파 필터(대역 통과 필터[band-pass filters])가 사용된다. 그러나 특정 주파수 대역을 차단(block)하는, 다시 말해 각각 원치 않는 주파수 대역을 봉쇄하는 한 쌍의 고주파 필터도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터는 대역 저지 필터로 불린다. 또한, 제 1 필터 및 제 2 필터로 이루어진 한 쌍의 고주파 필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상기 제 1 필터는 송신 대역과 수신 대역 사이에 놓인 주파수 아래의 주파수는 통과시키고 그 위에 놓인 대역들은 저지하며(저역 통과 필터[low-pass filter]), 상기 제 2 필터는 송신 대역과 수신 대역 사이에 놓인 주파수 아래의 주파수는 저지하고 그 위에 놓인 주파수들은 통과시킨다. 후자의 제 2 필터는 소위 고역 통과 필터(high-pass filter)이다. 전술된 형태의 필터들을 더 조합하여 이루어진 필터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기지국 내부에서의 송-수신 대역 분할은 일반적으로 듀플렉스 필터(duplex switch)에 의해서 실행되며, 상기 듀플렉스 필터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송-수신 경로를 가급적 피드백(feedback) 없이 공통 안테나에 연결하는 과제를 갖는다. 이 경우 듀플렉스 필터는 상호 접속된 두 개의 대역 통과 필터, 즉, 소위 송신 대역 통과 필터(TX-대역 통과 필터) 및 수신 대역 통과 필터(RX-대역 통과 필터)로 이루어지며, 또한 수신 분기, 송신 분기 및 공통으로 접속된 안테나용으로 별도의 단자들이 제공되어 있다.
듀플렉스 필터 내부에서 사용되는 대역 통과 필터들은 한편으로는 송신 대역 통과 필터(TX) 및 수신 대역 통과 필터(RX)의 상호 접속을 위해서 필요한 선택성(말하자면 필요한 저지 대역 감쇠(stop-band attenuation))가 표시되어야만 하고, 다른 한편으로 각 해당 개별 통과 대역에서는 요구 신호(wanted signal)를 가급적 적게 감쇠해야만 한다.
듀플렉스 필터 내부에서 사용되는 대역 통과 필터의 구조물들은 통상적인 이동 무선 통신 주파수 범위(예컨대 GSM/UMTS)에서는 주로 동축 공진기로 구성된다.
동축 공진기의 구조 및 기능 방식은 선행 기술에, 예를 들면 「"Ian Hunter: Theory and Design of Microwave Filters", IEE Electromagnetic Waves Series, No. 48, 1. Microwave filters, 197 페이지」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필터 이론에서는 차단 대역(blocking range)에서 전송 0점(소위 종료 극성(stop polarity 또는 blocking poles))을 표시하는 대역 통과 필터(소위 카우어(Cauer) 대역 통과 필터)가 기술되어 있다. 이와 같은 타입의 필터는 대부분 동축 공진기와 함께 소위 크로스-커플링(Cross-Coupling)으로 제작된다. 이 경우에는 인접하지 않는 공진기들(다시 말해 신호 파형에서 직접 연속하지 않는 공진기들)이 한 대역 통과 필터 구조물 내에서 용량성으로 또는 유도성으로 서로 결합됨으로써, 신호 분할 및 후속하는 위상 변위 결합에 의하여 전송 특성 곡선에서는 진폭 소거 상태가 나타난다. 이와 같은 크로스-커플링-기술은 예를 들어 「IEEE Transactions on microwave theory and techniques, Vol. 51, No. 4, 2003년 4월 "Cross-Coupling in Coaxial Cavity Filters - A Tutorial Overview", J. Brian Thomas, 1368 내지 1376 페이지」에서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소위 크로스-커플링에서는 반드시 필요한 크로스-커플링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는, 다시 말해 연속하여 배치되지 않는 공진기들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으로 인하여 상기 결합을 기계적으로 비로소 가능케 하는 필터-토폴러지(topology)가 요구된다.
크로스-커플링에 적합한 공진기 쌍의 개수가 제한되었기 때문에 제한된 개수의 종료 극성(blocking poles)만이 생성될 수 있다.
특히 듀플렉스 필터(스위치)의 형태로 된 폐쇄 회로(blocking circuit) 커플링을 구비한 일반적인 고주파 필터는 기본적으로 WO 2004/100305 A1호로부터 공지된 내용으로서 인용될 수 있다. 이 간행물에서는 3개의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즉 송신 분기용 단자, 수신 분기용 단자와 공통 안테나용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공진기를 구비한 고주파 필터가 기술되어 있다.
상기 전술된 선행 기술에서는 상기와 같은 듀플렉스 필터를 개선하기 위하여 서로 강하게 크로스 커플링된 적어도 한 쌍의 공진기를 듀플렉스 필터에 제공하는 방안이 제안되었으며, 이 경우 서로 강하게 크로스 커플링된 공진기들은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상이한 두 가지 커플링 공진 주파수에서 진동하며, 상기 커플링 공진 주파수는 단독으로 관찰하는 경우 강하게 크로스 커플링된 2개의 공진기가 각각 송신 대역과 수신 대역 사이의 주파수 범위에서 갖게 되는 공진 주파수 또는 상기 공진기들의 튜닝 기준이 되는 공진 주파수와는 상이하다.
예를 들어 WO 02/054527 A2호에는, 동축 고주파 필터의 경우에 2개의 인접한 공진기들 간의 결합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조치를 제공하는 내용이 공지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예를 들어 2개의 인접한 동축 공진기의 2개의 내부 도체 사이에 있는 분리 벽 상에, 즉 상부 중공 도체 벽 위에는 커플링 윈도우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을 변경하기 위해서 조정될 수 있는 커플링 튜닝 부재들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에서 기본적으로 비교 가능한 한 가지 해결 방안은 JP 09-199906 A호에도 공지되어 있으며, 이 간행물은 커플링을 변경하기 위하여 2개의 공진기 사이에 설정 루프(loop)를 사용하는 방안을 기술한다.
US 4 216 448호에 따르면, 네 개의 동축 공진기를 포함하는 커플링 구간에서는 (내부 도체의 축 방향 연장부에서 이루어지는) 나사 회전에 의하여 필터의 공진 특성이 상응하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사전 공개문에서는 전송 경로 상에서 이루어지는 제 1 공진기와 마지막 공진기 간의 결합(다시 말하자면 전송 경로 상에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2개의 공진기들 간의 결합이 아님)이 제안되었으며, 상기 결합은 특히 추가 커플링-윈도우에 의해서 그리고 상기 추가 커플링 윈도우의 방향으로 삽입되는 돌출부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US 5 389 903 A호에 따른 고주파 필터가 더 인용되며, 상기 고주파 필터는 원통형 헤드를 갖는 T자 모양의 내부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는 그 아래에서 헤드를 지지하는 내부 도체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상기 원통형 헤드는 내부 도체의 샤프트에 대하여 편심으로 변위될 수 있다. 각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는 전술된 선행 기술에서와 유사하게 나사에 의해서 추가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공진기들은 서로 유도성으로 그리고 용량성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유도성 또는 용량성 커플링은 우선적으로는 샤프트들 간의 거리 그리고 내부 도체 헤드들 간의 거리를 기준으로 한 비율 변경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다. 정밀한 설정을 위해서 개별 공진기들 사이에 있는 조절 나사도 이용된다.
이미 도입부에서 언급된 모든 사전 공개문들은 개별 동축 공진기들을 상호 결합시키는 내용 그리고 공진기들의 결합을 변경하여 상이하게 설정하는 내용이 이미 공지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렇지만, 특히 대역 통과 필터를 구성할 때에 전송 0점(소위 종료 극성)을 갖는 저지 대역이 형성되어야만 하는 경우, 지금까지는 상호 직접 이웃하도록 놓이지 않은 공진기들(다시 말해 신호 전송 경로 상에서 직접 연속하지 않는 공진기들)을 추가의 조치에 의해서 용량성으로 또는 유도성으로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신호 분할 및 후속하는 위상 변위 결합에 의하여 전송 특성 곡선에서 진폭 소거 상태(전송 0점 또는 블로킹 포인트)가 나타나도록 하는 조치가 반드시 필요했다. 이와 같은 조치는 도입부에 언급된 소위 커플링-기술의 틀 안에서 실행된다.
동류의 고주파 필터는 WO 99/30383 A호에 공지되어 있다. 하나의 고주파 필터는 결합된 다수의 동축 공진기를 포함하며, 상기 동축 공진기는 커플링 임피던스에 의존하는 전송 특성을 갖고, 이 목적을 위하여 하나의 신호 경로 상에서 서로 직접 연속하는 2개의 동축 공진기는 하나의 커플링 커패시터 및 하나의 커플링 인덕터를 구비한다.
세라믹 튜플렉스 필터는 또한 US 5 528 204호에도 공지되었다. 상기 세라믹 필터는 폐쇄 회로 커플링을 구비한다. 유전체 필터의 경우에 폐쇄 회로 커플링의 구현은 다른 필터 타입들과 달리 완전히 상이하고 비교적 간단한데, 그 이유는 상기 유전체 필터 타입의 작고 매우 컴팩트한 치수 때문에 블로킹 포인트를 형성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강한 용량성 및 유도성 커플링이 비교적 문제없이 구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내용의 근거는 공진기들의 간격이 작다는 것 그리고 유전체 재료가 지니고 있는 커플링 보강 특성이다.
마지막으로 US 3 736 536호에 따른 마이크로파-필터, 다시 말해 재차 완전히 다른 구성 방식의 필터 타입도 참조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미리 설정 가능한 주파수 또는 주파수 범위를 위한 개선된 통과 작용 및/또는 차단 작용을 갖는, (말하자면 유전체를 사용하지 않는 소위 "공기-체임버"를 구비한) 동축 공진기를 사용하는 개선된 고주파 필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 경우에는 필터-토폴러지와 관련된 제약들이 가급적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특징들에 상응하게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대역 필터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 50% 미만만큼 떨어져 있는 한 주파수에서 그리고 특히 하나의 신호 경로 상에 직접 서로 이웃하여 제공된 2개의 동축 공진기가 상응하게 결합 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포인트(다시 말해 적어도 하나의 종료 극성)이 발생될 수 있다는 사실은 완전히 놀라운 발견임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선행 기술과 비교되는 개선은, 실제로 전자기 방식으로 결합된 동축 공진기를 구비하는 고주파 필터에 전송 경로 내에서 서로 직접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동축 공진기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선별된 동축 공진기 쌍과 관련하여 특별히 사전 선택할 수 있는 그리고/또는 미리 설정할 수 있는 커플링 임피던스가 할당됨으로써 성취되며, 상기 커플링 임피던스는 용량성(capacitive) 커플링과 유도성(inductive) 커플링의 조합에 의하여 소정의 저지 주파수(blocking frequency)를 갖는 커플링 임피던스 공진이 나타나도록 설계되었다. 이와 같은 방식의 결합이 고주파 필터의 전송 특성에서 블로킹 포인트(blocking point)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상기 결합은 이하에서 폐쇄 회로 커플링으로도 표기된다.
다른 말로 말하자면 본 발명의 틀 안에서 볼 때 상기 폐쇄 회로 커플링, 다시 말해 저지 주파수는 상기 폐쇄 회로 커플링이 한편으로는 HF-필터의 통과 대역 밖에 있도록 설계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HF-필터의 저지 대역 안에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저지 주파수는 바람직하게 다른 무엇보다도 상기 저지 주파수에 실제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또는 상기 저지 주파수를 결정하는 두 가지 변수를 변경 및/또는 조절 및/또는 사전 선택함으로써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소정의 유도성 공진기 커플링에 더하여 소정의(defined) 용량성 커플링이 이루어진다는 내용이 중요하다. 이때 상기 소정의(defined) 유도성 커플링은 예를 들어 결합할 공진기들의 간격을 통해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요구되는 용량성 커플링은 예를 들어 결합할 공진기들의 상부면에서 이루어지는 타원형 확장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두 가지 변수들 각각의 변경이 각각 다른 한쪽의 변수에 대하여 소정의 영향력을 행사하더라도, 유도성 커플링 그리고 용량성 커플링의 사전 설정에 의해서 인접한 공진기들의 원하는 결합이 변경 설정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HF-필터의 통과 대역 밖에서 그리고 HF-필터의 저지 대역 안에서는 원하는 감쇠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틀 안에서 볼 때에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장점들이 구현될 수 있다:
● 첫째로, 인접한 공진기들이 서로 결합되어 블로킹 포인트(blocking point)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의 블로킹 포인트 형성에 의해서 고주파 필터를 제작할 때에 필터-토폴러지 구성에서 선행 기술에서와 같은 심각한 단점들, 다시 말해 동축 공진기의 배열과 관련된 제약들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중요한 장점이 제공된다. 선행 기술에서는 소위 "크로스-커플링"에서 (다시 말해 크로스 커플링을 제조할 때에) 반드시 필요한 상호결합이 인접한 공진기들 사이에서 전혀 실행될 수 없다는 심각한 단점이 존재했었다. 이와 같은 단점으로 인해 인접하지 않는 2개 공진기 간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매우 특이한 필터-토폴러지가 필요했다.
● 본 발명의 틀 안에서는 인접한 2개 공진기의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가능성은 기본적으로 임의의 다수의 이웃하는 공진기 쌍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옵션(option)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틀 안에서 볼 때 공진기가 n개인 경우에는 심지어 n-1개의 블로킹 포인트가 형성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하자면 종래의 크로스-커플링에서보다 훨씬 더 많은 블로킹 포인트가 형성될 수 있다.
● 본 발명의 틀 안에서는 용량성 커플링을 상응하게 설정하기 위하여 2개 내부 도체의 상부면에 방사형 연장부가 제공됨으로써 상기 2개 내부 도체의 간격이 줄어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필터의 전체 높이를 줄이기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듀플렉스 필터의 경우에 고주파 필터의 개략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본적인 도면이며;
도 2는 하나의 신호 경로를 갖는 한 고주파 필터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선 Ⅲ-Ⅲ을 따라 축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고;
도 5는 듀플렉스 필터용의 본 발명에 따른 대역 통과 필터의 통과 특성 및 감쇠 특성을 재현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이며;
도 6a 내지 도 6f는 커플링 용량성 또는 커플링 유도성을 상이하게 설정했을 경우의 다양한 도면들이다.
도 1에는 듀플렉스 필터(3)의 형태로 된 고주파 필터가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HF-필터(1)가 세 개의 단자(5, 7 및 9), 다시 말하자면 단자(TX), 단자(RX) 및 안테나 포트(AP)용 단자를 포함함으로써, 송신 신호들은 제 1 신호 경로를 통해서 송신 단자(5)로부터 출발하여 안테나 포트(AP)에 (그곳으로부터 공통의 안테나에) 제공될 수 있고, 그와 반대로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은 안테나 포트(AP)(단자(9))를 통해서 수신 단자(7)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듀플렉스 필터(3)는 두 개의 신호 경로 내부 각각에 상응하는 하나의 대역 통과 필터(11 또는 13)가 구비되며, 상기 대역 통과 필터는 송신 단자로부터 어떠한 신호도 수신 분기 내부에 도달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선택성(selection)(다시 말해 저지 감쇠)을 갖는다. 다른 한편으로는 요구 신호들을 위한 통과 대역들도 가급적 적게 감쇠되어야만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2에는 한 예로서 하나의 신호 경로(10)를 갖는 고주파 필터(1)가 (상부 덮개를 생략한 상태에서) 개략적인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신호 경로는 예를 들어 하나의 단자(5)로부터 다른 하나의 단자(9)로, 다시 말해 송신 단자로부터 안테나 포트 단자로 뻗고(다시 말해 한 듀플렉스 필터의 단 하나의 분기만을 보여주고 있음) 여섯 개의 동축 공진기(15)를 포함한다.
이 경우 동축 공진기(15)는 다수의 공진기 챔버(19)를 갖는 전도성 하우징(17)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전도성 하우징의 중앙 또는 거의 중앙 영역에서 - 도 3에 따른 도시 예로부터 드러나는 바와 같이 - 하우징 베이스(base=바닥)(17a)에 대하여 수직(perpendicular)으로 각각 하나의 전도성 내부 도체(21)가 연장되며, 상기 전도성 내부 도체는 하우징(17) 상에 올려질 수 있는 도전성 하우징(lid) 덮개(17b) 아래에서 적합한 간격을 두고 끝난다.
따라서 각각의 동축 공진기(15)는 주변을 둘러싸는 하우징 벽(17c)을 구비하며, 이 경우에는 신호 경로를 따라서 커플링 개구(23), 소위 애퍼처(apertures)가 관련 하우징 벽(17c) 내부에 제공됨으로써 윈도우가 형성되고, 상기 윈도우를 통해 전자기 파(waves)가 확산될 수 있다.
동축 단자(terminals)(5 및 9)에는 공지된 방식으로 내부 도체(5a 또는 9a)가 각각 제공되어 있고, 상기 내부 도체는 해당 공진기 체임버(19) 안으로 삽입(protrude)되어 예를 들어 전도성 표면 소자(conductive planar element)(5b 또는 9b)에서 끝나며,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용량성에 의하여 해당 내부 도체가 관련 동축 공진기(15) 안에 있게 되어 단자(5)에서의 전기장의 결합(coupling-in)이 이루어지고 단자(9)에서는 전기장의 상응하는 결합 해제(decoupling)가 이루어진다(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반대로 안테나에 수신된 신호는 전도성 표면 소자(9b)를 통해 제 2 신호 경로에 있는 해당 공진기 안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신호 경로를 거쳐서 도 2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단자(7)로 유도된다). 그렇기 때문에 도 3에는 예로서, 송신 분기용으로 제공된 대역 통과 필터(11)의 한 부분만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도 3의 좌측에 있는 애퍼처 게이트(23a)를 통해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듀플렉스 필터의 제 2 수신 분기를 위한 신호 경로가 연결될 수 있다.
단자(5)로부터 단자(9)까지 뻗는 전술된 신호 경로와 관련해서는 여섯 개의 동축 공진기(15.1 내지 15.6)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다.
상응하는 등가 회로도는 특히 단자(5)로부터 단자(9)까지 뻗는 신호 경로(10)를 구비한 상태로 도 4에 재현되어 있으며, 이 경우 여섯 개의 공진기(11)는 병렬 공진 회로(111)로서 도시되어 있고, 상기 병렬 공진 회로의 한 출력부는 접지되어 있고, 상기 출력부에 마주 놓인 다른 출력부는 상응하는 순서로 신호 경로(10)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병렬 공진 회로(24)는 공지된 방식에 따라 하나의 커패시터 및 하나의 인덕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별 병렬 공진 회로(24)의 단자점(terminal points)(25) 사이에 형성된 경로 구간들도 마찬가지로 인덕터(inductors)(27)에 의해서 기술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내용은 동축 공진기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종래의 커플링과는 관련이 있으나 아래에서 더 설명될 본 발명에 따른 상호 결합과는 관련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상호 결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라 상호 결합된 두 개의 이웃하는 병렬 공진 회로들 간의 연결이 유도성 커플링으로 기술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패시터(capacitor) 및 인덕터를 구비한 병렬 공진 회로의 형태로 된 폐쇄 회로 커플링(blocking circuit coupling)으로 기술될 수 있다. 제 1 동축 공진기(15.1)와 제 5 동축 공진기(15.5) 사이에서는 선행 기술에서와 마찬가지로 커패시터(C)의 사용하에 용량성 크로스-커플링(capacitive cross-coupling)이 추가로 구현되었다(도 2 및 도 4 참조).
도 4에 따른 상기 등가 회로도에 따르면, 제 1 동축 공진기(15.1)와 제 2 동축 공진기(15.2) 사이에서 그리고 제 2 동축 공진기(15.2)와 제 3 동축 공진기(15.3) 사이에서 그리고 제 3 동축 공진기(15.3)와 제 4 동축 공진기(15.4) 사이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호 결합이 구현되었다. 그 밖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제 1 동축 공진기(15.1)와 제 5 동축 공진기(15.5)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선행 기술에 따른 종래의 상호 결합(크로스-커플링)도 도시되어 있으며, 이와 관련된 내용도 역시 아래에서 기술된다.
도 3에 따른 측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내용은 직접 인접한 다시 말해, 신호 경로 내에서 서로 직접 연속하는 공진기(15.1 및 15.2)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하여 해당 내부 도체들은 자체 연결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각각 서로를 향하고 있는, 방사형으로 돌출하는 내부 도체 연장부(inter conductor portions)(21a)를 구비하고 있다는 것이다. 상기 내부 도체 연장부(21a)에 의해 2개 내부 도체(21) 사이의 내부 간격(121)이 설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2개의 내부 도체를 통해서 원하는 용량성 커플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용량성 커플링은 예로서 도 3에서 2개의 제 1 동축 공진기(15.1 및 15.2)의 2개의 내부 도체(21)에 있는 내부 도체 연장부(21a) 사이에 도시되어 있으며, 특히 상응하게 표기된 E-필드-벡터(121')로 도시되어 있다(도 2).
더 나아가 도 3에는 또한 2개의 제 1 공진기(15.1 및 15.2)를 위한 유도성 결합도 H-필드-라인(121")으로 도시되어 있다. (방사형으로 돌출하는 전술된 내부 도체 연장부(21a)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2개의 내부 도체(21)의 간격(321)을 사전에 제공함으로써 결국에는 유도성 상호 결합(inductive cross-coupling)이 상응하게 사전 선택되거나 사전 설정된다.
그러나 상기 유도성 상호 결합은 다른 대안적인 또는 보완적인, 다시 말해 추가의 조치들에 의해서 상이하게 사전 설정되거나 또는 사전 선택될 수 있다. 아주 일반적인 사실은, 폐쇄 회로 커플링의 설정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커플링 커패시턴스(coupling capacitances) 및 커플링 인덕턴스(coupling inductances)가 공지된 커플링 설정 변형 예들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커플링 애퍼처(coupling apertures)(다시 말해 2개의 인접한 동축 공진기 사이에 있는 관통 개구)의 높이 및/또는 폭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커플링 강도도 변경된다. 또한, 커플링 핀, 커플링 루프(loop) 또는 커플링 웨브(또는 브리지)가 공진기들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커플링 웨브(coupling webs)는 예를 들어 2개의 내부 도체 사이에서 한 부분 높이만큼 뻗는데, 다시 말하자면 내부 도체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평행하게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벽(base wall)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커플링 공진기의 베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루프는 거꾸로 뒤집힌 U-브래킷(bracket)의 형태로 2개의 내부 도체 사이에서 베이스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커플링 루프(loop)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 설정되거나 (다시 말해 한 수직 평면에 놓이거나) 또는 상기 수직 방향에 대하여 약간 기울어진 평면에서 수직 회전축 위에 베이스와 마주 보도록 위치 설정되어 원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자기 면(magnetic face)에 의해서 관통되는 면적이 커짐에 따라 커플링 효과도 그만큼 더 커진다. 전술된 효과들은 원하는 커플링 설정 가능성들을 상응하게 구현하고 변형하기 위하여 상호 조합된 형태로 사용되거나 또는 그 효과들의 부분적인 효과들이 상호 조합된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된 설정 가능성들은 예를 들어 도전성 커플링 핀(pins)(301)이 사용된 도 6a를 참조하여 재현되어 있으며, 이 경우 예를 들어 상부 덮개(upper lid)(17b)에 제공된 커플링 핀(301)은 상이한 높이 위치에 있는 2개 내부 도체(21) 사이의 커플링 커패시턴스를 변경하기 위하여 말하자면 2개 공진기 사이의 내부로 상이한 폭으로 회전 삽입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6a에는 또한 베이스(base)(17a)에 회전 삽입된 또는 그곳에 위치 설정된 도전성 커플링 핀(302)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도전성 커플링 핀의 높이 및 직경은 커플링 인덕턴스(coupling inductance)를 변경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도 6b의 평면도에는 베이스로부터 융기된 핀이 이웃하는 2개 설정된 내부 도체(21)의 웨브(web) 연결선을 따라서 제공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로부터 융기된 핀은 그곳에서 내부 도체의 높이에 대하여 한 부분 높이만큼 연장된다. 본 경우에는 소위 커플링 웨브(307)가 사용된다. 이때 상기 커플링 웨브(307)는 HF-필터의 하우징(17)의 베이스(17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6c에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6d에 수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는 추가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동축 공진기(15.1과 15.2) 사이에서는 제 1 윈도우 개구(303)(커플링 애퍼처)의 크기가 현격하게 줄어들어 있고, 그에 비해 공진기(15.2와 15.3) 사이에서는 추가 커플링 애퍼처(303)의 크기가 현저하게 확대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커플링 애퍼처는 어떤 경우에도 베이스면 또는 덮개(lid) 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더 큰 폭을 갖게 된다.
도 6e에 따른 실시예에는 커플링 인덕턴스를 변경하기 위한 커플링 루프(305)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커플링 루프는 거꾸로 뒤집힌 "U"자 형태로 베이스에 위치 설정되어 있다. 그 대안으로서 커플링 루프의 사용례가 도 6f를 참조하여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커플링 루프가 자신의 수직 축(305')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커플링 루프를 관통하는 자기장 세기가 변경되고, 그로 인해 커플링 인덕턴스도 변경되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아주 일반적인 사실은, 원하는 용량성 커플링을 형성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원하는 유도성 커플링을 형성하기 위해서도 매우 다양한 가능성들이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며, 심지어는 전술된 모든 변형예들이 누적 방식으로(cumulatively) 적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 점에서 제약(limitation)들은 존재하지 않는다.
전술된 상이한 형태의 공진기를 구비한 상이한 형상의 동축 공진기(15)에 의해서는 HF-필터의 통과 대역 밖에서 소정의(defined) 저지 주파수(blocking frequency)를 갖는 원하는 0점(blocking point)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요한 사실은 상기 소정의 유도성 공진기 결합(inductive resonator coupling) 이외에 소정의 용량성 결합(capacitive coupling)도 제공된다는 것이다. 전술된 유도성 결합은 언급된 바와 마찬가지로 결합될 공진기들의 간격(321)(관련 공진기의 내부 도체(21)의 위치)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는 반면에, 용량성 커플링은 두 개의 인접한 공진기들의 2개의 인접한 내부 도체(21)의 내부 간격(121)을 통해서 설정되며, 상기 내부 간격의 크기는 전술된 타원형의 (방사형으로 돌출하는) 내부 도체 연장부(21a)의 내부 간격에 의해서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1 동축 공진기(15.1)와 제 2 동축 공진기(15.2) 사이의 크로스-커플링(cross-coupling) 이외에 직접 연결되는 제 2 동축 공진기(15.2)와 제 3 동축 공진기(15.3) 사이의 추가 크로스-커플링이 후속적으로 구현되었다.
횡단면도로 볼 때 거꾸로 뒤집힌 L자 모양으로 형성된 제 1 동축 공진기(15.1)의 제 1 내부 도체(21)와 달리 제 2 동축 공진기(15.2)의 제 2 내부 도체는 T자 모양으로 형성되었는데, 다시 말하자면 일반적으로 베이스에 대하여 평행하게 그리고 그와 더불어 내부 도체에 대하여 가로로 또는 방사형으로 돌출하여 마주 놓인 추가의 내부 도체 연장부(21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2 내부 도체와 결합될 제 3 동축 공진기(15.3)의 제 3 내부 도체(21)도 마찬가지로 상응하는 내부 도체 연장부(21a)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두 개의 인접한 내부 도체 연장부(21a)의 간격은 제 1 동축 공진기와 제 2 동축 공진기의 간격보다 훨씬 더 크다. 제 2 동축 공진기와 제 3 동축 공진기의 상호 결합(cross-coupling) 예에서는 또한 추가의 브리징 부재(bridging member)(221)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브리징 부재(bridging member)는 하우징에 대하여 절연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 및 위치 설정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전기적인 필드 벡터(electrical field vectors)들이 공기를 통해 확산될 때에 형성되는 2개의 간격(two spacer gap)(121a 및 121b) 열(column)이 나타난다. 두 개의 개별 간격(121a 및 121b)으로부터 형성된 총-간격(total distance)은 원하는 소정의 용량성 커플링을 사전에 설정하기 위해서 중요한 변수이다.
마지막으로 도 2에 따른 평면도로부터 더 알 수 있는 사실은, 제 3 동축 공진기(15.3)와 제 4 동축 공진기(15.4) 사이의 추가 상호 결합에 의해 해당 내부 도체(21)가 [제 2 동축 공진기(15.2)의 제 2 내부 도체(21)와 마찬가지로] 180°만큼 마주 놓인 2개의 내부 도체 연장부(21a)가 아니라 오히려 90°만큼 꺽인 전자기파의 신호 경로에 상응하게 서로 90°의 각으로 배치된 두 개의 내부 도체 연장부(21a)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2개의 내부 도체(21)가 제 2 공진기(15.2) 및 제 3 공진기(15.3)에 대하여 더 조밀하게 위치 설정되어 있다는 사실은 도 2에 따른 평면도로부터 드러난다.
전술된 신호 경로가 예를 들어 한 듀플렉스 필터의 하나의 신호 경로라면, 그로 인해 도 4에 재현된 바와 같은 대역 통과 필터가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대역 통과 필터는 특히 하나 또는 다수의 저지 주파수(fs), 다시 말해 하나 또는 다수의 소위 종료 극성(blocking poles)을 갖는다. 이와 같은 전송 특성은, 본 발명의 틀 안에서 상호 결합된 동축 공진기의 개수에 상응하게 다수의 종료 극성(저지 주파수)이 형성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저지 주파수들이 예를 들어 인접한, 다시 말해 변위 배치된 대역 통과 필터의 통과 대역(주파수 범위) 안에 놓이게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임의의 추가 장소에서, 다시 말해 예를 들어 제 4 동축 공진기와 제 5 동축 공진기 사이에서 그리고/또는 제 5 동축 공진기와 제 6 동축 공진기 사이에서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또 하나의 추가 결합이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동축 공진기가 n개인 경우에 다섯 개의, 즉 n-1개의 커플링 임피던스는 용량성 커플링 및 유도성 커플링의 통신(communication)으로 인해 각각 소정의 주파수(fs)를 갖는 커플링 임피던스 공진(coupling impedance resonance)이 나타나도록 설계되는데,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고주파 필터의 전송 특성에서 나타난 상호 결합 방식으로 인하여 적어도 하나의 또는 상호 변위 배치된 다수의 주파수(fs1, fs2, fs3 등 내지 fsn)에서는 폐쇄 회로 커플링으로서 표기될 수 있는 하나의 블로킹 포인트가 나타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HF-필터에 추가로 더 제공될 수 있는 종래 방식의 상호 결합도 추가적으로 구현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상호 결합(크로스-커플링)은 도 4에 따른 등가 회로도에도 도시되어 있는데, 다시 말해 도 4에 따른 등가 회로도에는 연결 구간(131)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상기 회로도에 제공 된) 커패시터(C)와의 결합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예를 들어 도 2에는 상호 결합 부재(31)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상호 결합 부재는 제 1 동축 공진기와 제 5 동축 공진기 사이에서 작용하고, 통상적으로는 해당 공진기의 개별 공동부 안으로 돌출하는 그리고 측면도로 볼 때 "뼈 모양으로"(bone - shaped) 형성된 도전성 커플링 부재에 의해서 형성되었으며, 상기 도전성 커플링 부재는 일반적으로 마주 놓여 있는 확대된 폐쇄부에 의하여 관련 동축 공진기 내에 있는 해당 내부 도체와 함께 용량성 결합(capacitive coupling)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내용은 상기 등가 회로도에도 도시되어 있는데, 말하자면 용량성 상호 결합 경로(131)에 의해서 도시되어 있다.
그에 비해 본 발명의 틀 안에서는 도 4에 따른 등가 회로도에도 마찬가지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병렬 접속된 인덕터(inductor) 및 커패시터(capacitor)를 구비한 폐쇄 회로 커플링(35)이 구현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송신 분기(transmission branch)를 위한 대역 통과 필터(11)의 대역 통과 특성 그리고 수신 분기(reception branch)를 위한 대역 통과 필터(13)의 대역 통과 특성(파선으로 표시됨)에 대한 다이어그램이 재현된 도 5가 더 참조된다. 도 5에서는 사용된 폐쇄 회로 커플링의 개수에 따른 다수의 종료 극성(fRS, fTS)을 볼 수 있다. 이때 도 5의 X-축 상에는 증가하는 주파수(F)가 도시되어 있고, Y-축 상에는 감쇠(D)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이 구현되지 않는 경우에는 감쇠가 어떻게 진행되는지가 하나의 대역 통과 필터에 대하여 [일점쇄선의 곡선(dot-dash curve)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역 통과 필터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또는 다수의 종료 극성(blocking pole)이 배치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종료 극성은 예를 들어 관련 대역 통과 필터의 통과 대역에 대하여 변위 배치된 인접한 대역 통과 필터의 주파수 범위 안에 놓이게 된다. 하나 또는 다수의 종료 극성이 대역 통과 필터의 원래의 통과 대역 밖에서 관련 대역 통과 필터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 50% 미만만큼, 특히 ± 40%, ± 30%, ± 20% 미만만큼 그리고 특히 ± 10% 미만만큼 떨어져 있는 주파수 범위 안에 놓이도록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종료 극성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배치되면, 어떤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장점들이 충분히 실현될 수 있다.
듀플렉스 필터의 틀 안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바와 같이 2개의 대역 통과 필터-통과 주파수 범위가 서로 변위 배치된 경우에는, 관련 대역 통과 필터로부터 관찰하여 적합한 커플링 커패시턴스 및 커플링 인덕턴스를 상응하게 선택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종료 극성이 관련 대역 통과 필터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듀플렉스 간격(duplex separation){다시 말해 2개의 인접한 대역 통과 필터의 중심 주파수 간격(center frequency separation)}의 다섯 배 이하만큼 떨어져 있는 주파수 범위 안에서 형성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료 극성 또는 다수의 종료 극성(블로킹 포인트)이 배치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장점들은 충분히 실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종료 극성들은 한 대역 통과 필터로부터 관찰할 때 상기 대역 통과 필터의 통과 대역 밖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로 인해 종료 극성들은 듀플렉스 간격(다시 말해 2개의 인접한 대역 통과 필터의 중심 주파수 간격)의 다섯 배 이하만큼, 특히 네 배, 세 배, 두 배 또는 한 배 이하만큼 떨어져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한 개 또는 다수의 종료 극성들이 인접한 대역 통과 필터의 주파수 범위 안에 위치 설정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유도성 커플링 또는 용량성 커플링이 적절하게 선택되는 경우에는 각 해당 종료 극성이 대역 통과 필터 아래에서 형성되는지 아니면 대역 통과 필터 위에서 형성되는지의 여부(다시 말하자면 대역 통과 필터에 대하여 더 낮은 주파수를 갖는지 아니면 더 높은 주파수를 갖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확인은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공진 주파수가 필요에 따라 대역 통과 필터-통과 대역 아래에 있거나 또는 대역 통과 필터-통과 대역 위에 있도록 폐쇄 회로 커플링의 커플링 커패시턴스 및 커플링 인덕턴스가 선택됨으로써 달성된다.

Claims (22)

  1. 전자기 방식으로 결합된 다수의 동축 공진기(15)를 구비한, 듀플렉스 필터용 고주파 필터로서,
    상기 동축 공진기(15)는 공진기 체임버(19)를 구비한 전도성 하우징(17)을 포함하며, 상기 공진기 체임버(19) 내부에는 각각 하나의 전도성 내부 도체(21)가 연장되며,
    상기 고주파 필터는 커플링 임피던스에 의존하는 전송 특성을 가지며,
    상기 커플링 임피던스에 의존하는 고주파 필터의 전송 특성은 한 주파수(fS)에서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포인트(blocking point)를 구비하며,
    상기 블로킹 포인트는 고주파 필터의 통과 대역 밖에 있고, 고주파 필터의 저지 대역 안에 있으며,
    신호 경로(10) 상에서 서로 직접 연속하는 2개의 동축 공진기(15)가 커플링 커패시터 및 커플링 인덕터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포인트가 대역 통과 필터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 20% 미만만큼 떨어져 있는 한 주파수(fS)에 놓이게 되며,
    2개의 내부 도체(21) 사이에, 상기 2개 내부 도체(21) 사이의 빈 경로 구간을 단축시키는 도전성 브리징 부재(221)가 구비되며, 상기 도전성 브리징 부재(221)가 개별 내부 도체(21)에 대하여 또는 형성된 내부 도체 연장부(21a)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상기 브리징 부재(221)와 인접하는 내부 도체(21) 또는 해당 내부 도체 연장부(21a) 사이에서 나타나는 두 가지 내부 간격(121a, 121b)으로 이루어진 미리 설정 가능한 총 간격이 미리 형성됨으로써, 용량성 커플링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블로킹 포인트는 신호 경로(10) 상에 서로 직접 연속하여 배치된 2개 동축 공진기(15) 사이의 커플링 커패시턴스 및 커플링 인덕턴스를 미리 설정하거나 또는 미리 선택함으로써 주파수(fs)에서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커패시터 및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인덕터는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포인트가 대역 통과 필터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상기 대역 통과 필터의 주파수의 ± 10% 미만만큼 떨어져 있는 한 주파수(fs)에 놓이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4. 제 1 항에 있어서,
    n개의 동축 공진기(15)가 하나의 신호 경로(10) 상에서 서로 결합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n-1개 미만의 폐쇄 회로 커플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5. 제 1 항에 있어서,
    고주파 필터(1)는 2개 이상의 대역 통과 필터를 구비하며, 신호 경로 내에서 서로 직접 연속하는 적어도 한 쌍의 인접한 동축 공진기(15)가 대역 통과 필터당 하나의 폐쇄 회로 커플링을 주파수(fs)에 갖는 폐쇄 회로 커플링을 구비하여 블로킹 포인트는 관련 대역 통과 필터의 통과 대역 밖에 놓이게 되며,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포인트가 각각 다른 대역 통과 필터의 통과 대역 안에 놓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6. 제 5 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대역 통과 필터(1)가 듀플렉스 필터(3)의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포인트 또는 다수의 블로킹 포인트는 대역 통과 필터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하나의 듀플렉스 필터의 2개의 대역 통과 필터들의 중심 주파수 간격의 다섯 배만큼 또는 네 배만큼 또는 세 배만큼 또는 두 배만큼 또는 한 배만큼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8.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신호 경로(10) 상에 서로 직접 연속하여 형성된 다수의 동축 공진기 쌍은 소정의 주파수(fs1, fs2, fs3,...)를 갖는 다수의 소정의 폐쇄 회로 커플링을 형성하며, 저지 주파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이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용량성 커플링 및 유도성 커플링이 미리 구비됨으로써, 해당 폐쇄 회로 커플링의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f2)는 대역 통과 필터보다 더 낮은 주파수 또는 더 높은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2개의 인접한 동축 공진기(15)의 2개의 인접한 내부 도체(21) 사이의 용량성 결합 강도는 개별적으로 결합된 인접한 내부 도체(21)의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돌출하는 내부 도체 연장부(21a)에 의해서, 또한 상응하는 2개의 내부 도체(21)의 내부 간격(121) 또는 해당 내부 도체 연장부(21a)의 내부 간격(121a, 121b)을 상응하게 미리 구비함으로써 사전에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내부 도체 연장부(21a)는 해당 내부 도체(21)의 축 방향 연장부에 대하여 가로 및 수직으로 상기 내부 도체(21)의 상부 자유단부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응하는 내부 도체 연장부(21a)를 구비한 상기 내부 도체(21)는 거꾸로 뒤집힌 L자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신호 구간(10) 내에서 선행 및 후속하는 동축 공진기(15)를 구비한 내부 도체(21)는 2개의 폐쇄 회로 커플링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며, 상기 내부 도체(21)는 결합된 선행하는 동축 공진기(15)의 방향과 결합된 후속하는 동축 공진기(15)의 방향으로도 내부 도체 연장부(21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해당 내부 도체 연장부(21a)를 구비한 상기 내부 도체(21)는 T자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15. 삭제
  16. 제 1 항에 있어서,
    2 개의 인접한 동축 공진기(15) 사이에 있는 하나의 커플링 핀(301)은 커플링 커패시턴스를 변경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동축 공진기(15)의 하우징(17)의 마주 놓인 하우징 측(덮개(17b))으로부터 공진기 내부 체임버 안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17.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 도체(21) 위치의 간격 또는 하우징 베이스(17a)이나 하우징 덮개(17b)로부터 가로로 연장되는 내부 도체(21) 위치의 간격(321)을 미리 형성함으로써 2개의 인접한 동축 공진기(15) 사이의 유도성 커플링이 사전에 설정될 수 있고 또는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18. 제 1 항에 있어서,
    2개의 인접한 동축 공진기(15) 사이의 유도성 커플링은 2개의 인접한 동축 공진기 사이에 있는 커플링 애퍼처(303)의 상이한 크기에 의해서 사전 설정되거나 또는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19. 제 1 항에 있어서,
    2개의 인접한 동축 공진기(15) 사이의 유도성 커플링은 커플링 핀(302)에 의해서 미리 형성되거나 또는 변경되며, 상기 커플링 핀은 하우징(17)의 하우징 베이스(17a)에 있는 내부 도체(21)와 동일한 하우징(17) 측에 위치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20. 제 1 항에 있어서,
    2개의 인접한 동축 공진기(15) 사이의 유도성 커플링은 커플링 웨브(307)에 의해서 미리 형성되거나 또는 변경되며, 상기 커플링 웨브는 2개의 내부 도체(21) 사이에서 내부 도체에 대하여 한 부분 높이로 연장되고, 상기 내부 도체(21)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 및 고정되어 있는 동일한 하우징 벽[하우징 베이스(17a)]에 위치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21. 제 1 항에 있어서,
    2개의 인접한 동축 공진기(15) 사이의 유도성 커플링은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루프(305)에 의해서 미리 형성되거나 또는 변경되며, 상기 커플링 루프는 2개의 인접한 동축 공진기(15)의 2개의 내부 도체(21)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커플링 루프(305)는 커플링 인덕턴스를 변경하기 위하여 구부러질 수 있고 또는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22. 제 1 항에 있어서,
    고주파 필터는 하나 또는 다수의 폐쇄 회로 커플링 이외에 하나 또는 다수의 용량성 크로스 커플링(Cross-Coupling)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KR1020097012217A 2006-12-22 2007-12-06 폐쇄 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KR101484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61141.1A DE102006061141B4 (de) 2006-12-22 2006-12-22 Hochfrequenzfilter mit Sperrkreiskopplung
DE102006061141.1 2006-12-22
PCT/EP2007/010634 WO2008080503A1 (de) 2006-12-22 2007-12-06 Hochfrequenzfilter mit sperrkreiskopp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822A KR20090098822A (ko) 2009-09-17
KR101484934B1 true KR101484934B1 (ko) 2015-01-21

Family

ID=39046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2217A KR101484934B1 (ko) 2006-12-22 2007-12-06 폐쇄 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095459A1 (ko)
KR (1) KR101484934B1 (ko)
CN (1) CN101563809B (ko)
AU (1) AU2007341704B2 (ko)
DE (1) DE102006061141B4 (ko)
WO (1) WO20080805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55743T1 (de) 2000-11-08 2012-05-15 Straumann Inst Ag (dentale) oberflächenerfassung und erzeugung
FI125596B (en) 2010-11-12 2015-12-15 Intel Corp Customizable resonator filter
KR101194971B1 (ko) * 2011-05-19 2012-10-25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광대역을 실현하는 다중 모드 필터
GB201303027D0 (en) * 2013-02-21 2013-04-03 Mesaplexx Pty Ltd Filter
US9509031B2 (en) * 2013-05-23 2016-11-29 Com Dev International Ltd. Coaxial filter with elongated resonator
EP2814111B1 (en) * 2013-06-13 2020-03-18 Alcatel Lucent Resonant assembly
EP2814112A1 (en) * 2013-06-13 2014-12-17 Alcatel Lucent Resonant assembly
US9812751B2 (en) * 2013-06-25 2017-11-07 Intel Corporation Plurality of resonator cavities coupled by inductive apertures which are adjusted by capacitive parts
CN104701592B (zh) * 2015-04-01 2017-11-21 河南理工大学 Tm模介质腔体滤波器
KR101677950B1 (ko) * 2015-04-13 2016-11-21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크로스 커플링을 이용하는 캐비티 필터
DE102015005523B4 (de) * 2015-04-30 2018-03-29 Kathrein-Werke Kg Hochfrequenzfilter mit dielektrischen Substraten zur Übertragung von TM-Moden in transversaler Richtung
DE102016117415B4 (de) 2016-09-15 2019-10-31 Kathrein Mobilcom Austria Gmbh Hochfrequenzfilter mit verbesserter Signaleinkopplung bzw. Signalauskopplung
CN113675561A (zh) * 2020-05-14 2021-11-19 大富科技(安徽)股份有限公司 一种滤波器及通信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30383A2 (en) * 1997-12-11 1999-06-17 Lk-Products Oy Resonator structure
JP3167326B2 (ja) * 1990-12-17 2001-05-21 ノキア テレコミュニカシオンス オサケ ユキチュア 高周波帯域フィルタ
KR20010072839A (ko) * 1998-08-26 2001-07-31 펄 위 제이케 동축 공동 공진기
KR100656297B1 (ko) * 2005-07-28 2006-12-11 (주)하이온시스템즈 커플링 밸런스 노치 케이블을 이용한 필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6536A (en) * 1971-04-14 1973-05-29 Bendix Corp Microwave filter
JPS5390741A (en) * 1977-01-21 1978-08-09 Nec Corp Band pass filter
FI88830C (fi) * 1991-05-24 1993-07-12 Telenokia Oy Comb-line-hoegfrekvensfilter
US5528204A (en) * 1994-04-29 1996-06-18 Motorola, Inc. Method of tuning a ceramic duplex filter using an averaging step
US5812036A (en) * 1995-04-28 1998-09-22 Qualcomm Incorporated Dielectric filter having intrinsic inter-resonator coupling
JP3324924B2 (ja) * 1996-01-16 2002-09-17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同調周波数可変バンドパスフィルタ
SE0004935D0 (sv) * 2000-12-29 2000-12-29 Allgon Ab A filter including coaxial cavity resonators
DE10320620B3 (de) * 2003-05-08 2004-11-04 Kathrein-Werke Kg Hochfrequenzweich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7326B2 (ja) * 1990-12-17 2001-05-21 ノキア テレコミュニカシオンス オサケ ユキチュア 高周波帯域フィルタ
WO1999030383A2 (en) * 1997-12-11 1999-06-17 Lk-Products Oy Resonator structure
KR20010072839A (ko) * 1998-08-26 2001-07-31 펄 위 제이케 동축 공동 공진기
KR100656297B1 (ko) * 2005-07-28 2006-12-11 (주)하이온시스템즈 커플링 밸런스 노치 케이블을 이용한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95459A1 (de) 2009-09-02
AU2007341704B2 (en) 2012-08-09
WO2008080503A1 (de) 2008-07-10
CN101563809A (zh) 2009-10-21
CN101563809B (zh) 2014-09-17
AU2007341704A1 (en) 2008-07-10
DE102006061141A1 (de) 2008-06-26
KR20090098822A (ko) 2009-09-17
DE102006061141B4 (de) 2014-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4934B1 (ko) 폐쇄 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US7777593B2 (en) High frequency filter with blocking circuit coupling
US5812036A (en) Dielectric filter having intrinsic inter-resonator coupling
US6933804B2 (en) Radio frequency diplexer
KR100263025B1 (ko) 유전체 필터
EP1732158A1 (en) Microwave filter including an end-wall coupled coaxial resonator
JPH0372701A (ja) 並列多段型帯域通過フィルタ
US8115569B2 (en) Monoblock dielectric multiplexer capable of processing multi-band signals
JP5920868B2 (ja) 伝送線路共振器、帯域通過フィルタ及び分波器
US3876963A (en) Frequency filter apparatus and method
JP3344428B2 (ja) 誘電体共振器および誘電体共振部品
JP3531603B2 (ja) 高周波フィル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タ装置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電子装置
KR100496161B1 (ko) 노치패턴을 가진 유전체 필터
WO2003052862A1 (fr) Oscillateur, filtre, duplexeur et appareil de communication
US4206428A (en) Series notch filter and multicoupler utilizing same
US4249147A (en) Cavity filter and multi-coupler utilizing same
JP2001332906A (ja) 誘電体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KR100449226B1 (ko) 유전체 듀플렉서
RU131902U1 (ru) Свч двухполосный микрополосковый фильтр
KR19980079948A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0262499B1 (ko) 일체형듀플렉서유전체필터
JP3521805B2 (ja) 誘電体フィルタ、複合誘電体フィルタ、アンテナ共用器および通信装置
US7068128B1 (en) Compact combline resonator and filter
US6362705B1 (en) Dielectric filter unit,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9990013687A (ko) 낮은 주파수영역에서의 감쇄비조정이 가능한 일체형 유전체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