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2499B1 - 일체형듀플렉서유전체필터 - Google Patents

일체형듀플렉서유전체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2499B1
KR100262499B1 KR1019980033567A KR19980033567A KR100262499B1 KR 100262499 B1 KR100262499 B1 KR 100262499B1 KR 1019980033567 A KR1019980033567 A KR 1019980033567A KR 19980033567 A KR19980033567 A KR 19980033567A KR 100262499 B1 KR100262499 B1 KR 100262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block
conductor pattern
conductive material
dielectric
duple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3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343A (ko
Inventor
김철호
김진덕
박상준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80033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2499B1/ko
Priority to US09/212,534 priority patent/US6169465B1/en
Priority to SE9804353A priority patent/SE9804353L/
Priority to AT0209998A priority patent/AT411119B/de
Priority to TW087121004A priority patent/TW406467B/zh
Priority to SE9804354A priority patent/SE9804354L/
Priority to TW87121003A priority patent/TW472444B/zh
Priority to FR9816167A priority patent/FR2781085A1/fr
Priority to US09/213,707 priority patent/US6636132B1/en
Priority to AT0211698A priority patent/AT411000B/de
Priority to GB9827959A priority patent/GB2339341B/en
Priority to FR9816398A priority patent/FR2781086B1/fr
Priority to DE1998159207 priority patent/DE19859207A1/de
Priority to DE19859205A priority patent/DE19859205A1/de
Priority to JP10362665A priority patent/JP2000049507A/ja
Priority to GB9827893A priority patent/GB2339340B/en
Priority to JP10364600A priority patent/JP2000049504A/ja
Priority to CN98126703.3A priority patent/CN1201428C/zh
Priority to BR9900051-2A priority patent/BR9900051A/pt
Priority to BR9900178-0A priority patent/BR9900178A/pt
Publication of KR19990014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4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6Comb filters or interdigital filters with metallised resonator holes in a dielectric b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4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체형 듀플렉서 유전체필터는 유전체블럭과, 유전체블럭의 제1면과 제2면을 대략 평행하게 관통하고 그 내부가 도전물질로 도포된 복수의 공진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로 이루어진 제1필터링영역과, 유전체블럭의 제1면과 제2면을 대략 평행하게 관통하며 그 내부가 도전물질로 도포된 복수의 공진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로 이루어진 제2필터링영역과, 제1면의 적어도 하나의 공진홀 주위에 공진홀 내부의 도전물질과 접속되도록 형성되어 공진기에 부하캐패시턴스를 제공하고 인접공진기 사이에 전자기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도체패턴과, 제1면에 공진홀의 배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인접공진기 사이에 전자기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도체패턴과, 제2필터링영역 제1면에 공진홀 사이에 형성되어 인접하는 공진기 사이에 전자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도체패턴과, 제1면에 형성되어 공진기의 공진주파수를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4도체패턴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일체형 듀플렉서 유전체필터{one block duplexer dielectric filter}
본 발명은 초고주파 대역에서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용 듀플렉서 유전체필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유전체블럭의 제1면에 도체패턴을 형성하여 인접하는 공진기 사이에 전자기적인 커플링을 형성하여 소형 경량화된 필터의 제작이 가능하고 공진주파수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듀플렉서 유전체필터(duplexer dielectric filter)는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과 송신을 동시에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듀플렉서필터는 수신단 필터와 송신단 필터로 이루어지고, 수신단 필터는 수신 주파수에 대해 통과 특성을 가지며 송신 주파수에 대해서는 저지 특성을 갖는 반면, 송신단 필터는 송신 주파수에 대해서는 통과 특성을, 수신 주파수에 대해서는 저지 특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특성을 만족하는 듀플렉서필터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이동통신 기기에 응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소형화가 전제되어야 하는 데, 이러한 요구를 가장 잘 만족시키는 것이 바로 듀플렉서 유전체필터이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일체형 듀플렉서 유전체필터는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필터는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유전체블럭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전체블럭(10)의 측면은 도전물질로 도포되어 있으며 그 전면(즉, 상면)(12)에는 도전물질이 도포되어 있지 않다. 유전체블럭의 전면에는 후면으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공진홀(30a,30b,30c,30d,30e,30f)가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공진홀(30a,30b,30c,30d,30e,30f) 사이에 일정 크기의 홀(40a,40b,40c,40d,40e)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홀((40a,40b,40c,40d,40e)은 유전체블럭(1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될 수도 있고 상면으로만 오픈될 수도 있다.
공진홀(30a,30b,30c,30d,30e,30f)의 내부는 도전물질로 도포되어 각각이 공진기를 형성하며, 상기 공진홀(30a,30b,30c,30d,30e,30f) 사이에 형성된 홀(40a,40b,40c,40d,40e)에 의해 각각의 공진기가 결합된다. 즉, 공진기 사이에 형성된 홀(40a,40b,40c,40d,40e)은 공진기 사이의 결합캐패시턴스를 형성한다.
공진홀(30a,30b,30c,30d,30e,30f) 배열방향의 상부에는 일정 폭의 도체패턴(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도체패턴(42)은 인접하지 않는 공진기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부가 특정 공진홀(30b,30e)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공진홀(30b,30e)의 주위에도 내부의 도전물질로부터 연장된 도체패턴(35,36)이 상기 도체패턴(42)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즉, 공진홀 내부의 도전물질과 연결된 도체패턴(35,36)과 공진홀의 배열방향을 따라 배치된 도체패턴(42)의 돌출부위가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특정 공진홀(30b,30e)에 의한 공진기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체패턴(42)에 의해 공진홀(30b,30e)를 결합하는 결합캐패시턴스가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한 구성의 유전체필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공진기를 결합하는 제조방법이 복잡하다는 것이다. 공진기를 결합하는 홀(40a,40b,40c,40d,40e)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드릴과 같은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유전체블럭(10)을 가공해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이 복잡하게 된다. 둘째는 무선통신장치와 같은 제품에 실장시 유전체필터가 차지하는 공간이 크다는 것이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유전체필터의 입출력은 유전체블럭 전면(12)에 형성된 공진홀 중에서 가장 바깥쪽 공진홀(30a,30f)에 리드선을 삽입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리드선이 차지하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 또한, 상기 리드선을 공진홀(30a,30f)에 삽입하여 입출력을 형성하는 공정도 상대적으로 복잡하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듀플렉서 유전체필터가 도 2에 도시된 구조의 유전체필터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전체필터는 대략 유전체블럭으로 이루어진 수신필터링영역과 송신필터링영역로 구성된다. 유전체블럭(10)은 서로 대향하는 제1면(11)과 제2면(13) 및 상기 제1면(11)과 제2면(13) 사이의 측면(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면(13), 즉 유전체블럭(10)의 후면과 측면(12)에는 도전물질이 도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전체블럭(10)의 내부에는 상기 제1면(11)과 제2면(13)을 관통하는 다수의 공진홀(30a-30g)이 일정 간격으로 대략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그 내부표면 역시 도전물질이 도포되어 공진기를 형성한다.
유전체블럭(10)의 제1면(11)에는 일정 크기의 도체패턴(31a-31g)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도체패턴(31a-31g)은 공진홀(30a-30g) 내부의 도전물질과 접속되어 공진기에 부하캐패시턴스(loading capacitance)를 부가하고 인접하는 공진기 사이에 결합캐패시턴스(coupling capacitance)를 형성한다. 상기 공진홀(30a-30g)과 부하캐패시턴스에 의해 공진기의 공진주파수가 결정되며, 상기 결합캐패시턴스는 두 공진기를 결합한다. 또한, 상기 제1면(11)의 양측면에는 도체패턴으로 이루어진 입출력단자(21,23)가 배치되며, 유전체블럭(10)의 수신영역과 송신영역 사이에는 도체패턴으로 이루어진 안테나단자(22)가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에서는 송신영역의 고주파대역이 수신단의 고주파대역 보다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수신영역의 공진홀 사이에는 전계(electric field)효과가 우세한 반면에 송신영역의 공진홀 사이에는 자계(magnetic filed)효과가 우세하게 된다. 따라서, 수신영역의 공진기는 캐패시턴스결합(capacitance coupling)을 이루고 송신영역의 공진기는 인덕턴스결합(inductance coupling)을 이룬다.
상기한 구성의 듀플렉서 유전체필터에 있어서도, 공진주파수의 결정이나 공진기 사이의 결합은 제1면(11)에 형성된 도체패턴(31a-31g)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즉, 도체패턴(31a-31g)과 측면(12)의 도전물질 사이의 간격 및 도체패턴(31a-31g) 사이의 간격의 정도에 따라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의 특성이 달라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유전체필터를 소형 경량화하기 위해서는 유전체블럭(10)의 두께를 얇게 하고 공진홀(30a-30g)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해야만 하는데 이러한 소형화된 유전체필터에서는 제1면적이 축소되기 때문에, 도체패턴(31a-31g)과 유전체블럭(10) 측면(12)의 도전물질 사이의 간격 및 인접하는 도체패턴(31a-31g) 사이의 간격 축소에 한계가 존재하여 원하는 감쇠특성을 얻기가 대단히 어려웠다.
또한, 유전체블럭(10)의 부피를 작게 하고 측면(12)의 도전물질과 도체패턴(31a-31g) 사이 및 도체패턴(31a-31g) 사이의 간격을 작게 하는 경우에도 도체패턴(31a-31g)의 인쇄공정의 한계에 의해 오차가 발행하여 어느 정도의 한계 이상 작게 할 수는 없었다.
또한, 도체패턴(31a-31g)의 형상에 변화를 주어 공진주파수를 조정하는 경우 결합 캐패시턴스와 부하 캐패시턴스가 동시에 변하기 때문에 그만큼 주파수 신호의 통과 특성과 저지 특성의 변화가 불규칙적으로 연동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나아가, 이러한 공진주파수 조정작업은 자동화가 어렵기 때문에 생산 과정에서 인건비 부담이 증가하고 그에 따른 가격 경쟁력 약화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전체블럭의 제1면에 도체패턴을 형성하여 공진기에 부가캐패시턴스를 형성하고 인접공진기 사이에 결합캐패시턴스를 형성하며, 인접하지 않는 공진기 사이에 크로스 결합캐패시턴스를 형성하여 필터의 소형화 및 경향화가 가능하며 제조가 용이한 듀플렉서 유전체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전체블럭의 제1면에 공진기의 공진주파수 조정용 도체패턴을 형성하여 필터의 주파수대역을 원하는 대역으로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듀플렉서 유전체필터는 서로 대향하는 제1면과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면과 측면은 도전물질로 도포된 유전체블럭과, 상기 유전체블럭의 제1면과 제2면을 대략 평행하게 관통하고 그 내부가 도전물질로 도포된 복수의 공진홀을 포함하여 제1입력신호를 필터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로 이루어진 제1필터링영역과, 상기 유전체블럭의 제1면과 제2면을 대략 평행하게 관통하며 그 내부가 도전물질로 도포된 복수의 공진홀을 포함하여 제2입력신호를 필터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로 이루어진 제2필터링영역과, 상기 제1필터링영역 및 제2필터링영역 제1면의 적어도 하나의 공진홀 주위에 공진홀 내부에 도포된 도전물질과 접속되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어 공진기에 부하캐패시턴스를 제공하고 인접공진기 사이에 전자기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도체패턴과, 상기 유전체블럭 측면의 도전물질과 고립된 전극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진홀과 전자기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와, 도전물질과 고립된 전극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전체블럭의 제1필터링영역과 제2필터링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공진기와 전자기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안테나단자와, 상기 유전체블럭의 제1필터링영역 제1면에 상기 공진홀의 배열방향을 따라 그 상하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어 인접공진기 사이에 전자기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도체패턴과, 상기 유전체블럭의 제2필터링영역 제1면에 상기 공진홀 사이에 형성되어 인접하는 공진기 사이에 전자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도체패턴과, 상기 유전체블럭의 제1면에 형성되어 공진기의 공진주파수를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4도체패턴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체형 듀플렉서 유전체필터의 사시도.
도 2는 다른 종래의 일체형 듀플렉서 유전체필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플렉서 유전체필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송신필터링영역의 등가 회로도.
도 5는 도 3의 수신필터링영역의 등가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듀플렉서 유전체필터의 송신필터링영역의 특성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듀플렉서 유전체필터의 수신필터링영역의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유전체블럭 111 : 제1면
121 : 송신단자 122 : 안테나단자
123 : 수신단자 130 : 공진홀
131,135,140 : 도체패턴 141,145 : 공진주파수 조정용 패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듀플렉서 유전체필터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플렉서 유전체필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는 서로 마주하는 제1면(111) 및 제2면(113)를 포함하는 대략 육면체의 유전체 블럭(1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전체 블럭(100)의 내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제1면(111)에서 제2면(113)으로 대략 평행하게 관통하는 복수의 공진홀(130a-130g)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면(113)과 제1면(111) 및 제2면(113) 사이의 측면(112)에는 도전물질이 도포되어 접지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공진홀(130a-130g)의 내부표면 역시 도전물질이 도포되어 공진기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유전체 블럭의 제1면(111)에는 도전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오픈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면(111)의 공진홀(130a-130g) 주위에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어 공진홀(130a-130g)의 내부표면에 형성된 내부전극과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도체패턴(131a-131g)이 형성되어, 공진기에 부하캐패시턴스를 부가하고 인접하는 공진기 사이에 결합캐패시턴스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면(111)에는 송수신단자(121,123) 및 안테나단자(122)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유전체블럭(110) 측면(112)에는 상기 도전물질과 고립되어 유전체블럭(110)이 실장되는 기판으로부터 신호가 입출력되는 입출력패드 및 안테나패드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패드들은 각각 입출력단자(121,123) 및 안테나단자(122)에 연결되어 실제의 신호가 입출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표시되는 입출력단자 및 안테나단자의 의미는 일반적인 듀플렉서 유전체필터의 입출력패드와 안테나패드를 포함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일반적인 유전체필터와 마찬가지로 상기 입출력단자 및 안테나단자는 유전체블럭의 측면뿐만 아니라 제1면에도 형성가능하며, 측면과 제1면에 걸쳐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듀플렉서 유전체필터는 일반적으로 2개의 필터링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제1필터링영역이 안테나단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경우에는 제2필터링영역은 안테나단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를 필터링하는 영역이다. 통상적으로 유전체블럭내의 필터링영역에서 상기 수신영역과 송신영역을 특별히 구분할 필요는 없다.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듀플렉서 유전체필터의 경우에서도 특정 제품에 따라 상기 수신영역과 수신영역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신영역과 송신영역을 특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러한 가정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도면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에서, 상기 안테나단자(122)을 중심으로 좌측에 형성된 3개의 공진홀은 외부로 고주파를 출력하는 송신필터링영역이고, 우측에 형성된 4개의 공진홀은 외부로부터 고주파를 수신하는 수신필터링영역이다. 수신필터링영역은 수신주파수에 대한 통과특성을 갖고 송신주파수에 대해서는 저지특성을 갖는 반면에, 송신필터링영역은 송신주파수에 대해서는 통과특성을 갖고 수신주파수에 대해서는 저지특성을 갖는다.
유전체블럭(110) 제1면(111)의 수신필터링영역의 공진홀(130d-130g)의 하부에는 제1도체패턴(131d-131g)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공진홀(130d-130g)의 배열방향을 따라 실질적인 직선으로 배치된 스트립라인형상의 제2도체패턴(140)이 상기 공진홀의 배열과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도체패턴(140)은 인접하는 공진기 사이에 결합캐패시턴스를 형성하고 인접하지 않는 공진기 사이에 크로스 결합캐패시턴스(cross coupling capacitance)를 형성하여 수신필터링영역의 주파수대역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제2도체패턴(140)은 입력단자(123)와 결합캐패시턴스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도체패턴(140)은 입출력(121,123)과 커플링을 형성한다. 즉, 상기 제2도체패턴(140)의 형성에 의해 입출력커플링의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제2도체패턴(140)은 공진홀(130d-130g)의 배열방향을 따라 공지홀(130d-130g)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상하부 양쪽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상기 입력단자(123)와 결합캐패시턴스를 형성하도록 공지홀(130a-130d)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2도체패턴(140)을 제1면 하부에 형성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듀플렉서 유전체필터는 그 외부를 케이싱하는 것에 의해 완성된다. 한편, 케이싱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는 제1면 상부에 창이 형성된다. 이 창은 듀플렉서 유전체필터의 제작완료시 튜닝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2도체패턴이 제1면 상부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외부로 상기 제2도체패턴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튜닝공정시 상기 제2도체패턴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제2도체패턴을 제1면의 하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도체패턴(140)의 배치위치는 인접 공진기 사이 및 인접하지 않는 공진기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캐패시턴스 및 크로스 결합캐패시턴스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공진홀(130d-130g)의 상하부의 배치에 의해 더욱 큰 결합캐패시턴스를 형성하여 제1도체패턴(131d-131g)의 크기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트립형상의 제2도체패턴(140)은 일정 길이 및 폭으로 형성되며, 길이와 폭이 증가할수록 결합캐패시턴스의 정도가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2도체패턴(140)은 유전체블럭(110) 측면(112)의 접지전극과 접속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단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필터링영역의 공진홀(130d-130g)의 상부에는 상기 유전체블럭(110)의 접지전극으로부터 상기 공진홀(130d-130g)를 향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도체패턴(1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체패턴(141)은 그 길이 및 폭에 따라 공진기의 공진주파수가 변하는 공진주파수 조정용 도체패턴이다. 이러한 공진주파수 조정용 도체패턴(141)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진홀(130d-130g)의 하부에 형성된 제2도체패턴(140)과 일체로 형성되어 공진홀(130d-130g)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러한 공진주파수용 제3도체패턴(141)은 공진홀(130d-130g)의 상부 또는 하부에 단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공진홀(130d-130g) 상부에 형성되는 제3도체패턴(141)은 유전체블럭(110) 측면(112)의 접지전극과 접속되어 공진홀(130d-130g)을 향해 연장되지만 접지전극과 단락될 수도 있다. 또한, 제2도체패턴(140)의 길이방향의 한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양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여러가지 제3도체패턴(141)의 형상은 모두 공진기의 공진주파수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그 배치위치를 특정할 필요는 없다.
송수신단자(121,123)와 안테나단자(122)의 단부에는 각각 길이조정영역(121a,122a,12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길이조정영역(121a,122a,123a)은 상기 송수신단자(121,123) 및 안테나단자(122)의 길이를 조정하여 공진홀(130a-130g)과의 전자기적인 커플링의 정도을 제어한다.
송신필터링영역의 공진홀(130a-130c) 사이에는 스트립형상의 제4도체패턴(135a-135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4도체패턴(135a-135d)은 제1도체패턴(131a-131c)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인접하는 공진홀(130a와 130b, 130b와 130c) 사이에 각각 두개씩 형성되며, 유전체블럭(110) 측면(112)의 접지전극과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4도체패턴(135a-135d)은 공진홀(130a-130c) 사이의 캐패시턴스를 억제하고, 결합인덕턴스를 형성하여 유전체 필터의 통과대역보다 높은 주파수에서 감쇠극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4도체패턴(135a-135d)의 단부에는 길이조정영역(147)이 형성되어 제4도체패턴(135a-135d)의 길이를 조정함에 따라 감쇠극이 형성되는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인접하는 공진홀 사이의 2개의 제4도체패턴 단부에 형성된 길이조정영역(147)은 각각 제4도체패턴(135a-135d)의 반대 단부에 형성된다. 즉, 한쪽 도체패턴의 길이조정영역이 제1면의 상부에 형성되면, 인접하는 다른쪽 도체패턴의 길이영역은 제1면의 하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송신필터링영역의 공진홀(130a-130c) 상부에는 수신필터링영역과 마찬가지로 유전체블럭(110) 측면(112)의 접지전극으로부터 상기 공진홀(130a-130c)를 향해 연장되는 공진기의 공진주파수 조정용 제5패턴(14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에도, 상기 제5도체패턴(145)이 측면(112)의 접지전극과 단락되는 것이 가능하고, 공진홀(130a-130c)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도체패턴들은 유전체블럭의 표면에 도금이나 인쇄공정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제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기판에 용이하게 실장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는 전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단자(122) 좌측의 송신필터링영역은 외부로 고주파를 송신화는 송신필터의 역할을 하고 안테나단자(122) 우측의 수신필터링영역은 외부로부터 고주파를 수신하는 수신필터의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송신필터링영역과 수신필터영역에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공진홀(130a-130g)은 미리 결정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각각은 1/4λ파장 공진기의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플렉서 유전체필터의 송신필터링영역에 대한 등가 회로도로써, 필터링 특성은 부하캐패시턴스(C1,C2,C3)를 조절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부하캐패시턴스에 의해 각각의 공진기(r1-r3) 자체의 공진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에서 공진점이 형성된다. 이는 공진점의 1/4파장(λ)에 비해 공진기의 길이가 짧다는 것을 의미하는 데, 이 경우 공진기와 공진기 사이에 존재하는 전계(electric field)에 의한 결합이 억제되기 때문에 공진기와 공진기 사이에는 전체적으로 자계(magnetic field)에 의한 결합이 우세하게 된다. 따라서, 공진기와 공진기 사이에는 유도성 커플링 M1,M2이 형성된다.
반면에 통과대역보다 높은 주파수에 대해서는 1/4파장의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우세했던 자계 커플링의 효과가 줄어들게 되고, 특정한 주파수에 이르면 커플링효과가 소멸(transmission zero)되어 감쇠극(attenuation pole)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 송신단 통과대역의 고주파 쪽에서 형성되는 감쇠극은 부하 캐패시턴스를 적절히 조정하여 줌으로써 조정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듀플렉서 유전체필터의 경우 설계 또는 생산 과정에서 필터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하여 부하 캐패시턴스를 조절할 때 제4패턴(135a-135d) 및 제5도체패턴(145)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각 공진홀 사이에 제4도체패턴(135a-125d)을 한 쌍 또는 그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한 것은 상기 제4도체패턴(135a-1350)을 하나만 형성하는 경우 전극의 길이 변화를 통해서 부하 캐패시턴스를 조절할 수는 있으나, 이와 동시에 공진홀 상호간의 결합 캐패시턴스가 변하기 때문에 그 만큼 조정 변수가 많아지게 되어 튜닝 작업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4도체패턴(135a-135d)을 한쌍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하고 길이조정영역(147)을 각 접지 전극의 엇갈리는 방향으로 선택함으로써 공진홀 간의 캐패시턴스 커플링에 의한 변수를 줄일 수 있어 공진주파수의 조정이 단순화되고 그에 따라 주파수조정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체형 유전체 듀플렉서에 있어서 수신필터링영역의 구성은 공진홀(130d-130g)과 그 주위에 형성된 제2도체패턴(140)을 포함하게 되는 데, 수신필터링영역은 수신영역의 통과대역주파수가 송신영역의 통과대역주파수 보다 높기 때문에 부하캐패시턴스를 줄여주어야 한다. 또한, 수신영역은 송신영역과는 반대로 통과 대역내의 낮은 주파수에 대한 저지 대역을 가져야 한다. 이때, 주파수가 낮아질 경우 1/4λ파장의 길이는 길어지게 되어 공진홀(130d-130g) 사이에는 전체적으로 자계에 의한 커플링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낮은 주파수에서 커플링효과를 상쇄시켜 감쇠극을 만들기 위해서는 송신영역에 비해 결합캐패시턴스(coulping capacitance)를 증가시켜야 한다. 이를 등가회로로 나타내면 도 4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체형 유전체 듀플렉서의 수신영역에 대한 등가 회로도로써, 각 공진기(r4~r7)간의 결합캐패시턴스가 증가되는 경우 공진기와 공진기간의 전계 커플링이 우세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진기만을 표시하여 그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만을 나타냈지만, 제2도체패턴(140)과 입력단자(123) 사이에는 결합캐패시턴스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영역에서는 공진홀(130d-130g)의 하단부 유전체블럭(110) 측면(112)의 접지전극과 접속되지 않도록 형성된 제2도체패턴(140)에 의해 공진홀(130a-130g)의 부하캐패시턴스를 일부 억제하고, 인접공진홀 및 인접하지 않는 공진홀 사이의 결합캐패시턴스를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제3도체패턴(141)에 의해서 공진주파수 조정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유전체 듀플렉서의 송신영역의 특성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유전체 듀플렉서의 수신영역의 특성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유전체 듀플렉서의 송신영역에서는 통과대역내에서의 높은 주파수영역에서 감쇠비를 얻을 수 있으며, 수신영역에서는 통과대역내에서의 낮은 주파수 영역에서 감쇠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는 각각 송신영역에서는 제4도체패턴(135a-135d) 및 제5도체패턴(145)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가능하고, 수신영역에서는 제2도체패턴(140)과 제3도체패턴(141)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유전체 듀플렉서는 전술한 구성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유전체 듀플렉서는 공진홀에 대한 부하캐패시턴스 및 결합캐패시턴스를 각각 일정 패턴으로 형성된 전극의 특정한 부위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조정이 가능하며, 특히 부하캐패시턴스와 결합캐패시턴스의 조절을 연동시키지 않고 별도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주파수의 대역과 공진주파수의 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유전체 듀플렉서에 의하여 공진주파수 조정작업이 단순화됨에 따라 제품의 생산성 향상 및 설계,제작 과정에서의 비용 절감을 통해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정정) 서로 대향하는 제1면과 제2면 및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면과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물질로 도포된 유전체블럭;
    상기 유전체블럭의 제1면과 제2면을 대략 평행하게 관통하고 그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물질로 도포된 공진홀과 제1면에 형성되어 공진기 사이에 전자기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제1도체패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로 이루어져 수신신호를 필터링하는 수신영역;
    상기 유전체블럭의 제1면과 제2면을 대략 평행하게 관통하며 그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물질로 도포된 공진홀과 제1면에 형성되어 공진기 사이에 전자기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제1도체패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로 이루어져 송신신호를 필터링하는 송신영역;
    상기 유전체블럭 측면의 도전물질과 고립된 전극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진홀과 전자기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외부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 입력단자 및 외부로 신호를 송신하는 출력단자;
    유전제블럭 측면의 도전물질과 고립된 전극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전체블럭의 수신영역과 송신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공진기와 전자기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안테나단자; 및
    상기 유전체블럭 제1면의 수신영역에 상기 공진홀의 배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입력단자, 출력단자 및 안테나단자와는 절연되어 인접공진기 사이에 결합캐패시턴스를 강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도체패턴으로 구성된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8. (정정)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체패턴이 공진홀의 상하부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9. (정정)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체패턴이 적어도 2개의 공진홀에 걸쳐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10. (정정)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체패턴이 적어도 2개의 공진홀 끝부분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11. (정정)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체패턴은 유전체블럭 측면의 도전물질과 공진홀 내부의 도전물질로부터 절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12. (정정)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체패턴은 직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13. (삭제)
  14. (정정)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체패턴은 상기 공진홀 내부에 도포된 도전물질과 접속되도록 상기 유전체블럭 제1면의 적어도 하나의 공진홀 주위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어 공진기에 부하캐패시턴스를 제공하고 인접공진기 사이에 전자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체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15. (정정)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체패턴은 상기 유전체블럭 제1면의 공진홀 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인접공진기 사이에 전자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체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16. (정정)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체패턴의 일단부가 상기 유전체블럭 측면의 도전물질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17. (정정)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체패턴의 양단부가 상기 유전체블럭 측면의 도전물질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18. (정정)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체패턴이 공진홀의 단부 사이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적어도 2개 형성되고 각각의 패턴의 일단부가 상기 유전체블럭 측면의 도전물질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19. (정정)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체패턴이 그 단부에 형성되어 길이가 조정됨에 따라 인접공진기 사이의 전자기적인 결합정도를 조정하는 길이조정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20. (정정)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체패턴이 제2도체패턴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2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블럭의 제1면에 형성되어 공진기의 공진주파수를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주파수 조정용 제3도체패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도체패턴이 유전체블럭 측면의 도전물질로부터 제1면의 공진홀 단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도체패턴의 면적 및 제3도체패턴과 홀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에 따라 공진주파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24. (정정)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도체패턴이 제2도체패턴으로부터 제1면의 공진홀 단부를 향하여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25. (정정)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도체패턴이 제2도체패턴으로부터 유전체블럭의 측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2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단자 및 안테나단자는 그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진홀과의 전자기적인 커플링을 제어하는 길이조정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2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단자 및 안테나단자는 유전체블럭의 제1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2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단자 및 안테나단자는 유전체블럭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2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단자 및 안테나단자는 유전체블럭의 제1면과 측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필터.
  30. (정정) 서로 대향하는 제1면과 제2면 및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면과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물질로 도포된 유전체블럭;
    상기 유전체블럭의 제1면과 제2면을 대략 평행하게 관통하며 그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물질로 도포되어 공진기를 형성하는 복수의 공진홀;
    상기 유전체블럭의 상기 공진홀 내부에 도포된 도전물질과 접속되도록 상기 유전체블럭의 제1면의 적어도 하나의 공진홀 주위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어 공진기에 부하캐패시턴스를 제공하고 인접 공진기 사이에 전자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도체패턴;
    상기 유전체블럭 측면의 도전물질과 고립된 전극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진홀과 전자기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외부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 입력단자 및 외부로 신호를 송신하는 출력단자;
    상기 유전체블럭 제1면의 공진홀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공진홀의 배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입력단자와 출력단자와는 절연되어 인접공진기 사이에 결합캐패시턴스를 강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도체패턴으로 구성된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31. (정정) 서로 대향하는 제1면과 제2면 및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면과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물질로 도포된 유전체블럭;
    상기 유전체블럭의 제1면과 제2면을 대략 평행하게 관통하고 그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물질로 도포된 공진홀과 제1면에 형성되어 공진기 사이에 전자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제1도체패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로 이루어져 수신신호를 필터링하는 수신영역;
    상기 유전체블럭의 제1면과 제2면을 대략 평행하게 관통하며 그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물질로 도포된 공진홀과 제1면에 형성되어 공진기 사이에 전자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제1도체패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로 이루어져 송신신호를 필터링하는 송신영역;
    상기 유전체블럭 측면의 도전물질과 고립된 전극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진홀과 전자기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
    유전제블럭 측면의 도전물질과 고립된 전극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전체블럭의 송신영역과 수신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공진기와 전자기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안테나단자; 및
    상기 유전체블럭 제1면의 수신영역에 상기 공진홀의 배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입력단자, 출력단자 및 안테나단자와는 절연되어 인접공진기 사이에 결합캐패시턴스를 강화하고 인접하지 않는 공진기 사이에 크로스 결합캐패시턴스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도체패턴으로 구성된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32. (정정)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체패턴이 공진홀의 상하부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33. (정정)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체패턴이 적어도 3개의 공진홀에 걸쳐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34. (정정)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체패턴이 적어도 3개의 공진홀 끝부분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츨렉서 유전체필터.
  35. (정정)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체패턴은 유전체블럭 측면의 도전물질과 공진홀 내부의 도전물질로부터 절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36. (정정)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체패턴은 직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37. (삭제)
  38. (정정)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체패턴은 상기 공진홀 내부에 도포된 도전물질과 접속되도록 상기 유전체블럭 제1면의 적어도 하나의 공진홀 주위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어 공진기에 부하캐패시턴스를 제공하고 인접공진기 사이에 전자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체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39. (정정)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체패턴은 상기 유전체블럭 제1면의 공진홀 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인접공진기 사이에 전자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체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40. (정정)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체패턴의 일단부가 상기 유전체블럭 측면의 도전물질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41. (정정)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체패턴의 양단부가 상기 유전체블럭 측면의 도전물질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42. (정정)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체패턴이 공진홀의 단부 사이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적어도 2개 형성되고 각각의 패턴의 일단부가 상기 유전체블럭 측면의 도전물질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43. (정정)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체패턴이 그 단부에 형성되어 길이가 조정됨에 따라 인접공진기 사이의 전자기적인 결합정도를 조정하는 길이조정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44. (정정)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체패턴이 제2도체패턴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4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블럭의 제1면에 형성되어 공진기의 공진주파수를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주파수 조정용 제3도체패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도체패턴이 유전체블럭 측면의 도전물질로부터 제1면의 공진홀 단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도체패턴의 면적 및 제3도체패턴과 홀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에 따라 공진주파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48. (정정)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도체패턴이 제2도체패턴으로부터 제1면의 공진홀 단부를 향하여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49. (정정)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도체패턴이 제2도체패턴으로부터 유전체블럭의 측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50.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단자 및 안테나단자는 그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진홀과의 전자기적인 커플링을 제어하는 길이조정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51.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단자 및 안테나단자는 유전체블럭의 제1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5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단자 및 안테나단자는 유전체블럭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5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단자 및 안테나단자는 유전체블럭의 제1면과 측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필터.
  54. (정정) 서로 대향하는 제1면과 제2면 및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면과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물질로 도포된 유전체블럭;
    상기 유전블럭의 제1면과 제2면을 대략 평행하게 관통하며 그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물질로 도포되어 공진기를 형성하는 복수의 공진홀;
    상기 유전체블럭의 상기 공진홀 내부에 도포된 도전물질과 접속되도록 상기 유전체블럭의 제1면의 적어도 하나의 공진홀 주위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어 공진기에 부하캐패시턴스를 제공하고 인접 공진기 사이에 전자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도체패턴;
    상기 유전체블럭 측면의 도전물질과 고립된 전극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진홀과 전자기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며 외부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 입력단자 및 외부로 신호를 송신하는 출력단자;
    상기 유전체블럭 제1면의 공진홀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공진홀의 배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와는 절연되어 인접공진기 사이에 결합캐패시턴스를 강화하고 인접하지 않는 공진기 사이에 크로스 결합캐패시턴스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도체패턴으로 구성된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55. (정정) 서로 대향하는 제1면과 제2면 및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면과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물질로 도포된 유전체블럭;
    상기 유전체블럭의 제1면과 제2면을 대략 평행하게 관통하고 그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물질로 도포된 공진홀과 제1면에 형성되어 공진기 사이에 전자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제1도체패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로 이루어져 수신신호를 필터링하는 수신영역;
    상기 유전체블럭의 제1면과 제2면을 대략 평행하게 관통하며 그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물질로 도포된 공진홀과 제1면에 형성되어 공진기 사이에 전자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제1도체패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로 이루어져 송신신호를 필터링하는 송신영역;
    상기 유전체블럭 측면의 도전물질과 고립된 전극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진홀과 전자기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며 외부로/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입출력수단;
    유전제블럭 측면의 도전물질과 고립된 전극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전체블럭의 제1필터링영역과 제2필터링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공진기와 전자기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안테나수단; 및
    상기 유전체블럭 제1면의 수신영역에 상기 공진홀의 배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입출력수단 및 안테나수단과는 절연되어 인접하는 공진기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으로 구성된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56. (정정) 서로 대향하는 제1면과 제2면 및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면과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물질로 도포된 유전체블럭;
    상기 유전체블럭의 제1면과 제2면을 대략 평행하게 관통하고 그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물질로 도포된 공진홀과 제1면에 형성되어 공진기 사이에 전자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제1도체패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로 이루어져 신호를 필터링하는 수신영역;
    상기 유전체블럭의 제1면과 제2면을 대략 평행하게 관통하며 그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물질로 도포된 공진홀과 제1면에 형성되어 공진기 사이에 전자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제1도체패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로 이루어져 신호를 필터링하는 송신영역;
    상기 유전체블럭 측면의 도전물질과 고립된 전극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진홀과 전자기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며 외부로/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입출력단자;
    유전제블럭 측면의 도전물질과 고립된 전극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전체블럭의 수신영역과 송신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공진기와 전자기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안테나단자; 및
    상기 유전체블럭 제1면의 수신영역에 상기 공진홀의 배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입출력단자 및 안테나단자와는 절연되어 인접하는 공진기 및 입출력수단과 결합캐패시턴스를 형성하는 도체패턴으로 구성된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57. (정정) 서로 대향하는 제1면과 제2면 및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면과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물질로 도포된 유전체블럭;
    상기 유전체블럭의 제1면과 제2면을 대략 평행하게 관통하고 그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물질로 도포된 공진홀과 제1면에 형성되어 공진기 사이에 전자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제1도체패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로 이루어져 신호를 필터링하는 수신영역;
    상기 유전체블럭의 제1면과 제2면을 대략 평행하게 관통하며 그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물질로 도포된 공진홀과 제1면에 형성되어 공진기 사이에 전자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제1도체패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로 이루어져 신호를 필터링하는 송신영역;
    상기 유전체블럭 측면의 도전물질과 고립된 전극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진홀과 전자기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며 외부로/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입출력수단;
    유전제블럭 측면의 도전물질과 고립된 전극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전체블럭의 수신영역과 송신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공진기와 전자기적인 커플링을 형성하는 안테나수단; 및
    상기 유전체블럭 제1면에 수신영역에 상기 공진홀의 배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입출력수단 및 안테나수단과는 절연되어 인접하는 공진기 및 입출력수단과 결합캐패시턴스를 형성하여 수신영역에 감쇄극을 형성하는 수신영역 감쇄수단으로 구성된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KR1019980033567A 1998-07-08 1998-08-19 일체형듀플렉서유전체필터 KR100262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3567A KR100262499B1 (ko) 1998-08-19 1998-08-19 일체형듀플렉서유전체필터
US09/212,534 US6169465B1 (en) 1998-07-08 1998-12-16 Duplexer dielectric filter
SE9804353A SE9804353L (sv) 1998-07-08 1998-12-16 Dielektriskt duplexorfilter
AT0209998A AT411119B (de) 1998-07-08 1998-12-16 Dielektrisches duplexsystem-filter
TW087121004A TW406467B (en) 1998-07-08 1998-12-16 Dielectric filter
SE9804354A SE9804354L (sv) 1998-07-08 1998-12-16 Dielektriskt filter
TW87121003A TW472444B (en) 1998-07-08 1998-12-16 A duplexer dielectric filter
US09/213,707 US6636132B1 (en) 1998-07-08 1998-12-17 Dielectric filter
FR9816167A FR2781085A1 (fr) 1998-07-08 1998-12-17 Filtre dielectrique duplexeur
GB9827959A GB2339341B (en) 1998-07-08 1998-12-18 A duplexer dielectric filter
AT0211698A AT411000B (de) 1998-07-08 1998-12-18 Dielektrisches filter
DE1998159207 DE19859207A1 (de) 1998-07-08 1998-12-21 Dielektrisches Duplexerfilter
DE19859205A DE19859205A1 (de) 1998-07-08 1998-12-21 Dielektrisches Filter
JP10362665A JP2000049507A (ja) 1998-07-08 1998-12-21 デュプレクサ誘電体フィルター
GB9827893A GB2339340B (en) 1998-07-08 1998-12-21 Dielectric filter
FR9816398A FR2781086B1 (fr) 1998-07-08 1998-12-21 Filtre dielectrique
JP10364600A JP2000049504A (ja) 1998-07-08 1998-12-22 誘電体フィルター
CN98126703.3A CN1201428C (zh) 1998-07-08 1998-12-30 介质滤波器
BR9900051-2A BR9900051A (pt) 1998-07-08 1999-01-13 Filtro dielétrico duplexador
BR9900178-0A BR9900178A (pt) 1998-07-08 1999-01-27 Filtro dielétric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3567A KR100262499B1 (ko) 1998-08-19 1998-08-19 일체형듀플렉서유전체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343A KR19990014343A (ko) 1999-02-25
KR100262499B1 true KR100262499B1 (ko) 2000-08-01

Family

ID=19547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3567A KR100262499B1 (ko) 1998-07-08 1998-08-19 일체형듀플렉서유전체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24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211B1 (ko) 2000-06-19 2003-01-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일체형 유전체 듀플렉서
KR20020056748A (ko) * 2000-12-29 2002-07-10 송재인 유전체 듀플렉서
KR20020056750A (ko) * 2000-12-29 2002-07-10 송재인 유전체 듀플렉서
KR100476083B1 (ko) * 2001-05-24 2005-03-10 (주)파트론 고조파성분 감쇄패턴을 갖는 유전체 필터
KR100827842B1 (ko) * 2007-05-04 2008-05-07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노치 커플링 rf 필터
KR101007935B1 (ko) * 2009-03-16 2011-01-14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 밴드 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유전체 멀티플렉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140A (ko) * 1988-06-14 1990-01-31 빈센트 죠셉 로너 대역저지 기능을 갖춘 필터 및 송수절환기
JPH08228103A (ja) * 1995-02-21 1996-09-03 Murata Mfg Co Ltd 誘電体フィル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140A (ko) * 1988-06-14 1990-01-31 빈센트 죠셉 로너 대역저지 기능을 갖춘 필터 및 송수절환기
JPH08228103A (ja) * 1995-02-21 1996-09-03 Murata Mfg Co Ltd 誘電体フィル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343A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7593B2 (en) High frequency filter with blocking circuit coupling
US6737943B2 (en) Dielectric device with partially closed hole
US8115569B2 (en) Monoblock dielectric multiplexer capable of processing multi-band signals
KR20090098822A (ko) 폐쇄 회로 커플링을 구비한 고주파 필터
US6130591A (en) Band-pass filter comprising series coupled split gap resonators arranged along a circular position line
KR100496161B1 (ko) 노치패턴을 가진 유전체 필터
KR100262499B1 (ko) 일체형듀플렉서유전체필터
US20040246071A1 (en) Radio-frequency filter, in particular in the form of a duplex filter
US6525625B1 (en)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6150905A (en) Dielectric filter with through-hole having large and small diameter portions and a coupling adjustment portion
US6169464B1 (en) Dielectric filter
KR100262498B1 (ko) 일체형유전체필터
US6169465B1 (en) Duplexer dielectric filter
KR100311809B1 (ko) 유전체필터
KR100388067B1 (ko) 유전체 필터
KR100332878B1 (ko)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
GB2339341A (en) Duplexer dielectric filter
KR20020031955A (ko) 유전체필터
KR200263615Y1 (ko) 감쇠극을 갖는 유전체 필터
KR100340405B1 (ko) 듀플렉서 유전체 필터
KR100305577B1 (ko) 유전체 듀플렉서의 제조방법
KR100258788B1 (ko) 동축선 공진기의 절반구조를 이용한 대역 통과 여파기
KR100332879B1 (ko) 유전체 듀플렉서 및 그 제조방법
KR200230864Y1 (ko) 우수한 감쇠특성을 갖는 유전체 필터
KR100282567B1 (ko) 폐루프 공진기를 이용한 고주파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