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971B1 - 광대역을 실현하는 다중 모드 필터 - Google Patents

광대역을 실현하는 다중 모드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971B1
KR101194971B1 KR1020110047381A KR20110047381A KR101194971B1 KR 101194971 B1 KR101194971 B1 KR 101194971B1 KR 1020110047381 A KR1020110047381 A KR 1020110047381A KR 20110047381 A KR20110047381 A KR 20110047381A KR 101194971 B1 KR101194971 B1 KR 101194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resonator
cavity
mode fil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동완
장재원
신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10047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971B1/ko
Priority to US13/467,886 priority patent/US9077063B2/en
Priority to CN201210155121.4A priority patent/CN102790250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4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 H01P1/2086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multim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 H01P7/105Multimode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9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of the junction type
    • H01P5/20Magic-T junc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광대역을 구현할 수 있는 다중 모드 필터가 개시된다. 개시된 다중 모드 필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 내에 수용되는 공진기;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 및 상기 캐비티 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커넥터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커넥터 각각과 상기 공진기를 커플링시키는 하나 이상의 커플링 엘리먼트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커플링 엘리먼트 각각은 정면에서 바라본 형상이 "T"의 형상을 가지고, 측면에서 바라본 형상이 "L"의 형상을 가진다.

Description

광대역을 실현하는 다중 모드 필터{MULTI MODE FILTER FOR REALIZING WIDEBAND}
본 발명은 다중 모드를 위한 충분한 커플링을 구현하는 다중 모드 필터에 관한 것이다.
필터는 입력되는 신호 중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다양한 형식으로 구현되고 있다.
기지국과 같이 하이 파워가 요구되는 장치에서는 필터의 내부에 다수의 캐비티를 형성하고, 각 캐비티에 공진기를 설치한 캐비티 필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캐비티 필터의 중요한 특성 하나는 스커트 특성 및 삽입 손실이다. 스커트 특성은 필터의 특성 그래프에서 통과 대역의 기울기의 정도와 대응되는 특성이며, 삽입 손실은 필터의 입출력에 대한 손실을 나타내는 특성이다.
스커트 특성은 필터의 폴(pole) 수가 많을수록 양호해지는 특성이 있으나, 삽입 손실은 필터의 폴 수와 반비례하는 바, 스커트 특성과 삽입 손실은 서로 트레이드 오프 관계에 있으며, 이를 적절히 고려하여 필터의 폴 수를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캐비티 필터에서 필터의 폴 수는 캐비티의 개수와 대응되며, 캐비티의 개수는 필터의 사이즈와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이동통신의 발달에 따라 필터의 사용 용도는 확장되고 있고, 필터의 소형화 및 고성능화는 계속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요구에 대응하여 개발된 필터 중 하나가 다중 모드 필터이다.
다중 모드 필터는 단일 공진기에서의 단일 공진모드를 이용하는 싱글 모드 필터와는 달리 단일 공진기에서의 다수의 공진 모드를 이용하는 필터이다. 이러한 다중 모드 필터는 싱글 모드 필터에 비해 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고 고성능을 발휘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다중 모드 필터의 포트 피딩(Port Feeding)은 전계 결합 및 자계 결합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그러나, 서지(Surge) 규격이 있는 캐비티 필터는 포트 피딩 시 접지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접지 구조물이 없는 전계 결합 방식의 포트 피딩은 상기와 같은 서지 규격이 있는 캐비티 필터에 대해서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계 결합 방식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를 가지는데, 이러한 종래의 자계 결합 방식은 다중 모드 필터의 설계 시 원하는 만큼의 충분한 커플링을 확보할 수 없어 광대역 특성을 얻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광대역 특성을 실현할 수 있는 다중 모드 필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 내에 수용되는 공진기;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 및 상기 캐비티 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커넥터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커넥터 각각과 상기 공진기를 커플링시키는 하나 이상의 커플링 엘리먼트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커플링 엘리먼트 각각은 정면에서 바라본 형상이 "T"의 형상을 가지고, 측면에서 바라본 형상이 "L"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다중 모드 필터가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커플링 엘리먼트 각각은 E 필드 커플링과 H 필드 커플링을 모두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커넥터 각각과 상기 공진기를 커플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커플링 엘리먼트 각각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커플링 플레이트; 상기 제1 커플링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커플링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기 공진기와 마주보며 배치되도록 연장되는 제2 커플링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커플링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 마주보며 배치되도록 연장되는 제3 커플링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나 이상의 커플링 엘리먼트 각각의 제3 커플링 플레이트는 접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 내에 수용되는 공진기;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 및 상기 캐비티 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커넥터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커넥터 각각과 상기 공진기를 커플링시키는 하나 이상의 커플링 엘리먼트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커플링 엘리먼트 각각은 정면에서 바라본 형상이 "T"의 형상을 가지되, 상기 "T"의 형상의 가로부분은 상기 공진기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T"의 형상의 세로부분의 하단은 접지와 연결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커플링 엘리먼트 각각과 상기 공진기 사이에는 E 필드 커플링과 H 필드 커플링이 모두 발생하는 다중 모드 필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모드 필터는 광대역 특성을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다중 모드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필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필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듀얼 모드 필터의 커플링 실험 결과에 대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필터의 커플링 실험 결과에 대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필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필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필터(200)는 하우징(210), 캐비티(220), 공진기(230), 커넥터(240) 및 커플링 엘리먼트(250)를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필터 내부의 공진기(230) 등과 같은 구성 요소를 보호하고 전자기파의 차폐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하우징(210)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질 위에 전도도가 높은 은을 도금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전기적인 접지 역할을 수행한다.
캐비티(220)는 주파수 공진을 위해 하우징(210) 내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캐비티(220)가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캐비티(220)의 형상은 예를 들어 사각 기둥(직육면체) 형태와 같이 다양한 기둥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공진기(230)는 캐비티(220) 내에 수용되며, 다중 모드 필터에서 각 모드의 공진 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공진기(230)는 RF 필터의 모드(TE 모드 또는 TM 모드)에 따라 금속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고, 유전체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공진기(230)가 원기둥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 외에도 공진기(230)는 사각 기둥(직육면체) 형상, 디스크 형상 등 다양한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원기둥 형태의 공진기(230)가 사용되는 경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220) 내에서는 공진기(230)에 의해 제1 모드(261) 및 이와 직교하는 제2 모드(262)가 발생할 수 있다. 일례로서, 공진기(230)가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 즉 납작한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경우, 모드들(261 및 262)은 각기 HEH 모드일 수 있다. 물론, 모드들(261 및 262)은 공진기(230)의 형태에 따라 다른 종류의 모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진기(230)가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가지면, 해당 모드들은 각기 HEE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캐비티(220) 내에서 발생하는 모드의 개수가 3개 이상일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커넥터(240)는 하우징(210)의 측벽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일례로, 커넥터(240)는 RF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커넥터일 수도 있고, 다중 모드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커넥터일 수도 있다.
커플링 엘리먼트(250)는 캐비티(220) 내에서 커넥터(240)와 연결되며, 커넥터(240)와 공진기(230)를 커플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커플링 엘리먼트(250)는 금속 재질일 수 있으며, 정면에서 바라본 형상이 "T"의 형상을 가지고, 측면에서 바라본 형상이 "L"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커플링 엘리먼트(250)는 제1 커플링 플레이트(251), 제2 커플링 플레이트(252) 및 제3 커플링 플레이트(2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플링 플레이트(251)는 "T"의 형상의 세로부분과 대응되며, 캐비티(220) 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제1 커플링 플레이트(251)는 커넥터(240)와 공진기(230) 사이에 H 필드 커플링을 발생시킨다.
제2 커플링 플레이트(252)는 "T"의 형상의 가로부분과 대응되며, 제1 커플링 플레이트(251)의 상부에서 공진기(230)와 마주보며 배치되도록 연장된다. 즉, 제2 커플링 플레이트(252)는 제1 커플링 플레이트(251)와 연결되면서 공진기(230)와 마주보도록 캐비티(220)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 커플링 플레이트(252)는 커넥터(240)와 공진기(230) 사이에 E 필드 커플링을 발생시킨다.
제3 커플링 플레이트(253)는 제1 커플링 플레이트(251)의 하부에서 하우징(210)의 바닥면과 마주보며 배치되도록 연장된다.
이러한 제3 커플링 플레이트(253)는 커플링 엘리먼트(250)를 안정적으로 접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3 커플링 플레이트(253)에는 나사산이 존재하는 홀이 형성되며, 볼트(270)를 통해 제3 커플링 플레이트(253)를 하우징(210)의 바닥면에 결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T" 형상의 세로부분의 하단이 접지되게 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필터(200)는 H 필드 커플링 및 E 필드 커플링을 모두 발생시켜 커넥터(240)와 공진기(230) 사이에 충분한 커플링 값을 구현시킨다. 결과적으로, 다중 모드 필터(2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대역을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필터(500)는 하우징(510)의 측벽을 통과하여 2개의 커넥터(540, 545)가 설치되고, 2개의 커넥터(540, 545) 각각에 커플링 엘리먼트(550, 555)가 연결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필터(200)와 동일하다. 이 경우, 하나의 커넥터(540)는 입력 커넥터로서 동작하고, 다른 하나의 커넥터(545)는 출력 커넥터로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커플링 엘리먼트(550, 555)는 H 필드 커플링과 E 필드 커플링을 모두 이용하여 2개의 커넥터(540, 545) 각각과 공진기(530)를 커플링시킨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모드 필터는 복수의 커넥터가 구비된 캐비티 필터로 확장되어 적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중 모드 필터(200, 500)와 종래의 다중 모드 필터를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종래의 다중 모드 필터에서는 제2 커플링 플레이트(252, 552, 557)와 같은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종래의 다중 모드 필터의 경우, 커넥터(240, 540, 545)와 공진기 사이에 H 필드 커플링(즉, 유도성 커플링(Inductive coupling))만이 강하게 발생하고, E 필드 커플링(즉, 용량성 커플링(Capacitive coupling)에 해당하고, H-필드 커플링)은 발생하지 않거나 약하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모드 필터(200, 500)와 같이 공진기(220, 52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커플링 플레이트(252, 552, 557)를 도입하는 경우, 커넥터(240, 540, 545)와 공진기(220, 520) 사이에 E 필드 커플링이 발생하여 커넥터(240, 540, 545)와 공진기(220, 520) 사이의 커플링 값이 증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플링 엘리먼트(250, 550, 555)는 E 필드 커플링과 H 필드 커플링을 모두 이용하여 커넥터(240, 540, 545)와 공진기(220, 520)를 커플링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충분한 양의 커플링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광대역 특성을 가지는 다중 모드 필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커넥터와 출력 커넥터가 서로 다른 캐비티 내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커넥터들과 해당 캐비티의 공진기 사이의 커플링을 위한 커플링 엘리먼트가 각 캐비티들에 형성된다.
이하, 종래의 다중 모드 필터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필터(200)의 커플링 실험 결과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종래의 듀얼 모드 필터의 커플링 실험 결과에 대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필터(500)(듀얼 모드 필터)의 커플링 실험 결과에 대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2.56GHz의 중심 주파수에 대역폭이 30MHz인 대역 통과 필터의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18.15ns 이하의 그룹 지연(Group Delay) 값이 필요하지만, 종래의 듀얼 모드 필터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0ns 이하의 그룹 지연을 확보하기 힘들기 때문에, 종래의 듀얼 모드 필터는 광대역 특성을 확보하기 어려웠다.
반면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드 필터(5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53GHz의 중심 주파수에서 46.5MHz의 대역폭을 가지므로, 보다 넓은 (광대역의) 대역 통과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200, 500: 다중 모드 필터 210, 510: 하우징
220, 520: 캐비티 230, 530: 공진기
240, 540, 545: 커넥터 250, 550, 555: 커플링 엘리먼트
251, 551, 555: 제1 커플링 플레이트
252, 552, 556: 제2 커플링 플레이트
253, 553, 557: 제3 커플링 플레이트
270, 570, 575: 볼트

Claims (5)

  1. 다중 모드 필터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 내에 수용되는 공진기;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 및
    상기 캐비티 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커넥터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커넥터 각각과 상기 공진기를 커플링시키는 하나 이상의 커플링 엘리먼트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커플링 엘리먼트 각각은 정면에서 바라본 형상이 "T"의 형상을 가지고, 측면에서 바라본 형상이 "L"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커플링 엘리먼트 각각은 E 필드 커플링과 H 필드 커플링을 모두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커넥터 각각과 상기 공진기를 커플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커플링 엘리먼트 각각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커플링 플레이트;
    상기 제1 커플링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기 공진기와 마주보며 배치되도록 연장되는 제2 커플링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커플링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 마주보며 배치되도록 연장되는 제3 커플링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커플링 엘리먼트 각각의 제3 커플링 플레이트는 접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필터.
  5. 다중 모드 필터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 내에 수용되는 공진기;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 및
    상기 캐비티 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커넥터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커넥터 각각과 상기 공진기를 커플링시키는 하나 이상의 커플링 엘리먼트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커플링 엘리먼트 각각은 정면에서 바라본 형상이 "T"의 형상을 가지되, 상기 "T"의 형상의 가로부분은 상기 공진기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T"의 형상의 세로부분의 하단은 접지와 연결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커플링 엘리먼트 각각과 상기 공진기 사이에는 E 필드 커플링과 H 필드 커플링이 모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필터.
KR1020110047381A 2011-05-19 2011-05-19 광대역을 실현하는 다중 모드 필터 KR101194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381A KR101194971B1 (ko) 2011-05-19 2011-05-19 광대역을 실현하는 다중 모드 필터
US13/467,886 US9077063B2 (en) 2011-05-19 2012-05-09 Wide-band multi-mode filter
CN201210155121.4A CN102790250B (zh) 2011-05-19 2012-05-17 宽带多模滤波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381A KR101194971B1 (ko) 2011-05-19 2011-05-19 광대역을 실현하는 다중 모드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4971B1 true KR101194971B1 (ko) 2012-10-25

Family

ID=47155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381A KR101194971B1 (ko) 2011-05-19 2011-05-19 광대역을 실현하는 다중 모드 필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77063B2 (ko)
KR (1) KR101194971B1 (ko)
CN (1) CN10279025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3224A1 (en) * 2020-11-16 2022-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mode dielectric filter and multi-mode cascade fil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1751B (zh) * 2014-09-10 2017-07-25 江苏贝孚德通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介质滤波器端口耦合结构
CN104269591B (zh) * 2014-09-28 2017-06-06 华南理工大学 采用弯折接地探针馈电的单腔三模腔体谐振器的滤波器
CN113571861B (zh) * 2014-10-21 2022-10-11 株式会社Kmw 多模谐振器
CN107004933B (zh) * 2014-12-31 2019-06-11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腔体滤波器及其安装方法
CN105006617B (zh) * 2015-08-19 2018-02-13 江苏吴通连接器有限公司 三模介质腔体滤波器
CN109075422B (zh) * 2016-04-26 2020-02-21 华为技术有限公司 介质谐振器及应用其的介质滤波器、收发信机及基站
CN108258373A (zh) * 2018-01-23 2018-07-06 华南理工大学 一种基于电磁混合耦合的腔体四模滤波器
CN110137642B (zh) * 2019-05-23 2020-12-29 井冈山大学 一种采用十字形馈线的宽阻带同轴单腔三模宽带滤波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044Y1 (ko) 1995-05-19 1999-08-02 구관영 동축형 대역통과 여파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5688B2 (ja) * 2003-05-21 2008-04-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バンドパスフィルタ
DE102006061141B4 (de) * 2006-12-22 2014-12-11 Kathrein-Werke Kg Hochfrequenzfilter mit Sperrkreiskopplung
KR200449969Y1 (ko) * 2008-04-29 2010-08-30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커플러 방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접속기
JP5198964B2 (ja) * 2008-07-22 2013-05-15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多重モード誘電体共振器およびその調整方法
CN101409377A (zh) * 2008-11-24 2009-04-15 丹东华讯电子有限公司 腔体滤波器结构数学响应模型及其移动通讯网络用腔体滤波器
EP2452395B1 (en) * 2009-07-10 2013-04-17 KMW Inc. Multi-mode resonant fil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044Y1 (ko) 1995-05-19 1999-08-02 구관영 동축형 대역통과 여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3224A1 (en) * 2020-11-16 2022-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mode dielectric filter and multi-mode cascade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90250B (zh) 2015-12-16
US9077063B2 (en) 2015-07-07
CN102790250A (zh) 2012-11-21
US20120293280A1 (en) 201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4971B1 (ko) 광대역을 실현하는 다중 모드 필터
US10873119B2 (en) Filter and wireless network device
US9929713B2 (en) Duplexer and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duplexer
US9991577B2 (en) Cavity filter using cross-coupling
US9184479B2 (en) Multi mode filter for realizing wide band using capacitive coupling / inductive coupling and capable of tuning coupling value
US10847861B2 (en) Multimode resonator
US11581619B2 (e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having a plurality of resonant cavities coupled by window structures configured to affect the electric and magnetic field distributions in the filter
US11721922B2 (en) Multipole connector set
KR20130050623A (ko) 유전체 공진기 필터
US10153553B2 (en) Antenna device having patch antenna
CN109599644B (zh) 一种高选择性的基片集成波导宽带滤波器
CN108206320B (zh) 利用非谐振节点的滤波器及天线共用器
WO2016173485A1 (zh) 缝隙天线及移动终端
TWI645620B (zh) 頻率可重組之圓極化天線
KR101312723B1 (ko) 이동통신용 고방향성 커플러
KR20100122231A (ko) 이중 공진기 구조의 rf 필터
JP4059126B2 (ja) 誘電体共振器、誘電体フィルタ、複合誘電体フィルタおよび通信装置
CN107204502A (zh) 基于非对称耦合线的三模巴伦带通滤波器
KR101279261B1 (ko) 광대역 다중 모드 유전체 필터
CN105789783A (zh) 加载复合左右手的四分之一模衬底集成波导带通滤波器
KR101188561B1 (ko) 높은 감쇠 특성을 가지는 rf 캐비티 필터
CN106848515B (zh) 集成化滤波器系统、天线系统
KR102125552B1 (ko) 알에프 코일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알에프 코일 어셈블리
CN215579000U (zh) 一种宽带低频天线合路器
KR101143232B1 (ko) 다중 모드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