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666A - 거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거울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11666A KR20120111666A KR1020110030298A KR20110030298A KR20120111666A KR 20120111666 A KR20120111666 A KR 20120111666A KR 1020110030298 A KR1020110030298 A KR 1020110030298A KR 20110030298 A KR20110030298 A KR 20110030298A KR 20120111666 A KR20120111666 A KR 201201116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mirror
- frame
- fixing device
- sid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10—Corner clips or corner-connecting appliances for frames
- A47G1/101—Corner clips or corner-connecting appliances for frames for insertion within frame members
- A47G1/102—Corner clips or corner-connecting appliances for frames for insertion within frame members having an aperture to receive a fastener to connect to a frame memb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2—Picture members for connection to a conventional wall hook or nail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거울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거울 고정장치는: 거울의 상하 측면에 결합되고 설치물에 지지되는 수평프레임과, 거울의 좌우 측면에 결합되고 설치물에 지지되는 수직프레임과, 거울의 네 모서리를 지지하면서 수직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설치물에 고정되는 커넥터와, 수평프레임, 수직프레임과 커넥터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거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울의 네 모서리를 지지하면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에 연결되는 커넥터를 이용하여 거울을 문짝 또는 벽면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거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엌, 욕실 등에서 사용자가 거울을 이용할 수 있으며, 실내의 장식성과 설치의 편리성 및 저렴한 설치비용 등에 의해 수납장의 문짝 또는 화장용, 장식용으로 거울을 이용하고 있다.
수납장은 신발을 보관하는 신발장, 의류 혹은 침구류를 보관하는 장롱, 주방기구를 보관하기 위한 부엌장 등으로 이루어지고, 수납장은 내부 보관물을 인출하기 편리하도록 힌지에 의해 회전하는 문짝이 구비된다.
이때, 거울은 외부를 감싼 프레임에 결합시켜 여닫이 문짝이나 벽면에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거울의 네 모서리 부분만을 지지하고 문짝이나 벽면에 나사 볼트결합되는 모서리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사용하였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거울을 프레임으로 고정하는 경우, 실리콘을 이용하여 문짝 또는 벽면에 부착하므로 조립 후 분리 작업이 용이하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거울의 네 모서리 부분만을 지지하여 문짝이나 벽면에 고정하는 경우, 거울의 상하 좌우측면을 지지하지 못하므로 거울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거울의 상하, 좌우 측을 수평프레임, 수직프레임과 결합하고, 거울의 네 모서리를 지지하면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에 각각 연결되는 커넥터를 이용하여 거울을 문짝 또는 벽면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거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와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이 결속부에 의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되므로 작업성 및 조립성이 향상되고, 문짝 또는 벽면에 나사 볼트 결합된 커넥터를 프레임캡으로 커버하므로 미려한 외관을 보여주는 거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캡을 가이드부를 이용하여 커넥터에서 상하 이동시킨 후, 결합부를 이용하여 커넥터에 용이하게 걸림 결합할 수 있는 거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울 고정장치는: 거울의 상하 측면에 결합되고 설치물에 지지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거울의 좌우 측면에 결합되고 설치물에 지지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거울의 네 모서리를 지지하면서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설치물에 고정되는 커넥터; 및 상기 수평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커넥터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양측면과 상기 커넥터의 양측면은 상호 45°각도로 경사지게 접하도록 형성되고, 접촉면의 접촉길이(ℓ)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거울의 둘레면이 끼워지도록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상측 단부에는 상기 거울의 둘레면 상측을 덮어주도록 상측 커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의 외측에는 상기 커넥터가 설치물에 고정되기 위해 나사 또는 볼트가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끼움공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거울의 네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모따기면에 접촉되어 격벽역할을 하는 접촉부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양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상기 커넥터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돌기부의 단부는 상기 수용부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중심선 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에는 상부면을 마감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프레임캡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캡은 상기 커넥터에 가이드부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커넥터의 양측 면에 함몰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롯부; 및 상기 슬롯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상기 프레임캡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레일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캡은 상기 커넥터에 결합부에 의해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커넥터의 양측 저면에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 및
상기 걸림홈에 걸려지도록 상기 프레임캡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울 고정장치는, 거울의 상하, 좌우 측을 수평프레임, 수직프레임과 결합하고, 거울의 네 모서리를 지지하면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에 각각 연결되는 커넥터를 이용하여 거울을 문짝 또는 벽면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와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이 결속부에 의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되므로 작업성 및 조립성이 향상되고, 문짝 또는 벽면에 나사 볼트 결합된 커넥터를 프레임캡으로 커버하므로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캡을 가이드부를 이용하여 커넥터에서 상하 이동시킨 후, 결합부를 이용하여 커넥터에 용이하게 걸림 결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울 고정장치의 문짝 설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울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울 고정장치의 모서리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울 고정장치의 프레임캡 배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울 고정장치의 가이드부 조립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울 고정장치의 결합부 조립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울 고정장치의 투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울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울 고정장치의 모서리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울 고정장치의 프레임캡 배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울 고정장치의 가이드부 조립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울 고정장치의 결합부 조립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울 고정장치의 투시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울 고정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울 고정장치의 문짝 설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울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울 고정장치의 모서리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울 고정장치의 프레임캡 배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울 고정장치의 가이드부 조립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울 고정장치의 결합부 조립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울 고정장치의 투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울 고정장치(10)는, 거울(20), 수평프레임(30), 수직프레임(32), 커넥터(40) 및 프레임(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거울(20)은 반사거울이면서 유리 거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다양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거울(20)은 상하 길이가 긴 직사각형 거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크기와 모양을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거울(20)은 둘레면이 수평프레임(30)과 수직프레임(32)에 의해 결합 지지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된다.
수평프레임(30)은 거울(20)의 상하 측면에 결합되고 설치물(1)의 전측에 지지된다.
수평프레임(30)은 상하 측에 결합되는 구성이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서, 거울(20)의 상하 양측에 대칭되는 위치에 결합되어 거울의 상하 둘레면을 지지한다.
수직프레임(32)은 거울(20)의 좌우 측면에 결합되고 설치물(1)의 전측에 지지된다.
수직프레임(32)은 좌우 측에 결합되는 구성이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서, 거울(20)의 좌우 양측에 대칭되는 위치에 결합되어 거울의 좌우 둘레면을 지지한다.
수직프레임(32)은 수평프레임(30)에 비하여 길이가 약간 길게 형성되지만, 단면형상은 동일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30)과 수직프레임(32)의 양측면과 커넥터(40)의 양측면은 상호 45°각도로 경사지게 접하도록 형성되고, 양측 접합면의 접합 거리(ℓ)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양측면의 접합 거리(ℓ)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30)과 수직프레임(32)은 거울(20)의 둘레면이 끼워지도록 삽입홈(34)이 형성된다.
삽입홈(34)의 상측 단부에는 거울(20)의 둘레면 상측을 덮어주도록 커버부(36)가 형성된다.
커버부(36)는 가장자리부가 상기 거울(20) 측으로 향하도록 라운드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40)는 거울(20)의 네 모서리를 지지하면서 수직프레임(30)과 수직프레임(32)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설치물(1)에 고정된다.
설치물(1)은 장롱, 주방가구, 욕실장, 거실장, 신발장 등의 수납장에 구비된 문짝 또는 벽면 중에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설치물(1)은 대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커넥터(40)의 외측에는 커넥터(40)가 설치물(1)에 고정되기 위해 나사(46) 또는 볼트가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공(42)이 형성된다.
커넥터(40)에는 끼움공(42)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거울(20)의 네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모따기면(22)에 접촉되어 격벽역할을 하는 접촉부(44)를 상측으로 돌출 형성한다.
이에 따라, 끼움공(42)에서 벗어난 위치에 접촉부(44)가 형성되고, 이 접촉부(44) 내측에 거울(20)이 위치하므로 거울(20)에 영향을 주지 않고 나사(46)를 조립하거나 풀어줄 수 있고, 나사 착탈시, 접촉부(44)가 격벽 역할을 하므로 거울(2)이 파손될 가능성을 미리 제거할 수 있다.
결속부(50)는 수평프레임(30), 수직프레임(32)과 커넥터(40)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속한다.
결속부(50)는 수평프레임(30)과 수직프레임(32)의 양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수용부(52) 및 수용부(52)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커넥터(40)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부(54)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52)와 끼움돌기부(54)는 수평 방향으로 2개 형성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형성 개수와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끼움돌기부(54)의 단부는 수용부(52)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중심선 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부(56)가 형성된다.
수용부(52)는 수평프레임(30)과 수직프레임(32)의 양측면이 서로 연결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수용부(52)의 상측면에 거울(20)의 저면이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경사면부(56)는 끼움돌기부(54)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좌우측 중심으로 모여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커넥터(40)의 끼움돌기부(54)를 수용부(52)에 진입시, 상하 좌우측으로 약간 흔들려 조립공차가 있어도 진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립이 이루어진 후, 수평프레임(30), 수직프레임(32) 및 커넥터(40)의 수평 높이가 동일하므로 외관이 일체감이 있어 보인다.
커넥터(40)에는 상부면을 마감하기 위해 커넥터(40)에 결합되는 프레임캡(60)이 더 구비된다.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프레임캡(60)은 커넥터(40)에 가이드부(70)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한다.
가이드부(70)는 커넥터(40)의 양측 면에 함몰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롯부(72) 및 슬롯부(72)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프레임캡(6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레일돌기부(74)를 포함한다.
슬롯부(72)와 레일돌기부(74)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캡(60)은 커넥터(40)에 결합부(80)에 의해 착탈된다.
결합부(80)는 커넥터(40)의 양측 저면에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82) 및 걸림홈에 걸려지도록 프레임캡(6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84)를 포함한다.
걸림홈(82)과 걸림돌기(84)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울 고정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거울(20)의 상하 좌우측 둘레면을 2개의 수평프레임(30)가 2개의 수직프레임(32)의 삽입홈(34)에 끼워서 조립하면서 거울(20) 모서리에서 4개의 커넥터(40)를 각각 삽입하여 조립한다.
이때, 수평프레임(30) 및 수직프레임(32)과 커넥터(40)의 결속상태를 살펴 보면, 커넥터(40)의 양측으로 예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부(54)를 수용부(52)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진입하면 마찰 압압력에 의해 끼움돌기부(54)가 수용부(52)에 걸림 결합된다.
끼움돌기부(54)의 외측 너비는 수용부(52)의 내측 너비에 비하여 약간 크게 형성하므로 압압력에 의해 고정되게 구성된다.
또한, 끼움돌기부(54)의 단부에는 경사면부(56)가 형성되므로 수용부(52)에 진입이 용이하게 이뤄지면서 진입에 따라 점차적으로 마찰 접촉력이 커지게 되어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견고하게 조립되는 것이다.
그리고, 커넥터(40)의 끼움공(42)을 통하여 나사(46) 또는 볼트 등의 기계체결요소를 이용하여 거울을 설치하고자 설치물(1)의 위치를 선정하여 조립공구로 체결하므로 거울 고정장치(10)에 의해 거울(20)이 설치물(1) 설치된다.
연이어, 나사(46) 또는 볼트 등의 기계체결요소의 노출을 방지하고 마감하도록 프레임캡(60)의 레일돌기부(74)를 커넥터(40)의 슬롯부(72)에 삽입하여 하측으로 밀어주어 진입하도록 한다.
그리고, 프레임캡(60)이 하측으로 진입함에 따라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84)가 커넥터(40)의 걸림홈(82)에 걸려지면서 프레임캡(60)이 커넥터(40)에서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조립 완료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설치물 12 : 거울 고정장치
20 : 거울 22 : 모따기면
30 : 수평프레임 32 : 수직프레임
34 : 삽입홈 36 : 커버부
40 : 커넥터 42 : 끼움공
44 : 접촉부 50 : 결속부
52 : 수용부 54 : 끼움돌기부
56 : 경사면부 60 : 프레임캡
70 : 가이드부 72 : 슬롯부
74 : 레일돌기부 80 : 결합부
82 : 걸림홈 84 : 걸림돌기
20 : 거울 22 : 모따기면
30 : 수평프레임 32 : 수직프레임
34 : 삽입홈 36 : 커버부
40 : 커넥터 42 : 끼움공
44 : 접촉부 50 : 결속부
52 : 수용부 54 : 끼움돌기부
56 : 경사면부 60 : 프레임캡
70 : 가이드부 72 : 슬롯부
74 : 레일돌기부 80 : 결합부
82 : 걸림홈 84 : 걸림돌기
Claims (11)
- 거울의 상하 측면에 결합되고 설치물에 지지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거울의 좌우 측면에 결합되고 설치물에 지지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거울의 네 모서리를 지지하면서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설치물에 고정되는 커넥터; 및
상기 수평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커넥터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고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양측면과 상기 커넥터의 양측면은 상호 45°각도로 경사지게 접하도록 형성되고, 양측 접합면의 접합길이(ℓ)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고정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거울의 둘레면이 끼워지도록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상측 단부에는 상기 거울의 둘레면 상측을 덮어주도록 상측 커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고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외측에는 상기 커넥터가 설치물에 고정되기 위해 나사 또는 볼트가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끼움공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거울의 네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모따기면에 접촉되어 격벽역할을 하는 접촉부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고정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양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상기 커넥터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고정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부의 단부는 상기 수용부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중심선 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고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는 상부면을 마감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프레임캡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고정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캡은 상기 커넥터에 가이드부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고정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커넥터의 양측 면에 함몰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롯부; 및
상기 슬롯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상기 프레임캡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레일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고정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캡은 상기 커넥터에 결합부에 의해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고정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커넥터의 양측 저면에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 및
상기 걸림홈에 걸려지도록 상기 프레임캡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고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0298A KR101240671B1 (ko) | 2011-04-01 | 2011-04-01 | 거울 고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0298A KR101240671B1 (ko) | 2011-04-01 | 2011-04-01 | 거울 고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1666A true KR20120111666A (ko) | 2012-10-10 |
KR101240671B1 KR101240671B1 (ko) | 2013-03-12 |
Family
ID=47282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0298A KR101240671B1 (ko) | 2011-04-01 | 2011-04-01 | 거울 고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067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06348A1 (ja) * | 2019-07-11 | 2021-01-14 | 日本板硝子株式会社 | 鏡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0655U (ko) | 2016-08-26 | 2018-03-07 | 세비앙 주식회사 | 조립식 거울프레임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9370Y1 (ko) * | 1999-04-19 | 2002-01-09 | 양승욱 | 액자 |
KR20060096642A (ko) * | 2005-03-02 | 2006-09-13 | 민은홍 | 조립 용이성을 갖는 액자 |
KR200436579Y1 (ko) * | 2006-11-20 | 2007-09-07 | 배해철 | 전면개폐식 액자용 모서리프레임의 연결구조 |
KR100982305B1 (ko) * | 2008-10-15 | 2010-09-15 | (주)우영금속 | 거울 고정구 및 고정구를 가진 고정 프레임 |
-
2011
- 2011-04-01 KR KR1020110030298A patent/KR101240671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06348A1 (ja) * | 2019-07-11 | 2021-01-14 | 日本板硝子株式会社 | 鏡 |
JPWO2021006348A1 (ko) * | 2019-07-11 | 2021-01-1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40671B1 (ko) | 2013-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90063823A1 (en) | User interface unit for cooling appliance and cooling appliance | |
KR200476100Y1 (ko) | 문짝 프레임 결합 장치 | |
KR101240671B1 (ko) | 거울 고정장치 | |
KR20170135552A (ko) | 도어 조립구조 | |
KR102043507B1 (ko) | 신발장 후면판과 전기통신함 사이의 틈새막이장치 | |
JP2024121014A (ja) | キッチンユニット | |
JP2018121915A (ja) | 収納装置及び収納装置の設置方法 | |
KR200464099Y1 (ko) | 조립식 책상 | |
KR200461257Y1 (ko) | 파티션 | |
JP6461717B2 (ja) | 配線器具装置の隠ぺい方法、配線器具装置の隠ぺい装置、および配線器具装置の隠ぺい構造 | |
JP2006112630A (ja) | ハウジング開口をカバーするフロントフレームを備えたハウジング | |
KR200396287Y1 (ko) | 유리문 장식샤시 모서리 연결구조 | |
EP2092871A1 (en) | Device for coupling an access door of a household appliance, in particular a dishwashing machine, to a covering panel | |
JP5809601B2 (ja) | 建具 | |
JP5740571B2 (ja) | 浴室構造 | |
WO2019029075A1 (zh) | 一种具有铰链固定架的边框结构及柜门 | |
JP2015172314A (ja) | 建具枠 | |
KR200460204Y1 (ko) | 노출형 콘센트의 모서리 덮개구조 | |
KR101265038B1 (ko) | 벽면에 설치하는 가구 설치구조 | |
KR200384122Y1 (ko) | 유리문 장식샤시 연결구조 | |
JP2013087601A (ja) | 浴室構造 | |
KR200401434Y1 (ko) | 액자 | |
KR101913136B1 (ko) | 붙박이장 마감용 몰딩 | |
KR200455503Y1 (ko) | 도어 프레임 | |
KR101033420B1 (ko) | 탄성부재 및 지지부재브라켓의 결합이 가능한 천정매입등용 하우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