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613A -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1613A
KR20120111613A KR1020110030202A KR20110030202A KR20120111613A KR 20120111613 A KR20120111613 A KR 20120111613A KR 1020110030202 A KR1020110030202 A KR 1020110030202A KR 20110030202 A KR20110030202 A KR 20110030202A KR 20120111613 A KR20120111613 A KR 20120111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formation
terminal
vehic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헌
이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에이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에이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에이디씨
Priority to KR1020110030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1613A/ko
Publication of KR20120111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6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7User reque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운전자와 차량정비업소간에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양방향 통신을 통하여 차량정비.관리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비즈니스모델과, 차량운전자와 생활문화서비스업자간에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양방향 통신을 통하여 공연, 음식점, 광고등과 같은 생활문화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비즈니스모델, 및 차량운전자와 다른 휴대용단말기 이용자간에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양방향 통신을 통하여 카풀, 친구찾기, 동호회가입자 찾기등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비즈니스모델에 관한 것으로, 소셜네트워크 개념을 자동차기술, 이동통신기술 및 서비스업에 접목하여 다양한 서비스업을 가능하게 하는,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 및 그 방법{A Bidirectional Coumminity System based on automobile by us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운전자와 차량정비업소간에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양방향 통신을 통하여 차량정비.관리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비즈니스모델과, 차량운전자와 생활문화서비스업자간에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양방향 통신을 통하여 공연, 음식점, 광고등과 같은 생활문화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비즈니스모델, 및 차량운전자와 다른 휴대용단말기 이용자간에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양방향 통신을 통하여 카풀, 친구찾기, 동호회가입자찾기 등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비즈니스모델에 관한 것으로, 소셜네트워크 개념을 자동차기술, 이동통신기술 및 서비스업에 접목하여 다양한 서비스업을 가능하게 하는,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휴대폰을 소지한 개인이 네트워크환경과 어느 장소에서나 상시 접속이 가능해짐에 따라, 종래 SMS와 같은 비연속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식이나 일방향 통신서비스에서 벗어나 실시간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에 의한 서비스가 가능한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특히, 페이스북, 트위터등 소셜네트워크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이나 그루폰등의 소셜커머스를 이용한 마케팅이 활발해지면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과 소셜마케팅에 대한 요청은 높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자동차가 생활의 일부가 되면서 통신기술을 활용한 자동차분야의 서비스업에서 종래의 비연속적 커뮤니케이션 또는 일방향 서비스방식에 의한 자동차관련 서비스업이 존재하여 왔다.
이에 따라, 종래 텔레매틱스분야의 기술로서, 휴대용단말기나 차량내 단말기를 통해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고 서버로부터 일정한 차량관리정보를 수신하거나 직접 상담원과 통화를 통해 원격진단을 받는 서비스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서버로부터 차량관리정보를 수신받는 기술은 일방향 통신개념에 근거한 것으로 차량의 고장이나 수리 정기점검서비스처럼 운전자와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한 서비스를 수행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했다. 또, 차량운행중에 상담원과 연락하여 음성안내를 받는 서비스는 차량내 비치된 handphone ear set의 활용도가 낮고 불편하며, 무엇보다 주행중 통화가 운전집중력을 떨어뜨려 운전안전성의 문제를 야기하였다. 결국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차량을 정차하고, 휴대전화로 보험사에 연락을 취하는 방법을 택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종래 생활문화서비스업에 관한 영업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휴대폰이나 차량내 단말기상에서 현재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근처의 음식점이나 공연장정보를 알아보는 기술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이는 일방향 통신방식에 의한 서비스제공방식으로, 음식점, 공연장을 운영하는 주체가 적극적으로 이벤트나 할인등의 서비스정보를 제시하고 소비자가 자신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적절한 서비스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서비스제공 및 이윤추구를 할 수 없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또한, 종래 등록된 휴대폰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서버를 통해 주변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존재하였으나, 차량소유주를 포함한 각 서비스주체가 상호간 자신의 위치정보를 노출시키고 각자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하여 차량 위치정보 및 다른 휴대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카풀서비스 또는 조건검색을 통한 친구찾기서비스 또는 동호회친구찾기검색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은 제시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양방향통신개념을 활용하여, 차량단말기로부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전송받은 차량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정비대상이 되는 경우,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주변의 등록된 차량정비업체를 검색하여 서비스정보 및 대기시간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차량정비서비스를 받을 수 하고, 경우에 따라서 품질평가를 통해 서비스품질향상을 꾀하고, 포인트제도를 도입하여 서비스이용시 포인트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방향통신개념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주변 생활문화서비스를 검색하는 경우, 차량단말기로부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전송받은 차량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주변의 등록된 음식점, 공연장등을 검색하여 서비스정보, 대기시간정보, 예약정보, 이벤트, 할인정보, 주차정보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생활문화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고, 경우에 따라서 포인트제도를 도입하여 서비스이용시 포인트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방향통신개념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차량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자신의 위치정보, 검색조건정보, 차량정보 등을 제공하여, 카풀, 친구찾기, 동호회차량 검색 등의 서비스를 요청하고, 또 다른 사용자가 서비스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위치정보, 검색조건정보, 차량정보 등을 제공하여, 카풀, 친구찾기, 동호회차량 검색 등의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자신의 요청의 조건과 일치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찾아내어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은 차량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공받고, 서비스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서비스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단말기;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토대로 당해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에 부합하는 서비스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서버; 상기 서비스서버에 서비스정보를 제공하고, 서비스서버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사용자정보를 제공받는 서비스단말기;를 포함하여, 차량의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토대로 그에 부합하는 서비스와 사용자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은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단말기는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로, 차량정비업체의 위치정보, 제공하는 서비스종류에 관한 정보, 실시간 서비스가능여부와 대기시간에 관한 정보, 이벤트행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서비스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에 제공하는 서비스정보제공모듈; 상기 서비스서버를 통해 제공받은 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나 차량정비업체를 이용한 차량이력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저장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단말기는 차량의 주행거리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체크하고 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차량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서버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차량정보 및 서비스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차량의 주행거리나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정비서비스 대상이라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와 서비스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정보를 대비하여 적합한 차량정비업체와 차량을 매칭하는 분석모듈; 상기 분석모듈을 통해 매칭된 사용자 차량에는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적합한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를 이용을 선택한 경우 차량정비업체에는 서비스단말기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여, 차량의 차량정보나 위치정보 및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정보를 토대로 그에 부합하는 차량정비업체와 차량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은 상기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서비스품질평가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서비스를 이용한 차량과 차량정비업체의 이력정보,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서비스품질평가결과를 추가로 저장관리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은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사용자가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서비스의 조건검색이 가능하도록 서비스검색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단말기는 생활문화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로, 생활문화서비스제공업체의 위치정보,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정보, 대기시간에 관한 정보, 예약정보, 주차정보, 이벤트행사정보, 할인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서비스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에 제공하는 서비스정보제공모듈; 상기 서비스서버를 통해 제공받은 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나 생활문화서비스를 이용한 차량이력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저장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차량정보 및 상기 서비스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생활문화서비스업체의 생활문화서비스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정해지는 검색조건과 상기 서비스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생활문화서비스업체의 생활문화서비스정보를 대비하여 적합한 생활문화서비스제공업체와 차량을 매칭하는 분석모듈; 상기 분석모듈을 통해 매칭된 사용자 차량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적합한 생활문화서비스제공업체의 생활문화서비스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의 이용을 선택한 경우, 생활문화서비스업체에는 상기 서비스단말기를 통해 생활문화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모듈; 을 포함하여, 차량의 차량정보나 위치정보 및 생활문화서비스제공업체의 생활문화서비스정보를 토대로 그에 부합하는 생활문화서비스제공업체와 차량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은 상기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공연서비스, 음식점서비스, 광고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군 중 하나 이상의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은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서비스의 조건검색이 가능한 서비스요청모듈; 당해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정보, 검색조건정보,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에 제공하는 정보제공모듈;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다른 단말기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말기선택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단말기는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서비스의 조건검색이 가능한 서비스요청모듈; 당해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정보, 검색조건정보,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에 제공하는 정보제공모듈;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다른 단말기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말기선택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나 상기 서비스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이미 등록된 사용자단말기들이나 서비스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에서 서비스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단말기의 정보를 분석하여, 이미 서비스요청이 있었던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기 또는 서비스단말기 중에서 검색조건 일치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기 또는 서비스단말기를 찾는 검색모듈; 상기 검색모듈에 의해 생성된 검색결과정보를 서비스요청이 있는 단말기로 제공하는 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여, 복수의 단말기 사용자정보를 토대로 상호 일치되는 조건의 서비스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은 상기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카풀서비스, 친구찾기 서비스, 동호회가입자 검색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은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는 커뮤니티서비스시스템을 통해 서비스 이용이 확정된 경우, 설정된 포인트계산방법에 따라 서비스이용 당사자의 포인트변동값을 계산하는 포인트계산모듈;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서비스단말기의 적립된 포인트값이나 포인트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포인트정보를 저장하는 포인트저장모듈; 상기 포인트계산모듈에서 계산된 포인트변동값에 따라 상기 포인트저장모듈에 저장된 당해 서비스 이용당사자의 포인트정보를 변경하는 포인트관리모듈; 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서비스단말기는 상기 포인트저장모듈에 저장된 포인트정보를 확인하거나 적립된 포인트값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포인트이용모듈을 추가로 포함하여, 서비스이용에 포인트값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은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단말기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쉽게 정보를 인지하고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방법은 사용자단말기가 차량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주행거리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서비스서버에 상기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서비스단말기가 서비스정보제공모듈을 통해 차량정비업체의 위치정보, 제공하는 서비스종류에 관한 정보, 실시간 서비스가능여부와 대기시간에 관한 정보, 이벤트행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서비스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상기 서비스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분석모듈을 통해 상기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차량의 주행거리나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정비서비스 대상이라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와 서비스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정보를 대비하여 적합한 차량정비업체와 차량을 매칭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정보제공모듈을 통해 상기 분석모듈을 통해 매칭된 사용자 차량에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적합한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단말기가 단말기선택모듈을 통해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서비스단말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사용자에 의해 특정 서비스단말기가 선택된 경우 차량정비업체에 서비스단말기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단말기가 저장모듈에 상기 서비스서버를 통해 제공받은 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나 당해 차량정비업체를 이용한 차량이력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0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서비스제공이 종료된 후 서비스품질평가 모듈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서비스품질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데이타베이스에 서비스를 이용한 차량과 차량정비업체의 이력정보,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서비스품질평가결과를 저장하고, 각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단말기가 차량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서비스서버에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서비스단말기가 서비스정보제공모듈을 통해 생활문화서비스제공업체의 위치정보,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정보, 대기시간에 관한 정보, 예약정보, 주차정보, 이벤트행사정보, 할인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서비스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상기 서비스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생활문화서비스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서비스검색모듈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설정되는 서비스검색조건에 맞는 생활문화서비스 정보의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분석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정해지는 검색조건과 상기 서비스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생활문화서비스업체의 생활문화서비스정보를 대비하여 적합한 생활문화서비스제공업체와 차량을 매칭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정보제공모듈을 통해 상기 분석모듈을 통해 매칭된 사용자 차량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적합한 생활문화서비스제공업체의 생활문화서비스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의 이용을 선택한 경우, 생활문화서비스업체에는 상기 서비스단말기를 통해 생활문화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단말기가 저장모듈에 상기 서비스서버를 통해 제공받은 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나 생활문화서비스를 이용한 차량이력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단말기가 차량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정보제공모듈을 통해 당해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정보, 검색조건정보,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서비스단말기가 정보제공모듈을 통해 당해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정보, 검색조건정보,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상기 서비스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 또는 상기 서비스단말기가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서비스의 조건검색이 가능한 서비스요청모듈을 통해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검색모듈을 통해, 이미 등록된 사용자단말기들 또는 서비스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에서 서비스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등록된 단말기들 정보를 분석하여, 이미 서비스요청이 있었던 하나 이상의 등록된 사용자단말기 또는 서비스단말기 중에서 검색조건 일치하는 하나 이상의 등록된 사용자단말기 또는 서비스단말기를 찾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정보제공모듈을 통해 상기 검색모듈에 의해 생성된 검색결과정보를 서비스요청이 있는 상기 사용자단말기 또는 상기 서비스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 또는 서비스단말기가 단말기선택모듈을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검색된 다른 단말기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0 실시예 내지 제 12실시예에 있어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가 포인트저장모듈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단말기 또는 서비스단말기의 적립된 포인트값이나 포인트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포인트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 또는 서비스단말기가 포인트사용모듈을 통해 적립된 포인트값의 이용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 또는 서비스단말기에 의한 포인트값 이용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가 요청이 있는 사용자단말기 또는 서비스단말기의 포인트정보에 따라 포인트 이용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커뮤니티서비스시스템을 통해 포인트 이용이 확정된 경우, 포인트계산모듈을 통해 설정된 포인트계산방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단말기 또는 서비스단말기의 포인트변동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포인트관리모듈을 통해 상기 포인트계산모듈에서 계산된 포인트변동값에 따라 상기 포인트저장모듈에 저장된 당해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단말기 또는 서비스단말기의 포인트정보를 변경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여, 서비스이용에 포인트값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방향통신개념을 활용하여, 차량단말기로부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전송받은 차량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정비대상이 되는 경우,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주변의 등록된 차량정비업체를 검색하여 서비스정보 및 대기시간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차량정비서비스를 받을 수 하고, 경우에 따라서 품질평가를 통해 서비스품질향상을 꾀하고, 포인트제도를 도입하여 서비스이용시 포인트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방향통신개념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주변 생활문화서비스를 검색하는 경우, 차량단말기로부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전송받은 차량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주변의 등록된 음식점, 공연장등을 검색하여 서비스정보, 대기시간정보, 예약정보, 이벤트, 할인정보, 주차정보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생활문화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고, 경우에 따라서 포인트제도를 도입하여 서비스이용시 포인트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방향통신개념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차량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자신의 위치정보, 검색조건정보, 차량정보 등을 제공하여, 카풀, 친구찾기, 동호회차량 검색 등의 서비스를 요청하고, 또 다른 사용자가 서비스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위치정보, 검색조건정보, 차량정보 등을 제공하여, 카풀, 친구찾기, 동호회차량 검색 등의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자신의 요청의 조건과 일치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찾아내어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
도 3는 도 2의 실시예에 품질평가모듈, 포인트이용모듈을 추가 도시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방법의 블럭도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품질평가단계를 추가 도시한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방법의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방법의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방법의 블럭도
도 10은 도 6 내지 도 9의 단계에 추가할 수 있는 포인트이용단계를 도시한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는 도 2의 실시예에 품질평가모듈, 포인트이용모듈을 추가 도시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은 차량에 장착된 차량단말기(100)와, 상기 차량단말기(100) 또는 서비스서버(400)와 통신하는 사용자단말기(2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및 서비스단말기(300)와 통신하는 서비스서버(400)와, 상기 서비스서버(400)와 통신하는 서비스단말기(300)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단말기(300)는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로, 차량정비업체의 위치정보, 제공하는 서비스종류에 관한 정보, 실시간 서비스가능여부와 대기시간에 관한 정보, 이벤트행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서비스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400)에 제공하는 서비스정보제공모듈(302)과, 상기 서비스서버(400)를 통해 제공받은 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나 차량정비업체를 이용한 차량이력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저장모듈(301)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단말기(100)는 차량의 주행거리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체크하고 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제공하는 차량제어모듈(101)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서버(400)는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차량정보 및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403)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차량의 주행거리나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정비서비스 대상이라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와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정보를 대비하여 적합한 차량정비업체와 차량을 매칭하는 분석모듈(402)과, 상기 분석모듈(402)을 통해 매칭된 사용자 차량에는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적합한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를 이용을 선택한 경우 차량정비업체에는 서비스단말기(300)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모듈(4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단말기(100)는 자동차 내부에 장착되어 차량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식별정보, 운전자정보, 엔진오일양, 기타 상태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TRIP컴퓨터 등과 같은 장치가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차량단말기(100)는 상기와 같은 차량정보나 위치정보 등을 갖고 있으면서, 후술할 사용자단말기(200)와 통신하여 상기 정보들을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차량단말기(1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간 통신 수단은 블루투스, NFC, RFID, WIFI, ZigBee, CDMA, GSM방식 등의 통신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단말기(100)는 상기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해서 차량제어모듈(101)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수집된 상기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수단으로 디스플레이모듈(10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제어모듈(101)은 식별정보, 운전자정보, 엔진오일양, 기타 상태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체크하고 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차량단말기(100)의 CPU 또는 MPU와 같은 연산/제어모듈을 의미한다. 상기 차량제어모듈(101)은 차량단말기(100)에 저장된 식별정보, 운전자정보, 엔진오일양, 기타 상태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2)은 상기 차량제어모듈(101)로부터 파악한 상기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LCD, LED 패널 등의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2)은 현재 차량의 엔진오일양을 LCD패널을 통해 표시해 줄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차량운전자가 사용하는 휴대용단말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휴대폰, PDA, 태블릿PC ,기타 네트워킹이 가능한 장비를 의미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상기 차량단말기(100)와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단말기(100)에 저장된 차량의 엔진오일양 등을 포함하는 정보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후술할 서비스서버(4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서비스서버(400)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제공받은 엔진오일양과 사용자차량의 위치정보 등을 분석해서 이를 후술할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전송받은 차량정비업체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한 차량정비업체정보와 매칭하여 사용자차량의 인근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차량정비업체정보를 전송하게 되면,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차량정비업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선택모듈(206)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 서비스품질 피드백과 보상제도를 통한 서비스이용 활성화와 품질향상을 위해,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한 후,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서비스품질평가모듈(201)과, 사용자가 서비스이용시 포인트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포인트이용모듈(202)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선택모듈(206)은 운전자가 차량정비업체와의 거리, 정비를 위한 대기시간, 정비가능여부 등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차량정비업체정보를 참조하여 적절한 차량정비업체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상기 단말기선택모듈(206)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아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하고 있는 당해 차량정비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나 위치정보를 선택된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로 전송하게 되면, 차량정비업체는 차량정비서비스 준비에 들어가게 된다.
상기 서비스품질평가모듈(201)은 서비스종료 후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미리 정해진 서비스의 평가항목에 따라 차량정비서비스내용을 평가하면, 평가정보를 서비스서버(40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서비스품질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업체간 경쟁촉진으로 서비스품질향상과 서비스이용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차량정비서비스 종료 후 서비스품질평가모듈(201)을 통해 미리 정해진 서비스 평가항목에 따라 차량정비서비스내용을 평가 완료하면, 사용자단말기(200)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평가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서버(400)는 이를 수신하여 서비스를 제공한 해당 차량정비업체에 대한 평가정보를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한다. 그리고, 해당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400)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된 상기 평가정보를 요청이 있는 단말기로 제공해준다.
상기 포인트이용모듈(202)은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서비스서버(400)의 포인트저장모듈(301)에 저장된 포인트정보를 확인하거나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 보상제도를 통한 서비스이용활성화와 품질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200)의 포인트이용모듈(202)을 통해 차량정비서비스를 이용한 결과로 변경된 자신의 포인트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이용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포인트정보를 이용하여 결제시 포인트값을 관리하는 구성은 아래에서 상술한다.
상기 서비스단말기(300)는 차량정비업체가 사용하는 단말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정비업체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휴대폰, PDA, 태블릿PC, PC, 기타 네트워킹이 가능한 장비를 의미한다. 상기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는 차량정비업체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차량정비업체정보를 후술할 서비스서버(400)로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서버(400)로부터 차량정비업체를 이용할 사용자 차량의 차량정보를 제공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서비스단말기(300)는 차량정비업체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차량정비업체정보를 무선통신망으로 서비스서버(400)에 제공하는 서비스정보제공모듈(205)과, 서비스서버(400)로부터 전송받은 차량정비업체를 이용할 사용자 차량의 차량정보를 저장할 저장모듈(30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단말기(300)는 서비스서버(400)에 포인트를 지급하거나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포인트를 지급받는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포인트이용모듈(303)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정보제공모듈(205)은 차량정비업체정보를 서비스서버(400)로 제공하는 구성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정비업체의 위치정보, 제공하는 서비스종류에 관한 정보, 실시간 서비스의 가능여부, 대기시간에 관한 정보, 프로모션, 이벤트행사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차량정비업체정보를 무선통신망으로 후술할 서비스서버(4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저장모듈(301)은 서비스서버(400)로부터 전송받은 차량정비서비스를 이용할 사용자 차량의 차량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가 상기 정보를 직접 보유하거나 상기 서비스단말기(300)에 연결된 스토리지 장치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포인트이용모듈(303)은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를 통해 서비스서버(400)의 포인트저장모듈(301)에 저장된 포인트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서비스이용결제를 한 경우, 상기 포인트이용모듈(202)을 통해 후술할 포인트계산모듈(404)과 포인트관리모듈(406)에 의해 변경되어 서비스서버(400)의 포인트저장모듈에 저장된 서비스단말기(300)의 포인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포인트정보를 이용하여 결제시 포인트값을 관리하는 구성은 아래에서 상술한다.
상기 서비스서버(4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토대로 당해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에 부합하는 차량정비업체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기 서비스서버(4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및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차량과 차량정비업체를 매칭시켜, 그 결과를 각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서비스서버(400)는 각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403)와, 적절한 차량정비서비스업체의 매칭을 위한 분석모듈(402)과, 상기 매칭된 결과를 사용자단말기(200)에 전송하거나 사용자의 서비스선택시 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를 상기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에 전송하기 위한 정보제공모듈(205)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보상제도를 통한 서비스이용활성화를 위해 사용자의 포인트 결제시 포인트값을 계산해주는 포인트계산모듈(404)과, 사용자단말기 및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단말기의 포인트정보를 저장하는 포인트저장모듈(405)과, 포인트계산모듈(404)에 의해 계산된 포인트값을 이용해 포인트정보를 변경하는 포인트관리모듈(406)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타베이스(403)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및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차량단말기로부터 엔진오일양 등을 포함하는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하거나, 상기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가 차량정비업체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차량정비업체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하면, 상기 서비스서버(400)는 이들 정보들을 상기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분석모듈(402)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은 차량정보를 전송받아 분석하고 적절한 차량정비업체정보를 매칭하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는 사용자 차량의 엔진오일양등을 분석하여 엔진오일양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어 차량정비서비스대상으로 판단되면, 해당 사용자차량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차량정비업체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한 차량정비업체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차량과 가까운 위치에 있는 서비스제공이 가능한 차량정비업체를 매칭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정보제공모듈(205)은 상기 분석모듈(402)에 의한 매칭결과를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 제공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로 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보제공모듈(205)이 상기 분석모듈(402)에 의한 매칭결과로서 이용가능한 인근 차량정비업체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단말기선택모듈(206)을 통해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차량정비업체를 선택하여 그 결과를 상기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하게 되면, 상기 정보제공모듈(205)은 선택된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로 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를 전송한다. 해당 차량정비업체는 본격적으로 차량정비서비스준비를 시작한다.
상기 포인트계산모듈(404)은 서비스이용시 포인트값을 계산해주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차량정비서비스이용시 또는 서비스이용등록시 상기 포인트계산모듈(404)이 미리 설정된 계산방법에 따라 포인트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방법은 이용되는 서비스의 거래가격에 일정비율을 곱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상기 포인트저장모듈(301)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및 상기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의 포인트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포인트관리모듈(406)이 상기 포인트계산모듈(404)을 통해 계산된 포인트값을 저장된 각 단말기의 포인트값에 가감하여 포인트값을 새로이 산정하고, 포인트거래내역도 갱신하여 상기 포인트저장모듈(301)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포인트관리모듈(406)은 상기 포인트계산모듈(404)에 의한 계산된 포인트값을 이용하여 포인트정보를 변경하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포인트값을 이용하지 않은 서비스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포인트관리모듈(406)은 상기 포인트계산모듈(404)을 통해 계산된 포인트값을 저장된 포인트값에 추가하여 상기 포인트저장모듈(301)에 저장하고, 포인트거래내역도 갱신하며 동시에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의 저장된 포인트값에 상기 계산된 포인트값을 감하여 상기 포인트저장모듈(301)에 저장하고 포인트거래내역도 갱신한다. 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포인트이용모듈(202)을 통해 포인트값을 이용한 서비스결재가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포인트값을 사용자단말기(200)의 저장된 포인트값에 감하여 상기 포인트저장모듈(301)에 저장하고 포인트거래내역을 갱신하며, 동시에 당해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의 저장된 포인트값에 해당 포인트값을 추가하여 포인트저장모듈(301)에 저장하고 포인트거래내역도 갱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은 차량에 장착된 차량단말기(100)와, 상기 차량단말기(100) 또는 서비스서버(400)와 통신하는 사용자단말기(2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및 서비스단말기(300)와 통신하는 서비스서버(400)와, 상기 서비스서버(400)와 통신하는 서비스단말기(300)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사용자가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서비스의 조건검색이 가능하도록 서비스검색모듈(203)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서버(400)로부터 서비스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말기선택모듈(206)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단말기(300)는 생활문화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로, 생활문화서비스제공업체의 위치정보,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정보, 대기시간에 관한 정보, 예약정보, 주차정보, 이벤트행사정보, 할인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서비스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400)에 제공하는 서비스정보제공모듈(205)과, 상기 서비스서버(400)를 통해 제공받은 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나 생활문화서비스를 이용한 차량이력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저장모듈(301)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서버(4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차량정보 및 상기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생활문화서비스업체의 생활문화서비스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403)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정해지는 검색조건과 상기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생활문화서비스업체의 생활문화서비스정보를 대비하여 적합한 생활문화서비스제공업체와 차량을 매칭하는 분석모듈(402)과 상기 분석모듈(402)을 통해 매칭된 사용자 차량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적합한 생활문화서비스제공업체의 생활문화서비스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의 이용을 선택한 경우, 생활문화서비스업체에는 상기 서비스단말기(300)를 통해 생활문화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모듈(20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활문화서비스는 공연서비스, 음식점서비스, 광고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군 중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고,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음식점서비스를 구체적인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차량단말기(100)는 자동차 내부에 장착되어 차량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식별정보, 운전자정보,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TRIP컴퓨터 등과 같은 장치가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차량단말기(100)는 상기와 같은 차량정보 등을 갖고 있으면서, 후술할 사용자단말기(200)와 통신하여 상기 정보들을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차량단말기(1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간 통신 수단은 블루투스, NFC, RFID, WIFI, ZigBee, CDMA, GSM방식 등의 통신기술이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단말기(100)는 수집된 상기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수단으로 디스플레이모듈(10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2)은 상기 차량제어모듈(101)로부터 파악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LCD, LED 패널 등의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2)은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를 LCD패널을 통해 표시해 줄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차량운전자가 사용하는 휴대용단말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휴대폰, PDA, 태블릿PC , 기타 네트워킹이 가능한 장비를 의미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상기 차량단말기(100)와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단말기(100)에 저장된 차량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후술할 서비스서버(4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서비스서버(400)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제공받은 차량정보 등을 분석해서 이를 후술할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전송받은 음식점업체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한 음식점업체정보와 매칭하여 사용자차량의 인근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음식점업체정보를 전송하게 되면,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음식점업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선택모듈(206)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서비스의 조건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검색모듈(203)과 사용자가 서비스이용시 포인트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포인트이용모듈(20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선택모듈(206)은 사용자가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서비스서버(400)를 통해 전송받은 음식점업체와의 거리, 제공하는 서비스종류, 대기시간, 예약정보, 주차정보, 이벤트행사정보, 할인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음식점업체정보를 참조하여 적절한 음식점업체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상기 단말기선택모듈(206)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하고, 서비스서버(400)가 음식점 서비스를 이용할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아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하고 있는 당해 음식점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를 선택된 음식점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로 전송하게 되면, 해당 음식점업체는 음식점서비스 준비에 들어가게 된다.
상기 서비스검색모듈(203)은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가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음식점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음식의 가격, 위치, 음식 메뉴, 대기시간, 이벤트, 할인유무 등의 항목별로 일정한 조건을 설정하여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인 일 예로 양재동에 위치한 사용자가 8천원 미만의 한식을 찾으려는 경우 사용자단말기(200)에 해당 조건을 주어 검색하면, 서비스서버는 상기 조건과 매칭되는 양재동 근처에 위치한 8천원 미만의 한식음식점업체정보를 찾아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상기 포인트이용모듈(202)은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서비스서버(400)의 포인트저장모듈(301)에 저장된 포인트정보를 확인하거나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 보상제도를 통한 서비스이용활성화와 품질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200)의 포인트이용모듈(202)을 통해 자신의 포인트를 확인하고, 포인트정보를 이용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포인트정보를 이용하여 결제시 포인트값을 관리하는 구성은 아래에서 상술한다.
상기 서비스단말기(300)는 음식점업체가 사용하는 단말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식점업체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휴대폰, PDA, 태블릿PC, PC, 기타 네트워킹이 가능한 장비를 의미한다. 상기 음식점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는 음식점업체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음식점업체정보를 후술할 서비스서버(400)로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서버(400)로부터 음식점업체를 이용할 사용자 차량의 차량정보를 제공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서비스단말기(300)는 음식점업체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음식점업체정보를 무선통신망으로 서비스서버(400)에 제공하는 서비스정보제공모듈(205)과, 서비스서버(400)로부터 전송받은 음식점업체를 이용할 사용자 차량의 차량정보를 저장할 저장모듈(30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단말기(300)는 서비스서버(400)에 포인트를 지급하거나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포인트를 지급받는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포인트이용모듈(303)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정보제공모듈(205)은 음식점업체정보를 서비스서버(400)로 제공하는 구성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점업체의 위치정보, 제공하는 음식메뉴, 대기시간정보, 예약정보, 주차정보, 이벤트행사정보, 할인행사정보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음식점업체정보를 무선통신망으로 후술할 서비스서버(4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저장모듈(301)은 서비스서버(400)로부터 전송받은 음식점서비스를 이용할 사용자 차량의 차량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음식점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가 상기 정보들을 직접 보유하거나 상기 서비스단말기(300)에 연결된 스토리지 장치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포인트이용모듈(303)은 음식점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를 통해 서비스서버(400)의 포인트저장모듈(301)에 저장된 포인트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서비스이용결제를 한 경우, 상기 포인트이용모듈(202)을 통해 후술할 포인트계산모듈(404)과 포인트관리모듈(406)에 의해 변경되어 서비스서버(400)의 포인트저장모듈에 저장된 서비스단말기(300)의 포인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포인트정보를 이용하여 결제시 포인트값을 관리하는 구성은 아래에서 상술한다.
상기 서비스서버(4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토대로 당해 차량정보에 부합하는 음식점업체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기 서비스서버(4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및 음식점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 및 사용자단말기(200)의 서비스검색모듈(203)을 통해 설정된 검색조건을 분석하여 사용자차량과 음식점업체를 매칭시켜, 그 결과를 각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서비스서버(400)는 각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403)와, 적절한 음식점서비스업체의 매칭을 위한 분석모듈(402)과, 상기 매칭된 결과를 사용자단말기(200)에 전송하거나, 사용자의 서비스선택시 차량정보를 상기 음식점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에 전송하기 위한 정보제공모듈(205)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보상제도를 통한 서비스이용활성화를 위해 사용자의 포인트 결제시 포인트값을 계산해주는 포인트계산모듈(404)과, 사용자단말기(200) 및 음식점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의 포인트정보를 저장하는 포인트저장모듈(405)과, 포인트계산모듈(404)에 의해 계산된 포인트값을 이용해 포인트정보를 변경하는 포인트관리모듈(406)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타베이스(403)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및 음식점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차량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하거나, 상기 음식점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가 음식점업체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음식점업체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하면, 상기 서비스서버(400)는 이들 정보들을 상기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분석모듈(402)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은 차량정보를 전송받아 분석하고 적절한 음식점업체정보를 매칭하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는 차량 운전자가 강남구 양재동을 지나가면서 8천원 미만의 한식당을 찾는 검색조건을 입력한 경우, 상기 분석모듈(402)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차량정보와 음식점업체들이 서비스단말기(300)를 통해 전송하여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된 음식점업체정보를 매칭시켜, 양재동 근처의 8천원 미만의 한식이 제공되는 한식당들을 찾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정보제공모듈(205)은 상기 분석모듈(402)에 의한 매칭결과를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 제공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식점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로 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보제공모듈(205)이 상기 분석모듈(402)에 의한 매칭결과로서 이용가능한 인근 음식점업체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단말기선택모듈(206)을 통해 이용하고자 하는 음식점업체를 선택하여 그 결과를 상기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하게 되면, 상기 정보제공모듈(205)은 선택된 음식점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로 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를 전송한다. 해당 음식점업체는 서비스 이용을 선택한 차량을 위해 예약좌석을 마련하거나, 미리 음식을 준비할 수 있다.
상기 포인트계산모듈(404)은 서비스이용시 포인트값을 계산해주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음식점서비스이용시 또는 서비스이용등록시 포인트계산모듈(404)이 미리 설정된 계산방법에 따라 계산고, 상기 계산방법은 이용되는 서비스의 거래가격에 일정비율을 곱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상기 포인트저장모듈(301)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및 상기 음식점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의 포인트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포인트관리모듈(406)이 상기 포인트계산모듈(404)을 통해 계산된 포인트값을 저장된 각 단말기의 포인트값에 가감하여 포인트값을 산정하고 포인트거래내역을 갱신하여 상기 포인트저장모듈(301)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포인트관리모듈(406)은 상기 포인트계산모듈(404)에 의한 계산된 포인트값을 이용하여 포인트정보를 변경하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포인트값을 이용하지 않은 서비스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포인트관리모듈(406)은 상기 포인트계산모듈(404)을 통해 계산된 포인트값을 저장된 포인트값에 추가하여 상기 포인트저장모듈(301)에 저장하고, 포인트거래내역도 갱신하며 동시에 음식점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의 저장된 포인트값에 상기 계산된 포인트값을 감하여, 상기 포인트저장모듈(301)에 저장하고, 포인트거래내역도 갱신한다. 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포인트이용모듈(202)을 통해 포인트값을 이용한 서비스결재가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포인트값을 사용자단말기(200)의 저장된 포인트값에 감하여 상기 포인트저장모듈(301)에 저장하고 포인트거래내역을 갱신하며, 동시에 당해 음식점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의 저장된 포인트값에 해당 포인트값을 추가하여 포인트저장모듈(301)에 저장하고, 포인트거래내역도 갱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은 차량에 장착된 차량단말기(100)와, 상기 차량단말기(100) 또는 서비스서버(400)와 통신하는 사용자단말기(2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및 서비스단말기(300)와 통신하는 서비스서버(400)와, 상기 서비스서버(400)와 통신하는 서비스단말기(300)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서비스의 조건검색이 가능한 서비스요청모듈(204)과, 당해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정보, 검색조건정보,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400)에 제공하는 정보제공모듈(205)과, 상기 서비스서버(400)로부터 다른 단말기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말기선택모듈(206)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단말기(300)는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서비스의 조건검색이 가능한 서비스요청모듈(204)과 당해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정보, 검색조건정보,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400)에 제공하는 정보제공모듈(205)과 상기 서비스서버(400)로부터 다른 단말기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말기선택모듈(206)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서버(4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나 상기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403)와 이미 등록된 사용자단말기들(200)이나 서비스단말기들(300) 중 어느 하나에서 서비스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403)에 저장된 상기 단말기의 정보를 분석하여, 이미 서비스요청이 있었던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서비스단말기(300) 중에서 검색조건 일치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서비스단말기(300)를 찾는 검색모듈(407)과, 상기 검색모듈(407)에 의해 생성된 검색결과정보를 서비스요청이 있는 단말기로 제공하는 정보제공모듈(20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는 카풀서비스, 친구찾기서비스, 동호회가입자 검색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군 중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친구찾기서비스를 구체적인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2)은 상기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LCD, LED 패널 등의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2)은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를 LCD패널을 통해 표시해 줄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차량운전자가 사용하는 휴대용단말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휴대폰, PDA, 태블릿PC, 기타 네트워킹이 가능한 장비를 의미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상기 서비스서버(400)에 친구찾기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서비스요청모듈(204)과, 상기 차량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차량정보 및 위치정보를 검색조건정보와 함께 무선통신망을 통해 후술할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제공모듈(205)과, 서비스서버(400)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및 다른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분석해서 상호 검색조건이 일치하는 친구 단말기를 검색하여 서비스요청이 있는 단말기로 제공하는 경우, 서비스를 요청한 단말기상에서 검색된 친구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선택모듈(2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요청모듈(204)은 사용자단말기(200)상에서 친구찾기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구성으로, 친구찾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200)상에서 미리 출신학교나 출신지역 같은 조건을 설정해 서비스요청을 수행하거나, 실시간으로 상기와 같은 조건을 주어 서비스요청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정보제공모듈(205)은 차량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차량정보, 위치정보 및 사용자단말기(200)상의 검색조건정보 등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4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선택모듈(206)은 운전자가 검색된 다른 단말기사용자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다른 단말기사용자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선택모듈(206)을 통해 적절한 다른 단말기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상기 단말기선택모듈(206)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하고, 서비스서버(400)가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되어 있는 당해 친구찾기서비스를 이용할 당해 단말기사용자정보를 선택된 다른 단말기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친구찾기 서비스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서비스단말기(300)는 서비스제공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서비스단말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휴대폰, PDA, 태블릿PC, 기타 네트워킹이 가능한 장비를 의미한다. 상기 서비스단말기(300)는 상기 서비스서버(400)에 친구찾기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서비스요청모듈(204)과, 차량정보 및 위치정보를 검색조건정보와 함께 무선통신망을 통해 후술할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제공모듈(205)과, 서비스서버(400)가 상기 서비스단말기(300) 및 다른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분석해서 상호 검색조건이 일치하는 친구 단말기를 검색하여 서비스요청이 있는 단말기로 제공하는 경우, 서비스를 요청한 단말기상에서 검색된 친구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선택모듈(2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요청모듈(204)은 서비스단말기(300)상에서 친구찾기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구성으로, 친구찾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당해 서비스단말기사용자는 서비스단말기(300)상에서 미리 출신학교나 출신지역 같은 조건을 설정해 서비스요청을 수행하거나, 실시간으로 상기와 같은 조건을 주어 서비스요청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정보제공모듈(205)은 차량정보, 위치정보, 검색조건정보 등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4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선택모듈(206)은 당해 서비스단말기 사용자가 검색된 다른 단말기사용자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다른 단말기사용자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선택모듈(206)을 통해 적절한 다른 단말기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단말기(300)는 상기 단말기선택모듈(206)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하고, 서비스서버(400)가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되어 있는 당해 친구찾기서비스를 이용할 당해 서비스단말기사용자정보를 선택된 다른 단말기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친구찾기 서비스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서비스서버(4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및 상기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부합하는 서비스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및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친구찾기서비스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정보를 분석하여 검색조건이 일치하는 단말기를 검색하고, 검색결과정보를 검색요청이 있었던 단말기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서버(4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및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403)와, 친구단말기를 찾기 위한 검색모듈(407)과, 검색결과정보를 친구찾기서비스요청이 있는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제공모듈(20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타베이스(403)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및 상기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차량단말기(100)로부터 차량정보, 위치정보 등을 제공받아 이를 검색조건정보와 함께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단말기(300)가 차량정보, 위치정보, 검색조건정보 등을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하면, 상기 서비스서버(400)는 이들 정보들을 상기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데이타베이스(403)는 상기 차량정보에 해당하는 단말기사용자정보를 추가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검색모듈(407)은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친구찾기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요청이 있는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전송받은 차량정보, 위치정보, 검색조건정보와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된 다른 단말기사용자정보를 분석하여 검색조건이 상호 일치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서비스단말기(300)를 찾아낸다. 구체적인 일 예로 충남과학고 출신인 차량운전자가 고향인 태안 근처를 지나가면서 친구찾기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서비스서버(400)는 운전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차량정보, 위치정보와 검색조건정보를 수신하고, 검색모듈(407)이 데이타베이스(403)를 참조하여 친구찾기서비스를 요청한 다른 서비스이용자중에서 충남과학고출신이면서 태안 근처에 위치하는 친구를 찾아내게 된다.
상기 정보제공모듈(205)은 상기 검색모듈(407)에 의한 친구검색결과를 검색을 요청한 단말기로 제공하는 구성이다. 위 예에서 정보제공모듈(205)이 상기 검색모듈(407)에 의한 검색결과로서 태안 근처의 연락이 가능한 운전자동창친구의 정보를 제공하고, 동시에 동창친구에게도 운전자의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을 이용한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방법의 블럭도이고,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품질평가단계를 추가 도시한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방법의 블럭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방법은 사용자단말기(200)가 차량단말기(100)와의 통신을 통해 주행거리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단계(S102);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서비스서버(400)에 상기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03); 서비스단말기(300)가 서비스정보제공모듈(205)을 통해 차량정비업체의 위치정보, 제공하는 서비스종류에 관한 정보, 실시간 서비스가능여부와 대기시간에 관한 정보, 이벤트행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서비스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400)에 제공하는 단계(S104);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제공받은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하거나, 상기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정보를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하는 단계(S105);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분석모듈(402)을 통해 상기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된 사용자 차량의 주행거리나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정비서비스 대상이라고 판단된 경우(S106)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와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정보를 대비하여 적합한 차량정비업체와 차량을 매칭하는 단계(S107);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정보제공모듈(205)을 통해 상기 분석모듈(402)을 통해 매칭된 사용자 차량에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적합한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를 이용을 선택한 경우(S108) 차량정비업체에는 서비스단말기(300)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09); 상기 서비스단말기(300)가 저장모듈(301)에 상기 서비스서버(400)를 통해 제공받은 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나 당해 차량정비업체를 이용한 차량이력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10);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방법은 사용자단말기(200)가 서비스제공이 종료된 후 서비스품질평가모듈(201)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서비스품질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단계(S112);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상기 데이타베이스(403)에 서비스를 이용한 차량과 차량정비업체의 이력정보,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서비스품질평가결과를 저장하고, 각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S113); 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차량단말기(100)로부터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단계(S102)는 차량단말기(100)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상기 차량단말기(100)에 저장된 차량의 엔진오일양 등을 포함한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서비스서버(400)에 상기 수신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03)는 사용자단말기(200)가 상기 차량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차량의 엔진오일양을 포함한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서비스단말기(300)가 정보를 서비스서버(400)로 송신하는 단계(S104)는 차량정비업체가 서비스단말기(300)를 통해 차량정비업체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 서비스정보제공모듈(205)을 통해 차량정비업체의 위치정보, 제공하는 서비스종류에 관한 정보, 실시간 서비스의 가능여부, 대기시간에 관한 정보, 프로모션, 이벤트행사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차량정비업체정보를 무선통신망으로 서비스서버(400)에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수신정보를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하는 단계(S105)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및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하는 단계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차량단말기(100)로부터 엔진오일양 등을 포함하는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하거나, 상기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가 차량정비업체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차량정비업체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하면, 상기 서비스서버(400)는 이들 정보들을 상기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차량정비서비스대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106)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어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된 차량정보로부터 해당 차량이 정비대상인지 판단하는 단계로, 구체적인 일 예로 서비스서버(400)의 분석모듈(402)이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된 사용자단말기(200) 차량의 엔진오일양이 일정한 기준치에 미달되는 경우 엔진오일양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정비대상으로 판단하는 과정이다.
상기 차량정비업체 매칭단계(S107)는 서비스서버(400)가 사용자차량에 적절한 차량정비업체를 매칭하는 단계로, 서비스서버(400)가 분석모듈(402)을 통해 상기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된 차량정보로부터 해당 차량을 차량정비대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차량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어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정비업체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한 차량정비업체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차량과 가까운 위치에 있는 서비스제공이 가능한 차량정비업소를 매칭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매칭정보를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서비스이용을 선택하는 단계(S108)는 서비스서버(400)가 정보제공모듈(205)을 통해 상기 매칭된 결과를 사용자단말기(200)에 전송하고, 사용자단말기(200)의 단말기선택모듈(206)을 통해 사용자가 차량정비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차량정비업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로, 서비스서버(400)가 정보제공모듈(205)이 상기 분석모듈(402)에 의한 매칭결과로서 이용가능한 인근 차량정비업체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단말기선택모듈(206)을 통해 사용자가 차량정비업체와의 거리, 정비를 위한 대기시간, 정비가능여부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비업체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선택모듈(206)을 통해 적절한 차량정비업체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차량정비업체에 차량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09)는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상기 단말기선택모듈(206)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하고, 서비스서버(400)가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되어 있는 당해 차량정비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나 위치정보를 선택된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후 차량정비업체는 차량정비서비스 준비에 들어가게 된다.
상기 서비스단말기(300)가 수신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10)는 상기 서비스단말기(300)가 저장모듈(301)을 통해 서비스서버로(400)부터 전송받은 차량정비서비스를 이용할 사용자 차량의 차량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이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서비스품질평가모듈(201)을 통해 서비스품질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단계(S111)는 서비스종료 후 사용자가 품질평가시 그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로,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200)상의 서비스품질평가모듈(201)을 통해 미리 정해진 서비스의 평가항목에 따라 차량정비서비스내용을 평가하면, 평가정보를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서비스품질에 대한 피드백을 얻고 업체간 경쟁촉진으로 서비스품질향상과 서비스이용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차량정비서비스내용의 평가가 완료되면, 사용자단말기(200)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평가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한다.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차량, 차량이력정보, 평가결과를 저장하고, 각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S112)는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평가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정보 및 차량정비업체의 이력정보와 함께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해당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400)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400)에 저장된 상기 평가정보를 요청이 있는 단말기로 제공해 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방법의 블럭도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방법은 사용자단말기(200)가 차량단말기(100)와의 통신을 통해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단계(S202);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서비스서버(400)에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203); 서비스단말기(300)가 서비스정보제공모듈(205)을 통해 생활문화서비스제공업체의 위치정보,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정보, 대기시간에 관한 정보, 예약정보, 주차정보, 이벤트행사정보, 할인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서비스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400)에 제공하는 단계(S204);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제공받은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하거나 상기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생활문화서비스정보를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하는 단계(S205);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서비스검색모듈(203)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설정되는 서비스검색조건에 맞는 생활문화서비스 정보의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S206);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분석모듈(402)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정해지는 검색조건과 상기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생활문화서비스업체의 생활문화서비스정보를 대비하여 적합한 생활문화서비스제공업체와 차량을 매칭하는 단계(S207);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정보제공모듈(205)을 통해 상기 분석모듈(402)을 통해 매칭된 사용자 차량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적합한 생활문화서비스제공업체의 생활문화서비스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의 이용을 선택한 경우(S208), 생활문화서비스업체에는 상기 서비스단말기(300)를 통해 생활문화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209); 상기 서비스단말기(300)가 저장모듈(301)에 상기 서비스서버(400)를 통해 제공받은 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나 생활문화서비스를 이용한 차량이력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21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활문화서비스는 공연서비스, 음식점서비스, 광고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군 중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고,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음식점서비스를 구체적인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차량단말기(100)로부터 차량정보를 제공받는 단계(S202)는 차량단말기(100)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상기 차량단말기(100)에 저장된 차량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차량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서비스서버(400)에 상기 수신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203)는 사용자단말기(200)가 상기 차량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차량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차량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서비스단말기(300)가 정보를 서비스서버(400)로 송신하는 단계(S204)는 음식점업체가 서비스단말기(300)를 통해 음식점업체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 서비스단말기(300)가 서비스정보제공모듈(205)을 통해 음식점업체의 위치정보, 제공하는 음식메뉴, 대기시간정보, 예약정보, 주차정보, 이벤트행사정보, 할인행사정보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음식점업체정보를 무선통신망으로 후술할 서비스서버(4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수신정보를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하는 단계(S205)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및 음식점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하는 단계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차량단말기(100)로부터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하거나, 상기 음식점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가 음식점업체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음식점업체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하면, 상기 서비스서버(400)는 이들 정보들을 상기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S206)는 서비스검색모듈(203)을 통해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서비스의 조건검색이 가능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서비스검색모듈(203)을 통해 사용자가 음식의 가격, 위치, 음식 메뉴, 대기시간, 이벤트, 할인유무 등의 항목별로 일정한 조건을 설정하여 검색을 요청하는 과정이다. 구체적인 일 예로 양재역근처를 지나는 사용자가 8천원 미만의 한식을 찾으려는 경우 사용자단말기(200)에 해당 조건을 주어 검색하면, 서비스서버(400)는 상기 조건과 매칭되는 양재역 근처에 위치한 음식점업체정보를 찾아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서비스업체를 매칭하는 단계(S207)는 서비스서버(400)가 사용자차량에 적절한 스비스업체를 매칭하는 단계로, 서비스서버(400)가 분석모듈(402)을 통해 상기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된 차량정보 및 사용자단말기의 서비스검색모듈(203)을 통해 설정된 검색조건을 분석하여 사용자차량과 음식점업체를 매칭시켜 음식점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어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되어 있는 음식점업체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음식점업체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차량과 가까운 위치에 있는 서비스제공이 가능한 음식점업체를 찾는 작업을 수행한다. 구체적인 일 예로는 차량 운전자가 강남구 양재동을 지나가면서 8천원 미만의 한식당을 찾는 검색조건을 입력한 경우, 상기 분석모듈(402)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차량정보와 음식점업체들이 서비스단말기(300)를 통해 전송한 음식점업체정보를 매칭시켜, 양재동 근처의 8천원 미만의 한식이 제공되는 한식당들을 찾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300)가 매칭정보를 사용자단말기(300)로 전송하고 서비스이용을 선택하는 단계(S208)는 서비스서버(400)가 정보제공모듈(205)을 통해 상기 매칭된 결과를 사용자단말기(200)에 전송하고, 사용자단말기(200)의 단말기선택모듈(206)을 통해 사용자가 음식점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음식점업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로, 서비스서버(400)가 정보제공모듈(205)을 통해 상기 분석모듈(402)에 의한 매칭결과로서 이용가능한 인근 음식점업체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단말기선택모듈(206)을 통해 운전자가 음식점업체와의 거리, 대기시간 등을 포함하는 정보군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음식점업체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선택모듈(206)을 통해 적절한 음식점업체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음식점업체에 차량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209)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상기 단말기선택모듈(206)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하고, 서비스서버(400)가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되어 있는 당해 음식점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나 위치정보를 선택된 음식점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로 전송하는 단계로, 음식점업체는 음식서비스 준비에 들어가게 된다.
상기 서비스단말기(300)가 수신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210)는 상기 서비스단말기(300)가 저장모듈(301)을 통해 서비스서버로(400)부터 전송받은 음식점서비스를 이용할 사용자 차량의 차량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방법의 블럭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방법은 사용자단말기(200)가 차량단말기(100)와의 통신을 통해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단계(S302);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정보제공모듈(205)을 통해 당해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정보, 검색조건정보,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400)에 제공하는 단계(S303); 서비스단말기(300)가 정보제공모듈(205)을 통해 당해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정보, 검색조건정보,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400)에 제공하는 단계(S304);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제공받은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하거나 상기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제공받은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하는 단계(S305);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상기 서비스단말기(300)가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서비스의 조건검색이 가능한 서비스요청모듈(204)을 통해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S306);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검색모듈(407)을 통해, 이미 등록된 사용자단말기(200)들 또는 서비스단말기(300)들 중 어느 하나에서 서비스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403)에 저장된 상기 등록된 단말기들 정보를 분석하여, 이미 서비스요청이 있었던 하나 이상의 등록된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서비스단말기(300) 중에서 검색조건 일치하는 하나 이상의 등록된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서비스단말기(300)를 찾는 단계(S307);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정보제공모듈(205)을 통해 상기 검색모듈(407)에 의해 생성된 검색결과정보를 서비스요청이 있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상기 서비스단말기(300)로 제공하는 단계(S308);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서비스단말기(300)가 단말기선택모듈(206)을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400)로부터 검색된 다른 단말기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계(S309); 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서비스이용이력정보를 DB에 저장하는 단계(S3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는 카풀서비스, 친구찾기서비스, 동호회가입자 검색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군 중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친구찾기서비스를 구체적인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차량단말기(100)로부터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단계(S302)는 차량단말기(100)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상기 차량단말기(100)에 저장된 차량의 식별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포함한 차량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서비스서버(400)에 상기 수신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303)는 친구찾기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단말기(200)가 정보제공모듈(205)을 통해 상기 차량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차량의 차량정보, 위치정보, 사용자단말기(200)에서 주어진 검색조건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400)에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서비스단말기(300)가 서비스서버(400)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304)는 친구찾기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서비스단말기(300)가 정보제공모듈(205)을 통해 차량정보, 위치정보, 사용자단말기(200)에서 주어진 검색조건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400)에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수신정보를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하는 단계(S305)는 친구찾기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및 상기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하는 단계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가 차량단말기(100)로부터 차량정보, 위치정보 등을 제공받아 이를 검색조건정보와 함께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비스단말기(300)가 차량정보, 위치정보, 검색조건정보 등을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하면, 상기 서비스서버(400)는 이들 정보들을 상기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데이타베이스(403)는 상기 차량정보에 해당하는 단말기사용자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서비스단말기(300)가 서비스요청을 하는 단계(S306)는 각 단말기상에서 상기 서비스요청모듈(204)을 통해 서비스단말기(300)상에서 친구찾기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로, 친구찾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당해 사용자단말기사용자 또는 서비스단말기사용자는 당해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서비스단말기(300)상에서 미리 출신학교나 출신지역 같은 조건을 설정해 놓을 수 있고, 실시간으로 상기와 같은 조건을 주어 서비스요청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단말기를 검색하는 단계(S307)는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및 상기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부합하는 서비스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하는 단계로,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친구찾기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검색모듈(407)을 통해 요청이 있는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서비스단말기(300)로부터 전송받아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한 차량정보, 위치정보, 검색조건정보 등을 분석하여 검색조건이 상호 일치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서비스단말기(300)를 찾아낸다. 구체적인 일 예로 충남과학고 출신인 차량운전자가 고향인 태안 근처를 지나가면서 친구찾기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서비스서버(400)는 운전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한 차량정보, 위치정보와 검색조건정보를 분석하여, 검색모듈(407)이 친구찾기서비스를 요청한 다른 서비스이용자중에서 충남과학고출신이면서 태안 근처에 위치하는 친구를 찾아내게 된다.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검색결과를 친구찾기서비스요청이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S308)는 서비스서버(400)가 정보제공모듈(205)을 통해 상기 검색모듈(407)에 의한 친구검색결과를 검색을 요청한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로, 위 예에서 서비스서버(400)상의 정보제공모듈(205)이 상기 검색모듈(407)에 의한 검색결과로서 근처의 연락이 가능한 운전자친구의 정보를 제공하고, 동시에 친구에게도 운전자의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친구찾기서비스요청이 있는 단말기가 서비스이용을 선택하는 단계(S309)는 서비스서버(400)가 당해 친구찾기서비스요청이 있는 단말기 및 다른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분석해서 상호 검색조건이 일치하는 친구 단말기를 검색하여 친구찾기서비스요청이 있는 단말기로 제공하는 경우, 친구찾기서비스요청이 있는 단말기가 단말기선택모듈(206)을 통해 서비스를 요청한 단말기에서 검색된 친구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로, 당해 친구찾기서비스 요청이 있는 단말기 사용자가 검색된 다른 단말기사용자의 위치, 출신학교, 출신지역 등을 포함하는 다른 단말기사용자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선택모듈(206)을 통해 적절한 단말기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당해 친구찾기서비스요청이 있는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선택모듈(206)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서비스서버(400)로 전송하면, 서비스서버(400)가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되어 있는 당해 친구찾기서비스를 이용할 단말기사용자정보를 선택된 다른 단말기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친구찾기 서비스를 연결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친구찾기서비스이용자가 자신의 서비스이용내역을 언제든지 확인이 가능하도록 서비스서버(400)가 친구찾기서비스이용이력정보를 상기 데이타베이스(403)에 저장하는 단계(S3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도 6 내지 도 8의 단계에 추가할 수 있는 포인트이용단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6 내지 도 8의 단계에 추가할 수 있는 포인트이용방법은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포인트저장모듈(301)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서비스단말기(300)의 적립된 포인트값이나 포인트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포인트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401);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서비스단말기(300)가 포인트이용모듈(202,303)을 통해 적립된 포인트값의 이용을 요청하는 단계(S402);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서비스단말기(300)에 의한 포인트값 이용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요청이 있는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서비스단말기(300)의 포인트정보에 따라 포인트 이용여부를 확정하는 단계(S403);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커뮤니티서비스시스템을 통해 포인트 이용이 확정된 경우, 포인트계산모듈(404)을 통해 설정된 포인트계산방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서비스단말기(300)의 포인트변동값을 계산하는 단계(S404); 상기 서비스서버(400)가 포인트관리모듈(406)을 통해 상기 포인트계산모듈(404)에서 계산된 포인트변동값에 따라 상기 포인트저장모듈(301)에 저장된 당해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서비스단말기(300)의 포인트정보를 변경하는 단계(S4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인트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401)는 서비스서버(400)가 상기 포인트저장모듈(301)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및 상기 서비스단말기(300)의 포인트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로,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포인트값을 이용하지 않은 서비스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서비스서버(400)가 포인트관리모듈(406)을 통해 포인트계산모듈(404)로 계산된 포인트값을 저장된 포인트값에 추가하여 상기 포인트저장모듈(301)에 저장하고, 포인트거래내역도 갱신하며 동시에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의 저장된 포인트값에 상기 계산된 포인트값을 감하여 상기 포인트저장모듈(301)을 통해 저장하고, 포인트거래내역도 갱신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포인트이용모듈(202)을 통해 포인트값을 이용한 서비스결재가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포인트값을 사용자단말기의 저장된 포인트값에 감하여 상기 포인트저장모듈(301)에 저장하고 포인트거래내역을 갱신하며 동시에 당해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의 저장된 포인트값에 해당 포인트값을 추가하여 포인트저장모듈(301)을 통해 저장하고, 포인트 거래내역도 갱신한다.
상기 포인트값 이용요청을 하는 단계(S402)는 사용자단말기(200)의 포인트이용모듈(202)을 통해 포인트값을 이용한 서비스결제 요청이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상기 포인트이용여부를 확정하는 단계(S403)는 요청이 있는 시용자단말기(200)의 포인트정보에 따라 서비스서버(400) 포인트의 이용여부를 허여하는 과정이다.
상기 포인트값을 계산하는 단계(S404)는 서비스서버(400)가 포인트계산모듈(404)을 통해 서비스이용시 포인트값을 계산해주는 단계로, 사용자가 서비스이용시 미리 설정한 계산방법에 따라 계산되는 과정으로 상기 계산방법은 이용되는 서비스의 거래가격에 일정비율을 곱하는 방법에 의할 수 있다.
상기 포인트정보를 변경하는 단계(S405)는 서비스서버(400)가 상기 포인트관리모듈(406)을 통해 상기 포인트계산모듈(404)에 의한 계산된 포인트값을 이용하여 포인트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포인트값을 이용하지 않은 서비스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포인트관리모듈(406)은 상기 포인트계산모듈(404)을 통해 계산된 포인트값을 저장된 포인트값에 추가하여 상기 포인트저장모듈(301)에 저장하고 포인트거래내역도 갱신하며 동시에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의 저장된 포인트값에 상기 계산된 포인트값을 감하여, 상기 포인트저장모듈(301)에 저장하고, 포인트거래내역도 갱신한다. 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포인트이용모듈(202)을 통해 포인트값을 이용한 서비스결재가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포인트값을 사용자단말기의 저장된 포인트값에 감하여 상기 포인트저장모듈(301)에 저장하고 포인트거래내역을 갱신하며 동시에 당해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단말기(300)의 저장된 포인트값에 해당 포인트값을 추가하여 포인트저장모듈(301)에 저장하고, 포인트 거래내역도 갱신한다. 상기 포인트 관리 방법은 보상제도를 통한 서비스이용 활성화의 장점을 지닌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차량단말기 200: 사용자단말기 300: 서비스단말기
400: 서비스서버 101: 차량제어모듈 102:디스플레이
201: 서비스품질평가모듈 202: 포인트이용모듈 203:서비스검색모듈
204: 서비스요청모듈 205: 정보제공모듈 206: 단말기선택모듈
301: 저장모듈 302: 서비스정보제공모듈 303: 포인트이용모듈
304: 서비스요청모듈 305: 정보제공모듈 306: 단말기선택모듈
401: 정보제공모듈 402: 분석모듈 403: 데이타베이스
404: 포인트계산모듈 405:포인트저장모듈 406:포인트관리모듈
407: 검색모듈
S101: 서비스등록단계
S102: 사용자단말기가 차량단말기로부터 정보수신단계
S103: 서비스단말기의 수신정보를 서비스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S104: 서비스정보제공모듈이 서비스서버로 서비스정보 송신단계
S105: 서비스서버가 상기 수신정보를 DB로 저장하는 단계
S106: 분석모듈의 정보분석 및 서비스대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S107: 차량정비업체 매칭단계
S108: 상기 매칭정보를 사용자단말기로 송신 및 서비스이용선택 단계
S109: 차량정비업체에 차량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S110: 서비스단말기의 차량정보 및 차량이력정보 저장단계
S111: 사용자단말기의 품질평가 정보송신단계
S112: 서비스서버의 저장 및 각 단말기에 결과제공단계
S201: 서비스등록단계
S202: 사용자단말기가 차량단말기로부터 정보수신단계
S203: 사용자단말기의 수신정보를 서비스서버로 송신단계
S204: 서비스정보제공모듈이 서비스서버로 서비스정보 송신단계
S205: 서비스서버가 상기 수신정보를 DB로 저장하는 단계
S206: 사용자단말기의 검색요청단계
S207: 분석모듈이 서비스를 매칭하는 단계
S208: 상기 매칭정보를 사용자단말기로 송신 및 서비스이용선택 여부 결정 단계
S209: 차량정비업체에 차량정보 제공단계
S210: 서비스단말기의 차량정보 및 차량이력정보 저장단계
S301: 서비스등록단계
S302: 사용자단말기가 차량단말기로부터 정보수신단계
S303: 사용자단말기의 정보를 서비스서버로 송신단계
S304: 서비스단말기의 정보를 서비스서버로 송신단계
S305: 서비스서버가 상기 수신정보를 DB로 저장하는 단계
S306: 사용자단말기 또는 서비스단말기의 서비스 요청 단계
S307: 검색모듈이 단말기를 검색하는 단계
S208: 검색결과를 요청이 있는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S309: 서비스 이용 선택단계
S310: 서비스이용정보를 DB에 저장하는 단계
S401: 포인트정보 저장단계
S402: 포인트값 이용요청 단계
S403: 포인트이용여부 확정단계
S404: 포인트값 계산단계
S405: 포인트정보 변경단계

Claims (14)

  1. 차량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공받고, 서비스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서비스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단말기;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토대로 당해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에 부합하는 서비스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서버;
    상기 서비스서버에 서비스정보를 제공하고, 서비스서버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사용자정보를 제공받는 서비스단말기;를 포함하여,
    차량의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토대로 그에 부합하는 서비스와 사용자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기반 양방향 커뮤니티서비스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단말기는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로, 차량정비업체의 위치정보, 제공하는 서비스종류에 관한 정보, 실시간 서비스가능여부와 대기시간에 관한 정보, 이벤트행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서비스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에 제공하는 서비스정보제공모듈; 상기 서비스서버를 통해 제공받은 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나 차량정비업체를 이용한 차량이력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저장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단말기는 차량의 주행거리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체크하고 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차량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서버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차량정보 및 서비스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차량의 주행거리나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정비서비스 대상이라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와 서비스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정보를 대비하여 적합한 차량정비업체와 차량을 매칭하는 분석모듈; 상기 분석모듈을 통해 매칭된 사용자 차량에는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적합한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를 이용을 선택한 경우 차량정비업체에는 서비스단말기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서비스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말기선택모듈; 을 포함하여,
    차량의 차량정보나 위치정보 및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정보를 토대로 그에 부합하는 차량정비업체와 차량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기반 양방향 커뮤니티서비스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서비스품질평가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서비스를 이용한 차량과 차량정비업체의 이력정보,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서비스품질평가결과를 추가로 저장관리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기반 양방향 커뮤니티서비스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사용자가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서비스의 조건검색이 가능하도록 서비스검색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서비스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말기선택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단말기는 생활문화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로, 생활문화서비스제공업체의 위치정보,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정보, 대기시간에 관한 정보, 예약정보, 주차정보, 이벤트행사정보, 할인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서비스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에 제공하는 서비스정보제공모듈; 상기 서비스서버를 통해 제공받은 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나 생활문화서비스를 이용한 차량이력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저장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차량정보 및 상기 서비스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생활문화서비스업체의 생활문화서비스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정해지는 검색조건과 상기 서비스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생활문화서비스업체의 생활문화서비스정보를 대비하여 적합한 생활문화서비스제공업체와 차량을 매칭하는 분석모듈; 상기 분석모듈을 통해 매칭된 사용자 차량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적합한 생활문화서비스제공업체의 생활문화서비스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의 이용을 선택한 경우, 생활문화서비스업체에는 상기 서비스단말기를 통해 생활문화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모듈; 을 포함하여,
    차량의 차량정보나 위치정보 및 생활문화서비스제공업체의 생활문화서비스정보를 토대로 그에 부합하는 생활문화서비스제공업체와 차량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기반 양방향커뮤니티서비스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공연서비스, 음식점서비스, 광고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군 중 하나 이상의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기반 양방향커뮤니티서비스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서비스의 조건검색이 가능한 서비스요청모듈; 당해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정보, 검색조건정보,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에 제공하는 정보제공모듈;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다른 단말기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말기선택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단말기는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서비스의 조건검색이 가능한 서비스요청모듈; 당해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정보, 검색조건정보,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에 제공하는 정보제공모듈;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다른 단말기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말기선택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나 상기 서비스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이미 등록된 사용자단말기들이나 서비스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에서 서비스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단말기의 정보를 분석하여, 이미 서비스요청이 있었던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기 또는 서비스단말기 중에서 검색조건 일치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기 또는 서비스단말기를 찾는 검색모듈; 상기 검색모듈에 의해 생성된 검색결과정보를 서비스요청이 있는 단말기로 제공하는 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여,
    복수의 단말기 사용자정보를 토대로 상호 일치되는 조건의 서비스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기반 양방향 커뮤니티서비스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카풀서비스, 친구찾기 서비스, 동호회가입자 검색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기반 양방향 커뮤니티서비스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는 커뮤니티서비스시스템을 통해 서비스 이용이 확정된 경우, 설정된 포인트계산방법에 따라 서비스이용 당사자의 포인트변동값을 계산하는 포인트계산모듈;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서비스단말기의 적립된 포인트값이나 포인트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포인트정보를 저장하는 포인트저장모듈; 상기 포인트계산모듈에서 계산된 포인트변동값에 따라 상기 포인트저장모듈에 저장된 당해 서비스 이용당사자의 포인트정보를 변경하는 포인트관리모듈; 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서비스단말기는 상기 포인트저장모듈에 저장된 포인트정보를 확인하거나 적립된 포인트값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포인트이용모듈을 추가로 포함하여,
    서비스이용에 포인트값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기반 양방향 커뮤니티서비스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단말기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쉽게 정보를 인지하고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차량기반 양방향 커뮤니티서비스시스템.
  10. 사용자단말기가 차량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주행거리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서비스서버에 상기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서비스단말기가 서비스정보제공모듈을 통해 차량정비업체의 위치정보, 제공하는 서비스종류에 관한 정보, 실시간 서비스가능여부와 대기시간에 관한 정보, 이벤트행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서비스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상기 서비스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분석모듈을 통해 상기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차량의 주행거리나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정비서비스 대상이라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와 서비스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정보를 대비하여 적합한 차량정비업체와 차량을 매칭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정보제공모듈을 통해 상기 분석모듈을 통해 매칭된 사용자 차량에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적합한 차량정비업체의 서비스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단말기가 단말기선택모듈을 통해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서비스단말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사용자에 의해 특정 서비스단말기가 선택된 경우 차량정비업체에 서비스단말기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단말기가 저장모듈에 상기 서비스서버를 통해 제공받은 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나 당해 차량정비업체를 이용한 차량이력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기반 양방향 커뮤니티서비스제공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서비스제공이 종료된 후 서비스품질평가 모듈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서비스품질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데이타베이스에 서비스를 이용한 차량과 차량정비업체의 이력정보,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서비스품질평가결과를 저장하고, 각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차량기반 양방향 커뮤니티서비스제공방법.
  12. 사용자단말기가 차량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서비스서버에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서비스단말기가 서비스정보제공모듈을 통해 생활문화서비스제공업체의 위치정보,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정보, 대기시간에 관한 정보, 예약정보, 주차정보, 이벤트행사정보, 할인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서비스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상기 서비스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생활문화서비스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서비스검색모듈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설정되는 서비스검색조건에 맞는 생활문화서비스 정보의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분석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정해지는 검색조건과 상기 서비스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생활문화서비스업체의 생활문화서비스정보를 대비하여 적합한 생활문화서비스제공업체와 차량을 매칭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정보제공모듈을 통해 상기 분석모듈을 통해 매칭된 사용자 차량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적합한 생활문화서비스제공업체의 생활문화서비스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단말기가 단말기선택모듈을 통해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서비스단말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사용자에 의해 특정 서비스단말기가 선택된 경우 차량정비업체에 서비스단말기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의 이용을 선택한 경우, 생활문화서비스업체에는 상기 서비스단말기를 통해 생활문화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단말기가 저장모듈에 상기 서비스서버를 통해 제공받은 서비스를 이용할 차량정보나 생활문화서비스를 이용한 차량이력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기반 양방향 커뮤니티서비스제공방법.
  13. 사용자단말기가 차량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차량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정보제공모듈을 통해 당해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정보, 검색조건정보,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서비스단말기가 정보제공모듈을 통해 당해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정보, 검색조건정보,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군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상기 서비스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 또는 상기 서비스단말기가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서비스의 조건검색이 가능한 서비스요청모듈을 통해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검색모듈을 통해, 이미 등록된 사용자단말기들 또는 서비스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에서 서비스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등록된 단말기들 정보를 분석하여, 이미 서비스요청이 있었던 하나 이상의 등록된 사용자단말기 또는 서비스단말기 중에서 검색조건 일치하는 하나 이상의 등록된 사용자단말기 또는 서비스단말기를 찾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정보제공모듈을 통해 상기 검색모듈에 의해 생성된 검색결과정보를 서비스요청이 있는 상기 사용자단말기 또는 상기 서비스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 또는 서비스단말기가 단말기선택모듈을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검색된 다른 단말기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기반 양방향 커뮤니티서비스방법.
  14.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가 포인트저장모듈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단말기 또는 서비스단말기의 적립된 포인트값이나 포인트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포인트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 또는 서비스단말기가 포인트사용모듈을 통해 적립된 포인트값의 이용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 또는 서비스단말기에 의한 포인트값 이용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가 요청이 있는 사용자단말기 또는 서비스단말기의 포인트정보에 따라 포인트 이용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커뮤니티서비스시스템을 통해 포인트 이용이 확정된 경우, 포인트계산모듈을 통해 설정된 포인트계산방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단말기 또는 서비스단말기의 포인트변동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포인트관리모듈을 통해 상기 포인트계산모듈에서 계산된 포인트변동값에 따라 상기 포인트저장모듈에 저장된 당해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단말기 또는 서비스단말기의 포인트정보를 변경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여,
    서비스이용에 포인트값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기반 양방향 커뮤니티서비스방법.
KR1020110030202A 2011-04-01 2011-04-01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116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202A KR20120111613A (ko) 2011-04-01 2011-04-01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202A KR20120111613A (ko) 2011-04-01 2011-04-01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613A true KR20120111613A (ko) 2012-10-10

Family

ID=47282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202A KR20120111613A (ko) 2011-04-01 2011-04-01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161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695A (ko) * 2014-07-17 2016-01-28 정종기 두레 품앗이 카풀대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1017A (ko) * 2015-04-09 2016-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KR20160131338A (ko) * 2015-05-06 2016-11-16 김선범 차량 구매자의 구매 경험 공유 및 확산을 위한 실시간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7495A (ko) * 2019-11-29 2021-06-08 이무비 자전거를 활용한 리워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리워드 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695A (ko) * 2014-07-17 2016-01-28 정종기 두레 품앗이 카풀대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1017A (ko) * 2015-04-09 2016-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KR20160131338A (ko) * 2015-05-06 2016-11-16 김선범 차량 구매자의 구매 경험 공유 및 확산을 위한 실시간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7495A (ko) * 2019-11-29 2021-06-08 이무비 자전거를 활용한 리워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리워드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8451B2 (ja) 自動車充電スタンド管理システム
JP6143214B2 (ja) 携帯端末を用いたタクシー車両の呼び寄せシステム
US20150095156A1 (en) Servicing subscriber vehicles
KR20120135611A (ko) 위치기반 카풀 운영 방법
JP2012088925A (ja) エコタクシー配車支援システム
US20190286843A1 (en) Data delivery contro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data delivery control
US20130275043A1 (en) Location-Based Service System and Wishing Service Method Thereof
KR20120024135A (ko) 스마트폰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대리운전 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
KR20120075616A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카풀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20111613A (ko)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42848B1 (ko) 모바일 카풀 제공 방법
KR101331767B1 (ko) 실시간 위치 기반의 모바일 로컬소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N111490882A (zh) 一种基于车牌号码的社交服务方法及系统
KR101581358B1 (ko) 여행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080300999A1 (en) System for Aggregating Services for a Telecommunication Platform and Method of Ordering a Good or Service
CN114221960B (zh) 基于自动驾驶公交车的数据推送方法和自动驾驶公交车
KR20130100877A (ko) 사용자의 구매 이력 및 주차 이력 기반의 내비게이션 검색 방법
KR20150145938A (ko) 개인이 소지한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한 대리운전 또는 카풀서비스 또는 카 쉐어링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 양자 간의 서비스 연결을 위한 시스템과 방법
KR101791980B1 (ko) 멀티 오더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692590B1 (ko) 단말을 이용한 대리운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05534A (ko) 위치 정보를 이용한 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87112A (ko) 위치 기반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85948B1 (ko) 위치 기반 도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16368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리운전 서비스 제공방법
KR20040041228A (ko) 실시간 카풀정보 중계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