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427A - 제직기의 직물표면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제직기의 직물표면 절단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11427A KR20120111427A KR1020110029884A KR20110029884A KR20120111427A KR 20120111427 A KR20120111427 A KR 20120111427A KR 1020110029884 A KR1020110029884 A KR 1020110029884A KR 20110029884 A KR20110029884 A KR 20110029884A KR 20120111427 A KR20120111427 A KR 201201114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de
- fabric
- weaving machine
- weft
- cut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28D1/2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with cutting disc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B65H35/00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using movable cutting element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9/00—Pile-fabric looms
- D03D39/16—Double-plush looms, i.e. for weaving two pile fabrics face-to-face
- D03D39/18—Separating the two plush layers, e.g. by cutting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9/00—Pile-fabric looms
- D03D39/24—Devices for cutting the pile on the loom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6—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fabric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의 표면 위사부분을 절단하여 직물에 특수한 효과를 부여하는 제직기의 직물표면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칼날이 구비된 절단장치를 권취롤 전면부에 설치하여 이송되는 위사절개직물의 표면 위사부분이 연속적으로 절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과 비용이 단축되며 제품의 불량률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도록 한 제직기의 직물표면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은, 나사산이 형성된 환봉형상으로 제직기에 탈부착되는 칼날대고정봉과; 상기 칼날대고정봉과 결합되되, 상부 몸체에는 상기 칼날대고정봉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하부 몸체에는 칼날이 고정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고, 하부 끝단에는 직물의 표면 위사부분이 칼날 위를 지날 수 있도록 직물을 안내하는 가이드판이 형성된 칼날대와; 상기 칼날대에 날부분이 위를 향하도록 결합되어 직물의 표면 위사부분을 절단하는 칼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직기를 통해 제직된 직물이 권취되는 권취롤 전면부에 다수 개의 칼날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직물절단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제직기와 별개로 절단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져 절단작업의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구성이 간단하여 칼날의 파손, 마모에 따른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며, 직물의 종류에 따라 칼날의 수량과 칼날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직기에 착탈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은, 나사산이 형성된 환봉형상으로 제직기에 탈부착되는 칼날대고정봉과; 상기 칼날대고정봉과 결합되되, 상부 몸체에는 상기 칼날대고정봉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하부 몸체에는 칼날이 고정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고, 하부 끝단에는 직물의 표면 위사부분이 칼날 위를 지날 수 있도록 직물을 안내하는 가이드판이 형성된 칼날대와; 상기 칼날대에 날부분이 위를 향하도록 결합되어 직물의 표면 위사부분을 절단하는 칼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직기를 통해 제직된 직물이 권취되는 권취롤 전면부에 다수 개의 칼날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직물절단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제직기와 별개로 절단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져 절단작업의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구성이 간단하여 칼날의 파손, 마모에 따른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며, 직물의 종류에 따라 칼날의 수량과 칼날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직기에 착탈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직물의 표면 위사부분을 절단하여 직물에 특수한 효과를 부여하는 제직기의 직물표면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칼날이 구비된 절단장치를 권취롤 전면부에 설치하여 이송되는 위사절개직물의 표면 위사부분이 연속적으로 절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과 비용이 단축되며 제품의 불량률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도록 한 제직기의 직물표면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사절개직물로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장식이나 수술이 형성된 수술장식직물, 직물 위사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된 위사를 전모(shearing)한 이면전모직물, 흔히 코르덴이라 불리는 위사의 일부를 절개하여 골이 지게 짠 코듀로이(Corduroy) 등이 대표적인 위사절개직물에 속하는 것들이다.
도 1a에는 3중직으로 제직된 직물 표면의 중간조직 위사(검은 실)를 절단하여 장식효과를 낸 일종의 수술장식직물 사진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b에는 위2중직으로 위사가 뜨도록 제직된 직물 이면의 위사(원둘레의 갈색 실)를 절단 후 전모시켜 장식효과를 낸 이면전모직물 사진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c에는 위2중직으로 제직된 직물 표면의 위사부분을 절단하여 골을 형성시킨 코듀로이 직물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상기한 수술장식직물, 이면전모직물, 코듀로이와 같은 위사절개직물의 표면을 제직기 상에서 절단하는 절단기가 전무하여 불가피하게 제직기를 통해 제직된 원단을 직물의 표면을 절단하는 용도가 아닌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절단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도 2는 상기한 종래 절단장치 중 회전칼날이 장착된 절단장치로 코듀로이 직물의 표면을 절단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코듀로이, 이면전모직물, 수술장식직물과 같은 표면효과를 주기위해서는 제직기에 의해 제직된 직물을 상기한 종래 절단장치가 설치된 다른 장소 또는 외부의 공장으로 옮긴 후 또 다시 절단장치에 설치하여 직물의 표면을 절단하는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만 했다.
그에 따라 종래 코듀로이, 이면전모직물, 수술장식직물과 같은 위사절개직물의 가공에는 추가의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 수밖에 없었고, 또한 종래 코듀로이 직물을 절단하는 절단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칼날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직물의 표면 상부에서 직물 표면의 위사부분을 절단하므로 직물 표면의 위사부분 일부를 절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어 제품에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이면전모직물의 경우에는 섬세한 부분의 위사절단이 불가능하여 품질의 저하 및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도 많았다.
또한, 수술장식직물과 같은 직물은 종래의 절단장치를 사용하지 못하고 작업자가 일일이 가위로 표면의 위사부분을 수작업으로 절단하는 수밖에 없어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수 개의 칼날이 구비된 직물표면 절단장치를 제직기의 권취롤 전면부에 설치하여 이송되는 직물의 표면 위사부분이 연속적으로 절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과 비용을 대폭 감소시키는 한편 절단작업의 정밀도를 높이고, 종래 절단장치로는 절단할 수 없었던 수술장식직물과 같은 직물의 표면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한 제직기의 직물표면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직기의 직물표면 절단장치는, 나사산이 형성된 환봉형상으로 제직기에 탈부착되는 칼날대고정봉과; 상기 칼날대고정봉과 결합되되, 상부 몸체에는 상기 칼날대고정봉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하부 몸체에는 칼날이 고정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고, 하부 끝단에는 직물의 표면 위사부분이 칼날 위를 지날 수 있도록 직물을 안내하는 가이드판이 형성된 칼날대와; 상기 칼날대에 날부분이 위를 향하도록 결합되어 직물의 표면 위사부분을 절단하는 칼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직기를 통해 제직된 위사절개직물이 권취되는 권취롤 전면부에 다수 개의 칼날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직물표면 절단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제직기와 별개로 절단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져 절단작업의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직물의 표면 위사부분이 칼날 위를 지나도록 구성되므로 수술장식직물과 같은 정밀도가 필요한 위사부분도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어 정밀한 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구성이 간단하여 칼날의 파손, 마모에 따른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며, 직물의 종류에 따라 칼날의 수량과 칼날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직기에 착탈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발생하게 된다.
도 1a는 수술장식직물의 표면을 나타낸 도면.
도 1b는 이면전모직물의 표면을 나타낸 도면.
도 1c는 코듀로이직물의 표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절단장치로 코듀로이 직물의 표면을 절단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직기의 직물표면 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직기의 직물표면 절단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직기의 직물표면 절단장치가 부착되어 직물의 표면을 절단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직기의 직물표면 절단장치가 브래킷으로 제직기에 부착되어 직물의 표면을 절단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b는 이면전모직물의 표면을 나타낸 도면.
도 1c는 코듀로이직물의 표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절단장치로 코듀로이 직물의 표면을 절단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직기의 직물표면 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직기의 직물표면 절단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직기의 직물표면 절단장치가 부착되어 직물의 표면을 절단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직기의 직물표면 절단장치가 브래킷으로 제직기에 부착되어 직물의 표면을 절단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직기의 직물표면 절단장치는, 나사산이 형성된 환봉형상으로 제직기에 탈부착되는 칼날대고정봉(10)과; 상기 칼날대고정봉(10)과 결합되되, 상부 몸체에는 상기 칼날대고정봉(10)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제1결합홈(21)이 형성되고, 하부 몸체에는 칼날(30)이 고정되는 제2결합홈(22)이 형성되고, 하부 끝단에는 직물의 표면 위사부분이 칼날(30) 위를 지날 수 있도록 직물을 안내하는 가이드판(23)이 형성된 칼날대(20)와; 상기 칼날대(20)에 날부분이 위를 향하도록 결합되어 직물의 표면 위사부분을 절단하는 칼날(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칼날대고정봉(10)은 제직기(A)의 후방 권취롤의 전면부 일측에 설치 결합되는 것으로 그 결합방법은 칼날대고정봉(10)의 양끝단을 제직기 템플(Temple) 일측의 구멍에 끼운 후 너트와 와셔로 체결할 수도 있으며, 제직기의 형상과 구조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칼날대고정봉(10)에 T자형 환봉을 더 연결해서 T자형 환봉과 후단의 브래킷(40)을 너트와 와셔로 결합한 후 다시 상기 브래킷(40)을 제직기(A)와 볼트와 너트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칼날대고정봉(10)을 제직기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칼날대(20)는 상부 몸체에 상기 칼날대고정봉(1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제1결합홈(21)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제1결합홈(21)을 통해 상기 칼날대고정봉(10)을 끼운 후 너트와 와셔로 결합하면 상기 칼날대(20)가 칼날대고정봉(10)에 고정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다수 개의 칼날대(20)를 상기 칼날대고정봉(10)에 결합고정시킨다.
이 때 절단해야 하는 직물의 종류, 두께 등에 따라 상기 칼날대(20) 몸체를 상기 제1결합홈(21)을 중심으로 아래 위로 회전시켜 칼날대(20)에 결합되는 칼날(30)의 각도를 조절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칼날대(20) 하부 몸체에는 상기 칼날(30)이 결합되는 제2결합홈(22)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칼날(30)을 상기 칼날대(20)의 일측면에 덧댄 후 볼트를 상기 제2결합홈(22)과 상기 칼날(30)에 형성된 칼날결합홈(31)에 관통시켜 너트로 조으면 상기 칼날(30)이 상기 칼날대(20)에 결합 고정된다. 이 때 상기 칼날(30) 몸체에는 상기 제2결합홈(22)에 대응하는 칼날결합홈(31)이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한데, 이와 같이 상기 칼날(30)에 결합홈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와셔를 사용해서 칼날(30) 몸체를 고정시키면 된다.
상기 칼날대(20)의 하부 끝단에는 하부면이 평평한 가이드판(23)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가이드판(2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C)이 가이드판(23)까지 이송되면 직물의 하부층과 표면 위사부분 사이에 끼워져 표면 위사부분은 상기 칼날대(20)에 결합된 칼날(30) 위를 지나가도록 하고 직물 하부층은 가이드판(23) 아래로 지나가도록 안내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칼날(30)은 상기 칼날대(20)에 날부분이 위를 향하도록 결합되되, 끝단으로부터 뒤로 갈수록 높아지게 설치하여 상기 칼날대(20)의 가이드판(23)을 거쳐 이송되는 직물의 표면 위사부분이 완전히 절단되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직기의 직물표면 절단장치의 작동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분해사시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 구성요소들을 조립하면 제직기의 직물표면 절단장치가 완성되고, 완성된 절단장치를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직기(A)의 권취롤(B) 전면부에 결합고정시킨다.
그 다음 제직기의 제직부에서 제직이 완료된 직물이 이송되면 상기 칼날대(20) 끝단에 위치하는 가이드판(23)이 직물의 하부층과 표면 위사층 사이를 파고 들면서 상기 직물표면의 위사부분이 상기 칼날(30) 쪽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칼날(30)은 날부분이 위로 향하고 뒤로 갈수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직물(C)의 표면 위사부분은 상기 칼날(30) 위를 지나면서 자동적으로 절단된다.
그 후 표면 위사부분이 절단된 직물(C)은 제직기(A)의 후방에 위치하는 권취롤(B)에 감겨 제품으로 완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직기의 직물표면 절단장치는 제직기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직물 표면을 절단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별도로 보관하고 직물 표면을 절단할 경우에만 제직기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뛰어난 호환성을 가지며, 제직기에 직접 결합하여 직물 표면을 절단하므로 작업속도가 향상되며 정밀한 제품을 얻을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칼날대고정봉 20 : 칼날대
21 : 제1결합홈 22 : 제2결합홈
23 : 가이드판 30 : 칼날
31 : 칼날결합홈 40 : 브래킷
A : 제직기 B : 권취롤
C : 직물
21 : 제1결합홈 22 : 제2결합홈
23 : 가이드판 30 : 칼날
31 : 칼날결합홈 40 : 브래킷
A : 제직기 B : 권취롤
C : 직물
Claims (2)
- 제직기의 직물표면 절단장치에 있어서,
나사산이 형성된 환봉형상으로 제직기(A)에 탈부착되는 칼날대고정봉(10)과;
상기 칼날대고정봉(10)과 결합되되, 상부 몸체에는 상기 칼날대고정봉(10)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제1결합홈(21)이 형성되고, 하부 몸체에는 칼날(30)이 고정되는 제2결합홈(22)이 형성되고, 하부 끝단에는 직물의 표면 위사부분이 칼날(30) 위를 지날 수 있도록 직물을 안내하는 가이드판(23)이 형성된 칼날대(20)와;
상기 칼날대(20)에 날부분이 위를 향하도록 결합되어 직물의 표면 위사부분을 절단하는 칼날(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기의 직물표면 절단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칼날(30)은 끝단으로부터 뒤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상기 칼날대(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기의 직물표면 절단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9884A KR20120111427A (ko) | 2011-03-31 | 2011-03-31 | 제직기의 직물표면 절단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9884A KR20120111427A (ko) | 2011-03-31 | 2011-03-31 | 제직기의 직물표면 절단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1427A true KR20120111427A (ko) | 2012-10-10 |
Family
ID=47282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9884A KR20120111427A (ko) | 2011-03-31 | 2011-03-31 | 제직기의 직물표면 절단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111427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063951A1 (en) * | 2020-08-28 | 2022-03-03 | Wonha Lee | Strip cutting apparatus for diagnostic reagent kit |
KR102480739B1 (ko) * | 2021-07-22 | 2022-12-23 | 주식회사 영도트림아트 | 수술 절단장치 |
CN116529434A (zh) * | 2020-09-29 | 2023-08-01 | 泰克思特雷斯股份公司 | 用于切断织造在纺织条带中的线条或细丝的非织入区段的切割设备及方法 |
-
2011
- 2011-03-31 KR KR1020110029884A patent/KR2012011142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063951A1 (en) * | 2020-08-28 | 2022-03-03 | Wonha Lee | Strip cutting apparatus for diagnostic reagent kit |
US11858772B2 (en) * | 2020-08-28 | 2024-01-02 | Seokhyun Lee | Strip cutting apparatus for diagnostic reagent kit |
CN116529434A (zh) * | 2020-09-29 | 2023-08-01 | 泰克思特雷斯股份公司 | 用于切断织造在纺织条带中的线条或细丝的非织入区段的切割设备及方法 |
KR102480739B1 (ko) * | 2021-07-22 | 2022-12-23 | 주식회사 영도트림아트 | 수술 절단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111427A (ko) | 제직기의 직물표면 절단장치 | |
JPH08209495A (ja) | 織 機 | |
KR101111735B1 (ko) | 입체자수방법 | |
CN204434958U (zh) | 用于剪毛机的剪线辊 | |
NL9300748A (nl) | Schietspoelloos weefgetouw. | |
CN208667967U (zh) | 纬线左起右起提示缂丝机 | |
CN208667968U (zh) | 纬线起头收尾提示缂丝机 | |
CN204959193U (zh) | 一种喷水织机综框导向装置 | |
CN206157319U (zh) | 一种喷气织机双织轴防中缝隔纱片梳齿 | |
CN210048249U (zh) | 铺布机的展布装置 | |
CN204780115U (zh) | 多轴向经编机 | |
JP2008214837A (ja) | エンブロイダリレースおよびエンブロイダリレース地、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 |
CN205130569U (zh) | 一种无纺布覆膜机 | |
KR100847639B1 (ko) | 자카드직기용 위사 커팅장치 | |
CN204434959U (zh) | 一种用于剪毛机的剪线辊 | |
KR20160140070A (ko) | 벨벳 전모 시스템 | |
KR101483221B1 (ko) | 직물과, 이의 직조방법 및 이를 위한 직조기 | |
CN207973862U (zh) | 利用投影仪投影缂织画稿的缂丝机 | |
KR200211217Y1 (ko) | 우산원단의 길이방향 재단장치 | |
US1715923A (en) | Laterally-adjustable thread cutter | |
CN212923824U (zh) | 一种便于使用的纱管纸 | |
CN219972612U (zh) | 机织机 | |
CN216006160U (zh) | 一种纺织加工用整经装置 | |
JPH06248537A (ja) | 細幅織物及びその裁断装置 | |
CN103466361B (zh) | 商标印刷机、商标带张力的控制方法以及张力控制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