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407A - Dual brake system and vehicle comp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ual brake system and vehicle comp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1407A
KR20120111407A KR1020110029858A KR20110029858A KR20120111407A KR 20120111407 A KR20120111407 A KR 20120111407A KR 1020110029858 A KR1020110029858 A KR 1020110029858A KR 20110029858 A KR20110029858 A KR 20110029858A KR 20120111407 A KR20120111407 A KR 20120111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vehicle
braking
dual
regenerative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8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채희서
정성용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9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1407A/en
Publication of KR20120111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40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1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by utilising wheel movement for accumulating energy, e.g. driving air compres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60Regenerative br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PURPOSE: A dual brake system composed of a regenerative braking unit and a mechanical braking unit and a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use energy effectively and secure reliability. CONSTITUTION: A dual brake system(1) comprises a first pedal(100), a second pedal(200), a regenerative braking part(300), and a friction braking part(400). One side of the first pedal is coupled with the pedal support(10) mounted on a passenger seat to be rotated. The first pedal is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110) elastically and contacted with the second pedal in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second pedal is arrang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first pedal and coupled with the pedal support to be rotated. The second pedal comprises an elastic block(210). The elastic block releases the impact generated by the contact of the first and the second pedals. The regenerative braking part generates braking force by converting the kinetic energy of a vehicle into electric energy when the first pedal is pulled back. The friction braking part is operated while the second pedal is pressed by the first pedal. [Reference numerals] (310) Position sensor; (320) Control unit; (330) Battery; (340) Switch circuit

Description

듀얼 제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Dual brake system and vehicle compring the same}Dual brake system and vehicle comp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회생 제동 수단과 기계식 제동 수단을 함께 구비한 듀얼 제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에 관련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ing device and a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al braking device having a regenerative braking means and a mechanical braking means, and a vehicle having the same.

내연기관을 구비한 종래의 차량은 일반적으로 마찰식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한다. 마찰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차량의 운동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킴으로써 차량의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작동되는 디스크 브레이크 혹은 드럼 브레이크를 구비한다. 디스크 브레이크 혹은 드럼 브레이크는 유압, 공압 또는 기계적으로 작동되며, 마찰열의 형태로 열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차량을 제동시킨다. Conventional vehicles with internal combustion engines generally have a friction brake system. The friction brake system generates a braking force of the vehicle by convert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vehicle into thermal energy, and includes a disc brake or a drum brake that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driver's operation. Disc brakes or drum brakes operate hydraulically, pneumatically or mechanically and brake the vehicle while releasing thermal energy in the form of frictional heat.

그런데 마찰식의 브레이크 시스템은 차량의 운동 에너지를 회수가 불가능한 열 에너지의 형태로 방출하기 때문에 차량의 운동 에너지를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However, since the friction type brake system releases the kinetic energy of the vehicle in the form of non-recoverable heat energy, the kinetic energy of the vehicle cannot be recovered and reuse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차량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에너지의 형태로 전환하면서 제동력을 발휘하는 회생 제동 시스템(regenerative braking system)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회생 제동 시스템은 하이브리드 차량(hybrid vehicle)이나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에 회생 제동 시스템이 주로 채택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regenerative braking system that converts the kinetic energy of the vehicle into the form of electrical energy and exerts a braking force is known. The regenerative braking system is mainly adopted in a hybrid vehicle or an electric vehicle.

회생 제동 시스템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차량의 운동 에너지로 발전기를 가동시켜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이와 같이 차량의 운동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면서 차량은 제동력을 받게 된다. 차량이 제동되는 과정에서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 에너지는 다시 차량을 추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으므로, 회생 제동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에너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e regenerative braking system charges the battery by driving the generator with the vehicle's kinetic energy when the driver presses the brake pedal. As the kinetic energy of the vehicle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in this way, the vehicle receives a braking force. Since the electric energy accumulated in the battery during the braking process can be used to propel the vehicle again, the regenerative braking system can use the energy more effectively.

한편, 회생 제동 시스템은 마찰식 브레이크 시스템에 비해서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우수하지만, 신뢰성 및 안정성에 있어서는 마찰식 브레이크 시스템에 뒤처지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회생 제동 시스템을 단독으로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generative braking system is much superior to the friction brake system in terms of efficient use of energy, but in terms of reliability and stability, the regenerative braking system may lag behind the friction braking system. .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하면서도, 신뢰성 및 안전성이 우수한 제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object to provide a braking device and a vehicle having the same, which are excellent in reliability and safety while promoting efficient use of energ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제동 장치는, 가압에 의해서 이동되는 제1페달과, 상기 제1페달이 소정의 위치를 지나면 상기 제1페달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되는 제2페달과, 상기 제1페달이 가압에 의해 이동되면 작동되는 회생 제동 수단과, 상기 제2페달이 상기 제1페달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되면 작동되는 마찰식 제동 수단을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ual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edal is moved by the pressurized, and the first pedal is moved by the first pedal when the first pedal passes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 second pedal, regenerative braking means actuated when the first pedal is moved by pressurization, and friction braking means actuated when the second pedal is pressurized and moved by the first pedal.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상기의 듀얼 제동 장치를 구비한다. 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dual braking device.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의한 제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에 따르면,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하면서도 신뢰성 및 안전성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braking device and a vehicle having the same may effectively secure reliability and safety while promoting efficient use of energ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제동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듀얼 제동 장치의 일부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듀얼 제동 장치의 다른 일부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제동 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듀얼 제동 장치의 일부 구성의 다른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듀얼 제동 장치의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al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some operating states of the dual braking device of FIG. 1.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operation state of the dual braking device of FIG. 2.
4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some components of a dual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operating state of some components of the dual braking device of FIG. 4.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operating state of some components of the dual braking device of FIG. 4.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제동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a dual bra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제동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al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제동 장치(1)는 제1페달(100), 제2페달(200), 회생 제동 수단(300) 및 마찰식 제동 수단(400)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본 실시예의 듀얼 제동 장치(1)가 전기 모터에 의해서 추진되는 하이브리드 차량 또는 전기 차량에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서술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dual brak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pedal 100, a second pedal 200, a regenerative braking means 300, and a friction braking means 400.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dual braking devic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in a hybrid vehicle or an electric vehicle that is propelled by an electric motor.

제1페달(100)은 운전자가 발로 밞으면 후방으로 후퇴 이동되도록, 차량의 운전석에 마련된 페달 지지부(10)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페달(100)은 운전자가 발을 떼면 다시 제자리도 돌아올 수 있도록 탄성 수단(110)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One side of the first pedal 1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edal support 10 provided in the driver's seat so that the driver retreats backward when the driver takes his foot. The first pedal 10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ans 110 so that when the driver releases the foot, the first pedal 100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제2페달(200)은 제1페달(100)의 이동 경로 상에서 제1페달(100)의 후방 측에 배치되며, 페달 지지부(10)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페달(200)은 제1페달(100)의 후방에 배치되므로, 제1페달(100)이 운전자의 가압에 의해서 후퇴하다가 소정의 위치에 이르면 제2페달(200)과 접촉된다. 제1페달(100)과 제2페달(200)이 접촉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제1페달(100)을 더욱 가압하게 되면, 제1페달(100)과 제2페달(200)은 함께 후방으로 후퇴된다. 제2페달(200)의 전방에는 탄성 블록(210)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는 제1페달(100)과 제2페달(200)이 접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완화시켜 줄 수 있다. The second pedal 200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pedal 100 on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pedal 100, and one side of the second pedal 2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edal support 10. Since the second pedal 200 is disposed behind the first pedal 100, when the first pedal 100 retreats due to the driver's pressure and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second pedal 2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pedal 200. When the driver presses the first pedal 100 further while the first pedal 100 and the second pedal 2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pedal 100 and the second pedal 200 retreat backward together. do. An elastic block 21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second pedal 200, which may alleviate an impact that may occur when the first pedal 100 and the second pedal 200 contact each other.

회생 제동 수단(300)은 차량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킴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운전자가 제1페달(100)을 가압하여 제1페달(100)이 후퇴되면 작동한다. 회생 제동 수단(300)은 위치 센서(310), 모터(350), 배터리(330), 스위치 회로(340) 및 제어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The regenerative braking means 300 generates a braking force by convert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vehicle into electrical energy and operates when the driver presses the first pedal 100 and the first pedal 100 is retracted. The regenerative braking means 300 may include a position sensor 310, a motor 350, a battery 330, a switch circuit 340, and a controller 320.

위치 센서(310)는 제1페달(100)의 회전각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서, 운전자가 제1페달(100)을 발로 밟았는지 여부 및 운전자가 제1페달(100)을 얼마나 깊게 밟았는지를 감지한다. 위치 센서(310)에서 감지된 제1페달(100)의 회전각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320)로 전달된다. The position sensor 310 is a sensor for measur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pedal 100. The position sensor 310 determines whether the driver has stepped on the first pedal 100 and how deeply the driver has stepped on the first pedal 100. Detect. Information about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pedal 100 sensed by the position sensor 31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320.

모터(350)는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밟을 경우, 배터리(330)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전달받아 차량의 바퀴(W)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모터(350)는 회생 제동 시에는 발전기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즉 모터(350)는 운전자가 제1페달(100)을 밟을 경우, 차량의 관성력에 의한 바퀴(W)의 회전력을 전기 에너지(E1)로 변환하여 배터리(33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터(350)가 발전기로서 동작하면 차량의 운동 에너지는 전기 에너지로 전환되면서 차량의 속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When the driver presses the accelerator pedal, the motor 350 receives electric energy from the battery 330 to drive the wheels W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motor 350 may serve as a generator during regenerative braking. That is, when the driver steps on the first pedal 100, the motor 350 may conver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heel W by the inertial force of the vehicle into electrical energy E1 and transmit the electrical power to the battery 330. . As such, when the motor 350 operates as a generator, the kinetic energy of the vehicle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thereby reducing the speed of the vehicle.

배터리(330)는 모터(350)에 공급하기 위한 전기 에너지를 축적하기 위한 것으로, 충방전이 가능하도록 2차 전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배터리(330)는 차량을 구동시킬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전기 용량을 가진다. The battery 330 is for accumulating electrical energy for supplying the motor 350, and is provided with a secondary battery to enable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battery 330 has sufficient electric capacity to drive a vehicle.

스위치 회로(340)는 배터리(330)와 모터(350)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가속 페달(미도시)을 밟으면 배터리(330)의 전력이 모터(350)로 공급되도록 회로를 구성하며, 사용자가 제1페달(100)을 밟으면 모터(350)의 회전력에 의해서 배터리(330)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회로를 구성한다. 또한 스위치 회로(340)는 사용자가 제1페달(100)을 밟을 경우, 모터(350)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력이 발생하도록 회로를 구성할 수도 있다. The switch circuit 340 is for chang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battery 330 and the motor 350. When the user presses an accelerator pedal (not shown), the switch circuit 340 supplies the power of the battery 330 to the motor 350. When the user presses on the first pedal 100, the circu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attery 330 is charg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350. In addition, the switch circuit 340 may configure a circuit such that when a user steps on the first pedal 100, a rotation force is gener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350.

제어부(320)는 위치 센서(310), 모터(350), 배터리(330), 스위치 회로(34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320)는 가속 페달(미도시)이 가압되었음을 감지하면 스위치 회로(340)가 배터리(330)의 전력을 모터(350)로 공급하는 형태로 회로를 구성하도록 제어하여 차량이 가속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320)가 위치 센서(310)로부터 제1페달(100)이 후퇴되었음을 감지하면, 모터(350)가 발전기로 기능하도록 스위치 회로(340)를 제어함으로써 배터리(330)가 충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모터(350)가 바퀴(W)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330)를 충전시키는 과정에서 차량은 제동력을 받게 된다.The controller 320 controls the position sensor 310, the motor 350, the battery 330, and the switch circuit 340, and may include a microprocessor. When the controller 320 senses that the accelerator pedal (not shown) is pressed, the controller 320 controls the switch circuit 340 to configure a circuit in a form in which power of the battery 330 is supplied to the motor 350 so that the vehicle is accelera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 unit 320 detects that the first pedal 100 has been retracted from the position sensor 310, the battery 330 is charged by controlling the switch circuit 340 so that the motor 350 functions as a generator. . As such, the vehicle receives the braking force while the motor 350 charges the battery 330 by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heel W. FIG.

마찰식 제동 수단(400)은 제2페달(200)이 제1페달(100)에 의해 가압되면 작동되며, 통상의 내연기관 차량에서 사용되는 마찰식 제동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찰식 제동 수단(400)은 브레이크 부스터(410), 마스터 실린더(420), 브레이크 디스크(440) 및 브레이크 캘리퍼(430)를 구비한다. 브레이크 부스터(410), 마스터 실린더(420), 브레이크 디스크(440) 및 브레이크 캘리퍼(430)는 차량에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잘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이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들의 기능을 위주로 간략하게 설명한다. The friction braking means 400 is operated when the second pedal 200 is pressed by the first pedal 100 and may be made of friction braking means used in a conventional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In this embodiment, the friction braking means 400 includes a brake booster 410, a master cylinder 420, a brake disc 440, and a brake caliper 430. Since the brake booster 410, the master cylinder 420, the brake disc 440, and the brake caliper 430 are well known as being widely used in a vehicl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and briefly focused on their functions. Explain.

브레이크 부스터(410)는 제2페달(200)의 후방에 배치된 푸시 로드(220)에 의해서 작동되며, 제2페달(200)에 작용하는 가압력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브레이크 부스터(410)는 내부에 탄성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2페달(20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The brake booster 410 is operated by the push rod 220 disposed behind the second pedal 200 and amplifies the pressing force acting on the second pedal 200. Since the brake booster 41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ans therein, it may also serve to elastically support the second pedal 200.

브레이크 부스터(410)에 의해서 증폭된 제2페달(200)의 가압력은 마스터 실린더(420)에 의해서 유압으로 전환된다. 마스터 실린더(420)에서 발생된 유압은 브레이크 캘리퍼(430)를 작동시켜 브레이크 패드(435)와 브레이크 디스크(440)가 서로 접촉되게 한다. 브레이크 패드(435)와 브레이크 디스크(440)가 접촉되면, 브레이크 패드(435)와 브레이크 디스크(440) 사이의 마찰력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서 차량은 제동력을 받게 된다. 이 과정에서 차량의 운동 에너지는 브레이크 패드(435)와 브레이크 디스크(440) 사이의 마찰에 의해 열 에너지(E2) 형태로 외부로 방출된다. The pressing force of the second pedal 200 amplified by the brake booster 410 is converted into hydraulic pressure by the master cylinder 420. Hydraulic pressure generated in the master cylinder 420 operates the brake caliper 430 to bring the brake pad 435 and the brake disk 440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brake pad 435 is in contact with the brake disc 440, a friction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brake pad 435 and the brake disc 440, thereby causing the vehicle to receive a braking force. In this process, the kinetic energy of the vehicle is released to the outside in the form of thermal energy E2 by friction between the brake pad 435 and the brake disk 440.

한편, 사용자가 제1페달(100)에서 발을 떼면 제1페달(100) 및 제2페달(200)은 탄성 복원력을 받아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므로, 브레이크 패드(435)와 브레이크 디스크(440) 간의 접촉이 해제되고 차량에 작용하는 제동력도 소멸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releases the foot from the first pedal 100, the first pedal 100 and the second pedal 20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by receiving the elastic restoring force, between the brake pad 435 and the brake disc 440. The contact is released and the braking force acting on the vehicle is also lost.

이하 본 실시예의 듀얼 제동 장치(1)의 작동 방법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method and effects of the dual braking devic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2는 도 1의 듀얼 제동 장치(1)의 일부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회생 제동만 이루어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some operating states of the dual braking device 1 of FIG. 1, and more specifically, a state in which only regenerative braking is perform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제1페달(100)을 살짝 밟으면, 제1페달(100)은 후퇴되지만, 제2페달(200)은 제자리에 머물러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driver slightly presses the first pedal 100, the first pedal 100 is retracted, but the second pedal 200 remains in place.

제1페달(100)이 후퇴되면 제어부(320)는 위치 센서(310)로부터 제1페달(100)이 눌려진 각도 정보를 수신받아 제동력을 산출하고 이에 따라 스위치 회로(340)를 제어하여 회생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모터(350)가 발전기의 기능을 수행할 경우에 차량의 운동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면서 차량은 제동된다. 한편 제2페달(200)은 제자리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마찰식 제동 수단(400)은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When the first pedal 100 is retracted, the control unit 320 receives the angle information from which the first pedal 100 is pressed from the position sensor 310, calculates a braking force, and controls the switch circuit 340 accordingly so that regenerative braking is performed. To be done. As such, when the motor 350 performs the function of a generator, the vehicle is braked as the kinetic energy of the vehicle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Meanwhile, since the second pedal 200 is kept in place, the friction braking means 400 is not operated.

상술한 바와 같이 마찰식 제동 수단(400)은 작동하지 않은 채 회생 제동 수단(300)만이 작동되면, 차량의 운동 에너지는 마찰열로 손실되지 않고 배터리(330)를 충전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배터리(330)에 충전된 회생 에너지는 다시 차량을 가속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을 효과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generative braking means 300 is operated without the friction braking means 400 being operated, the kinetic energy of the vehicle can be used to charge the battery 330 without losing the frictional heat. The regenerative energy charged in the battery 330 can be used to accelerate the vehicle again, effectivel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energy use.

도 3은 본 실시예의 듀얼 제동 장치(1)의 다른 일부의 작동 상태, 더욱 구체적으로 회생 제동 수단(300)과 마찰식 제동 수단(400)이 함께 작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3 schematically shows the operating state of another part of the dual braking devic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more specifically, the regenerative braking means 300 and the friction braking means 400 operate together.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제1페달(100)을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깊게 밟으면, 제1페달(100)이 제2페달(200)을 가압하면서 후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페달(100)과 제2페달(200)이 함께 가압되면 회생 제동 수단(300) 및 마찰식 제동 수단(400)이 함께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운동 에너지의 일부는 전기 에너지의 형태로 배터리(330)에 충전되고, 차량의 운동 에너지의 다른 일부는 열 에너지의 형태로 소산된다. As shown in FIG. 3, when the driver presses the first pedal 100 deeper than a predetermined depth, the first pedal 100 retreats while pressing the second pedal 200. As such, when the first pedal 100 and the second pedal 200 are pressed together, the regenerative braking means 300 and the friction braking means 400 operate together. Thus, some of the kinetic energy of the vehicle is charged to the battery 330 in the form of electrical energy, and another portion of the kinetic energy of the vehicle is dissipated in the form of thermal energy.

이와 같이 운전자가 제1페달(100)을 깊숙이 밟으면, 제1페달(100) 및 제2페달(200)이 모두 후퇴하여 회생 제동 및 마찰식 제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차량은 강한 제동력을 받아 급격하게 감속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제1페달(100)을 깊숙이 밟음으로써 급격한 제동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When the driver presses the first pedal 100 deeply as described above, both the first pedal 100 and the second pedal 200 retreat to simultaneously perform regenerative braking and friction braking, and thus the vehicle is suddenly subjected to a strong braking force. Slows down. Therefore, the driver can cope effectively in a situation in which rapid braking is required by stepping deeply on the first pedal 100.

또한 회생 제동 수단(300)은 전기적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기계적으로 구현되는 마찰식 제동 수단(400)에 비해서 오작동의 우려가 비교적 높다고 인식되고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제동 장치(1)에 의하면 회생 제동 수단(300)이 오작동을 일으키더라도 마찰식 브레이크가 대신해서 제동력을 발생시키므로 회생 제동 수단(300)의 오작동에도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egenerative braking means 300 is electrically implemented, it is recognized that there is a relatively high risk of malfunction compared to the mechanically implemented friction braking means 400. According to the dual brak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f the braking means 300 malfunctions, the friction type brake generates a braking force instead, so that the braking means 300 can safely cope with the malfunction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eans 30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제동 장치(1)에 의하면, 급격한 제동이 요구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회생 제동만을 사용하여 에너지를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급제동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회생 제동과 마찰식 제동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충분한 제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회생 제동 수단(300)의 오작동에 의한 안전성 및 신뢰성에 대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ual brak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 situation in which rapid braking is not required, only the regenerative braking can be used to increase energy use efficiency, and in a situation where rapid braking is required, regenerative braking and friction The use of the formula braking together has the advantage of ensuring sufficient braking for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eliminate the problem of safety and reliability due to malfunction of the regenerative braking means (300).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제동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a dual bra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제동 장치의 일부, 더욱 구체적으로는 듀얼 제동 장치(1)의 제1페달(100) 및 제2페달(200)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4 to 6 schematically show a part of the dual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the first pedal 100 and the second pedal 200 part of the dual braking device 1. One drawing.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듀얼 제동 장치(2)도 도 1의 듀얼 제동 장치(1)와 마찬가지로, 제1페달(100), 제2페달(200), 회생 제동 수단(300) 및 마찰식 제동 수단(400)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dual braking device 2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similar to the dual braking device 1 of FIG. 1, and the first pedal 100, the second pedal 200, the regenerative braking means 300, and the friction type are as follows. Braking means 400 is provided.

제1페달(100)은 페달 지지부(10)의 상측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소위 오르간 타입의 페달이다. 제1페달(100)은 운전자가 발로 가압하지 않으면 제자리로 돌아올 수 있도록 탄성 수단(미도시)에 의해서 탄성 지지된다. 제1페달(100)의 후면에는 접촉 블록(150)이 배치되는데, 접촉 블록(150)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152)를 구비한다. The first pedal 100 is a pedal of a so-called organ type, rotatably coupled back and forth to the upper side of the pedal support 10. The first pedal 10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means (not shown) so that the driver can return to the position unless the driver presses with his foot. A contact block 15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pedal 100, and the contact block 150 includes a plurality of rollers 152 rotatably disposed.

제2페달(200)은 제1페달(100)의 이동 경로 상의 후방 측에 배치되며, 페달 지지부(10)의 상측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제1페달(100)을 가압하여 소정의 위치 이상으로 후퇴시키면, 제1페달(100)이 제2페달(200)을 가압하면서 제1페달(100)과 제2페달(200)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된다. The second pedal 200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n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pedal 100 and is rotatably coupled back and forth to the upper side of the pedal support 10. Therefore, when the driver presses the first pedal 100 and retreat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r more, the first pedal 100 and the second pedal 200 are pressed while the first pedal 100 presses the second pedal 200. Are moved backwards together.

제2페달(200)이 제1페달(100)에 의해서 가압될 때, 제1페달(100)의 후방에 배치된 접촉 블록(150)의 롤러(152)가 제2페달(200)과 접촉되는데, 접촉 블록(150)의 롤러(152)는 제1페달(100)과 제2페달(200)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제1페달(100)이 제2페달(200)을 원활하게 후방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second pedal 200 is pressed by the first pedal 100, the roller 152 of the contact block 150 disposed behind the first pedal 100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pedal 200. The roller 152 of the contact block 150 reduces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first pedal 100 and the second pedal 200 so that the first pedal 100 smoothly presses the second pedal 200 backwards. Do it.

회생 제동 수단(300)은 도 1의 듀얼 제동 장치(1)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페달(100)이 후퇴되면 작동하며, 차량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킴으로써 차량을 제동시킨다. 회생 제동 수단(3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As in the dual braking device 1 of FIG. 1, the regenerative braking means 300 operates when the first pedal 100 is retracted and brakes the vehicle by convert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vehicle into electrical energy. Since the regenerative braking means 300 is as described above, a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마찰식 제동 수단(400)은 도 1의 듀얼 제동 장치(1)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페달(200)이 후퇴되면 작동되며 차량의 운동 에너지를 열 에너지 형태로 방출함으로써 차량을 제동시킨다. 마찰식 제동 수단(4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As in the dual braking device 1 of FIG. 1, the friction braking means 400 operates when the second pedal 200 is retracted and brakes the vehicle by releas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vehicle in the form of thermal energy. Since the friction braking means 400 is as described above,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5는 제1페달(100)만이 원위치에서 후퇴되고 제2페달(200)은 제자리에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페달(100)만 후퇴되고 제2페달(200)은 제자리에 있는 경우, 마찰식 제동 수단(400)은 작동하지 않고 회생 제동 수단(300)만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생 제동 수단(300)이 작동되면 차량의 운동 에너지는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어 축적됨은 전술한 도 1의 듀얼 제동 장치(1)에서와 설명한 바와 같다. 5 schematically shows a state in which only the first pedal 100 is retracted from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second pedal 200 is in place. As shown in FIG. 5, when only the first pedal 100 is retracted and the second pedal 200 is in place, the friction braking means 400 does not operate but only the regenerative braking means 300 operate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generative braking means 300 is operated, the kinetic energy of the vehicle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and accumulates as described above with the dual braking device 1 of FIG. 1.

도 6은 운전자가 제1페달(100)을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밟아서 제1페달(100)과 제2페달(200)이 함께 후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FIG. 6 schematically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first pedal 100 and the second pedal 200 are retracted together by the driver stepping on the first pedal 100 above a predetermined depth.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페달(100)과 제2페달(200)이 함께 후퇴되면 회생 제동 수단(300) 및 마찰식 제동 수단(400)이 함께 작동하면서 제동력을 배가시키므로, 강한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회생 제동 수단(300)이 오작동을 일으킬 가능성에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은 전술한 도 1의 듀얼 제동 장치(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first pedal 100 and the second pedal 200 retreat together, the regenerative braking means 300 and the friction braking means 400 operate together to double the braking force, thus providing a strong braking force. Can be obtained. In addition, the regenerative braking means 300 can effectively cope with the possibility of causing a malfunc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dual braking device 1 of FIG. 1.

이상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가 가능하다. While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회생 제동 수단(300)이 차량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적 형태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회생 제동 수단(300)은 차량의 운동 에너지를 다른 기계적 에너지 또는 공압의 형태로 변경시켜 축적하는 것일 수도 있다. 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regenerative braking means 300 converts the kinetic energy of the vehicle into an electrical form, but the regenerative braking means 300 changes the kinetic energy of the vehicle into another mechanical energy or pneumatic type. It may be to accumulate.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마찰식 제동 수단(400)이 디스크 브레이크 형식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마찰식 제동 수단(400)은 이와는 달리 드럼 브레이크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riction braking means 400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a disc brake type, but the friction braking means 400 may be made of a drum brake type.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마찰식 제동 수단(400)이 유압식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기계식 또는 공압식일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riction braking means 40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hydraulic. Alternatively, the frictional braking means 400 may be mechanical or pneumatic.

또한 상기 실시예의 듀얼 제동 장치(1,2)는 하이브리드 차량 또는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제동 장치(1,2)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운송 수단이면 어떠한 것에도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ual braking device (1, 2) of the above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s being applied to a hybrid vehicle or an electric vehicle, the dual braking device (1,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y vehicle as long as it is driven by electric energy May also be applied.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페달(100) 및 제2페달(200)을 사용자가 발로 밟아 가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페달(100) 및 제2페달(200)은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pedal 100 and the second pedal 200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pressed by the user by the foot, but the first pedal 100 and the second pedal 200 can be manipulated by the user by hand. It may be appropriately arranged to be.

이외에도 본 발명의 듀얼 제동 장치(1,2)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dual braking devices 1 and 2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1,2 ... 듀얼 제동 장치
100 ... 제1페달
200 ... 제2페달
300 ... 회생 제동 수단
400 ... 마찰식 제동 수단
1,2 ... dual braking system
100 ... First Pedal
200 ... second pedal
300 ... regenerative braking means
400 ... friction braking means

Claims (3)

가압에 의해서 이동되는 제1페달과,
상기 제1페달이 소정의 위치를 지나면 상기 제1페달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되는 제2페달과,
상기 제1페달이 가압에 의해 이동되면 작동되는 회생 제동 수단과,
상기 제2페달이 상기 제1페달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되면 작동되는 마찰식 제동 수단을 구비하는 듀얼 제동 장치.
A first pedal moved by pressurization,
A second pedal pressurized and moved by the first pedal when the first pedal passes a predetermined position;
Regenerative braking means which is activated when the first pedal is moved by pressing;
Dual braking device having a friction braking means that is activated when the second pedal is pressed and moved by the first ped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페달은,
상기 제1페달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페달이 상기 소정의 위치를 지나면 상기 제1페달에 의해서 가압되며 함께 이동되는 듀얼 제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pedal,
The dual braking device is dispos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pedal, the first pedal is pressed by the first pedal and moved together when passing the predetermined position.
제1항 또는 제2항의 상기 듀얼 제동 장치를 구비한 차량.A vehicle provided with the dual braking device of claim 1.
KR1020110029858A 2011-03-31 2011-03-31 Dual brake system and vehicle compring the same KR2012011140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858A KR20120111407A (en) 2011-03-31 2011-03-31 Dual brake system and vehicle comp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858A KR20120111407A (en) 2011-03-31 2011-03-31 Dual brake system and vehicle compr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407A true KR20120111407A (en) 2012-10-10

Family

ID=47282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858A KR20120111407A (en) 2011-03-31 2011-03-31 Dual brake system and vehicle comp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140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29915B (en) Regenerative braking system
US9434362B2 (en)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regenerative braking
CN101954910B (en) Operating device for a cruise control system in a vehicle with regenerative braking capability
JP5960461B2 (en) Brake device
JP2013258905A (en)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braking of vehicle including at least one electric motor
JP2008201391A (en) Forward/backward movement switching device of electric drive type cargo handling vehicle
CN102145687A (en) Method for operation of braking system of hybrid vehicle, braking system and vehicle
KR101482270B1 (en) Electro Mechanical Brake System having gear engaging typed electro parking braking force
JP5807805B2 (en) Vehicle regenerative brake control device
KR101263157B1 (en) regenerative braking system
KR100857643B1 (en) Hydraulic control method for regenerating brake force of vehicle
KR101294126B1 (en) Regenerative braking system
KR20120111407A (en) Dual brake system and vehicle compring the same
JP6124123B2 (en) Regenerative brake control system
CN110072745B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motor vehicle
JP5328419B2 (en) Brake device for vehicle
KR102227541B1 (en) An Electric Vehicle with Simply Operated Brake
KR100887842B1 (en) Regenerative device for braking force of hybrid vehicle
KR100921129B1 (en) Method for control regenerative braking of electric vehicle
KR20110127848A (en) Power generating brakes
CN110962812B (en) Brak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090064148A (en) Single motor typed electric wedge brake system
JP2024029917A (en) Evacuation travel control device
EP3848228A1 (en) Electric car capable of adjusting sound
US20080315681A1 (en) Energy Recovery in Hybrid Vehicles Having a Conventional Hydraulic or Pneumatic Brak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