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253A - 수산기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수산기 발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11253A KR20120111253A KR1020110029647A KR20110029647A KR20120111253A KR 20120111253 A KR20120111253 A KR 20120111253A KR 1020110029647 A KR1020110029647 A KR 1020110029647A KR 20110029647 A KR20110029647 A KR 20110029647A KR 20120111253 A KR20120111253 A KR 201201112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zone
- hydroxyl
- water
- housing
- electro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Abstract
수산기 발생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수산기 발생장치는 오존이 용존된 물 분자를 가압하여 토출시키면서 미세하게 분쇄하므로, 많은 양의 수산기가 물속에 생성된다. 따라서, 10ppm의 용존 오존수 보다 월등한 살균 및 소독의 효과가 있으므로, 효율이 우수하다. 그리고, 물속에 용존된 수산기는 소정 시간 경과 후, 물로 환원되므로 친환경적이다. 그리고, 배출되는 물에는 수산기만 용존되어 있고, 오존은 정화부에서 산소로 변화되어 배출되므로, 냄새가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산기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존(O3)은 강력한 살균력과 유해물질에 대한 분해 능력을 가지고 있을뿐만 아니라, 유해물질과 반응한 후 유해한 2차 부산물을 남기지 않고 바로 산소로 환원되므로 살균 또는 표백 등과 같은 친환경적인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오존은 쉽게 산소로 환원되므로 저장하여 사용하는 것이 대단히 어렵다. 그리고, 공기중 또는 물속에 존재하는 오존의 농도가 소정 이상되면, 호흡기 계통에 악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균일한 농도를 가진 오존을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미비하고, 오존의 유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요구되는 비용 등의 문제로 인하여 오존을 이용한 살균장치가 널리 보급되기 어렵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오존보다 산화력이 더욱 강력하지만 인체에는 무해한 수산기(OH-Radical 또는 Hydroxyl Radical)를 이용한 살균장치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행중이다.
일반적인 수산기를 이용한 살균 및 소독 장치는 기체상태에서 발생된 오존을 물속에 용존시키고, 오존과 물의 반응에서 발생되는 수산기로 살균 및 소독한다. 그런데, 상기 장치는 고농도의 오존 용존수를 제조하기가 어려우므로,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산기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산기 발생장치는, 유입되는 물을 자화하여 활성화시키는 자화부(磁化部); 상기 자화부에서 배출되는 물과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존(O3)을 혼합하여 배출하는 혼합부; 오존을 발생시켜 상기 혼합부를 공급하는 오존발생부; 상기 혼합부에서 배출되는 오존이 용존된 물을 소정 압력으로 상승시켜 배출하면서 분쇄하여 물속에 수산기(OH-Radical)를 생성하는 수산기 발생부; 상기 수산기 발생부에서 배출되는 수산기가 용존된 물과 물에 용존되지 않은 오존을 전달받아 수산기 용존수와 오존으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기액 분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산기 발생장치는 오존(O3)이 용존된 물 분자를 가압하여 토출시키면서 미세하게 분쇄하므로, 많은 양의 수산기가 물속에 생성된다. 따라서, 10ppm의 용존 오존수 보다 월등한 살균 및 소독의 효과가 있으므로, 효율이 우수하다.
그리고, 물속에 용존된 수산기는 소정 시간 경과 후, 물로 환원되므로 친환경적이다.
그리고, 배출되는 물에는 수산기만 용존되어 있고, 오존은 정화부에서 산소로 변화되어 배출되므로, 냄새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기 발생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산기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화부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혼합부의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오존발생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오존발생부의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외부관의 정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수산기 발생부의 단면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기액 분리부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산기 발생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수산기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산기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화부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혼합부의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오존발생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오존발생부의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외부관의 정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수산기 발생부의 단면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기액 분리부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산기 발생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수산기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기 발생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기 발생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산기 발생장치(100)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산기 발생장치(100)는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커버(미도시)를 포함하는 함체(110)를 가지고, 함체(110)의 내부에는 수산기(OH-Radical 또는 Hydroxyl Radical)를 발생하는 부품들이 설치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단부측은 수원(水源)측과 연통되고, 후단부측은 사용처측과 연통된 공급관(121)이 마련된다. 공급관(121)의 중간 부위에는 물을 자화하여 활성화시키는 자화부(磁化部)(130)가 설치된다.
활성화된 물은 혼합부(140)로 유입되어 오존(O3)과 혼합된다. 혼합부(140)로는 물과 오존발생부(150)에서 발생된 오존이 유입되며, 물과 오존은 상호 혼합되어 혼합부(14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물이 활성화되었으므로, 물에 오존이 잘 혼합된다.
오존이 용존된 물은 제 1 펌프(161)로 유입되어 1Kpa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되어 토출된다.
수산기는 물(H-O-H)분자가 어떤 높고 강력한 에너지에 의해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수소원자(H+) 하나가 떨어지면서 발생한다. 따라서, 물이 높은 압력으로 토출되면 더욱 많은 수산기가 생성된다. 그리고, 수산기는 오존 분자가 물 분자와 만나면서 발생한다. 따라서, 물속에 많은 오존이 용존되어 있으면, 더욱 많은 수산기가 생성된다. 수산기는 탄화수소계열의 오염물질과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산화반응을 일으키면 산소(O2)로 변한다.
제 1 펌프(161)에서 토출되는 오존이 용존된 물은 수산기 발생부(170)로 유입된다. 제 1 펌프(161)에서 배출되는 오존이 용존된 물은 수산기 발생부(170)의 내부에서 부딪히며, 이로인해 물속에 수산기(OH-Radical)가 생성된다.
수산기 발생부(170)의 내부에는 물에 용존되지 않고 잔존하는 오존이 존재할 수 있다. 수산기 발생부(170)는 비중차에 의하여 상승하는 오존을 혼합부(140)로 재투입한다. 수산기 발생부(170)는 물을 가압하여 배출하기 위한 제 2 펌프(179)를 구비할 수 도 있다.
수산기 발생부(170)에서 함께 배출되는 물에는 수산기가 용존되어 있다. 그리고, 수산기 발생부(170)에서는 수산기가 용존된 물과 함께 용존되지 않고 잔존하는 오존이 배출될 수 있다.
수산기 발생부(170)에서 함께 배출되는 수산기가 용존된 물과 오존은 액체와 기체를 분리하는 기액 분리부(180)로 유입된다. 기액 분리부(180)는 비중차에 의하여 기체인 오존과 액체인 수산기가 용존된 물을 분리한다. 비중차에 의하여 오존과 수산기가 용존된 물을 분리할 수 있도록, 기액 분리부(180)의 하측 부위는 사용처와 연통되고, 상측 부위는 정화부(190)와 연통된다.
사용처로 배출되는 수산기가 용존된 물은 사용된 후 물로 변화되고, 정화부(190)로 유입되는 오존은 인체에 무해한 산소(O2)로 변화되어 배출된다. 정화부(190)는 금속 활성탄 필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화부(13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화부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화부(130)는 공급관(121)의 내부에 설치된 마그네트(131)와 초음파발생기(미도시)로 마련된다. 상기 초음파발생기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공급관(121)을 통하여 마그네트(131)에 조사하면, 물이 자화되어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물과 오존을 혼합시키는 혼합부(14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혼합부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부(140)는 중앙부측의 직경이 좌우측 부위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된 벤투리관(Venturi Pipe)(141)으로 마련된다.
벤투리관(141)의 좌단부측은 자화부(130)측과 연통되고, 우단부측은 제 1 펌프(161)측과 연통된다. 그리고, 벤투리관(141)의 직경이 작은 부위에 오존이 투입되는 투입공(142)이 형성된다. 혼합부(140)의 좌단부측으로 유입되는 활성화된 물은 오존발생부(150)에서 발생되어 투입공(142)으로 투입되는 오존과 혼합되어, 혼합부(140)의 우단부측으로 배출된다.
도 4의 미설명부호 144는 오존발생기(150)와 투입공(142) 사이에 마련되어 오존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밸브이다.
오존발생부(17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2 및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오존발생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오존발생부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외부관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존발생부(150)는 관 형태로 마련되어 동심을 이루면서 배치된 제 1 전극(151)과 제 2 전극(152)을 가진다.
제 1 전극(151)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세라믹이 코팅된다. 제 1 전극(151)의 내부로는 공기가 통과하며, 공기에 의하여 제 1 전극(151)이 냉각된다.
제 2 전극(152)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며, 제 1 전극(151)의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제 1 전극(151)의 외주면을 감싼다. 제 1 전극(151)의 외주면과 제 2 전극(152)의 내주면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이 오존을 발생하기 위한 방전공간(153)이다.
방전공간(153)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제 1 전극(151)의 우측 단부측 외주면과 제 2 전극(152)의 우측 단부측 내주면 사이 및 제 1 전극(151)의 좌측 단부측 외주면과 제 2 전극(152)의 좌측 단부측 내주면 사이에는 테프론(Teflon)으로 형성된 절연 지지부재(154)가 각각 개재된다. 절연 지지부재(154)에 의하여 제 1 전극(151)과 제 2 전극(152)이 상호 유동하지 않고, 상호 고정된다.
절연 지지부재(154)에는 방전공간(153)의 내외측을 연통시키는 연통공(154a)이 각각 복수개 형성된다. 우측의 절연 지지부재(154)의 연통공(154a)을 통하여 방전공간(153)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 1 및 제 2 전극(151,152)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방전되어 오존을 발생하고, 발생된 오존은 좌측의 절연 지지부재(154)의 연통공(154a)을 통하여 혼합부(140)측으로 배출된다.
제 1 및 제 2 전극(151,152)은 모두 관 형태로 마련되어 동심을 이루면서 배치된다. 따라서, 제 1 전극(151)과 제 2 전극(152)의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으므로, 방전을 발생하는 영역이 상대적으로 넓다. 따라서, 오존발생 효율이 향상된다.
제 2 전극(152)의 외측에는 제 1 및 제 2 전극(151,152)과 동심을 이루는 관 형태의 외부관(155)이 설치된다. 외부관(155)은 제 2 전극(152)의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제 2 전극(152)의 외주면을 감싸서 지지한다. 제 2 전극(152)의 외주면과 외부관(155)의 내주면은 간격을 가진다.
외부관(155)의 내주면에는 제 2 전극(152)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제 2 전극(152)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테(155a)가 형성된다. 지지테(155a)에 의하여 제 2 전극(152)이 외부관(155)의 내부에서 유동하지 않고 고정된다.
각 지지테(155a)에는 복수의 관통공(155b)이 형성된다. 관통공(155b)은 제 2 전극(152)과 외부관(155) 사이로 공기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한다. 제 2 전극(152)은 제 2 전극(152)과 외부관(155)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하여 냉각된다.
외부관(155)의 우측 단면에는 수용관(156)이 결합되고, 수용관(156)의 내부에는 지지리브(156a)가 형성된다. 그리고, 수용관(156)의 내부에는 냉각팬(157)이 설치되고, 냉각팬(157)은 지지리브(156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냉각팬(157)은 모터 등과 같은 동력발생수단(미도시)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공기를 제 1 전극(151)의 내부 및 제 2 전극(152)과 외부관(155) 사이로 유입시킨다.
제 1 전극(151)과 제 2 전극(152)이 공기에 의하여 모두 냉각되므로, 냉각효율이 우수하다. 따라서, 오존발생 효율이 향상된다.
공기가 제 1 전극(151)의 내부 및 제 2 전극(152)과 외부관(155) 사이의 간격으로 최대한 유입될 수 있도록, 냉각팬(157)과 제 1 전극(151)의 우측 단면 사이의 거리 및 냉각팬(157)과 제 2 전극(152)의 우측 단면 사이의 거리는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기 발생부(17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2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산기 발생부(170)는 제 1 외부하우징(172)과 제 1 외부하우징(172)의 내부에 설치된 제 2 내부하우징(173)을 가지는 제 1 수산기 발생부(171)를 포함한다. 제 1 외부하우징(172)과 제 1 내부하우징(173)은 길이방향이 상하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제 1 내부하우징(173)의 하측 부위는 제 1 펌프(161)측과 연통되고 상면에는 제 1 내부토출공(173a)이 형성된다. 제 1 내부토출공(173a)으로는 제 1 펌프(161)측에 유입된 오존이 용존된 물이 토출된다. 오존이 용존된 물이 소정 이상의 압력으로 미세한 제 1 내부토출공(173a)을 통하여 토출되면, 물이 미세하게 분쇄되어 제 1 외부하우징(172)으로 유입된다. 이로인해, 물 분자에서 수소 원자 하나가 떨어지면서 수산기가 생성되고, 산소 분자와 오존 분자가 만나서 수산기가 생성된다. 물이 미세하게 분쇄되므로, 오존 분자의 만나는 산소 분자의 수가 많아진다.
제 1 수산기 발생부(171)는 필요에 따라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호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제 1 수산기 발생부(171)의 제 1 외부하우징(172)의 하측 부위와 다른 하나의 제 1 수산기 발생부(171)의 제 1 내부하우징(173)의 하측 부위가 상호 연통된다.
제 1 외부하우징(172)의 상측 부위에는 배출공(172a)이 형성된다. 물에 용존되지 않고 비중차에 의하여 제 1 외부하우징(172)의 상측으로 상승한 오존은 배출공(172a)을 통하여 혼합부(140)로 재투입된다.
최후단에 위치된 제 1 수산기 발생부(171)의 제 1 외부하우징(172)의 하측 부위는 제 2 펌프(179)측과 연통된다. 제 1 수산기 발생부(171)에서 배출되는 수산기가 용존된 물은 제 2 펌프(179)에 가압되어 1Kpa의 압력으로 제 2 수산기 발생부(175)로 유입된다.
제 2 수산기 발생부(175)는 제 2 외부하우징(176), 제 2 외부하우징(176)의 내부에 설치된 제 2 내부하우징(177), 제 2 외부하우징(176)과 제 2 내부하우징(177) 사이에 마련된 중간하우징(178)을 가진다. 중간하우징(178)은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제 2 펌프(179)에서 토출된 수산기가 용존된 물은 제 2 수산기 발생부(175)의 제 2 내부하우징(177)으로 유입되어 제 2 내부토출공(177a)을 통하여 제 2 중간하우징(178)으로 유입되며, 제 2 중간하우징(178)으로 유입된 수산기가 용존된 물은 중간토출공(178a)을 통하여 제 2 외부하우징(176)으로 유입된다.
제 2 수산기 발생부(175)의 제 2 외부하우징(176)은 기액 분리부(180)측과 연통된다. 그런데, 제 2 외부하우징(176)에서 기액 분리부(180)로 유입된 수산기가 용존된 물에는 물속에 녹지 않은 오존이 함께 유입될 수 있다.
기액 분리부(18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2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기액 분리부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액 분리부(180)는 하우징(181)과 오존배출관(185)을 가진다. 하우징(181)은 외부하우징(182)과 외부하우징(182)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하우징(183)을 가지며, 비중차로 수산기가 용존된 물과 오존을 분리한다.
내부하우징(183)의 하면은 외부하우징(182)의 내부 하면에 지지 설치되고, 내부하우징(183)의 상면은 개방되어 외부하우징(182)의 상면과 간격을 가진다. 내부하우징(183)의 외면과 외부하우징(182)의 내면은 간격을 가지며, 내부하우징(183)의 하면은 제 2 수산기 발생부(175)측과 연통된다. 그리고, 외부하우징(182)의 상면은 오존배출관(185)과 연통되며, 외부하우징(182)의 측면 하부측은 공급관(121)과 연통된다.
수산기가 용존된 물과 오존이 제 2 수산기 발생부(175)를 통하여 내부하우징(183)으로 유입되면, 내부하우징(183)을 따라 상승한다. 이때, 내부하우징(183)을 따라 상승하는 수산기가 용존된 물은 비중에 의하여 내부하우징(183)의 상면 외측으로 넘쳐서 외부하우징(182)의 내부로 유입되고, 내부하우징(183)을 따라 상승하는 오존은 내부하우징(183)의 상면으로 올라간다.
그러므로, 외부하우징(182)으로 유입된 수산기가 용존된 물은 공급관(121)을 통하여 사용처로 배출되고, 외부하우징(182)의 상측으로 올라온 오존은 오존배출관(185)으로 유입된다.
오존배출관(185)으로 유입된 오존은 정화부(190)에서 산소로 환원되어 배출된다.
식품의약품 안전청의 규정에 의하면 용존 오존수의 농도가 1ppm 이면 살균 및 소독의 효과가 있고, 이때 용존 오존수의 전위차는 약 930mV이다. 그리고, 용존 오존수의 농도가 10ppm 이면 약 1000mV의 전위차가 생긴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따른 수산기 발생장치(100)에서 생성된 수산기 용존수의 전위차를 전위측정기로 측정하였을 때의 전위차는 1010mV?1020mV 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수산기 발생장치에 생성되는 수산기 용존수는 10ppm의 용존 오존수 보다 월등한 살균 및 소독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수산기 발생장치에서 발생된 수산기 용존수는 사용 후, 수산기가 물로 환원되므로 친환경적이다.
또한, 배출되는 물에는 수산기만 용존되어 있고, 오존은 정화부(190)에서 산소로 변화되어 배출되므로, 냄새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산기 발생장치(102)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상기 수산기 발생장치(102)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상기 수산기 발생장치(102)는 상술한 수산기 발생장치(100)와 동일하지만, 펌프의 배치가 상이하다. 상기 수산기 발생장치(102)에서는 제1펌프(161)와 제2펌프(179)를 생략하고, 상기 기액분리부(180)의 후단에 제3펌프(162)를 설치하였다.
최초 원수가 공급관(121)을 통해 공급될 때, 원수는 일반적으로 상수(上水)를 이용하므로 원수자체가 가지고 있는 압력이 있다. 따라서, 제1펌프(161) 및 제2펌프(179)가 없어도 물의 흐름은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오작동 등의 외란으로 인하여 제1펌프(161)와 제2펌프(179)의 배출압에 의해 용존수의 압력이 지나치게 커질 경우에는 오존배출관(185)으로 수산기 용존수가 밀려올려가 상기 정화부(190)에 수산기 용존수가 공급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결과, 기체상태의 물질만 입력되어야 하는 상기 정화부(190)가 손상되고, 기체와 액체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만일, 정화부(190)가 손상되는 경우에는 분리된 오존가스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아, 상기 공급관(121)으로 배출되는 용존수에 용존되지 않은 오존가스가 그대로 혼입하여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산기 발생장치(102)는 제1펌프(161)와 제2펌프(179)를 대신하여 상기 기액분리부(180)의 후단에 제3펌프(162)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기액분리부(180)에 부압을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결과, 상기 정화부(190)로 용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100,102: 수산기 발생장치
110 : 하우징 121 : 공급관
130 : 자화부 140 : 혼합부
150 : 오존발생부 170 : 수산기 발생부
180 : 기액 분리부 190 : 정화부
110 : 하우징 121 : 공급관
130 : 자화부 140 : 혼합부
150 : 오존발생부 170 : 수산기 발생부
180 : 기액 분리부 190 : 정화부
Claims (19)
- 유입되는 물을 자화하여 활성화시키는 자화부(磁化部);
상기 자화부에서 배출되는 물과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존(O3)을 혼합하여 배출하는 혼합부;
오존을 발생시켜 상기 혼합부를 공급하는 오존발생부;
상기 혼합부에서 배출되는 오존이 용존된 물을 소정 압력으로 상승시켜 배출하면서 분쇄하여 물속에 수산기(OH-Radical)를 생성하는 수산기 발생부;
상기 수산기 발생부에서 배출되는 수산기가 용존된 물과 물에 용존되지 않은 오존을 전달받아 수산기 용존수와 오존으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기액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기 발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분리부에서 배출되는 오존을 정화하여 배출하는 정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기 발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물속에 용존되지 않고 상기 수산기 발생부의 내부에 잔존하는 오존은 상기 혼합부로 재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기 발생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부는 일단부측은 수원(水源)측과 연통되어 물을 공급받고 타단부측은 사용처측과 연통되어 수산기가 용존된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의 일측 내주면에 설치된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로 초음파를 조사하는 초음파발생기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기 발생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일단부측은 상기 자화부측과 연통되고 타단부측은 상기 상기 수산기 발생부와 연통된 벤투리관(Venturi Pipi)으로 마련되고,
직경이 작은 상기 벤투리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오존발생부에서 발생된 오존이 투입되는 투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기 발생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발생부는,
관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로 공기가 통과하는 제 1 전극;
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전극의 외주면을 감싸고, 내주면이 상기 제 1 전극의 외주면과 간격을 가지면서 방전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전극;
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전극의 외주면을 감싸서 지지하고, 내주면이 상기 제 2 전극의 외주면과 간격을 가지며, 내주면과 상기 제 2 전극의 외주면의 사이로 공기가 통과하는 외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기 발생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의 일단면(一端面)측에는 상기 제 1 전극의 내부 및 상기 제 2 전극과 상기 외부관의 사이로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을 냉각시키는 냉각팬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기 발생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의 일단부측 외주면과 상기 제 2 전극의 일단부측 내주면 사이 및 상기 제 1 전극의 타단부측 외주면과 상기 제 2 전극의 타단부측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방전공간을 형성하는 절연 지지부재가 각각 개재되고,
상기 절연 지지부재에는 상기 방전공간의 내외측을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각각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기 발생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세라믹이 코팅되고,
상기 제 2 전극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기 발생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 2 전극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 2 전극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테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테에는 상기 냉각팬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 2 전극과 상기 외부관 사이로 유입되어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복수의 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기 발생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 발생부는 제 1 외부하우징, 상기 제 1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제 1 내부하우징을 가지는 제 1 수산기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부하우징은 일측은 상기 혼합부와 연통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 1 외부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된 제 1 내부토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외부하우징에는 수산기가 용존된 물에 용존되지 않고 잔존하는 오존을 상기 혼합부의 투입공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기 발생부.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산기 발생부는 복수개 마련되고,
상호 인접하는 어느 하나의 제 1 수산기 발생부의 제 1 외부하우징과 다른 하나의 제 1 수산기 발생부의 제 1 내부하우징은 상호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기 발생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 발생부는 제 2 외부하우징, 상기 제 2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제 2 내부하우징, 상기 제 2 외부하우징과 상기 제 2 내부하우징 사이에 설치된 중간하우징을 가지는 제 2 수산기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기 발생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부하우징의 타측에는 수산기가 용존된 물을 상기 중간하우징으로 토출하기 위한 제 2 내부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하우징에는 상기 중간하우징으로 유입된 수산기가 용존된 물을 제 2 외부하우징으로 토출하기 위한 중간토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외부하우징은 상기 기액 분리부측과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기 발생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분리부는 외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하면이 지지 설치된 내부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내부하우징은 하부측은 제 2 수산기 발생부측과 연통되고, 상기 내부하우징으로 유입된 수산기가 용존된 물은 상기 내부하우징의 상면을 넘쳐서 상기 외부하우징으로 측면 하부측을 통하여 사용처로 공급되며,
수산기가 용존된 물과 함께 상기 내부하우징으로 유입된 오존은 상기 내부하우징의 상측으로 상승하여 상기 외부하우징의 상면을 통하여 상기 정화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기 발생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분리부는 일측은 상기 외부하우징의 상면과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정화부와 연통된 오존배출관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기 발생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산기 발생부와 상기 제 2 수산기 발생부 사이에는 제 2 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펌프의 일측은 최후단에 위치된 상기 제 1 수산기 발생장치의 제 1 외부하우징과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제 2 수산기 발생장치의 제 2 내부하우징의 일측과 연통되어 수산기가 용존된 물을 가압하여 상기 제 2 내부하우징으로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기 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와 상기 수산기 발생부 사이에는 오존이 용존된 물을 가압하여 상기 수산기 발생부로 유입시키는 제 1 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기 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부의 후단에 제3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기 발생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9647A KR101321565B1 (ko) | 2011-03-31 | 2011-03-31 | 수산기 발생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9647A KR101321565B1 (ko) | 2011-03-31 | 2011-03-31 | 수산기 발생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1253A true KR20120111253A (ko) | 2012-10-10 |
KR101321565B1 KR101321565B1 (ko) | 2013-10-23 |
Family
ID=47281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9647A KR101321565B1 (ko) | 2011-03-31 | 2011-03-31 | 수산기 발생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2156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99280A (ko) * | 2015-02-12 | 2016-08-22 |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 공기 정화 장치 |
KR20180120453A (ko) * | 2017-04-27 | 2018-11-06 | (주)진진이앤티 | 플라즈마 살균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2514B1 (ko) * | 2014-09-11 | 2015-10-26 | (주)성아환경건설산업 | 수산기 생성 장치 |
CN111003960B (zh) * | 2019-10-31 | 2022-08-30 | 东莞市龙汇装饰建材有限公司 | 一种高活性海砂淡化脱氯剂制备装置及其方法 |
KR102237386B1 (ko) | 2020-12-23 | 2021-04-07 | 주식회사 인포바이오 | 수산기가 용존된 용암해수를 포함하는 악취제거용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1244A (ko) * | 1996-10-09 | 1997-01-21 | 오현제 | 자석과 오존을 이용한 물의 정화방법 및 정화장치 |
WO2006088210A1 (ja) * | 2005-02-21 | 2006-08-24 | Nature S Co Ltd | 家畜消毒方法、家畜消毒装置、家畜又は家畜肉 |
KR100799663B1 (ko) * | 2007-02-12 | 2008-01-30 | 이배성 | 오존을 이용한 살균수 제조장치 |
KR20100059182A (ko) * | 2008-11-26 | 2010-06-04 | 이영근 | 통합형오존자화수제조장치 |
-
2011
- 2011-03-31 KR KR1020110029647A patent/KR101321565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99280A (ko) * | 2015-02-12 | 2016-08-22 |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 공기 정화 장치 |
KR20180120453A (ko) * | 2017-04-27 | 2018-11-06 | (주)진진이앤티 | 플라즈마 살균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21565B1 (ko) | 2013-10-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04401B2 (en) | Liquid treatment apparatus and liquid treatment method | |
JP6150897B2 (ja) | 水素水製造装置 | |
CN101365654B (zh) | 流体净化装置及流体净化方法 | |
KR20120111253A (ko) | 수산기 발생장치 | |
KR100932377B1 (ko) | 고밀도 수중 플라즈마 토치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 |
WO2010079351A3 (en) | Plasma microreactor apparatus, sterilisation unit and analyser | |
JP2004268003A (ja) | 水中放電プラズマ方法及び液体処理装置 | |
KR100924649B1 (ko) | 고밀도 수중 플라즈마 토치의 발생장치 및 방법 | |
US20150136674A1 (en) |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urifying Liquids | |
JP2000093967A (ja) | 液体処理方法及び液体処理装置 | |
KR20130053205A (ko) |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 |
KR101030061B1 (ko) | 수산기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산기 용존수 제조방법 | |
KR101244393B1 (ko) | 수산기 발생장치 | |
CN103537245A (zh) | 一种用于制备羟基自由基的文丘里电离装置 | |
KR20180133715A (ko) | Oh 라디칼 수소수를 이용한 수경농장기 | |
KR20140066073A (ko) | 가압형 오존 용해 처리 장치 | |
KR101269866B1 (ko) | 수산기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산기 용존수 제조방법 | |
CN101638263A (zh) | 高效臭氧污水消毒系统 | |
JP6178522B2 (ja) | 高電圧放電と微細気泡を利用した廃水浄化処理システム | |
JP6672248B2 (ja) | 飲料水生成装置 | |
CN214611985U (zh) | 一种超声耦合等离子体医疗污水处理装置 | |
JP2013094747A (ja) | オゾン液生成器及びオゾン液生成方法 | |
RU2372296C1 (ru) | Устройство очистки и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ды | |
RU2152359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и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ды высоковольтными электрическими разрядами | |
JP3180399U (ja) | 浄水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