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3205A -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3205A
KR20130053205A KR1020110118846A KR20110118846A KR20130053205A KR 20130053205 A KR20130053205 A KR 20130053205A KR 1020110118846 A KR1020110118846 A KR 1020110118846A KR 20110118846 A KR20110118846 A KR 20110118846A KR 20130053205 A KR20130053205 A KR 20130053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lasma
water treatment
internal spac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장근
서정훈
Original Assignee
(주)미리내
정장근
서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리내, 정장근, 서정훈 filed Critical (주)미리내
Priority to KR1020110118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3205A/ko
Publication of KR20130053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2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0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using electrical dischar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45Fluid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즈마에 의해 생성된 오존 등이 수처리용으로 사용된 후 순환시켜 재활용됨으로써 대기 중 유해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하고 수처리 효율을 높이도록 구성한 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는, 폐수가 유입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 폐수가 유입 및 유출되는 폐수공급관 및 폐수배출관이 설치된 수처리탱크와, 내부에서 유동하는 기체가 플라즈마를 통과하여 상기 수처리탱크의 수중에서 배출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플라즈마처리장치와, 상기 기체를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에서 흡입하여 상기 플라즈마처리장치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기체환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plasma}
본 발명은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중에서 플라즈마에 의해 생성된 가스를 분출시킴으로써 물을 정화시키고 가스는 환류장치에 의해 순환시켜 재사용하도록 구성한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플라즈마를 이용한 오폐수의 처리에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그러한 방식이 적용된 수처리장치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특허등록번호 10-1005636호에 개시된 수처리를 위한 플라즈마발생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수처리를 위한 플라즈마발생장치는 수조(9)의 상단에 고정된 토치헤드(1)에 가스주입구(2)와 고압선 인입구(8)가 형성되고, 상기 토치헤드(1)의 가스주입구(2)에는, 수조(9) 내부로 연장되고 그 하단부가 다공성 버블장치(7)와 결합되도록 석영관(6)을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석영관(6)의 외면(外面)에 도전성 대향극(5)을 감아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토치헤드(1)를 관통하면서 상기 석영관(6)의 종 중심과 일치하도록 도전성 방전극(4)을 고정시키고, 도전성 대향전극(5)에는 상기 고압선 인입구(8)로 인입된 고압케이블(3)이 연결된다. 이어서 외부의 레귤레이터에 의해 가스주입구(2)를 거쳐 상기 석영관(6)의 내부로 가스 또는 공기를 조절하여 주입시키고, 상기 도전성 방전극(4)과 도전성 대향전극(5)에 9Kv∼15Kv, 22.5KHz∼23KHz의 전원을 인가시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상용 전자식 네온트랜스가 외부에 구비된다.
상기의 수중플라즈마발생장치는, 플라즈마에 의해 발생한 오존과 OH, H2O2, UV, HO2 등이 수중에 존재하는 각종 유해물질과 반응하여 산화 및 분해시킴으로써 오폐수를 정화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의 플라즈마 수처리장치는 플라즈마에 의해 발생된 오존과 OH, H2O2, UV, HO2 등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가능한 한 오존의 대기 중 배출양을 감소시키는 구성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플라즈마와 반응하는 기체 즉 공기 내에는 다량의 질소가 포함되어 있고, 질소는 플라즈마와 반응하여 질소산화물로 변화되어 수중에 용존되게 된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에 의해 정화된 처리수에 질소산화물이 용존되어 또 다른 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즈마에 의해 생성된 오존 등이 수처리용으로 사용된 후 순환시켜 재활용됨으로써 대기 중 유해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하고 수처리 효율을 높이도록 구성한 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즈마에 의해 수처리된 처리수에 질소산화물이 용존되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는, 폐수가 유입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 폐수가 유입 및 유출되는 폐수공급관 및 폐수배출관이 설치된 수처리탱크와, 내부에서 유동하는 기체가 플라즈마를 통과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유입된 폐수중에서 배출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플라즈마처리장치와, 상기 기체를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에서 흡입하여 상기 플라즈마처리장치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기체환류장치와, 상기 내부공간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발생기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수처리탱크는 대기로부터 밀폐되고 축압기가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기체는 산소인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은 수처리탱크의 상부에는 카본필터를 거쳐 대기중으로 내부의 기체를 배출하거나 대기중의 공기를 흡입하는 압력조절기가 설치된 것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기체환류장치는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와 연결된 기체흡입관과, 상기 플라즈마처리장치의 내부와 연결된 기체배출관과, 상기 기체흡입관으로부터 상기 기체를 흡입하여 상기 기체배출관으로 상기 기체를 배출하는 흡입펌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처리장치는 상기 기체배출관에 연결되어 상기 기체가 내부에서 유동하고 내부에 방전극이 설치되어 있는 석영관과, 상기 석영관 외부에 설치되는 대향전극과, 상기 방전극과 상기 대향전극 사이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해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인가수단과, 상기 석영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석영관으로부터 나온 상기 기체가 수중에서 다수의 기포로 변환되어 배출되는 다공성버블형성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기체환류장치가 설치됨으로써 플라즈마에 의해 생성된 오존 등이 수처리용으로 사용된 후 순환을 통하여 재활용됨으로써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유해물질을 최소화하고, 순환에 의해 오존의 농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수처리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처리탱크의 내부에 산소가 충진되고 순환되는 산소가 플라즈마와 반응함으로써 질소에 의한 질소산화물의 생성이 없거나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질소산화물에 의한 처리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수처리를 위한 플라즈마발생장치의 간략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에 이용되는 플라즈마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의 수처리탱크 내에 물을 가득 채운 상태를 도시하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의 수처리탱크 내에 산소를 충진시키면서 물을 빼는 상태를 도시하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의 정상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에서 축압기를 압력조절기로 대체한 구성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는, 폐수가 유입되는 내부공간(10a)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공간(10a)으로 폐수가 각각 유입 및 유출되는 폐수공급관(11) 및 폐수배출관(12)이 설치된 수처리탱크(10)와, 내부에서 유동하는 기체가 플라즈마를 통과하여 상기 수처리탱크(10)의 수중에서 배출되도록 상기 내부공간(10a)에 설치되는 플라즈마처리장치(20)와, 상기 기체를 상기 내부공간(10a)의 상부에서 흡입하여 상기 플라즈마처리장치(2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기체환류장치(30)를 포함한다.
상기 수처리탱크(10)는 정화처리대상이 되는 폐수가 유입되어 플라즈마에 의해 발생하는 오존 등으로 수처리되는 내부공간(10a)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수처리탱크(10)는 내부에 폐수를 유입시키는 폐수공급관(11)과, 정화처리된 처리수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폐수배출관(12)이 설치된다. 상기 폐수공급관(11)에는 공급펌프(15)와 공급밸브(13)가 설치되고, 폐수배출관(12)에도 배출펌프(16)와 배출밸브(14)가 설치된다. 상기 공급펌프(15) 및 배출펌프(16)와 상기 공급밸브(13) 및 배출밸브(14)는 모두 제어장치(미도시)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처리탱크(10)의 상부에는 개폐마개(18)가 설치되어 내부공간(10a)의 기체를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하나,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개폐마개(18)에 의해 수처리탱크(10)의 내부는 밀폐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플라즈마처리장치(20)는 수처리탱크(10)의 내부공간(10a)에 설치되고 내부로 유입되어 유동하는 기체가 플라즈마를 통과한 후 수처리탱크(10) 내부공간(10a)의 폐수중(中)에서 배출되어 폐수를 정화처리하도록 한다.
상기 플라즈마처리장치(20)는 기체가 내부에서 유동하고 내부에 방전극(25)이 설치되어 있는 석영관(21)과, 석영관(21) 외부에 설치되는 대향전극(27)과, 방전극(25)과 대향전극(27) 사이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해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인가수단(미도시)과, 석영관(21)의 하부에 설치되어 석영관(21)으로부터 나온 상기 기체가 수중에서 다수의 기포로 변환되어 배출되는 다공성버블형성체(26)를 포함한다.
도 3에는 본 실시예의 플라즈마처리장치(20)가 도시되어 있다.
석영관(21)은 후술하는 기체환류장치(30)의 기체배출관(32)에 유입구(24)를 통하여 연결되어 기체배출관(32)으로부터 기체를 공급받는다. 석영관(21)의 내부에는 방전극(25)이 중심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석영관(21)의 외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전극(27)이 설치된다. 폐수가 전기적인 전도성이 있으므로 대향전극(27)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더라도 석영관(21) 내부에는 방전극(25)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킬 수 있다. 플라즈마방전을 위해 방전극(25)과 대향전극(27)을 연결하는 전원인가수단으로써 네온트랜스가 설치된다. 도면부호 25a 및 27a는 방전극(25)과 대향전극(27)의 전원연결단자이다.
석영관(21)의 하부에는 다공성버블형성체(26)가 설치된다. 이는 석영관(21)의 내부를 하방으로 유동하는 기체가 다공질의 내부 미세구멍들을 통과하도록 하여 다수의 미소한 기포형태로 변환되어 수중에 방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수처리 대상인 폐수와 플라즈마를 통과한 기체의 접촉면적과 접촉시간을 증대시켜 반응을 촉진시킨다.
플라즈마처리장치(20)에는 석영관(21)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22a,22b,22c)가 설치되고, 석영관(21)의 상부 및 하부를 지지하는 상하부지지판(23,28)에 고정되어 전체 구조를 견고하게 한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처리장치(20) 내부에서 유동하는 물의 유속이 강한 경우에도 가는 석영관(21)과 함께 플라즈마처리장치(20)를 지탱함으로써 석영관(21)의 파손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증가시킨다.
한편, 상기 기체환류장치(30)는 수처리탱크(10) 내부공간(10a)의 상부와 연결된 기체흡입관(31)과, 플라즈마처리장치(20)의 내부와 연결된 기체배출관(32)과, 기체흡입관(31)으로부터 상기 기체를 흡입하여 기체배출관(32)으로 배출하는 흡입펌프(33)를 포함한다.
기체흡입관(31)은 수처리탱크(10)의 상부에 연결되어 내부공간(10a)에 수용된 폐수의 상측에 있는 기체를 흡입한다. 그 기체는 플라즈마처리장치(20)에서 배출되어 폐수와 반응한 후 내부공간(10a)의 상부에 모여 있는 것으로, 흡입펌프(33)에 의해 흡입된 후, 기체배출관(32)으로 배출되어 다시 플라즈마처리장치(20)의 석영관(21)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기체환류장치(30)에 의해 플라즈마처리장치(20)를 통과하는 기체가 계속 순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기체를 순환하는 목적은 오존이 포함된 기체를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하거나 유출을 최소화하고, 플라즈마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계속 순환시킴으로써 오존의 농도를 높게 유지하여 폐수처리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전술한 기체는 산소이다. 대기 중의 공기를 이용하는 경우, 산소를 20%가량 포함하고 있으므로 오존을 발생시키게 되고 수처리작용이 가능하나, 대기중의 80%를 차지하는 질소가 플라즈마에 의해 분해 및 활성화되어 질소산화물이 생성되는 바, 그 질소산화물이 정화처리된 처리수에 녹아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수처리탱크(10)의 내부공간(10a)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발생기(4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산소발생기(40)는 소용량의 산소발생기이면 가능하고 한번 수처리탱크(10) 내부에 산소를 충진시킨 후 작동시키면 기체환류장치(30)에 의해 순환되고 있으므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부족한 양만을 채우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에 따라, 대용량의 산소발생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수처리탱크(10)의 내부공간(10a)을 대기로부터 밀폐시키고 상부에 축압기(50)가 연결되어 내부공간(10a)의 산소압력을 저장하거나 내부공간(10a)에 산소압이 떨어지면 저장된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수처리탱크(10)의 내부공간(10a)을 산소로 충진시키고 질소를 배제시킴으로써 질소산화물이 수중에 용존되지 않거나 최소화시킨다.
상기 산소발생기(40)의 작동을 위해 수처리탱크(10)의 내부공간(10a) 또는 축압기(50)에는 압력센서가 설치되어 설정압력 이하에서 산소발생기(40)가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처리탱크(10)에는 별도의 버블발생기(60)가 설치된다. 버블발생기(60)는 오존 등 플라즈마 생성물질과 폐수의 접촉면적 및 시간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내부공간(10a)의 상부에서 기체를 흡입하고 하부에서는 폐수를 흡입하며, 내부공간(10a)의 하부에서 생성된 버블을 폐수중으로 배출시킨다. 버블발생기(60)는 공지된 제품을 활용할 수 있다.
다음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의 작동과정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을 작동시키기 위해 초기에는 내부공간(10a)에 산소를 충진시키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폐수공급관(11)의 공급밸브(13)가 열려 수처리탱크(10)의 내부공간(10a)에 물이 유입된다. 이 때, 배출밸브(14)는 닫혀 있는 상태에서 수처리탱크(10)의 상부에 있는 개폐마개(18)를 열어 내부의 기체를 대기중으로 방출시키면서 내부공간(10a)에 물을 가득 채운다.
내부공간(10a)에 물이 가득 차면, 개폐마개(18)를 덮어 수처리탱크(10)의 내부공간(10a)을 대기로부터 밀폐시키고, 산소발생기(40)에서 산소를 수처리탱크(10)의 내부공간(10a)에 공급한다. 이와 함께, 배출밸브(14)를 열어 물을 폐수배출관(12)을 통해 산소의 충진속도와 보조를 맞추어 서서히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내부공간(10a)에는 물이 배출되면서 도 5와 같이, 산소가 충진되고 질소가 거의 없는 상태를 만들 수 있다.
이후, 폐수배출관(12)의 배출밸브(14)를 폐쇄하고 폐수공급관(11)을 통해 폐수를 수처리탱크(10)의 내부공간(10a)으로 도 6과 같이 공급한다.
이에 따라, 내부의 산소는 축압기(50)에 저장되면서 폐수의 유입이 멈출때까지 압력이 상승한다. 폐수가 도 6과 같이 적정량 유입된 상태에서 축압기(50)는 산소기체의 압력을 저장하게 되나, 그 용량에 충분한 여유를 가지도록 하여 작동 중 압력의 증감을 흡수하도록 한다.
이후, 적정한 양의 폐수가 유입된 후에는 공급밸브(13) 및 배출밸브(14)가 모두 폐쇄된 상태에서 정화처리가 시작된다.
정화처리는 전원인가수단이 방전극(25)과 대향전극(27)에 전원을 인가하여 석영관(21) 내부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고, 흡입펌프(33)가 작동하여 수처리탱크(10) 내부공간(10a)의 산소를 기체흡입관(31)을 통해 흡입한 후, 기체배출관(32)을 통해 석영관(21) 내부로 유동시킨다.
석영관(21) 내부에 유입된 산소는 플라즈마와 반응하여 오존, 라디칼 등 플라즈마반응물질을 생성하고, 플라즈마로부터 자외선(UV), 충격파(Shock Wave) 등이 방사된다.
석영관(21)에서 생성된 오존 등을 포함하는 산소는 석영관(21) 하부의 다공성버블형성체(26)를 통과하면서 미세한 기포의 형태로 폐수 중에서 산포된다. 이에 따라, 폐수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과 오존 등이 접촉하여 오염물질을 산화 또는 분해시킴으로써 폐수를 정화시킨다. 또한, 자외선(UV), 충격파(Shock Wave) 등이 페수 중의 세균을 사멸시킨다.
또한, 버블발생기(60)가 함께 작동함으로써 오존이 폐수의 오염물질과 보다 충분히 접촉하여 효과적인 정화처리가 되도록 한다.
그와 같은 작용을 거친 오존 등을 포함하는 산소는 기체흡입관(31)으로 흡입되어 다시 기체배출관(32)으로 배출되는 방식으로 순환하여 전술한 과정이 반복된다.
그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수처리탱크(10)의 내부공간(10a)은 밀폐되어 있고, 내부공간(10a)에 발생하는 압력변화는 축압기(50)가 흡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내부공간(10a)의 산소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처리수에 용존되어 배출되거나 미소하게 누설됨으로써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게 될 것이므로, 주기적으로 산소발생기(40)를 작동시켜 내부공간(10a)에 산소를 충진시킨다. 상기 내부공간(10a) 또는 축압기(50)에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설정압력 이하에서 자동적으로 산소발생기(40)를 통해 산소를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만, 압력센서에 의한 산소발생기(40)의 작동는 수처리탱크(10) 내부공간(10a)에 폐수가 유입되어 정화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작동하도록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내부공간(10a)에 질소가 거의 존재하지 않으므로 질소산화물이 생성되지 않고, 그 질소산화물이 정화처리된 처리수에 녹아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존의 대기 중 누설이 없거나 최소화되는 구조이므로 오존의 누설에 따른 위험성이 제거되고 있다.
1회의 폐수정화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정화수를 폐수배출관(12)을 통해 배출시키고, 다시 폐수를 유입시켜 전술한 정화과정을 실시한다. 다만, 내부공간(10a)에 산소가 여전히 충진된 상태이므로 초기 산소를 충진시키는 작업은 불필요하다.
한편, 도 7은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 중, 축압기(50)를 대기 중으로 내부의 기체를 배출하거나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하는 압력조절기(80)로 대체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압력조절기(80)는 수처리탱크(10) 내부공간(10a)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대기와 내부공간(10a)이 카본필터(활성탄)를 매개로 연통되도록 한 구성이다. 이는, 수처리탱크(10) 내부공간(10a)의 기체가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본 구성은 전술한 축압기(50)를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보다 용이하게 내부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작동을 위한 제어도 단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오존이 대기 중으로 방출될 수 있으므로 오존이 카본필터(활성탄)를 거쳐 정화된 후 외부에 배출된다. 물론, 수처리탱크(10) 내부공간(10a)에 부압이 걸리는 경우에는 대기가 저절로 내부공간(10a)으로 유입됨으로써 압력이 조절된다.
본 구성에 있어서도 산소발생기(40)를 작동시켜 내부공간(10a)의 산소농도를 높이고, 기체환류장치(30)에 의해 내부공간(10a)의 기체를 계속 순환시키면서 플라즈마 반응이 발생하도록 하면, 높은 오존농도에 의해 폐수처리가 보다 활성화될 수 있고 산소의 농도가 높고 질소의 농도가 낮으므로 질소산화물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있다.
상기 산소발생기(40)는 내부공간(10a)의 질소의 농도를 낮추기 위하여 폐수의 정화처리가 이루어지는 동안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일정량의 산소를 공급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토치헤드 2; 가스주입구
3; 고압케이블 4; 도전성 방전극
5; 도전성 대향극 6; 석영관
7; 버블장치 8; 고압선 인입구
9; 수조 10; 수처리탱크
10a; 내부공간 11; 폐수공급관
12; 폐수배출관 13; 공급밸브
14 ; 배출밸브 15; 공급펌프
16; 배출펌프 18; 개폐마개
20; 플라즈마처리장치 21; 석영관
22a,22b,22c; 지지대 23,28; 상하부지지판
24; 유입구 25; 방전극
25a,27a; 전원연결단자 26; 다공성버블형성체
27; 대향전극 30; 기체환류장치
31; 기체흡입관 32; 기체배출관
33; 흡입펌프 40; 산소발생기
50; 축압기 60; 버블발생기
80; 압력조절기

Claims (5)

  1. 폐수가 유입되는 내부공간(10a)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공간(10a)으로 폐수가 각각 유입 및 유출되는 폐수공급관(11) 및 폐수배출관(12)이 설치된 수처리탱크(10)와,
    내부에서 유동하는 기체가 플라즈마를 통과하여 상기 내부공간(10a)에 유입된 폐수중에서 배출되도록 상기 내부공간(10a)에 설치되는 플라즈마처리장치(20)와,
    상기 기체를 상기 내부공간(10a)의 상부에서 흡입하여 상기 플라즈마처리장치(2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기체환류장치(30)와,
    상기 내부공간(10a)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발생기(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탱크(10)는 대기로부터 밀폐되고,
    축압기(50)가 상기 내부공간(10a)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기체는 산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탱크(10)의 상부에는 카본필터를 거쳐 대기 중으로 상기 내부공간(10a)의 기체를 배출하거나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하는 압력조절기(8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환류장치(30)는
    상기 내부공간(10a)의 상부와 연결된 기체흡입관(31)과,
    상기 플라즈마처리장치(20)의 상기 내부와 연결된 기체배출관(32)과,
    상기 기체흡입관(31)으로부터 상기 기체를 흡입하여 상기 기체배출관(32)으로 상기 기체를 배출하는 흡입펌프(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처리장치(20)는
    상기 기체배출관(32)에 연결되어 상기 기체가 유동하는 상기 플라즈마처리장치(20)의 상기 내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에 방전극(25)이 설치되는 석영관(21)과,
    상기 석영관(21) 외부에 설치되는 대향전극(27)과,
    상기 방전극(25)과 상기 대향전극(27) 사이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해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인가수단과,
    상기 석영관(2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석영관(21)으로부터 나온 상기 기체가 수중에서 다수의 기포로 변환되어 배출되는 다공성버블형성체(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KR1020110118846A 2011-11-15 2011-11-15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KR201300532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846A KR20130053205A (ko) 2011-11-15 2011-11-15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846A KR20130053205A (ko) 2011-11-15 2011-11-15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205A true KR20130053205A (ko) 2013-05-23

Family

ID=48662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846A KR20130053205A (ko) 2011-11-15 2011-11-15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3205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373B1 (ko) * 2014-02-24 2014-09-16 주식회사 플라즈마코리아 수족관용 플라즈마 수처리장치
KR101456464B1 (ko) * 2014-06-02 2014-10-31 주식회사 경동냉열산업 플라즈마를 이용한 냉각수 정화처리 방식의 응축기
KR101465005B1 (ko) * 2014-04-01 2014-11-25 주식회사 플라즈마코리아 플라즈마를 이용한 절삭유 재생장치
KR20150100031A (ko) * 2014-02-24 2015-09-02 주식회사 플라즈마코리아 플라즈마 수처리장치
KR20150117916A (ko) * 2014-04-11 2015-10-21 주식회사 플라즈마코리아 배관형 플라즈마 수처리장치
KR20150121848A (ko) * 2014-04-22 2015-10-30 주식회사 플라즈마코리아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녹조 또는 적조제거장치
US10941062B2 (en) * 2014-02-25 2021-03-09 Onvector Llc Microbubble generator for enhanced plasma treatment of liquid
WO2023073879A1 (ja) * 2021-10-28 2023-05-04 株式会社Fuji プラズマ照射装置及びプラズマ処理液体製造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373B1 (ko) * 2014-02-24 2014-09-16 주식회사 플라즈마코리아 수족관용 플라즈마 수처리장치
KR20150100031A (ko) * 2014-02-24 2015-09-02 주식회사 플라즈마코리아 플라즈마 수처리장치
US10941062B2 (en) * 2014-02-25 2021-03-09 Onvector Llc Microbubble generator for enhanced plasma treatment of liquid
KR101465005B1 (ko) * 2014-04-01 2014-11-25 주식회사 플라즈마코리아 플라즈마를 이용한 절삭유 재생장치
KR20150117916A (ko) * 2014-04-11 2015-10-21 주식회사 플라즈마코리아 배관형 플라즈마 수처리장치
KR20150121848A (ko) * 2014-04-22 2015-10-30 주식회사 플라즈마코리아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녹조 또는 적조제거장치
KR101456464B1 (ko) * 2014-06-02 2014-10-31 주식회사 경동냉열산업 플라즈마를 이용한 냉각수 정화처리 방식의 응축기
WO2023073879A1 (ja) * 2021-10-28 2023-05-04 株式会社Fuji プラズマ照射装置及びプラズマ処理液体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3205A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CN101365654B (zh) 流体净化装置及流体净化方法
KR101327787B1 (ko) 수족관 등에 설치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US7704401B2 (en) Liquid treatment apparatus and liquid treatment method
CN102730906B (zh) 一种组合型深度处理高浓度有机废水的装置
KR100967878B1 (ko)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방법
JP6266954B2 (ja) 液面プラズマ放電を利用した水処理装置
CN109310958B (zh) 养殖用或排水处理用超微细气泡产生装置
KR20110109111A (ko) 플라즈마 건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0093967A (ja) 液体処理方法及び液体処理装置
KR101211823B1 (ko) 플라즈마와 버블을 이용한 폐수 처리 시스템
KR20170058133A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KR101465006B1 (ko) 플라즈마 수처리 장치
KR20120086532A (ko)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이용한 습식 공기청정기
US5139625A (en) Fluid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its shutdown
KR102026185B1 (ko) 미세기포에 의한 수처리효율을 향상시킨 플라즈마 수처리장치
JP5802483B2 (ja) メッキ処理工程の水処理装置とメッキ処理工程の水処理方法
KR101553927B1 (ko) 약액재생식 악취저감장치
KR101321565B1 (ko) 수산기 발생장치
JP4172376B2 (ja) エチレンオキサイドの分解処理方法および分解処理装置
JP6178522B2 (ja) 高電圧放電と微細気泡を利用した廃水浄化処理システム
JP2005065838A (ja) 医療廃棄物処理装置
RU215235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и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ды высоковольтными электрическими разрядами
CN210814714U (zh) 一种处理有机废气的装置
KR101206905B1 (ko) 플라즈마 방전 반응 장치와 가압부상조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