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0506A - 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0506A
KR20120110506A KR1020110028398A KR20110028398A KR20120110506A KR 20120110506 A KR20120110506 A KR 20120110506A KR 1020110028398 A KR1020110028398 A KR 1020110028398A KR 20110028398 A KR20110028398 A KR 20110028398A KR 20120110506 A KR20120110506 A KR 20120110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clothes dryer
thumb
mounting por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태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8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0506A/ko
Priority to CN201280016569.6A priority patent/CN103547728B/zh
Priority to EP12764467.2A priority patent/EP2691567B1/en
Priority to AU2012237107A priority patent/AU2012237107B2/en
Priority to PCT/KR2012/002226 priority patent/WO2012134149A2/en
Priority to ES12764467.2T priority patent/ES2617216T3/es
Priority to US13/431,390 priority patent/US8857071B2/en
Priority to BR112013024603-0A priority patent/BR112013024603B1/pt
Priority to RU2013147992/12A priority patent/RU2533712C1/ru
Publication of KR20120110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5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효율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의류건조기의 저면의 구조를 효율적으로 형성한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저면에 장착되는 펌프; 상기 본체의 저면의 일측에 구비되는 응축수가 모이는 썸프; 상기 썸프 중 상기 펌프가 장착되는 펌프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장착부는 상기 썸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류건조기{CLOTHES DRYER}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효율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의류건조기의 저면의 구조를 효율적으로 형성한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건조기라 함은 세탁이 완료되어 탈수 과정이 종료된 상태의 세탁물을 건조기의 드럼(또는 터브) 내부로 투입하고,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의 수분을 증발시켜서 세탁물을 건조하는 기기이다.
의류건조기의 드럼에서 세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빠져나가는 공기는 드럼 내부의 세탁물의 수분을 가지게 되어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가 된다. 이때 이 고온 다습한 공기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서 건조기를 분류할 수 있다. 즉, 고온 다습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하면서 열교환장치에서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여 고온 다습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응축식 건조기와, 드럼을 통과하고 나오는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를 외부로 직접 배출시켜 버리는 배기식 건조기로 나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의류건조기 중 응축식 건조기의 경우, 고온 다습한 공기가 열교환장치에 의해 냉각되면 다량의 응축수가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한 응축수는 의류건조기의 바닥으로 모이게 되며, 이를 처리하기 위해 의류건조기의 내부에 장착되는 펌프가 사용된다.
응축수를 처리하지 않으면 건조기의 저면(바닥)에 응축수가 고여서 내부의 각종 장치들에 않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펌프를 통해 응축수를 이송하여 재사용 하거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응축수가 발생하는 위치와 펌프가 장착된 위치와는 거리가 있다. 따라서, 발생한 응축수는 소정의 거리를 이동하여 펌프측으로 향하게 된다. 하지만, 평평한 건조기의 저면을 따라 응축수가 흘러가야 하기 때문에 원할하게 응축수가 펌프 측으로 흐르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나아가 원할하게 응축수가 펌프측으로 흐르지 않음에 따라 건조기 바닥에 응축수가 잔존하여 위생상으로도 않좋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조기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원할하게 펌프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저면(바닥)이 효율적으로 형성된 의류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의 저면에 잔존하는 응축수를 최소화하여 내부 장치들에 영향을 최소화 하고 위생상으로도 좋은 의류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저면에 장착되는 펌프; 상기 본체의 저면의 일측에 구비되는 응축수가 모이는 썸프; 상기 썸프 중 상기 펌프가 장착되는 펌프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장착부는 상기 썸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측면은 의류건조기의 저면 중 펌프장착부가 썸프보다 낮게 형성되어 건조기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원할하게 펌프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썸프에 잔존하는 응축수를 최소화하여 내부 장치들에 영향을 최소화하고, 위생상으로도 좋은 효과를 가지게 한다.
여기서, 상기 펌프장착부는 상기 썸프로부터 단지어 형성된다.
상기 펌프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하부에 구비되어 물을 이동시키는 임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임펠러측 입구는 상기 펌프장착부의 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임펠러의 저점이 상기 썸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펌프장착부는 상기 썸프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펌프장착부의 경사면 중 가장 낮은 위치에 상기 케이스의 임펠러측 입구가 위치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펌프장착부는 상기 펌프 케이스의 저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펌프 케이스의 저면 형상으로 함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펌프장착부는 일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원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의 저면 중 펌프장착부가 낮게 형성되어 건조기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원할하게 펌프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의 저면에 잔존하는 응축수를 최소화하여 내부 장치들에 영향을 최소화하고 위생상으로도 좋은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의 일 실시예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의류건조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도 1의 의류건조기의 내부 장치들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
도 4는 도 3의 의류건조기의 저면을 보여주는 평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의류건조기의 저면을 보여주는 평면 개략도.
도 6은 도 4 또는 도 5의 의류건조기 저면의 측면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의 일 실시예의 외관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의류건조기(100)는 전방면에 도어(130)가 형성된 본체인 케비넷(110)과, 상기 본체(1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측 둘레면에 복수개의 리프터가 돌출된 드럼(14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창과 조작버튼 등이 구비된 컨트롤 패널(120)이 구비된다.
도 2는 의류건조기의 측면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2를 참고하면, 구동모터에 의해 본체(110) 내에서 회전되는 드럼(140)에는 순환덕트(150)가 연통되어 있다. 드럼(140)의 후방에서 연통된 순환덕트(150)로부터 가열된 공기가 드럼으로 토출되어 드럼 내부의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킨다.
건조에 사용된 공기는 건조대상물로부터 증발시킨 수분을 함유하여 다습한 공기가 되어 도어측에 가까운 드럼의 전방으로부터 연통된 순환덕트(150)로 배출된다. 이때, 다습한 공기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은 드럼의 전방과 순환덕트 사이에 구비되는 린트필터(145)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기의 유동은 순환덕트에 구비되는 송풍팬(미도시)에 의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본체에는 상기 순환덕트를 순환하는 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장치(160)가 구비된다. 상기 열교환장치는 히트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히트펌프로 이루어지는 열교환장치는 증발기(161), 압축기(162), 응축기(163) 및 팽창밸브(164)가 배관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히트펌프의 구성 중에서 순환되는 공기와 직접적으로 열교환을 하는 구성은 증발기(161)와 응축기(163)이다. 히트펌프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는 증발기에서 전술한 드럼을 빠져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증발된다. 그에 따라 순환되는 공기는 냉각되며, 공기중에 함유된 수분이 응축되어 중력에 의해 본체의 저면으로 떨어지게 된다.
한편, 히트펌프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는 증발기에서 증발된 후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후 응축기에서 전술한 냉각된 순환공기에 열을 전달하여 응축된다. 그에 따라 순환공기는 가열되어 고온의 건조한 공기가 되어 순환덕트에 의해 다시 드럼(140)으로 토출된다. 또한, 냉각된 냉매는 팽창밸브를 통해 단열팽창하고 다시 증발기에서 열을 흡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3은 전술한 열교환장치(160)가 본체의 저면(111)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을 참고하면, 순환덕트에서 순환되는 공기의 이동경로는 화살표 A로 나타내어 지고, 순환공기와 직접적으로 열교환하는 증발기(161)과 응축기(163)이 각각 화살표 A 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3의 우측에 압축기(163) 및 팽창밸브(164)가 각각 위치하며, 구성들간에 배관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의 저면(111)에는 펌프(170)가 구비된다. 도 3에서 순환되는 공기가 화살표 A와 같이 이동될 때 증발기(161)에 열을 흡수당하여 냉각된다. 그에 따라 응축수가 생성되어 본체의 저면으로 떨어진다. 이러한 응축수는 의류건조기가 사용되면 지속적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상기 펌프(170)를 통해 제거해 주어야 한다.
도 3에서 화살표 B는 전술한 응축수가 본체의 저면(111)에서 이동되는 경로를 보여준다. 즉, 본체의 저면 중 증발기의 하부측에서 모이는 응축수는 화살표 B 방향으로 본체의 저면을 따라 이동하여 물이 모이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보다 낮게 형성된 썸프(112)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썸프(112)에 펌프(170)가 장착되는 펌프 장착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펌프에 의해 지속적으로 응축수가 제거되기 때문에 수압차에 의해 지속적으로 응축수는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여 썸프로 모이게 된다.
도 4는 도 3에서 각종 장치들을 제거한 상태의 본체의 저면(111)을 보여준다. 도 4에서 화살표는 응축수의 유동 경로를 보여준다. 펌프가 장착되는 펌프장착부(113)를 포함하는 썸프(112)는 별도의 벽면에 의해 구획되어져 있다. 그에 따라 응축수는 썸프 입구(114)를 통해 썸프로 유입되어 펌프장착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썸프(112) 중 상기 펌프가 장착되는 펌프장착부(113)는 상기 썸프(112)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펌프장착부(113)는 상기 썸프(112)로부터 단지어 형성된다. 도 6은 썸프(112)로부터 단지어 형성된 펌프장착부(113)을 보여준다.
한편, 상기 펌프(170)는 일반적인 구성으로 케이스(172)와, 상기 케이스 하부에 구비되어 물을 이동시키는 임펠러(171)를 포함한다. 케이스 내부에는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173)가 구비되어 회전력을 전달한다. 그에 따라 케이스의 임펠러측 입구인 유입구(174)로부터 유입된 응축수는 임펠러에 의해 가압되어 상승하여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유로를 따라 이동된다.
여기서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케이스의 임펠러측 유입구는 상기 펌프장착부(113)의 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임펠러의 저점이 상기 썸프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측면은 의류건조기의 저면 중 펌프장착부가 썸프보다 낮게 형성되어 건조기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원할하게 펌프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썸프에 잔존하는 응축수를 최소화하여 내부 장치들에 영향을 최소화하고 위생상으로도 좋은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펌프장착부(113)는 상기 썸프(112)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112)을 구비한다. 즉, 전술한 펌프장착부가 썸프로부터 단지어 형성되는 구체적인 예로 경사면으로 형성된 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경사면은 곡면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펌프장착부의 경사면 중 가장 낮은 위치 측에 상기 케이스의 임펠러측 유입구(174)가 위치한다. 그에 따라 경사면을 따라 응축수가 흘러내려 상기 유입구를 통해 펌프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펌프장착부(113)는 상기 펌프 케이스의 저면 형상으로 형성된다.즉, 썸프의 일부가 상기 펌프 케이스의 저면 형상으로 함몰되어 있는 것이다.
구체적인 예로, 도 5와 같이 상기 펌프 장착부의 형상은 일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일측이 작은 타원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이는 원형의 펌프가 장착되어도 여유공간을 형성하여 임펠러에 충분한 유량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썸프로 물이 모이게 하는 수압차를 더욱 형성할 수 있어서 유리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측면은 의류건조기의 저면 중 펌프장착부가 썸프보다 낮게 형성되어 건조기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원할하게 펌프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썸프에 잔존하는 응축수를 최소화하여 내부 장치들에 영향을 최소화하고 위생상으로도 좋은 효과를 가진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그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수정 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의류건조기 110 : 본체
111 : 본체의 저면 112 : 썸프
113 : 펌프장착부 114 : 썸프 입구
115 : 경사면
120 : 컨트롤 패널 130 : 도어
140 : 드럼 145 : 린트필터
150 : 순환덕트 160 : 열교환장치
161 : 증발기 162 : 압축기
163 : 응축기 164 : 팽창밸브
170 : 펌프 171 : 임펠러
172 : 펌프 케이스 173 : 모터
174 : 펌프 유입구

Claims (6)

  1. 내부에 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저면에 장착되는 펌프;
    상기 본체의 저면의 일측에 구비되는 응축수가 모이는 썸프;
    상기 썸프 중 상기 펌프가 장착되는 펌프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장착부는 상기 썸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장착부는 상기 썸프로부터 단지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하부에 구비되어 물을 이동시키는 임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임펠러측 유입구는 상기 펌프장착부의 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임펠러의 저점이 상기 썸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장착부는 상기 썸프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펌프장착부의 경사면 중 가장 낮은 위치에 상기 케이스의 임펠러측 유입구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장착부는 상기 펌프 케이스의 저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펌프 케이스의 저면 형상으로 함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장착부는 일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KR1020110028398A 2011-03-29 2011-03-29 의류건조기 KR20120110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398A KR20120110506A (ko) 2011-03-29 2011-03-29 의류건조기
CN201280016569.6A CN103547728B (zh) 2011-03-29 2012-03-27 具有热交换器清洗装置的衣物处理装置
EP12764467.2A EP2691567B1 (en) 2011-03-29 2012-03-27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heat exchanger cleaning device
AU2012237107A AU2012237107B2 (en) 2011-03-29 2012-03-27 Laundry Machine
PCT/KR2012/002226 WO2012134149A2 (en) 2011-03-29 2012-03-27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heat exchanger cleaning device
ES12764467.2T ES2617216T3 (es) 2011-03-29 2012-03-27 Aparato de tratamiento de ropa que incorpora un dispositivo de limpieza con intercambiador de calor
US13/431,390 US8857071B2 (en) 2011-03-29 2012-03-27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heat exchanger cleaning device
BR112013024603-0A BR112013024603B1 (pt) 2011-03-29 2012-03-27 máquina de lavar
RU2013147992/12A RU2533712C1 (ru) 2011-03-29 2012-03-27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содержащее устройство очистки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398A KR20120110506A (ko) 2011-03-29 2011-03-29 의류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506A true KR20120110506A (ko) 2012-10-10

Family

ID=47281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398A KR20120110506A (ko) 2011-03-29 2011-03-29 의류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05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5685A1 (ko) * 2020-10-05 2022-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5685A1 (ko) * 2020-10-05 2022-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383B1 (ko) 의류처리장치
EP3015593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150442B1 (ko) 의류 처리장치
JP4271208B2 (ja) 衣類乾燥装置
JP2006212418A (ja) 洗濯乾燥機及び乾燥機
JP6023976B2 (ja) 衣類乾燥機
JP2009106566A (ja) 洗濯乾燥機及び乾燥機
US10041204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2058995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20110501A (ko) 의류건조기
US9885144B2 (en) Clothes dryer
EP1852534A1 (en) Washer/dryer with additional condensing circuit
JP2010035894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5965848B2 (ja) 洗濯乾燥機
JP6016087B2 (ja) 乾燥装置
JP2012245316A (ja) 洗濯乾燥機及び洗濯乾燥機の乾燥方法
KR20120110506A (ko) 의류건조기
KR20190128529A (ko) 의류 처리 장치
JP2008079767A (ja) 衣類乾燥装置
KR102568205B1 (ko) 의류 처리 장치
KR20210080039A (ko) 의류 건조기
EP1852535A1 (en) Washer/dryer with secondary condensing unit
KR101778968B1 (ko) 의류건조기
JP5297314B2 (ja) 洗濯乾燥機
EP4163432A1 (en) In-door condenser for laundry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