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8848A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8848A
KR20120108848A KR1020110027220A KR20110027220A KR20120108848A KR 20120108848 A KR20120108848 A KR 20120108848A KR 1020110027220 A KR1020110027220 A KR 1020110027220A KR 20110027220 A KR20110027220 A KR 20110027220A KR 20120108848 A KR20120108848 A KR 20120108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tube
heat exchange
heat exchanger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0432B1 (ko
Inventor
김세현
유상훈
박내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7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432B1/ko
Publication of KR20120108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 F28D7/10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consisting of two coaxial conduits or modules of two coaxial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066Multi-circuit heat-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 F28D7/0083Multi-circuit heat-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with units having particular arrangement relative to a supplementary heat exchange medium, e.g. with interleaved units or with adjacent units arranged in common flow of supplementary heat exchange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helically co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열교환기의 일양태는, 물이 유동되는 다수개의 제1튜브; 상기 제1튜브의 내부에 위치되고, 냉매가 유동되는 다수개의 제2튜브; 상기 제1튜브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튜브로 물을 전달하거나 상기 제1튜브로부터 물을 전달받는 제1헤더; 및 상기 제1헤더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상기 제2튜브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튜브로 냉매를 전달하거나 상기 제2튜브로부터 냉매를 전달받는 제2헤더;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튜브, 제1헤더 및 제2헤더는, 상하로 다수개가 적층되고, 상기 제2헤더는 상기 제1헤더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1헤더의 외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의 실시예에 의하면, 동일한 용량의 열교환기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열교환기{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란, 그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유체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이와 같은 열교환기는, 냉매와 공기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공냉식 열교환기, 냉매와 물과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수냉식 열교환기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수냉식 열교환기의 경우에는, 케이싱의 내부에 서로 구획되는 다수개의 유로가 구비되고, 서로 인접하는 유로를 냉매 또는 물이 각각 유동하면서 양자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다양한 용량으로의 설계가 가능한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소형화가 가능한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열교환기는, 물이 유동되는 다수개의 제1튜브; 상기 제1튜브의 내부에 위치되고, 냉매가 유동되는 다수개의 제2튜브; 상기 제1튜브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튜브로 물을 전달하거나 상기 제1튜브로부터 물을 전달받는 제1헤더; 및 상기 제1헤더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상기 제2튜브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튜브로 냉매를 전달하거나 상기 제2튜브로부터 냉매를 전달받는 제2헤더;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튜브, 제1헤더 및 제2헤더는, 상하로 다수개가 적층되고, 상기 제2헤더는 상기 제1헤더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1헤더의 외측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열교환기의 다른 양태는, 물이 유동되는 다수개의 제1튜브, 냉매가 유동되는 다수개의 제2튜브, 상기 제1튜브로 물을 전달하거나 상기 제1튜브로부터 물을 전달받는 제1헤더, 및 상기 제2튜브로 냉매를 전달하거나 상기 제2튜브로부터 냉매를 전달받는 제2헤더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열교환 모듈이 상하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제2튜브는, 상기 제1튜브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헤더에는 상기 제1튜브의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헤더에는 상기 제2튜브의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2헤더는, 상기 제1헤더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1헤더의 외측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적층되는 열교환 모듈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용량의 열교환기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열교환 모듈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헤더가 사공간의 형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 모듈이 적층된다. 따라서 동일한 용량의 열교환기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의 제1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의 제2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의 제1실시예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열교환기(1)는 상하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열교환 모듈(100)을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 모듈(100)에서는 각각 냉매와 물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열교환 모듈(100)은, 각각 다수개의 제1튜브(110), 다수개의 제2튜브(120), 케이싱(130), 제1헤더(140) 및 제2헤더(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튜브(110)(120)의 내부에는 각각 물과 냉매가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헤더(150)는, 각각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 또는 냉매를 상기 제1튜브(110) 또는 제2튜브(120)로 전달하거나, 상기 제1튜브(110) 또는 제2튜브(120)를 유동한 물 또는 냉매를 전달받아서 외부로 배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튜브(110)는, 소정의 직경 및 길이를 가지는 관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튜브(110)는 그 길이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튜브(110)는, 그 외주면이 서로 접촉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튜브(120)는, 상기 제1튜브(110)의 내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튜브(120)는 상기 제1튜브(110)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갖을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튜브(110)의 내부에 2개의 상기 제2튜브(120)가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2튜브(120)의 직경은, 상기 제1튜브(110)의 직경의 1/2 이하의 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2튜브(120)는, 상기 제1튜브(110)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서로의 외주면 및 상기 제1튜브(110)의 내주면이 접촉되거나,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튜브(120)는, 상기 제1튜브(1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튜브(120)의 양단부는 상기 제1튜브(110)의 양단부의 외측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튜브(110) 및 제2튜브(120)의 길이의 차이는, 상기 제1튜브(110)와 상기 제1헤더(140)의 연결, 및 상기 제2튜브(120)와 상기 제2헤더(150)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튜브(120)의 종단면의 원중심은, 상기 제1튜브(110)의 종단면의 원중심과 동일한 가상의 수평면(X1)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튜브(110)의 내부에서의 물의 유동과, 상기 제2튜브(120)의 내부에서의 냉매의 유동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제1튜브(110)의 내부에서 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으로 물이 유동되면, 상기 제2튜브(120)의 내부에서는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30)은, 상기 제1튜브(110) 및 제2튜브(120)를 차폐한다. 그런데 상기 제2튜브(120)가 상기 제1튜브(110)의 내부에 위치되므로, 실질적으로는, 상기 케이싱(130)이 상기 제1튜브(110)를 차폐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30)은, 상기 제1튜브(110) 및 제2튜브(120)의 내부를 유동하는 물 및 냉매와 외부를 단열시키는 역할도 한다. 물론, 추가적으로, 상기 케이싱(130)의 내부 또는/및 외부에 별도의 단열재가 추가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헤더(140)는, 제1흡입 헤더(141) 및 제1토출 헤더(143)를 포함한다. 상기 제1흡입 헤더(141)는 상기 제1튜브(110)로 물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토출 헤더(143)는 상기 제1튜브(110)로부터 물을 전달받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흡입 헤더(141) 및 제1토출 헤더(143)에는 상기 제1튜브(110)의 양단부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1흡입 헤더(141) 및 제1토출 헤더(143)는, 서로 동일한 직경 및 길이를 가지는 관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흡입 헤더(141) 및 제1토출 헤더(143)는, 각각 상기 제1튜브(110)의 길이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헤더(150)는 제2흡입 헤더(151) 및 제2토출 헤더(153)를 포함한다. 상기 제2흡입 헤더(151) 및 제2토출 헤더(153)도, 서로 동일한 직경 및 길이를 가지는 관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흡입 헤더(151) 및 상기 제2토출 헤더(153)는, 상기 제1흡입 헤더(141) 및 제1토출 헤더(143)는, 상기 제1흡입 헤더(141) 및 제1토출 헤더(14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다.
상기 제2헤더(15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헤더(140)의 외측에 각각 위치된다. 즉, 상기 제2흡입 헤더(151)는 상기 제1흡입 헤더(141)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토출 헤더(153)는 제1토출 헤더(143)의 외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헤더(140) 및 상기 제2헤더(150)의 일부가 각각 서로 중첩된다. 즉 실질적으로 상기 제2흡입 헤더(151) 및 제2토출 헤더(153)의 일부가, 상기 제1흡입 헤더(141) 및 제1토출 헤더(143)의 내부로 삽입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흡입 헤더(141)와 제2흡입 헤더(151), 및 상기 제1토출 헤더(143)와 제2토출 헤더(153)가, 각각 서로 중첩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제1헤더(140) 및 제2헤더(150)의 종단면의 원중심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튜브(110) 및 제2튜브(120)의 종단면의 원중심과 동일한 가상의 수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흡입 헤더(141)와 제2흡입 헤더(151)가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고, 상기 제1토출 헤더(143)와 제2토출 헤더(153)가 서로 마주되게 위치된다. 즉, 상기 제2흡입 헤더(151)는 상기 제1토출 헤더(143)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토출 헤더(153)는 상기 제1흡입 헤더(141)의 외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흡입 헤더(151) 및 제2토출 헤더(153)는, 각각 상기 제2튜브(120)로 냉매를 전달하거나, 상기 제2튜브(120)로부터 냉매를 전달받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흡입 헤더(151) 및 제2토출 헤더(153)에는, 상기 제2튜브(120)의 양단부가 각각 연결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흡입 헤더(151) 및 제2토출 헤더(153)가 상기 제1흡입 헤더(141) 및 제1토출 헤더(143)의 외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튜브(120)의 양단부는, 상기 제1흡입 헤더(141) 및 제1토출 헤더(143)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2흡입 헤더(151) 및 제2토출 헤더(153)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1흡입 헤더(141)의 내부에서의 물의 유동과, 상기 제2흡입 헤더(151)의 내부에서의 냉매의 유동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흡입 헤더(141) 및 제1토출 헤더(143)의 내부에서의 물의 유동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흡입 헤더(151) 및 제2토출 헤더(153)의 내부에서의 냉매의 유동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상기 열교환 모듈(100) 또는 2개 이상의 상기 열교환 모듈(100)이 상하로 적층되어 1개의 열교환기(1)를 구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한 용량에 따라서 상기 열교환 모듈(100)의 개수를 조절하여 적층하여 상기 열교환기(1)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상기 열교환 모듈(100)은,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흡입 헤더(141) 및 제1토출 헤더(143)의 외주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로 상하로 적층될 것이다. 이때, 상하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상기 열교환 모듈(100)을 구성하는 상기 제1헤더(140) 및 제2헤더(150)의 종단면의 원중심은, 각각 서로 상이한 가상의 수직면(X2)(X3) 상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다르게 표현하면, 적층되는 다수개의 상기 열교환 모듈(100)은, 서로 상하로 완전하게 중첩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인 상기 열교환기(1)의 높이는, 상기 제1헤더(140)의 직경과 적층되는 상기 열교환 모듈(100)의 개수를 곱한 값이 된다. 그리고 서로 상하로 적층된 상기 열교환 모듈(100)은, 예를 들면,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토출 헤더(143)가 브레이징(brazing) 결합되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흡입 헤더(141)를 통하여 물이 제1튜브(110)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제1튜브(110)로 전달된 물은 상기 제1튜브(110)의 내부를 유동한다. 또한 제2흡입 헤더(151)를 통하여 제2튜브(120)로 전달된 냉매는, 상기 제2튜브(120)의 내부를 유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1튜브(110)를 유동하는 물 및 상기 제2튜브(120)를 유동하는 냉매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튜브(110) 및 제2튜브(120)를 유동하면서 열교환된 물 및 냉매는, 각각 제1토출 헤더(143) 및 제2토출 헤더(153)로 전달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1개 또는 다수개의 열교환 모듈(100)이 적층되어 1개의 열교환기(1)를 구성한다. 즉,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상기 열교환 모듈(100)의 개수를 결정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열교환기(1)의 용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1) 자체, 즉 상기 열교환 모듈(100)에 대한 설계변경 없이, 적층되는 상기 열교환 모듈(100)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1)의 용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의 제2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3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열교환기(2)의 전체 높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상기 열교환 모듈(100)이 상하로 일부만 중첩되게 적층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열교환 모듈(100) 중 어느 하나(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열교환 모듈(100A)'이라 칭함)를 기준으로, 그 상방에 위치되는 다른 하나의 열교환 모듈(100)(이하에서는 '제2열교환 모듈(100B)'이라 칭함)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되어 위치된다.
즉, 상기 제1열교환 모듈(100A)을 구성하는 제1헤더(140)의 종단면의 중심과 상기 제2열교환 모듈(100B)을 구성하는 제1헤더(140)의 종단면의 중심은 서로 상이한 가상의 수직면 상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1열교환 모듈(100A)을 구성하는 제2헤더(150)의 종단면의 중심과, 상기 제2열교환 모듈(100B)을 구성하는 제2헤더(150)의 종단면의 중심도 서로 상이한 가상의 수직면 상에 위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열교환 모듈(100A)의 제1헤더(140)의 종단면의 중심은 가상의 수직면(Y1)(이하에서는 '제1수직면'이라 칭함)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2열교환 모듈(100B)의 제1헤더(140)의 종단면의 중심은 상기 제1수직면(Y1)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는 가상의 수직면(Y2)(이하에서는 '제2수직면'이라 칭함) 상에 위치된다. 이와 동일하게, 상기 제1열교환 모듈(100A)의 제2헤더(150)의 종단면의 중심은 가상의 수직면(Y3)(이하에서는 '제3수직면'이라 칭함)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2열교환 모듈(100B)의 제2헤더(150)의 종단면의 중심은 상기 제3수직면(Y3)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는 가상의 수직면(Y4)(이하에서는 '제4수직면'이라 칭함) 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열교환 모듈(100A)의 제1헤더(140)의 외주면이, 상기 제2열교환 모듈(100B)의 제1헤더(140) 및 제2헤더(150)의 외주면에 각각 접촉되도록 상기 제1열교환 모듈(100A) 및 제2열교환 모듈(100B)이 상하로 적층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열교환 모듈(100A) 및 제2열교환 모듈(100B)이 적층된 높이는, 상기 제1열교환 모듈(100A) 및 제2열교환 모듈(100B)의 제1헤더(140)의 직경의 합에서, 상기 제2열교환 모듈(100B)의 제1헤더(140)와 제2헤더(150)의 직경의 차이를 제한 값이 된다.
한편, 상기 제2열교환 모듈(100B)의 상방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열교환 모듈(100A)과 상하로 완전하게 중첩되게 또 다른 열교환 모듈(100)이 적층된다. 즉, 상기 제2열교환 모듈(100B)의 상방에 적층되는 열교환 모듈(100)을 구성하는 제1헤더(140) 및 제2헤더(150)의 종단면의 중심은 상기 제1수직면(Y3) 및 제3수직면(Y3) 상에 위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수직면(Y1) 및 제3수직면(Y3) 상에 제1헤더(140) 및 제2헤더(150)의 종단면의 중심이 각각 위치되는 열교환 모듈(제1열교환 모듈(100A))과, 상기 제2수직면(Y2) 및 제4수직면(Y4u) 상에 제1헤더(140) 및 제2헤더(150)의 종단면의 중심이 각각 위치되는 열교환 모듈(제2열교환 모듈(100B))이 상하로 서로 교호되게 적층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3개 이상의 열교환 모듈(100)이 상하로 적층되는 경우에는, 상기 열교환기(2)의 전체의 높이는, 아래와 같은 수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H=(D*N)-{d*(N-1)}
H: 열교환기의 높이
D: 제1헤더의 직경
d: 제2헤더의 직경
N: 적층되는 열교환 모듈의 개수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비하여, 동일한 개수의 열교환 모듈(100)이 적층되는 경우에, 상기 열교환기(2)의 전체 높이가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동일한 용량으로 설계되는 상기 열교환기(2)의 높이가 감소됨으로써, 공간 활용성이 증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튜브의 내부에 2개의 상기 제2튜브가 위치되는 것으로 기재되었으나, 상기 제1튜브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제2튜브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헤더의 일부가 상기 제1헤더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헤더 및 제2헤더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1헤더의 일부가 상기 제2헤더의 내부로 삽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튜브 및 제2튜브의 내부에 각각 물과 냉매가 유동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제1튜브 및 제2튜브의 내부에는 서로 열교환되는 각각의 냉매가 유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8)

  1. 물이 유동되는 다수개의 제1튜브;
    상기 제1튜브의 내부에 위치되고, 냉매가 유동되는 다수개의 제2튜브;
    상기 제1튜브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튜브로 물을 전달하거나 상기 제1튜브로부터 물을 전달받는 제1헤더; 및
    상기 제1헤더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상기 제2튜브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튜브로 냉매를 전달하거나 상기 제2튜브로부터 냉매를 전달받는 제2헤더;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튜브, 제1헤더 및 제2헤더는, 상하로 다수개가 적층되고,
    상기 제2헤더는 상기 제1헤더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1헤더의 외측에 위치되는 열교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튜브는 상기 제1튜브의 내부에 2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2튜브의 직경은 상기 제1튜브의 직경의 1/2 이하인 열교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더 및 제2헤더 중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헤더 및 제2헤더 중 나머지 하나의 내부로 삽입되는 열교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더 및 제2헤더는, 각각의 종단면의 중심이 위치되는 가상의 수직면이 서로 이격되도록 상하로 적층되는 열교환기.
  5. 물이 유동되는 다수개의 제1튜브, 냉매가 유동되는 다수개의 제2튜브, 상기 제1튜브로 물을 전달하거나 상기 제1튜브로부터 물을 전달받는 제1헤더, 및 상기 제2튜브로 냉매를 전달하거나 상기 제2튜브로부터 냉매를 전달받는 제2헤더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열교환 모듈이 상하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제2튜브는, 상기 제1튜브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헤더에는 상기 제1튜브의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헤더에는 상기 제2튜브의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2헤더는, 상기 제1헤더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1헤더의 외측에 위치되는 열교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하로 적층되는 상기 열교환 모듈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는 제1헤더 및 제2헤더는, 그 상방 또는 하방에 위치되는 다른 열교환 모듈을 구성하는 제1헤더와 접촉되는 열교환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하로 적층되는 상기 열교환 모듈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는 제1헤더 및 제2헤더의 종단면의 중심이 각각 위치되는 가상의 수직면은, 그 상방 또는 하방에 위치되는 다른 열교환 모듈을 구성하는 제1헤더 및 제2헤더의 종단면이 중심이 각각 위치되는 가상의 수직면과 서로 이격되는 열교환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튜브의 양단부는, 상기 제1튜브의 양단부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헤더를 관통하여 상기 제2헤더와 연결되는 열교환기.
KR1020110027220A 2011-03-25 2011-03-25 열교환기 KR101770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220A KR101770432B1 (ko) 2011-03-25 2011-03-25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220A KR101770432B1 (ko) 2011-03-25 2011-03-25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848A true KR20120108848A (ko) 2012-10-05
KR101770432B1 KR101770432B1 (ko) 2017-08-22

Family

ID=47280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220A KR101770432B1 (ko) 2011-03-25 2011-03-25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4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45668A (zh) * 2018-12-30 2019-10-18 浙江吉智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集成式散热器组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6584A (ja) * 1999-06-02 2000-12-15 Denso Corp 熱交換器
JP2001133187A (ja) * 1999-11-05 2001-05-18 Showa Alum Corp 複式熱交換器
JP2005127684A (ja) * 2003-10-27 2005-05-19 Atago Seisakusho:Kk 二重管式熱交換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45668A (zh) * 2018-12-30 2019-10-18 浙江吉智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集成式散热器组件
US11904653B2 (en) 2018-12-30 2024-02-20 Zhejiang Jizhi New Energy Automobile Technology Co., Ltd Integrated radia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0432B1 (ko) 201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4428B1 (en) Heat exchanger
CN103837025B (zh) 微通道换热器
US20130292104A1 (en) Heat exchanger
US10612856B2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AU2013270937B2 (en) Heat exchanger
US10041710B2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KR20130055243A (ko) 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60780A (ko) 응축기
JP7372761B2 (ja)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
EP3473963A1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WO2014041771A1 (ja) 熱交換器
US10337808B2 (en) Condenser
WO2017149950A1 (ja)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KR20170140338A (ko) 적층 판을 갖는 열교환기
CN107121000B (zh) 一种内置换热管高效板翅式换热器
CN207317318U (zh) 换热模块、换热器及冰箱
KR20120108848A (ko) 열교환기
JP2019086278A (ja) 一体型構造を含む印刷基板型熱交換器
JP2022503803A (ja) プレート熱交換器構造
JP2014066502A (ja) 熱交換器および冷凍装置
JP2011196632A (ja) 沸騰冷却装置
WO2021082618A1 (zh) 换热器
WO2012148223A2 (ko) 열교환기
CN113686185A (zh) 两相流热虹吸散热装置
KR20110134650A (ko) 판형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