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8703A - 단열 창고시설의 내부에 시공되는 단열 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단열 창고시설의 내부에 시공되는 단열 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8703A
KR20120108703A KR1020110026914A KR20110026914A KR20120108703A KR 20120108703 A KR20120108703 A KR 20120108703A KR 1020110026914 A KR1020110026914 A KR 1020110026914A KR 20110026914 A KR20110026914 A KR 20110026914A KR 20120108703 A KR20120108703 A KR 20120108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on
wall
urethane foam
steel plate
foa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규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극동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극동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극동플러스
Priority to KR1020110026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8703A/ko
Publication of KR20120108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7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9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고시설의 내부에 시공되는 단열 벽체 구조물은, xy열 각재(116)와 다수개의 지지볼트(117)로 이루어지는 지지 구조체, 상기 구조체 하부에 조립되는 강판(113), 및 상기 강판 위에 우레탄폼을 분사하여 형성된 우레탄폼 층(114)으로 이루어지는 천정 단열 구조물(110), 및 창고 내벽을 따라 설치된 배면강판(123), 배면강판과 표면강판(128)을 지지하기 위한 xyz열 각재(126), 상기 배면강판 위에 우레탄폼을 분사하여 형성된 우레탄폼 층(124), 및 상기 우레탄폼 층을 덮고 상기 xyz열 각재에 고정되는 표면강판(128)으로 이루어지는 벽체 단열 구조물(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천정 단열 구조물(110)과 벽체 단열 구조물(120)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열 창고시설의 내부에 시공되는 단열 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Insulation Wall Structure Installed in Insulation Storage Facility and Method of Building Same}
본 발명은 냉동창고를 비롯한 각종 단열 창고시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열 창고시설의 내부 단열을 위하여 내부의 벽체 및 천정에 시공되는 단열 벽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단열 창고시설은 냉동창고, 냉장창고, 저온창고 등으로 분류되는데, 보통 내부 온도가 +15 내지 -55 정도까지 유지되어야 하는 창고 시설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단열 창고시설은 열에너지를 얼마만큼 효율적으로 이용하느냐가 관건으로 이는 바로 단열효과가 최우선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단열 창고시설은 창고 구조물 내부의 모든 벽면을 비롯하여 천정에 단열 벽체 구조물을 시공함으로써 단열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이제까지 단열 창고시설의 내부에 시공되는 단열 벽체 구조물은 단열판넬이 주류를 이루었다. 단열판넬은 일명 샌드위치 단열판넬로서 단열효과를 위하여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제1도는 단열 창고시설 내부에 시공된 단열 벽체 구조물을 도시하기 위한 종래의 한 구조물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고, 천정에 시공된 종래의 구체적인 단열 벽체 구조물은 제2도에 도시되어 있고, 수직 벽면에 시공된 종래의 단열 벽체 구조물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의 단열 벽체 구조물은 단열판넬(111, 121)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 단열판넬은 일정 규격을 갖는 것으로 서로 인접하는 판넬끼리 접합시켜서 시공한다. 즉 판넬과 판넬 사이에는 접합부(115, 125)가 형성된다. 이러한 접합부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창고 내부의 결로현상에 의하여 서로 박리되게 되고 그 결과 단열효과는 저하될 수밖에 없다. 이 접합부의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접합되는 부분에 서로 암수의 요철을 형성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요철 접합부만으로 결로현상으로 인한 박리 현상을 방지하기에는 미흡하다.
제2도 (B) 및 (C) 및 제4도 (B)에 도시된 종래의 구조물은 단열판넬(111, 121)과 우레탄폼 층(112, 122)을 함께 사용하여 단열을 하였으나, 이 경우에도 장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판넬과 판넬 사이의 접합부(115, 125)에서 결로현상이 일어나고 그 결과 판넬과 우레탄폼 층 사이의 접착면에서도 박리현상이 일어나는 결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시공하기에 편리하고, 충분한 안정성과 강도를 가지며, 완벽하게 단열함으로써 냉동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단열 창고시설의 내부 벽체 및 천정에 시공되는 단열 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법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판넬을 사용하지 않고 우레탄폼 층을 형성함으로써 단열 창고시설의 내부에 시공되는 새로운 구조의 단열 벽체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열 창고시설의 내부 벽체 및 천정에 일체형으로 우레탄폼 층을 형성함으로써 단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단열 벽체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열 창고시설의 내부 벽체 및 천정에 일체형으로 우레탄폼 층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단열판넬 사용 시 발생하는 결로로 인한 박리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단열 벽체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하기에 편리하여 작업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시공비용을 저렴하게 하고, 단열효율을 높임으로써 에너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단열 벽체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창고 구조물의 크기나 구조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단열 벽체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창고 구조물의 천정에 시공 시 필요에 따라 창고 내부에서 우레탄폼 층이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관상 미려함을 갖는 단열 벽체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고시설의 내부에 시공되는 단열 벽체 구조물은, xy열 각재(116)와 다수개의 지지볼트(117)로 이루어지는 지지 구조체, 상기 구조체 하부에 조립되는 강판(113), 및 상기 강판 위에 우레탄폼을 분사하여 형성된 우레탄폼 층(114)으로 이루어지는 천정 단열 구조물(110), 및
창고 내벽을 따라 설치된 배면강판(123), 배면강판과 표면강판(128)을 지지하기 위한 xyz열 각재(126), 상기 배면강판 위에 우레탄폼을 분사하여 형성된 우레탄폼 층(124), 및 상기 우레탄폼 층을 덮고 상기 xyz열 각재에 고정되는 표면강판(128)으로 이루어지는 벽체 단열 구조물(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천정 단열 구조물(110)과 벽체 단열 구조물(120)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정 단열 구조물(110)은 상기 강판(113)이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강판 하부쪽으로 우레탄폼 층(114)이 형성되는 구조로 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강판을 설치한 후 하부쪽에서 강판을 향하여 우레탄을 발포하여 우레탄폼 층을 형성시킨다. 이 경우에는 표면에 형성된 우레탄폼 층이 그대로 노출된다.
강판(113)이 하부에 위치하고, 강판 상부에 우레탄폼 층(114)이 형성되는 제3도와 같은 구조에서는 강판을 설치한 후 상부쪽에서 강판을 향하여 우레탄을 발포하여 우레탄폼 층을 형성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판넬을 사용하지 않고 우레탄폼 층을 단열 창고시설의 내부 벽체 및 천정에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단열판넬 사용 시 발생하는 결로로 인한 박리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그럼으로써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시공하기에 편리하여 작업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시공비용을 저렴하게 하고, 단열효율을 높임으로써 에너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단열 벽체 구조물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제1도는 단열 창고시설 내부에 시공된 단열 벽체 구조물을 도시하기 위한 종래의 한 구조물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제2도는 단열 창고시설 내부 천정에 시공된 다양한 형태의 단열 벽체 구조물을 도시하기 위한 종래 구조물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창고시설 내부 천정에 시공된 단열 벽체 구조물을 도시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제4도는 단열 창고시설 내부의 수직 벽면에 시공된 종래의 단열 벽체 구조물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A)는 단열판넬로만 이루어진 단열 벽체의 단면도이고, (B)는 단열판넬과 우레탄폼 층으로 이루어진 단열 벽체의 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창고시설 내부 수직 벽면에 시공된 단열 벽체 구조물을 도시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냉동창고를 비롯한 각종 단열 창고시설의 내부 단열을 위하여 내부의 벽체 및 천정에 시공되는 단열 벽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단열 창고시설 내부에 시공된 단열 벽체 구조물을 도시하기 위한 종래의 한 구조물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창고를 비롯한 각종 단열 창고시설은 H빔(20)으로 창고 구조물의 외벽에 글라스/울(G/W) 판넬(10)이 시공되고, 그 내부에는 단열 벽체 구조물(100)이 시공된다. 단열 벽체 구조물은 수직 벽면을 따라 시공되는 수직 단열 벽체(120)와 천정에 시공되는 천정 단열 벽체(110)가 일체로 형성된다.
천정에 시공되는 종래의 구체적인 천정 단열 벽체 구조물(110)은 제2도에 도시된다. 제2도에는 3 종류의 천정 단열 벽체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A)는 단열판넬(111)로만 이루어진 단열 벽체의 단면도이고, (B)와 (C)는 단열판넬(111)과 우레탄폼 층(112)으로 이루어진 단열 벽체의 단면도이다. (B)는 단열판넬(111)이 상부에 우레탄폼 층(112)이 하부에 시공된 단열 벽체이고, (C)는 단열판넬(111)이 하부에 우레탄폼 층(112)이 상부에 시공된 단열 벽체이다. 그런데 어느 것이건 종래에는 단열 판넬을 반드시 사용한다. 그런데 이 단열판넬은 일정 규격을 갖는 것으로 서로 인접하는 판넬끼리 접합시켜서 시공한다. 즉 판넬과 판넬 사이에는 접합부(115, 125)가 형성된다. 이러한 접합부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창고 내부의 결로현상에 의하여 서로 박리되게 되고 그 결과 단열효과는 저하될 수밖에 없다. 이 접합부의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접합되는 부분에 서로 암수의 요철을 형성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요철 접합부만으로 결로현상으로 인한 박리 현상은 방지하기에는 미흡하다.
제2도 (B) 및 (C)에 도시된 종래의 구조물은 단열판넬(111, 121)과 우레탄폼 층(112, 122)을 함께 사용하여 단열을 하였으나, 이 경우에도 장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판넬과 판넬 사이의 접합부(115, 125)에서 결로현상이 일어나고 그 결과 판넬과 우레탄폼 층 사이의 접착면에서도 박리현상이 일어나는 결점이 있다.
이러한 결점은 수직 단열 벽체(120)에서도 발생한다. 제4도는 단열 창고시설 내부의 수직 벽면에 시공된 종래의 단열 벽체 구조물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A)는 단열판넬로만 이루어진 단열 벽체의 단면도이고, (B)는 단열판넬과 우레탄폼 층으로 이루어진 단열 벽체의 단면도이다. 단열판넬을 사용하는 종래의 기술은 C형강(119, 129)을 이용하여 판넬을 창고 구조물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고시설의 내부에 시공되는 단열 벽체 구조물은 단열판넬을 사용하지 않고 시공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창고시설 내부 천정에 시공된 단열 벽체 구조물을 도시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천정 단열 구조물(110)은 xy열 각재(116)와 다수개의 지지볼트(117)로 이루어지는 지지 구조체, 상기 구조체 하부에 조립되는 강판(113), 및 상기 강판 위에 우레탄폼을 분사하여 형성된 우레탄폼 층(1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xy열 각재(116)는 다수개의 지지볼트(117)에 의하여 천정에 지지되는데, 이러한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xy열 각재(116)는 천정 단열 구조물(110)을 지탱하고 강판(113)을 고정할 수 있도록 평면상에서 x 및 y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목재를 의미한다.
상기 천정 단열 구조물(110)은 상기 강판(113)이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강판 하부쪽으로 우레탄폼 층(114)이 형성되는 구조로 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강판을 설치한 후 하부쪽에서 강판을 향하여 우레탄을 발포하여 우레탄폼 층을 형성시킨다. 이 경우에는 표면에 형성된 우레탄폼 층이 그대로 노출된다.
강판(113)이 하부에 위치하고, 강판 상부에 우레탄폼 층(114)이 형성되는 제3도와 같은 구조에서는 강판을 설치한 후 상부쪽에서 강판을 향하여 우레탄을 발포하여 우레탄폼 층을 형성시킨다.
본 발명의 벽체 단열 구조물(120)은 창고 내벽을 따라 설치된 배면강판(123), 배면강판과 표면강판(128)을 지지하기 위한 xyz열 각재(126), 상기 배면강판 위에 우레탄폼을 분사하여 형성된 우레탄폼 층(124), 및 상기 우레탄폼 층을 덮고 상기 xyz열 각재에 고정되는 표면강판(12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xyz열 각재(126)는 벽체 단열 구조물(120)을 지지하고 표면강판(128)을 고정하기 x, y, z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목재 구조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강판은 T0.5 갈바륨 강판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우레탄 폼은 이미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벽체 단열 구조물(120)은 창고 내벽을 따라 배면강판(123)과 그 외부쪽으로 xyz열 각재(126)를 설치하고, 상기 배면강판 위에 우레탄폼을 분사하여 우레탄폼 층(124)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xyz열 각재에 표면강판(128)을 고정시키는 순서로 시공한다. 물론 이 경우 표면강판을 설치하지 않고 우레탄폼 층을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단열판넬을 사용하지 않고 우레탄폼 층만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단열판넬 사용 시 발생하는 결로로 인한 박리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그럼으로써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단열효율을 높임으로써 에너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0: 외벽 글라스/울(G/W) 판넬 20: H빔
100: 단열 벽체 구조물 110: 천정 단열 벽체
120: 수직 단열 벽체 111, 121: 단열판넬
112, 114, 122, 124: 우레탄폼 층 113: 강판
115: 접합부 116: xy열 각재
117: 지지볼트 119, 129: C형강
123, 128: 강판 126: xyz열 각재

Claims (4)

  1. xy열 각재(116)와 다수개의 지지볼트(117)로 이루어지는 지지 구조체, 상기 구조체 하부에 조립되는 강판(113), 및 상기 강판 위에 우레탄폼을 분사하여 형성된 우레탄폼 층(114)으로 이루어지는 천정 단열 구조물(110); 및
    창고 내벽을 따라 설치된 배면강판(123), 배면강판과 표면강판(128)을 지지하기 위한 xyz열 각재(126), 상기 배면강판 위에 우레탄폼을 분사하여 형성된 우레탄폼 층(124), 및 상기 우레탄폼 층을 덮고 상기 xyz열 각재에 고정되는 표면강판(128)으로 이루어지는 벽체 단열 구조물(120);
    로 이루어지고, 상기 천정 단열 구조물(110)과 벽체 단열 구조물(120)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고시설의 내부에 시공되는 단열 벽체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 단열 구조물(110)은 상기 강판(113)이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강판 하부쪽으로 우레탄폼 층(114)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고시설의 내부에 시공되는 단열 벽체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단열 구조물(120)은 창고 내벽을 따라 설치된 배면강판(123), 배면강판과 표면강판(128)을 지지하기 위한 xyz열 각재(126), 및 상기 배면강판 위에 우레탄폼을 분사하여 형성된 우레탄폼 층(12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고시설의 내부에 시공되는 단열 벽체 구조물.
  4. 창고 내벽을 따라 배면강판(123)과 그 외부쪽으로 xyz열 각재(126)를 설치하고, 상기 배면강판 위에 우레탄폼을 분사하여 우레탄폼 층(124)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xyz열 각재에 표면강판(128)을 고정시키는 단계에 의하여 벽체 단열 구조물(120)을 시공하고; 그리고
    xy열 각재(116)와 다수개의 지지볼트(117)로 이루어지는 지지 구조체를 설치하고, 상기 구조체 하부에 강판(113)을 조립하고, 그리고 상기 강판 위에 우레탄폼을 분사하여 우레탄폼 층(114)을 형성하여 천정 단열 구조물(110)을 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단열 창고시설의 내부에 시공되는 단열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110026914A 2011-03-25 2011-03-25 단열 창고시설의 내부에 시공되는 단열 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201087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914A KR20120108703A (ko) 2011-03-25 2011-03-25 단열 창고시설의 내부에 시공되는 단열 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914A KR20120108703A (ko) 2011-03-25 2011-03-25 단열 창고시설의 내부에 시공되는 단열 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703A true KR20120108703A (ko) 2012-10-05

Family

ID=47280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914A KR20120108703A (ko) 2011-03-25 2011-03-25 단열 창고시설의 내부에 시공되는 단열 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87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5652A (ko) 2020-09-14 2022-03-22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냉동 창고의 단열 벽체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5652A (ko) 2020-09-14 2022-03-22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냉동 창고의 단열 벽체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6461B1 (ko) 공동주택의 바닥과 벽체로 전달되는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 구조 및 시공 방법
RU2559237C2 (ru) Система изоляции стены, содержащая блоки с расположенными под углом сторонами
JP2007056468A (ja) 断熱気密構造体
CA2832006C (en) Wall insulation system with rectangular blocks
KR101614935B1 (ko) 조립식 경량 패널
US9909305B2 (en) Composite wall assembly
US20100325988A1 (en) Modul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modular building
JP2016216897A (ja) 建物の断熱構造
KR20120108703A (ko) 단열 창고시설의 내부에 시공되는 단열 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6691746B2 (ja) 建物の外周壁構造
KR101151612B1 (ko) 냉동 칸막이 판넬의 하부 받침용 단열패드 및 냉동 칸막이 판넬의 단열 시공방법
KR101293535B1 (ko) 수직지지력이 보강된 내력벽체 및 이의 시공방법
JP6001942B2 (ja) 建物の屋根構造
KR100533354B1 (ko) 라이너 패널을 이용한 지붕 천정구조
JP2017160611A (ja) 壁面パネル
KR101057766B1 (ko) 건축물용 패널
CA2952733C (en) Rigid insulated roofing system
KR100555320B1 (ko) 오픈조인트식 외벽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외벽체 시공방법
JP6433718B2 (ja) 建物の基礎気密構造及び建物
CN212427655U (zh) 可拆卸的防火防爆隔断
JP6928421B2 (ja) 屋根構造
KR200345484Y1 (ko) 라이너 패널을 이용한 지붕 천정구조
JP6422687B2 (ja) 断熱気密外壁構造
JP6417136B2 (ja) ユニット式建物の断熱構造および断熱方法
CN216475809U (zh) 夹层楼板、夹层楼板的装配式结构及夹层楼板用轻型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