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5624A - 안전 승강수단이 구비된 조명타워 - Google Patents

안전 승강수단이 구비된 조명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5624A
KR20120105624A KR1020110023154A KR20110023154A KR20120105624A KR 20120105624 A KR20120105624 A KR 20120105624A KR 1020110023154 A KR1020110023154 A KR 1020110023154A KR 20110023154 A KR20110023154 A KR 20110023154A KR 20120105624 A KR20120105624 A KR 20120105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body
fixed terminal
power
power supply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1610B1 (ko
Inventor
강원일
Original Assignee
강원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일 filed Critical 강원일
Priority to KR1020110023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610B1/ko
Publication of KR20120105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8Arrangement or mounting of circuit el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3/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point-like light source; 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light source of unspecified shape
    • F21S13/02Devices intended to be fixed, e.g. ceiling lamp, wall lamp
    • F21S13/10Devices intended to be fixed, e.g. ceiling lamp, wall lamp with a standard, e.g. street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57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operating status of the lighting device, e.g. to detect failure of a light source or to provide feedback to the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승강수단이 구비된 조명타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의 외주연에 복수의 레일이 양측에 설치된 레일하우징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레일을 따라 구동하는 롤러가 설치되고 조명설치대가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이송체를 레일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도록 설치하며, 지주의 내부 바닥면에는 복수의 유도롤러에 안내되어 이송체와 연결된 와이어가 권취되어 감속모터에 의해 정역구동하는 보빈을 설치하여 감속모터의 정,역구동에 의해 조명설치대가 결합된 이송체가 승강되도록 구성하되,
이송체가 지주 위로 상승하였을때 조명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이송체가 안전하게 상승 및 하강하여 정위치에 정지하도록 감속모터를 구동하고, 이송체가 상승위치에 정지하였을때 전원공급수단에서 조명램프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롤러가 빠지지 않는 'ㄷ'자 모양의 레일에 안내된 상태로 와이어에 매달려 이송체가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안전하게 조명설치대를 하강시켜 조명타워의 조명램프를 교체할 수 있고, 램프설치대가 상승한 상태에서 브레이크바가 지주로 부터 돌출되어 이송체의 하부를 받쳐줌에 따라 더욱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명설치대가 상승했을때에만 전원공급수단에서 전원이 조명램프로 공급됨에 따라 조명설치대에 전선을 연결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선에 의한 고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폭풍우로 인해 규정속도 이상의 풍속이 감지될때 위급상황을 사용자 무선단말기로 통보하여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 승강수단이 구비된 조명타워{Lighting tower}
본 발명은 안전 승강수단이 구비된 조명타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가 빠지지 않는 'ㄷ'자 모양의 레일에 안내된 상태로 와이어에 매달려 이송체가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안전하게 조명설치대를 하강시켜 조명타워의 조명램프를 교체할 수 있고, 램프설치대가 상승한 상태에서 브레이크바가 지주로 부터 돌출되어 이송체의 하부를 받쳐줌에 따라 더욱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명설치대가 상승했을때에만 전원공급수단에서 전원이 조명램프로 공급됨에 따라 조명설치대에 전선을 연결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선에 의한 고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폭풍우로 인해 규정속도 이상의 풍속이 감지될때 위급상황을 사용자 무선단말기로 통보하여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안전 승강수단이 구비된 조명타워에 관한 것이다.
조명탑은 각종 야외 축구장, 테니스장, 야구장 등 다양한 경기장에 설치되어 야간에 경기장을 밝혀주는 용도로 사용되며, 점차 생활체육시설이 확충됨에 따라 증가하는 인조잔디구장에 야간경기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종래의 조명탑은 조명타워의 상부에 램프설치대를 고정 설치하고, 그 램프설치대에 다수의 조명램프를 설치한 구성이다.
그러나, 종래의 조명탑은 램프설치대가 조명타워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명램프를 정비하거나 교체하고자 할 때 작업자가 높은 조명타워의 상부로 올라가 직접 교체해야만 하므로 교체작업이 매우 위험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조명탑 관리자는 여러개의 조명램프가 고장났을때에 한번에 교체하고 있으며, 이는 조명탑의 밝기 감소를 유발하여 조명탑이 제기능을 다하지 못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롤러가 빠지지 않는 'ㄷ'자 모양의 레일에 안내된 상태로 와이어에 매달려 이송체가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안전하게 조명설치대를 하강시켜 조명타워의 조명램프를 교체할 수 있고, 램프설치대가 상승한 상태에서 브레이크바가 지주로 부터 돌출되어 이송체의 하부를 받쳐줌에 따라 더욱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명설치대가 상승했을때에만 전원공급수단에서 전원이 조명램프로 공급됨에 따라 조명설치대에 전선을 연결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선에 의한 고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폭풍우로 인해 규정속도 이상의 풍속이 감지될때 위급상황을 사용자 무선단말기로 통보하여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안전 승강수단이 구비된 조명타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지주의 외주연에 복수의 레일이 양측에 설치된 레일하우징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레일을 따라 구동하는 롤러가 설치되고 조명설치대가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이송체를 레일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도록 설치하며, 지주의 내부 바닥면에는 복수의 유도롤러에 안내되어 이송체와 연결된 와이어가 권취되어 감속모터에 의해 정역구동하는 보빈을 설치하여 감속모터의 정,역구동에 의해 조명설치대가 결합된 이송체가 승강되도록 구성하되,
이송체가 지주 위로 상승하였을때 조명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이송체가 안전하게 상승 및 하강하여 정위치에 정지하도록 감속모터를 구동하고, 이송체가 상승위치에 정지하였을때 전원공급수단에서 조명램프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롤러가 빠지지 않는 'ㄷ'자 모양의 레일에 안내된 상태로 와이어에 매달려 이송체가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안전하게 조명설치대를 하강시켜 조명타워의 조명램프를 교체할 수 있고, 램프설치대가 상승한 상태에서 브레이크바가 지주로 부터 돌출되어 이송체의 하부를 받쳐줌에 따라 더욱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명설치대가 상승했을때에만 전원공급수단에서 전원이 조명램프로 공급됨에 따라 조명설치대에 전선을 연결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선에 의한 고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폭풍우로 인해 규정속도 이상의 풍속이 감지될때 위급상황을 사용자 무선단말기로 통보하여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조명탑 안전 승강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전원공급수단을 보인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적용된 전원공급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제어수단을 보인 블럭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해 조명설치대가 하강한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지주(1)의 외주연에 복수의 레일(3)이 양측에 설치된 레일하우징(2)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레일(2)을 따라 구동하는 롤러(14)가 설치되고 조명설치대(11)가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이송체(10)를 레일(3)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도록 설치하며, 지주(1)의 내부 바닥면에는 복수의 유도롤러(18)에 안내되어 이송체(10)와 연결된 와이어(17)가 권취되어 감속모터(15)에 의해 정역구동하는 보빈(16)을 설치하여 감속모터(15)의 정,역구동에 의해 조명설치대(11)가 결합된 이송체(10)가 승강되도록 구성하되,
이송체(10)가 지주(1) 위로 상승하였을때 조명램프(12)를 점등하기 위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30)과;
이송체(10)가 안전하게 상승 및 하강하여 정위치에 정지하도록 감속모터(15)를 구동하고, 이송체(10)가 상승위치에 정지하였을때 전원공급수단(30)에서 조명램프(12)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주(1)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지주(1)의 상부에는 빗물 가림용 커버(4)가 수평상으로 설치되며, 커버(4)의 저면에 복수개의 유도롤러(18)가 설치되어 와이어(17)를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지주(1)의 외주연에는 레일하우징(2)이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데, 레일하우징(2)의 양측에는 복수의 'ㄷ'자 모양 레일(3)이 수직방향으로 결합된다.
다수의 조명램프(12)가 설치된 조명설치대(11)가 전면부에 설치되는 이송체(10)의 양측에는 소정길이의 연결바(13)가 볼트로 결합되고, 그 연결바(13)의 끝단부에는 각각 레일(3) 내부로 삽입되어 레일(3)에 안내되어 구름이동하는 롤러(14)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지주(1)의 내부 바닥부에는 감속모터(15)에 의해 정역구동하는 보빈(16)이 설치되며, 상기 보빈(16)에는 지주(1)의 내부와 커버(4)의 저면부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유도롤러(18)에 의해 유도되어 끝단이 이송체(10)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17)가 감겨진다.
따라서, 감속모터(15)가 정역구동함에 따라 와이어(17)가 보빈(16)에 감겨지거나 풀어지면서 조명설치대(11)가 결합되어 있는 이송체(10)가 레일(3)을 따라 안전하게 상하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전원공급수단(30)은,
하부에 경사면(32)을 구비한 고정단자하우징(31)을 레일하우징(2)의 상부에 돌출되게 설치하고, 상기 경사면(32)에 한쌍의 고정단자(33)을 돌출형성하며, 고정단자(33) 주변으로 고정단자하우징(31)에 매립되게 전자석(34)을 설치하여 제어수단(20)으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전자석(34)과 같은 전원연결수단이 자화되어 자력을 발산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고정단자하우징(31) 내부에 제어수단(20)의 제어에 따라 전원을 고정단자(33)로 출력하는 전원공급부(35)를 설치하여 전원공급부(35)에서 출력된 전원이 고정단자(33)에 인가되도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경사면(32)에 대응하도록 소정각도 경사지게 경사판(36)을 이송체(10)의 상부에 설치하고, 도 6 과 같이 탄성을 갖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된 브러쉬(38)를 고정단자(33)에 대응하도록 경사판(36) 상부면에 설치하여 가동단자(37)를 구성한다.
이송체(10)가 최상 위치로 상승하였을때 가동단자(37)를 이루는 브러쉬(38)의 끝단은 도 6a와 같이 고정단자(33)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이며, 제어수단(20)의 제어에 의해 전자석(34)에서 자력이 발산될때 브러쉬(38)의 끝단이 자력에 이끌려 도 6b와 같이 상승하면서 고정단자(33)에 접촉되므로서, 고정단자(33)와 가동단자(37)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가동단자(37)는 미도시된 조명램프 전원공급부(조명램프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따라, 이송체(10)가 상부위치로 상승하였을때 전자석(34)의 자력에 의해 브러쉬(38)가 상승하면서 고정단자(33)에 접속되어 전원공급부(35)에서 출력된 전원을 조명램프(12)로 공급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이루는 제어수단(20)은,
지주(1)의 하단에 설치되고 다수의 기능키이로 이루어져 있는 조작패널(21)과,
레일하우징(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승하는 이송체(10)에 매립되게 설치된 자성체(19)의 자력을 감지하여 이송체(10)의 상부위치 이동상태를 감지하는 정위치센서(24)와,
정위치센서(24)의 하방에 설치되어 이송체(10)에 매립되게 설치된 자성체(19)의 자력을 감지하여 이송체(10)가 상부위치에 근접한 상태를 감지하는 근접센서(23)와,
사용자의 조작페널(21) 조작에 따라 이송체(10)가 승하강하도록 인버터(25)를 통해 감속모터(15)를 정,역구동시키고, 이송체(10)의 상승동작시 근접센서(23)에 의해 이송체(10)가 감지되었을때 감속모터(15)의 구동속도를 감속시킨 후 정위치센서(24)에 의해 이송체(10)가 감지되었을때 감속모터(15)를 정지시키는 제어부(22)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20)은,
풍속을 감지하는 풍속센서(27)와,
사용자 무선단말기로 경보문자 또는 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26)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22)는 풍속센서(27)에서 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풍속이 감지되었을때 무선통신부(26)를 통해 사용자가 휴대한 무선단말기로 경보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레일하우징(2)의 상부에 장착홈(40)을 타공하고, 저면부에 랙기어(42)가 형성된 브레이크바(41)를 장착홈(40)으로 부터 출몰가능하게 설치하며, 랙기어(42)와 맞물리는 구동기어(44)가 축지된 브레이크모터(43)를 장착홈(40) 내에 설치하고,
제어부(22)는 정위치센서(24)에 의해 이송체(10)가 상부위치로 상승한 것이 감지되었을때, 감속모터(15)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브레이크모터(43)를 작동시켜 브레이크바(41)가 장착홈(40)으로 부터 돌출되어 이송체(10)를 안전하게 받쳐주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22)는 전자석(34)을 구동시킨 상태에서, 전원공급부(35)에서 미세전류가 고정단자(33)로 출력되도록 테스트하여 고정단자(33)와 가동단자(37)의 정상적인 접촉을 확인한 후 전원공급부(35)로 부터 정상전원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어수단(20)의 동작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 과 같이 조명설치대(11)가 설치되어 있는 이송체(10)를 상승시키고자 하여 사용자가 조작패널(21)의 특정 버튼을 입력하면,
제어부(22)는 감속모터(15)를 구동시켜 와이어(17)가 보빈(16)에 감겨지도록하여 이송체(10)를 상승시킨다.
이송체(10)는 레일(3)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롤러(14)에 의해 안전한 상태로 상승하게 되며, 이송체(10)가 상부위치(최상위 정지위치)에 근접하였을때 정위치센서(24)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근접센서(23)가 이송체(10)에 매립되어 있는 자성체(19)의 자력을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22)로 출력하고, 제어부(22)는 근접센서(23)에 의해 이송체(10)가 감지되었으므로 이송체(10)가 상부위치에 근접한 것을 인지한 후 감속모터(15)의 구동속도를 줄여주고, 이후 정위치센서(24)에 의해 이송체(10)가 감지되면 제어부(22)는 이송체(10)가 상부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 후 감속모터(15)를 정지시켜 이송체(10)가 더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제어한 후 브레이크모터(43)를 작동시켜 브레이크바(41)가 장착홈(40)으로 부터 돌출되면서 이송체(10)의 하부를 안전하게 받쳐주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송체(10)가 상부위치에 도달하게되면, 전원공급수단(30)의 가동단자(37)인 브러쉬(38)가 도 6a와 같이 고정단자(33)에 근접하되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22)는 전원연결수단인 전자석(34)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전자석(34)에서 자력이 발산되도록 하고, 전자석(34)에서 발생된 자력에 의해 브러쉬(38)의 끝부분이 상승하면서 고정단자(33)에 접촉된다.
전자석(34)을 자화시킨 제어부(22)는 전원공급부(35)를 제어하여 미세전류가 고정단자(33)로 출력되도록 테스트하여 고정단자(33)와 가동단자(37)가 서로 접촉되어있는지를 확인한다.
미세전류를 고정단자(33)로 흘려 고정단자(33)와 가동단자(37)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테스트하는 것은, 고정단자(33)와 가동단자(37)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었을때 고정단자(33)와 가동단자(37)를 통해 전원공급부(35)와 조명램프(12)가 폐회로를 이루게되는 것이므로 고정단자(33)를 통해 출력된 미세전류가 접지측으로 흐르는 것을 감지하여 테스트할 수 있고, 또다른 방법으로는 가동단자(37)로 부터 전원공급부(35) 측으로 바이패스되는 감지라인을 더 형성하여 고정단자(33)와 가동단자(37)의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설명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단자(33)와 가동단자(37)의 접촉상태를 확인한 제어부(22)는 전원공급부(35)에서 조명램프(12)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이 출력되도록 하여 조명램프(12)가 점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설명과 같이 이송체(10)가 지주(1)의 상부로 상승되어 정상 작동하는 상태에서, 풍속센서(27)는 주변의 바람세기를 감지하여 제어부(22)로 출력하고, 제어부(22)는 풍속센서(27)에서 감지되는 풍속이 규정치 이상일 경우 조명설치대(11)가 강한 바람에 흔들리거나 추락할 수 있는 위험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무선통신부(26)를 통해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휴대한 무선단말기(휴대폰, 스마트폰 등)로 경보 메세지를 전송하여 위험상황에 사용자가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상승된 상태의 이송체(10)를 하강시키고자 하여 사용자가 조작패널(21)의 특정 버튼을 입력하면, 제어부(22)는 전원공급부(35)에서 전원이 출력되지 않도록 차단시킨 후 전자석(34)으로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하여 고정단자(33)로 부터 가동단자(37)가 분리되도록 하며, 이후 브레이크모터(43)를 역방향으로 작동시켜 브레이크바(41)가 후퇴하도록 하여 이송체(10)의 록킹상태를 해제한 후 감속모터(15)를 구동시켜 와이어(17)가 풀어지도록 하여 서서히 이송체(10)가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으로 조명설치대(11)가 하강하면, 사용자는 조명램프(12)를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조명램프(12)가 조명설치대(11)에 국한되어 설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조명설치대(11)를 원형으로 형성하거나 복수개소에 설치하면 조명램프(12)를 환형으로 설치할 수 있게된다.
1: 지주, 2: 레일하우징,
3: 레일, 4: 커버,
10: 이송체, 11: 조명설치대,
12: 조명램프, 13: 연결바,
14: 롤러, 15: 감속모터,
16: 보빈, 17: 와이어,
18: 유도롤러, 19: 자성체,
20: 제어수단, 21: 조작패널,
22: 제어부, 23: 근접센서,
24: 정위치센서, 25: 인버터,
26: 무선통신부, 27: 풍속센서,
30: 전원공급수단, 31: 고정단자하우징,
32: 경사면, 33: 고정단자,
34: 전자석, 35: 전원공급부,
36: 경사판, 37: 가동단자,
38: 브러쉬, 40: 장착홈,
41: 브레이크바, 42: 랙기어,
43: 브레이크모터, 44: 구동기어,

Claims (6)

  1. 지주(1)의 외주연에 복수의 레일(3)이 양측에 설치된 레일하우징(2)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레일(2)을 따라 구동하는 롤러(14)가 설치되고 조명설치대(11)가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이송체(10)를 레일(3)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도록 설치하며, 지주(1)의 내부 바닥면에는 복수의 유도롤러(18)에 안내되어 이송체(10)와 연결된 와이어(17)가 권취되어 감속모터(15)에 의해 정역구동하는 보빈(16)을 설치하여 감속모터(15)의 정,역구동에 의해 조명설치대(11)가 결합된 이송체(10)가 승강되도록 구성하되,
    이송체(10)가 지주(1) 위로 상승하였을때 조명램프(12)를 점등하기 위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30)과;
    이송체(10)가 안전하게 상승 및 하강하여 정위치에 정지하도록 감속모터(15)를 구동하고, 이송체(10)가 상승위치에 정지하였을때 전원공급수단(30)에서 조명램프(12)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승강수단이 구비된 조명타워.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원공급수단(30)은,
    하부에 경사면(32)을 구비하면서 레일하우징(2)의 상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고정단자하우징(31)과,
    경사면(32)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쌍의 고정단자(33)와,
    고정단자(33) 주변으로 고정단자하우징(31)에 매립되게 설치되고, 제어수단(20)으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자화되는 전원연결수단과,
    고정단자하우징(31) 내에 설치되어 제어수단(20)의 제어에 따라 전원을 고정단자(33)로 출력하는 전원공급부(35)와,
    상기 경사면(32)에 대응하도록 소정각도 경사지게 이송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경사판(36)과,
    탄성을 갖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된 브러쉬(38)를 고정단자(33)에 대응하도록 경사판(36) 상부면에 설치하여 이루어진 가동단자(37),
    로 구성하여 이송체(10)가 상부위치로 상승하였을때 전원연결수단의 자력에 의해 브러쉬(38)가 상승하면서 고정단자(33)에 접속되어 전원공급부(35)에서 출력된 전원을 조명램프(12)로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승강수단이 구비된 조명타워.
  3.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20)은,
    지주(1)의 하단에 설치되는 조작패널(21)과,
    레일하우징(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승하는 이송체(10)에 매립되게 설치된 자성체(19)의 자력을 감지하여 이송체(10)의 상부위치 이동상태를 감지하는 정위치센서(24)와,
    정위치센서(24)의 하방에 설치되어 이송체(10)에 매립되게 설치된 자성체(19)의 자력을 감지하여 이송체(10)가 상부위치에 근접한 상태를 감지하는 근접센서(23)와,
    사용자의 조작페널(21) 조작에 따라 이송체(10)가 승하강하도록 인버터(25)를 통해 감속모터(15)를 정,역구동시키고, 이송체(10)의 상승동작시 근접센서(23)에 의해 이송체(10)가 감지되었을때 감속모터(15)의 구동속도를 감속시킨 후 정위치센서(24)에 의해 이송체(10)가 감지되었을때 감속모터(15)를 정지시키는 제어부(22), 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승강수단이 구비된 조명타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0)은,
    풍속을 감지하는 풍속센서(27)와,
    사용자 무선단말기로 경보문자 또는 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26)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22)는 풍속센서(27)에서 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풍속이 감지되었을때 무선통신부(26)를 통해 사용자가 휴대한 무선단말기로 경보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승강수단이 구비된 조명타워.
  5. 제 1 항에 있어서, 레일하우징(2)의 상부에 장착홈(40)을 타공하고, 저면부에 랙기어(42)가 형성된 브레이크바(41)를 장착홈(40)으로 부터 출몰가능하게 설치하며, 랙기어(42)와 맞물리는 구동기어(44)가 축지된 브레이크모터(43)를 장착홈(40) 내에 설치하고,
    제어부(22)는 정위치센서(24)에 의해 이송체(10)가 상부위치로 상승한 것이 감지되었을때, 감속모터(15)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브레이크모터(43)를 작동시켜 브레이크바(41)가 장착홈(40)으로 부터 돌출되어 이송체(10)를 안전하게 받쳐주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승강수단이 구비된 조명타워.
  6. 제 3 항에 있어서, 제어부(22)는 전원연결수단을 구동시킨 상태에서, 전원공급부(35)에서 미세전류가 고정단자(33)로 출력되도록 테스트하여 고정단자(33)와 가동단자(37)의 정상적인 접촉을 확인한 후 전원공급부(35)로 부터 정상전원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승강수단이 구비된 조명타워.
KR1020110023154A 2011-03-16 2011-03-16 안전 승강수단이 구비된 조명타워 KR101291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154A KR101291610B1 (ko) 2011-03-16 2011-03-16 안전 승강수단이 구비된 조명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154A KR101291610B1 (ko) 2011-03-16 2011-03-16 안전 승강수단이 구비된 조명타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624A true KR20120105624A (ko) 2012-09-26
KR101291610B1 KR101291610B1 (ko) 2013-07-31

Family

ID=47112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154A KR101291610B1 (ko) 2011-03-16 2011-03-16 안전 승강수단이 구비된 조명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6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094B1 (ko) * 2013-07-03 2014-12-04 한국도로공사 조명기구 회전형 입간판
KR102419090B1 (ko) * 2021-12-14 2022-07-11 (주)삼진이아이씨 안전시스템을 구비하는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803B1 (ko) * 2015-03-20 2016-11-29 임민영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
KR102389154B1 (ko) * 2020-04-08 2022-04-22 김성철 등기구 승강구조를 갖는 가로등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1422B1 (ko) * 1997-04-17 2000-04-15 강영주 승강구조를 갖춘 타워조명장치
KR20100049889A (ko) * 2008-11-04 2010-05-13 주식회사 진우엘텍 호이스트를 이용한 조명탑의 조명등 승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094B1 (ko) * 2013-07-03 2014-12-04 한국도로공사 조명기구 회전형 입간판
KR102419090B1 (ko) * 2021-12-14 2022-07-11 (주)삼진이아이씨 안전시스템을 구비하는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1610B1 (ko) 201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610B1 (ko) 안전 승강수단이 구비된 조명타워
KR100972781B1 (ko) 무대용 바텐 승강장치
US9994333B2 (en) Rotorcraft winch ligh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 rotorcraft winch lighting device
JP2004518245A (ja) 昇降機能を持つ高所照明灯設備
KR101133858B1 (ko) 천장 설치형 중량물용 승강 장치
KR20100040648A (ko) 고소조명 승강장치
KR101658334B1 (ko) 등기구용 승강장치
KR100988762B1 (ko) 무대장비 승강기용 안전장치
KR102050020B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279263B1 (ko) 화재경보장치
KR20100024884A (ko) 고소조명 승하강장치
KR102064170B1 (ko) 인체 감지형 리프팅 구조를 가진 조명기구
KR101789647B1 (ko) 승강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
KR102137644B1 (ko)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 시험 장치
KR101419518B1 (ko) 무대설비용 승강시스템
KR100990797B1 (ko) 조도 조절이 가능한 조명 승하강장치
KR100495521B1 (ko) 음성응답 운전 조작반 및 비상제동 브레이크 구조와 편차조정 스트로크 장치가 형성된 무선점소등 승하강 제어조명타워
CN219036387U (zh) 一种智慧路灯
KR101658336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
KR102280972B1 (ko)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58335B1 (ko) 자동 전원연결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
KR102419090B1 (ko) 안전시스템을 구비하는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
KR20070113554A (ko)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에서의 비접촉식 드럼 회전수감지장치
JP6434374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内照明装置
JP3956451B2 (ja) 照明ポ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