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5428A - 운송수단을 운반선에 싣고 내리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대응하는 운반선 - Google Patents

운송수단을 운반선에 싣고 내리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대응하는 운반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5428A
KR20120105428A KR1020127010395A KR20127010395A KR20120105428A KR 20120105428 A KR20120105428 A KR 20120105428A KR 1020127010395 A KR1020127010395 A KR 1020127010395A KR 20127010395 A KR20127010395 A KR 20127010395A KR 20120105428 A KR20120105428 A KR 20120105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rrier
crossbeam
unloading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0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8419B1 (ko
Inventor
크리스티앙 푸지아뜨
베흐나흐 포감
Original Assignee
에따블리시망 보프 트뢰이 제브
데쎄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따블리시망 보프 트뢰이 제브, 데쎄엔에스 filed Critical 에따블리시망 보프 트뢰이 제브
Publication of KR20120105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30Devices for guiding boats to water surface
    • B63B23/34Guiding means for lowering by cables, e.g. for list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30Devices for guiding boats to wat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B63B27/143R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marine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2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longitudinal movement of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2Devices for facilitating retrieval of floating objects, e.g. for recovering crafts from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선의 후미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개구(opening)를 통하여 운반선에 운송수단을 싣고 내리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운송수단을 싣고 내리는 모터구동수단(12)과 결합된, 운송수단을 수용하는 경사진 램프(11)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구동수단은, 운반선을 위한 크로스빔형 수단(crossbeam-shaped means)(13)을 포함하는데; 상기 크로스빔형 수단은, 상기 램프 상부에서 연장되고, 운송수단을 호이스트 및 릴리스하는 케이블(18)과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은 운송수단을 호이스트 및 릴리스하는 제1 구동수단(14)과 결합되고; 상기 크로스빔형 수단은, 상기 램프의 상부에서 제2 구동수단(15)을 이용하여, 운송수단을 호이스트 및 릴리스하는 후방위치 및 운반선 내 상기 램프 상에 운송수단을 저장하는 전방위치 사이에서, 운반선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을 싣고 내리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운송수단을 운반선에 싣고 내리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대응하는 운반선{SYSTEM FOR LOADING/UNLOADING A VEHICLE INTO/FROM CARRIER SHIP, AND CORRESPONDING CARRIER SHIP}
본 발명은, 운송수단(vehicle)을 운반선(carrier ship)에 싣고 내리는(하역) 시스템, 그리고 그러한 시스템이 장착된 운반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운반선의 후미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개구(opening)을 통하여 운송수단을 싣고 내리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상기 시스템은 운송수단을 싣고 내리기 위한 모터구동수단과 연결된, 운송수단을 수용하는 경사진 램프(angled vehicle-receiving ramp)을 포함한다.
이러한 운송수단은 예컨대, 고속 워터크래프트(watercraft) 또는 드론(drone)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워터크래프트는 해적활동 또는 다양한 유형의 밀매를 공습하는 개입팀(intervention team)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적용예에서, 워터크래프트를 싣고 내리는 수단이 상기 운반선의 운용 품질을 좌우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상기 수단은 신속하고, 신뢰할 수 있고, 분리되고, 안전하게 상기 워터크래프트를 싣고 내리게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종류의 하역 시스템은 이미 종래기술에 존재한다.
크레인(crane); 선박의 이물(fore part of ship); 경사진 램프(angled ramp); 호이스트 윈치(hoisting winch) 또는 핸들링 트롤리(handling trolley) 또는 다리형 크레인(bridge crane) 및 선박의 외부로 개방되는 도어로 구성된 시스템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시스템에 대한 다른 예시들은 FR-A-2 660 915, US 4,864,957, US 2008/0202405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들은 일정한 결점, 특히 시스템의 설치, 사용 속도, 부피, 분리성, 사용자 안전, 복잡성, 또는 운송수단을 하역하는 동안 운반선이 특정한 자세를 취해야 할 필요성과 관련하여 결점을 지니고 있다.
운반선의 후미를 통하여 선적하는 유형을 실시하는 경우 일정한 이점이 있는데, 신속하다는 점, 선방의 이동 중에도 가능하다는 점, 외부 충격으로부터 좀더 분리된다는 점을 포함한다.
이 경우, 워터크래프트 또는 드론을 수면에 내려놓기 위해서, 후미 램프(rear ramp)가 수평면에 대하여 약 15도의 각으로 경사져 있어야 한다.
그러나, 운반선의 후미갑판(quarterdeck)의 배열로 인하여, 특히 운반선이 항공기용 하륙장(landing platform) 및 그 아래에 설치된 공간을 갖추고 있는 경우, 때때로 그러한 각도를 가질 수 없다.
더욱이, 선적된 워터크래프트와 드론의 길이가 예컨대 11미터에 이를 수 있고, 선박의 후미에 있는 이중 갑판(twin deck)의 제한된 높이로 인하여, 급한 경사를 가진 램프는 그러한 워터크래프트를 덮개 있는 후미갑판에 선적할 수 없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개입선박(intervention vehicle)은, 작전상의 목적으로, 대개 헬리콥터 또는 선상 드론과 같은 항공기와 결합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운반선의 후미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개구(opening)를 통하여 운반선에 운송수단을 싣고 내리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운송수단을 싣고 내리는 모터구동수단과 결합된, 운송수단을 수용하는 경사진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구동수단은, 운반선을 위한 크로스빔형 수단(crossbeam-shaped means)을 포함하는데; 상기 크로스빔형 수단은, 상기 램프 상부에서 연장되고, 운송수단을 호이스트 및 릴리스하는 케이블과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은 운송수단을 호이스트 및 릴리스하는 제1 구동수단과 결합되고; 상기 크로스빔형 수단은, 상기 램프의 상부에서 제2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운송수단을 호이스트 및 릴리스하는 후방위치 및 운반선 내 상기 램프 상에 운송수단을 저장하는 전방위치 사이에서, 운반선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크로스빔형 수단은, 상기 크로스빔형 수단이 상기 전방위치와 후방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동안, 운송수단이 릴리스될 때 운송수단을 밀어내기 위한 크래들형 수단(cradle-shaped mean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을 싣고 내리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역 시스템은 다음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 상기 크로스빔형 수단은, 운송수단을 호이스트 및 릴리스하는 케이블을 위한 리턴 풀리(return pulley)를 구성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 상기 크로스빔형 수단의 횡단부(transverse end)는 제2 구동수단과 연결된 이동 피니언(movement pinion)을 포함하는데, 상기 크로스빔형 수단을 전방위치와 후방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피니언은 상기 램프의 양측부에 제공된 선박의 길이방향 래크(rack)과 협력하도록 조정하다.
- 제1 구동수단은 운송수단을 호이스트 및 릴리스하는 케이블을 조작하기 위한 유압 윈치(hydraulic winch)를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빔형 수단에 의해 지지된다.
- 제2 구동수단은 상기 피니언을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압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빔형 수단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상기 하역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선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운반선은 다음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 상기 운반선의 길이방향 축의 양측부에 대칭적으로 배열된 두 개의 시스템을 포함한다.
- 상기 운반선의 상기 또는 각각의 개구는, 모터 구동 작동기에 의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기 운반선의 걸이(rest) 상에 있는 측면 힌지수단(lateral hinge means) 주위로 피벗하여 움직일 수 있는, 도어 패널(door panel)과 연결된다.
- 상기 또는 각각의 개구는 두 개의 대칭적인 도어 패널과 연결된다.
- 상기 도어 패널을 움직이기 위한 상기 작동기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하 오직 예시로만 제공되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역 시스템을 장착한 운반선의 후미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역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운반선에서 다양한 하역단계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수단 하역 시스템을 하나 이상 장착한 운반선(1)의 후미 부분의 평면도이다.
사실 도시된 예시에서, 운반선(1)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시스템을 포함하는데, 상기 두 개의 시스템은 운반선의 길이방향 축의 양측부에 대칭적으로 배열되고, 도면부호 2 및 도면부호 3으로 각각 지정되어 있으며, 도면부호 4 및 도면부호 5로 지정되는 워터크래프트, 예컨대 고속 워터크래프트 유형을 싣고 내릴 수 있다.
도면부호 2로 지정된 상기 하역 시스템은 워터크래프트(4)가 회수 및/또는 릴리스 위치에 있는 경우이고, 반면에 도면부호 3으로 지정된 상기 하역 시스템은 선박 내에서 워터크래프트(5)가 저장 위치에 있는 경우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각 하역 시스템은, 운반선의 후미에 제공된 각각의 개구(6, 7)와 연결되는데, 상기 개구(6, 7) 각각은, 개방 위치(개구(6)에 대해 도시됨)와 폐쇄 위치(개구(7)에 대해 도시됨) 사이에서, 선박의 걸이 상에 있는 측면 힌지수단 주위로 피벗하여 움직일 수 있는 도어 패널과 연결된다.
상기 도어 패널의 움직임은 모터 구동 작동기를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작동기는, 예컨대 유압실린더 또는 다른 종류의 실린더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기 또는 각각의 개구는, 두 개의 대칭적인 도어 패널(6a, 6b 및 7a, 7b)과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역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대한 더 상세한 도면은 도 2에서 제공된다.
도면부호 10으로 지정된 상기 시스템은, 운반선에서 운송수단을 싣고 내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운송수단을 수용하는 경사진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는 도면부호 11로 지정되며, 운송수단을 싣고 내리는 구동 수단과 연결되고, 상기 구동 수단은 도면 부호 12로 지정된다.
상기 운송수단을 싣고 내리는 구동 수단은 운반선을 가로지르는 크로스빔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빔형 수단은 도면 부호 13으로 지정되며, 상기 램프(11) 상부에서 연장되고, 운송수단을 호이스트 및 릴리스하는 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은 운송수단을 호이스트 및 릴리스하는 제1 구동수단(도면부호 14로 지정됨)과 연결된다.
또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로스빔형 수단(13)은, 상기 램프(11)의 상부에서, 운송수단을 호이스트 및 릴리스하는 후방위치 및 상기 램프 상에 운송수단을 저장하는 전방위치 사이에서, 제2 구동수단(도 2에서 도면부호 15로 지정됨)에 의해 운반선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하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크로스빔형 수단은, 운송수단을 호이스트 및 릴리스하는 수단을 위한 리턴 풀리 수단; 및 상기 크로스빔 형상의 수단이 상기 전방위치와 후방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는 동안, 운송수단이 릴리스 되었을 때 운송수단을 밀어내기 위한 크래들형 수단(16)을 포함한다.
상기 크로스빔형 수단의 횡단부는, 제2 구동수단(15)과 연결된 이동 피니언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크로스빔형 수단을 상기 전방위치와 후방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2 구동수단(15)은 상기 램프의 양측부에 제공된 운반선의 길이방향 래크와 협력하도록 조정된다.
예컨대, 상기 래크들 중 하나가 도 2에서 도면부호 17로 지정되어 있다.
상기 구동수단의 다양한 실시예가 고려될 수 있는데, 제1 구동수단은, 예컨대 운송수단을 호이스트 및 릴리스하는 케이블을 조작하기 위한 유압 윈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은 크로스빔형 수단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거나, 또는 지지되지 않을 수 있는데, 즉 운반선의 걸이(rest) 상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반면에 제2 구동수단은 상기 피니언을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압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크로스빔형 수단에 의해 지지된다.
물론 다른 실시예들도 고려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은 상기 운반선의 후미에 대한 측면도인데, 워터크래프트를 싣고 내리는 단계들을 각각 도시한다.
상기 도면에서, 운반선은 역시 도면부호 1로 지정되며, 상기 램프는 도면부호 11, 상기 이동 가능한 크로스빔은 도면부호 13, 상기 윈치는 도면부호 14로 지정되고, 상기 윈치는 워터크래프트를 호이스트 및 릴리스하는 케이블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은 도면부호 18로 지정된다.
상기 리턴 풀리형 수단은, 상기 운송수단을 호이스트 및 릴리스하는 케이블에 대해 도시되고, 상기 리턴 풀리형 수단은 도면부호 19로 지정되며, 워터크래프트를 밀어 내기 위한 상기 크래들형 수단은 도면부호 16으로 지정된다.
상기 도면들은 또한 운반선의 후미에 있는 상기 개구(6), 상기 도어 패널(6a) 중 하나, 워터크래프트(4)를 도시한다.
도 3은 선적 단계 중 일단계를 도시하는데, 여기에서 상기 이동 가능한 크로스빔은 상기 후방위치에 있고, 상기 호이스트 케이블은 풀린 상태이며, 상기 케이블의 자유단은 워터크래프트(4)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운반선의 후미에 있는 개방 패널은 당연히 개방위치에 있다.
이러한 선적 단계 동안, 최초 조작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에 대응하는 단부에 워터크래프트의 전방을 걸치게 할 수 있도록, 워터크래프트의 전방을 신속하게 들어올리기 위한 호이스트 윈치를 조작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11) 상으로 도 6에 도시된 저장위치까지 워터크래프트(4)를 끌어 당기기 위해서, 상기 이동 가능한 크로스빔(13)은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 위치에서, 상기 워터크래프트는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고, 상기 운반선의 후방 개구는 폐쇄된다.
상기 워터크래프트를 수면에 내려 놓는 동작은 정반대의 순서로 행해진다.
따라서, 상기 운반선의 후방 도어가 먼저 열린 다음, 이동 가능한 크로스빔(13)이 후방위치를 향해 이동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11) 상에서 워터크래프트를 다시 밀어내기 위해서, 상기 크래들(16)이 워터크래프트(4)의 전방을 밀어 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워터크래프트의 후방이 수면에 위치하고, 상기 크로스빔(13)이 상기 후방위치에 오고 나면, 워터크래프트가 수면으로 완전히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케이블(18)이 풀린다.
상기 모든 조작은 운반선에 내장된 대시보드(dashboard)로부터 구동될 수 있거나, 또는 워터크래프트에 있는 외장 제어수단의 대시보드에 의해 제어될 수 있어서 워터크래프트 상의 선원이 비상시에 선적 조작을 중단 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리프트 지점이 높게 위치하고, 워터크래프트를 선적할 때 신속하게 끌어 당길 수 있는 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하역 시스템은 일정한 장점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역 시스템은 물 속에 잠긴 램프 영역 또는 도어를 요구하지 않고, 수면 근처에서 선적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자명하다.
당연히 본 시스템과 그 부재들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또한 생각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실린더나 유압 모터나 유압 윈치가 아닌 수단도 고려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워터크래프트를 호이스트 및 릴리스하는 케이블과 연결된 구동 수단은 상기 크로스빔에 의해 지지되거나, 상기 운반선의 걸이(rest)에 고정될 수 있다.

Claims (10)

  1. 운반선(1)의 후미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개구(6, 7)를 통하여 운반선(1)에 운송수단(4, 5)을 싣고 내리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운송수단(4, 5)을 싣고 내리는 모터구동수단(12)과 결합된, 운송수단(4, 5)을 수용하는 경사진 램프(11)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구동수단(12)은, 운반선(1)을 위한 크로스빔형 수단(13)을 포함하되, 상기 크로스빔형 수단(13)은, 상기 램프(11) 상부에서 연장되고, 또한 운송수단을 호이스트 및 릴리스하는 케이블(18)과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18)은 운송수단을 호이스트 및 릴리스하는 제1 구동수단(14)과 결합되고,
    상기 크로스빔형 수단(13)은, 상기 램프(11)의 상부의 제2 구동수단(15)을 이용하여, 운송수단을 호이스트 및 릴리스하는 후방위치와 운반선 내의 상기 램프 상에 운송수단을 저장하는 전방위치 사이에서, 운반선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크로스빔형 수단(13)은, 상기 크로스빔형 수단(13)이 상기 전방위치와 후방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동안, 운송수단이 릴리스될 때 운송수단을 밀어내기 위한 크래들형 수단(16)을 포함하는,
    운송수단을 싣고 내리는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빔형 수단(13)은, 운송수단을 호이스트 및 릴리스하는 상기 케이블(18)을 위한 리턴 풀리(return pulley)를 구성하는 수단(19)을 포함하는, 운송수단을 싣고 내리는 시스템.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빔형 수단(13)의 횡단부가, 상기 제2 구동수단(15)과 연결된 이동 피니언(movement pinion)을 포함하고,
    상기 피니언은, 상기 크로스빔형 수단을 상기 전방위치와 후방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램프(11)의 양측 상에 제공된 운반선의 길이방향 래크(17)와 연결하게 되어 있는,
    운송수단을 싣고 내리는 시스템.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수단(14)은, 운송수단을 호이스트 및 릴리스하는 상기 케이블(18)을 조작하기 위한 유압 윈치를 포함하는, 운송수단을 싣고 내리는 시스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수단(15)은, 상기 피니언을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압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유압모터는 상기 크로스빔형 수단(13)에 의해 지지되는, 운송수단을 싣고 내리는 시스템.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운송수단(4, 5)을 싣고 내리는 시스템(2, 3)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운반선.
  7. 제6 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스템을 두 개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들이 운반선(1)의 길이방향 축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열된,
    운반선.
  8.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선의 상기 또는 각각의 개구(6, 7)는 도어 패널(6a, 6b, 7a, 7b)과 연결되고,
    상기 도어 패널은, 모터 구동 작동기에 의해,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상기 운반선(1)의 걸이(rest) 상에 있는 측면 힌지수단 주위로 피벗하여 이동할 수 있는, 운반선.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개구는 두 개의 대칭적인 도어 패널(6a, 6b, 7a, 7b)과 연결된, 운반선.
  10. 제8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을 움직이기 위한 상기 작동기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운반선.
KR1020127010395A 2009-09-24 2010-09-02 운송수단을 운반선에 싣고 내리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대응하는 운반선 KR101828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56602 2009-09-24
FR0956602A FR2950317B1 (fr) 2009-09-24 2009-09-24 Systeme d'embarquement/debarquement d'un engin dans
PCT/FR2010/051827 WO2011036369A1 (fr) 2009-09-24 2010-09-02 Système d'embarquement/débarquement d'un engin dans et à partir d'un navire porteur, et navire porteur correspond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428A true KR20120105428A (ko) 2012-09-25
KR101828419B1 KR101828419B1 (ko) 2018-02-12

Family

ID=42124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0395A KR101828419B1 (ko) 2009-09-24 2010-09-02 운송수단을 운반선에 싣고 내리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대응하는 운반선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671866B2 (ko)
EP (1) EP2480449B1 (ko)
KR (1) KR101828419B1 (ko)
AU (1) AU2010299733B2 (ko)
BR (1) BR112012006747B8 (ko)
FR (1) FR2950317B1 (ko)
MY (1) MY163456A (ko)
UA (1) UA104058C2 (ko)
WO (1) WO2011036369A1 (ko)
ZA (1) ZA2012029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50317B1 (fr) * 2009-09-24 2013-08-09 Dcns Systeme d'embarquement/debarquement d'un engin dans
NL2015802B1 (en) * 2015-11-17 2017-06-02 Fugro N V Method of and system for hauling a marine equipment unit, a marine equipment unit and a carrier.
CN106005269B (zh) * 2016-08-04 2019-01-29 福建省马尾造船股份有限公司 一种船舶
CN106585882B (zh) * 2016-09-30 2018-05-01 南通中远船务工程有限公司 圆筒型浮式生活平台用悬壁底座
US10486776B2 (en) * 2017-01-13 2019-11-26 Wendell B. Leimbach Amphibious deployment system and method
DE102017220932A1 (de) * 2017-11-23 2019-05-23 Thyssenkrupp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nehmen eines Wasserfahrzeugs mittels einer Kette
NO346852B1 (en) * 2020-08-14 2023-01-30 Deepocean As Unmanned surface vessel, ramp member and method for launch and recovery of underwater units or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028973B (it) * 1975-05-27 1979-02-10 Podesta S Dispositivp ausiliario di sollevamento atto ad ampliare il campo di lavoro dei carrelli di movimentazione dei container in genere
US4864957A (en) * 1988-11-21 1989-09-12 Diversified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launch and recovery of watercraft onto and from the deck of a host vessel
DE9002191U1 (ko) * 1989-07-25 1990-04-26 Schiffs- Und Bootswerft Fr. Schweers Gmbh & Co Kg, 2876 Berne, De
FR2660915B1 (fr) * 1990-04-12 1992-06-05 France Etat Armement Dispositif de remorquage de corps immerges.
US5253605A (en) * 1992-12-21 1993-10-19 Applied Remote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ploying and recovering water borne vehicles
DE4431542A1 (de) * 1994-09-05 1995-04-13 Vogel Peter Dipl Wirtsch Ing F Aussetzvorrichtung für Frei-Fall-Rettungsboote in Querschiffsrichtung mit wahlweise nach außenbords ausfahrbarer Ablaufbahn und integriertem Bootsbedienungsmittel zur Wiederaufnahme des Rettungsbootes
IL126467A0 (en) * 1998-10-06 1999-08-17 Mifned Ltd Sea/land going container for vehicle
DE102004058824A1 (de) * 2004-12-07 2006-06-08 Rosenkranz, Volker H. Lasten-Frachtschiff mit bordeigenem Ladesystem und auf der Krankatze aufgesetzter Schiffs- und Kranssteuerung
KR200436987Y1 (ko) * 2006-10-27 2007-10-24 (주)해안기계산업 선박후방경사면으로의 보트 인양 및 하강장치
US7581507B2 (en) * 2007-02-26 2009-09-01 Physical Sciences, Inc. Launch and recovery devices for water vehicles and methods of use
FR2950317B1 (fr) * 2009-09-24 2013-08-09 Dcns Systeme d'embarquement/debarquement d'un engin d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06747A2 (pt) 2016-05-17
BR112012006747B1 (pt) 2020-11-17
EP2480449A1 (fr) 2012-08-01
KR101828419B1 (ko) 2018-02-12
FR2950317A1 (fr) 2011-03-25
UA104058C2 (ru) 2013-12-25
AU2010299733B2 (en) 2016-03-17
WO2011036369A1 (fr) 2011-03-31
AU2010299733A1 (en) 2012-05-17
US20120285360A1 (en) 2012-11-15
ZA201202931B (en) 2013-09-25
BR112012006747B8 (pt) 2021-05-25
EP2480449B1 (fr) 2015-05-27
FR2950317B1 (fr) 2013-08-09
US8671866B2 (en) 2014-03-18
MY163456A (en) 2017-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5428A (ko) 운송수단을 운반선에 싣고 내리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대응하는 운반선
CN103237725B (zh) 用于船只投放和收回的系统和方法
RU2423282C1 (ru) Подводная лодка с устройством спуска и подъема на борт вспомогательного подводного аппарата
US4858775A (en) Personnel trolley and elevator platform for a cargo container handling gantry crane
US3168955A (en) Apparatus for lightering cargo vessels
US9708037B2 (en) Ship-based waterborne vehicle launch, recovery, and handling system
KR20130056336A (ko) 선박 및 선박용 갱웨이
WO2013071832A1 (zh) 用集装箱和油罐运送物资的航空母舰补给系统
EP2516250B1 (en) A crane on a vessel
CN113044179A (zh) 一种用于船舶大型设备舷侧进出舱工装
EP3814212B1 (en) Ship comprising a bow door arrangement and/or a bow ramp arrangement
EP0192446B1 (en) Suspended load positioning stabilizing system
KR20190088471A (ko) 갑판 착륙/이륙 영역과 항공기를 취급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군함 플랫폼
US3165211A (en) Cargo ship design for quick loading and discharge
BE1018570A4 (nl) Inrichting voor het overbrengen van voorwerpen op zee.
KR20180101653A (ko) 차량의 적재공간이 설치된 바지선
JPS6038318B2 (ja) 岸壁荷役クレ−ン
US3469716A (en) System for handling cargo lighters and cargo hatch covers aboard ship
EP4177145A1 (en) Vehicle deck mass lifting system for vessels
RU2166459C2 (ru) Бортовое по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номной загрузки контейнеров и других грузов через боковой грузовой люк
IT201600082867A1 (it) Imbarcazione da diporto provvista di un sistema per varare e alare un natante
KR101973076B1 (ko) 선박
JPH0324473Y2 (ko)
RU1785946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азгрузки судна
EP0292290A1 (en) Improvements in cra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